KR100961622B1 -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 - Google Patents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622B1
KR100961622B1 KR1020100025627A KR20100025627A KR100961622B1 KR 100961622 B1 KR100961622 B1 KR 100961622B1 KR 1020100025627 A KR1020100025627 A KR 1020100025627A KR 20100025627 A KR20100025627 A KR 20100025627A KR 100961622 B1 KR100961622 B1 KR 100961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heat
chamber
mixing chamber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범
Original Assignee
김영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범 filed Critical 김영범
Priority to KR1020100025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6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622B1/ko
Priority to PCT/KR2010/009608 priority patent/WO2011118906A1/ko
Priority to CN2011100027138A priority patent/CN102072513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7/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F24B7/06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without air ducts no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4Air-mixing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가열장치 상부의 둘레를 덮어 사방에 형성되며 전면은 아래쪽이 개방되고 위쪽은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투명차단벽;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면서 하부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투명차단벽의 상부에 연결된 배기챔버; 상기 배기챔버의 상부와 연통되는 배기구가 한쪽 면에 형성되고 다른 쪽 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공기유입구와 흡입구가 각각 형성된 혼합챔버; 상기 혼합챔버의 흡입구에 연결된 흡입관; 및 외부배출관과 상기 흡입관과 사이에 연결되어 공기유입구 및 배기구를 통해 상기 혼합챔버 내로 유입된 외부공기와 열기를 혼합한 후, 혼합에 의해 온도가 낮아진 열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입관과 외부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수단;으로 이루어져, 가스레인지의 상부를 밀폐된 공간으로 하여 냄새나 연기 등을 거의 완벽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면서 밀폐된 공간으로 인해 뜨거워지는 열기도 식혀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가스레인지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EXHAUST HOOD USING OF TRANSPARENT WALL BY TEMPERATURE DROP OF FEVER}
본 발명은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가스레인지와 같은 가열장치의 상부에 투명차단벽과 배기챔버를 설치하고 상기 배기챔버에는 흡입수단에 의해 외부공기와 열기를 유입하여 혼합한 후 배출하는 혼합챔버를 연결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 후에 발생하는 열기를 연기와 냄새 등과 함께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이나 업소용의 가스레인지와 같은 가열장치의 상부에는 상기 가스레인지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냄새나 연기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후드를 설치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배기후드는 상기 가스레인지와 일정 거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냄새나 연기 중의 일부가 가스레인지 주변의 실내공간으로 퍼져나가 완벽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냄새나 연기 등의 주변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가스레인지 주변을 차단하여 상기 가스레인지의 후드와 직접 연결되도록 하면 되나, 이렇게 되면 냄새나 연기 등은 완벽하게 배출될 수 있어도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열기가 축적되어 매우 뜨겁게 됨으로써 가스레인지의 주변을 무조건 차단할 수는 없다는 한계가 있다.
즉,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가스레인지의 배기후드를 보완하여 냄새나 연기 등을 실외로 아주 완벽하게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냄새나 연기 등이 오직 상기 배기후드를 통해서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면 되지만, 그에 따라 발생하는 뜨거워지는 열기도 주변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적절하게 처리해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스레인지와 같은 가열장치의 상부 둘레를 투명차단벽과 배기챔버로 차단하여 배기후드와 연결하되, 상기 투명차단벽과 배기챔버의 차단에 의해 밀폐된 공간에서 발생하는 뜨거워지는 열기는 흡입수단에 의해 상기 배기후드에 설치된 혼합챔버에 유입하면서 낮은 온도의 외부공기도 동시에 상기 혼합챔버에 유입하여 서로 혼합함으로써, 상기 혼합에 의해 온도가 낮아진 열기를 흡입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를 제공함에 있다.
다른 목적은 상기 투명차단벽을 필요에 따라 내열유리, 투명 내열플라스틱, 에어커튼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한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열기가 유입되는 혼합챔버의 배기구 주위에 상기 열기가 직접 유입되지 못하고 우회하여 유입하도록 열기우회수단을 설치한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는, 가열장치 상부의 둘레를 덮어 사방에 형성되며 전면은 아래쪽이 개방되고 위쪽은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투명차단벽;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면서 하부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투명차단벽의 상부에 연결된 배기챔버; 상기 배기챔버의 상부와 연통되는 배기구가 한쪽 면의 끝단부에 형성되고, 다른 쪽 면의 양쪽 끝단부에는 공기유입구와 흡입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와 마주보는 배기구는 공기유입구보다 안쪽에 위치한 혼합챔버; 상기 혼합챔버의 흡입구에 연결된 흡입관; 및 외부배출관과 상기 흡입관과 사이에 연결되어 공기유입구 및 배기구를 통해 상기 혼합챔버 내로 유입된 외부공기와 열기를 혼합한 후, 혼합에 의해 온도가 낮아진 열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입관과 외부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혼합챔버를 배기챔버의 상부면에 연결하되, 하부면의 한쪽에 상기 배기챔버와 연통되는 배기구가 형성되고, 상부면의 한쪽 및 다른 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공기유입구와 흡입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혼합챔버를 배기챔버 상부의 전면에 연결하되, 후면의 아래쪽에 상기 배기챔버와 연통되는 배기구가 형성되고, 전면의 아래쪽 및 위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공기유입구와 흡입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혼합챔버를 배기챔버 상부의 측면에 연결하되, 안쪽의 아래에 상기 배기챔버와 연통되는 배기구가 형성되고, 바깥쪽의 아래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됨과 동시에 절곡된 위쪽의 끝에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투명차단벽은 내열유리, 투명 내열플라스틱, 에어커튼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혼합챔버에 형성된 배기구와 공기유입구 사이의 거리는 흡입구 직경의 2/3이고, 상기 혼합챔버의 배기구와 공기유입구 및 흡입구가 형성되지 않은 폭방향 양측면 사이의 거리는 흡입구 직경의 4/3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혼합챔버의 배기구 밑의 배기챔버 내벽에 부착된 열기차단판과 상기 배기구를 덮도록 부착된 타공망으로 된 열기우회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에 의하면, 가스레인지와 같은 가열장치를 사용할 때 냄새나 연기 등을 외부로 거의 완벽하게 배출하기 위해 투명차단벽으로 가스레인지의 상부를 밀폐된 공간으로 만들어도, 외부공기를 유입하는 혼합챔버에 의해 요리할 때 발생하는 뜨거워지는 열기를 식혀 외부로 배출할 수 있음에 따라 아무런 문제없이 안전하게 가스레인지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열기우회수단에 의해 혼합챔버의 배기구로 열기가 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요리할 때 발생하는 뜨거워진 열기가 한결 안전하게 상기 혼합챔버 내로 유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의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의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레인지(6)와 같은 가열장치 위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는 투명차단벽(1), 배기챔버(2), 혼합챔버(3a), 흡입관(4) 및, 흡입수단(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명차단벽(1)은 가정용이나 업소용의 가스레인지(6) 위의 둘레를 사방으로 덮어 배치하되, 전면의 아래쪽 부분은 상기 가스레인지(6)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항상 개방되어 있도록 하고, 전면의 위쪽 부분은 가스레인지(6) 상에서의 조리공간을 더 확보하여 요리할 때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손잡이가 달린 문과 같이 개폐할 수 있도록 하면서 하단부가 앞으로 약간 돌출되어 위에서 아래로 비스듬히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투명차단벽(1)의 재질로는 투명하고 열에 견딜 수 있도록 내열유리, 투명 내열플라스틱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배기챔버(2)는 상기 투명차단벽(1)의 상부에 연결하되 삼각뿔의 형상과 같이 상부로 갈수록 공간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가스레인지(6)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냄새와 연기 및 열기 등이 위로 올라가면서 배기챔버(2) 내의 상단 중심으로 잘 모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배기챔버(2) 하단부의 사방 둘레에 투명차단벽(1)을 연결할 때, 상기 배기챔버(2) 하단부의 사방 둘레에 에어 커튼을 설치한 후 아래쪽의 가스레인지(6) 위의 사방 둘레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면, 상기 공기에 의해 막을 형성함으로써 투명차단벽(1)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혼합챔버(3)는 직사각의 박스체 형상으로 넓은 상부면 및 하부면을 위아래로 배치하여 상기 배기챔버(2)에 부착한 형태로 구성하되, 하부면의 한쪽에는 상기 배기챔버(2)의 상부에 연결되어 연통되는 배기구(7)가 형성되고, 상부면의 한쪽 끝단부에는 공기유입구(8)가 형성됨과 동시에 다른 쪽 끝단부에는 흡입구(9)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8)와 마주보는 배기구(7)는 공기유입구(8)보다 안쪽, 즉 도면으로 보았을 때 공기유입구(8)보다 약간 우측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배기구(7)를 통해 유입된 열기가 공기유입구(8)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와 잘 혼합되도록 한다.
상기 배기구(7)와 공기유입구(8)가 서로 같은 면에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 끝단 사이의 거리는 1∼3㎝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배기구(7)의 밑의 배기챔버(2) 내벽면에 부착된 열기차단판(10a)과 배기구(7)를 덮어씌워 설치된 타공망(10b)으로 이루어진 열기우회수단(10)을 마련함으로써, 가스레인지(6)와 같은 가열장치를 사용할 때 흡입수단(5)을 작동시키면 흡입작용에 의해 불꽃이나 뭉쳐진 열기가 직접 배기구(7) 내로 유입되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데, 즉 상기 열기우회수단(10)에 의해 불꽃이나 열기는 일단 열기차단판(10a)에 의해 1차로 차단되어 분산된 후, 2차로 타공망(10b)을 통해 천천히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타공망(10b)에 형성된 구멍은 배기구(7)로 갈수록 점점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회우회수단(10)은 상기한 바와 같은 형태 외에도 열기차단판(10a) 상의 둘레에서 배기구(7)로 향해 타공망(10b)을 연결하여 상기 타공망(10b) 내에 배기구(7)가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흡입관(4)은 일종의 주름관 형태로 상기 혼합챔버(3)의 흡입구(9)에 연결되어 실외를 향해 길게 이어진다.
상기 흡입수단(5)은 흡입팬과 같은 것으로 구성되어 상기 흡입관(4)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수단(5)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계속해서 실외로 이어지는 외부배출관을 연결함으로써 예컨대 벽면에 설치되는 흡입수단(5)을 사이에 두고 실내에는 흡입관(4)이 연결되고 실외로는 외부배출관이 연결된 형태로 된다.
상기 혼합챔버(3)와 흡입관(4) 및 흡입수단(5)은 미관을 고려하여 수납장(11) 내에 설치하도록 하되, 상기 혼합챔버(3)에 형성된 공기유입구(8)는 외부공기를 유입하기 위해 수납장(11)의 바깥에 위치되어야 하므로 상기 수납장(11)의 해당 부분만을 따로 개방시키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의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는 혼합챔버(3b)의 배치형태를 달리한 것으로서, 배기챔버(2)의 전면 상부에 직사각의 박스체로 된 혼합챔버(3b)의 좁은 양측면을 세워 부착한 형태로 배치하되, 안쪽의 넓은 측면 아래에는 배기챔버(2)와 연결되어 연통되는 배기구(7)가 형성되고, 바깥쪽의 넓은 측면 아래의 끝단부에는 공기유입구(8)가 형성됨과 동시에 바깥쪽의 넓은 측면 위의 끝단부에는 흡입관(4)에 연결되는 흡입구(9)가 형성된다.
여기서도 상기 공기유입구(8)와 마주보는 배기구(7)는 공기유입구(8)보다 안쪽, 즉 도면으로 보았을 때 공기유입구(8)의 약간 위쪽에 위치하도록 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배기구(7)와 공기유입구(8)가 서로 같은 면에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 끝단 사이의 거리는 1∼3㎝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챔버(3b)를 제외한 투명차단벽(1), 배기챔버(2), 흡입관(4), 흡입수단(5) 등의 구성은 일실시예의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와 동일하며, 상기 투명차단벽(1)의 재질과 에어커튼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도 동일하다.
한편, 상기 혼합챔버(3b)의 배기구(7) 주변에도 마찬가지로 열기차단판(10a)과 타공망(10b)으로 된 열기우회수단(10)을 설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의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는 혼합챔버(3c)의 배치형태를 달리한 것으로서, 배기챔버(2)의 측면 상부에 직사각의 박스체로 된 혼합챔버(3c)의 좁은 양측면을 세워 부착한 형태로 배치하되, 안쪽의 넓은 측면 아래에는 배기챔버(2)와 연결되어 연통되는 배기구(7)가 형성되고, 바깥쪽의 넓은 측면 아래의 끝단부에는 공기유입구(8)가 형성됨과 동시에 바깥쪽의 넓은 측면 위의 끝단부는 안쪽으로 절곡하여 그 끝단부를 흡입관(4)과 연결되는 흡입구(9)로 형성한다.
여기서도 또한 상기 공기유입구(8)와 마주보는 배기구(7)는 도 3 및 도 4의 다른 실시예의 혼합챔버(3b)에서와 같이 공기유입구(8)보다 안쪽, 즉 도면으로 보았을 때 공기유입구(8)의 약간 위쪽에 위치하도록 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배기구(7)와 공기유입구(8)가 서로 같은 면에 있다고 가정하였을 때, 끝단 사이의 거리는 1∼3㎝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챔버(3c)를 제외한 투명차단벽(1), 배기챔버(2), 흡입관(4), 흡입수단(5) 등의 구성은 일실시예의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와 동일하며, 상기 투명차단벽(1)의 재질과 에어커튼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것도 동일하지만, 상기 배기챔버(2)의 경우에는 혼합챔버(3c)와 연결되는 쪽의 양측을 아래로 향해 비스듬히 절곡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가스레인지(6)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냄새와 연기 및 열기 등이 상기 배기챔버(2)를 거쳐 혼합챔버(3c)의 배기구(7) 쪽으로 잘 모이도록 한다.
한편, 상기 혼합챔버(3c)의 배기구(7) 주변에도 마찬가지로 열기차단판(10a)과 타공망(10b)으로 된 열기우회수단(10)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실시예들의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는 혼합챔버(3b)(3c)의 일부가 수납장(11)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청소해 줄 때 편리한 점이 있으며, 공기와 뜨거운 열기의 혼합에 의해 발생하는 수증기가 혼합챔버(3b)(3c) 내의 바닥에 수분으로 모여 있을 때 이를 제거하기 용이하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상기 실시예들의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에서 혼합챔버(3a)(3b)(3c)에 형성되는 배기구(7)의 면과 공기유입구(8)의 면 사이의 거리를 L1이라고 하고, 넓은 양측면 사이의 거리를 L2라 하며, 흡입구(9)의 직경을 D라고 하였을 때, 상기 D와 대비되는 L1과 L2의 치수에 있어 L1=D2/3을 만족하고 상기 L2=D4/3를 만족하도록 하는 것이 외부 공기와 뜨거운 열기의 혼합과 혼합되어 온도가 낮아진 열기의 배출이 가장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이 됨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의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의 흡입수단(5)의 작동과 같은 조작을 위해 혼합챔버(3a)(3b)(3c)의 적당한 부위에 조작버튼을 설치한 후 상기 흡입수단(5)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놓는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투명차단벽(1)의 전면을 열어 가스레인지(6)의 불꽃 위에 조리용기를 올려놓고 음식물을 조리하면 상기 조리용기의 가열로 인해 음식물의 냄새와 연기 등이 발생하고, 발생된 냄새와 연기의 거의 전부는 상기 가스레인지 위의 공간이 투명차단벽(1)과 배기챔버(2)로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배기챔버(2) 내의 상단부로 모여들게 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가스레인지(6) 위가 밀폐된 상태이기 때문에 조리용기의 가열로 인한 열기도 더욱 뜨거워지면서 상기 배기챔버(2) 내의 상단부로 모여들게 되면, 흡입팬과 같은 흡입수단(5)을 미리 가동시켜 놓고 있으므로 상기 냄새와 연기 및 뜨거워지는 열기는 배기구(7)를 통해 혼합챔버(3a)(3b)(3c) 내로 유입된다.
혼합챔버(3a)(3b)(3c) 내로 유입된 냄새와 연기 및 뜨거워진 열기 중 상기 열기는 공기유입구(8)를 통해 상기 혼합챔버(3a)(3b)(3c) 내로 유입된 낮은 온도의 공기와 혼합되어 보통의 온도로 낮아진 후, 흡입구(9)에 연결된 흡입관(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냄새와 연기를 완벽하게 배출하면서도 뜨거워진 열기도 적절하게 온도를 낮추어 안전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투명차단벽 2 : 배기챔버
3a,3b,3c : 혼합챔버 4 : 흡입관
5 : 흡입수단 6 : 가스레인지
7 : 배기구 8 : 공기유입구
9 : 흡입구 10a : 열기차단판
10b : 타공망 10 : 열기우회수단
11 : 수납장

Claims (7)

  1. 가열장치 상부의 둘레를 덮어 사방에 형성되며 전면은 아래쪽이 개방되고 위쪽은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투명차단벽;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면서 하부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투명차단벽의 상부에 연결된 배기챔버;
    상기 배기챔버의 상부와 연통되는 배기구가 한쪽 면의 끝단부에 형성되고, 다른 쪽 면의 양쪽 끝단부에는 공기유입구와 흡입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와 마주보는 배기구는 공기유입구보다 안쪽에 위치한 혼합챔버;
    상기 혼합챔버의 흡입구에 연결된 흡입관; 및
    외부배출관과 상기 흡입관과 사이에 연결되어 공기유입구 및 배기구를 통해 상기 혼합챔버 내로 유입된 외부공기와 열기를 혼합한 후, 혼합에 의해 온도가 낮아진 열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입관과 외부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수단;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챔버를 배기챔버의 상부면에 연결하되, 하부면의 한쪽에 상기 배기챔버와 연통되는 배기구가 형성되고, 상부면의 한쪽 및 다른 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공기유입구와 흡입구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챔버를 배기챔버 상부의 전면에 연결하되, 후면의 아래쪽에 상기 배기챔버와 연통되는 배기구가 형성되고, 전면의 아래쪽 및 위쪽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공기유입구와 흡입구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챔버를 배기챔버 상부의 측면에 연결하되, 안쪽의 아래에 상기 배기챔버와 연통되는 배기구가 형성되고, 바깥쪽의 아래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됨과 동시에 절곡된 위쪽의 끝에는 흡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차단벽은 내열유리, 내열필름이 부착된 유리, 투명 내열플라스틱, 에어커튼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챔버에 형성된 배기구와 공기유입구 사이의 거리는 흡입구 직경의 2/3이고, 상기 혼합챔버의 배기구와 공기유입구 및 흡입구가 형성되지 않은 폭방향 양측면 사이의 거리는 흡입구 직경의 4/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챔버의 배기구 밑의 배기챔버 내벽에 부착된 열기차단판과 상기 배기구를 덮도록 부착된 타공망으로 된 열기우회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
KR1020100025627A 2010-03-23 2010-03-23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 KR100961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627A KR100961622B1 (ko) 2010-03-23 2010-03-23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
PCT/KR2010/009608 WO2011118906A1 (ko) 2010-03-23 2010-12-31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
CN2011100027138A CN102072513A (zh) 2010-03-23 2011-01-07 因热气温度的降低而可以使用透明切断壁的排气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627A KR100961622B1 (ko) 2010-03-23 2010-03-23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1622B1 true KR100961622B1 (ko) 2010-06-04

Family

ID=42369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627A KR100961622B1 (ko) 2010-03-23 2010-03-23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61622B1 (ko)
CN (1) CN102072513A (ko)
WO (1) WO201111890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27238S1 (en) 2013-12-13 2015-04-21 Illinois Tool Works Inc. Cover used for windshield wiper connectors
US9511748B2 (en) 2013-03-15 2016-12-06 Illinois Tool Works Inc. Universal connector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with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US9555775B2 (en) 2013-03-15 2017-01-31 Illinois Tool Works Inc. Connectors and connector kit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to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CN107747741A (zh) * 2017-09-19 2018-03-02 吉林省福泰厨具有限公司 一种灶具及餐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5013A1 (en) * 2020-11-20 2022-06-16 Femas Metal San. Ve Tic. A.S. A hood assembly with integrated protective circuit box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456Y1 (ko) * 2006-03-31 2006-06-12 주식회사 하이넷 주방용 공기청정후드
JP2007017063A (ja) 2005-07-06 2007-01-25 Kajiwara Kogyo Kk 排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852B2 (ja) * 1988-03-29 1994-09-28 松下精工株式会社 調理用排気装置
CN2206915Y (zh) * 1994-12-12 1995-09-06 周廉刚 分隔式二次抽油烟机
CN2250491Y (zh) * 1995-09-06 1997-03-26 刘卫斌 真空式抽油烟机
KR100696714B1 (ko) * 2005-05-23 2007-03-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공기조화기를 구비한 주방용 후드
JP2007057169A (ja) * 2005-08-25 2007-03-08 Kajiwara Kogyo Kk 排気フード
KR100730403B1 (ko) * 2006-02-09 2007-06-19 (주)대성기연 레인지 후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17063A (ja) 2005-07-06 2007-01-25 Kajiwara Kogyo Kk 排気装置
KR200418456Y1 (ko) * 2006-03-31 2006-06-12 주식회사 하이넷 주방용 공기청정후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1748B2 (en) 2013-03-15 2016-12-06 Illinois Tool Works Inc. Universal connector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with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US9555775B2 (en) 2013-03-15 2017-01-31 Illinois Tool Works Inc. Connectors and connector kit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to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US10023154B2 (en) 2013-03-15 2018-07-17 Illinois Tool Works Inc. Universal connector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with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US10118596B2 (en) 2013-03-15 2018-11-06 Illinois Tool Works Inc. Connectors and connector kit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to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USD727238S1 (en) 2013-12-13 2015-04-21 Illinois Tool Works Inc. Cover used for windshield wiper connectors
CN107747741A (zh) * 2017-09-19 2018-03-02 吉林省福泰厨具有限公司 一种灶具及餐桌
CN107747741B (zh) * 2017-09-19 2024-03-08 吉林省福泰厨具有限公司 一种灶具及餐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72513A (zh) 2011-05-25
WO2011118906A1 (ko) 201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72078T3 (es) Sistema de control de vapor para horno multizona
KR100961622B1 (ko) 열기의 온도 저감으로 인해 투명차단벽을 사용할 수 있는 배기후드
US20050133019A1 (en) Electric oven with door cooling structure
KR101384483B1 (ko) 열분해 기능을 가진 조리용기 뚜껑
KR101263519B1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KR20140030020A (ko) 무연 그릴
ES2229086T3 (es) Aparato de coccion de alimentos con flujo de enfriamiento.
CN213237654U (zh) 一种带有排油烟功能的灶具
KR101149873B1 (ko) 상업용 취반기
KR101720995B1 (ko) 이중배기관이 구비된 가스 취반기
WO2006001065A1 (ja) 室内空気によるエアカーテンを形成するレンジフード
KR101542594B1 (ko) 이동식 무연 조리기
JP2920517B2 (ja) 厨房の給排気装置
JP2004089683A (ja) 調理機器の過熱防止装置
KR100671570B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배기 구조
KR101645038B1 (ko) 빌트인 타입 조리기기
CN220038578U (zh) 一种厨房烟气吸收系统
KR102389505B1 (ko) 조리솥용 배기가스 배출장치
KR200377268Y1 (ko) 황토 숯가마 고기 구이기
JPS58123031A (ja) クリ−ンガスレンジ
KR102066811B1 (ko) 완전연소구조의 밀폐식 구이장치
JPH08121776A (ja) 組込型ガス調理機器
US20220349587A1 (en) Gas stove
JP7053082B2 (ja) 調理煙排出装置
CN213362585U (zh) 一种带有排油烟功能的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