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050B1 - 통신 단말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050B1
KR100961050B1 KR20070126985A KR20070126985A KR100961050B1 KR 100961050 B1 KR100961050 B1 KR 100961050B1 KR 20070126985 A KR20070126985 A KR 20070126985A KR 20070126985 A KR20070126985 A KR 20070126985A KR 100961050 B1 KR100961050 B1 KR 100961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wireless lan
call
communication means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126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3887A (ko
Inventor
후미아키 마츠모토
미츠히로 스기모리
히로시 츠노다
히데토 마츠야마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3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6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etworks is unlicen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 중의 조작을 간단하게 한 통신 단말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무선 회로(22) 및 무선 LAN 회로(23)와, 통신하는 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이용자 식별 정보와, 이용자 식별 정보와 무선 회로(22) 및 무선 LAN 회로(23)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액세스 정보를 관련지은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기억하는 플래쉬 ROM(31)과, 무선 LAN 회로(23)가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와 통신 중에 통신 불능으로 된 경우,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의 이용자의 이용자 식별 정보에 관련하며, 또 무선 회로(22)에 대응하는 휴대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추출한 휴대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무선 회로(22)로 상대방의 휴대 전화에 발호(發呼)하는 제어부(21)를 구비한 통신 단말이다.

Description

통신 단말{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고, 특히 IP 망에 접속 가능한 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중 전화 회선망 대신에 인터넷 등의 IP(인터넷 프로토콜) 망을 이용한 IP 전화기가 등장하고 있다. 또, IP 망은 무선 통신을 이용한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이하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이라 함)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무선 LAN에 대응한 통신 회로를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또는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등의 휴대 전화기에 탑재하면, 휴대 전화기를 IP 전화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휴대 전화기를 IP 전화로서 이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통신 매체에 무선을 이용한 무선 LAN이 채용된다. 이 무선 LAN은 통신 가능 범위가 비교적 좁기 때문에, 휴대 전화를 휴대하는 이용자가 통신 불가능한 권외에 이동하면, 통신을 계속할 수 없게 되고 만다.
일본 특개평 6-216835호 공보에는, 식별 수단이 서비스권외로 식별하고 있을 때, 조작 수단에 의해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를 기억 수단에 기억하 고, 이동 후 식별 수단이 서비스권내에 있다고 식별하면, 발호 수단이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전화번호에 자동적으로 발호하도록 발호 제어 수단이 제어하는 무선 전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렇지만, 일본 특개평 6-216835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을 이용했다고 해도, 무선 LAN의 권외에 위치할 때는 통화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무선 LAN의 권외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휴대 전화기의 통신 가능 범위에 위치하면 휴대 전화망을 이용하여 통화할 수 있다. 그렇지만, 휴대 전화망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이용자는 상대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거나, 또는 전화번호부로부터 선택할 필요가 있고, 조작이 번잡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평 6-216835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통화 중의 조작을 간단하게 한 통신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국면에 따르면, 통신 단말은, 복수 종류의 통신 수단과; 통신하는 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대상 식별 정보와, 복수 종류의 통신 수단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액세스 정보를 관련지은 어드레스 테이블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복수 종류의 통신 수단 중 제1의 통신 수단이 통신 대상과 통신 중에 통신 불능으로 된 경우, 어드레스 테이블을 검색하고, 통신 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대상 식별 정보에 관련하며, 또 복수 종류의 통신 수단 중 제1의 통신 수단과는 다른 제2의 통신 수단에 대응하는 액세스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추출한 액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제2의 통신 수단으로 통신 대상에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재접속 수단을 구비한다.
이 국면에 따르면, 통신하는 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대상 식별 정보와, 복수의 액세스 정보를 관련지은 어드레스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고, 제1의 통신 수단이 통신 대상과 통신 중에 통신 불능으로 된 경우, 어드레스 테이블이 검색되고, 통신 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대상 식별 정보에 관련하며, 또 제2의 통신 수단에 대응하는 액세스 정보가 추출되고, 추출된 액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제2의 통신 수단으로 통신 대상에 접속 요구가 송신된다. 이것에 의해, 통신 대상과 제2의 통신 수단으로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통신 수단을 전환하는 조작, 발호하는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편리성이 향상한다. 그 결과, 통화 중의 조작을 간단히 한 통신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어드레스 테이블은 추가로, 대상 식별 정보와, 복수 종류의 통신 수단 각각에 대응하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어드레스 정보를 관련짓고, 추출 수단은 어드레스 테이블을 검색하고, 통신 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대상 식별 정보에 관련하며, 또 복수 종류의 통신 수단 중 제1의 통신 수단과는 다른 제2의 통신 수단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어드레스 정보 추출 수단을 포함하고, 재접속 수단이 접속 요구를 송신하기 전에, 추출된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제2의 통신 수단으로 통신 대상으로 전환하는 것을 나타내는 전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전환 통지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 국면에 따르면, 제1의 통신 수단이 통신 대상과 통신 중에 통신 불능으로 된 경우, 어드레스 테이블이 검색되고, 통신 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대상 식별 정보에 관련하며, 또 제2의 통신 수단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정보가 추출되고, 접속 요구가 송신되기 전에 추출된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제2의 통신 수단으로 전환 정보가 송신된다. 전환 신호가 송신된 후에, 접속 요구가 송신되므로 통신 대상이 제2의 통신 수단을 이용한 통신으로 전환할 수 있고, 제2의 통신 수단을 이용한 통신으로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환의 대기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의 통신 수단에 의해 통신 대상과 통신 중에, 제2의 통신 수단이 통신 대상으로부터 전환 정보를 수신하면, 제1의 통신 수단에 의한 통신을 절단하는 절단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절단 수단이 통신을 절단한 후에 제2의 통신 수단이 통신 대상으로부터 접속 요구를 수신하면, 제2의 통신 수단에 의한 통신을 개시하는 자동 착신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 종류의 통신 수단 각각은 통신 중에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를 검출하는 전파 강도 검출 수단과, 검출된 전파 강도에 기초하여 통신이 불능으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통신 상태 검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화 중의 조작을 간단하게 한 통신 단말을 제공할 수 있 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그들의 명칭 및 기능도 동일하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은 휴대 전화 시스템(200)과, 무선 LAN 시스템(300)을 포함한다. 휴대 전화 시스템(200)은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시스템이고, 여기서는 그 일례로서 통신망(202)과, 그 통신망(202)에 접속된 기지국 장치(2O1)와, 기지국 장치(201)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 단말로서의 휴대 전화기(1)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설명을 위해 하나의 기지국 장치(2O1)를 나타내고 있으나, 대수(臺數)는 1 이상 있으면 되고, 대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기지국 장치(201)는 통신망(2O2)의 중계기로서 기능하는 무선국 장치이다. 휴대 전화기(1)는 기지국 장치(201)의 통신 가능 영역내에 위치할 때에, 기지국 장치(2O1)와 무선 통신하여 통신망(202)에 접속된다. 여기서는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망(202)을 제1의 네트워크(휴대망)라 부른다.
무선 LAN 시스템(300)은 휴대 전화기(1)와, 3 대의 액세스 포인트(AP)(100 ~ 102)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버(112)와, 게이트웨이(G/W)(111)를 포함한다. AP(100 ~ 1O2)와, VoIP 서버(112)와, G/W(111)는 LAN 케이블(110)에 각각 접속되고, 그들에 의해 서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제2의 네트워크(무선 LAN)를 구성한다. 여기서는 설명을 위해 3 대의 액세스 포인트(100 ~ 102)를 나타내고 있으나, 대수는 1 이상이면 되고 대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액세스 포인트(100 ~ 102)는 LAN의 중계기로서 기능하는 무선국 장치이다. 휴대 전화기(1)는 액세스 포인트(1OO ~ 102) 중 어느 하나와 무선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고, 액세스 포인트(100 ~ 1O2) 중 어느 하나와 무선 통신하면, 휴대 전화기(1)가 무선 LAN에 접속되고, VoIP 서버(112), G/W(111)과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무선 LAN은 G/W(111)를 통하여 인터넷(115)과 접속된다. 이 때문에, 휴대 전화기(1)는 무선 LAN에 접속되어 있는 동안, 인터넷(115)에 접속된 다른 통신 단말과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VoIP 서버(112)는 각각이 제2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휴대 전화기(1)와, 상대방 장치 사이의 통신을 중개한다. 상대방 장치는 제2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컴퓨터, IP 전화기, 및 액세스 포인트(100 ~ 102) 중 어느 하나와 통신하는 다른 휴대 전화기를 포함한다. VoIP 서버(112)는 미리 휴대 전화기(1)를 식별하기 위한 장치 식별 정보와, 그 휴대 전화기(1)에 미리 할당된 내선 번호를 관련지은 이용자 테이블을 기억하고 있고, 휴대 전화기(1)가 무선 LAN에 접속된 단계에서, 그 휴대 전화기(1)에 할당된 IP 어드레스와, 휴대 전화기(1)에 할당된 내선 번호를 관련짓는다. 예를 들어 제1의 휴대 전화기에, 제1의 장치 식별 정보 및 제1의 내선 번호가 할당되어 있고, 제2의 휴대 전화기에 제2의 장치 식별 정보 및 제2의 내선 번호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제1의 휴대 전화기는 제2의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에 의해 제1의 IP 어드레스가 할 당되고, DHCP 서버로부터 제1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그 후, 제1의 휴대 전화기가 제1의 IP 어드레스를 VoIP 서버(112)에 등록 요구하면, VoIP 서버(112)는 제1의 내선 번호와 제1의 IP 어드레스를 관련짓는다. 동양(同樣)으로 제2의 휴대 전화기는 제2의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DHCP 서버에 의해 제2의 IP 어드레스가 할당되고, DHCP 서버로부터 제2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그 후, 제2의 휴대 전화기가 제2의 IP 어드레스를 VoIP 서버(112)에 등록 요구하면, VoIP 서버(112)는 제2의 내선 번호와 제2의 IP 어드레스를 관련짓는다. 제1의 휴대 전화기(1)가 제2의 내선 번호를 VoIP 서버(112)에 송신하면, VoIP 서버는 제1 및 제2의 휴대 전화기의 사이를 중개하고, 제1 및 제2의 휴대 전화기의 사이에 IP 패킷을 송수신하는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제1 및 제2의 휴대 전화기 각각이 IP 전화기로서 기능하여,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제1의 휴대 전화기가 제2의 내선 번호를 VoIP 서버(112)에 송신하여, VoIP 서버(112)로부터 제2의 휴대 전화기에 할당된 제2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하고, 제1의 휴대 전화기와 제2의 휴대 전화기 사이에서 직접 IP 패킷을 송수신하도록 해도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하나에 있어서 휴대 전화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오픈 스타일의 휴대 전화기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 2(B)는 클로우즈 스타일의 휴대 전화기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휴대 전화기(1)는 조작측부(3)와, 표시측부(2)를 포함한다. 조작측부(3)는 전원 키(14A), 텐 키 및 통화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 키(14)와, 마이크(13)가 내측면에 배치되고, 마이크 단자(16) 및 이어폰 단자(17)가 우측면에 배치된다. 표시측 부(2)는 액정 표시 장치(LCD)(15)와, 리시버를 구성하는 제1 스피커(11)와, 카메라(24)가 내측면에 배치되고, 제2 스피커(12)가 외측면에 배치된다. 또한, 여기서는 휴대 전화기(1)가 LCD(15)를 구비하는 예를 나타내지만, LCD(15)에 대신하여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를 이용해도 된다. 조작측부(3)와 표시측부(2)는 힌지 기구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조작측부(3)와 표시측부(2)는 개폐 가능하다. 휴대 전화기(1)을 접어서, 조작측부(3)와 표시측부(2)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의 휴대 전화기(1)의 상태가 클로우즈 스타일이고, 휴대 전화기(1)를 열어서, 조작측부(3)와 표시측부(2)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의 휴대 전화기(1)의 상태가 오픈 스타일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휴대 전화기 기능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전화기(1)는 휴대 전화기(1)의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1)와, 안테나(22A)와 접속된 무선 회로(22)와, 안테나(23A)와 접속된 무선 LAN 회로(23)와,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코덱부(28)와, 코덱부(28)의 입출력을 전환하기 위한 음성 전환부(29)와, 각각이 음성 전환부(29)에 접속된 마이크(13), 제1 스피커(11), 제2 스피커(12), 마이크 단자(16) 및 이어폰 단자(17)와, 카메라(24)와, 이용자의 조작의 입력을 접수하는 조작키(14)와, 진동부(26)와, LCD(15)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표시 제어부(30)와, 제어부(21)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어드레스 장부 데이터 및 전자 메일 등을 기억하기 위한 플래쉬 ROM(Read Only Memory)(31)과, 제어부(21)의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RAM(Random Access Memory)(32)와, 카드 인터페이스(I/F)(27)를 포함한다.
무선 회로(22)는 제어부(21)에 의해 제어되고, 통신망(202)에 접속된 기지국 장치(201)와 무선 통신한다. 기지국 장치(201)가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무선 신호는 안테나(22A)에 의해 수신된다. 무선 회로(22)는 안테나(22A)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가 입력되고, 무선 신호를 복조한 음성 신호를 코덱부(28)에 출력한다. 또, 무선 회로(22)는 코덱부(28)로부터 음성 신호가 입력되고, 음성 신호를 변조한 무선 신호를 안테나(22A)에 출력한다. 안테나(22A)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는 기지국 장치(201)의 안테나로 수신되고, 기지국 장치(201)에 출력된다.
무선 LAN 회로(23)는 제어부(21)에 의해 제어되고, 액세스 포인트(100 ~ 102) 중 어느 하나와 무선 통신한다. 액세스 포인트(100 ~ 102) 중 어느 하나가 송신하는 무선 신호는 안테나(23A)에 의해 수신된다. 무선 LAN 회로(23)는 안테나(23A)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가 입력되고, 무선 신호를 복조한 음성 신호를 코덱부(28)에 출력한다. 또, 무선 LAN 회로(23)는 코덱부(28)로부터 음성 신호가 입력되고, 음성 신호를 변조한 무선 신호를 안테나(23A)에 출력한다. 안테나(23A)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신호는 액세스 포인트(100 ~ 102) 중 어느 하나에서 수신된다. 무선 LAN 회로(23)와 액세스 포인트(100 ~ 102) 각각의 사이의 통신은 전자파(電磁波)를 통신 매체로 하는 것이어도 되고, 적외선 등을 통신 매체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코덱부(28)는 무선 회로(22) 또는 무선 LAN 회로(23)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복호하고, 복호한 디지털의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증폭하고, 그리고 음성 전환부(29)에 출력한다. 또, 코덱부(28)는 음성 전환부(29)를 통하여 마 이크(13) 또는 마이크 단자(16)로부터 아날로그의 음성 신호가 입력되고, 음성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부호화하고, 그리고 부호화한 음성 신호를 무선 회로(22) 또는 무선 LAN 회로(23)에 출력한다.
음성 전환부(29)는 제어부(21)에 의해 제어되고, 코덱부(28)로의 음성 신호의 입출력을 전환한다. 음성 전환부(29)는 코덱부(28)로부터 접수한 음성 신호를, 이어폰 단자(17), 제1 스피커(11) 및 제2 스피커(12) 중 어느 하나에 출력한다. 이어폰 단자(17)에 이어폰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코덱부(28)로부터 접수한 음성 신호를 이어폰 단자(17)에 출력한다. 이어폰 단자(17)에 이어폰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휴대 전화기(1)가 핸즈프리 모드이면, 코덱부(28)로부터 접수한 음성 신호를 제2 스피커(12)에 출력하고, 휴대 전화기(1)가 핸즈프리 모드가 아니면, 코덱부(28)로부터 접수한 음성 신호를 제1 스피커(11)에 출력한다. 이용자가 조작키(14)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휴대 전화기(1)가 핸즈프리 모드로 설정된다. 또, 휴대 전화기(1)가 오픈 스타일로 통화 상태일 때 핸즈프리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아도, 휴대 전화기(1) 상태가 클로우즈 스타일로 변화하면, 제어부(21)는 핸즈프리 모드로 설정한다. 이 때문에, 음성 전환부(29)는 휴대 전화기(1)가 오픈 스타일로 통화 상태일 때 핸즈프리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코덱부(28)로부터 접수한 음성 신호를 제1 스피커(11)에 출력하지만, 휴대 전화기(1)의 상태가 클로우즈 스타일로 변화하면 코덱부(28)로부터 접수한 음성 신호를 제2 스피커(12)에 출력한다.
음성 전환부(29)는 마이크(13) 또는 마이크 단자(16) 중 어느 하나가 출력하 는 음성 신호를 코덱부(28)에 출력한다. 음성 전환부(29)는 마이크 단자(16)에 마이크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는 마이크 단자(16)로부터 접수한 음성 신호를 코덱부(28)에 출력하고, 마이크 단자(16)에 마이크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마이크(13)로부터 접수한 음성 신호를 코덱부(28)에 출력한다.
표시 제어부(30)는 제어부(21)에 의해 제어되고, 제어부(21)로부터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서 LCD(15)를 제어하고, LCD(15)에 조작 화면 또는 화상을 표시시킨다. LCD(15)에 표시시키는 화상은 동화상과 정지 화상을 포함한다.
카드 I/F(27)에는 착탈 가능한 메모리 카드(27A)가 장착된다. 메모리 카드(27A)는, 예를 들어 Compact Flash, Smart Media(등록 상표),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 메모리 스틱, MMC(Multi Media Card), xD 픽쳐-카드 등이다.
진동부(26)는 제어부(21)에 의해 제어되고, 중심과는 다른 위치가 모터의 축에 고정된 진동판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진동을 발생한다. 제어부(21)는, 예를 들어 무선 회로(22) 또는 무선 LAN 회로(23)에 있어서 착신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진동부(26)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진동에 의한 착신 알림 동작을 실행한다.
제어부(21)는 카드 I/F(27)를 통하여 메모리 카드(27A)에 액세스가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는 제어부(21)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플래쉬 ROM(31)에 기억해 두는 예를 설명하지만, 프로그램을 메모리 카드(27A)에 기억해 두고, 메모리 카드(27A)로부터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제어부(21)에서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록 매체로서는 메모리 카드(27A)에 한정되지 않고, 플렉시 블 디스크, 카세트 테이프, 광 디스크(CD-ROM(Compact Disc-ROM)/MO(Magnetic Optical Disc)/MD(Mini Disc)/DVD(DigitaI Versatile Disc)), 광 카드, 마스크 ROM, EPROM 등의 반도체 메모리 등이어도 된다. 또, 휴대 전화기(1)를 인터넷에 무선 회로(22) 또는 무선 LAN 회로(23)를 통하여 접속하고, 인터넷에 접속된 컴퓨터로부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제어부(21)에서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프로그램은 제어부(21)에 의해 직접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소스 프로그램, 압축 처리된 프로그램, 암호화된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
카메라(24)는 렌즈 및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등의 광전 변환 소자를 구비하고, 렌즈로 집광한 광을 CMOS 센서에 결상하고, CMOS 센서는 수광한 광을 광전 변환하여 화상 데이터를 제어부(21)에 출력한다. 카메라(24)는 제어부(21)에 의해 제어되고, 제어부(21)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촬상을 개시하고, 얻어지는 정지화면 데이터 또는 동화면 데이터를 제어부(21)에 출력한다. 카메라(24)는 화상 데이터의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화상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 처리 회로, 화상 데이터를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환하는 A/D 변환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21)는 카메라(24)가 출력하는 정지화면 데이터 또는 동화면 데이터를 표시 제어부(30)에 출력하고 LCD(15)에 표시시키거나, 또는 압축 부호화 방식으로 정지화면 데이터 또는 동화면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플래쉬 ROM(31) 또는 카드 I/F(27)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27A)에 기억한다. 카메라(24)는 휴대 전화기(1)가 화상 전화로서 기능할 때에, 휴대 전화기(1)의 이용자를 촬상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휴대 전화기(1)는 플래쉬 ROM(31)에 전화번호부 데이 터(어드레스 테이블)를 기억하고 있다. 도 4는 전화번호부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화번호부 데이터는 통화의 상대를 식별하기 위한 이름(이용자 식별 정보)과 휴대망에 있어서 할당된 휴대 전화번호와, 무선 LAN망에 있어서 할당된 내선 번호를 관련짓는다. 또, 전화번호부 데이터는 통화 상대의 이름(이용자 식별 정보)과, 휴대망에 있어서 쇼트 메시지 서비스(SMS)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메시지 어드레스와, 무선 LAN망에 있어서 할당된 전자 메일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전자 메일 어드레스를 관련짓는다. 또한, 휴대 전화번호와 내선 번호는 어느 쪽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이용자 식별 정보 「나카야마」에 대해서는 무선 LAN망에 있어서 할당된 내선 번호와 무선 LAN망에 있어서 할당된 전자 메일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전자 메일 어드레스가 관련지어져 있으나, 휴대망에 있어서 할당된 휴대 전화번호와, 휴대망에 있어서 쇼트 메시지 서비스(SMS)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메시지 어드레스와는 관련지어져 있지 않다.
도 5는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통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통화 처리는 제어부(21)가 플래쉬 ROM(31)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21)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이다. 통화 처리는 휴대 전화기(1)에 전원이 투입되면, 제어부(21)에 의해 실행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21)는 전원이 투입된 후, 무선 회로(22)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무선 회로(22)를 기동한다(단계 S01).
이것에 의해, 무선 회로(22)는 기지국 장치(201)를 서치하고(1x 서치라 함), 기지국 장치(201)와 통신 가능한 범위에 휴대 전화기(1)가 존재하면, 대기 상태로 된다. 다음에, 무선 LAN 회로(23)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하고, 무선 LAN 회로(23)를 기동한다(단계 S02). 이것에 의해, 무선 LAN 회로(23)는 액세스 포인트(100, 101, 102) 중 어느 하나를 서치하고, 액세스 포인트(100, 101, 102) 중 어느 하나와 통신 가능한 범위에 휴대 전화기(1)가 존재하면, 대기 상태로 된다. 또, 무선 LAN 회로(23)에 있어서는 제어부(21)에 의해 예를 들어 Web 페이지를 열람하기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전자 메일의 송수신 및 편집 프로그램, 파일의 다운로드 프로그램 등이 실행되는 것에 의해, 무선 LAN 회로(23)에 의해 통신이 실행된다.
단계 S03에 있어서는 발신 지시를 접수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발신 지시를 접수했다면 처리를 단계 S0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단계 S11로 진행한다. 발신 지시는 통신망의 선택과, 발신처 번호의 선택을 포함한다. 휴대 전화기(1)의 이용자가 조작키를 조작하고, 휴대망 또는 무선 LAN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추가로 내선 번호 또는 휴대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21)가 발신 지시를 접수한다. 또, 플래쉬 ROM(31)으로부터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독출하여 LCD(15)에 일람 표시하고, 일람 표시된 내선 번호 및 휴대 전화번호 중에서 이용자가 조작키(14)를 조작하여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내선 번호가 선택된 경우에는 무선 LAN을 선택하고, 휴대 전화번호가 선택된 경우에는 휴대망을 선택한다.
단계 SO4에 있어서는 단계 SO3에서 접수한 발신 지시로 선택된 통신망에 의해 처리를 분기(分岐)시킨다. 무선 LAN이 선택 되었다면 처리를 단계 S05로 진행하 고, 휴대망이 선택되었다면 처리를 단계 S23으로 진행한다. 단계 S05에 있어서는 무선 LAN으로 발신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LAN 회로(23)에 발호 신호를 송신시킨다. 발호 신호는 단계 S03에서 접수한 발신 지시에 포함되는 내선 번호를 포함한다. 다음의 단계 SO6에 있어서는 무선 LAN 통화 중 처리를 실행한다. 무선 LAN 통화 중 처리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하지만, 무선 LAN의 회선 상태에 의해서 회선의 접속을 유지할 것인지 절단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처리이다. 단계 S07에 있어서는 무선 LAN 통화 중 처리의 결과에 의해 처리를 분기시킨다. 회선을 절단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 S21로 진행하고, 회선을 유지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 S08로 진행한다.
단계 S08에 있어서는 통화가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통화가 종료하고 있지 않으면 처리를 단계 S09으로 진행하지만, 종료했다면 처리를 종료한다. 이용자가 통화 종료의 조작키(14)를 누른 경우, 또는 무선 LAN으로부터 회선 절단 지시를 수신했다면, 통화가 종료했다고 판단한다. 단계 S09에 있어서는 전환 신호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는 무선 회로(22)가 전환 신호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전환 신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단계 S09에서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는 통신하고 있던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가 무선 LAN으로 통신 불가능으로 된 경우에,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가 휴대망을 통하여 송신하는 전환 신호이고, 이것을 휴대 전화기(1)의 무선 회로(22)가 수신한다. 전환 신호를 수신했다면 처리를 단계 S1O으로 진행하고, 수신하지 않으면 처리를 단계 S06으로 되돌린다.
단계 S10에 있어서는 무선 LAN의 회선을 절단하고, 처리를 단계 S03으로 되 돌린다. 처리를 단계 S03으로 되돌리는 경우, 제어부(21)는 무선 LAN 회로(23)에 액세스 포인트(100, 101, 102)를 서치하는 서치 동작을 개시시키고, 무선 회로(22)를 대기 상태로 한다.
한편, 단계 S21에 있어서는 무선 LAN 절단시 처리를 실행한다. 무선 LAN 절단시 처리는 상세하게 후술하지만, 무선 LAN에서 회선을 접속하고 있던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1)와의 사이에서 휴대망을 통한 회선의 접속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이다. 무선 LAN 절단시 처리의 처리 결과는 휴대망을 통한 회선의 접속이 불가능하면 에러로 된다. 다음의 단계 S22에 있어서는 무선 LAN 절단시 처리의 처리 결과가 에러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무선 LAN 절단시 처리의 처리 결과가 에러이면, 무선 LAN 및 휴대망 중 어느 것으로도 통화할 수 없으므로 통화 처리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단계 S23으로 진행한다.
단계 S23에 있어서는 휴대망으로 회선을 접속하기 때문에, 무선 LAN으로 통화하고 있던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의 휴대 전화번호에 발신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회로(22)에 발호 신호를 송신시킨다. 발호 신호는 단계 S21에서 실행한 무선 LAN 절단시 처리에 있어서 취득되는 휴대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또한, 처리를 단계 S04에서 단계 S23으로 진행하는 경우, 단계 S23에 있어서는 무선 회로(22)에 발신 지시에 포함되는 휴대 전화번호를 포함되는 발호 신호를 송신시킨다.
다음의 단계 S24에 있어서는 휴대망 통화 중 처리를 실행한다. 휴대망 통화 중 처리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하지만, 휴대망의 회선 상태에 의해 회선을 유지할지 절단할지를 판단하는 처리이다. 단계 S25에 있어서는 휴대망 통화 중 처리의 결과에 의해 처리를 분기시킨다. 회선을 절단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 S29로 진행하고, 휴대망의 회선을 유지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 S26으로 진행한다.
단계 S26에 있어서는 통화가 종료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통화가 종료하고 있지 않으면 처리를 단계 S27로 진행하지만, 종료했다면 통화 처리를 종료한다. 이용자가 통화 종료의 조작키(14)를 누른 경우, 또는 휴대망으로부터 회선 절단 지시를 수신했다면, 통화가 종료했다고 판단한다. 단계 S27에 있어서는 전환 신호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는 무선 LAN 회로(23)가 전환 신호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전환 신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단계 S27에서 전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는 통신하고 있던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가 휴대망으로 통신 불가능으로 된 경우에,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가 무선 LAN을 통하여 송신하는 전환 신호를, 휴대 전화기(1)의 무선 LAN 회로(23)가 수신한다. 전환 신호를 수신했다면 처리를 단계 S28로 진행하고, 수신하지 않으면 처리를 단계 S24로 되돌린다.
단계 S28에 있어서는 휴대망의 회선을 절단하고 처리를 단계 S03으로 되돌린다. 처리를 단계 S03으로 되돌리는 경우, 제어부(21)는 무선 회로(22)에 1x 서치 동작을 개시시키고, 무선 LAN 회로(23)를 대기 상태로 한다.
한편, 단계 S29에 있어서는 휴대망 절단시 처리를 실행한다. 휴대망 절단시 처리는 상세하게 후술하지만, 휴대망으로 회선을 접속하고 있던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1)와의 사이에서 무선 LAN을 통한 회선의 접속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이다. 휴대망 절단시 처리의 처리 결과는 무선 LAN을 통한 회선의 접속이 불가 능하면 에러로 된다. 단계 S30에 있어서는 휴대망 절단시 처리의 처리 결과가 에러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휴대망 절단시 처리의 처리 결과가 에러이면, 무선 LAN 및 휴대망 중 어느 것으로도 통화할 수 없으므로 통화 처리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단계 S05로 되돌린다.
도 6은 무선 LAN 통화 중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무선 LAN 통화 중 처리는 도 5의 단계 S06에 있어서 실행되는 처리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LAN 회로(23)가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를 검출한다(단계 S41). 다음의 단계 S42에 있어서는 검출된 전파 강도가 미리 정한 문턱값 T1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전파 강도가 문턱값 T1보다 크다면 처리를 단계 S43으로 진행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단계 S44로 진행한다. 단계 S43에 있어서는 리턴값으로 「정상」을 설정하여 처리를 통신 처리로 되돌린다.
단계 S44에 있어서는 무선 LAN으로 확립하고 있던 회선을 절단하고, 처리를 단계 S45로 진행한다. 단계 S45에 있어서는 리턴값으로 「무선 LAN 절단」을 설정하고, 처리를 통신 처리로 되돌린다.
무선 LAN 회로(23)가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가 약해지면 통화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전파 강도가 강한 동안은 통화를 계속시키기 위해 무선 LAN을 통하여 접속하고 있던 회선을 유지하지만, 전파 강도가 약해지면 무선 LAN을 통하여 접속하고 있던 회선을 절단한다. 또한, 여기서는 전파 강도를 이용하여 통화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였으나, 액세스 포인트(100, 101, 102) 각각이 송출하는 비콘(beacon)을 수신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에 의해, 통화 가능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에러 비트 레이트를 문턱값과 비교하는 것에 의해, 통화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해도 된다.
도 7은 무선 LAN 절단시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무선 LAN 절단시 처리는 도 5의 단계 S21에 있어서 실행되는 처리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검색한다(단계 S51). 무선 LAN 절단시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 휴대 전화기(1)는 그때까지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와 무선 LAN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에 무선 LAN에서 할당된 내선 번호를 키로 하여, 휴대망에서 할당된 휴대 전화번호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에 무선 LAN에서 할당된 내선 번호를 키로 하여, 플래쉬 ROM(31)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검색하고,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추출한다.
다음의 단계 S52에 있어서는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에 휴대망에서 할당된 휴대 전화번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내선 번호를 포함하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지의 여부, 또한 추출한 경우에는 그 추출한 전화번호부 데이터에 휴대 전화번호가 정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추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 S56으로 진행한다.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추출한 경우, 그 추출한 전화번호부 데이터에 휴대 전화번호가 정의되어 있으면 처리를 단계 S53으로 진행하지만, 휴대 전화번호가 정의되어 있지 않으면 처리를 단계 S56으로 진행한다.
단계 S53에 있어서는 휴대망에 전환 신호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전환 신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단계 S52에서 추출한 전화번호부 데이터에 정의 되어 있는 메시지 어드레스 앞으로 메시지를 송신한다. 전환 신호는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에 무선 LAN에서 확립하고 있는 회선을 절단하고, 대기 상태로 천이(遷移)시키는 지시를 포함한다. 휴대 전화망에 휴대 전화번호로 발신하기 전에 전환 지시를 송신하므로,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는 언제까지나 무선 LAN에서 확립된 회선을 접속한 상태로 되지 않고, 다음에 휴대 전화기(1)가 발신하는 발호에 응하는 것이 가능한 대기 상태로 된다.
다음의 단계 S54에 있어서는 전환 신호의 송신이 성공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송신에 성공했다면 처리를 단계 S55로 진행하고, 송신에 실패했다면 처리를 단계 S56으로 진행한다. 단계 S55에 있어서는 리턴값으로 「정상」을 설정하고, 처리를 통화 처리로 되돌린다.
단계 S56에 있어서는 에러 처리를 실행하고 처리를 단계 S57로 진행한다. 메시지를 송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휴대망에 있어서 회선을 확립할 수 없으므로, 통화를 종료시킨다. 에러 처리는, 예를 들어 통화할 수 없음을 이용자에 알리는 메시지를 LCD(15)에 표시하는 처리이다. 단계 S57에 있어서는 리턴값에 「에러」를 설정하고, 처리를 통화 처리로 되돌린다.
도 8은 휴대망 통화 중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휴대망 통화 중 처리는 도 5의 단계 S24에 있어서 실행되는 처리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무선 회로(22)가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를 검출한다(단계 S61). 다음의 단계 S62에 있어서는 검출된 전파 강도가 미리 정한 문턱값 T2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전파 강도가 문턱값 T2보다 크다면 처리를 단계 S63으로 진행하지만, 그렇 지 않으면 처리를 단계 S64로 진행한다. 단계 S63에 있어서는 리턴값으로 「정상」을 설정하고, 처리를 통신 처리로 되돌린다.
단계 S64에 있어서는 휴대망에서 확립하고 있던 회선을 절단하고, 처리를 단계 S65로 진행한다. 단계 S65에 있어서는 리턴값으로 「휴대망 절단」 을 설정하고, 처리를 통신 처리로 되돌린다.
무선 회로(22)가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가 약해지면 통화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전파 강도가 강한 동안은 통화를 계속하기 위해 휴대망에서 확립하고 있는 회선을 유지하지만, 전파 강도가 약해지면 휴대망에서 확립하고 있는 회선을 절단한다. 또한 여기서는 전파 강도를 이용하여 통화 가능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였으나, 에러 비트 레이트를 문턱값과 비교하는 것에 의해, 통화 가능 여부를 판단하도록 해도 된다.
도 9는 휴대망 절단시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휴대망 절단시 처리는 도 5의 단계 S29에 있어서 실행되는 처리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검색한다(단계 S71). 휴대망 절단시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 휴대 전화기(1)는 그때까지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와 휴대망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에 휴대망에서 할당된 휴대 전화번호를 키로 하여, 무선 LAN에서 할당된 내선 번호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에 휴대망에서 할당된 휴대 전화번호를 키로 하여, 플래쉬 ROM(31)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검색하고,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추출한다.
다음의 단계 S72에 있어서는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에 무선 LAN에서 할당된 내선 번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휴대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었는지의 여부, 또한 추출한 경우에는 그 추출한 전화번호부 데이터에 내선 번호가 정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추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 S76으로 진행한다.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추출한 경우, 그 추출한 전화번호부 데이터에 내선 번호가 정의되어 있으면 처리를 단계 S73으로 진행하지만, 내선 번호가 정의되어 있지 않으면 처리를 단계 S76으로 진행한다.
단계 S73에 있어서는 무선 LAN에 전환 신호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전환 신호를 포함하는 전자 메일을 생성하고, 단계 S72에서 추출한 전화번호부 데이터에 정의되어 있는 전자 메일 어드레스 앞으로 전자 메일을 송신한다. 전환 신호는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에 휴대망에서 확립하고 있는 회선을 절단하고, 대기 상태로 천이시키는 지시를 포함한다.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에 무선 LAN을 통하여 내선 번호로 발신하기 전에 전환 지시를 송신하므로,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는 언제까지나 휴대망에서 확립된 회선을 접속한 상태로 되지 않고, 다음에 휴대 전화기(1)가 발신하는 발호에 대응할 수 있는 대기 상태로 된다.
다음의 단계 S74에 있어서는 전환 신호의 송신이 성공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송신에 성공했다면 처리를 단계 S75로 진행하고, 송신에 실패했다면 처리를 단계 S76으로 진행한다. 단계 S75에 있어서는 리턴값에 「정상」을 설정하고, 처리를 통화 처리로 되돌린다.
단계 S76에 있어서는 에러 처리를 실행하고 처리를 단계 S77로 진행한다. 전 자 메일을 송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무선 LAN에 있어서 통화를 위한 회선을 확립할 수 없으므로, 통화를 종료시킨다. 에러 처리는, 예를 들어 통화할 수 없음을 이용자에게 알리는 메시지를 LCD(15)에 표시하는 처리이다. 단계 S77에 있어서는 리턴값에 「에러」를 설정하고, 처리를 통화 처리로 되돌린다.
한편, 단계 S11에 있어서는 착신을 접수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착신을 접수했다면 착신 처리를 실행하고(단계 S12), 착신이 없으면 처리를 단계 S03으로 되돌린다.
도 10은 착신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착신 처리는 상대측으로부터의 발호의 검출(착신)에 응답하고, 통화를 위한 회선을 접속하는 처리이다. 단계 S81에 있어서는 착신이 있었던 통신망을 판단한다. 무선 LAN 회로가 착신을 검출한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 S82로 진행하고, 무선 회로(22)가 착신을 검출한 경우에는 처리를 단계 S85로 진행한다. 단계 S82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낸 통신 처리의 단계 S27에 있어서, 무선 LAN 회로(23)가 전환 신호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7에 있어서, 무선 LAN 회로(23)가 수신한 전환 신호를 송신해 온 휴대 전화기로부터의 착신(접속 요구의 수신)이면 처리를 단계 S8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단계 S83으로 진행한다. 단계 S83에 있어서는 조작키(14)의 통화키가 눌려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통화키의 누름을 검출했다면 처리를 단계 S8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통화 처리의 단계 S03으로 되돌린다. 단계 S84에 있어서는 무선 LAN 회로(23)에 회선을 확립시킨다. 이것에 의해, 무선 LAN 회로(23)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단계 S85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낸 통신 처리의 단계 S09에 있어서 무선 회로(22)가 전환 신호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09에 있어서 무선 회로(22)가 수신한 전환 신호를 송신해 온 휴대 전화기로부터의 착신(접속 요구의 수신)이면 처리를 단계 S8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단계 S86으로 진행한다. 단계 S86에 있어서는 조작키(14)의 통화키가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통화키의 누름을 검출했다면 처리를 단계 S87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처리를 통화 처리의 단계 S03으로 되돌린다. 단계 S87에 있어서는 무선 회로(22)에 회선을 확립시킨다. 이것에 의해, 무선 회로(22)에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무선 LAN 회로(23)가 전환 신호를 수신한 후에, 그 전환 신호를 송신해 온 휴대 전화기로부터의 착신을 검출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통화를 위한 회선이 접속된다. 또, 무선 회로(22)가 전환 신호를 수신한 후에, 그 전환 신호를 송신해 온 휴대 전화기로부터의 착신을 검출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통화를 위한 회선이 접속된다. 이 때문에, 이용자는 착신을 위한 조작, 예를 들어 통신망을 전환하기 위한 조작, 착신에 대응하는 조작 등을 할 필요가 없어 조작을 간략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휴대 전화기(1)는 통화 상대의 이용자의 이름(이용자 식별 정보)과 휴대 전화번호 및 내선 번호를 관련지은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고, 통화의 상대방이 휴대하는 휴대 전화기와 무선 LAN으로 회선을 확립 중에 통신 불능으로 된 경우, 전화번호부 데이터가 검색되고, 통화하고 있는 이용자의 이용자 식별 정보에 관련하며, 또 휴대망에 대응하는 휴대 전화번호가 추출되고, 휴대 전화번호로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에 발호한다. 이것에 의해,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와 무선 LAN으로 통화할 수 없게 되었다고 해도, 자동적으로 휴대망으로 발호되므로, 통화를 위한 회선이 자동적으로 확립된다. 이 때문에, 무선 LAN으로부터 휴대망으로 전환하는 조작, 휴대 전화번호로 발호하는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편리성이 향상한다.
또, 통화의 상대방이 소유하는 휴대 전화기와 휴대망으로 회선을 확립 중에 통신 불능으로 된 경우, 전화번호부 데이터가 검색되고, 통화하고 있는 이용자의 이용자 식별 정보에 관련하며, 또 무선 LAN에 대응하는 내선 번호가 추출되고, 내선 번호로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에 발호한다. 이것에 의해,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와 휴대망으로 통화할 수 없게 되었다고 해도, 자동적으로 무선 LAN으로 발호되므로, 통화를 위한 회선이 자동적으로 확립된다. 이 때문에, 휴대망으로부터 무선 LAN으로 전환하는 조작, 내선 번호로 발호하는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편리성이 향상한다.
또, 무선 LAN에서 회선이 확립되어 있는 동안에 통신 불능으로 된 경우, 전화번호부 데이터가 검색되고, 통화하고 있는 이용자의 이용자 식별 정보에 관련하며, 또 휴대망에서 할당된 메시지 어드레스가 추출되고, 휴대 전화번호로 발호하기 전에, 메시지 어드레스 앞으로 전환 신호를 송신한다. 전환 신호를 송신한 후에 휴대 전화번호로 발호하므로, 전환 신호를 수신한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는 대기 상태로 될 수 있고, 휴대 전화기(1)의 발호에 자동적으로 응답할 수 있다. 또, 휴대망에서 회선이 확립되어 있는 동안에 통신 불능으로 된 경우, 전화번호부 데이터가 검색되고, 통화하고 있는 이용자의 이용자 식별 정보에 관련하며, 또 무선 LAN에서 할당된 전자 메일 어드레스가 추출되고, 내선 번호로 발호하기 전에 전자 메일 어드레스 앞으로 전환 신호를 송신한다. 전환 신호를 송신한 후에 내선 번호로 발호하므로, 전환 신호를 수신한 상대방의 휴대 전화기는 대기 상태로 될 수 있고, 휴대 전화기(1)의 발호에 자동적으로 응답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환의 대기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이번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고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나며,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하나에 있어서 휴대 전화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휴대 전화기 기능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전화번호부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통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무선 LAN 통화 중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무선 LAN 절단시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휴대망 통화 중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휴대망 절단시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착신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부호의 설명>
1 휴대 전화기,
2 표시측부,
3 조작측부,
10 통신 시스템,
11 제1 스피커,
12 제2 스피커,
13 마이크,
14 조작키,
14A 전원 키,
15 LCD,
16 마이크 단자,
17 이어폰 단자,
21 제어부,
22 무선 회로,
23 무선 LAN 회로,
24 카메라,
26 진동부,
27 카드 I/F,
27A 메모리 카드,
28 코덱부,
29 음성 전환부,
30 표시 제어부,
41 배터리,
43 전력 전환부,
100 ~ 102 액세스 포인트,
110 LAN 케이블,
111 G/W,
112 VoIP 서버,
115 인터넷,
20O 휴대 전화 시스템,
201 기지국 장치,
202 통신망,
300 무선 LAN 시스템.

Claims (5)

  1. 복수 종류의 통신 수단;
    통신하는 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대상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 종류의 통신 수단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액세스 정보를 관련지은 어드레스 테이블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
    상기 복수 종류의 통신 수단 중 제1의 통신 수단이 통신 대상과 통신 중에 통신 불능으로 된 경우, 상기 어드레스 테이블을 검색하고, 상기 통신 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상기 대상 식별 정보에 관련하며, 또 상기 복수 종류의 통신 수단 중 상기 제1의 통신 수단과는 다른 제2의 통신 수단에 대응하는 액세스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 수단; 및
    상기 추출된 액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의 통신 수단으로 상기 통신 대상에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재접속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어드레스 테이블은 추가로, 상기 대상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 종류의 통신 수단 각각에 대응하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복수의 어드레스 정보를 관련짓고,
    상기 추출 수단은 상기 어드레스 테이블을 검색하고, 상기 통신 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상기 대상 식별 정보에 관련하며, 또 상기 복수 종류의 통신 수단 중 상기 제1의 통신 수단과는 다른 제2의 통신 수단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정보를 추출하는 어드레스 정보 추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재접속 수단이 상기 접속 요구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추출된 어드레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의 통신 수단에서 상기 통신 대상으로 전환하는 것을 나타내는 전환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전환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전환 정보는 상기 제1의 통신 수단에 의한 통신을 절단하고, 대기 상태로 천이시키는 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통신 대상과 통신 중에, 상기 제2의 통신 수단이 상기 통신 대상으로부터 상기 전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의 통신 수단에 의한 통신을 절단하는 절단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통신 단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단 수단이 통신을 절단한 후에 상기 제2의 통신 수단이 상기 통신 대상으로부터 상기 접속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제2의 통신 수단에 의한 통신을 개시하는 자동 착신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 통신 단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종류의 통신 수단 각각은 통신 중에 수신하는 전파의 전파 강도를 검출하는 전파 강도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된 전파 강도에 기초하여, 통신이 불능으로 되었는지의 여부를 검 출하는 통신 상태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
KR20070126985A 2006-12-11 2007-12-07 통신 단말 KR1009610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33590A JP4925805B2 (ja) 2006-12-11 2006-12-11 通信端末
JPJP-P-2006-00333590 2006-1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887A KR20080053887A (ko) 2008-06-16
KR100961050B1 true KR100961050B1 (ko) 2010-06-01

Family

ID=39497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26985A KR100961050B1 (ko) 2006-12-11 2007-12-07 통신 단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09647B2 (ko)
JP (1) JP4925805B2 (ko)
KR (1) KR100961050B1 (ko)
CN (1) CN1012030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2599B2 (ja) * 2008-06-30 2012-03-2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端末装置および無線通信切替制御方法
JP5387044B2 (ja) 2009-02-25 2014-0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複数種類の通信モードが利用される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及び通信方法
US8843099B2 (en) * 2009-12-17 2014-09-23 Blackberry Limited Method for providing extension list selection
TWI430138B (zh) * 2010-06-01 2014-03-11 Shuttle Inc 電腦的按鍵功能顯示方法,應用程式及電腦可讀取記錄媒體
US9052898B2 (en) 2011-03-11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Remote access and administration of device content, with device power optimization, using HTTP protocol
US8862693B2 (en) * 2011-03-11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Remote access and administration of device content and configuration using HTTP protocol
US8924556B2 (en) 2011-03-11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a device having an assigned network address
JP2014225745A (ja) * 2013-05-15 2014-12-04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中継装置、回線制御システム、回線制御方法、及び回線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767B1 (ko) 2000-12-14 2003-10-08 (주) 엘지텔레콤 무전기 모듈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 운영 방법
US7039027B2 (en) * 2000-12-28 2006-05-02 Symbol Technologies, Inc. Automatic and seamless vertical roaming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nd wireless wide area network (WWAN) while maintaining an active voice or streaming data connection: systems, methods and program products
JP3790159B2 (ja) * 2001-12-27 2006-06-28 日立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3339083A (ja) * 2002-03-15 2003-11-28 Sanyo Electric Co Ltd 携帯端末装置、通信装置、電話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CN100340090C (zh) * 2002-10-14 2007-09-26 西安西邮双维通信技术有限公司 双网ip电话的实现方法及双网ip电话集线器
AU2004200486B2 (en) 2003-02-12 2007-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lex wireless service apparatus using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 thereof
GB2403098B (en) * 2003-06-16 2006-10-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ata re-routing method for dual mode terminal after handover
US7171203B2 (en) * 2004-01-07 2007-01-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selection by a mobile node of a network through which to communicate
US7447165B1 (en) * 2004-04-14 2008-11-04 Nortel Networks Limited Adaptive dialing
JP4127400B2 (ja) * 2004-06-18 2008-07-30 富士通株式会社 通話管理サーバプログラム、通話管理方法、および通話管理サーバ
CN1328924C (zh) * 2004-08-25 2007-07-25 英华达(上海)电子有限公司 一种双模手机自由切换的方法
CN1801998A (zh) * 2004-12-31 2006-07-12 华为技术有限公司 从多媒体子系统域到电路子系统域的会话切换方法
ATE425643T1 (de) * 2004-12-17 2009-03-15 Huawei Tech Co Ltd Verfahren und system zum halten einer sitzungskontinuität
KR100691128B1 (ko) * 2005-01-26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불능 대처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100606104B1 (ko) * 2005-07-15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핑퐁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로밍 방법 및 이를 위한듀얼모드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48057A (ja) 2008-06-26
US20080137628A1 (en) 2008-06-12
CN101203007B (zh) 2012-08-08
KR20080053887A (ko) 2008-06-16
JP4925805B2 (ja) 2012-05-09
US8009647B2 (en) 2011-08-30
CN101203007A (zh) 200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050B1 (ko) 통신 단말
CN1764213B (zh) 蓝牙通信装置和方法以及短程无线通信装置和方法
KR100365357B1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방법
US8744453B2 (en) Short-range wireless mobile terminal method and system
CN101494474B (zh) 自动连接蓝牙车载免提设备的方法和终端设备
KR20110053992A (ko) Nfc를 통해 용이해지는 wlan 접속
CN101523860A (zh) 用于语音通信的双模装置
US8780773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de switching method, and network switching method
KR100955542B1 (ko) 음성 통화 장치
US20070123245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2003339083A (ja) 携帯端末装置、通信装置、電話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2007266984A (ja) 携帯通信端末
JP2007143038A (ja) 無線電話機能とip電話機能を有する無線端末および公衆無線回線と無線lan間のローミング方法
KR101067304B1 (ko) 교환처리 시스템
JP2737672B2 (ja) 携帯情報通信装置
JP4787577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5130029A (ja) 通信端末装置
KR200188707Y1 (ko) 인터넷을 이용한 이동 전화기의 전화번호 저장 시스템
KR102324391B1 (ko) 발신자 단말기의 등록전화번호정보를 사용해 ip 폰에서 전화 연결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3289757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CA2328402A1 (fr) Equipement terminal radiotelephonique d&#39;abonne et terminaux pour un tel equipement
JP2005039431A (ja) 情報通信端末及び情報通信システム
JP2021118485A (ja) 主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電話端末からのプリセレクション操作受付方法
KR100735379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메시지의 자동 재전송 방법
JPH1079803A (ja) 携帯無線電話一体型携帯情報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