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0767B1 - 무전기 모듈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무전기 모듈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767B1
KR100400767B1 KR10-2000-0076535A KR20000076535A KR100400767B1 KR 100400767 B1 KR100400767 B1 KR 100400767B1 KR 20000076535 A KR20000076535 A KR 20000076535A KR 100400767 B1 KR100400767 B1 KR 100400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all
mode
radio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7895A (ko
Inventor
장영준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0-0076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0767B1/ko
Publication of KR20020047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7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이동통신 서비스 불능 지역에서 이동 단말기 역할을 무전기가 대체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 내에 무전기 모듈을 장착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동 단말기나 무전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무전기 모듈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 단말기 통화 모드에서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행 과정 중 통화 불능 상태가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 불능 상태가 발생함에 따라 무전기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행 과정 중 이동 단말기 통화 가능 상태가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 통화 가능 상태가 발생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 산이나 바다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통화 불능 지역에서 무전기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통해 장소에 상관없이 지속적인 통화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전기 모듈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 운영 방법{Mobile terminal operating method having walkie-talkie modul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이동통신 서비스 불능 지역에서 이동 단말기 역할을 무전기가 대체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 내에 무전기 모듈을 장착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동 단말기나 무전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무전기 모듈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선 통신의 발전에 이어 무선 통신의 발달이 이어지고 이에 힘입어 이동통신의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했다.
상기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의 보급이 증가되었다.
이동 단말기의 대량 보급은 유선 전화의 단점을 크게 보완하였으며 생활의 윤택함을 이끌어 냈다.
이동 단말기의 대량 보급에 따라 전국 방방곡곡에 많은 기지국이 설치되고 이 기지국을 통해 편리하게 기지국의 관할 범위 내에서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통화를 함에 있어서 산이나 바다와 같이 기지국 설치가 어려워 통화 불능 상태가 발생한 경우 통화가 불가능하거나 통화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 내에 무전기 모듈을 설치하여 이동 단말기 서비스가 불가능한 지역에서 무전기가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무전기 모듈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 운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 통화 모드에서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행 과정 중 통화 불능 상태가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 불능 상태가 발생함에 따라 무전기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행 과정 중 이동 단말기 통화 가능 상태가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 통화 가능 상태가 발생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모듈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모듈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통화를 수행케 하는 전원부(100)와, 이동 단말기의 통화 불능 지역에서 통화 수행을 담당하는 무전기 모듈(200)과, 이동 단말기의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모듈(300)과, 무전기 및 이동 단말기의 기능 동작을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키패드(400)와, 통화 수행을 위하여 무전기 모듈과 이동 단말기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500)와, 수신된 음성의 청취를 수행하는 스피커(600)와,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700)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 모듈(300)은 송신부와, 수신부와, 디코딩/엔코딩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의 구성에 따른 동작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전원부(100)를 동작시키면 이동 단말기는 기지국과 연결이 되어 이동 단말기를 통한 통화 모드로 작동된다.
이때는 이동 단말기 내에 설치된 이동 단말기 모듈(300)을 통해서 통화가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700)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 모듈(300) 내의 디코딩/엔코딩부로 입력되어 변환되고 이동 단말기 모듈 내의 송신부를 통해 송신된다.
또 상기와 같은 음성 신호를 수신부에서 수신하여 상기 디코딩/엔코딩부에서 변환한 후 이동 단말기 내의 스피커(600)로 출력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 사용 모드 상황에서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과 교신이 되지 않음으로 수신 불능 상태가 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 내에 설치된 무전기 모듈(200)이 동작하게 되는데 이때 수신 불능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었을 경우에 상기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무전기 모듈(200)은 최근에 널리 보급되고 있는 CB(Citizen Band)를 이용한 것이다.
상기 CB는 특별한 주파수대를 허가 없이 누구라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한 생활 통신이다.
상기 CB로서 가장 보급되어 있는 27MHz 주파수대에는 1번부터 40번까지의 40개 채널 중에서 14번 채널(27.125MHz)을 콜 주파수로 하여 이 주파수에서 서로 접속을 한 후 다른 채널로 옮겨간다.
최근에는 400MHz대역의 짧은 파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CB를 사용함에 있어 휴대가 쉽고 사용이 간편하며 통화 품질이 우수하다.
상기 이동 단말기 내의 무전기 모듈이 동작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모드 전환 스위치의 동작이나 키패드(400)에 내장된 이동 단말기/무전기 자동 전환 버튼을 수행함으로써 가능하다.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 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이동 단말기로서의 통화 불능 상태를 자동 감지하여 내장된 무전기 모듈을 작동시켜 무전기 통화 모드로 전환한 후 통화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을 이용하여 무전기 통화에 유용하도록 나침반과 같은 기능을 추가한다.
물론 상기 무전기 통화 모드에서도 이동 단말기의 통화 불능 상태 유무를 지속적으로 나타내어 언제든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환이 가능하도록 한다.즉, 상기 무전기 사용 모드 상황에서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과 교신이 되는 수신 가능 상태가 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내에 설치된 이동 단말기 모듈(300)이, 상기 수신 가능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었을 경우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며, 이때에는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 내의 이동 단말기 모듈이 동작되도록 하기 위해서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모드 전환 스위치의 동작이나, 키패드(400)에 내장된 이동 단말기/무전기 자동 전환 버튼을 수행함으로써 이동 단말기 모듈로 동작하도록 한다.여기서 수신 가능은 이동 단말기의 중앙처리부(MSM)가 기지국으로부터의 파일럿 신호를 주기적으로 검출하도록 하여, 기지국으로부터의 파일럿 신호가 검출되면 수신 가능 상태인 것을 나타내게 된다.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내에 소프트웨어적으로 이동 단말기로서의 통화 가능 상태를 자동 감지하여 내장된 이동 단말기 모듈을 작동시켜 이동 단말기 통화 모드로 전환한 후 통화가 수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모듈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 운영 방법은 산이나 바다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통화 불능 지역에서 무전기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통해 장소에 상관없이 지속적인 통화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3)

  1. 삭제
  2. 이동 단말기 통화 모드에서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행 과정 중 통화 불능 상태가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 불능 상태가 발생함에 따라 무전기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행 과정 중 이동 단말기 통화 가능 상태가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 통화 가능 상태가 발생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모듈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 운영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불능 상태가 발생함에 따라 무전기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모드 전환 스위치를 작동하거나, 상기 이동 단말기의 키패드에 내장된 이동 단말기/무전기 자동 전환 버튼을 작동하거나, 상기 이동 단말기 내의 통화 불능 자동 감지 소프트웨어를 작동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무전기 통화 모드로 수행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 통화 가능 상태가 발생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모드 전환 스위치를 작동하거나, 상기 이동 단말기의 키패드에 내장된 이동 단말기/무전기 자동 전환 버튼을 작동하거나, 상기 이동 단말기 내의 통화 가능 자동 감지 소프트웨어를 작동하는 것 중 하나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통화 모드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모듈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 운영 방법.
KR10-2000-0076535A 2000-12-14 2000-12-14 무전기 모듈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 운영 방법 KR100400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535A KR100400767B1 (ko) 2000-12-14 2000-12-14 무전기 모듈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535A KR100400767B1 (ko) 2000-12-14 2000-12-14 무전기 모듈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 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895A KR20020047895A (ko) 2002-06-22
KR100400767B1 true KR100400767B1 (ko) 2003-10-08

Family

ID=2768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535A KR100400767B1 (ko) 2000-12-14 2000-12-14 무전기 모듈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07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239B1 (ko) * 2001-04-10 2003-05-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단방향 무전기 겸용 무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907706B1 (ko) * 2006-08-22 2009-07-14 유니콘전자통신 주식회사 티알에스와 시디엠에이/지에스엠 무선통신망을 연계한모바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통신 방법
JP4925805B2 (ja) 2006-12-11 2012-05-09 京セラ株式会社 通信端末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5280A (ko) * 1999-05-31 2000-12-15 윤종용 무전기 겸용 휴대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5280A (ko) * 1999-05-31 2000-12-15 윤종용 무전기 겸용 휴대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895A (ko) 200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91523A (ja) 無線電話装置
IL44474A (en) Battery saving system for duplex radio system
KR100400767B1 (ko) 무전기 모듈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 운영 방법
KR100557161B1 (ko) 무전기 겸용 휴대폰 장치
KR100243028B1 (ko)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간 통화장치 및 그 방법
JPH0396134A (ja) 無線電話機
KR100379836B1 (ko) 근거리 다자간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
KR100524756B1 (ko) 무전기 및 무선 전화 겸용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무선주파수송수신 장치
KR100595591B1 (ko) 워키토키 겸용 이동 통신 단말기
JPS5912055B2 (ja) 移動通信方式
JPH0898237A (ja) 無線通信機
JPH0752853B2 (ja) 無線電話機
JPH0946759A (ja) 無線通信基地局、無線通信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H0984117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の子機及び親機並びに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19980072498A (ko) 가정용 및 공중용 겸용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모드 자동전환 방법
KR200256982Y1 (ko) 무선전화기의 생활무전기 겸용 휴대장치
JP3738056B2 (ja) コードレス電話
KR20020044277A (ko)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헤드셋 통화 제어 방법
JP296580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機
JPH01171333A (ja) 無線電話機
KR0121981B1 (ko) 스피커 폰 기능이 있는 전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0179158Y1 (ko) 라디오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전화기
KR200255283Y1 (ko) 다목적 핸즈프리의 무선 이어폰 장치
KR970003973B1 (ko) 복합 단말기에서의 전화번호 검색 및 자동통화로 구성 방법
JPH04213930A (ja) 携帯電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