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706B1 - 티알에스와 시디엠에이/지에스엠 무선통신망을 연계한모바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티알에스와 시디엠에이/지에스엠 무선통신망을 연계한모바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706B1
KR100907706B1 KR1020060079173A KR20060079173A KR100907706B1 KR 100907706 B1 KR100907706 B1 KR 100907706B1 KR 1020060079173 A KR1020060079173 A KR 1020060079173A KR 20060079173 A KR20060079173 A KR 20060079173A KR 100907706 B1 KR100907706 B1 KR 100907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s
cdma
gsm
network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9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7683A (ko
Inventor
유재식
이종욱
신진호
허광
소영식
이재섭
한병욱
정재흠
김병석
차진학
Original Assignee
유니콘전자통신 주식회사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콘전자통신 주식회사,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유니콘전자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9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706B1/ko
Publication of KR20080017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7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5Handover due to radio link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RS와 CDMA/GSM 무선통신망을 연계한 모바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통신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TRS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후 주기적으로 네트워크 상태와 송수신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장애가 발생하는지 판별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장애가 발생했다고 판별하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통신방식의 절체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리고, 사용자가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를 통신방식만 CDMA/GSM으로 변경하여 그대로 송신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후 최초의 수신이 수행되면 서버는 자동 절체가 되었다고 판단하고, 이후의 통신방식은 CDMA/GSM으로 유지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TRS 무선통신망에 장애가 발생 하였을 때 자동으로 CDMA/GSM 무선통신망으로 대체하여 중단없이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RS, CDMA, GSM, 절체, SwMI, MS

Description

티알에스와 시디엠에이/지에스엠 무선통신망을 연계한 모바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통신 방법{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in mobile system linked with TRS and CDMA/GSM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도 1은 일반적인 TRS와 CDMA/GSM 무선통신망이 연계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 구현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TRS와 CDMA/GSM 무선통신망을 연계한 모바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통신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도 1의 TETRA-SDTS의 프로토콜 구조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TETRA PI의 각 값과 그 의미를 설명한 표이다.
도 6은 도 4에서 SDTS-CM 레지스터의 메시지 구조를 보인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4에서 SwMI를 중심으로 한 데이터 송신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4에서 SwMI를 중심으로 한 브로드캐스트를 보인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4에서 SwMI를 중심으로 한 보증된 전송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4에서 SwMI를 중심으로 한 데이터 송수신시 발생된 에러상황의 종류 및 그 의미를 설명한 표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무선 데이터 주장치
20 : TRS
30 : CDMA/GSM
40 ; MS(PEI)
50 : SwMI
본 발명은 TRS(Trunked Radio System, 주파수 공용 통신 시스템)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디지털 이동 전화 시스템) 무선통신망을 연계한 모바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TRS 무선통신망에 장애가 발생 하였을 때 자동으로 CDMA/GSM 무선통신망으로 대체하여 중단없이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TRS와 CDMA/GSM 무선통신망을 연계한 모바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RS는 주파수 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개의 주파수를 다수의 가입자가 공동으로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다. 하나의 단말기로 이동전화, 무선데이터, 음성통화 및 위치추적, 양방향 무선호출 등의 기능을 발휘하는 장점이 있다. 기본적인 통달거리는 20 ~ 30 Km이며, 서비스 지역이 매우 넓은 광역 셀 방식이다. 지령국과 이동국(Mobile Station, MS) 또는 이동국 상호간에 그룹통신, 선별통신, 일제통보, 개별통화가 가능하다. 사용목적에 따라 무전기 형태의 음성통화와 저속데이터 및 팩스(FAX) 전송 등에 이용된다.
또한 CDMA란 사용자가 시간과 주파수를 공유하면서 신호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기존 아날로그 방식(AMPS)보다 수용용량이 10배가 넘고 통화품질도 우수하다. 확산대역(spread-spectrum) 기술을 사용한 다중접속방식의 한 종류이다. 여기서 확산대역통신이란 전송하려는 신호의 대역폭보다 훨씬 넓은 대역폭으로 신호를 확산시켜 전송하는 것으로, 신호의 전력밀도가 낮아지므로 신호의 존재유무를 검출하기 어렵다. 또한 수신기에서는 수신된 신호를 역확산시키는 과정에서 원래의 신호를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확산할 때에 사용한 부호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하므로 통신의 비밀이 보장되며, 외부의 방해신호는 역확산 과정에서 반대로 확산되므로 통신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GSM은 유럽 및 기타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디지털 이동전화 시스템이다. GSM은 데이터를 디지털화하고 압축한 다음, 그것을 두 개의 다른 사용자 데이터와 함께 한 채널을 통해 보내는데, 각각의 데이터는 나름대로의 고유한 시간대에 보내진다. GSM은 900 MHz와 1800 MHz 주파수 대역에서 모두 동작할 수 있다.
또한 TETRA(TErrestrial Trunked RAdio, 테트라)는 유럽과 아시아 지역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Digital TRS 이다. 현재 국내에서도 한국형 디지털 TRS로 사용되고 있으며, 재난이나 비상상황 발생시 신속하고 일사불란한 구조지원체계를 제공하기 위하여 2003년 국가통합지휘 무선통신망의 기술방식으로 선정되었다.
도 1은 일반적인 TRS와 CDMA/GSM 무선통신망이 연계된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 구현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여기서 참조번호 10은 무선 데이터 주장치이고, 20은 TRS이며, 30은 CDMA/GSM이고, 40은 PEI(Peripheral Equipment Interface)를 구비한 MS(Mobile Station)이며, 50은 LAN 상의 SwMI(Switching and Management Infrastructure)이다.
이러한 TETRA에서 SDTS(Short Data Transport Service)는 2개의 포인트 MS(40) 상의 PEI(Peripheral Equipment Interface)와 LAN(Local Area Network) 상의 SwMI(50) 사이에서 통신을 주고 받는다. PEI는 표준 RS232 스펙으로 MS와 연결되며, LAN은 SDR(Short Data Router)을 기본으로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전송 제어 프로토콜 / 인터넷 프로토콜) 연결을 제공한다. 두 연결지점 사이의 프로토콜은 정의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MS(40) 연결지점 상에서 프로토콜은 AT 명령어를 이용해 확장되며, SwMI(50) 상에서는 AT 명령어는 SDTS-CM과 대치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TRS와 CDMA/GSM을 연계하여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모바일 시스템을 구축하였어도, TRS 무선통신망에서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 CDMA/GSM으로 자동 절체하는 기술이 개발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또한 TRS 무선통신망은 센터와 이동 중인 차량, 혹은 모바일 단말장치의 데이터통신에 활용되고 있으나, 음영지역이나 장애 등의 문제로 인해 무선통신망 환경에서의 시스템적인 대책이 미비하여, 필요한 정보이용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TRS 무선통신망에 장애가 발생 하였을 때 자동으로 CDMA/GSM 무선통신망으로 대체하여 중단없이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TRS와 CDMA/GSM 무선통신망을 연계한 모바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통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TRS와 CDMA/GSM 무선통신망을 연계한 모바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통신 방법은,
TRS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후 주기적으로 네트워크 상태와 송수신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장애가 발생하는지 판별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장애가 발생했다고 판별하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통신방식의 절체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리고, 사용자가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를 통신방식만 CDMA/GSM으로 변경하여 그대로 송신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후 최초의 수신이 수행되면 서버는 자동 절체가 되었다고 판단하고, 이후의 통신방식은 CDMA/GSM으로 유지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TRS와 CDMA/GSM 무선통신망을 연계한 모바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통신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 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TRS와 CDMA/GSM 무선통신망을 연계한 모바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통신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TRS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제 1 단계(ST1)와; 상기 제 1 단계 후 주기적으로 네트워크 상태와 송수신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장애가 발생하는지 판별하는 제 2 단계(ST2, ST3)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장애가 발생했다고 판별하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통신방식의 절체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리고, 사용자가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를 통신방식만 CDMA/GSM으로 변경하여 그대로 송신하는 제 3 단계(ST4)와; 상기 제 3 단계 후 최초의 수신이 수행되면 서버는 자동 절체가 되었다고 판단하고, 이후의 통신방식은 CDMA/GSM으로 유지시키는 제 4 단계(ST5);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단계는, 최초 MS 등록시 실패 여부 판단하거나 또는 데이터통신 중 네트워크 상태 판단하여 장애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단계에서 최초 MS 등록시 실패 여부 판단은, Code 0(MT failure), Code 641(Registration timeout Expiry), Code 642(Deregistration timeout expiry), Code 651(Registration table full), Code 652(Registration Disabled) 중에서 하나 이상의 Code에 의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단계에서 데이터통신 중 네트워크 상태 판단은, Code 31(Network timeout)에 의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TRS와 CDMA/GSM 무선통신망을 연계한 모바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통신 방법은, 상기 제 4 단계 후 어플리케이션은 지정된 시간 간격(예, 10분)을 두고 TRS 망 상태를 점검하여 TRS 통신이 가능한지 판별하는 제 5 단계(ST6, ST7)와; 상기 제 5 단계에서 TRS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별되면 어플리케이션은 CDMA/GSM 통신방식을 TRS로 자동 절체하는 제 6 단계(ST8);를 더욱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5 단계는, MS 등록 및 SwMI 통신 재개시 TRS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TRS와 CDMA/GSM 무선통신망을 연계한 모바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통신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TRS 무선통신망에 장애가 발생 하였을 때 자동으로 CDMA/GSM 무선통신망으로 대체하여 중단없이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여기서 TRS 무선통신망은 센터와 이동 중인 차량, 혹은 모바일 단말장치의 데이터통신에 활용되고 있으나, 음영지역이나 장애 등의 문제로 인해 무선통신망 환경에서의 시스템적인 대책이 미비하여, 필요한 정보이용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개선시키고자, TRS 무선통신망을 기반으로 데이터통신이 어려운 환경이나 상황에서 CDMA/GSM 무선통신망과 연계하여 센터와 모바일 시스템 사이의 효율적인 정보이용과 체계적이고 중단없이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주요 처리흐름은, TRS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통신을 하면서 주기적으로 전계강도와 송수신 상황을 모니터링 하여 TRS 무선통신망에 장애가 발생 하였을 시, 자동으로 CDMA/GSM 무선통신망으로 대체하여 중단없이 데이터통신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센터, 데이터단말, 모바일 시스템에서 듀얼 데이터통신 시스템을 구현하고, 이를 연계적으로 운용하여 데이터통신을 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도 1의 TETRA-SDTS의 프로토콜 구조를 보인 개념도이다.
그래서 도 4에서와 같이 MS 연결지점 상에서 프로토콜은 AT 명령어를 이용해 확장되며, SwMI 상에서는 AT 명령어는 SDTS-CM과 대치된다.
그리고 호스트 사이의 어드레싱은 끝단의 위치와 관계없이 같은 방식이 사용된다. 즉, TETRA ISSI(Individual Short Subscriber Identity)를 이용한다. ISSI는 24bit로 이루어진 숫자이며, 네트워크 관리자의 정책에 따라 MS를 구분하기 위해 배정된다. 매 어플리케이션은 PI(Protocol Identifier)를 가지며 두 어플리케이션 사이의 멀티플렉싱을 가능하게 한다.
도 5는 도 4에서 TETRA PI의 각 값과 그 의미를 설명한 표이다.
SDTS 통신시 SDR(Short Data Router)은 여러 개의 호스트로부터 접속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호스트는 반드시 ISSI를 등록해야 한다. 호스트가 등록되기 전에는 어플리케이션의 송/수신이 가능하지 않다. 호스트의 등록은 SDTS-CM-REGISTER 메시지를 SDR에 보내어 이루어진다.
도 6은 도 4에서 SDTS-CM 레지스터의 메시지 구조를 보인 구조도이다.
그래서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여 호스트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서는 반드시 SDTS-CM과 SDTS-TL 헤더를 채워줘야 한다.
또한 일단 호스트가 SDR에 등록이 되어 있으면, 수신된 메시지는 해당하는 주소로 자동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데이터 수신을 수행할 때, 호스트의 어플리케이션은 가능한 빨리 이 메시지를 읽어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SDR은 이 호스트가 전달영역을 벗어났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도 7은 도 4에서 SwMI를 중심으로 한 데이터 송신을 보인 흐름도이다.
그리고 프로토콜의 타입은 Best Effort Delivery로 수행한다. 그래서 어플리케이션은 연속적으로 대상에게 메시지를 송신한다. 3번째 송신시 네트워크의 부하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없으면 CM 레이어는 SwMI로부터 리포트를 보낸다. 이 동안 타이머가 가동되며, 다시 대상이 접근 가능해 지면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8은 도 4에서 SwMI를 중심으로 한 브로드캐스트를 보인 흐름도이다.
그래서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메시지는 오직 SwMI에서 보내지고 받는다. 이 메시지는 MS ISSI를 경유하지 않고 SwMI에 정의된 영역에 따른다. 각각의 영역 은 SwMI에 연결된 사이트의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SwMI에서 각각의 사이트로 메시지가 전송될 때, 네트워크 문제가 보고되면 Broadcast 메시지는 최초 메시지의 레퍼런스 번호와 같은 메시지로 재전송된다.
도 9는 도 4에서 SwMI를 중심으로 한 보증된 전송을 보인 흐름도이다.
또한 SDS-TL 레이어는 보증된 전송(Guarantied Delivery)을 제공한다. 이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받은 메시지를 매번 확인해 줌으로써 가능하다. 매번 메시지를 받을 때 마다 리포트를 상대에게 보내주며, 일정시간 동안 리포트를 받지 못하면 재전송을 하거나 에러상황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때 PEI 상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대한 등록/해제를 수행한다. PEI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은 메시지들을 받기 위해 등록해야 한다. 이것은 MS가 어떤 어플리케이션들이 그 PEI 위에 있느냐에 관해 알고 있기 위해 필요하다. 어플리케이션은 "<da> = 0" 과 "<toa> = 1" 로 설정된 비어있는 패킷을 보내는 것에 의해 등록한다. 비어 있는 패킷이란 PI만을 포함하는 패킷을 의미한다. "<toa> = 0" 과 "<da> = 0" 이외에 주소로 설정된 비어있는 패킷을 보내는 것에 의해 등록을 취소할 수 있다.
도 10은 도 4에서 SwMI를 중심으로 한 데이터 송수신시 발생된 에러상황의 종류 및 그 의미를 설명한 표이다.
그래서 데이터 송수신시 에러상황이 발생하면 CME_ERROR 가 세팅되며 뒤에 에러코드가 따라오게 된다. 이 코드를 분석하여 현재 발생한 에러상황을 판단하여 각각의 상태에 따른 대처를 할 수 있다. 발생가능한 에러상황은 도 10에서와 같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송수신 상황의 판단 및 절체를 수행하게 된다.
이를 정리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네트워크 상황 판단
- 최초 MS 등록시 실패 여부 판단
MS가 TRS 망에 최초 접속 및 등록할 때 다음의 에러상황은 SwMI와의 접속불능, 혹은 호스트간의 통신불능으로 판단할 수 있다.
Code 0 : MT failure
Code 641 : Registration timeout Expiry
Code 642 : Deregistration timeout expiry
Code 651 : Registration table full
Code 652 : Registration Disabled
- 데이터통신 중 네트워크 상태 판단
호스트간 데이터 송/수신 상황에서 다음의 에러상황은 통신장애 혹은 통신불능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Code 31 : Network timeout
2. 통신불능 확인 및 절체
- 어플리케이션의 대처
통신장애가 일어나 MS 등록 및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한 에러상황이 발생시 지정된 횟수(기본 3회) 만큼 재시도를 행하고, 여전히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시 통신불능 상태로 판단한다.
이 상황에서 TRS 통신방식을 일반적인 CDMA/GSM 방식으로 절체가 이루어진다.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통신방식의 절체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리고, 사용자가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를 통신 방식만 변경하여 그대로 송신한다.
이후, TRS 망이 통신가능 상태가 될 때까지 어플리케이션의 통신방식은 CDMA/GSM 으로 유지된다.
- 서버의 대처
어플리케이션의 통신장애로 통신방식이 TRS에서 CDMA/GSM 방식으로 변경된 후, 최초의 수신이 행해지면 서버는 자동절체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하고, 이후의 통신방식은 CDMA/GSM 으로 유지한다. TRS 망이 통신가능 상태가 되어 어플리케이션이 이를 서버에 알리기 전까지는 계속 CDMA/GSM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3. 모바일 시스템의 구성
TRS와 CDMA/GSM 자동절체를 수행하기 위해서 모바일 시스템은 도 2에서와 같이 듀얼로 구성이 되어야 한다. TRS 송수신을 담당할 TRS 게이트웨이와 CDMA/GSM 송수신을 담당할 CDMA/GSM 서버가 같은 네트워크에 구성되며, 메인서버들과 연계하여 주장치 서버에서 실행되는 서버프로그램은 이들 시스템과 직접 연동하여 데이터의 송수신 방식과 관계없이 항상 동일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무결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4. 망상태 감시 및 TRS로 복구
CDMA/GSM 으로 자동 절체가 이루어진 후, 어플리케이션은 기존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는 사이 지정된 시간간격(기본 10분)을 두고 TRS 망 상태를 계속 점검 한다.
그래서 MS의 등록 및 SwMI와의 통신이 재개되는 시점에서 TRS 망이 통신가능 상태라고 판단하며, 이 시점에서 CDMA/GSM 통신방식을 TRS로 자동 절체 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통신방식의 여부에 관계없이 상황에 맞는 적절한 통신방법으로 중단없는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TRS 무선통신망에 장애가 발생 하였을 때 자동으로 CDMA/GSM 무선통신망으로 대체하여 중단없이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TRS를 기반으로 모바일 시스템이 동작하면서 TRS 무선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때 자동으로 CDMA/GSM 무선통신망으로 대체하는 동작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CDMA/GSM을 기반으로 모바일 시스템이 동작하면서 CDMA/GSM 무선통신망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때 자동으로 TRS 무선통신망으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TRS와 CDMA/GSM 무선통신망을 연계한 모바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통신 방법은 TRS 무선통신망에 장애가 발생 하였을 때 자동으로 CDMA/GSM 무선통신망으로 대체하여 중단없이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응용할 수 있고, 이러한 응용도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Claims (6)

  1. TRS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제1 단계,
    상기 제 1 단계 후 주기적으로 네트워크 상태와 송수신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최초 MS 등록시 실패 여부 판단하거나 또는 데이터통신 중 네트워크 상태 판단하여 장애여부를 판별하며, 최초 MS 등록시 실패 여부 판단이 정의된 하나 이상의 코드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제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장애가 발생했다고 판별하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게 통신방식의 절체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리고, 사용자가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를 통신방식만 CDMA/GSM으로 변경하여 그대로 송신하는 제3 단계,
    상기 제 3 단계 후 최초의 수신이 수행되면 서버는 자동 절체가 되었다고 판단하고, 이후의 통신방식은 CDMA/GSM으로 유지시키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 후, 지정된 시간 간격을 두고 TRS 망 상태를 점검하여 TRS 통신이 가능한지를 판별하며, MS 등록 및 SwMI 통신 재개시에 TRS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별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RS와 CDMA/GSM 무선통신망을 연계한 모바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통신 방법.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Code 0(MT failure), Code 641(Registration timeout Expiry), Code 642(Deregistration timeout expiry), Code 651(Registration table full) 및 Code 652(Registration Disable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RS와 CDMA/GSM 무선통신망을 연계한 모바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통신 방법.
  3. 삭제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데이터통신 중 네트워크 상태 판단은,
    Code 31(Network timeout)에 의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RS와 CDMA/GSM 무선통신망을 연계한 모바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통신 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060079173A 2006-08-22 2006-08-22 티알에스와 시디엠에이/지에스엠 무선통신망을 연계한모바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통신 방법 KR100907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173A KR100907706B1 (ko) 2006-08-22 2006-08-22 티알에스와 시디엠에이/지에스엠 무선통신망을 연계한모바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173A KR100907706B1 (ko) 2006-08-22 2006-08-22 티알에스와 시디엠에이/지에스엠 무선통신망을 연계한모바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683A KR20080017683A (ko) 2008-02-27
KR100907706B1 true KR100907706B1 (ko) 2009-07-14

Family

ID=39384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173A KR100907706B1 (ko) 2006-08-22 2006-08-22 티알에스와 시디엠에이/지에스엠 무선통신망을 연계한모바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7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980B1 (ko) * 2016-03-11 2016-09-09 한국철도공사 열차 통신용 상호연동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5280A (ko) * 1999-05-31 2000-12-15 윤종용 무전기 겸용 휴대폰 장치
KR20020047895A (ko) * 2000-12-14 2002-06-22 정장호 무전기 모듈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 장치와 운영 방법
KR20020078734A (ko) * 2001-04-10 2002-10-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단방향 무전기 겸용 무선 단말기
KR20020078746A (ko) * 2001-04-10 2002-10-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단방향 무전기 겸용 무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30003798A (ko) * 2001-07-02 2003-01-14 박준수 Rf 망을 통한 멀티미디어 화상 송수신 단말 장치
KR20050109115A (ko) * 2004-05-13 2005-11-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모드-멀티밴드(mm-mb) 이동 통신 단말의비동기-동기 간 모드 전환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5280A (ko) * 1999-05-31 2000-12-15 윤종용 무전기 겸용 휴대폰 장치
KR20020047895A (ko) * 2000-12-14 2002-06-22 정장호 무전기 모듈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 장치와 운영 방법
KR20020078734A (ko) * 2001-04-10 2002-10-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단방향 무전기 겸용 무선 단말기
KR20020078746A (ko) * 2001-04-10 2002-10-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단방향 무전기 겸용 무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30003798A (ko) * 2001-07-02 2003-01-14 박준수 Rf 망을 통한 멀티미디어 화상 송수신 단말 장치
KR20050109115A (ko) * 2004-05-13 2005-11-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모드-멀티밴드(mm-mb) 이동 통신 단말의비동기-동기 간 모드 전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683A (ko) 200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9148B2 (en) Scheme for adaptive control of transport layer connection in communications via radio and wire networks
US2006018347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apparatus
US8565760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registration information
US8682283B2 (en) Adjusting connection states of a mobile wireless device
EP1929828B1 (en) Hard handoff from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to a cellular telephone network
US8687558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route emergency communication sessions
CN109863766B (zh) 用于更新非主动sim的状态信息的系统和方法
EP175842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tricted access to an exchange of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JP2003511927A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ページングおよびその応答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2164919A (ja) 無線通信制御局、無線端末、ホームエージェント及び無線通信方法
EP1652356A2 (en) Mobility in a multi-acc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0707933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rdless internet protocol
CN106793005B (zh) 基于LoRa的物联网设备的漫游通信方法及系统
JP2007208762A (ja) 基地局
CA2113281C (en) A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improper registrations
WO2008115475A1 (en) Signaling method to support geo-location emergency services
CN101068213B (zh) 代理移动ip中的切换方法、组播加入方法及接入路由器
US20200127874A1 (en) Integration of physical and virtual lmr networks
KR100907706B1 (ko) 티알에스와 시디엠에이/지에스엠 무선통신망을 연계한모바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통신 방법
US8238914B2 (en) Handoff method, switching device and terminal
KR20140042129A (ko) Dvb-rcs 기반의 위성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20060046754A1 (en) Proxy translator for extending the coverage area of a wireless network
CN115278613A (zh) 一种链路切换方法及装置、通信设备
US8089863B2 (en) RF site resilience using multiple visitor location registers simultaneously
WO2012144353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無線端末及び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326

Effective date: 2009011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