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5280A - 무전기 겸용 휴대폰 장치 - Google Patents

무전기 겸용 휴대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5280A
KR20000075280A KR1019990019791A KR19990019791A KR20000075280A KR 20000075280 A KR20000075280 A KR 20000075280A KR 1019990019791 A KR1019990019791 A KR 1019990019791A KR 19990019791 A KR19990019791 A KR 19990019791A KR 20000075280 A KR20000075280 A KR 20000075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adio
switch
signals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7161B1 (ko
Inventor
김남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19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161B1/ko
Publication of KR20000075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5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1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88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specially adapted for sheet metal frame members with an open U-shaped cross-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06B3/08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 E06B3/12Constructions depending on the us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다기능 휴대폰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다기능 휴대폰 장치에 휴대폰 회로를 최대한 활용하며 무전기 겸용 휴대폰 장치를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무전기 전환키와 송신키를 구비하는 다기능 휴대폰 장치로, 송신할 신호를 무전기 모드와 휴대폰 모드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용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무전기 모드와 휴대폰 모드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용 수신부와, 상기 공용 송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휴대폰에서 사용하는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휴대폰에서 사용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용 수신부로 출력하는 휴대폰 송수신부와, 상기 공용 송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무전기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무전기 대역의 신호로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용 수신부로 출력하는 무전기 송수신부와, 상기 공용 송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1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휴대폰 송수신부 또는 제3스위치의 제1단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스위치와, 상기 휴대폰 송수신부 또는 제3스위치의 제2단을 상기 제1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공용 수신부로부터 연결하기 위한 제2스위치와, 제2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단을 무전기의 송신부와 연결하거나 제2단을 무전기의 수신부로 연결하기 위한 제3스위치와, 상기 공용 송신부와 상기 공용 수신부와 상기 휴대폰 송수신부와 상기 무전기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주파수를 발생하는 발진부와, 휴대폰 모드시에 코딩 및 디코딩을 수행하고, 무전기 모드시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 처리부와, 무전기 모드로 전환시 상기 제1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며, 송신키 입력시 상기 제2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발진부의 주파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휴대폰에 사용된다.

Description

무전기 겸용 휴대폰 장치{HAND HELD PHONE APPARATUS COMBINED WIRELESS UNIT}
본 발명은 휴대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기능 휴대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폰 장치는 사용자가 이동하며 통화하는 이동통신 장치로 개발되었으며, 휴대폰 가입자들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휴대폰의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휴대폰 사용자들은 휴대폰에서 더 많은 부가 기능을 수행해 주기를 바라고 있다. 이를 수용하기 위해 많은 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며, 또한 휴대폰에 많은 기능들이 실장되어 왔다. 이러한 사용자들의 요구사항들 중 하나로 휴대폰 사용자들은 휴대폰간에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 휴대폰간 통신을 하기를 원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산악지역과 같이 통신불능 지역이나, 기지국이 없어 통화를 할 수 없는 지역 또는 통화감도가 떨어지는 장소 또는 호가 폭주하여 기지국을 통해 통신을 하기 어려운 장소에서 사용자간 미리 주파수를 동기시켜 통화를 할 수 있기를 원하게 되었다. 즉, 휴대폰을 무전기로 사용하기를 원하는 사용자들이 증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의 무선 회로를 최대한 활용하여 기지국을 통하지 않고 휴대폰간 직접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무전기 겸용 휴대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 겸용 휴대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폰에서 무전기로 사용시의 제어 흐름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전기 전환키와 송신키를 구비하는 다기능 휴대폰 장치로, 송신할 신호를 무전기 모드와 휴대폰 모드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용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무전기 모드와 휴대폰 모드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용 수신부와, 상기 공용 송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휴대폰에서 사용하는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휴대폰에서 사용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용 수신부로 출력하는 휴대폰 송수신부와, 상기 공용 송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무전기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무전기 대역의 신호로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용 수신부로 출력하는 무전기 송수신부와, 상기 공용 송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1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휴대폰 송수신부 또는 제3스위치의 제1단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스위치와, 상기 휴대폰 송수신부 또는 제3스위치의 제2단을 상기 제1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공용 수신부로부터 연결하기 위한 제2스위치와, 제2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단을 무전기의 송신부와 연결하거나 제2단을 무전기의 수신부로 연결하기 위한 제3스위치와, 상기 공용 송신부와 상기 공용 수신부와 상기 휴대폰 송수신부와 상기 무전기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주파수를 발생하는 발진부와, 휴대폰 모드시에 코딩 및 디코딩을 수행하고, 무전기 모드시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 처리부와, 무전기 모드로 전환시 상기 제1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며, 송신키 입력시 상기 제2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발진부의 주파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 겸용 휴대폰의 블록 구성도이다.
제어부(111)는 휴대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무전기로 동작시 제1 및 제2스위칭 제어신호(CTL1, CTL2)의 출력을 제어하며, 발진부(116)로 주파수의 출력 및 중단의 제어와 출력될 주파수의 설정을 위한 제어, 그리고 무전기 모드시 음성 처리부의 제어를 수행한다. 표시부(112)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휴대폰의 동작과정 및 현재상태를 표시한다. 키패드(113)는 키매트릭스 구조를 가지며,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키와, 각종 기능키 및 본 발명에 따른 무전기 전환키 및 무전기로 사용할 때 송신을 위한 송신키를 구비한다. 여기서 무전기 전환키는 기능키에 의해 선택할 메뉴 중 하나의 메뉴로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해 별도의 키를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키패드(113)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키의 키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11)로 출력한다. 메모리(114)는 제어부(111)의 제어 동작시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과 제어부(111)의 제어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음성 처리부(115)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코딩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코딩되어 수신되는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제1스피커(SPK1)로 출력한다. 또한 음성 처리부(115)는 제어부(111)로부터 무전기 모드 제어신호 수신시 코딩 및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는다. 링신호가 수신될 경우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링거음을 출력하는 제2스피커(SPK2)가 휴대폰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송신 및 수신시 필요한 캐리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1주파수(f1) 내지 제6주파수(f6)를 발생하는 발진부(116)가 구비된다. 발진부(116)는 제어부(111)의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1주파수(f1) 내지 제6주파수(f6)를 선택적으로 발생하여 출력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회로를 살펴본다.
제1증폭기(11)는 음성 처리부(115)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증폭하여 제1믹서(12)로 출력한다. 제1믹서(12)는 발진부(116)로부터 수신되는 제1주파수(f1)와 제1증폭기(1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합성하여 소정 대역의 라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제1대역통과 필터(13)는 제1믹서(12)에서 출력된 신호중 불요파를 제거여 출력한다. 제1필터(13)에서 필터링되어 출력된 신호는 제2증폭기(14)에서 증폭되어 제1스위치(15)의 폴(Pole)로 입력된다. 제1증폭기(11)와, 제1믹서(12)와, 제1필터(13)와, 제2증폭기(14)는 무전기로 동작시와 휴대폰으로 동작시 공통으로 사용되며, 이하의 설명에서 이들을 총칭하여 공통 송신부라 칭한다.
제1스위치(15)는 1폴2쓰로의 구조로 구성되며, 제어부(111)로부터 출력되는 제1스위치 제어신호(CTL1)에 의해 a단지 또는 b단자로 스위칭한다. 제1스위치(15)의 a단자는 휴대폰에서 사용하는 송신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제2믹서(16)와 연결되며, b단자는 무전기 회로로 연결하기 위한 제3스위치(31)의 a단자와 연결된다. 제2믹서(16)는 발진부(116)로부터 출력되는 제2주파수(f2)와 제1스위치(15)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합성하여 휴대폰에서 사용하는 송신 대역의 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제2믹서(16)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두 신호를 믹싱할 경우 발생되는 불요파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송신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2필터(17)를 통해 필터링하여 출력된다. 제2필터(17)에 의해 필터링된 신호는 송신전력으로 증폭하기 위한 제3증폭기(18)에서 증폭되어 듀플렉서(117)로 입력된다. 듀플렉서(117)는 송신될 신호와 제1안테나(ANT1)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한다. 제1안테나(ANT1)는 휴대폰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1안테나(ANT1)로부터 수신되어 듀플렉서(117)에 의해 분리된 신호는 제4증폭기(21)로 입력된다. 제4증폭기(21)는 듀플렉서(117)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제3필터(22)로 출력한다. 제3필터(22)는 제3증폭기에 의해 증폭된 신호 중 소정 대역의 신호만을 필터링하여 제3믹서(23)로 입력한다. 제3믹서(23)는 발진부(116)로부터 수신되는 제3주파수(f3)와 제3필터(22)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합성하여 소정 대역의 신호로 출력한다. 제3믹서(23)의 출력단은 제2스위치(24)의 a단자에 연결된다. 제2스위치(24)는 1폴2쓰로의 구조를 가지며, 폴단은 제4필터(25)와 연결되며, b단은 제3스위치(31)의 b단에 연결된다. 제2믹서(16)와 제2필터(17)와 제3증폭기(18)와 듀플렉서(17)와 제4증폭기(21)와 제3필터(22)와 제3믹서(23)는 휴대폰에서 사용하는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며, 휴대폰에서 사용하는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여 변환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이들을 총칭하여 휴대폰 송수신부라 칭한다.
제4필터(25)는 제2스위치(24)를 통해 수신된 신호 중 소정 대역의 신호만으로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제5증폭기(26)는 제4필터(25)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여 제4믹서(27)로 출력한다. 제4믹서(27)는 제4주파수(f4)와 제5증폭기(26)에서 증폭된 신호를 믹싱하여 소정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신호는 제5필터(28)에서 필터링되어 출력된다. 제6증폭기(29)는 제5필터(28)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여 음성처리부(115)로 출력한다. 상술한 제4필터(25)와 제5증폭기(26)와 제4믹서(27)와 제5필터(28)와 제6증폭기(29)는 무전기와 휴대폰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소정 대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이들을 총칭하여 공용 수신부라 칭한다.
제1스위치(15)의 b단은 제3스위치(31)의 a단자로 연결되며, 제2스위치(24)의 b단자는 제3스위치(31)의 b단자로 연결된다. 제3스위치(31)는 제어부(111)로부터 출력되는 제2스위치 제어신호(CTL2)에 의해 a단을 c단과 연결하거나 b단을 d단과 연결한다. 제5믹서(32)는 발진부(116)로부터 출력되는 제5주파수(f5)와 제3스위치(31)의 c단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무전기에서 사용하는 송신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5믹서(32)에서 출력된 신호는 제6필터(34)에서 필터링되며, 상기 필터링된 신호는 제7증폭기(35)에서 송신전력으로 증폭되어 무전기용 제2안테나(ANT2)를 통해 공중파로 전송된다. 무전기는 송신대역의 주파수와 수신대역의 주파수를 공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듀플렉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7증폭기(35)와 제8증폭기(36)는 제2안테나(ANT2)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안테나(ANT2)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제8증폭기(36)에서 증폭되어 소정 대역의 신호만을 추출하기 위해 제7필터(37)에서 필터링된다. 제7필터(37)에서 필터링된 신호는 제6믹서(33)에서 공통 수신부에서 처리할 수 있는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제3스위치(31)의 d단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휴대폰에서 무전기로 사용되는 경우의 동작을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휴대폰에서 무전기로 사용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무전기로 동작시의 휴대폰의 동작 및 제어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휴대폰의 제어부(111)는 (20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하며 (202)단계로 진행하여 키패드(113)로부터 무전기 모드전환하기 위한 무전기 전환키 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제어부(111)는 무전기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키 신호가 수신될 경우 (204)단계로 진행하고, 무전기 전환키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230)단계로 진행하여 해당기능을 수행한다. 키패드(113)로부터 무전기 전환키 신호가 수신되어 무전기 모드로 전환되면, 제어부(111)는 먼저 발진부(116)를 제어하여 제2주파수(f2)와 제3주파수(f3)의 출력을 중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11)는 (204)단계에서 키패드(113)로부터 수신되는 키신호에 따라 주파수를 설정하는 주파수 설정모드를 수행한다. 이때 주파수의 설정 과정을 상술하면, 휴대폰에 채용된 무전기에서 선택 가능한 최소의 주파수를 표시부(112)에 표시하며, 상하 조절키를 이용하여 주파수를 변경하며 표시하고, 선택 가능한 주파수 중 최대값이 표시된 경우 다시 최소값으로 변경되도록 한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숫자키를 통해 주파수를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주파수 설정모드가 종료되면, 발진부(116)를 제어하여 제5주파수(f5)와 제6주파수(f6)를 설정하고 제5믹서(32)와 제6믹서(33)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11)는 (206)단계로 진행하여 제1스위치(15)와 제2스위치(24)를 b단으로 연결하고, 제3스위치(31)의 b단과 d단을 연결한다. 즉, 무전기 모드로 전환되면 제3스위치(31)를 b단과 d단을 연결함으로써 무전기의 수신모드가 설정된다.
제어부(111)는 (206)단계 이후 무전기의 수신모드로 동작하며, 키패드(113)로부터 송신키 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제어부(111)는 송신키 신호가 수신될 경우 (210)단계로 진행하고, 송신키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220)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11)는 키패드(113)로부터 송신키 신호가 수신될 경우 제3스위치(31)의 a단과 c단을 연결한다. 그러면 음성처리부(115)로부터 공용 송신부로 출력된 신호는 소정 대역의 신호로 변환되고, 제3스위치(31)를 통해 제3믹서(32)로 출력된다. 제3믹서(32)는 (204)단계에서 설정된 주파수로 변경하며, 상기 변경된 신호는 필터링 및 증폭되어 제2안테나(ANT2)로 출력된다. 이를 통해 송신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어부(111)는 송신키가 입력된 상태에서만 제2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므로 (210)단계를 수행하며, (212)단계로 진행하여 키패드(113)로부터 송신키가 오프되는가를 검사한다. 즉, 키패드(113)로부터 송신키 신호의 수신이 종지되는가를 검사한다. 제어부(111)는 송신키가 오프될 경우 (214)단계로 진행하고, 송신키가 오프되지 않을 경우 (210)단계를 계속 수행한다. 제어부(111)는 송신키가 오프되면, (214)단계로 진행하여 제3스위치(31)의 b단과 d단으로 연결하고, (208)단계를 수행한다. 즉, 다시 무전기 수신모드로 진행하는 것이다.
이와 달리 (208)단계에서 (220)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부(111)는 키패드(113)로부터 무전기 모드 종료에 따른 키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제어부(111)는 무전기 오프에 따른 키신호가 수신될 경우 (222)단계로 진행하여 제1스위치(15) 및 제2스위치(24)의 폴을 각각 a단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제어부(111)는 (224)단계로 진행하여 발진부(116)를 제어하여 제2주파수(f2)와 제3주파수(f3)를 제2믹서(16)와 제3믹서(23)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제5주파수(f5)와 제6주파수(f6)의 출력을 중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폰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부분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휴대폰을 무전기로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활용함으로써, 발신호가 빈번한 지역에서 무전기로 사용함으로써, 특정한 지역에서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이 증대되며, 특히 기지국이 없는 산악지역에서 사용자간 통화를 원활히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무전기 전환키와 송신키를 구비하는 다기능 휴대폰 장치에 있어서,
    송신할 신호를 무전기 모드와 휴대폰 모드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용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무전기 모드와 휴대폰 모드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용 수신부와,
    상기 공용 송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휴대폰에서 사용하는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휴대폰에서 사용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용 수신부로 출력하는 휴대폰 송수신부와,
    상기 공용 송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무전기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무전기 대역의 신호로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용 수신부로 출력하는 무전기 송수신부와,
    상기 공용 송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제1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휴대폰 송수신부 또는 제3스위치의 제1단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스위치와,
    상기 휴대폰 송수신부 또는 제3스위치의 제2단을 상기 제1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공용 수신부로부터 연결하기 위한 제2스위치와,
    제2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제1단을 무전기의 송신부와 연결하거나 제2단을 무전기의 수신부로 연결하기 위한 제3스위치와,
    상기 공용 송신부와 상기 공용 수신부와 상기 휴대폰 송수신부와 상기 무전기 송수신부로 출력하는 주파수를 발생하는 발진부와,
    휴대폰 모드시에 코딩 및 디코딩을 수행하고, 무전기 모드시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 처리부와,
    무전기 모드로 전환시 상기 제1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며, 송신키 입력시 상기 제2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발진부의 주파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기 겸용 휴대폰 장치.
KR1019990019791A 1999-05-31 1999-05-31 무전기 겸용 휴대폰 장치 KR100557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791A KR100557161B1 (ko) 1999-05-31 1999-05-31 무전기 겸용 휴대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9791A KR100557161B1 (ko) 1999-05-31 1999-05-31 무전기 겸용 휴대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5280A true KR20000075280A (ko) 2000-12-15
KR100557161B1 KR100557161B1 (ko) 2006-03-03

Family

ID=19588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791A KR100557161B1 (ko) 1999-05-31 1999-05-31 무전기 겸용 휴대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16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516A (ko) * 2000-09-02 2002-03-08 김성헌 휴대폰 연동 무전기 시스템
KR100383239B1 (ko) * 2001-04-10 2003-05-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단방향 무전기 겸용 무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400767B1 (ko) * 2000-12-14 2003-10-08 (주) 엘지텔레콤 무전기 모듈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 운영 방법
KR100414212B1 (ko) * 2001-04-10 2004-01-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단방향 무전기 겸용 무선 단말기
KR100557176B1 (ko) * 1999-07-24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화기에서 무전기 겸용 휴대장치
KR100907706B1 (ko) * 2006-08-22 2009-07-14 유니콘전자통신 주식회사 티알에스와 시디엠에이/지에스엠 무선통신망을 연계한모바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통신 방법
KR20210000907U (ko) * 2019-10-18 2021-04-2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529B1 (ko) * 2013-01-28 2014-09-05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이동형 무전기의 우선 채널 탐색 장치 및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176B1 (ko) * 1999-07-24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화기에서 무전기 겸용 휴대장치
KR20020018516A (ko) * 2000-09-02 2002-03-08 김성헌 휴대폰 연동 무전기 시스템
KR100400767B1 (ko) * 2000-12-14 2003-10-08 (주) 엘지텔레콤 무전기 모듈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 운영 방법
KR100383239B1 (ko) * 2001-04-10 2003-05-1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단방향 무전기 겸용 무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414212B1 (ko) * 2001-04-10 2004-01-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단방향 무전기 겸용 무선 단말기
KR100907706B1 (ko) * 2006-08-22 2009-07-14 유니콘전자통신 주식회사 티알에스와 시디엠에이/지에스엠 무선통신망을 연계한모바일 시스템에서의 데이터통신 방법
KR20210000907U (ko) * 2019-10-18 2021-04-2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7161B1 (ko) 200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341B1 (ko) 라디오 겸용 이어폰-마이크 및 그 이어폰-마이크를 이용한전화 통화/라디오 청취 제어 방법
US6415158B1 (en) Dual mode mobile phone operating as a two-way radio
KR100282955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중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100557161B1 (ko) 무전기 겸용 휴대폰 장치
KR100312032B1 (ko) 휴대폰의문자서비스방법
KR100243028B1 (ko)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간 통화장치 및 그 방법
KR100400767B1 (ko) 무전기 모듈을 장착한 이동 단말기 운영 방법
KR100379836B1 (ko) 근거리 다자간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
KR100545079B1 (ko) 자동차원격시동기능이내장된휴대폰
KR100241735B1 (ko) 무선전화기의 이동용 고정장치
JP2700415B2 (ja) 個別呼出装置付き無線電話機
KR20010104076A (ko) Cdma 단말기에서의 무선 호출기 기능을 가진 송/수신장치
KR970003973B1 (ko) 복합 단말기에서의 전화번호 검색 및 자동통화로 구성 방법
KR0175587B1 (ko) 휴대장치에서 현재시간 표시 가능한 무선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970008675B1 (ko)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발신장치 및 그 방법
KR100237111B1 (ko) 무선 전화기 겸용 씨티폰
KR10049500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정장치
KR200179158Y1 (ko) 라디오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전화기
KR200179159Y1 (ko) 라디오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전화기
KR19990059008A (ko) 가정용 무선전화 기능이 첨가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9990058049A (ko) 휴대폰에서 라디오 수신장치 및 방법
JPH08265819A (ja)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接続方法
KR19980068814A (ko) 무선 전화기와 무선 헤드폰 일체형 시스템
KR20020053213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대기모드시 음성메시지 송출방법
KR20000075281A (ko) 휴대폰에서 라디오 방송신호 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