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550B1 - 차량용 등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등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550B1
KR100959550B1 KR1020070088949A KR20070088949A KR100959550B1 KR 100959550 B1 KR100959550 B1 KR 100959550B1 KR 1020070088949 A KR1020070088949 A KR 1020070088949A KR 20070088949 A KR20070088949 A KR 20070088949A KR 100959550 B1 KR100959550 B1 KR 100959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vehicle
light source
outer len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5958A (ko
Inventor
야스오 야지마
사토루 오카다
Original Assignee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5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6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rear-view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아우터 렌즈를 통하여 시인되는 조사광에 있어서 점등 상태의 광원의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밝기의 불균일을 억제하면서 비점등 시의 광원의 시인을 억제할 수 있는 차량용 등구를 제공한다.
차량(C)의 측면에 설치된 아우터 렌즈(13)와 하우징 본체(12)와 구획벽(15)을 갖는 하우징(11)의 수용 공간(14)에 광원(16)이 수용되고, 그로부터의 아우터 렌즈(13)를 경유한 출사광에 의해 차량(C)의 측방을 조사하는 조사광을 형성하는 차량용 등구(10)이다. 구획벽(15)에는 개구부(19)와 차량(C)의 전후 방향을 따른 전방으로부터의 광원(16)의 시인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원(16)을 차폐하면서, 광원(16)으로부터의 출사광을 조사 영역이 넓어지도록 차량(C)의 측방을 향해 반사하는 반사면(21)을 가지며 수용 공간 노출부(14b)에 연장되는 반사벽부(20)가 설치되고, 조사광은 반사면(21)으로부터의 반사광이 아우터 렌즈(13)를 통하여 출사됨으로써 형성되고 있다.
Figure R1020070088949
아우터 렌즈, 광원, 구획벽, 등구, 밝기, 도어 미러, LED

Description

차량용 등구{LIGHTING FIXTUR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사용되는 등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 미러에 설치하기에 적합한 차량용 등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원으로서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LED를 수용하고 아우터 렌즈와 하우징 본체를 가지는 등구 하우징이 차량 도어 미러의 미러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용 등구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종래의 차량용 등구에는 하나의 등구로서 취급하기 위한 규준(법정 규준)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각 LED로부터의 출사광이 직접 아우터 렌즈를 향함으로써 아우터 렌즈 상에 형성되는 조사 영역이 소정의 간격 이하로 인접하도록 각 LED가 배치되고, 모든 LED를 동시에 점등 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것에서는 각 LED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동시에 점멸시킴으로써 단일의 등구로 이루어지는 방향 지시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2-79885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등구에서는 단일의 등구로서 취급하기 위한 규준을 만족시키고는 있어도, 각 LED에서 아우터 렌즈로 직접 향하는 출사광에 의해 조사광이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아우터 렌즈를 경유한 조사광에서는 점재하는 복수의 LED의 배치 위치가 국소적으로 밝아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조사광을 시인하면 점등 상태의 각 LED의 인식이 가능해지는 밝기의 불균일이 발생하게 되어, 점등 시의 차량용 등구의 장식성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등구에서는 각 LED로부터의 출사광이 직접 아우터 렌즈를 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비점등 시에 있어서 아우터 렌즈를 통하여 각 LED가 시인되게 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비점등 시에 각 LED의 시인이 가능한 것은 비점등 시의 차량용 등구의 장식성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아우터 렌즈를 통하여 시인되는 조사광에 있어서 점등 상태의 광원의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밝기의 불균일을 억제하면서, 비점등 시의 광원의 시인을 억제할 수 있는 차량용 등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차량용 등구는, 차량의 측면에 설치된 아우터 렌즈와 하우징 본체를 갖는 하우징의 내방에 광원이 수용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이 상기 아우터 렌즈를 통하여 출사됨으로써 상기 차량 의 측방을 조사하는 조사광을 형성하는 차량용 등구로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아우터 렌즈와 상기 하우징 본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광원이 수용된 수용 공간을 상기 아우터 렌즈에 면하는 수용 공간 노출부와 상기 광원을 차폐하면서 수용하는 수용 공간 차폐부로 구획하는 구획벽이 설치되고, 이 구획벽에는 상기 수용 공간 차폐부에 수용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의 상기 수용 공간 노출부로의 진행을 허용하는 개구부와, 이 개구부를 경유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을 조사 영역이 넓어지도록 상기 차량의 측방을 향해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가지며,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른 전방으로부터의 상기 광원의 시인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광원을 차폐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 노출부에 연장되는 반사벽부가 설치되고, 상기 조사광은 상기 반사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이 상기 아우터 렌즈를 통하여 출사됨으로써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반사면에 의해 조사 영역이 넓혀진 반사광에 의해 조사광이 형성되고 있으므로, 조사광에서의 점등 상태의 광원의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밝기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반사벽부에 의한 광원의 차폐에 의해 전방으로부터의 광원의 시인이 방지되고 있으므로, 비점등 시의 광원의 시인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차량용 등구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차량용 등구로서, 상기 반사벽부는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른 전방으로부터의 상기 개구부의 시인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 노출부에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반사벽부에 의한 개구부 및 광원의 차폐에 의해 전방으로부터의 개구부 및 광원의 시인이 방지되고 있으므로, 비점등 시의 개구부 및 광원의 시인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차량용 등구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차량용 등구로서, 상기 하우징에는 복수의 상기 광원이 수용되고, 상기 반사벽부 및 상기 개구부는 상기 각 광원에 개별적으로 대응하여 복수 개 설치되며, 이 각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의 반사광이 상기 아우터 렌즈 상에 형성하는 조사 영역이 소정의 간격으로 인접하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단일의 등구로서 취급하기 위한 규준을 만족시킴과 아울러, 아우터 렌즈를 통하여 시인되는 조사광에 있어서 점등 상태의 광원의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밝기의 불균일을 억제하면서, 비점등 시의 광원의 시인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차량용 등구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용 등구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차량에 설치된 도어 미러의 미러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장식성이 뛰어난 차량용 등구로서의 기능을 도어 미러에 구비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차량용 등구는,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차량용 등구로서, 상기 복수의 반사면 중 상기 차량에서 가장 멀리 이간된 상기 반사면은 상기 조사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차량의 후측방으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하기 위 하여, 대응하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을 상기 차량의 후측방으로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뛰어난 장식성을 갖는 방향 지시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우터 렌즈를 통하여 시인되는 조사광에 있어서 점등 상태의 광원의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밝기의 불균일을 억제하면서 비점등 시의 광원의 시인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장식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 즉 종래의 차량용 등구에 비교하여 장식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구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구(10)가 적용된 차량(C)을 도시한 모식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I-I 선을 따라 얻어진 모식적인 단면도로서 차량용 등구(10)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화살표 A1에서 본 차량용 등구(10) 및 그 주변을 도시한 모식적인 설명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화살표 A2에서 본 차량용 등구(10) 및 그 주변을 도시한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는 파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아우터 렌즈(13)를 생략하였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1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C)의 실내 의 승무원 쪽에서 보았을 때 상하 방향을 U 및 D로, 좌우 방향(폭방향이라고도 함)을 L 및 R로, 전후 방향을 F 및 B로 나타내고, 이들 각 방향에 맞추어 설명한다.
차량용 등구(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C)의 도어 미러(DM)의 미러 하우징(MH)에 설치되어 있다. 도어 미러(DM)는 차량(C)의 주행시 등에는 미러 하우징(MH) 및 미러(M)(도 2 참조)가 차량(C)으로부터 대략 폭방향을 따라 일으켜세워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 미러 하우징(MH)의 길이 방향을 따라 차량용 등구(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어 미러(DM) 및 거기에 설치된 차량용 등구(10)는 차량(C)의 양측에서 쌍을 이루어 설치되어 있는데, 좌우 대칭인 것 이외에는 기본적으로 같은 구조이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차량(C)의 좌측의 도어 미러(DM)에 설치된 차량용 등구(10)에 대하여 설명하고, 우측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차량용 등구(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장척 형상을 이루는 하우징(11)을 가지며, 이 하우징(11)이 일으켜세워진 상태의 도어 미러(DM)의 미러 하우징(MH)의 전방측의 외표면을 따라(도 1 참조)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1)은 하우징 본체(12)와 아우터 렌즈(13)를 갖는다. 하우징 본체(12)는 미러 하우징(MH)에 매립되도록 부착 가능하게 된 장척의 그릇 형상을 이루며, 아우터 렌즈(13)의 장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아우터 렌즈(13)는 빛의 투과를 허용하는 부재로 형성된 장척의 덮개 형태를 이루며, 대략 미러 하우징(MH)의 외표면을 따르도록 만곡되어 있다. 아우터 렌즈(13)는 실시예 1에서는 내부가 훤히 들여다보이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후술하는 조사광의 조정을 위하여 프리즘 등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아우터 렌즈(13)는 하우징 본체(12)에의 장착에 의해 하우징 본체(12)와 협동하여 하우징(11)의 내방에 수용 공간(14)을 구성한다. 아우터 렌즈(13)는 실시예 1에서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하우징(11)은 미러 하우징(MH)의 내방에 아우터 렌즈(13)의 일부를 삽입하도록, 바꾸어 말하면, 아우터 렌즈(13)의 다른 부분이 미러 하우징(MH)의 외표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도 1 참조) 미러 하우징(MH)에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11)의 수용 공간(14)에는 구획벽(15)과, 4개의 LED(16)와, 4개의 부착 기판(17)과, 제어 기판(18)이 설치되어 있다.
구획벽(15)은 하우징 본체(12)의 내방에서 하우징 본체(12)를 상하 방향으로 건너지르면서 아우터 렌즈(13)를 따라 만곡되고, 수용 공간(14)을 미러 하우징(MH)의 내방에 위치하는 수용 공간 차폐부(14a)와 아우터 렌즈(13)에 면하는 수용 공간 노출부(14b)로 구획하고 있다.
구획벽(15)에는 4개의 개구부(19)과, 4개의 반사벽부(20)가 설치되어 있다. 4개의 개구부(19)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대략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상단에서부터 하단에 걸쳐 구획벽(15)을 개구시키고 있다(도 3 참조). 이 4개의 개구부(19)에 대응하여 4개의 반사벽부(20)가 설치되어 있다.
4개의 반사벽부(20)는 각각이 대응하는 개구부(19)의 차량(C) 측의 개구 가장자리 부분(19a)(도 2의 정면에서 보아 좌측)에 연속되며, 구획벽(15)과 마찬가지로 하우징 본체(12)를 상하 방향으로 건너지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4개의 반사벽부(20)는 대응하는 개구부(19)에 면하는 반사면(21)을 형성하고 있다. 이 각 반사 벽부(20)는 대응하는 개구부(19) 및 LED(16)의 위치 관계에 따라 크기 치수, 설치 위치 및 설치 각도 등이 설정되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구획벽(15)은 아우터 렌즈(13)에 면하는 외측면(15a)과 반사면(21)에 알루미늄이 증착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12) 중 아우터 렌즈(13)에 면하는 면(예컨대 수용 공간 노출부(14b)를 구성하는 측벽부(12a)(도 3 참조) 등)에는 알루미늄이 증착되어 있다.
4개의 개구부(19)에는 각각 LED(16)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4개의 LED(16)는 수용 공간 차폐부(14a)에 위치되어 있으며, 출사광이 반사면(21)을 향하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개구부(19)는 수용 공간 차폐부(14a)에 수용된 각LED(16)로부터의 출사광이 수용 공간 노출부(14b)로 진행하는 것을 허용하는 개구이며, 개구부(19)를 통과한 출사광이 반사면(21)에 이른다. 여기서, 실시예 1에서는 발광 강도가 피크값의 절반인 곳에 기초하여 빛의 출사 각도(소위 LED의 시야각)를 설정하고 있으며, 해당 출사 각도 내의 빛을 출사광으로서 취급하고 있다. 이 출사광으로서 취급하는 범위는 적당히 설정하면 되며, 실시예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4개의 LED(16)는 각각이 개별적으로 부착 기판(17)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4개의 부착 기판(17)은 하우징 본체(12)에 설치된 부착 대좌(12a)에 고정되며, 도시는 생략하지만 수용 공간 차폐부(14a)에 설치된 제어 기판(1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 기판(18)은 도시는 생략하지만, 차량(C)의 차실에 설치된 윙커 레버 등의 조작부에 이루어진 조작에 따라 LED(16)의 점등 제어를 행하기 위하여 각 부착 기판(17)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실시예 1에서는 제어 기판(18)은 조작부(도시 생략) 등에의 조작에 따라 각 LED(16)를 같은 타이밍에서 점멸시키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차량용 등구(10)를 방향 지시기로서 기능시킨다.
실시예 1의 차량용 등구(10)에서는 각 반사벽부(20), 각 개구부(19) 및 각 LED(16)가 이하의 (a)∼(d)의 요건을 만족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a) 4개의 LED(16) 및 반사벽부(20)의 반사면(21)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LED(16)로부터의 출사광이 반사면(21)을 조사하고, 반사면(21)을 조사한 출사광을 차량(C)의 좌측방에서 후좌측방까지의 영역에서 아우터 렌즈(13)의 내방측을 향하여 조사 영역을 넓히면서 반사하도록 서로의 위치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조사 영역을 넓힌다는 것은 광원의 출사 방향의 중심선(광축) 방향에서 본 실질적인 거리에서 본 같은 지점에 형성하는 조사 영역이 LED(16)로부터 직접 진행한 출사광에 비하여 반사광 쪽이 커지는 것을 말한다.
(b) 4개의 LED(16) 및 반사벽부(20)의 반사면(21)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된 출사광이 아우터 렌즈(13)의 내측면 상에 형성하는 조사 영역이 소정의 간격 이하로 인접하도록 서로의 위치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이는 유럽(법정 규준에 의해)에서는 단일의 등구만의 도어 미러(DM)에의 설치가 인정되고 있으며, 복수의 LED를 광원으로 하는 등구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조사 영역을 소정의 간격 이하로 함으로써 단일의 등구로 간주되는 것에 따른다.
(c) 차량(C)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LED(16)(도 5의 정면에서 보아 가장 우후측의 LED(16)) 및 그에 대응하는 반사벽부(20)의 반사면(21)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된 출사광이 아우터 렌즈(13)를 통하여 차량용 등구(10)의 외방을 조 사하는 조사광의 후단(전후 방향과의 각도가 가장 작은 곳)이 차량의 전후 방향에서 보아 소정의 각도 이하가 되도록 서로의 위치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이는 유럽(법정 규준에 의해)에서는 차량의 측방에 설치되는 등구를 방향 지시기로서 이용하는 경우, 차량용 등구(10)의 외방을 조사하는 조사광의 후단과 차량의 전후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소정의 각도 이하(유럽에서는 5(°) 이하, 미국에서는 30(°) 이하)일 것이 요구되는 것에 따른다.
(d) 각 반사벽부(20)는, 도 2 및 그 화살표 A2에서 본 설명도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에서(실시예 1에서는 화살표 A2에서) 보면, 각각이 대응하는 개구부(19) 및 거기에 설치되어 있는 LED(16)를 차폐하도록 서로의 위치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차량용 등구(10)에서는 아우터 렌즈(13)의 외방에 출사되는 조사광이 반사벽부(20)에 의해 각 LED(16)의 출사광보다 조사 영역이 넓혀진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고 있으므로, 조사광에서의 점등 상태의 각 LED(16)의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밝기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차량용 등구에 비교하여 점등 시의 장식성이 향상되어 있다.
또한 차량용 등구(10)에서는 조사광이 반사벽부(20)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고 있으므로, 반사벽부(20)가 형성하는 반사면(21)의 각도 및 형상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조사광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반사면(21)의 각도를 적당히 조정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밝기에 불균일이 없는 연속된 조사광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차량용 등구(10)에서는 반사벽부(20)가 각 LED(16)의 전방으로부터의 시인을 방지하고 있으므로, 비점등 시라도 각 LED(16)가 드러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차량용 등구에 비교하여 비점등 시의 장식성이 향상되어 있다.
차량용 등구(10)에서는 반사벽부(20)가 각 개구부(19)의 전방으로부터의 시인을 방지하고 있으므로, 비점등 시라도 각 개구부(19)가 드러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차량용 등구에 비교하여 비점등 시의 장식성이 향상되어 있다.
차량용 등구(10)에서는 비점등 시에 전방에서 보면 알루미늄이 증착된 구획벽(15)의 외측면(15a)만 시인되게 되므로, 뛰어난 장식성을 가지고 있다. 이로부터, 구획벽(15)은 하우징(11)의 수용 공간(14)의 수용 공간 차폐부(14a)를 눈가림하는 화장판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차량용 등구(10)에서는 (b)의 요건을 만족하고 있으므로, 장식성이 뛰어난 등구로서의 기능을 도어 미러(DM)에 구비시킬 수 있다.
차량용 등구(10)에서는 (b) 및 (c)의 요건을 만족하고 있으므로, 뛰어난 장식성을 갖는 방향 지시기로서 이용할 수 있다.
차량용 등구(10)에서는 하우징 본체(12) 중 아우터 렌즈(13)에 면하는 면에 알루미늄이 증착되어 있으며, 구획벽(15)의 외측면(15a) 및 반사면(21)에 알루미늄이 증착되어 있으므로, 아우터 렌즈(13)를 경유하여 외부로부터 시인되는 하우징(11)의 수용 공간(14)의 수용 공간 노출부(14b)가 알루미늄의 증착면으로 구성되 어 있게 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진입한 빛을 수용 공간 노출부(14b) 내에서 산란시키면서 아우터 렌즈(13)의 외방으로 반사하므로 외견의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점등 시에 수용 공간 노출부(14b) 내에서 산란되고 있는 빛을 아우터 렌즈(13)의 외방으로 유도할(반사시킬) 수 있으므로, 뛰어난 장식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차량용 등구(10)에 따르면, 아우터 렌즈(13)를 통하여 시인되는 조사광에 있어서 점등 상태의 각 LED(16)의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밝기의 불균일을 억제하면서, 비점등 시의 각 LED(16)의 시인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구(210)의 실시예 2를 도 6 내지 도 9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차량용 등구(10)에 있어서, 구획벽(215)의 구성 및 각 LED(16)의 부착의 구성이 다른 예이다. 따라서, 실시예 2의 차량용 등구(210)는 기본적으로 실시예 1의 차량용 등구(10)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이며, 같은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같은 작용에 대해서도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용 등구(210)에 있어서도 구획벽(215)은 실시예 1의 구획벽(15)과 마찬가지로, 하우징(211)의 수용 공간(14)을 수용 공간 차폐부(14a)와 수용 공간 노출부(14b)로 구획하도록 수용 공간(14) 내에서 하우징 본체(212)를 상하 방향으로 건너지르는 것인데, 개구부(219)의 구성이 실시예 1의 구획벽(15)과 다르다.
개구부(219)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서 본 대략 중앙 부분을 부분적으로 개구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반사벽부(220)는 개구부(219)에 적합한 높이 치수로 되며, 개구부(219)의 상단 가장자리 및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는 리브벽 부분(220a)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반사벽부(220)의 내방측(반사면(221)(도 6 및 도 9 참조)을 포함함) 및 구획벽(215)의 외측면(215a)에는 알루미늄이 증착되어 있다.
또한 차량용 등구(210)에서는 각 LED(16)가 부착되는 부착 기판(17)이 구획벽(215)의 뒷면측 즉 수용 공간 차폐부(14a) 측에서 구획벽(215)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차량용 등구(210)에서는 하우징 본체(212)에 부착 대좌(12a)(도 2 참조)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실시예 2의 차량용 등구(210)에서는 실시예 1의 차량용 등구(10)와 마찬가지로, 아우터 렌즈(13)의 외방에 출사되는 조사광이 반사벽부(220)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 형성되고 있으므로(도 9 참조), 조사광에서의 점등 상태의 각 LED(16)의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밝기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등구(210)에서는 실시예 1의 차량용 등구(10)와 마찬가지로, 반사벽부(220)가 형성하는 반사면(221)의 각도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조사광을 조절할 수 있다.
더욱이, 차량용 등구(210)에서는 실시예 1의 차량용 등구(10)와 마찬가지로, 반사벽부(220)에 의해 비점등 시라도 각 LED(16)가 드러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8 참조).
차량용 등구(210)에서는 실시예 1의 차량용 등구(10)와 마찬가지로, 반사벽부(220)에 의해 비점등 시라도 각 개구부(219)가 드러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8 참조).
차량용 등구(210)에서는 비점등 시에 전방에서 보면, 실시예 1의 차량용 등구(10)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이 증착된 구획벽(215)의 외측면(215a)만이 시인되게 되므로, 뛰어난 장식성을 가지고 있다(도 8 참조).
차량용 등구(210)에서는 실시예 1의 차량용 등구(10)와 마찬가지로, 장식성이 뛰어난 등구로서의 기능을 도어 미러(DM)에 구비시킬 수 있다.
차량용 등구(210)에서는 실시예 1의 차량용 등구(10)와 마찬가지로, 뛰어난 장식성을 갖는 방향 지시기로서 이용할 수 있다.
차량용 등구(210)에서는, 실시예 1의 차량용 등구(10)와 마찬가지로, 아우터 렌즈(13)를 경유하여 외부로부터 시인되는 하우징(11)의 수용 공간(14)의 수용 공간 노출부(14b)가 알루미늄의 증착면으로 구성되어 있게 되므로, 뛰어난 장식성을 가지고 있다(도 7 및 도 8 참조).
차량용 등구(210)에서는 반사벽부(220)가 설치된 구획벽(215)에 각 LED(16)가 부착된 부착 기판(17)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각 반사면(221)과 각 LED(16)의 배치 관계를 적절하게 할 수 있다. 이는 하우징 본체(212)에 부착 기판(17)이 고정되는 경우, 구획벽(215)의 하우징 본체(212)에의 부착 위치에 제품마다 개체차가 발생하여 하우징 본체(212)와 구획벽(215)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에 따른다.
따라서, 실시예 2의 차량용 등구(210)에 따르면, 아우터 렌즈(13)를 통하여 시인되는 조사광에 있어서 점등 상태의 각 LED(16)의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밝기의 불균일을 억제하면서 비점등 시의 각 LED(16)의 시인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반사된 출사광이 아우터 렌즈(13)의 내측면 상에 형성하는 조사 영역이 소정의 간격 이하로 인접하도록 4개의 LED(16)와 반사벽부(20)의 반사면(21)과의 위치 관계가 설정되었으나(상기한 (b)의 요건), 복수의 LED를 갖는 광원을 단일의 등구로 간주하기 위한 규준(법정 규준)이 다르면 적당히 변경할 수도 있으며, 해당 규준을 클리어할 필요가 없는 것이면 (b)의 요건을 만족할 필요는 없고, 상기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반사된 출사광이 아우터 렌즈(13)를 통하여 차량용 등구(10)의 외방을 조사하는 조사광의 후단이 차량의 전후 방향에서 보아 소정의 각도 이하가 되도록 차량(C)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LED(16) 및 그에 대응하는 반사벽부(20)의 반사면(21)과의 위치 관계가 설정되었으나(상기한 (c)의 요건), 방향 지시기로서 이용하지 않는 경우 또는 방향 지시기로서 이용하기 위한 규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c)의 요건을 만족할 필요는 없으며, 상기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도어 미러(DM)의 미러 하우징(MH)에 설치되었으나, 차량(C)의 측방을 조사광으로 조사하는 것이면 되며, 상기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반사벽부(20, 220)는 전방에서 보아 개구부(19, 219)를 차폐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대응하는 LED(16)를 차폐하는 것이면 개구부(19, 219)를 차폐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상기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는 구획벽(15, 215)이 설치되었으나, (a) 및 (d)의 요건을 만족하는 위치 관계로 LED(16) 및 반사벽부(20, 220)가 설치되어 있으면 되며, 상기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실시예 1의 차량용 등구(10)에서는 부착 기판(17)이 하우징 본체(12)에 고정되었으나, 실시예 2의 차량용 등구(210)와 같이 구획벽(15)에 고정 장착하는 구성일 수도 있으며, 실시예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실시예 2의 차량용 등구(210)에서는 부착 기판(17)이 구획벽(215)에 고정되었으나, 실시예 1의 차량용 등구(10)와 같이 하우징 본체(212)에 고정 장착하는 구성일 수도 있으며, 실시예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구가 적용된 차량을 도시한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Ⅰ-Ⅰ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로서,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등구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화살표 A1에서 본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화살표 A2에서 본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도 5는 각 LED로부터의 출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조사광을 도시한 도 2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I-I 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로서, 실시예 1에 따른 차량용 등구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도 3과 동일한 도 6에 도시한 화살표 A3에서 본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3과 동일한 도 6에 도시한 화살표 A4에서 본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도 9는 각 LED로부터의 출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조사광을 도시한 도 6과 동일한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210 : 차량용 등구 11, 211 : 하우징
12, 212 : 하우징 본체 13 : 아우터 렌즈
14 : 수용 공간 14a : 수용 공간 차폐부
14b : 수용 공간 노출부 15, 215 : 구획벽
16 : (광원으로서의) LED 19, 219 : 개구부
20, 220 : 반사벽부 21, 221 : 반사면
C : 차량 DM : 도어 미러
MH : 미러 하우징

Claims (5)

  1. 차량의 측면에 설치된 아우터 렌즈와 하우징 본체를 갖는 하우징의 내방에 광원이 수용되고,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이 상기 아우터 렌즈를 통하여 출사됨으로써 상기 차량의 측방을 조사하는 조사광을 형성하는 차량용 등구로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아우터 렌즈와 상기 하우징 본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광원이 수용된 수용 공간을 상기 아우터 렌즈에 면하는 수용 공간 노출부와 상기 광원을 차폐하면서 수용하는 수용 공간 차폐부로 구획하는 구획벽이 설치되고,
    이 구획벽에는 상기 수용 공간 차폐부에 수용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의 상기 수용 공간 노출부로의 진행을 허용하는 개구부와,
    이 개구부를 경유한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을 조사 영역이 넓어지도록 상기 차량의 측방을 향해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가지며,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른 전방으로부터의 상기 광원의 시인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광원을 차폐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 노출부에 연장되는 반사벽부가 설치되고,
    상기 조사광은 상기 반사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이 상기 아우터 렌즈를 통하여 출사됨으로써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벽부는 상기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른 전방으로부터의 상기 개구부의 시인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 노출부에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복수의 상기 광원이 수용되고, 상기 반사벽부 및 상기 개구부는 상기 각 광원에 개별적으로 대응하여 복수 개 설치되고, 이 각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의 반사광이 상기 아우터 렌즈 상에 형성하는 조사 영역이 소정의 간격으로 인접하도록 위치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차량에 설치된 도어 미러의 미러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사면 중 상기 차량으로부터 가장 많이 이간된 상기 반사면은 상기 조사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차량의 후측방으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을 상기 차량의 후측방으로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구.
KR1020070088949A 2006-10-20 2007-09-03 차량용 등구 KR1009595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86442 2006-10-20
JP2006286442A JP4631838B2 (ja) 2006-10-20 2006-10-20 車両用灯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958A KR20080035958A (ko) 2008-04-24
KR100959550B1 true KR100959550B1 (ko) 2010-05-27

Family

ID=38959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949A KR100959550B1 (ko) 2006-10-20 2007-09-03 차량용 등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08438B2 (ko)
EP (1) EP1914116A3 (ko)
JP (1) JP4631838B2 (ko)
KR (1) KR100959550B1 (ko)
CN (1) CN1011653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7634A1 (en) 2007-05-03 2008-11-13 Donnelly Corporation Illumination module for a vehicle
JP5238411B2 (ja) * 2008-08-28 2013-07-1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US8764256B2 (en) * 2010-10-01 2014-07-01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Vehicle exterior mirror system with light module
US10576896B2 (en) * 2010-10-01 2020-03-03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Vehicle exterior mirror system with light module
JP2012204168A (ja) * 2011-03-25 2012-10-22 Toyoda Gosei Co Ltd 車両用前照灯
JP2012206597A (ja) * 2011-03-29 2012-10-25 Ichikoh Ind Ltd ドアミラー用灯具
JP5630360B2 (ja) * 2011-03-31 2014-11-26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
JP2012243493A (ja) * 2011-05-18 2012-12-10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信号灯
EP2671756B1 (en) * 2012-06-08 2022-01-19 LG Innotek Co., Ltd. Lamp unit and vehicle using the same
US9194566B2 (en) 2012-06-08 2015-11-24 Lg Innotek Co., Ltd. Lamp unit and vehicle lamp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080610B1 (ko) 2012-11-14 2020-02-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램프 및 그를 이용한 차량 램프 장치
JP2014150024A (ja) * 2013-02-04 2014-08-21 Koito Mfg Co Ltd 車輌用灯具
US9487142B2 (en) * 2013-06-25 2016-11-08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Rearview mirror assembly for vehicle
DE102015117487A1 (de) * 2015-10-14 2017-04-20 Osram Oled Gmbh Optoelektronisches Modu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ptoelektronischen Moduls
DE102016212527B4 (de) 2016-07-08 2019-08-08 Magna Mirrors Holding Gmbh Blinkeinheit für einen Außenspiegel
FR3056705B1 (fr) 2016-09-28 2020-07-24 Valeo Vision Module d'emission lumineuse a commande ameliore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3056678B1 (fr) * 2016-09-28 2020-07-24 Valeo Vision Module d'emission lumineuse ameliore pour vehicule automobile
DE112018002995T5 (de) * 2017-06-13 2020-02-27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Fahrzeugaussensystem mit lichtmodul
CN113631858B (zh) * 2019-04-01 2023-09-22 株式会社小糸制作所 车辆用灯具
CN112781008B (zh) * 2021-01-14 2022-03-25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中空效果的车灯结构及车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5325A (ko) * 2003-12-24 2005-06-29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US20050243569A1 (en) 2000-07-12 2005-11-03 Alejandro Rodriguez Barros Rear view side mirror with signals emitter device
JP2006164908A (ja) 2004-12-10 2006-06-22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5839U (ko) * 1985-04-04 1986-10-15
JPH0318285Y2 (ko) * 1986-04-10 1991-04-17
US5278731A (en) * 1992-09-10 1994-01-11 General Electric Company Fiber optic lighting system using conventional headlamp structures
DE4417695C2 (de) * 1994-05-20 1998-01-29 Reitter & Schefenacker Gmbh Kraftfahrzeugleuchte
DE29702746U1 (de) * 1997-02-18 1997-04-03 Reitter & Schefenacker Gmbh Außenrückblickspiegel für Fahrzeuge, vorzugsweise für Kraftfahrzeuge
DE19933724A1 (de) * 1999-07-19 2001-02-01 Fer Fahrzeugelektrik Gmbh Seitenblinkleuchte
EP1077344A3 (de) 1999-08-16 2004-01-28 FER Fahrzeugelektrik GmbH Leuchte
DE60040453D1 (de) * 2000-01-21 2008-11-20 Stanley Electric Co Ltd Signalleuchte für Kraftfahrzeuge
DE20001407U1 (de) 2000-01-27 2000-03-16 Reitter & Schefenacker Gmbh Außenrückblickspiegel für Fahrzeuge, vorzugsweise für Kraftfahrzeuge
JP2002075025A (ja) * 2000-08-25 2002-03-15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led灯具
JP4144170B2 (ja) 2000-09-08 2008-09-03 市光工業株式会社 ドアミラー用のサイドターンランプ
US6637917B2 (en) * 2000-10-04 2003-10-28 Fer Fahrzeugelektrik Gmbh Side flashing lamp
FR2820273B1 (fr) * 2001-01-29 2006-07-28 Koito Mfg Co Ltd Diode photoemissive et lampe a diodes pour automobile
US6637921B2 (en) * 2001-09-28 2003-10-28 Osram Sylvania Inc. Replaceable LED bulb with interchangeable lens optic
US6846100B2 (en) 2002-02-25 2005-01-25 Norifumi Imazeki Lighting fixture for vehicles
JP3998999B2 (ja) 2002-03-06 2007-10-3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DE10211189A1 (de) * 2002-03-14 2003-10-09 Schefenacker Vision Systems Leuchteinheit, insbesondere als Zusatzeinheit in Außenrückblickspiegeln von Kraftfahrzeugen
US6769796B1 (en) * 2002-03-21 2004-08-03 Melvin G. Trammell Collapsible decorative star
US6796698B2 (en) 2002-04-01 2004-09-28 Gelcore, Llc Light emitting diode-based signal light
US6769798B2 (en) 2002-04-11 2004-08-03 E'sam Co.,. Ltd. Side mirror cover and cover lamp to be used therefor
JP4153370B2 (ja) 2002-07-04 2008-09-24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2004210236A (ja) * 2003-01-08 2004-07-29 Ichikoh Ind Ltd アウターミラーハウジングおよびアウターミラーカバー
US6758582B1 (en) * 2003-03-19 2004-07-06 Elumina Technology Incorporation LED lighting device
JP4468662B2 (ja) * 2003-07-30 2010-05-26 サカエ理研工業株式会社 ターンシグナルランプ付きドアミラー装置
JP2005190716A (ja) * 2003-12-24 2005-07-14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WO2005078338A1 (en) 2004-02-17 2005-08-25 Kelly William M A utility lamp
US7513664B2 (en) * 2004-05-10 2009-04-07 Ichikoh Industries, Ltd. Outside mirror apparatus including lighting device for vehicle
US7607808B2 (en) 2004-06-16 2009-10-27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Instrument panel housing with light diffuser
DE102005012104A1 (de) * 2005-03-10 2006-09-14 Schefenacker Vision Systems Germany Gmbh Gehäuse, insbesondere Spiegelgehäuse
US7293908B2 (en) 2005-10-18 2007-11-13 Goldeneye, Inc. Side emitting illumination systems incorporating light emitting diod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43569A1 (en) 2000-07-12 2005-11-03 Alejandro Rodriguez Barros Rear view side mirror with signals emitter device
KR20050065325A (ko) * 2003-12-24 2005-06-29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JP2006164908A (ja) 2004-12-10 2006-06-22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65392A (zh) 2008-04-23
EP1914116A3 (en) 2009-04-01
US7708438B2 (en) 2010-05-04
EP1914116A2 (en) 2008-04-23
KR20080035958A (ko) 2008-04-24
JP4631838B2 (ja) 2011-02-16
US20090073709A1 (en) 2009-03-19
CN101165392B (zh) 2010-08-18
JP2008100653A (ja) 200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550B1 (ko) 차량용 등구
CN108087838B (zh) 车辆用灯具
KR101268814B1 (ko) 차량 미러 조립체용 방향 지시등 모듈 및 방향 지시등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미러 조립체
JP4413764B2 (ja) 車両用灯具
EP2693105B1 (en) Vehicle lighting unit
US10436406B2 (en) Vehicle lamp fitting
US9248776B2 (en) Vehicular light unit with multiple light sources
US20070177397A1 (en)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EP2127947B1 (en) Vehicle lighting apparatus
JP6795929B2 (ja) 車両用前照灯
JP6609135B2 (ja) 車両用リア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
EP1442930B1 (en) Exterior mirror with light
KR102109910B1 (ko) 차량용 전조등
US20070236930A1 (en) Vehicle lighting device
EP2075501B1 (en) Vehicle headlamp
JP3904811B2 (ja) 車両用灯具
JP6760792B2 (ja) 車両用前照灯
JP2022127302A (ja) 車両用灯体装置
JP5124386B2 (ja) 車輌用灯具
EP2320130A1 (en) Projector type headlight
EP3657069B1 (en) Vehicle light
JP6963934B2 (ja) 車両用灯具
JP2018026247A (ja) 車両用前照灯
US11754251B2 (en) Vehicular lamp
JP4277780B2 (ja) 車両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