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7142B1 - 에너 클리너 흡기 덕트 - Google Patents

에너 클리너 흡기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7142B1
KR100957142B1 KR1020070076496A KR20070076496A KR100957142B1 KR 100957142 B1 KR100957142 B1 KR 100957142B1 KR 1020070076496 A KR1020070076496 A KR 1020070076496A KR 20070076496 A KR20070076496 A KR 20070076496A KR 100957142 B1 KR100957142 B1 KR 100957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air cleaner
intake duct
diamete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569A (ko
Inventor
최원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6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142B1/ko
Priority to CN2007101941568A priority patent/CN101358568B/zh
Priority to US11/950,634 priority patent/US7520258B2/en
Priority to DE102007058938.9A priority patent/DE102007058938B4/de
Publication of KR20090012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4Combined air cleaners and silenc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06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elements of the air intake system in direction of the air intake flow, i.e. between ambient air inlet and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 F02M35/10013Means upstream of the air filter; Connection to the ambien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62Flow guides, obstructions, deflecto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314Materials for intake systems
    • F02M35/10321Plastics; Composites; Rub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05Flow throttling or guiding
    • F02M35/1211Flow throttling or guiding by using inserts in the air intake flow path, e.g. baffles, throttles or orifices; Flow gu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Supercharger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생산 단가가 낮고 소음과 진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는 흡기 공기가 유입되는 제1 관; 상기 제1 관을 감싸며, 상기 제1 관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제2 관; 및 상기 제1 관과 에어 클리너를 연결하는 디퓨저; 를 포함한다.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 레조네이터,

Description

에너 클리너 흡기 덕트 {AIR CLEANER INHALE DUCT}
본 발명은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 클리너로 유입되는 공기가 소음이나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구비되는 엔진은 연료와 혼합되는 공기를 필요로 하고, 공기는 에어클리너에 의하여 정화되어 연료와 혼합된다. 도4를 참조하면, 에어 클리너(500)로 유입되는 공기는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400)를 통해 유입된다.
일반적으로,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400)는 어쿠스틱 덕트(Acoustic Duct)(410)와 상기 어쿠스틱 덕트(410)를 감싸는 폴리우레탄 덕트(Polyurethane Duct)(420)를 포함한다.
또한, 진동 방지를 위한 인슐레이터(Insulator)(430)와 열 차단을 위한 쉴드 덕트(Shield Duct)(440)와 디퓨저(Diffuser)(460), 고정을 위한 스트랩(Strap)(450)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인 에어 클리너 덕트에서 상기 어쿠스틱 덕트(410)은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져 흡압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에어 클리너 덕트는 부품수가 많아 작업 공정이 많이 필요하고 생산 단가가 높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흡기 유입이 원활하고 흡기 부압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소음 발생이 억제될 수 있는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홀, 제1 관의 지름 또는 입구부의 간단한 설계변경을 통하여 다양한 영역대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부품수를 줄여 생산 단가를 낮추고 중량을 작은 있는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는 흡기 공기가 유입되는 제1 관, 상기 제1 관을 감싸며, 상기 제1 관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제2 관 및 상기 제1 관과 에어 클리너를 연결하는 디퓨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은 상기 디퓨저와의 사이에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에 상기 제2 관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 관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입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제2 관의 지름이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지름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구부의 최소 지름과 상기 제1 관의 지름은 제1 설정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관과 상기 제2 관의 최소지름을 갖는 부분은 제2 설정길이로 이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에는 소음 감소를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저의 지름은 상기 제1 관의 지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디퓨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는 폴리 프로필렌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는 흡기 유입이 원활하고 흡기 부압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소음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홀, 제1 관의 지름 또는 입구부의 간단한 설계변경을 통하여 다양한 영역대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에 비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 전체의 중량을 감소 시킬 수 있다.
전체 구성을 폴리 프로필렌으로 하여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 표면을 매끈하 게 할 수 있고 흡압 감소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Ⅱ-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1의 구성 중 제1 관과 디퓨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100)는 에어 클리너(10)와 연결된다.
상기 클리너 흡기 덕트(100)는 흡기 공기가 유입되는 제1 관(110)과 상기 제1 관(110)을 감싸며 상기 제1 관(110)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제2 관(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관(110)과 에어 클리너(10) 사이에는 디퓨저(1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관(110)은 상기 디퓨저(130)와의 사이에 연결부(140)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140)에 상기 제2 관(120)이 결합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관(120)은 제1 부분(121)과 제2 부분(122)을 포함하는 입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부분(121)은 상기 제2 관(120)의 지름이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122)은 상기 제1 부분(121)으로부터 지름이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부분(121)과 상기 제2 부분(120)의 형상에 따라 흡기 공기 유입이 원활해지고 흡기 부압 발생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소음 발생도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입구부의 최소 지름과 상기 제1 관(110)의 지름은 제1 설정길이(d1)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소음감쇄 효과와 흡기 압력은 반비례한다. 즉, 소음감쇄효과가 크면 흡압(inhale pressure)이 작아지고, 소음감쇄 효과가 작으면 흡압이 커진다.
소음감쇄 효과와 흡압의 최적의 관계는 상기 입구부의 최소 지름과 상기 제1 관(110)의 지름이 같은 경우 얻을 수 있음이 실험을 통해 확인 되었다.
또한, 실험을 통해 상기 지름은 48.5mm에서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실험치는 엔진의 종류나 용량에 따라 상기 제1 관(110)의 지름을 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110)과 상기 제2 관(122)의 최소지름을 갖는 부분은 제2 설정길이(d2)로 이격 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관(110)과 상기 제2 관(122)의 최소지름을 갖는 부분은 일정한 갭(gap)으로 이격 되어 있다.
실험을 통해 상기 갭이 8mm인 경우 100Hz 영역대의 소음이 저감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갭의 크기는 엔진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의 영역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40)에는 소음 감소를 위한 홀(150)이 형성된다.
상기 홀(150)은 레조네이터(resonator)의 역할을 하여 소음을 저감시킨다.
상기 홀(150)의 크기와 모양, 개수 등은 엔진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저(130)의 지름은 상기 제1 관(11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하며, 소음감소 효과와 흡압을 적정하게 유지 할 수 있다.
상기 제1 관(110), 상기 연결부(140) 및 상기 디퓨저(1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로 상기 제1 관(110), 상기 연결부(140) 및 상기 디퓨저(130)를 형성하여 부품수가 줄고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상기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110) 전체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110)는 폴리 프로필렌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직포 재질의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는 흡압이 감소하여 엔진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폴리 프로필렌에 의한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는 표면이 매끈하여 흡압 감소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의 Ⅱ-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1의 구성 중 제1 관과 디퓨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4는 종래 기술에 의한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에어 클리너 100: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
110: 제1 관 120: 제2 관
121: 제1 부분 122: 제2 부분
130: 디퓨저 140: 연결부
150: 홀

Claims (12)

  1. 흡기 공기가 유입되는 제1 관;
    상기 제1 관을 감싸며, 상기 제1 관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된 제2 관; 및
    상기 제1 관과 에어 클리너를 연결하는 디퓨저;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관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입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관의 지름이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지름이 증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
  2. 제1항에서,
    상기 제1 관은 상기 디퓨저와의 사이에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에 상기 제2 관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입구부의 최소 지름과 상기 제1 관의 지름은 제1 설정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 클리너 흡기 덕트
  5. 제4항에서,
    상기 제1 관과 상기 제2 관의 최소지름을 갖는 부분은 제2 설정길이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
  6. 제2항에서,
    상기 연결부에는 소음 감소를 위한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
  7.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의 지름은 상기 제1 관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흡기 덕트.
  8. 제2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디퓨저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 클리너 흡기 덕트.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는 폴리 프로필렌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클리너 흡기 덕트.
KR1020070076496A 2007-07-30 2007-07-30 에너 클리너 흡기 덕트 KR100957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496A KR100957142B1 (ko) 2007-07-30 2007-07-30 에너 클리너 흡기 덕트
CN2007101941568A CN101358568B (zh) 2007-07-30 2007-12-05 空气过滤器的进气管
US11/950,634 US7520258B2 (en) 2007-07-30 2007-12-05 Air cleaner intake duct
DE102007058938.9A DE102007058938B4 (de) 2007-07-30 2007-12-07 Luftreinigungs-Einlasska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496A KR100957142B1 (ko) 2007-07-30 2007-07-30 에너 클리너 흡기 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569A KR20090012569A (ko) 2009-02-04
KR100957142B1 true KR100957142B1 (ko) 2010-05-11

Family

ID=40176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496A KR100957142B1 (ko) 2007-07-30 2007-07-30 에너 클리너 흡기 덕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520258B2 (ko)
KR (1) KR100957142B1 (ko)
CN (1) CN101358568B (ko)
DE (1) DE102007058938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04630B4 (de) 2011-06-06 2013-03-21 Mann + Hummel Gmbh Adsorptionseinheit und Absorptionsschalldämpfer eines Ansaugtrakts einer Brennkraftmaschine
ITMO20130347A1 (it) * 2013-12-17 2015-06-18 Cnh Italia Spa Condotto di aspirazione aria per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di un veicolo agricolo.
US9404451B2 (en) * 2014-04-11 2016-08-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utomotive air cleaner elements with attachment/insulation fea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0265A (ja) 1983-08-31 1985-03-19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吸気騒音低減装置
KR19980034475U (ko) * 1996-12-10 1998-09-15 박병재 흡기 소음 감소 구조
JP2001132567A (ja) * 1999-11-02 2001-05-15 Toyo Roki Mfg Co Ltd 吸気装置
KR20050121805A (ko) * 2004-06-23 2005-12-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물질 유입량을 줄여주는 흡기덕트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56989A (fr) * 1963-04-05 1964-04-03 Citroen Sa Andre Filtre à air constituant simultanément un silencieux à résonateurs pour l'air aspiré dans les moteurs à combustion
GB2111122B (en) * 1981-12-08 1985-03-27 Volzh Ob Proizv Silencer arrangement at the inlet of an i.c. engine air cleaner
US4713097A (en) * 1987-02-27 1987-12-15 Ford Motor Company Integrated engine air cleaner and venturi resonator
US4790864A (en) * 1987-12-16 1988-12-13 Ford Motor Company Compact engine air/cleaner with integrated components
US4826517A (en) * 1988-04-29 1989-05-02 Bendix Electronics Limited Disposable air cleaner with one piece housing
US5059221A (en) * 1989-08-15 1991-10-22 Siemens-Bendix Automotive Electronics Limited Integrated air cleaner assembly
DE19501411A1 (de) * 1995-01-19 1996-07-25 Mann & Hummel Filter Ansaugvorrichtung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DE59702642D1 (de) * 1996-06-03 2000-12-21 Mann & Hummel Filter Luftdurchströmungsvorrichtung
JP3787915B2 (ja) * 1996-09-04 2006-06-21 豊田合成株式会社 内燃機関の吸気管
JP3420471B2 (ja) * 1997-07-22 2003-06-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吸気消音装置
DE19902951A1 (de) * 1999-01-26 2000-07-27 Mann & Hummel Filter Ansaugvorrichtung mit einem Leitungsabschnitt zur Dämpfung des Ansauggeräusches
JP2001059458A (ja) * 1999-06-16 2001-03-06 Aichi Mach Ind Co Ltd 内燃機関用吸気マニホールド
DE19943467B4 (de) * 1999-09-10 2005-09-01 Mann + Hummel Gmbh Filter mit ebenem Filtereinsatz
US6347609B1 (en) * 1999-10-12 2002-02-19 Siemens Canada Limited Wedge section multi-chamber resonator assembly
DE19956172C5 (de) * 1999-11-23 2010-09-23 Umfotec Gmbh Doppelkammerdämpfer
DE19957597B4 (de) * 1999-11-30 2006-05-04 Umfotec Gmbh Anordnung von Strömungsdämpfern für Turboladermotoren
US6463901B1 (en) * 2000-03-28 2002-10-15 Brendan R. Cuddihee, Sr.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air intake for fuel injection engines
EP1176355A3 (en) * 2000-07-28 2003-05-28 Trelleborg Ab Noise attenuation arrangements for pressurised-gas conduits
DE10143429A1 (de) * 2001-09-05 2003-04-03 Mann & Hummel Filter Luftfilter-Ansaugkombination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US6684842B1 (en) * 2002-07-12 2004-02-0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ulti-chamber resonator
US6899081B2 (en) * 2002-09-20 2005-05-3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Flow conditioning device
FR2849114B1 (fr) * 2002-12-23 2007-04-13 Renault Sa Dispositif d'attenuation des bruits sur un circuit d'admission d'air
US7093589B2 (en) * 2004-01-08 2006-08-22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increasing induction air flow rate to a turbocharger
FR2881191B1 (fr) * 2005-01-25 2010-10-15 Renault Sas Dispositif de suralimentation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comprenant une chambre d'amortissement des pulsations
DE102005005865B4 (de) * 2005-02-09 2021-04-08 Umfotec Gmbh Vorrichtung zur Luftschallabsenkung von Strömungsgeräuschen
JP4684041B2 (ja) * 2005-08-03 2011-05-1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JP4640188B2 (ja) 2006-01-18 2011-03-02 三菱電機株式会社 面状光源装置
JP4254812B2 (ja) * 2006-05-30 2009-04-1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ダ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0265A (ja) 1983-08-31 1985-03-19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吸気騒音低減装置
KR19980034475U (ko) * 1996-12-10 1998-09-15 박병재 흡기 소음 감소 구조
JP2001132567A (ja) * 1999-11-02 2001-05-15 Toyo Roki Mfg Co Ltd 吸気装置
KR20050121805A (ko) * 2004-06-23 2005-12-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물질 유입량을 줄여주는 흡기덕트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20258B2 (en) 2009-04-21
DE102007058938B4 (de) 2021-03-25
US20090031980A1 (en) 2009-02-05
KR20090012569A (ko) 2009-02-04
DE102007058938A1 (de) 2009-02-05
CN101358568B (zh) 2012-08-22
CN101358568A (zh) 200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9718A (ko) 진공 청소기의 배기 유로를 길게한 흡음방
JP2007298027A (ja) フィルタマフラ
KR100957142B1 (ko) 에너 클리너 흡기 덕트
CN109247877B (zh) 吸尘器及其电机模组
JP2008014222A (ja) 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KR101491968B1 (ko) 소음 저감 구조의 산업용 진공청소기
JP2010270662A (ja) 通気ダクト
JP2017198130A (ja) 消音器付き通気ダクト
JP2018080685A (ja) 消音装置
JPH09324711A (ja) 吸気用サイレンサー
JP2006335125A (ja) 空調装置のダクト
JP4700566B2 (ja) トラクタ
JP6089749B2 (ja) ガスケット
JP2011113697A (ja) 燃料電池用空気供給システム
JP6169035B2 (ja) 燃料電池車の排気音の消音構造
JP2014025399A (ja) 吸気ダクト
JP6646033B2 (ja) 消音装置
JP5859371B2 (ja) 消音器付き吸気ダクト
KR100820703B1 (ko) 레조네이터
KR100501567B1 (ko) 압축기용 소음기
TWI392838B (zh) 消音箱結構
KR100767536B1 (ko) 자동차 흡기계소음 저감용 에어덕트 구조
JP4233279B2 (ja) インテークダクト
JP3968065B2 (ja) 気体流路の減音装置及び気体流路の減音設備
CN218407642U (zh) 一种管路结构、发动机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