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797B1 -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 - Google Patents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797B1
KR100956797B1 KR1020090111984A KR20090111984A KR100956797B1 KR 100956797 B1 KR100956797 B1 KR 100956797B1 KR 1020090111984 A KR1020090111984 A KR 1020090111984A KR 20090111984 A KR20090111984 A KR 20090111984A KR 100956797 B1 KR100956797 B1 KR 100956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roller
plate
pad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철
이상의
김형재
Original Assignee
(주)자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비스 filed Critical (주)자비스
Priority to KR1020090111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7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 B65H26/02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responsive to presence of irregularities in runn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4Article strippers, e.g. for stripping from advanc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65H43/04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detecting, or responding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48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positively actuated mov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7/00Means for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51/00 - B65H2555/00
    • B65H2557/50Use of particular electromagnetic waves, e.g. light, radiowaves or microwaves
    • B65H2557/518X-ra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는 본체 내부에 롤형 판상패드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서 엑스레이를 조사하는 엑스레이튜브와, 상기 컨베이어의 하부에 구성되는 디텍터로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각각 구성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기 가이드롤러의 안쪽으로 하부에 구성되는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와 맞물려 상부에서 각각 판상패드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엑츄에이터 또는 스프링에 의하여 수직으로 롤러가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파지롤러와, 상기 컨베이어의 입구측의 외측에는 롤형의 판상패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공급롤러와, 상기 컨베이어의 출구측의 외측에는 상기 컨베이어에서 이송되어 배출되는 롤형의 판상패드를 모터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감아서 적재하도록 구성된 적재롤러가 구성되어, 기계적 오차에 의하여 측정값이 정밀하지 못함으로 측정시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스위치의 수량 및 판별기록을 일일이 하지 않아도 되고 지그(jig) 교체 등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기 때문에 양/불량을 확인하는 검사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특히 다층구조를 갖거나 내부의 이물질 여부등을 파악할 수 있어, 검사부위에 대하여 정밀도 및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90111984
키패드돔, 판상패드, 엑스레이검사장치, x-ray, 엑스레이, 돔스위치,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

Description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X-ray inspection apparatus for board shaped pad}
본 발명은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 내부에 롤형 판상패드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서 엑스레이를 조사하는 엑스레이튜브와, 상기 컨베이어의 하부에 구성되는 디텍터로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각각 구성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기 가이드롤러의 안쪽으로 하부에 구성되는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와 맞물려 상부에서 각각 판상패드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엑츄에이터 또는 스프링에 의하여 수직으로 롤러가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파지롤러와, 상기 컨베이어의 입구측의 외측에는 롤형의 판상패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공급롤러와, 상기 컨베이어의 출구측의 외측에는 상기 컨베이어에서 이송되어 배출되는 롤형의 판상패드를 모터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감아서 적재하도록 구성된 적재롤러가 구성되어, 기계적 오차에 의하여 측정값이 정밀하지 못함으로 측정시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스위치의 수량 및 판별기록을 일일이 하지 않아도 되고 지그(jig) 교체 등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기 때문에 양/불량을 확인하는 검사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특히 다층구조를 갖거나 내 부의 이물질 여부등을 파악할 수 있어, 검사부위에 대하여 정밀도 및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과 같은 전기 및 전자제품에는 키패드 돔 스위치와 같은 판상패드형의 스위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제품의 제조공정에서는 스위치의 정상작동여부 및 양/불량 등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태를 검사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검사방법으로 목시검사 또는 외관검사장치가 있었으며, 종래의 키패드돔 스위치 등과 같은 판상패드형 스위치 검사기는 다수개의 탐침이 직접 스위치에 기계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측정된 측정값과 정상인 부분과 비정상인 부분의 측정값을 비교하여 이상유무를 검사하는 방법 등이 있었으나, 이는 기계적 오차에 의하여 측정값이 정밀하지 못함으로 측정시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스위치의 수량 및 판별기록을 일일이 하여야 하였기 때문에 검사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지그(jig) 교체 등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기 때문에 양/불량을 쉽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검사부위에 대하여 입체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입사각을 얻기가 어려워 검사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다층구조를 갖거나 내부의 이물질 여부등을 파악할 수 없어 정밀한 검측이 방해받을 뿐만 아니라 정밀도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체 내부에 롤형 판상패드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서 엑스레이를 조사하는 엑스레이튜브와, 상기 컨베이어의 하부에 구성되는 디텍터로 구성되어, 피측정물이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고 상기 엑스레이튜브에서 엑스레이를 조사하여 상기 디텍터로 촬상하여 피측정물을 검사하는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각각 구성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기 가이드롤러의 안쪽으로 하부에 구성되는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와 맞물려 상부에서 각각 판상패드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엑츄에이터 또는 스프링에 의하여 수직으로 롤러가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파지롤러와, 상기 컨베이어의 입구측의 외측에는 롤형의 판상패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공급롤러와, 상기 컨베이어의 출구측의 외측에는 상기 컨베이어에서 이송되어 배출되는 롤형의 판상패드를 모터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감아서 적재하도록 구성된 적재롤러가 구성되는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에서 검사를 거쳐 이송된 판상패드가 나오는 출구측에, 이송컨베이어가 구성되고 상부에 실린더에 의하여 수직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마킹펜이 형성되는 마킹기가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컨베이어에서 검사를 거쳐 이송된 판상패드의 양/불량의 부분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 는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에서 검사를 거쳐 이송된 판상패드가 나오는 출구측에, 구동롤러와 가이드롤러가 차례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롤러와 가이드롤러의 사이에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가이드레일이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속도조절롤러가 구성되는 속도조절부가 구성되는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속도조절부의 고정프레임의 가이드레일의 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상부감지센서와 하부감지센서가 구성되고, 상기 속도조절롤러의 가이드(531)에 감지부를 구성하여 상기 속도조절롤러가 수직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감지부가 상기 상부감지센서의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는 상기 적재롤러의 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감지부가 상기 하부감지센서의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는 상기 적재롤러의 모터를 작동 시키도록 하는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속도조절부의 구동롤러의 양단부에는 일정간격으로 핀이 구성되는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체 내부에 낱장형 판상패드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서 엑스레이를 조사하는 엑스레이튜브와, 상기 컨베이어의 하부에 구성되는 디텍터로 구성되어, 판상패드이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고 상기 엑스레이튜브에서 엑스레이를 조사하여 상기 디텍터로 촬상하여 피측정물을 검사하는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상기 본체에 고정프레임이 구성되고 스프링에 의하여 축에 회전가능하 도록 구성된 롤러가 고정구성된 파지롤러가 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의 회전롤러과 맞물려 상부에서 각각 낱장형 판상패드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에서 검사를 거쳐 이송된 낱장형 판상패드가 나오는 출구측에, 상기 낱장형 판상패드의 양/불량을 검측한 후 분리하여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판이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수평축이동유닛이 구성된 적재부가 구성되는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는 기계적 오차에 의하여 측정값이 정밀하지 못함으로 측정시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스위치의 수량 및 판별기록을 일일이 하지 않아도 되고 지그(jig) 교체 등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기 때문에 양/불량을 확인하는 검사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특히 다층구조를 갖거나 내부의 이물질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어, 판상패드형 스위치 특히 휴대폰 키패드 돔 검사시에 In-line 실시간 자동검사함으로써 제조 공정상 DOME Sheet내에 결합 삽입과 이물 추가로 나타나는 최종 완제품에서의 불량을 줄여 품질과 생산 수율의 극대화를 이룰수 있으며, 롤형의 판상패드의 경우 일정한 속도로 적재할 수 있어서 정밀도 및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 명의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의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엑스레이검사장치 본체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도 4의 정단면도이고, 도 6은 상기 도 5의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7은 상기 도 5의 B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8a는 스프링을 사용한 파지롤러(120)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엑츄에이터를 사용한 파지롤러(120)의 사시도이며, 도 9는 상기 도 8a의 A-A선을 따른 파지롤러(120)의 구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의 속도조절부(500)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상기 도 10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상기 도 10의 평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의 속도조절부(500)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상기 도 14의 정단면도이고, 도 16은 상기 도 14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는 본체(1) 내부에 롤형 판상패드(10)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100)와, 상기 컨베이어(100)의 상부에서 엑스레이를 조사하는 엑스레이튜브(2)와, 상기 컨베이어(100)의 하부에 구성되는 디텍터(30)로 구성되어, 판상패드(10)이 상기 컨베이어(100)를 따라 이송되고 상기 엑스레이튜브(2)에서 엑스레이를 조사하여 상기 디텍터(30)로 촬상하여 피측정물을 검사하는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00)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각각 구성되는 가이드롤러(130)(140)와, 상기 컨베이어(100)의 상기 가이드롤러(130)(140)의 안쪽으로 하부에 구성되는 회전롤러(110)와 상기 회전롤러(110)와 맞물려 상부에서 각각 판상패드(10)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이송 할 수 있도록 엑츄에이터(129) 또는 스프링(123)에 의하여 수직으로 롤러(121)가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파지롤러(120)와, 상기 컨베이어(100)의 입구측의 외측에는 롤형의 판상패드(10)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공급롤러(200)와, 상기 컨베이어(100)의 출구측의 외측에는 상기 컨베이어(100)에서 이송되어 배출되는 롤형의 판상패드(10)를 모터(310)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감아서 적재하도록 구성된 적재롤러(3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1)는 컨베이어(100)와, 상기 컨베이어(100)의 상부에서 엑스레이를 조사하는 엑스레이튜브(2)와, 상기 컨베이어(100)의 하부에 구성되는 디텍터(30)로 구성되어, 롤형의 판상패드(10)를 상기 컨베이어(100)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엑스레이튜브(2)에서 엑스레이를 조사하여 상기 디텍터(30)로 촬상하여 롤형의 판상패드(10)의 이상유무를 검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롤러(130)(140)는 상기 컨베이어(100)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각각 구성되어, 상기 롤형의 판상패드(10)의 가이드 역할을 한다.
상기 파지롤러(120)는 상기 본체(1)에 고정프레임(124)에 엑츄에이터(129)가 구성되어 상기 롤러(121)를 수직이동이 가능하게 하거나, 외부에 스프링(123)이 구성되는 축(122)의 일측이 상기 고정프레임(124)에 고정되고, 타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롤러(121)가 고정 구성되어 상기 축(122)이 수직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파지롤러(120)는 롤형의 판상패드(10)의 두께가 다를 때, 예를 들어 키패드돔스위치와 같이 스위치가 구성된 부분이 두께가 더 두꺼운데 이런 경우에도 상기 엑츄에이터(129) 또는 스프링(123)에 의하여 하측으로 밀어주기 때문에 상기 롤형의 판상패드(10)가 상기 컨베이어(100)의 회전롤러(110)와 맞물려 상부에서 각각 판상패드(10)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9a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123)에 의하여 상기 롤러(121)를 하측으로 밀어주는 상기 파지롤러(120)는 상기 고정프레임(124)에 통공(127)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의 하부의 프레임에 상기 축(122)의 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인입시켜 볼트(126)로 고정하여 상기 축(122)의 높이를 일정하도록 하고 상기 통공의 하부의 프레임으로 상기 축(122)이 수직이동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최초 상기 볼트(126)로 상기 축(122)의 길이가 고정되기 때문에 미세한 부분의 조정은 스프링(123)에 의하여 수직이동하면서 축(122)이 조절된다.
상기 엑츄에이터(129)는 기성물품이며, 부가적으로 설명하자면, 액츄에이터(actuator)란 신호처리기에 의하여 다듬어져 나온 신호에 대응하여 동작을 하는 장치 또는 수단이다. 즉,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여 작동을 수행하는 작동기(作動器), 또는 명령신호에 따라서 작동하는 집행기(執行器)이다. 지난 수업에서 빔 프로젝트로 액츄에이터가 에너지를 운동으로 변환하는 여러 로봇들을 보았다. 로봇을 포함한 기계 장치의 구동은 전기모터에 의한 회전력, 공기압 실린더, 유압 실린더에 의한 직동력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로봇이라는 기계를 움직이는 근원은 이와 같은 회전 또는 직동의 액츄에이터이다. 이것을 사람으로 말하면 근육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전원, 공기압원, 유압원 등으로부터 동력이 공급되며 로봇에게 동작을 부여하는 모터나 실린더 등과 같은 구동장치인 것이다.
상기 공급롤러(200)는 상기 컨베이어(100)의 일측에 롤형의 판상패드(10)를 공급하는 공급롤러(200)가 구성된다.
상기 공급롤러(200)는 롤형의 판상패드(10)가 권취되어 상기 컨베이어(100)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적재롤러(300)는 상기 컨베이어(100)의 타측에 컨베이어(100)에서 이송되어 배출되는 롤형의 판상패드(10)를 일정한 속도로 감아서 적재하도록 모터(310)가 구성된 적재롤러(300)가 구성된다.
상기 적재롤러(300)는 상기 컨베이어(100)를 통하여 배출되는 롤형의 판상패드(10)를 일정한 속도록 감겨 권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100)에서 검사를 거쳐 이송된 판상패드(10)가 나오는 출구측에, 이송컨베이어(410)가 구성되고 상부에 실린더(420)에 의하여 수직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420)의 하부에 마킹펜(430)이 형성되는 마킹기(400)가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컨베이어(100)에서 검사를 거쳐 이송된 판상패드(10)의 양/불량의 부분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킹기(400)는 상기 컨베이어(100)와 상기 적재롤러(300)사이에 구성되며, 이상유무를 확인하고 배출되는 롤형의 판상패드(10)가 불량부분이 있을 경우에는 마킹펜(430)으로 마킹을 하게 된다.상기 마킹펜(430)은 실린더(420)에 의하여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410)는 상기 컨베이어(100)에서 배출된 롤형의 판상패드(10)를 상기 적재롤러(300)에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100)에서 검사를 거쳐 이송된 롤형 판상패드(10)가 나 오는 출구측에, 구동롤러(510)와 가이드롤러(520)가 차례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롤러(510)와 가이드롤러(520)의 사이에 고정프레임(540)의 일측에 가이드레일(541)이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541)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속도조절롤러(530)가 구성되는 속도조절부(5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속도조절부(500)는 구동롤러(510)와 가이드롤러(520)가 차례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롤러(510)와 가이드롤러(520)의 사이에 고정프레임(540)의 일측에 가이드레일(541)이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541)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속도조절롤러(530)가 구성된다.
상기 구동롤러(510)는 상기 컨베이어(100)에서 배출되는 롤형의 판상패드(10)를 이송하도록 축부에 모터(512)가 구성된다.
상기 속도조절롤러(530)는 상기 구동롤러(510)와 가이드롤러(520)의 사이에 가이드(531)가 상기 가이드레일(541)에 결합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가이드롤러(520)와 함께 가이드 역할을 하며, 고정프레임(540)의 일측에 가이드레일(541)이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541)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수직운동을 하며, 상기 적재롤러(300)의 감는 속도가 느릴 때는 상기 가이드레일(541)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고, 상기 적재롤러(300)의 감는 속도가 빠를 때는 상기 가이드레일(541)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롤형 판상패드(10)가 밀리거나 꼬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직이동하는 상기 속도조절롤러(520)는 자중(自重)과 상기 롤형 판상패드(10)에 의하여 수직으로 오르내리며, 상기 적재롤러(300)에 상기 롤형 판상패드(10)가 일정하게 감기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속도조절부(500)의 고정프레임(540)의 가이드레일(541)의 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상부감지센서(522)와 하부감지센서(523)가 구성되고, 상기 속도조절롤러(530)의 가이드(531)에 감지부(542)를 구성하여 상기 속도조절롤러(530)가 수직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감지부(542)가 상기 상부감지센서(522)의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는 상기 적재롤러(300)의 모터(31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감지부(542)가 상기 하부감지센서(523)의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는 상기 적재롤러(300)의 모터(310)를 작동 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속도조절롤러(530)는 상기 가이드(531)에 감지부(542)가 구성되어, 상기 속도조절롤러(530)가 수직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감지부(542)가 상기 상부감지센서(522)의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는 상기 적재롤러(300)의 모터(31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감지부(542)가 상기 하부감지센서(523)의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는 상기 적재롤러(300)의 모터(310)를 작동 시켜 상기 적재롤러(300)에 일정한 속도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감지센서(523)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성하여 하부의 하부감지센서(523)를 상기 감지부(542)가 넘어가지 않도록 이중으로 감지한다.
또한, 상기 속도조절부(500)의 구동롤러(510)의 양단부에는 일정간격으로 핀(511)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핀(511)은 상기의 양단부에 핀홀(11)이 형성된 롤형 판상패드(10)에 사용되며, 롤형 판상패드(10)의 핀홀(11)에 상기 핀(511)이 결합되어 일정한 속도로 상기 롤형 판상패드(10)를 이송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는 본체(1) 내부에 낱장형 판상패드(20)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100)와, 상기 컨베이어(100)의 상부에서 엑스레이를 조사하는 엑스레이튜브(2)와, 상기 컨베이어(100)의 하부에 구성되는 디텍터(30)로 구성되어, 판상패드(10)이 상기 컨베이어(100)를 따라 이송되고 상기 엑스레이튜브(2)에서 엑스레이를 조사하여 상기 디텍터(30)로 촬상하여 피측정물을 검사하는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00)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하부에 구성되는 회전롤러(110)와 상기 회전롤러(110)와 맞물려 상부에서 각각 판상패드(10)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엑츄에이터(129) 또는 스프링(123)에 의하여 수직으로 롤러(121)가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파지롤러(120)와, 상기 컨베이어(100)에서 검사를 거쳐 이송된 낱장형 판상패드(20)가 나오는 출구측에, 상기 낱장형 판상패드(20)의 양/불량을 검측한 후 분리하여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판(620)이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수평축이동유닛(610)이 구성된 적재부(6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는 롤형 뿐만 아니라 낱개형의 판상패드(20)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상기와 같이 구성된다.
낱장형 판상패드(20)의 경우에는 양/불량을 검측한 후 별도로 적재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컨베이어(100)에서 검사를 거쳐 이송된 낱장형 판상패드(20)가 나오는 출구측에, 상기 낱장형 판상패드(20)의 양/불량을 검측한 후 분리하여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판(620)이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수평축이동유닛(610)이 구성된 적재부(600)가 구성된다.
상기 적재부(600)는 상기 낱장형 판상패드(20)의 양/불량을 검측한 후 분리하여 적재하도록 하는 부분이며, 좌우로 움직이면서 양/불량 판정을 받은 낱장형 판상패드(20)를 따로 적재판(620)에 적재한다.
상기 수평축이동유닛(610)은 도 14b와 도 16a,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판(620)의 하부에 볼트공이 형성된 가이드(621)와 상기 가이드(621)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621)를 이송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축(612)과 상기 축(612)의 단부에 구성되는 모터(611)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611)로 상기 축(612)을 회전시켜 상기 적재판(620)을 좌우로 이동시켜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호일때에는 20a의 위치로, 불량일 경우에는 20b의 위치로 적재되도록 상기 적재판(620)을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 이외에 실린더로 상기 적재판(620)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엑스레이검사장치 본체의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의 정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5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7은 상기 도 5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8a는 스프링을 사용한 파지롤러(120)의 사시도,
도 8b는 엑츄에이터를 사용한 파지롤러(120)의 사시도,
도 9는 상기 도 8a의 A-A선을 따른 파지롤러(120)의 구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의 속도조절부(500)의 사시도,
도 11은 상기 도 10의 정면도,
도 12는 상기 도 10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의 속도조절부(500)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5는 상기 도 14의 정단면도,
도 16은 상기 도 14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적재부(600)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 엑스레이튜브
10 : 롤형 판상패드 11 : 핀홀
20 : 낱장형 판상패드 30 : 디텍터
100 : 컨베이어 110 : 회전롤러
120 : 파지롤러 121 : 롤러
122 : 축 123 : 스프링
124 : 고정프레임 130 : 가이드롤러
140 : 가이드롤러 200 : 공급롤러
300 : 적재롤러 310 : 모터
400 : 마킹기 410 : 이송컨베이어
420 : 실린더 430 : 마킹펜
500 : 속도조절부 510 : 구동롤러
511 : 핀 520 : 가이드롤러
522 : 상부감지센서 523 : 하부감지센서
530 : 속도조절롤러 531 : 가이드
540 : 고정프레임 541 : 가이드레일
542 : 감지부 600 : 적재부
610 : 수평이동유닛 611 : 모터
612 : 축 620 : 적재판
621 : 가이드

Claims (6)

  1. 삭제
  2. 본체(1) 내부에 롤형 판상패드(10)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100)와, 상기 컨베이어(100)의 상부에서 엑스레이를 조사하는 엑스레이튜브(2)와, 상기 컨베이어(100)의 하부에 구성되는 디텍터(30)와, 상기 컨베이어(100)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각각 구성되는 가이드롤러(130)(140)와, 상기 컨베이어(100)의 상기 가이드롤러(130)(140)의 안쪽으로 하부에 구성되는 회전롤러(110)와 상기 회전롤러(110)와 맞물려 상부에서 각각 판상패드(10)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엑츄에이터(129) 또는 스프링(123)에 의하여 수직으로 롤러(121)가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파지롤러(120)와, 상기 컨베이어(100)의 입구측의 외측에는 롤형의 판상패드(10)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공급롤러(200)와, 상기 컨베이어(100)의 출구측의 외측에는 상기 컨베이어(100)에서 이송되어 배출되는 롤형의 판상패드(10)를 모터(310)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감아서 적재하도록 구성된 적재롤러(300)가 구비된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00)에서 검사를 거쳐 이송된 판상패드(10)가 나오는 출구측에, 이송컨베이어(410)가 구성되고 상부에 실린더(420)에 의하여 수직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420)의 하부에 마킹펜(430)이 형성되는 마킹기(400)가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컨베이어(100)에서 검사를 거쳐 이송된 판상패드(10)의 양/불량의 부분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00)에서 검사를 거쳐 이송된 판상패드(10)가 나오는 출구측에, 구동롤러(510)와 가이드롤러(520)가 차례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롤러(510)와 가이드롤러(520)의 사이에 고정프레임(540)의 일측에 가이드레일(541)이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541)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속도조절롤러(530)가 구성되는 속도조절부(5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조절부(500)의 고정프레임(540)의 가이드레일(541)의 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상부감지센서(522)와 하부감지센서(523)가 구성되고, 상기 속도조절롤러(530)의 가이드(531)에 감지부(542)를 구성하여 상기 속도조절롤러(530)가 수직으로 이동할 때 상기 감지부(542)가 상기 상부감지센서(522)의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는 상기 적재롤러(300)의 모터(31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감지부(542)가 상기 하부감지센서(523)의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는 상기 적재롤러(300)의 모터(310)를 작동 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조절부(500)의 구동롤러(510)의 양단부에는 일정간격으로 핀(511)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
  6. 본체(1) 내부에 판상패드(20)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100)와, 상기 컨베이어(100)의 상부에서 엑스레이를 조사하는 엑스레이튜브(2)와, 상기 컨베이어(100)의 하부에 구성되는 디텍터(30)로 구성되어, 판상패드(10)이 상기 컨베이어(100)를 따라 이송되고 상기 엑스레이튜브(2)에서 엑스레이를 조사하여 상기 디텍터(30)로 촬상하여 피측정물을 검사하는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00)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하부에 구성되는 회전롤러(110)와 상기 회전롤러(110)와 맞물려 상부에서 각각 판상패드(10)를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엑츄에이터(129) 또는 스프링(123)에 의하여 수직으로 롤러(121)가 유동되도록 형성되는 파지롤러(120)와, 상기 컨베이어(100)에서 검사를 거쳐 이송된 낱장형 판상패드(20)가 나오는 출구측에, 상기 낱장형 판상패드(20)의 양/불량을 검측한 후 분리하여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판(620)이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수평축이동유닛(610)이 구성된 적재부(6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
KR1020090111984A 2009-11-19 2009-11-19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 KR100956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984A KR100956797B1 (ko) 2009-11-19 2009-11-19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984A KR100956797B1 (ko) 2009-11-19 2009-11-19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6797B1 true KR100956797B1 (ko) 2010-05-07

Family

ID=42281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984A KR100956797B1 (ko) 2009-11-19 2009-11-19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797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544B1 (ko) 2015-09-16 2016-11-07 (주)자비스 배터리 자동 연속 검사 장치
KR20170016179A (ko) 2015-08-03 2017-02-13 (주)자비스 배터리 검사용 엑스레이 검사 장치 및 그에 의한 배터리 검사 방법
KR20180018468A (ko) 2016-08-09 2018-02-21 (주)자비스 다중 검사 및 다중 배출 경로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CN107775620A (zh) * 2016-08-28 2018-03-09 山东智衡减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弹簧毛坯端部标记检测设备及标记检测方法
KR20190009145A (ko) 2017-07-18 2019-01-28 (주)자비스 검사 대상 회전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용 검사 디바이스
KR20190009150A (ko) 2017-07-18 2019-01-28 (주)자비스 다수 개의 검사 대상 정렬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용 검사 디바이스
KR20190009130A (ko) 2017-07-18 2019-01-28 (주)자비스 튜브 구조 부품의 검사를 위한 엑스레이 검사 장치 및 그에 의한 검사 방법
KR20190013014A (ko) 2017-07-31 2019-02-11 (주)자비스 내부 결함 및 접합 부위의 검사가 가능한 엑스레이 검사 장치
KR20190049019A (ko) 2017-11-01 2019-05-09 (주)자비스 이송 유도 구조의 엑스레이 장치
KR20190061419A (ko) 2017-11-28 2019-06-05 (주)자비스 검사 대상의 보호를 위한 표적 제한 구조의 엑스레이 튜브 장치
KR20200047492A (ko) 2020-04-27 2020-05-07 (주)자비스 이송 유도 수단 연결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KR20210000716A (ko) 2020-04-27 2021-01-05 (주)자비스 이송 유도 수단 연결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JP2021014998A (ja) * 2019-07-10 2021-02-12 松定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X線撮影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8556A (ja) * 2000-02-18 2001-08-24 Fuji Photo Film Co Ltd シート体搬送装置
KR20090023974A (ko) * 2007-09-03 2009-03-0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KR20090046827A (ko) * 2006-08-11 2009-05-11 아메리칸 사이언스 앤 엔지니어링, 인크. 동시에 발생하며 근접한 투과 및 후방 산란 영상화를 이용한 엑스레이 검사
KR100921417B1 (ko) 2007-12-17 2009-10-14 한국원자력연구원 단일 지점 동위원소 방사선원을 이용한 다면적 두께 측정장치 및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8556A (ja) * 2000-02-18 2001-08-24 Fuji Photo Film Co Ltd シート体搬送装置
KR20090046827A (ko) * 2006-08-11 2009-05-11 아메리칸 사이언스 앤 엔지니어링, 인크. 동시에 발생하며 근접한 투과 및 후방 산란 영상화를 이용한 엑스레이 검사
KR20090023974A (ko) * 2007-09-03 2009-03-0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KR100921417B1 (ko) 2007-12-17 2009-10-14 한국원자력연구원 단일 지점 동위원소 방사선원을 이용한 다면적 두께 측정장치 및 측정 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6179A (ko) 2015-08-03 2017-02-13 (주)자비스 배터리 검사용 엑스레이 검사 장치 및 그에 의한 배터리 검사 방법
KR101673544B1 (ko) 2015-09-16 2016-11-07 (주)자비스 배터리 자동 연속 검사 장치
KR20180018468A (ko) 2016-08-09 2018-02-21 (주)자비스 다중 검사 및 다중 배출 경로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CN107775620A (zh) * 2016-08-28 2018-03-09 山东智衡减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弹簧毛坯端部标记检测设备及标记检测方法
CN107775620B (zh) * 2016-08-28 2020-05-01 山东智衡减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弹簧毛坯端部标记检测设备及标记检测方法
KR20190009130A (ko) 2017-07-18 2019-01-28 (주)자비스 튜브 구조 부품의 검사를 위한 엑스레이 검사 장치 및 그에 의한 검사 방법
KR20190009150A (ko) 2017-07-18 2019-01-28 (주)자비스 다수 개의 검사 대상 정렬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용 검사 디바이스
KR20190009145A (ko) 2017-07-18 2019-01-28 (주)자비스 검사 대상 회전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용 검사 디바이스
KR20190013014A (ko) 2017-07-31 2019-02-11 (주)자비스 내부 결함 및 접합 부위의 검사가 가능한 엑스레이 검사 장치
KR20190049019A (ko) 2017-11-01 2019-05-09 (주)자비스 이송 유도 구조의 엑스레이 장치
KR20190061419A (ko) 2017-11-28 2019-06-05 (주)자비스 검사 대상의 보호를 위한 표적 제한 구조의 엑스레이 튜브 장치
JP2021014998A (ja) * 2019-07-10 2021-02-12 松定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X線撮影装置
JP7351448B2 (ja) 2019-07-10 2023-09-27 松定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X線撮影装置
KR20200047492A (ko) 2020-04-27 2020-05-07 (주)자비스 이송 유도 수단 연결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KR20210000716A (ko) 2020-04-27 2021-01-05 (주)자비스 이송 유도 수단 연결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797B1 (ko) 판상패드용 엑스레이검사장치
JP5863547B2 (ja) プリント基板の検査装置
KR100745586B1 (ko) 전지 검사장치
KR100673138B1 (ko) 태양전지 시험장비
WO2022027872A1 (zh) 锂电池生产中集检测及剔除ng品一体的装置
CN209117604U (zh) 一种活塞销检测机
KR101535872B1 (ko) 스터드 볼트 세척 및 표면 검사장치
CN112020470B (zh) 用于生产幅材卷的方法和生产线
JPH0295300A (ja) 核燃料被覆管に端栓を装着して溶接しかつ端栓溶接部を検査するための自動装置
JP5264178B2 (ja) セグメント仕上げシステム及び核燃料棒の製造方法
JP5994220B2 (ja) 電極シートの検査装置
KR102049429B1 (ko) 이송 제어 구조 방식의 자동 검사를 위한 엑스레이 검사 장치
CN205949325U (zh) 凸轮轴前端盖全自动检测装置
KR20110105909A (ko)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
KR102270832B1 (ko) 다중 검사 및 다중 배출 경로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KR102099126B1 (ko) 차량 등속 조인트용 볼케이지 외형 검사시스템
CN113828540A (zh) 弹簧检测设备
KR20190053375A (ko) 볼 베어링 불량선별을 위한 회전식 검사장치
JPS6140779A (ja) たばこ加工産業における棒状の製品の品質を調整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208853295U (zh) 物料检测装置及止动圈加工系统
JP2000109267A (ja) 巻取りロールの巻取り不良検出装置
KR100684569B1 (ko) 이송물 정보 자동 검사 장치
KR101544675B1 (ko)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
CN217191007U (zh) 铝板平面度快速检测装置
JP2019112120A (ja) 包装ロール体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