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675B1 -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675B1
KR101544675B1 KR1020140080665A KR20140080665A KR101544675B1 KR 101544675 B1 KR101544675 B1 KR 101544675B1 KR 1020140080665 A KR1020140080665 A KR 1020140080665A KR 20140080665 A KR20140080665 A KR 20140080665A KR 101544675 B1 KR101544675 B1 KR 101544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molded product
guide
lead screw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구
Original Assignee
이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구 filed Critical 이정구
Priority to KR1020140080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6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톱링이 체결된 리드스크류 성형제품이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스톱링의 수평교정 및 헤드부의 축핀구멍 내경 및 두께 측정, 리드스크류의 헤드부 및 스크류 몸체의 길이를 측정하도록 한 여러 단계의 검출부를 통해 자동 검출되도록 한 리드스크류의 불량검출수단에 의해 작업생산성을 높이고 불량제품의 정확한 검출에 의해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리드스크류 성형제품을 직립상태로 다수 대기시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제품공급부와; 성형제품에 체결된 스톱링을 수평으로 교정하는 수평교정부와; 직립상태의 성형제품을 횡방향으로 눕혀지게 회전시켜 공급하는 방향전환부와; 횡방향으로 눕혀진 성형제품이 공급되고 등간격으로 복수의 제품안착홈이 다단계로 구비된 검출안내대와; 상기 다단계의 검출안내대에 간헐적으로 이송 공급하여 검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송안내홈이 구비된 이송안내대와; 헤드부의 축핀구멍 내경을 측정하는 내경검출부와, 헤드부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검출부와, 헤드부 선단과 축핀구멍 내경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는 제1길이검출부와, 스크류 몸체의 길이를 측정하는 제2길이검출부와, 스크류 몸체 하단의 체결나사 성형상태를 판별하는 나사성형 검출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CHECKING DEVICE OF LEAD SCREW OF AUTOMATIC SEAT MOVEMENT APPARATUS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톱링이 체결된 리드스크류 성형제품이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스톱링의 수평교정 및 헤드부의 축핀구멍 내경 및 두께 측정, 리드스크류의 헤드부 및 스크류 몸체의 길이를 측정하도록 한 여러 단계의 검출부를 통해 자동 검출되도록 한 리드스크류의 불량검출수단에 의해 작업생산성을 높이고 불량제품의 정확한 검출에 의해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부에는 운전석을 포함하여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는 운전자나 탑승객의 신체 조건에 따라 운전대와의 충분한 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최근에는 시트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 조절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고, 인력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시트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탑승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전동시트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전동시트는 승객의 탑승 자세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시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시트 이동블록에 리드스크류가 나사 결합되어 기어박스의 기어 회전에 의해 회전 구동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리드스크류의 구성은 축핀구멍이 형성된 헤드부와, 체결나사가 하단에 형성되는 스크류 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헤드부의 하단에 스톱링을 체결시킨 리드스크류를 이용하여 조립설치가 되는 것으로, 상기에서 리드스크류는 전동시트의 작동에 필수적인 주요구성부품에 해당되고 정밀한 규격의 제품을 필요로 한다.
상기 전동시트의 주요구성요소인 리드스크류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 제10-1126111호의 '전동 시트트랙의 리드스크류 결합구조 및 그 조립방법'과 특허 제10-1108628호의 '자동차용 시트의 파워구동장치의 리드 스크류 지지 구조'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렇게 리드스크류는 전동시트의 구성요소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어서 종래에도 리드스크류 성형제품의 불량여부를 여러 단계에 거쳐 검출하도록 하는 검출작업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나, 종래에는 스톱링을 체결시킨 리드스크류에서 스톱링의 수평교정 및 헤드부의 축핀구멍 내경 및 헤드부 두께 측정, 헤드부 선단과 축핀구멍 내경 사이의 길이 측정, 스크류 몸체 길이 측정, 체결나사 성형여부와 같은 여러 단계 불량검출과정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일일이 불량제품을 파악하고 이를 선별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불량제품 선별의 정확성이나 작업생산성이 크게 떨어졌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하므로 제품신뢰성 저하 및 경쟁력 저하의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스톱링이 체결된 리드스크류 성형제품을 직립상태로 다수 대기시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성형제품에 체결된 스톱링을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는 교정단계를 거친 다음 방향전환부로 이송되어 직립상태의 성형제품을 횡방향으로 회전시켜 검출안내대의 일측에 공급되되 등간격으로 이송안내홈이 형성되고 승강 및 측부로 간헐 이송되는 이송안내대에 의해 검출안내대에 제품이 단계별로 이송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검출안내대의 길이방향으로 3점 포인트로 성형제품 헤드부의 축핀구멍 내경을 측정하는 내경검출부와, 헤드부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검출부와, 헤드부 선단과 축핀구멍 내경 사이의 길이 측정 및 스크류 몸체 길이를 측정하는 길이검출부와, 스크류 몸체 하단의 체결나사 성형상태를 측정하는 나사검출부를 거쳐 제품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다음 불량검출이 완료된 성형제품의 반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축핀구멍이 형성된 헤드부와, 체결나사가 형성된 스크류 몸체와, 상기 헤드부와 스크류 몸체 사이에 스톱링을 체결시킨 구성으로 된 리드스크류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크류 성형제품을 직립상태로 다수 대기시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제품공급부와; 상기 제품공급부에서 공급되어 이송되는 성형제품에 체결된 스톱링을 수평으로 교정하는 수평교정부와; 상기 수평교정부를 거쳐 이송되는 직립상태의 성형제품을 횡방향으로 눕혀지게 회전시켜 공급하는 방향전환부와; 상기 방향전환부에서 횡방향으로 눕혀진 성형제품이 공급되고 등간격으로 복수의 제품안착홈이 다단계로 구비된 검출안내대와; 상기 다단계의 검출안내대에 간헐적으로 이송 공급하여 검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송안내홈이 구비된 이송안내대와; 상기 검출안내대의 일측에 성형제품을 측정하는 불량검출수단;을 구비하되 헤드부의 축핀구멍 내경을 측정하는 내경검출부와, 헤드부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검출부와, 헤드부 선단과 축핀구멍 내경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는 제1길이검출부와, 스크류 몸체의 길이를 측정하는 제2길이검출부와, 스크류 몸체 하단의 체결나사 성형상태를 판별하는 나사성형 검출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품공급부는; 전방으로 경사진 바닥면의 중앙에 제1슬라이딩 안내구멍이 형성되어 다수의 리드스크류 성형제품이 직립상태로 전방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품공급대와, 상기 제품공급대의 전방 입구에 설치되어 성형제품을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안내봉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교정부는;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중앙 바닥면에 제2슬라이딩 안내구멍이 형성된 수평안내판과, 상기 수평안내판의 길이방향 하부에 이동자가 직교로 설치되어 성형제품을 간헐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수평안내판의 길이방향 중간부 상측에 설치되고 수평안내판을 따라 이송되어 직하부에 놓여지는 성형제품의 스톱링을 가압대로 가압하여 수평교정을 하도록 한 가압교정부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재는, 이동작동대에 봉상의 이동자가 설치되어 성형제품이 스크류 몸체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되 이동작동대는 수평안내판의 길이방향 측부에서 실린더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이동대를 따라 이송되게 하고 수평이동대에 설치되는 실린더에 의해 이동작동대가 전후진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교정부재는, 성형제품의 스톱링 부분을 하향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가압대와, 상기 가압대를 승강시키는 실린더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향전환부는; 상기 수평안내판의 길이방향 끝단에 하향 곡면을 이루고 중앙에 제3슬라이딩 안내구멍이 형성된 회전안내판과, 상기 회전안내판의 시작부 하부 위치에 설치되어 스크류 몸체의 하단이 걸려서 눕혀지도록 하는 회전안내봉과, 상기 회전안내봉의 일측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성형제품이 눕혀진 상태로 받쳐져서 이송안내대에 낙하 공급되도록 하는 방향전환공급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출안내대는; 길이방향 양측으로 스크류 몸체의 양측단을 받쳐줄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된 제품안착홈이 복수로 형성되어 성형제품이 다단계로 안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안내대는; 검출안내대의 내측에 길이가 긴 막대형태로 2열로 배치되고 상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이송안내홈이 구비되어 성형제품의 스크류 몸체 중심부분이 안착되게 하고, 이송안내대의 길이방향 하부 양측에 지지대가 구비되되 회전작동축의 회전작동판에 편심 설치되는 편심축부에 지지대가 연결되어 이송안내대가 90도씩 회전하면서 이송안내대의 이송안내홈에 의해 검출안내대의 제품안착홈에 놓여진 성형제품을 위로 들어올려 또 다른 제품안착홈에 간헐적으로 이송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출안내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품안착홈과 이송안내대에 형성되는 복수의 이송안내홈은 동일한 간격과 동일한 갯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경검출부는, 성형제품의 길이방향 중심선상으로 구비된 1점 측정핀이 설치된 제1작동판과 중심선상 양측에 구비된 2점 측정핀이 설치된 제2작동판으로 된 제 3점 포인트 측정수단으로 구비되되 제1,2작동판이 상호 좁혀지거나 벌어지도록 하여 축핀구멍의 내경을 측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두께검출부는, 성형제품의 헤드부가 받쳐지는 고정받침대와, 상기 고정받침대의 직상방에 승강되게 설치되는 두께측정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길이검출부는, 성형제품의 헤드부 선단 방향에 고정설치되는 헤드지지대와, 성형제품의 축핀구멍에서 헤드지지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축핀구멍의 내경에 밀착되도록 하는 2점 가압측정핀이 구비된 핀이동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길이검출부는, 축핀구멍에 지지되는 2점 고정지지핀이 구비된 헤드고정대와, 스크류 몸체의 하단을 헤드부 방향으로 밀어내어 길이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압밀착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성형 검출부는, 스크류 몸체 하단에 형성되는 체결나사의 나사산 성형여부를 비접촉으로 측정하는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톱링이 체결된 리드스크류 성형제품을 직립상태로 다수 대기시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성형제품에 체결된 스톱링을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는 교정을 한 다음 직립상태의 성형제품을 횡방향으로 회전시켜 이송안내대에 의해 검출안내대에 복수로 구비된 제품안착홈에 단계별로 성형제품을 안착 및 이송 공급하여 다단계 불량검출수단에 의해 성형제품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다음 불량검출이 완료된 성형제품의 반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과정이 완전 자동화되어 있어서 작업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리드스크류 성형제품의 불량여부를 정확한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에 적용되는 리드스크류에 스톱링이 체결된 성형제품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에서 제품공급부 부분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에서 수평교정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자에 의해 성형제품의 단계별 이동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에서 수평교정부의 스톱링 수평교정 부분 및 방향전환부의 성형제품 회전부분 전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에서 방향전환부의 성형제품이 회전되기 직전의 작용상태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에서 방향전환부의 성형제품이 회전되어 눕혀지는 것을 나타낸 작용상태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에서검출안내대와 이송안내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전면 예시도.
도 12의 (가) 내지 (라)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에서 이송안내대에 의해 검출안내대의 제품안착홈에 성형제품이 단계별로 안착 및 이송되는 것을 나타낸 작용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에서 불량검출수단 부분의 평면 예시도.
도 14의 (가)(나)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에서 내경검출부의 검출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5의 (가)(나)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에서 두께검출부의 검출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6의 (가)(나)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에서 제1길이검출부의 검출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에서 제2길이검출부의 검출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내부에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를 모터의 구동에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동시트에서 이동블록에 나사 결합되어 기어박스의 기어 회전에 의해 회전 구동이 되도록 하는 주요구성요소인 리드스크류 성형제품의 불량여부를 검출하여 제품신뢰도를 높이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리드스크류(100)의 구성은, 도 1과 같이 축핀을 연결할 수 있는 축핀구멍(104)이 형성되어 있는 헤드부(103)와, 체결나사(102)가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 몸체(101)와, 상기 헤드부(103)와 스크류 몸체(101) 사이에 스톱링(105)을 체결시킨 구성으로 공급되어 전동시트의 이동블록에 리드스크류가 설치가 된다.
본 발명은 스톱링(105)이 체결된 리드스크류(100) 성형제품을 직립상태로 다수 대기시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제품공급부(110)와; 상기 제품공급부(110)에서 공급되어 이송되는 성형제품에 체결된 스톱링(105)을 수평으로 교정하는 수평교정부(120)와; 상기 수평교정부(120)를 거쳐 이송되는 직립상태의 성형제품을 횡방향으로 눕혀지게 회전시켜 공급하는 방향전환부(130)와; 상기 방향전환부(130)에서 횡방향으로 눕혀진 성형제품이 공급되고 등간격으로 복수의 제품안착홈(141)이 다단계로 구비된 검출안내대(140)와; 상기 다단계의 검출안내대(140)에 간헐적으로 이송 공급하여 검출이 이루어지도록 이송안내홈(151)이 구비된 이송안내대(150)와; 상기 검출안내대(140)의 측부에 성형제품을 측정하는 불량검출수단(200);을 구비하되 헤드부(103)의 축핀구멍(104) 내경을 측정하는 내경검출부(210)와, 헤드부(103)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검출부(220)와, 헤드부(103) 선단과 축핀구멍(104) 내경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는 제1길이검출부(230)와, 스크류 몸체(101)의 길이를 측정하는 제2길이검출부(240)와, 스크류 몸체(101) 하단의 체결나사 성형상태를 판별하는 나사성형 검출부(250)를 거쳐 성형제품의 반출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다단계의 검출안내대(140)에 검출하는 과정에서 성형제품의 불량검출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가 불량검출신호가 인가되어 경보음이 발생시키게 됨과 아울러 모니터상에 불량검출정보가 표시되어 작업자가 이를 확인하여 불량제품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성형제품의 단계별 이송과정에서 불량검출이 되면 불량검출장치의 작동이 자동적으로 일시 중단되어 작업자가 불량제품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다음 불량제품의 분리가 완료되면 불량검출장치를 재작동시켜 불량검출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송안내대(150)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동작수단은 실린더(S)에 의해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실린더가 각각 구비되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일부 구성 및 작용설명에서는 실린더에 대한 기재가 생략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제품공급부(110)는; 전방으로 경사진 바닥면(112)의 중앙에 제1슬라이딩 안내구멍(113)이 형성되어 다수의 리드스크류(100) 성형제품이 직립상태로 전방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품공급대(111)와, 상기 제품공급대(111)의 전방 입구에 설치되어 성형제품을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안내봉(114)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품공급대(111)의 바닥면에는 리드스크류(100)에 체결된 스톱링(105)이 받쳐지고 제1슬라이딩 안내구멍(113)에 스크류 몸체(101)가 끼워져서 직립이 되는 리드스크류(100)의 성형제품이 전방 이송을 하게 되며, 실린더(S)에 의해 개폐안내봉(114)이 전후진 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제품공급대(111)의 전방 입구를 개방하여 제품공급대(111)에 대기상태로 일렬로 놓여져 있는 다수의 리드스크류 성형제품을 순차적으로 수평교정부(120)의 수평안내판(121)에 공급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도시되어 있는 제품공급부(110)는 2개의 제품공급대(111)가 병렬로 각각 구비되어 1,2열의 제품공급대(111)에서 교번적으로 성형제품을 각각 공급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많은 수량의 성형제품을 대기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나타내었지만, 1열의 제품공급대(111)만을 구비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수평교정부(120)는;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중앙 바닥면에 제2슬라이딩 안내구멍(122)이 형성된 수평안내판(121)과, 상기 수평안내판(121)의 길이방향 하부에 이동자(125)가 직교로 설치되어 성형제품을 간헐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재(123)와, 상기 수평안내판(121)의 길이방향 중간부 상측에 설치되고 수평안내판(121)을 따라 이송되어 직하부에 놓여지는 성형제품의 스톱링(105)을 가압대(128)로 가압하여 수평교정을 하도록 한 가압교정부재(127)로 되어 있다.
상기 수평안내판(121)의 일측은 제품공급부(110)의 전방 입구와 접하도록 구비되어 제품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성형제품이 수평안내판(121)의 제2슬라이딩 안내구멍(122)에 끼워져서 직립 이송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수평안내판(121)의 타측은 방향전환부(130)의 회전안내판(131)이 연장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123)는, 이동작동대(124)에 봉상의 이동자(125)가 설치되어 성형제품이 스크류 몸체(101)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되 이동작동대(124)는 수평안내판(121)의 길이방향 측부에서 실린더(S)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이동대(126)를 따라 이송되게 함과 아울러 수평이동대(126)에 설치되는 또 다른 실린더(S)에 의해 이동작동대(124)가 전후진되게 하되 전진되어 돌출된 상태의 이동작동대(124)가 성형제품의 스크류 몸체(101) 부분에 맞닿아 밀어내는 작용으로 이송한 다음 원상태로 원복하게 될 때에는 이동작동대(124)가 후진되어 이동작동대(124)가 원복되는 과정에서 이송되고 있는 성형제품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도시된 이동작동대(124)에는 3개의 이동자(125)가 구비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바, 이는 2열의 제품공급대(111) 및 2열로 구비한 가압교정부재(127)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지만, 1개의 이동자(125) 만을 구비하더라도 사용이 가능한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가압교정부재(127)는, 성형제품의 스톱링(105) 부분을 하향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가압대(128)와, 상기 가압대(128)를 승강시키는 실린더(S)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가압대(128)는 수평안내판(121)의 제2슬라이딩 안내구멍(122)에 직립상태로 끼워진 성형제품의 헤드부(103)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스톱링(105) 부분만을 상부에서 눌르는 작용으로 스톱링(105)이 수평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교정을 한다.
이는 수평안내판(121)의 제2슬라이딩 안내구멍(122)을 따라 이송되는 성형제품이 가압교정부재(127)의 직하부에 놓여져서 정지상태로 놓여지면 가압교정부재(127)의 가압대(128)가 하강하여 성형제품에 체결된 스톱링(105)이 수평으로 체결되도록 한 다음 가압대(128)가 상승하고 이어서 성형제품을 방향전환부(130)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방향전환부(130)는; 상기 수평안내판(121)의 길이방향 끝단에 하향 곡면을 이루고 중앙에 제3슬라이딩 안내구멍(132)이 형성된 회전안내판(131)과, 상기 회전안내판(131)의 시작부 하부 위치에 설치되어 스크류 몸체(101)의 하단이 걸려서 눕혀지도록 하는 회전안내봉(133)과, 상기 회전안내봉(133)의 일측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성형제품이 눕혀진 상태로 받쳐져서 이송안내대(150)에 낙하 공급되도록 하고 실린더에 의해 회전안내봉(133)과 함께 수평으로 전후진되는 방향전환공급대(13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회전안내판(131)은 수평안내판(121)에서 이동자(125)에 의해 이송되어지는 성형제품이 곡면을 따라 하향 이송이 될 때 스크류 몸체(101)의 하단을 회전안내봉(133)에 걸리도록 하는 수단으로 스크류 몸체(101)의 하단을 축으로 하여 헤드부(103)가 점차적으로 눕혀지는 회전에 의해 방향전환공급대(134)에 성형제품이 수평으로 받쳐지게 되면 방향전환공급대(134)가 실린더(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후진하면서 성형제품의 하부로 낙하되어 검출안내대(140)의 일측에 눕혀진 상태의 성형제품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검출안내대(140)는; 길이방향 양측으로 스크류 몸체(101)의 양측단을 받쳐줄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된 제품안착홈(141)이 복수로 형성되어 성형제품이 다단계로 안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검출안내대(140)의 길이방향 일측단은 방향전환부(130)과 접하도록 하여 방향전환부(130)에서 낙하 공급되는 성형제품이 제품안착홈(141)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검출안내대(140)의 길이방향 끝단은 불량검출된 성형제품이 반출되는 위치에 해당된다.
검출안내대(140)의 제품안착홈(141)에는 성형제품의 헤드부(103)와 스톱링(105)이 검출안내대(14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놓여지는 형태로 안착이 되어 성형제품의 고정이나 측정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이송안내대(150)는; 검출안내대(140)의 내측에 길이가 긴 막대형태로 2열로 배치되고 상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이송안내홈(151)이 구비되어 성형제품의 스크류 몸체(101) 중심부분이 안착되게 하고, 이송안내대(150)의 길이방향 하부 양측에 지지대(152)가 구비되되 모터로 회전되는 회전작동축(153)의 회전작동판(154)에 편심 설치되어 회전작동축(153)을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90도씩 회전하도록 한 편심축부(155)에 지지대(152)가 연결되어 이송안내대(150)가 90도씩 회전하면서 이송안내대(150)의 이송안내홈(151)에 의해 검출안내대(140)의 제품안착홈(141)에 놓여진 성형제품을 위로 들어올려 또 다른 제품안착홈(141)에 간헐적으로 이송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검출안내대(140)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품안착홈(141)과 이송안내대(150)에 형성되는 복수의 이송안내홈(151)은 동일한 간격과 동일한 갯수로 설치되어 이송안내대(150)의 이송안내홈(151)에 의해 검출안내대(150)의 제품안착홈(141)에 성형제품을 안착시켜 단계별 불량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송공급을 하게 된다.
상기 내경검출부(210)는, 성형제품의 길이방향 중심선상으로 구비된 1점 측정핀(212)이 설치된 제1작동판(211)과 중심선상 양측에 구비된 2점 측정핀(214)이 설치된 제2작동판(213)으로 된 제 3점 포인트 측정수단으로 구비되되 제1,2작동판(211)(213)이 상호 실린더에 의해 좁혀지거나 벌어지도록 하는 작동으로 성형제품의 축핀구멍(104)의 내경을 측정하게 된다.
즉, 1점 측정핀(212)과 2점 측정핀(214)이 근접되어 오무려진 상태로 놓여진 다음 성형제품의 내경검출부(210)에 안착되면 1점 측정핀(212)과 2점 측정핀(214)이 벌어지면서 성형제품의 축핀구멍(104)의 내경과 밀착지지되면 상기 1점 측정핀(212)과 2점 측정핀(214)이 벌어지는 길이를 계산하여 내경을 측정하는 수단으로 성형제품의 내경이 설정된 내경치수와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별하여 축핀구멍(104) 내경의 불량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상기 두께검출부(220)는, 성형제품의 헤드부(103) 두께를 측정하여 불량여부를 판별하는 것으로서, 성형제품의 헤드부(103)가 받쳐지는 고정받침대(221)와, 상기 고정받침대(221)의 직상방에 승강되게 설치되는 두께측정대(222)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두께측정대(222)가 상승된 상태에서 두께검출부(220)에 성형제품이 안착되어 헤드부(103)가 고정받침대(221)에 놓여지면 실린더에 의해 승강되는 두께측정대(222)가 하강하여 헤드부(103)의 상면에 접촉되는 위치에서 정지하여 고정받침대(221)이 상면과 두께측정대(222)저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수단으로 헤드부(103)를 두께 측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길이검출부(230)는, 리드스크류(100)의 축핀구멍(104)에 축부 연결되는 회전브라켓(도시되지 않음)의 회전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헤드부(103) 선단과 축핀구멍(104) 내경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성형제품의 헤드부(103) 선단 방향에 고정설치되는 헤드지지대(231)와, 성형제품의 축핀구멍(104)에서 헤드지지대(231) 방향으로 이동하여 축핀구멍(104)의 내경에 밀착되도록 하는 2점 가압측정핀(233)이 구비된 핀이동대(232)로 구비되어 있다.
즉, 제1길이검출부(230)에 성형제품이 안착이 되면, 성형제품의 헤드부(103) 선단은 헤드지지대(231)의 내측으로 놓여지고, 축핀구멍(104) 내에 2점 가압측정핀(233)이 놓여지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2점 가압측정핀(233)이 핀이동대(232)에 의해 헤드지지대(231) 방향으로 이동하여 축핀구멍(104)의 내경에 밀착되는 지점에서 정지하게 되면, 상기 헤드지지대(231)와 핀이동대(232) 사이의 간격을 이용하여 제1길이를 측정하여 불량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제2길이검출부(240)는, 스크류 몸체(101)의 길이를 측정하여 리드스크류(100)의 전체적인 길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뿐만 아니라 스크류 몸체(101)의 하단에서 헤드부(103)의 축핀구멍(104) 중심선상과의 길이도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2길이검출부(240)는 축핀구멍(104)에 지지되는 2점 고정지지핀(242)이 구비된 헤드고정대(241)와, 스크류 몸체(101)의 하단을 헤드부(103) 방향으로 밀어내어 길이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압밀착대(243)로 이루어져 있다.
즉, 이는 제2길이검출부(240)에 성형제품이 안착이 되면, 헤드부(103)의 축핀구멍(104) 내에 2점 고정지지핀(242)이 놓여지고, 스크류 몸체(101)의 하단 외측에서 가압밀착대(243)가 작동하여 가압밀착대(243)에 의해 스크류 몸체(101)의 하단을 헤드부(103) 방향으로 이동시켜 헤드부(103)의 축핀구멍(104)의 내경에 2점 고정지지핀(242)이 밀착되어 더 이상 이동되지 않고 정지되는 지점에서 가압밀착대(243)와 2점 고정지지핀(242) 사이의 간격으로 제2길이측정을 하여 불량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상기 나사성형 검출부(250)는 스크류 몸체(101) 하단에 형성되는 체결나사(102)의 나사산 성형여부를 비접촉으로 측정하는 감지센서(251)에 의해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감지센서(251)는 통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나사성형 검출부(250)에 성형제품이 안착되는 스크류 몸체(101)의 체결나사(102)의 하부 방향에 감지센서(251)가 설치되어 체결나사의 성형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품공급부(110)에서 스톱링(105)이 체결된 리드스크류(100) 성형제품을 직립상태로 다수 대기시켜 수평교정부(120)로 공급이 이루어지면 수평교정부(120)에서는 성형제품에 체결된 스톱링(105)을 수평으로 교정한 다음 방향전환부(130)에서 직립상태의 성형제품을 횡방향으로 눕혀지게 회전시켜 검출안내대(140)의 일측 제품안착홈(141)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검출안내대(140)의 일측 제품안착홈(141)에 안착되어 있는 성형제품은 이송안내대(150)에 의해 검출안내대(140)의 다단계 제품안착홈(141)에 순차적으로 안착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검출안내대(140)의 측부에 구비되어 있는 다단계의 불량검출수단(200)에 의해 불량검출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불량검출수단(200)에서는 축핀구멍(104) 내경을 측정하는 내경검출부(210), 헤드부(103)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검출부(220), 헤드부(103) 선단과 축핀구멍(104) 내경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는 제1길이검출부(230), 스크류 몸체(101)의 길이를 측정하는 제2길이검출부(240), 스크류 몸체(101) 하단의 체결나사 성형상태를 판별하는 나사성형 검출부(250)를 거쳐 불량검출이 완료된 성형제품의 반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리드스크류 101 : 스크류 몸체
102 : 체결나사 103 : 헤드부
104 : 축핀구멍 105 : 스톱링
110 : 제품공급부 111 : 제품공급대
112 : 바닥면 113 : 제1슬라이딩 안내구멍
114 : 개폐안내봉 120 : 수평교정부 121 : 수평안내판 122 : 제2슬라이딩 안내구멍 123 : 이동부재 124 : 이동작동대 125 : 이동작동대 126 : 수평이동대 127 : 가압교정부재 128 : 가압대
130 : 방향전환부 131 : 회전안내판
132 : 제3슬라이딩 안내구멍 133 : 회전안내봉
134 : 방향전환공급대 140 : 검출안내대 141 : 제품안착홈 150 : 이송안내대 151 : 이송안내홈 152 : 지지대 153 : 회전작동축 154 : 회전작동판 155 : 편심축부 200 : 불량검출수단 210 : 내경검출부 211 : 제1작동판
212 : 1점 측정핀 213 : 제2작동판
214 : 2점 측정핀 220 : 두께검출부 221 : 고정받침대 222 : 두께측정대
230 : 제1길이검출부 231 : 헤드지지대
232 : 핀이동대 233 : 2점 가압측정핀
240 : 제2길이검출부 241 : 헤드고정대
242 : 2점 고정지지핀 243 : 가압밀착대
250 : 나사성형 검출부 251 : 감지센서
S : 실린더

Claims (14)

  1. 축핀구멍이 형성된 헤드부와, 체결나사가 형성된 스크류 몸체와, 상기 헤드부와 스크류 몸체 사이에 스톱링을 체결시킨 구성으로 된 리드스크류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크류 성형제품을 직립상태로 다수 대기시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제품공급부와;
    상기 제품공급부에서 공급되어 이송되는 성형제품에 체결된 스톱링을 수평으로 교정하는 수평교정부와;
    상기 수평교정부를 거쳐 이송되는 직립상태의 성형제품을 횡방향으로 눕혀지게 회전시켜 공급하는 방향전환부와;
    상기 방향전환부에서 횡방향으로 눕혀진 성형제품이 공급되고 등간격으로 복수의 제품안착홈이 다단계로 구비된 검출안내대와;
    상기 다단계의 검출안내대에 간헐적으로 이송 공급하여 검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송안내홈이 구비된 이송안내대와;
    상기 검출안내대의 일측에 성형제품을 측정하는 불량검출수단;을 구비하되 헤드부의 축핀구멍 내경을 측정하는 내경검출부와, 헤드부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검출부와, 헤드부 선단과 축핀구멍 내경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는 제1길이검출부와, 스크류 몸체의 길이를 측정하는 제2길이검출부와, 스크류 몸체 하단의 체결나사 성형상태를 비접촉으로 측정하는 감지센서에 의해 판별하는 나사성형 검출부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공급부는;
    전방으로 경사진 바닥면의 중앙에 제1슬라이딩 안내구멍이 형성되어 다수의 리드스크류 성형제품이 직립상태로 전방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제품공급대와, 상기 제품공급대의 전방 입구에 설치되어 성형제품을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안내봉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교정부는;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중앙 바닥면에 제2슬라이딩 안내구멍이 형성된 수평안내판과, 상기 수평안내판의 길이방향 하부에 이동자가 직교로 설치되어 성형제품을 간헐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수평안내판의 길이방향 중간부 상측에 설치되고 수평안내판을 따라 이송되어 직하부에 놓여지는 성형제품의 스톱링을 가압대로 가압하여 수평교정을 하도록 한 가압교정부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이동작동대에 봉상의 이동자가 설치되어 성형제품이 스크류 몸체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되 이동작동대는 수평안내판의 길이방향 측부에서 실린더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수평이동대를 따라 이송되게 하고 수평이동대에 설치되는 실린더에 의해 이동작동대가 전후진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교정부재는,
    성형제품의 스톱링 부분을 하향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가압대와, 상기 가압대를 승강시키는 실린더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는;
    수평교정부에 구비되는 수평안내판의 길이방향 끝단에 하향 곡면을 이루고 중앙에 제3슬라이딩 안내구멍이 형성된 회전안내판과, 상기 회전안내판의 시작부 하부 위치에 설치되어 스크류 몸체의 하단이 걸려서 눕혀지도록 하는 회전안내봉과, 상기 회전안내봉의 일측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성형제품이 눕혀진 상태로 받쳐져서 이송안내대에 낙하 공급되도록 하는 방향전환공급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안내대는;
    길이방향 양측으로 스크류 몸체의 양측단을 받쳐줄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된 제품안착홈이 복수로 형성되어 성형제품이 다단계로 안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안내대는;
    검출안내대의 내측에 길이가 긴 막대형태로 2열로 배치되고 상면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이송안내홈이 구비되어 성형제품의 스크류 몸체 중심부분이 안착되게 하고, 이송안내대의 길이방향 하부 양측에 지지대가 구비되되 회전작동축의 회전작동판에 편심 설치되는 편심축부에 지지대가 연결되어 이송안내대가 90도씩 회전하면서 이송안내대의 이송안내홈에 의해 검출안내대의 제품안착홈에 놓여진 성형제품을 위로 들어올려 또 다른 제품안착홈에 간헐적으로 이송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안내대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품안착홈과 이송안내대에 형성되는 복수의 이송안내홈은 동일한 간격과 동일한 갯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검출부는,
    성형제품의 길이방향 중심선상으로 구비된 1점 측정핀이 설치된 제1작동판과 중심선상 양측에 구비된 2점 측정핀이 설치된 제2작동판으로 된 제 3점 포인트 측정수단으로 구비되되 제1,2작동판이 상호 좁혀지거나 벌어지도록 하여 축핀구멍의 내경을 측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검출부는,
    성형제품의 헤드부가 받쳐지는 고정받침대와, 상기 고정받침대의 직상방에 승강되게 설치되는 두께측정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길이검출부는,
    성형제품의 헤드부 선단 방향에 고정설치되는 헤드지지대와, 성형제품의 축핀구멍에서 헤드지지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축핀구멍의 내경에 밀착되도록 하는 2점 가압측정핀이 구비된 핀이동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길이검출부는,
    축핀구멍에 지지되는 2점 고정지지핀이 구비된 헤드고정대와, 스크류 몸체의 하단을 헤드부 방향으로 밀어내어 길이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압밀착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
  14. 삭제
KR1020140080665A 2014-06-30 2014-06-30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 KR101544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665A KR101544675B1 (ko) 2014-06-30 2014-06-30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665A KR101544675B1 (ko) 2014-06-30 2014-06-30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4675B1 true KR101544675B1 (ko) 2015-08-17

Family

ID=54061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665A KR101544675B1 (ko) 2014-06-30 2014-06-30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6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677A (ko) * 2016-06-20 2017-12-28 주식회사 프론텍 측면 비전 검사 수단을 이용하는 회전식 샤프트 선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496B1 (ko) 2008-05-08 2012-01-12 이인철 씨엔씨선반제품의 자동측정 및 포장장치
KR101411458B1 (ko) 2014-04-18 2014-06-24 (주)정진정공 샤프트 검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496B1 (ko) 2008-05-08 2012-01-12 이인철 씨엔씨선반제품의 자동측정 및 포장장치
KR101411458B1 (ko) 2014-04-18 2014-06-24 (주)정진정공 샤프트 검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677A (ko) * 2016-06-20 2017-12-28 주식회사 프론텍 측면 비전 검사 수단을 이용하는 회전식 샤프트 선별장치
KR101872812B1 (ko) * 2016-06-20 2018-06-29 주식회사 프론텍 측면 비전 검사 수단을 이용하는 회전식 샤프트 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29479B (zh) 立式玻璃检测输送台及其检测方法
KR101573485B1 (ko) 단차 측정 자동화장치
KR100923273B1 (ko) 풀리 자동검사장치
KR100638283B1 (ko) 타이어 트레드 자동 조인트 감지장치
CN105170481A (zh) 一种生产线自动卸料在线送检装置
KR101277483B1 (ko) 튜브 전용 검사장치
CN103759691B (zh) 换向器内孔外径高度自动检测机
KR101544675B1 (ko) 자동차 전동시트용 리드스크류 불량검출장치
CN210375003U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工件检测装置
CN113532359B (zh) 一种轴类零件外径检测装置
CN108326074A (zh) 加油铁管成型装置及其成型工艺
KR200427893Y1 (ko) 내경 두께 겸용 홀테스터가 장착된 측정장치
CN205949325U (zh) 凸轮轴前端盖全自动检测装置
CN206944917U (zh) 外星轮长度和外圆自动检测装置
CN208195258U (zh) 加油铁管成型装置
KR101665919B1 (ko) 트리포드 하우징 등급 자동 분류 장치
KR20080009344A (ko) 내경 두께 겸용 홀테스터가 장착된 측정장치
CN108693248A (zh) 管端无盲区超声探伤机
JP4621937B2 (ja) ワークの曲がり不良検査装置
CN208026676U (zh) 管端无盲区超声探伤机
KR100936466B1 (ko) 포대의 자동 정렬 및 공급장치
KR100372581B1 (ko) 자동차 도어 스트라이크 제조장치
JP2984772B2 (ja) プレス入側材料測長方法並びに測長装置およびプレス入側材料供給装置
JP3121302U (ja) 圧造成形機における圧造品測定装置
KR101643691B1 (ko) 스틸볼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측정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