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5909A -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5909A
KR20110105909A KR1020100025029A KR20100025029A KR20110105909A KR 20110105909 A KR20110105909 A KR 20110105909A KR 1020100025029 A KR1020100025029 A KR 1020100025029A KR 20100025029 A KR20100025029 A KR 20100025029A KR 20110105909 A KR20110105909 A KR 20110105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compression spring
small compression
unit
insp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5516B1 (ko
Inventor
정찬기
홍순삼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5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516B1/ko
Publication of KR20110105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03Machine val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5/00Weighing apparatus wherein the balancing is effected by fluid action
    • G01G5/003Weighing apparatus wherein the balancing is effected by fluid action load-cell construction or mount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7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applying a load, e.g. for resistance or wear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Crack, flaws, fracture or rup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두 스프링상수를 갖는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자동화된 생산라인의 구축이 용이한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소형압축스프링을 수평하게 눕힌 상태로 지지한 채로 소형압축스프링을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소형압축스프링에 변형을 가하면서 로드셀을 이용하여 변형시 하중을 측정함으로써 하중검사를 수행하는 1차 하중검사부; 상기 1차 하중검사부에 의하여 하중검사가 완료된 소형압축스프링을 컨베이어를 통하여 제공받고, 제공된 소형압축스프링에 또 다른 크기의 변형을 가하면서 로드셀을 이용하여 변형시 하중을 측정함으로써 2차 하중검사를 수행하는 2차 하중검사부; 및 상기 1차 하중검사부 또는 2차 하중검사부에 의해 해당 소형압축스프링이 불량인 것으로 판별되면, 컨베이어 상의 소형압축스프링을 컨베이어로부터 배출시키는 선별부로 구성된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에 관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Apparatus for load measuring of small-sized compression spring}
본 발명은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을 테스트하여 불량품을 선별해내는 하중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의 흡기밸브와 배기밸브에 사용되는 밸브스프링과 같이 서로 다른 두 스프링상수를 갖는 소형압축스프링에 대하여 서로 다른 조건의 1,2차 하중검사를 연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한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작이 완료된 소형압축스프링은 설계값에 맞는 특성을 갖도록 제작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여러 테스트 작업을 거치게 되며, 특히 스프링상수의 경우 스프링에 작용하는 힘과 길이변화의 비례관계를 표시하는 상수로써, 스프링의 성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값이므로 제작된 소형압축스프링의 경우, 하중검사를 통해 설계된 스프링상수에 걸맞는 특성을 갖고 있는지를 테스트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 엔진의 흡기밸브와 배기밸브에 사용되는 밸브스프링의 하중선도는 기울기가 다른 두 직선으로 이루어진 구조로써, 2개의 스프링상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밸브스프링의 경우, 두 스프링상수에 걸맞는 서로 다른 검사조건하에서 하중검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2대의 하중시험기를 이용하여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2대의 하중시험기를 이용할 경우, 각각의 하중시험기를 따로 조작해야 하고 세팅해야 하는 등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것은 물론이고, 자동화된 생산라인을 구성하기가 매우 곤란하며, 검사시간 또한 오래 걸려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스프링상수를 갖는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자동화된 생산라인의 구축이 용이한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정렬장치 없이도 하중검사가 이루어진 소형압축스프링을 항상 일정한 곳에 위치시킬 수 있는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는 소형압축스프링을 수평하게 눕힌 상태로 지지한 채로 소형압축스프링을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소형압축스프링에 변형을 가하면서 로드셀을 이용하여 변형시 하중을 측정함으로써 하중검사를 수행하는 1차 하중검사부; 상기 1차 하중검사부에 의하여 하중검사가 완료된 소형압축스프링을 컨베이어를 통하여 제공받고, 제공된 소형압축스프링에 또 다른 크기의 변형을 가하면서 로드셀을 이용하여 변형시 하중을 측정함으로써 2차 하중검사를 수행하는 2차 하중검사부; 및 상기 1차 하중검사부 또는 2차 하중검사부에 의해 해당 소형압축스프링이 불량인 것으로 판별되면, 컨베이어 상의 소형압축스프링을 컨베이어로부터 배출시키는 선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1차 하중검사부는 소형압축스프링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며, 소형압축스프링의 일측단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소형압축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가압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제1 프레임과 연동하여 소형압축스프링을 가압하면서 소형압축스프링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제1 하중측정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제1 하중측정부는 동시에 이동하여 소형압축스프링을 양단을 가압하고, 또 가압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하중측정부는 제1 프레임 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프레임에 설치된 제1 서보모터와 연결되어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1차 하중검사부와 2차 하중검사부를 지지하는 베이스판에 설치된 제2 서보모터와 연결되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2차 하중검사부는 소형압축스프링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며, 소형압축스프링의 일측단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제2 프레임; 상기 소형압축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가압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제2 프레임과 연동하여 소형압축스프링을 가압하면서 소형압축스프링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제2 하중측정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과 제2 하중측정부는 동시에 이동하여 소형압축스프링의 양단을 가압하고, 또 가압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 하중측정부는 제2 프레임 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프레임에 설치된 제3 서보모터와 연결되어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1차 하중검사부와 2차 하중검사부를 지지하는 베이스판에 설치된 제4 서보모터와 연결되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1차 하중검사부와 2차 하중검사부를 동시에 지지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메인베이스로 연장되며, 메인베이스와 LM가이드에 의해 연결되어 이동하는 높이조절용 지지대; 및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베이스와 볼스크류를 통해 결합되어 볼스크류를 회전시킴으로써 높이조절용 지지대를 이동시켜 베이스판 상에 지지된 1차 하중검사부와 2차 하중검사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용 서보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하중측정부는 2개가 제공되며, 제공된 2개의 제1 하중측정부는 함께 이동하면서 서로 다른 두 소형압축스프링의 일단을 가압하도록 병렬구조로 배치되어 한번에 2개의 소형압축스프링에 대한 하중검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하중측정부는 2개가 제공되며, 제공된 2개의 제2 하중측정부는 함께 이동하면서 서로 다른 두 소형압축스프링의 일단을 가압하도록 병렬구조로 배치되어 한번에 2개의 소형압축스프링에 대한 하중검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소형압축스프링의 이송경로 상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1차 하중검사부와 2차 하중검사부가 서로 다른 조건하에서 하중검사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보다 신속한 검사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자동화된 생산라인의 구축이 용이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1차 하중검사부와 2차 하중검사부는 소형압축스프링의 양단을 동시에 가압하면서 스프링의 하중검사를 수행하고, 검사가 완료된 후에는 소형압축스프링의 양단을 동시에 가압해제 함으로써, 검사가 이루어진 소형압축스프링은 항상 일정 곳에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후위공정을 위한 별도의 정렬장치가 요구되지 않아 설비를 간소화하고, 또 설비비용 또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중검사장치의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중검사장치의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1차 하중검사부의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1차 하중검사부의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2차 하중검사부의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2차 하중검사부의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부의 평면도.
본 발명에 따른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는 엔진의 흡기밸브 및 배기밸브에 사용되는 밸브스프링과 같이 2개의 스프링상수를 갖는 소형압축스프링에 서로 다른 크기의 변형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서로 다른 두 조건의 하중검사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중검사장치의 정면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중검사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는 컨베이어(100)와, 1차 하중검사부(200)와, 2차 하중검사부(300)와, 선별부(400)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컨베이어(100)는 소형압축스프링을 순차적으로 이송하여 1차 하중검사부(200)와 2차 하중검사부(300) 및 선별부(400)로 소형압축스프링을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또 하중검사가 완료된 소형압축스프링을 마킹공정 등의 다음공정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컨베이어(100)로는 주지 관용된 벨트컨베이어 또는 체인컨베이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100) 상에는 소형압축스프링(S)을 수평하게 눕힌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지그(110)가 상호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기 1차 하중검사부(200)와 2차 하중검사부(300)는 소형압축스프링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이송궤적 상에서 순차적으로 연속되게 배치되어 소형압축스프링에 대한 1차 하중검사와 2차 하중검사를 연속해서 수행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1차 하중검사부의 정면도를,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1차 하중검사부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1차 하중검사부(200)는 컨베이어(100)에 의해 이송된 소형압축스프링을 가압하여 일정량 변형시키면서 그 때의 하중을 측정하여 해당 소형압축스프링에 대한 하중검사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1차 하중검사부(200)는 제1 프레임(210)과 제1 하중측정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프레임(210)은 1차 하중검사부(200)로 이송된 소형압축스프링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근접한 방향으로의 이동시 소형압축스프링의 일측단을 가압하는 가압부(211)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제1 프레임(210)은 전체적으로 L-자 형상을 갖는 블록으로써, 1차 하중검사부(200)와 2차 하중검사부(300)를 지지하는 베이스판(500)에 설치된 제2 서보모터(212)와 볼스크류(213)를 매개로 연결되어 제2 서보모터(212)의 구동에 의한 볼스크류(213)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게 되며, 베이스판(500)과는 LM가이드(214)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LM가이드(214)는 높은 정밀도를 갖는 직선운동베어링으로써, 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주지 관용된 기술이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제1 프레임(210)은 경량화를 위하여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하중측정부(220)는 1차 하중검사부(200)로 이송된 소형압축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제1 프레임(210)에 구비된 가압부(211)와 마주하도록 제1 프레임(210) 상에 설치되며, 제1 프레임(210)에 설치된 제1 서보모터(224)와 연결되어 소형압축스프링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면서 소형압축스프링을 변형시키고, 변형시 소형압축스프링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 하중측정부(220)는 소형압축스프링의 타측단을 가압하는 가압블록(221)과, 상기 가압블록(221)의 후단에 결합된 로드셀(222)과, 상기 로드셀(222)의 후단에 결합되고 제1 프레임(210)과 LM가이드(225)를 통해 연결되며 제1 프레임(210)에 설치된 제1 서보모터(224)와 볼스크류(226)를 매개로 연결되어 이동하는 이동블록(223)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 하중측정부(220)는 다수개로 구성되어 한번에 여러개의 소형압축스프링에 대한 하중검사작업을 진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제1 하중측정부(220)가 제공되며, 제공된 2개의 제1 하중측정부(220)는 제1 서보모터(224)에 의하여 함께 이동하면서 두 소형압축스프링의 일단을 가압하여 하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호 나란하게 병렬구조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제1 프레임(210)과 제1 하중측정부(220)는 소형압축스프링을 변형시키고자 할 경우 소형압축스프링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고, 변형을 해제할 경우에도 소형압축스프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도록 제1 서보모터(224)와 제2 서보모터(212)의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제1 서보모터(224)와 제2 서보모터(212)의 제어에 의하여 별도의 정렬장치를 이용하지 않고도 소형압축스프링을 항상 일정한 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230은 텐션바로써 제1 프레임(210)과 제1 하중측정부(220)를 상호 연결하여 하중검사시 제1 프레임(210)과 제1 하중측정부(220)를 견고히 지지하여 줌으로써 검사장치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2차 하중검사부의 정면도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2차 하중검사부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2차 하중검사부(300)는 1차 하중검사부(200)에 의하여 하중검사가 완료된 소형압축스프링을 컨베이어(100)를 통하여 제공받고, 제공된 소형압축스프링에 또 다른 크기의 변형을 가하면서 로드셀(322)을 이용하여 변형시 하중을 측정함으로써 2차 하중검사를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2차 하중검사부(300)는 1차 하중검사부(200)와 다른 크기의 변형을 가하는 점에 있어서 차이를 갖는 것을 뿐, 실질적인 구성은 1차 하중검사부(200)와 동일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2차 하중검사부(300)는 제2 프레임(310)과 제2 하중측정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제2 프레임(310)은 베이스판(500)에 설치된 제4 서보모터(312)와 볼스크류(313)를 매개로 연결되어 제4 서보모터(312)의 구동에 의하여 소형압축스프링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소형압축스프링의 일측단을 가압하여 변형시키는 가압부(3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 하중측정부(320)는 2차 하중검사부(300)로 이송된 소형압축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제2 프레임(310)에 구비된 가압부(311)와 마주하도록 제2 프레임(310) 상에 설치되며, 제2 프레임(310)에 설치된 제3 서보모터(324)와 연결되어 소형압축스프링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면서 소형압축스프링을 변형시키고, 변형시 소형압축스프링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을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제2 하중측정부(320)는 가압블록(321)과 로드셀(322) 및 이동블록(323)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제2 하중측정부(320)도 2개가 제공되며, 제공된 2개의 제2 하중측정부(320)는 제3 서보모터(324)에 의하여 함께 이동하면서 두 소형압축스프링의 일단을 가압하여 하중을 측정할 수 있도록 상호 나란하게 병렬구조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제2 프레임(310)과 제2 하중측정부(320)는 소형압축스프링을 변형시키고자 할 경우 소형압축스프링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고, 변형을 해제할 경우에도 소형압축스프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도록 제3 서보모터(324)와 제4 서보모터(312)의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제3 서보모터(324)와 제4 서보모터(312)의 제어에 의하여 별도의 정렬장치를 이용하지 않고도 소형압축스프링을 항상 일정한 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1차 하중검사부(200)와 2차 하중검사부(300)는 측정 대상인 소형압축스프링의 직경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형압축스프링의 중심부를 정확하게 가압하여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1차 하중검사부(200)와 2차 하중검사부(300)는 베이스판(500) 상에 함께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판(500)의 하부에는 높이조절용 지지대(510)가 구비되어 지면에 고정된 메인베이스(600)와 결합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대(510)는 베이스판(500)의 저면으로부터 메인베이스(600)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높이조절용 지지대(510)는 LM가이드(520)에 의해 메인베이스(600)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대(510)에는 높이조절용 지지대(510)를 이동시키기 위한 높이조절용 서보모터(530)가 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용 서보모터(530)는 볼스크류(540)를 통해 메인베이스(600)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높이조절용 서보모터(530)가 작동하여 볼스크류(540)를 회전시키게 되면, 높이조절용 서보모터(530)가 설치된 높이조절용 지지대(510)가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높이조절용 지지대(510)의 이동시 높이조절용 지지대(510)의 상단부에 위치한 베이스판(500)이 함께 이동하여 1차 하중검사부(200)와 2차 하중검사부(30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부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선별부(400)는 1차 하중검사부(200) 또는 2차 하중검사부(300)의 하중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불량으로 판별된 소형압축스프링을 컨베이어(100)로부터 밀어내어 별도의 수거통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2개의 실린더(411,412)가 나란하게 병렬구조로 배치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선별부(400)는 미도시된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앞에 놓인 소형압축스프링을 밀어내게 된다. 물론 상기 제어부는 1차 하중검사부(200)와 2차 하중검사부(300)로부터 전해지는 하중검사결과를 바탕으로 선별부(400)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를 이용한 하중검사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컨베이어(100)에 의해 이송되는 소형압축스프링들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로 일직선의 궤적으로 유지하며 이송되며, 1차 하중검사부(200)와 2차 하중검사부(300)는 소형압축스프링들의 이송궤적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1차 하중검사부(200)와 2차 하중검사부(300)는 각각 2개의 하중측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바, 컨베이어(100)는 2피치 간격으로 소형압축스프링을 이송시키게 된다. 여기서 1피치라 함은 컨베이어(100) 상에 높이 두 스프링 간의 사이간격을 의미하는 것으로, 컨베이어(100)에 의해 2피치 간격으로 이송되는 소형압축스프링을 이송할 경우, 2개의 소형압축스프링이 1차 하중검사부(200)로 동시에 투입되어 하중검사를 받게 되고, 다시 한번의 이동에 의하여 곧바로 2차 하중검사부(300)로 투입되어 또 다른 조건하에서 하중검사를 받게 되며, 하중검사가 완료된 2개의 소형압축스프링은 선별부(400)로 투입되어 불량으로 판별된 소형압축스프링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1차 하중검사부(200)에 의한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는 제1 서보모터(224)와 제2 서보모터(212)가 동시에 동작하여 제1 프레임(210)과 제1 하중측정부(220)를 소형압축스프링을 향해 이동시켜 소형압축스프링이 예정된 크기로 변형되도록 가압시킨 상태에서 제1 하중측정부(220)에 구비된 로드셀(222)을 이용하여 하중의 크기를 검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중측정이 완료되면, 제1 서보모터(224)와 제2 서보모터(212)가 동시에 작동하여 제1 프레임(210)과 제1 하중측정부(220)를 윈위치로 복원시킴으로써 실질적인 1차 하중검사가 완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 프레임(210)과 제1 하중측정부(220)가 동시에 소형압축스프링의 양단을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함으로써 하중검사가 완료된 소형압축스프링은 항상 일정한 위치에 놓이게 되어 다음공정을 위한 별도의 정렬이 요구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상기 1차 하중검사부(200)에 의한 1차 하중검사가 완료된 2개의 소형압축스프링은 컨베이어(100)의 작동에 의하여 2차 하중검사부(300)로 투입되고, 2차 하중검사부(300)로 투입된 2개의 소형압축스프링은 제2 프레임(310)과 제2 하중측정부(320)에 의해 2차 하중검사를 받게 된다. 물론 제2 프레임(310)과 제2 하중측정부(320)는 제1 프레임(210)과 제1 하중측정부(220)와 마찬가지로 제3 서보모터(324) 및 제4 서보모터(312)에 의해 동시에 작동하여 검사가 완료된 소형압축스프링을 항상 일정한 곳에 위치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1차 하중검사부(200)와 2차 하중검사부(300)를 순차적으로 거친 2개의 소형압축스프링은 선별부(400)로 투입되어 선별부(400)에 구비된 2개의 실린더(411,412)에 앞에 각각 위치하게 되며, 선별부(400)의 두 실린더(411,412)는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불량으로 판별된 소형압축스프링을 컨베이어(100)로부터 밀어내어 미도시된 수거통으로 해당 소형압축스프링을 배출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컨베이어 (200) : 1차 하중검사부
(210) : 제1 프레임 (211) : 가압부
(212) : 제2 서보모터 (220) : 제1 하중측정부
(222) : 로드셀 (224) : 제1 서보모터
(300) : 2차 하중검사부 (310) : 제2 프레임
(311) : 가압부 (312) : 제4 서보모터
(320) : 제2 하중측정부 (322) : 로드셀
(324) : 제3 서보모터 (400) : 선별부
(500) : 베이스판 (510) : 높이조절용 지지대
(530) : 높이조절용 서보모터 (600) : 메인베이스

Claims (8)

  1. 소형압축스프링을 수평하게 눕힌 상태로 지지한 채로 소형압축스프링을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100);
    상기 컨베이어(100)에 의해 이송된 소형압축스프링에 변형을 가하면서 로드셀(222)을 이용하여 변형시 하중을 측정함으로써 하중검사를 수행하는 1차 하중검사부(200);
    상기 1차 하중검사부(200)에 의하여 하중검사가 완료된 소형압축스프링을 컨베이어(100)를 통하여 제공받고, 제공된 소형압축스프링에 또 다른 크기의 변형을 가하면서 로드셀(322)을 이용하여 변형시 하중을 측정함으로써 2차 하중검사를 수행하는 2차 하중검사부(300); 및
    상기 1차 하중검사부(200) 또는 2차 하중검사부(300)에 의해 해당 소형압축스프링이 불량인 것으로 판별되면, 컨베이어(100) 상의 소형압축스프링을 컨베이어(100)로부터 배출시키는 선별부(4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하중검사부(200)는,
    상기 소형압축스프링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며, 소형압축스프링의 일측단을 가압하는 가압부(211)를 구비하는 제1 프레임(210);
    상기 소형압축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가압부(211)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제1 프레임(210)과 연동하여 소형압축스프링을 가압하면서 소형압축스프링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제1 하중측정부(220)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210)과 제1 하중측정부(220)는 동시에 이동하여 소형압축스프링을 양단을 가압하고, 또 가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중측정부(220)는 제1 프레임(210) 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프레임(210)에 설치된 제1 서보모터(224)와 연결되어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210)은 1차 하중검사부(200)와 2차 하중검사부(300)를 지지하는 베이스판(500)에 설치된 제2 서보모터(212)와 연결되어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하중검사부(300)는,
    상기 소형압축스프링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며, 소형압축스프링의 일측단을 가압하는 가압부(311)를 구비하는 제2 프레임(310);
    상기 소형압축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가압부(311)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제2 프레임(310)과 연동하여 소형압축스프링을 가압하면서 소형압축스프링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제2 하중측정부(320)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310)과 제2 하중측정부(320)는 동시에 이동하여 소형압축스프링의 양단을 가압하고, 또 가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중측정부(320)는 제2 프레임(310) 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프레임(310)에 설치된 제3 서보모터(324)와 연결되어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310)은 1차 하중검사부(200)와 2차 하중검사부(300)를 지지하는 베이스판(500)에 설치된 제4 서보모터(312)와 연결되어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하중검사부(200)와 2차 하중검사부(300)를 동시에 지지하는 베이스판(500);
    상기 베이스판(500)으로부터 메인베이스(600)로 연장되며, 메인베이스(600)와 LM가이드(520)에 의해 연결되어 이동하는 높이조절용 지지대(510); 및
    상기 높이조절용 지지대(510)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베이스(600)와 볼스크류(540)를 통해 결합되어 볼스크류(540)를 회전시킴으로써 높이조절용 지지대(510)를 이동시켜 베이스판(500) 상에 지지된 1차 하중검사부(200)와 2차 하중검사부(3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용 서보모터(5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중측정부(220)는 2개가 제공되며, 제공된 2개의 제1 하중측정부(220)는 함께 이동하면서 서로 다른 두 소형압축스프링의 일단을 가압하도록 병렬구조로 배치되어 한번에 2개의 소형압축스프링에 대한 하중검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중측정부(320)는 2개가 제공되며, 제공된 2개의 제2 하중측정부(320)는 함께 이동하면서 서로 다른 두 소형압축스프링의 일단을 가압하도록 병렬구조로 배치되어 한번에 2개의 소형압축스프링에 대한 하중검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
KR1020100025029A 2010-03-22 2010-03-22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 KR101165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029A KR101165516B1 (ko) 2010-03-22 2010-03-22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029A KR101165516B1 (ko) 2010-03-22 2010-03-22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909A true KR20110105909A (ko) 2011-09-28
KR101165516B1 KR101165516B1 (ko) 2012-07-16

Family

ID=44956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029A KR101165516B1 (ko) 2010-03-22 2010-03-22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5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7969A (zh) * 2015-08-11 2015-12-16 无锡职业技术学院 一种数据可追溯的弹簧检测系统
KR101582859B1 (ko) 2014-09-12 2016-01-08 대원강업주식회사 밸브 스프링 특성 측정장치 및 특성 측정방법
CN113701969A (zh) * 2021-10-27 2021-11-26 海安东洋弹簧有限公司 一种钻杆弹簧压缩性能检测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825B1 (ko) 2016-12-09 2018-03-19 주식회사 강산테크 링 스프링의 하중검사 시스템
KR20190087923A (ko) 2018-01-17 2019-07-2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태빙기의 판 스프링 자동 하중 검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547Y1 (ko) * 2003-12-03 2004-03-02 주식회사 풍산테크윈 스프링의 형상 측정장치
JP2009025186A (ja) * 2007-07-20 2009-02-05 Fuji World:Kk ばね等検査部品の自動測定判別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859B1 (ko) 2014-09-12 2016-01-08 대원강업주식회사 밸브 스프링 특성 측정장치 및 특성 측정방법
CN105157969A (zh) * 2015-08-11 2015-12-16 无锡职业技术学院 一种数据可追溯的弹簧检测系统
CN113701969A (zh) * 2021-10-27 2021-11-26 海安东洋弹簧有限公司 一种钻杆弹簧压缩性能检测设备
CN113701969B (zh) * 2021-10-27 2022-02-11 海安东洋弹簧有限公司 一种钻杆弹簧压缩性能检测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516B1 (ko) 2012-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5516B1 (ko) 소형압축스프링의 하중검사장치
CN209648039U (zh) 一种轮毂轴承单元游隙检测及负游隙压装装置
CN103542811B (zh) 一种保持架自动检测装置
KR101478122B1 (ko) 상용차량용 휠 허브 측정검사장치
US9696237B2 (en) Wind tunnel balance
CN108387276B (zh) 锂电池检测设备
CN106824812B (zh) 一种轴类零件自动检测设备
CN102641853A (zh) 自动测量分选机
CN109622399B (zh) 管件长度一体式检测装置
KR20120046863A (ko) 휴대폰케이스 평탄도 검사장치
CN109030219B (zh) 一种纸箱强度检测装置的检测方法
KR101140721B1 (ko) 컴프레서 풀리 내경 자동측정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N203116706U (zh) 钢轨自动调平激光检测装置
KR101071551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패드의 압축율 검사장치
US11162872B2 (en) Device for evaluating tire rolling resistance
CN206876098U (zh) 一种曲面玻璃的检测装置
CN105223089A (zh) 一种超薄型磁性组件自动化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02114498A (zh) 半自动t型导轨扭曲校直机直线度检测装置
CN104296925B (zh) 用于表征轮胎匀度机的系统和使用该表征的方法
CN100483064C (zh) 全自动轴承防尘槽口径检测机
KR20110078589A (ko) 와이퍼모터 샤프트 검사장비의 샤프트 투입기
CN210774182U (zh) 一种带钢在线检测三轴移动机构
RU135416U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стенд для испытаний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элементов на совместное действие изгибающих моментов, продольных и поперечных сил при кратковременном динамическом нагружении
CN108325866B (zh) 阻尼器自动扭矩检测设备
CN202555508U (zh) 自动测量分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