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892B1 - 무속용 면소창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무속용 면소창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892B1
KR100954892B1 KR1020080001312A KR20080001312A KR100954892B1 KR 100954892 B1 KR100954892 B1 KR 100954892B1 KR 1020080001312 A KR1020080001312 A KR 1020080001312A KR 20080001312 A KR20080001312 A KR 20080001312A KR 100954892 B1 KR100954892 B1 KR 100954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tton
sewing
cotton fabric
guide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5454A (ko
Inventor
구정기
Original Assignee
구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정기 filed Critical 구정기
Priority to KR1020080001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892B1/ko
Publication of KR20090075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속용 면소창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에 관련되며, 구성에 특징을 살펴보면, 면사를 1800mm~2100mm의 광폭으로 직조하는 직조단계; 상기 직조단계를 통하여 직조된 면직물(F)을 60~70℃에서 염색하는 염색단계; 상기 염색단계를 거친 면직물(F)을 420~640mm의 소폭으로 절단하는 절단단계; 및 상기 절단단계에서 소폭으로 절단된 면직물(F1)을 봉재장치(100)에 투입하여 양단을 동시에 봉재하는 봉재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면소창을 대폭으로 직조하여 이를 원하는 사이즈로 절단후 양단을 동시 봉재처리함에 따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특히 양단 동시 봉재로 인해 주름발생이 미연에 방지되어 면소창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면소창, 삼베, 봉재기, 롤러, 볼스크루, 모터, 면사, 커팅

Description

무속용 면소창 제조 장치{Cotton fabrics manufacture device for shamanist custom}
본 발명은 무속용 면소창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속인들이 원시종교적 관념에 의하여 주재하는 새신(賽神) 의식을 행하면서 잡신을 물리치기 위하여 찢어서 사용하는 무속용 면소창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대로부터 유교사상을 바탕으로 모든 생활규범과 실천윤리를 지배하던 원시종교적 관념에 의하여 근자까지도 병의 퇴치·초복(招福)·초혼(招魂)·안택(安宅)·기우(祈雨)·진령(鎭靈)·제재(除災)·천신(薦神)·축귀(逐鬼) 등을 목적으로 잡기를 물리치기 위해 샤머니즘의 한 형태인 굿을 행하게 된다.
굿은 사전에 길일을 택하여 원무당(元巫堂)이 주재하며, 창부무(唱夫巫)와 후전무(後錢巫)는 가무와 예(藝)만을 하고, 기무(技巫)는 장구를, 악수(樂手)는 조수로서 징을 치며, 전악(典樂)은 퉁소와 해금을 맡아서 의식을 행한다. 제물은 주로 백병(白餠)·과일·당과(糖菓)·유과(油果)·술·포(脯) 등이 사용되고 굿을 행하는 중에 삼베를 잘게 찢으며 잡기를 물리치기 위한 의식이 행하여 지지만, 근자 에는 삼베가 워낙 고가이다 보니 이를 인조직물인 면소창으로 대체사용하고 있다.
종래에 면소창은 면사를 구입하여 선염한 후에 직기를 통하여 사용하기 용이한 소폭(620~640mm정도)으로 직조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으로 면소창을 제조함에 있어 아래와 같은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첫째, 선염된 면사를 사용하여 면소창을 직조하다보니 염색색생이 흐리거나 직조중에 면사가 압착되면서 조직밀도가 높아져 굿을 행하는 중에 쉽게 찢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따랐다.
둘째, 직기를 사용하여 면소창을 초기에 소폭으로 직조하다보니 시간당 생산물량이 소량으로 한정되고, 또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가의 직기를 확충하는 방법외에 대안이 없는 실정이다.
셋째, 소폭을 직조된 면소창은 위사·경사조직이 뒤틀리거나 풀리지 않도록 양단을 봉재하는바, 이를 작업자가 일일이 일측단을 봉재한 다음 다른 일측단을 봉재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고, 특히 양단을 각개로 봉재하다보니 주름이 발생되어 품질저하로 이어지는 폐단이 따랐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면소창 제조방법 및 그에 필요한 제조장치를 개선하여 가공중에 주름발생과 같은 불량률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대량생산체제를 구축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또 굿을 행하는 중에 결을 따라 쉽게 찢어지도록 하여 사용상에 편의성을 제공하는 무속용 면소창 제 조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면사를 1800mm~2100mm의 광폭으로 직조하는 직조단계; 상기 직조단계를 통하여 직조된 면직물(F)을 60~70℃에서 염색하는 염색단계; 상기 염색단계를 거친 면직물(F)을 420~640mm의 소폭으로 절단하는 절단단계; 및 상기 절단단계에서 소폭으로 절단된 면직물(F1)을 봉재장치(100)에 투입하여 양단을 동시에 봉재하는 봉재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봉재장치(100)는 소폭으로 절단된 면직물(F1)의 투입을 안내하도록 가이드블록(112)이 간격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롤러(110); 상기 가이드롤러(110)를 통하여 투입되는 면직물(F1)의 양단에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레일(122)을 타고 간격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봉재기(120)(120'); 상기 봉재기(120)(120') 후방에 한 쌍으로 설치되고, 모터의 작동에 의해 구동되면서 양단에 구비되는 실린더(132)에 의해 간격조절되는 배출롤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봉재기(120)(120')는 전방에 커팅날(140)이 직선왕복 혹은 회전되도록 구비되어 면직물(F1)의 양단을 정밀 커팅하고, 커팅된 폐면직물은 흡입기(142)와 연결된 흡입배관(143)을 통하여 수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롤러(110)와 재봉기(120)(120')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선형의 돌부(152)가 정역방향으로 감긴 확장롤러(150)가 구비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롤러(130)를 통하여 배출되는 면직물(F1)의 상하면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정전기를 흡수하고, 흡수된 정전기를 지면으로 유도하기 위한 접지선(162)이 연결되는 접지봉(1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면소창을 대폭으로 직조하여 이를 원하는 사이즈로 절단후 양단을 동시 봉재처리함에 따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특히 양단 동시 봉재로 인해 주름발생이 미연에 방지되어 면소창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면사를 직조한 후에 염색가공함에 따라 염색색상이 선명하면서 조직밀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면소창이 결 따라 쉽게 찢어져 사용상에 편의성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속용 면소창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속용 면소창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속용 면소창 제조장치의 봉재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속용 면소창 제조장치의 봉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무속용 면소창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무속용 면소창 제조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는 무속인들이 원시종교적 관념에 의하여 주재하는 새신(賽神) 의식 즉, 굿을 행하면서 잡신을 물리치기 위하여 사용하는 면소창이 사용중에 결을 따라 간편하게 찢어지면서 제조에 따른 단가를 절감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다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직조단계
직조단계는 통상의 직기를 사용하여 면사로 이루어진 경사(날실)와 위사(씨실)를 서로 아래위로 교차하도록 짜서 면직물(F)을 직조하는 단계로써, 이때 직기를 통하여 초기 직조되는 면직물(F)의 폭은 후술하는 절단단계를 통하여 원하는 사이즈의 면소창을 다수개 형성할 수 있도록 1800mm~2100mm의 광폭으로 직조된다.
2. 염색단계
염색단계는 상기 직조단계를 통하여 직조된 면직물(F)을 염색하는 단계이다.염색단계는 원하는 색상의 염료를 혹은 표백제를 사용하여 염색하되, 이때 염색은 60~70℃의 조건하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면직물(F)이 열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되어 결을 따라 쉽게 찢어짐은 물론 염색색상이 보다 선명하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처럼, 면사를 면직물(F)로 직조한 후에 염색가공함에 따라 종래에 면사를 먼저 염색처리하여 면직물을 직조하는 방법에 비해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한편, 면직물(F)의 염색온도가 저온일 경우 염색시간이 길어짐은 물론 사용시 쉽게 찢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고온일 경우 면직물이 손상되어 직물의 기 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염색온도는 60~70℃가 적합하다.
3. 절단단계
절단단계는 상기 염색단계를 거친 면직물(F)을 면소창으로 사용될 사이즈로 절단하는 단계이다. 절단단계는 염색이 완료된 면직물(F)을 도 2처럼 롤형태로 감은 상태로 커팅날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통상의 커팅기(도시생략)를 사용하여 420~640mm의 소폭으로 절단한다. 이때 절단된 면직물(F1)은 설정된 치수에 근접한 치수로 절단되어 후술하는 봉재단계를 수행하는 중에 정밀치수로 가공된다.
4. 봉재단계
봉재단계는 상기 절단단계에서 소폭으로 절단된 면직물(F1)을 봉재장치(100)에 투입하여 양단을 동시에 봉재하는 단계이다. 절단단계를 통하여 절단된 면직물(F1)의 양단은 위사와 경사가 쉽게 풀어져 지저분하거나 면직물(F1) 전체에 주름이 발생됨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 위해 양단에 봉재장치를 사용하여 위사와 경사가 풀리지 않도록 봉재하되, 이때 면직물(F1)의 양단을 동시에 봉재처리하므로 봉재작업중에 주름발생이 방지되면서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때, 상기 봉재장치(100)는 소폭으로 절단된 면직물(F1)의 투입을 안내하도록 가이드블록(112)이 간격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롤러(110)와, 상기 가이드롤러(110)를 통하여 투입되는 면직물(F1)의 양단에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레일(122)을 타고 간격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봉재기(120)(120')와, 상기 봉재기(120)(120') 후방에 한 쌍으로 설치되고, 모터의 작동에 의해 구동되면서 양단에 구비되는 실린더(132)에 의해 간격조절되는 배출롤 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이드롤러(110)는 봉형태로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이드롤러(110)상에 한 쌍의 가이드블록(112)이 슬라이드이송되도록 삽입설치된다. 이때 가이드블록(112)은 면직물(F1)이 가이드롤러(110)상에서 좌우로 유동이 방지되면서 설정된 위치로 투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면직물(F1)의 양단과 대응하는 단부가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면직물(F)이 설정된 위치에서 벗어나더라도 원추형의 경사면을 타고 정위치로 복귀된다.
또, 가이드롤러(110)에 의해 안내이송되는 면직물(F1)은 확장롤러(150)에 의해 주름이 펴진 상태로 봉재기(120)(120')상으로 투입된다. 확장롤러(150)는 도 4와 같이 가이드롤러(110)와 재봉기(120)(120')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선형의 돌부(152)가 정역방향으로 감긴 형태로 구비된다. 이에 면직물(F1)이 이송되는 중에 확장롤러(150) 표면에 면접되면 나선형의 돌부가 면직물(F1)의 표면을 좌우로 문지르면서 주름을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봉재기(120)(120')는 가이드롤러(110)를 거쳐 투입되는 면직물(F1)의 양단에 위치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되, 하부가 가이드레일(122)상에 안착설치되면서 구동모터에 의해 연계작동되는 볼스크루와 연결되어 간격이 조절된다. 이는 면소창이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폭으로 요구되므로 이러한 사이즈 변화에 대응하여 간편하게 봉재기(120)(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폭의 면직물(F1) 양단을 봉재처리하게 된다. 이처럼 면직물(F1)의 양단이 한 쌍의 봉재기(120)(120')에 의해 동시 봉재됨에 따라 직물의 결이 뒤틀어지게 봉재되거나 주 름발생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때, 구동모터에 의해 연계작동되는 볼스크루를 통한 봉재기(120)(120')의 간격조절방식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봉재기(120)은 고정한 상태로 다른 일단에 봉재기(120')를 간격조절하거나, 도면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볼수크루상에 오른나사와 왼나사를 중복형성하여 한 쌍의 봉재기(120)(120')가 상호 역방향으로 이송되면서 간격조절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사용되는 봉재기(120)(12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이므로 상세한 구성 및 작동설명은 상략한다.
또, 상기 봉재기(120)(120')는 전방에 커팅날(140)이 직선왕복 혹은 회전되도록 구비되어 면직물(F1)의 양단을 정밀 커팅하고, 커팅된 폐면직물은 흡입기(142)와 연결된 흡입배관(143)을 통하여 수거된다. 커팅날(140)은 봉재기(120)(120')의 바늘 전방에 위치되어 면직물(F1)의 양단이 봉재되기 직전에 설정된 사이즈(예컨대, 한 쌍의 봉재기(120)(120')가 이격되는 간격)로 절단하는바, 이때 커팅날(140)은 가위형태로 구비되거나 원형판형태로 형성되어 직선왕복 혹은 회전되면서 면직물(F1)의 양단이 정밀 커팅되고, 도 4의 확대도와 같이 커팅날(140)과 인접하는 위치에 흡입배관(143)이 구비되어 절단된 폐면직물이 흡입기(142)상으로 수거처리된다. 이때 흡입기(142)는 펜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폐면직물을 흡입하는 통상의 장치이다.
그리고, 봉재기(120)(120')를 통하여 양단이 봉재처리된 면직물(F1)은 배출롤러(130)를 통하여 배출되는바, 여기서 배출롤러(130)는 봉재기(120)(120') 후방 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 면직물(F1)을 압착한 상태로 모터의 작동에 의해 구동되면서 강제배출됨에 따라 면직물(F1)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봉재처리되어 주름발생이 방지된다. 또 한 쌍의 배출롤러(130) 가운데 일단에 배출롤러는 양단이 가이드레일상에 상하이송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실린더(132)의 작동에 의해 위치조절된다. 이에 면직물(F1)의 두께변화에 대응하여 배출롤러(130)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다양한 두께의 면직물(F1)을 유연성 있게 강제배출시키면서 팽팽하게 당겨주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출롤러(130)를 통하여 배출되는 면직물(F1)의 상하면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정전기를 흡수하고, 흡수된 정전기를 지면으로 유도하기 위한 접지선(162)이 연결되는 접지봉(160)이 구비된다. 이는 직조공정에서 발생되는 먼지가 정전기로 인한 스파크에도 화재가 쉽게 발생됨에 따라 봉재가 완료된 면직물(F1)에 인접하게 접지봉(160)을 설치하여 정전기가 발생되더라도 접지선(162)을 통하여 지면으로 흘러 보내므로 화재가 미연에 예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속용 면소창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속용 면소창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속용 면소창 제조장치의 봉재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속용 면소창 제조장치의 봉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Claims (5)

  1. 삭제
  2. 봉재장치(100)는 소폭으로 절단된 면직물(F1)의 투입을 안내하도록 가이드블록(112)이 간격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롤러(110);
    상기 가이드롤러(110)를 통하여 투입되는 면직물(F1)의 양단에 대응하도록 설치되고,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레일(122)을 타고 간격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봉재기(120)(120');
    상기 봉재기(120)(120') 후방에 한 쌍으로 설치되고, 모터의 작동에 의해 구동되면서 양단에 구비되는 실린더(132)에 의해 간격조절되는 배출롤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속용 면소창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봉재기(120)(120')는 전방에 커팅날(140)이 직선왕복 혹은 회전되도록 구비되어 면직물(F1)의 양단을 정밀 커팅하고, 커팅된 폐면직물은 흡입기(142)와 연결된 흡입배관(143)을 통하여 수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속용 면소창 제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110)와 재봉기(120)(120')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나선형의 돌부(152)가 정역방향으로 감긴 확장롤러(1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속용 면소창 제조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롤러(130)를 통하여 배출되는 면직물(F1)의 상하면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정전기를 흡수하고, 흡수된 정전기를 지면으로 유도하기 위한 접지선(162)이 연결되는 접지봉(1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속용 면소창 제조장치.
KR1020080001312A 2008-01-04 2008-01-04 무속용 면소창 제조 장치 KR100954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312A KR100954892B1 (ko) 2008-01-04 2008-01-04 무속용 면소창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312A KR100954892B1 (ko) 2008-01-04 2008-01-04 무속용 면소창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454A KR20090075454A (ko) 2009-07-08
KR100954892B1 true KR100954892B1 (ko) 2010-04-27

Family

ID=41332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312A KR100954892B1 (ko) 2008-01-04 2008-01-04 무속용 면소창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8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595B1 (ko) 2010-12-09 2013-06-07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억제 효과를 가지는 신규 유산균, 이를 이용한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00250B (zh) * 2016-10-31 2017-11-03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切边织唛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1318A (ko) * 1986-05-31 1987-12-22 문정규 테이프제조용 직물 및 테이프제조용 직물의 절단방법
KR100695957B1 (ko) * 2006-06-29 2007-03-19 서상범 주방용 수세미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111215A (ko) * 2006-05-17 2007-11-21 김정수 직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11318A (ko) * 1986-05-31 1987-12-22 문정규 테이프제조용 직물 및 테이프제조용 직물의 절단방법
KR20070111215A (ko) * 2006-05-17 2007-11-21 김정수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95957B1 (ko) * 2006-06-29 2007-03-19 서상범 주방용 수세미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595B1 (ko) 2010-12-09 2013-06-07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억제 효과를 가지는 신규 유산균, 이를 이용한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454A (ko)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4529742U (zh) 一种织物拉毛机
KR100954892B1 (ko) 무속용 면소창 제조 장치
KR101194954B1 (ko) 직물원단 먼지 제거장치
CH616182A5 (ko)
CN113584789B (zh) 一种纺织品除毛装置
US3952372A (en) Method and means for blending fiber strand segments in a base strand
DE2459781C2 (de) Vorrichtung zur Ausscheidung von Fasernissen, Faserverklebungen, Fremdstoffpartikeln (Strips) und Kurzfasern beim Krempeln oder Kardieren von Faserstoffen
CN112899830A (zh) 一种纺织车间使用的高效梳棉机
CN116289058A (zh) 一种纺织面料表面绒毛处理设备
CN110067067B (zh) 一种毛涤石墨烯弹力呢及其生产方法
CN111778698A (zh) 一种带有牵伸机的纺织机械用的非纺织导向装置
JP6037096B2 (ja) インクジェット捺染装置及び印捺物の製造方法
CN209039712U (zh) 一种经编剪毛机
KR100327315B1 (ko) 버티컬 브라인더 원단 절단용 컷팅기
CN111748907A (zh) 二醋酸纤维无纺布的制备方法
CN110356901A (zh) 一种用于棉布加工印花设备的送料系统
CN205382312U (zh) 一种亚麻纤维生产装置
CN216765286U (zh) 一种布料印花前处理清毛装置
CN216378768U (zh) 一种纺织加工用外表面毛料清理装置
CN216274750U (zh) 水溶纤维伴纺面料连续平幅退维水煮装置
KR100742118B1 (ko) 직물원단 표면 가공장치
CN218133683U (zh) 一种羊毛纱线浸洗烘干装置
CN219930353U (zh) 一种长条状角料开松装置
CN115074876B (zh) 一种转杯纺环保再生涤棉混纺色纱生产装置及生产方法
CN213890269U (zh) 一种织布机用快速切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