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5957B1 - 주방용 수세미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주방용 수세미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957B1
KR100695957B1 KR1020060059458A KR20060059458A KR100695957B1 KR 100695957 B1 KR100695957 B1 KR 100695957B1 KR 1020060059458 A KR1020060059458 A KR 1020060059458A KR 20060059458 A KR20060059458 A KR 20060059458A KR 100695957 B1 KR100695957 B1 KR 100695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eaving
manufacturing
cutting
cre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9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범
Original Assignee
서상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범 filed Critical 서상범
Priority to KR1020060059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5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용 수세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경사 또는 위사로 사용될 나일론필라멘트사에 올록볼록하게 클리프를 형성하는 클리프 형성 단계와, 클리프가 형성된 나일론필라멘트사와 일반실을 평지로 제직하는 제직단계와, 상기 제직된 원단을 염색하는 염색단계와, 상기 염색된 원단을 텐터 가공하는 텐터링단계와, 상기 가공이 완료된 원단을 소정 크기로 자르는 절단단계와, 상기 절단된 원단의 가장다리의 올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재봉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수세미가 적당한 두께감을 가진 까실까실한 타월 형태로 제조되어 부드러우면서도 충분한 부피감을 가지며, 물을 머금는 함수율이 우수함과 동시에 많은 기공을 가져 거품 발생이 용이하기 때문에 작은 양의 세제로도 많은 거품을 발생시킴으로써, 세제의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식기의 표면을 손상없이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탈수와 건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위생적으로도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주방용 수세미, 단겹부, 다겹부, 염색, 텐터, 재봉

Description

주방용 수세미 및 그 제조 방법{A scrubber for kitche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도 1은 본 발명의 수세미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세미 원단의 단겹부와 다겹부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세미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단겹부 20: 다겹부
본 발명은 주방용 수세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나일론필라멘트사를 평지로 제직한 후, 올록볼록하게 요철이 형성되는 크리프 가공을 통해 표면이 까실까실하게 형성함으로써, 함수율이 우수하고 적은 양의 세제로도 거품 발생이 뛰어난 주방용 수세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주방용 수세미는 합성 연사에 연마입자와 경화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연마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우수한 마세성을 지니게 하여 식기의 가벼운 음식물 세척에서부터 냄비의 눌러 붙은 찌든 때까지 세정할 수 있도록 한 수세미를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여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주방용 수세미는 합성 연사로 된 블럭 형태 수세미의 부족한 마세성 보완을 위하여 수세미에 규사나 알란덤 등의 분말을 접착하여 연마성을 향상시켰기 때문에 양은그릇이나 합성수지류의 식기는 물론 유리나 스테인레스류의 식기등에 수세미를 사용할 경우 식기류의 표면에 미세한 흠집이 발생하여 식기류 고유의 광택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합성수지사를 망공이 형성되는 결망지 형태로 제직한 수세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망공형 수세미의 경우에는 수분을 머금는 함수율과 세제에 의한 거품을 발생시키는 기공이 부족하여 거품 발생이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세제의 사용량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 형태가 너무 얇고 두께감이 부족하기 때문에 설겆이를 할 때 수세미가 쉽게 뭉쳐짐으로써, 식기를 닦는데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부드러우면서도 충분한 부피감을 가지며, 물을 머금는 함수율이 우수함과 동시에 많은 기공을 가져 거품 발생이 용이하게 하고, 탈수와 건조가 신 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위생적인 주방용 수세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나이론 필라멘트사를 다양한 두께감을 가진 타월 형태로 제직한 후, 표면이 까실까실 하도록 크리프 가공을 수행한 후 염색과 텐더링 공정 및 절단과 재봉 단계를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수세미를 제조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경사 또는 위사로 사용될 나일론필라멘트사에 올록볼록하게 클리프를 형성하는 클리프 형성 단계와,
클리프가 형성된 나일론필라멘트사와 일반실을 평지로 제직하는 제직단계와,
상기 제직된 원단을 염색하는 염색단계와,
상기 염색된 원단을 텐터 가공하는 텐터링단계와,
상기 가공이 완료된 원단을 소정 크기로 자르는 절단단계와,
상기 절단된 원단의 가장다리의 올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재봉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제직단계는 나일론필라멘트사를 평지로 제직할 때 일정한 간격으로 단겹부(10)와 다겹부(20)를 번걸아 제직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염색단계는 염료 99 중량%에 빙초산 1중량%를 첨가하여 제조된 염료 용액을 85℃로 가열한 후 가열된 염료 용액에 원단을 10분간 담근 후, 수세하여 탈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텐터링단계는 물 100㎏에 대하여 에나멜수지 2㎏의 비율로 혼합된 텐터처리수에 원단을 침수시킨 후, 185℃의 가열 온도에서 시간당 900야드의 속도로 원단을 이송시켜 텐터링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절단단계는 일정한 크기로 원단을 절단하되, 제직단계에서 단겹부(10)와 다겹부(20)를 번갈아 제직한 경우에는 단겹부(10) 부분을 절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재봉단계는 절단된 원단의 가장자리 모두를 오버록 마감하여 원단의 가장자리에서 올이 풀리는 것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먼저 나일론필라멘트사에 올록볼록한 파형의 클리프가 형성되도록 클리프기를 이용하여 클리프 가공을 수행한 후, 클리프 가공된 나일론필라멘트사와 일반 나일론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평지로 제직하게 된다.
이때, 원단은 전체를 단겹으로 제직하거나 또는 전체를 다겹으로 제직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간격으로 단겹부(10)와 다겹부(20)를 번걸아 격자형으로 제직하는 것이며, 다겹부(20)의 경우에는 대략 3 ~ 5겹으로 겹쳐지게 제직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처럼, 단겹부(10)와 다겹부(20)를 번걸아 제직하게 되면, 다겹부(20)에서는 도톰한 두께감이 느껴짐과 동시에 단겹부(10)와 다겹부(20)의 두께 차에 따른 시각적 효과로 인하여 원단의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를 다겹으로 제직했을 때, 겹쳐진 부분이 서로 벌어지는 것을 단겹부가 방지해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그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원단 표면의 클리프 성형이 완료되면, 원단에 색을 입히는 염색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염색조건은 염료 99 중량%에 빙초산 1중량%를 첨가하여 제조된 염료 용액을 85℃로 가열한 후 가열된 염료 용액에 원단을 10분간 담근 후, 원단을 수세하여 탈수함으로써, 원단을 원하는 색상으로 염색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원단은 상기 제직 단계에서 단겹부(10)와 다겹부(20)가 번걸아가며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원단을 염색하게 되면, 단겹부(10)는 색깔이 연하고 다겹부(20)는 염색된 부분이 여러 장 겹쳐져서 색이 진하게 보이기 때문에 자연스런 이중 색감의 염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염색이 이루어진 원단은 건조와 동시에 직물의 폭을 정형하는 텐터링 가공을 수행하게 되는데, 텐터링 가공을 수행할 때에는 텐터링 머신의 저수조에 물 100㎏에 대하여 에나멜수지 2㎏이 희석된 텐터처리수를 저장하여 이 텐터처리수에 원단을 침수시킨 후 185℃의 온도에서 시간당 900야드의 속도로 원단을 이송하며 텐터링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하여 원단의 텐터 가공이 완료되면, 원단을 수세미로 사용하기에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게 되는데, 절단 크기에는 한정을 두지 않으며, 원단을 절단하는 절단기 또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원단용 절단기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원단을 절단할 때, 절단 부위는 제직 과정에서 형성된 단겹부(10)와 다겹부(20)중 단겹부(10)의 가운데 부분을 절단하게 되는데, 이 처럼 단겹부(10)를 절단하는 것은 원단을 절단한 후, 원단 가장자리의 올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재봉 단계를 수행할 때, 오버록 재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한편 상기 본 발명에서 나일론필라멘트사는 유사한 성질의 폴리사나 합성사 등으로 대신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세미가 적당한 두께감을 가진 까실까실한 타월 형태로 제조됨으로서, 부드러우면서도 충분한 부피감을 가지며, 물을 머금는 함수율이 우수함과 동시에 많은 기공을 가져 거품 발생이 용이하기 때문에 작은 양의 세제로도 많은 거품을 발생시킴으로써, 세제의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식기의 표면을 손상없이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탈수와 건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위생적으로도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경사 또는 위사로 사용될 나일론필라멘트사에 올록볼록하게 클리프를 형성하는 클리프 형성 단계와,
    클리프가 형성된 나일론필라멘트사와 일반실을 평지로 제직하는 제직단계와,
    상기 제직된 원단을 염색하는 염색단계와,
    상기 염색된 원단을 텐터 가공하는 텐터링단계와,
    상기 가공이 완료된 원단을 소정 크기로 자르는 절단단계와,
    상기 절단된 원단의 가장다리의 올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재봉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구성을 된 주방용 수세미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직단계는 나일론필라멘트사를 평지로 제직할 때 일정한 간격으로 단겹부(10)와 다겹부(20)를 번걸아 제직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방용 수세미 제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염색단계는 염료 99 중량%에 빙초산 1중량%를 첨가하여 제조된 염료 용액을 85℃로 가열한 후 가열된 염료 용액에 원단을 10분간 담근 후, 수세하여 탈수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방용 수세미 제조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텐터링단계는 물 100㎏에 대하여 에나멜수지 2㎏의 비율로 혼합된 텐터처리수에 원단을 침수시킨 후, 185℃의 가열 온도에서 시간당 900야드의 속도로 원단을 이송시켜 텐터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방용 수세미 제조 방법.
  5. 경사 또는 위사 중 하나에 클리프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해 단겹부(10)와 다겹부(20)를 가로 세로 격자형으로 번갈아가며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원단을 제직한 후, 상기 원단을 소정 크기로 절단하고 절단된 가장자리 부분을 오버록 재봉하여서 된 주방용 수세미.
KR1020060059458A 2006-06-29 2006-06-29 주방용 수세미 및 그 제조 방법 KR100695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458A KR100695957B1 (ko) 2006-06-29 2006-06-29 주방용 수세미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9458A KR100695957B1 (ko) 2006-06-29 2006-06-29 주방용 수세미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5957B1 true KR100695957B1 (ko) 2007-03-19

Family

ID=41623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9458A KR100695957B1 (ko) 2006-06-29 2006-06-29 주방용 수세미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59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892B1 (ko) * 2008-01-04 2010-04-27 구정기 무속용 면소창 제조 장치
KR20210153259A (ko) * 2020-06-10 2021-12-17 천정수 천연 수세미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362A (ko) * 1993-09-24 1995-04-17 임인규 죽염제조방법
KR950009906A (ko) * 1993-09-28 1995-04-26 엄길용 수소화된 비정질 실리콘 박막 제조방법
KR19990065916A (ko) * 1998-01-19 1999-08-05 김조해 수세미 제조방법
KR20000051841A (ko) * 1999-01-27 2000-08-16 구기열 수세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362A (ko) * 1993-09-24 1995-04-17 임인규 죽염제조방법
KR950009906A (ko) * 1993-09-28 1995-04-26 엄길용 수소화된 비정질 실리콘 박막 제조방법
KR19990065916A (ko) * 1998-01-19 1999-08-05 김조해 수세미 제조방법
KR20000051841A (ko) * 1999-01-27 2000-08-16 구기열 수세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892B1 (ko) * 2008-01-04 2010-04-27 구정기 무속용 면소창 제조 장치
KR20210153259A (ko) * 2020-06-10 2021-12-17 천정수 천연 수세미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2472278B1 (ko) 2020-06-10 2022-11-30 천정수 천연 수세미 원단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41364B (zh) 一种经编长毛绒单层毛毯双面不同花型的印花方法
CN101264679B (zh) 一种藤或竹面料及其制备方法
CN106120136A (zh) 一种双色烂花沙发面料工艺
CN108049016A (zh) 一种超细纤维烂花短毛绒面料生产工艺
KR100695957B1 (ko) 주방용 수세미 및 그 제조 방법
CN100587143C (zh) 印花泡皱毛棉精纺面料的生产方法
CN108998904A (zh) 一种纺织品生产用清洗装置
CN106521846B (zh) 一种棉织布的加工工艺
CN102554984A (zh) 一种竹子编制工艺
CN205054140U (zh) 一种多功能新型清洁布
CN103710818B (zh) 一种混纺机织衬衬布及其制备工艺
CN102587004A (zh) 一种羊毛毛圈织物的织造方法
CN102704258A (zh) 一种使衣物呈雪花般视觉效果的水洗工艺
CN206034084U (zh) 一种纺织布料生产水洗机
CN101324002A (zh) 竹纱毛巾制作方法
CN108286103A (zh) 一种书画用麻布的生产工艺
CN102041596A (zh) 一种牛仔面料
CN105316842A (zh) 一种新型布料的制作工艺
CN110904567A (zh) 一种锦氨纶高弹双面布面料的生产方法
CN110421919A (zh) 一种超轻的气凝胶保暖面料
CN105401322A (zh) Pv绒织物
CN105310441B (zh) 一种羊绒纤维编织地毯及编织方法
CN112210866B (zh) 一种双轴织造特色毛纺面料的生产方法
CN110878439A (zh) 肤丽绢胶原蛋白胜钛氨基酸纤维布料
CN107964814B (zh) 一种具有表面渐变色效果的羊毛面料、成衣的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