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900B1 - 피부염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염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900B1
KR100953900B1 KR1020090106630A KR20090106630A KR100953900B1 KR 100953900 B1 KR100953900 B1 KR 100953900B1 KR 1020090106630 A KR1020090106630 A KR 1020090106630A KR 20090106630 A KR20090106630 A KR 20090106630A KR 100953900 B1 KR100953900 B1 KR 100953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tamine
dermatitis
composition
alany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헌구
조백환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5D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루타민에 1 이상의 아미노산을 결합시킨 펩타이드 (peptid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피부 미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PLA2 활성 저해효과를 갖는 글루타민을 기본으로 하고 1 이상의 아미노산을 결합시킨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및 자외선에 의한 피부염을 개선하고, 이로 인한 피부 미백 효과와 탈모 예방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글루타민, 펩타이드, 피부염, 자외선, 미백, 탈모

Description

피부염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ement of dermatitis}
본 발명은 피부염증의 개선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글루타민을 기본으로 하고 1 이상의 아미노산을 결합시킨 펩타이드 (peptid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의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및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에서 가장 큰 장기로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각종 외부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면역기관이다. 이러한 이유로 피부에는 염증과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각종 질환이 빈번히 발생하여 피부 미용에 손상 및 탈모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피부는 신체의 표면을 덮고 있으므로 자외선과 같은 외부로부터의 자극이나 여러 병원체에 직접 접촉될 기회가 많고, 체내로부터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또한, 유전, 염증, 양성 및 악성 종양, 호르몬, 외상, 퇴행변성 등의 병적 변화에 영향을 받으므로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질환이 유발된다.
태양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 (UV)은 지구에 도달하는 빛의 일부에 해당하는 적은 양이지만, 홍반, 색소 침착, 주름 및 대부분의 피부암을 유발시키는 요소로서 작용한다. 다량의 자외선으로 인해 피부에서는 각질층의 구조에 염증이 생기고, 각질 배리어 (barrier) 기능이 저하된다고 알려져 있다.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세포 및 조직의 손상을 주도하는 것은 반응성이 큰 활성 산소이며, 이들은 항산화 효소와 비효소적 항산화제들로 구성된 항산화 방어망을 파괴함으로써 결국에는 탄력 감소, 주름 생성, 각질 비후, 콜라겐 분해 등의 증상을 유발하여 광노화 (Scharffetter-Kochanek et al.,Exp Gerontol, 35(3):307-316, 2000) 또는 피부암과 같은 피부 질환을 야기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자외선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서는 생체 내 뿐만 아니라 피부에서 주로 작용하는 효소의 생성을 활성화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피부의 치유된 창상 부위에서 발견되는 염증 후 색소 침착이나, 피부염의 증상으로 나타나는 과색소 침착 등의 피부 색소 침착 질환도 자외선에 의한 피부염으로 인해 흔히 발생한다. 따라서 자외선에 의한 피부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다면, 피부 색소 침착질환을 조기에 예방할 수 있다.
탈모가 나타나는 원인은 유전자 요인 외에도 강한 자외선이나 운동 중 흘리 는 땀, 식습관, 심리적 압박감 등을 꼽을 수 있다. 특히 여름철에 강하게 내리쬐는 자외선은 두피에 직접적인 자극을 줘 모근을 건조하게 만들고, 염증을 증가시켜 탈모를 촉진시킨다. 또한 자외선 때문에 모발의 단백질 층인 '케라틴'이 파괴되어 손상을 입게 된다. 이는 머리카락을 가늘어 지게 함으로써 결국 탈모를 불러오게 된다.
이에 피부염 특히,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자외선에 의한 피부염, 더 나아가 피부 미백 및 자외선에 의한 탈모를 예방할 수 있으면서, 부작용이 없는 치료제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염증반응에서 중요한 효소인 cPLA2 활성을 저해시키는 물질인 글루타민을 기본으로 하고 한 가지 이상의 아미노산을 결합시킨 펩타이드 (peptide)가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자외선에 의한 피부염을 개선시킴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cPLA2 활성 저해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글루타민에 1 이상의 아미노산을 결합시킨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PLA2 활성 저해제를 제공한다.
또한, 글루타민에 1 이상의 아미노산을 결합시킨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조성물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cPLA2 (Cytosolic phospholipase A2)는 세포막의 인지질 (phospholipid)로 부터 아라키돈 산 (arachidonic acid)을 합성하는 효소이다. 아라키돈 산은 염증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이코사노이드 (eicosanoid) 라고 알려진 각종 류코트리엔 (leukotriens), 프로스타글란딘 (prostaglandins), 스롬복산 (thromboxanes)을 포함하여 혈소판 활성인자 (platelet-activating factor)를 합성케 하는 물질이다 (J. Biol. Chem. 1997. 272(27):16709-16712). 이들 물질들은 모두 강력한 염증 매개 물질로, 과학자들은 염증반응을 억제하기 위하여 이들 물질에 대한 억제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여 왔다. 이렇듯 cPLA2는 모든 염증반응 유발에 가장 중요한 효소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cPLA2 유전자를 제거한 마우스에서는 아토피를 포함한 각종 염증질환이 잘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Adv Exp Med Biol. 2002;507:25-31). 현재 사람에서 사용되고 있는 cPLA2 억제제로 잘 알려진 약제는 스테로이드이다. 그러나 스테로이드는 부작용이 심하여 그 사용이 제한적이며 내성을 보이기 때문에,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는 cPLA2 억제제 개발은 인류가 해결하여야 할 과제중 하나이다.
본 발명자들은 최근 비 필수 아미노산인 글루타민이 cPLA2 활성을 차단함으로써 내독소에 의한 쇼크 (Shock 2005. 25:290-294) 및 천식반응 (Clin. Exp. Allergy. 2007. 38:357-364)을 억제함을 보고하였다. 또한 cPLA2 활성 억제에 관한 기작 연구에서 글루타민은 cPLA2 활성에 이르는 상위 신호전달 (upstream signaling pathway) 물질인 MAP kinase를 비활성화 시킴으로써 cPLA2 활성을 억제함을 밝히었다 (J. Immunol. 2009. 182:7957-7962). 이러한 연구는 글루타민은 아미노산 중에서 혈중 농도가 가장 높은 아미노산이며 또한 그 안정성이 이미 확인된 물질임을 감안하여, 글루타민을 피부염 개선제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중요한 연구라고 사료된다.
그러나 글루타민은 1) 수용 상태에서는 자연 상태에서 존재하는 L-form이 D-form으로 전환되는 이성화 (isomerization)가 일어나 그 활성이 감소하며, 2) 물에 녹는 용해도는 4%가 최대로, 그 용해도가 낮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여러 종류의 피부염에서 글루타민과 결합된 펩타이드 형태가 활성 및 용해도의 문제 없이 피부염 개선에 우수함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글루타민에 결합하는 아미노산은 알라닌 (alanine), 글리신 (glycine), 시스틴 (cystine), 세린 (serine), 트레오닌 (threonine) 및 발린 (valine) 등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글루타민에 1개의 아미노산을 결합시킨 펩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펩타이드 알라닐-글루타민 (alanyl-glutamine) 또는 글리실-글루타민 (glycyl-glutamine)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글루타민은 바람직하게는, L-형태 (L-form)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글루타민에 1 이상의 아미노산을 결합시킨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피부 염증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한 결과, 알라닐-글루타민 및 글리실-글루타민이 cPLA2 인산화 및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실제 상기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피부염 개선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피부염은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자외선에 의한 피부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글루타민은 전술된 바와 같이 인체에서 다양하게 유익한 작용을 수행하며, 전혀 무해한 성분임이 자명하다. 이 글루타민은 자연으로부터 분리된 것이거나, 인공적으로 합성한 것이어도 무방하며, Sigma 사와 같은 화합물 회사로부터 상업적으로도 입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상 사람의 피부에 장 기간 (3개월 이상) 적용하여도 어떠한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아 안전성에서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글루타민에 1 이상의 아미노산을 결합시킨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미백 효과 및 탈모 예방효과를 가진다.
상기의 펩타이드는 알라닐-글루타민 (alanyl-glutamine) 또는 글리실-글루타민 (glycyl-glutamine)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의 글루타민과 1이상의 아미노산이 결합된 펩타이드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모발 화장료, 오일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자외선 차단제,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 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 유액, 프레스 파우더, 루스파우더 및 아이섀도의 제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싱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펩타이드의 함량은 글루타민 기준으로 전체 건조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1.0 ~ 4.0%가 바람직하다. 1% 중량 이하의 농도에서는 뚜렷한 피부 염증 개선 효과를 보이지 않았고, 4% 중량 이상의 농도에서는 함유량의 증가에 따라 뚜렷한 효과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의 미백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펩타이드의 함량은 글루타민 기준으로 전체 건조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1.0 ~ 4.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염 개선을 위한 조성물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염증 완화 효과가 우수하며, 이로 인해 색소침착, 피부 미백 및 탈모를 예방할 수 있어, 피부 보호 제재 및 피부 질환 치료제 산업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 예 1> 동물 관리 및 시약의 준비
특정 병원체가 없는 암컷 BALB/c 마우스는 Samtako Bio Korea Inc. (오산, 경기도,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였고, 기류식 무균 실험대에 수용하여 표준 고형사료를 원하는 대로(ad libitum) 공급하며 사육하였다. 실시예의 개시 시점에 마우스는 7-8주령이었다. 본 실시예에서 이용된 모든 실험 동물은 전북대학교 의과대학의 실험동물의 관리 및 이용 위원회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of th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에 의하여 승인된 프로토콜에 따라 관리되었다.
<실시 예 2> 이뮤노블로팅 (Immunoblotting) 분석
마우스를 희생시켜 폐를 적출하고 PhosphoSafe Extraction Reagent (Novagen, Madison, WI)를 이용하여 폐를 분쇄하여 세포 용해물 (cell lysate)을 준비한다. 세포 용해물 (Cell lysate)을 10% SDS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 (polyacrylamide gel) 상에서 전기영동을 실시한 후 프로탄 니트로셀로로오스 (Protran nitrocellulose) 막 (Schleicher & Schuell, Keene, NH)에 옮기고 마우스 phospho-cPLA2 및 cPLA2에 대한 일차항체를 이용하여 웨스턴 블롯팅 (Western blotting)을 실시하였다 (J. Immunol. 2009. 182:7957??7962).
<실시 예 3> cPLA 2 활성 측정
폐조직에서 cPLA2 활성을 측정하였다. 마우스를 희생시켜 50mM Tris-Cl, pH 7.5, 1 mM EDTA, 150 mM NaCl 및 프로테아제 억제제 (protease inhibitors)가 포함된 완충액을 이용하여 팁-타입 소니케이터 (tip-type sonicator (Branson Sonifier, Branson Ultrasonics Corp., CT, 20% amplitude, 3 min))로 폐를 마쇄하였다. 1,000,000 g 에서 1 시간 원심시켜 상층액에서 cPLA2 활성을 측정하였다 (J Allergy Clin Immunol. 2005. 116:537-543).
<실시 예 4> 펩타이드의 cPLA 2 인산화 및 활성 억제 효과 시험
LPS 50mg을 마우스 꼬리 정맥으로 주사하고 10분 후에 글루타민 기준으로 4% 알라닐-글루타민 또는 4% 글리실-글루타민 0.5 ml을 마우스 복강에 주사하였다. 펩타이드 주사 10분 후에 전체 마우스를 희생시켜 폐를 적출하여 cPLA2인산화 및 활성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알라닐-글루타민 또는 글리실-글루타민은 LPS에 의해 항진되는 cPLA2 인산화 (도 1) 및 활성 (도 2)을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실시예 5> 펩타이드의 아토피성 접촉성 피부염의 염증 억제 효과
펩타이드의 국소 적용에 의해 아토피성 접촉성 피부염이 치료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DNFB를 이용하여 피부염을 유발하였다. 이를 위해 마우스의 양쪽 귀에 DNFB를 3일 간격으로 총 5회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 양쪽 귀를 0.15%의 DNFB 30㎕로 0, 3, 6, 9 및 12 일째에 5회 감작시켰다.
DNFB의 적용 최종일에 DNFB로 처리된 동물은 3 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한 그룹은 양성 대조군으로 아무 처리하지 않은 그룹, 나머지 두 그룹은 각각 4%의 알라닐-글루타민 또는 4% 글리실-글루타민 용액을 오른쪽 귀의 양측으로 하루에 3회, 2일 동안 적용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서는 식염수를 왼쪽 귀에 적용하였다.
또한 귀의 부종반응 (ear swelling responses (ESR))측정을 위해, DNFB의 적용 전, 후 귀의 두께는 다이얼 두께 게이지(Model 7326, Tokyo,Japan)로 측정하였다. ESR의 변화 백분율은 다음 수학식 1에 따라 표현하였다.
<수학식 1>
[(DNFB 적용 후 값-DNFB 적용 전 값)/DNFB 적용 전 값] × 100
그 결과 DNFB 적용시에 ESR은 비히클만 적용된 정상 그룹과 비교하여 약 130%까지 증가되었다. 알라닐-글루타민 또는 글리실-글루타민의 적용은 공히 DNFB에 의해 유도된 ESR을 40-45%까지 유의하게 (P < 0.01) 억제하였다 (도 3). 알라닐-글루타민을 이용하여 농도별 (1%, 2%, 및 4%)로 DNFB에 의해 유도된 ESR 저해능을 관찰한 결과, 알라닐-글루타민은 농도 의존적으로 ESR을 억제하였다 (도 4)
ESR을 측정한 후 동물을 희생시키고 동물의 양쪽 귀를 잘라내어 조직을 염색하여 염증 및 염증세포 침윤 정도를 관찰하였다. DNFB 감작은 귀 조직에 부종과 호산구를 포함한 염증세포의 현저한 침윤을 유발하였다 (도 5). 알라닐-글루타민 또는 글리실-글루타민의 적용은 공히 귀의 두께와 염증 세포의 침윤을 식염수를 적용시킨 양성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도 5). 귀에서 단위 면적(mm2)당 백혈구와 호산구 수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1> 단위 면적당 백혈구와 호산구의 개수
그룹 백혈구의 총 개수 호산구의 총 개수
식염수 4138±234 887±145
알라닐-글루타민 1072±134* 289±104*
글리실-글루타민 1118±157* 221±152*
*p < 0.01 대 식염수 처리군
<실시 예 6> 자외선에 의한 피부염 유발
털을 제거한 마우스 등에 FS-40 자외선 램프 (sun lamps) (Westinghouse, Bloomfield, NJ)를 이용하여 자외선 B를 쬐어준다. 자외선 램프와 마우스의 거리는 20cm로 고정하고 자외선 총량은 15 kJ/m2 으로 조정하여 하루에 5분 동안 3일 조사하였다.
<실시 예 7> 펩타이드의 자외선에 의한 피부염 억제 효과 시험
털을 제거한 마우스를 세 그룹으로 나누어 등에 자외선 B를 오전 9 시에 5분 동안 하루에 한번, 3일 조사하여 피부염을 발생시켰다 (도 6). 여기에 4%의 알라닐-글루타민 또는 글리실-글루타민을 오전 9시 10분, 오후 2시 그리고 오후 8시 3회에 걸쳐 자외선 조사 부위에 적용시켰더니, 자외선에 의한 피부염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도 6).
또한 자외선 B를 3일 조사하여 피부염을 발생시킨 후, 4% 알라닐-글루타민 또는 글리실-글루타민을 하루에 6회 적용하여 치료 효과를 관찰한 결과, 이들 펩타이드는 공히 이미 발생시킨 피부염 역시 현저하게 억제시켰다 (도 7). 알라닐-글루타민을 이용하여 농도별 (1%, 2%, 및 4%)로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피부염 저해능을 관찰한 결과, 알라닐-글루타민은 농도 의존적으로 이미 발생시킨 피부염을 억제하였다 (도 8).
도 1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에 의한 cPLA2 인산화가 저해되는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에 의한 cPLA2 활성이 저해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에 의한 DNFB 적용 후 유도된 ESR의 억제 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인, 알라닐-글루타민의 농도 의존적으로 ESR 억제 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적용한 동물 조직에서의 염증 및 염증세포 침윤 정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가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염의 치료 효과를 보여주는 동물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가 자외선 조사에 의해 기 발생한 피부염의 치료효과를 보여주는 동물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인 알라닐-글루타민이 농도 의존적으로 이미 발생시킨 자외선에 의한 피부염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여주는 동물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11)

  1. 알라닐-글루타민 및 글리실-글루타민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1이상 선택되는 디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루타민은 L-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염은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자외선에 의한 피부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알라닐-글루타민 및 글리실-글루타민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1이상 선택되는 디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펩타이드의 함량이 건조 중량 기준으로,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1.0 ~ 4.0% 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KR1020090106630A 2009-08-28 2009-11-05 피부염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0953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80298 2009-08-28
KR1020090080298 2009-08-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900B1 true KR100953900B1 (ko) 2010-04-22

Family

ID=422200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620A KR100953515B1 (ko) 2009-08-28 2009-11-05 피부 가려움증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0090106630A KR100953900B1 (ko) 2009-08-28 2009-11-05 피부염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620A KR100953515B1 (ko) 2009-08-28 2009-11-05 피부 가려움증 개선을 위한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0953515B1 (ko)
WO (1) WO20110251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092A (ko) 2017-01-16 2018-07-2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피토스핑고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인성 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48474B1 (ko) 2017-08-09 2018-04-12 정병곤 아토피 피부 가려움증 완화를 위한 천연 유래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3340B1 (ko) 2020-04-27 2022-06-27 박민희 피부 가려움증 억제 또는 완화 및 화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73754B1 (ko) 2021-02-25 2023-09-01 주식회사 차메디텍 신규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또는 피부가려움증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2619897B1 (ko) 2021-02-25 2024-01-04 주식회사 차메디텍 신규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또는 피부가려움증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CN114028372B (zh) * 2021-11-04 2023-09-01 中南大学湘雅医院 谷氨酰胺作为活性成分在制备银屑病治疗药物中的应用、银屑病治疗药物及其制备方法
WO2023194400A1 (en) * 2022-04-06 2023-10-12 Mc2 Therapeutics Ltd Topical formulation for use in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itchy dry ski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9092A (en) * 1992-05-20 1996-09-24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Cosmetic composition
US6126939A (en) * 1996-09-03 2000-10-03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Anti-inflammatory dipeptid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KR100883342B1 (ko) * 2008-08-21 2009-02-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글루타민을 함유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EP2106791A1 (en) 2008-03-31 2009-10-07 Biotempt B.V. Glutamine or glutamine-containing dipeptide in a specific dosage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9092A (en) * 1992-05-20 1996-09-24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Cosmetic composition
US6126939A (en) * 1996-09-03 2000-10-03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Anti-inflammatory dipeptid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EP2106791A1 (en) 2008-03-31 2009-10-07 Biotempt B.V. Glutamine or glutamine-containing dipeptide in a specific dosage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KR100883342B1 (ko) * 2008-08-21 2009-02-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글루타민을 함유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515B1 (ko) 2010-04-21
WO2011025107A1 (ko) 201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900B1 (ko) 피부염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CA2907495C (en) Antioxida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ES2727832T3 (es) Extracto de partes aéreas de Maca rico en polifenoles y composición que lo comprende
EP3277254B1 (en) Topical cosmetic treatment of skin and scalp and corresponding active ingredient based on an extract of apium graveolens
BR9712648B1 (pt) composição compreendendo pelo menos dois compostos selecionados dentre anti-radical, antinflamatório e antialérgico.
JPWO2004016236A1 (ja) 化粧料
JP2002193738A (ja) 皮膚老化の徴候を処置する組成物における、少なくとも1種のツツジ科植物の少なくとも1種の抽出物の使用
KR20200024235A (ko) 피부, 모발, 손톱 및/또는 점막의 치료 및/또는 관리에 유용한 화합물
ES2372805T3 (es) Composiciones de autobronceado que comprenden sulfato de colesterol y dha.
AU2001273115A1 (en) Cosmetic composition and method
KR101220903B1 (ko) 피부주름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JP4677033B2 (ja) マイタケ抽出物及びこれを含む皮脂産生を促進するための組成物
KR20180082177A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556720B2 (ja) 皮膚症の治療におけるダフネ・ラウレオラ抽出物
JP2005047910A (ja) 皮脂分泌抑制用組成物
EP1043016A1 (en) A plant extract based on glycerides, a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this extract and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0754748B1 (ko) 느릅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5α-리덕테이즈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JP2020502172A (ja) 漢方薬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化粧料組成物
KR20190048202A (ko)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소듐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를 함유하는 나노 리포좀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97865A (ko) 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02329B1 (ko) 백굴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5α-리덕테이즈활성 억제용 조성물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6805B1 (ko) 항염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8862A (ko) 생열귀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자극 완화, 피부 장벽 강화 및 염증 억제용 조성물
US11110117B2 (en) Skin preparation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containing complex hyaluronic acid
JP5047511B2 (ja) 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gm−csf)産生抑制剤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