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754B1 - 신규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또는 피부가려움증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또는 피부가려움증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754B1
KR102573754B1 KR1020210025428A KR20210025428A KR102573754B1 KR 102573754 B1 KR102573754 B1 KR 102573754B1 KR 1020210025428 A KR1020210025428 A KR 1020210025428A KR 20210025428 A KR20210025428 A KR 20210025428A KR 102573754 B1 KR102573754 B1 KR 102573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peptide
present
seq
inhib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1417A (ko
Inventor
이성진
이광형
박경용
김석진
정지형
남유진
이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차메디텍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차메디텍,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차메디텍
Priority to KR1020210025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754B1/ko
Publication of KR20220121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7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또는 피부가려움증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펩타이드는 표피세포간 결합을 촉진하고,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싸이토카인의 발현을 유의성 있게 억제시키는 활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신규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또는 피부가려움증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Novel peptides and cosmetic compositions for enhancing skin barrier or inhibiting skin pruri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또는 피부가려움증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펩타이드는 표피세포간 결합을 촉진하고,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싸이토카인의 발현을 유의성 있게 억제시키는 활성을 갖는다.
인간의 피부는 피부 최외각층(각질)을 제외하고 표피층(epidermis) 및 진피층(dermis)로 구성되어 있고, 그 아래에는 지방조직(adipose tissue)을 포함하는 피하조직(hyperdermis)으로 이루어져 있다. 표피층은 주로 표피세포(keratinocytes)로 이루어져 있고, 진피층은 주로 진피섬유아세포(dermal fibroblasts)로 이루어져 있다. .
주름개선 및 피부노화 방지를 타겟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들은 주로 피부 진피층(dermis)의 주요 세포인 진피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단백질 발현 촉진 또는 이를 분해하는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 천연물, 화합물, 펩타이드 소재들과 진피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성장인자(growth factors), 싸이토카인(cytokines) 등의 단백질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를 가진 대부분의 활성 소재들이 실제 피부의 표피층(epidermis)을 통과해 진피층까지 도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표피층은 외부 유해물질, 자외선, 화학물질 등의 투과 억제 및 보습을 유지하는 장벽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주요 세포는 표피세포로서 피부 장벽(skin barrier) 유지와 함께 염증 조절인자들(싸이토카인, 케모카인 등)을 분비함으로써 진피층 아래 조직 내의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표피층의 피부 장벽 기능은 표피세포간의 결합, 즉 세포와 세포 사이 접합 단백질(junction proteins)의 발현과 활성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접합 단백질은 세포 외부의 감염으로부터의 1차적인 물리적 방어 역할 뿐만 아니라 세포 내외부의 화학적 자극에 의한 진피세포 보호 및 면역작용의 불균형을 억제하는 중요한 방어벽 역할을 한다. 접합 단백질은 보통 네 개 그룹, 강한 접합(tight junction), 밀착 접합(adherens junction), 갭 접합(gap junction), 데소모좀(desmosomes)으로 나뉘고, 이 가운데 강한 접합 단백질들[예를 들어, 클라우딘(claudins), 오클루딘(occludins), ZO-1, 2 등)이 세포 사이의 공간을 통한 분자들, 특히 수용성 물질의 이동을 막고 세포 투과성(cell permeability)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는 세포 장벽 보호에 기여하는 주요 인자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표피세포간 결합을 촉진하고 및/또는 접합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소재는 피부 장벽 보호와 활성화를 통하여 피부노화 억제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를 위하여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가려움증(소양증)이란 피부를 긁거나 비벼대고 싶은 욕망을 일으키는 불유쾌한 감각으로, 많은 피부 질환, 내과 질환 및 정신 질환 등으로 인해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다. 가려움증의 치료를 위해서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구체적인 원인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증상에 따른 일반적인 치료법을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표적인 가려움증 질환으로 아토피성 피부염, 습진, 수부 습진, 한포진, 동전모양 습진 등이 있다. 가려움증은 염증 및 면역인자의 조절과 관련되어 있고, 대표적으로 인터페론-감마(interferon-gamma, IFN-γ), 인터루킨-6 등 다양한 사이토카인이 알려져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817244호는 신규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정 서열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817250호는 신규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다른 특정 서열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한국등록특허 제953515호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알라닐-글루타민 및 글리실-글루타민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1이상 선택되는 디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신규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또는 피부가려움증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개시된 바 없다.
1. 한국등록특허 제1817244호 2. 한국등록특허 제1817250호 3. 한국등록특허 제95351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또는 피부가려움증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합성 펩타이드의 피부장벽 강화 및 가려움증 인자의 억제효과를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주름형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가려움증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가려움증은 가려움증은 아토피 피부염, 습진, 수부 습진, 한포진, 동전모양 습진, 노인 소양증, 접촉성 피부염, 두드러기, 건선 및 자외선에 의해 유발되는 것이거나 인터페론-감마(interferon-γ) 또는 인터루킨-6(interleukin-6)에 의해 유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가려움증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특정 펩타이드 단편인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는 우수한 표피세포간 결합을 촉진하여 피부장벽 강화를 유도하고, 가려움증 유발인자를 억제하는 효과를 제시하였으므로, 피부장벽강화, 피부노화억제, 피부주름형성 억제 또는 가려움증 억제를 위하여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간 표피세포(Human epidermal keratinocytes)의 세포결합 및 투과억제 측정을 위해 transwell plates에서 세포배양을 통해 FITC-dextran(4 kDa)의 투과도를 평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레인 1(Lane 1)은 배양세포에 펩타이드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그룹이고(대조군 1), 레인 2(Lane 2)는 배양세포에 대조 펩타이드인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로 처리한 그룹이고(대조군 2), 레인 3(Lane 3)은 서열번호 1 펩타이드를 처리한 그룹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간 표피세포의 전기저항도(Trans-Epithelial Electric Resistance, TEER) 측정을 위해 transwell plates에서 세포배양을 통해 Millicell-Electrical Resistance System(ERS)을 사용해 세포 사이의 저항도를 평가하여 얻어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레인 1(Lane 1)은 배양세포에 펩타이드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그룹이고(대조군 1), 레인 2(Lane 2)는 배양세포에 대조 펩타이드인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로 처리한 그룹이고(대조군 2), 레인 3(Lane 3)은 서열번호 1 펩타이드를 처리한 그룹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간 표피세포에 인터페론 감마(interferon-gamma, IFN-γ) 처리에 의해 싸이토카인 인터루킨-6(interleukin-6, IL-6) 분비를 IL-6 ELISA로 측정하여 얻어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레인 1(Lane 1)은 배양세포에 펩타이드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그룹이고(대조군 1), 레인 2(Lane 2)는 배양세포에 대조 펩타이드인 서열번호 2의 펩타이드로 처리한 그룹이고(대조군 2), 레인 3(Lane 3)은 서열번호 1 펩타이드를 처리한 그룹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 사항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장벽(skin barrier) 강화"라 함은 피부의 가장 외각에 위치하는 각질층의 장벽기능을 강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장벽은 죽은 각질세포와 세포간 지질로 구성되어 있고,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며 피부에서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아주는 피부 보호막으로서 피부건강에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각질형성 세포는 분화 및 각질화 과정을 통해 피부 장벽을 만든다. 피부 장벽 기능은 노화가 진행되거나 외부 요소들에 의해 파괴될 수 있으며, 피부 장벽의 손상은 피부 수분량 감소와 주름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노화(skin aging)"라 함은 내재적 및 외부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피부의 노화를 말하며, 예를 들어, 피부주름 형성을 동반하는 피부 광노화(photoaging)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피부주름 형성을 동반하는 자외선 자극에 의한 피부 광노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주름형성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 주름(skin wrinkle)"이라 함은 피부상에 형성된 주름(wrinkle formation on skin)을 말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가려움증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개선에 유용한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추가성분은 화합물, 천연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에 효과가 공지된 모든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제,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대상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건조 중량 기준으로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의 펩타이드를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4%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려움증은 정신 또는 신체적 증상으로 피부에 발생하는 모든 형태의 가려움증을 포괄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아토피 피부염, 습진, 수부 습진, 한포진, 동전모양 습진, 노인 소양증, 접촉성 피부염, 두드러기, 건선 및 자외선에 의해 유발되는 것이거나 인터페론-감마(interferon-γ) 또는 인터루킨-6(interleukin-6)에 의해 유발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가려움증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은 가려움증 억제에 효과가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추가성분은 화합물, 천연물을 포함하는 가려움증 억제에 효과가 공지된 모든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피부외용제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제제화는 약제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행하여지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실시예 1> 펩타이드의 합성
하기 표 1의 서열번호 1과 2의 펩타이드는 자동화합성기(PeptrEx-R48, 펩트론사, 대전,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FMOC 고체-상 방법(FMOC solid-phase method)으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펩타이드는 C18 분석용 RP 컬럼(Shiseido capcell pak)을 사용한 역상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reverse-phase HPLC) (Prominence LC-20AB, Shimadzu사, 일본)로 정제 및 분석하였으며, 질량분석기(HP 1100 Series LC/MSD, Hewlett-Packard사, Roseville, 미국)를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펩타이드명칭* 서열번호 아미노산 서열 (서열 길이)
Coll-adh 서열번호 1 GRALARGEANF (11-mer)
Grgdsp (대조펩타이드) 서열번호 2 GRGDSP (6-mer)
*: 펩타이드 명칭: 실험 편의상 붙인 임의의 명칭
<실시예 2> 인간 유래 표피세포(Human Epidermal Keratinocytes) 배양
인간 유래 표피세포는 Lonza사(Switzerland)로부터 구매해 사용하였으며, 표피세포 전용배지(Keratinocyte Growth Medium, Lonza)에 항생제 1%를 첨가하여 37 ℃, 5% CO2 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 기존의 배지를 제거하고 인산 완충 식염수(phosphate-buffered saline, PBS)로 세척한 뒤 동일 배지를 첨가하여 추가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3> 표피세포간 세포결합 및 투과억제 효능 평가
표피세포간 결합 및 투과억제 효능 평가를 위해 transwell plates에서 배양된 표피세포에 FITC-dextran(4 kDa)을 처리하여 이의 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2에서 배양된 표피세포 3 x 104 개의 표피세포 배양 전용배지 100 μl에 넣고, 0.4 μm Pore Polycarbonate Membrane Insert가 포함된 6.5 mm Transwell(ThermoFisher)에 옮겨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기존 배지를 제거하고 펩타이드 시료(300 nM)를 처리하여 24 시간동안 추가 배양한 후에 인산 완충 식염수로 세척하였다. 여기에 인산 완충 식염수에 용해된 FITC-dextran(4 kDa)을 처리하여 5분 동안 5% CO2 배양기에서 반응을 시켜준 후에 transwell은 제거하고 아래쪽으로 투과되어 나온 형광을 측정하였다.
도 1에서와 같이 펩타이드를 처리하지 않은 그룹에 비해 대조 펩타이드 처리 그룹에서 투과도가 억제되었으나, 서열번호 1 펩타이드 처리 그룹에서 투과된 형광의 강도가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나 서열번호 1 펩타이드는 표피세포간 결합의 촉진을 통해 세포 투과를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세포 전기저항도 측정을 통한 표피세포의 피부장벽 효능 평가
표피세포의 피부장벽 효능 평가를 위해 Millicell-Electrical Resistance System(ERS)을 사용해 전기저항도(TEER)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2에서 배양된 표피세포 3 x 104 개의 표피세포 배양 전용배지 100 μl에 넣고, 0.4 μm Pore Polycarbonate Membrane Insert를 포함한 6.5 mm Transwell(ThermoFisher)에 옮겨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기존 배지를 제거하고 펩타이드 시료(300 nM)를 처리하여 24 시간동안 추가 배양한 후에 인산 완충 식염수로 세척하였다. 여기에 전기저항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Ag/AgCl-electrode가 포함된 Millicell ERS-2 Voltohmmeter(Merck Millipore)를 사용하여 세포사이의 전기저항도를 측정하였다.
도 2에서와 같이 펩타이드를 처리하지 않은 그룹에 비해 대조 펩타이드 처리 그룹에서 전기저항도가 증가되었으나, 서열번호 1 펩타이드 처리 그룹에서 전기저항도가 더 높은 결과를 보여 서열번호 1 펩타이드는 표피세포간 피부장벽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5> 표피세포에 IFN-γ 자극에 의한 IL-6 발현에 대한 영향 평가
실시예 2에서 배양된 표피세포 1 x 106 개를 표피세포 배양 전용배지에서 100 mm 배양접시에 옮겨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기존 배지를 제거하고 펩타이드 시료(300 nM)를 2 시간 전처리하고 IFN-γ(5 ng/ml)를 처리하여 24 시간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분비된 IL-6의 측정을 위해 세포 배양된 배지를 모아서 6배 농축하여 IL-6 ELISA kit(R&D systems)를 사용하여 제시된 프로토콜에 따라 분비량을 측정하였다.
표피세포에 IFN-γ 자극에 의해 IL-6 분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3배 이상 증가되었다. 도 3에서와 같이 IFN-γ 자극에 의해 증가된 IL-6 분비는 대조 펩타이드 처리 그룹에서 IL-6의 분비가 일부 감소되었으나, 서열번호 1 펩타이드 처리 그룹에서 IL-6의 분비량이 더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110> Cha Meditech <120> Novel peptides and cosmetic compositions for enhancing skin barrier or inhibiting skin pruritus comprising the same <130> M21-0000 <160> 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oll-adh <400> 1 Gly Arg Ala Leu Ala Arg Gly Glu Ala Asn Phe 1 5 10 <210> 2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rgdsp <400> 2 Gly Arg Gly Asp Ser Pro 1 5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인터페론-감마(interferon-γ)에 의해 유발되는 가려움증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7.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인터루킨-6(interleukin-6) 증가로 인해 발생되는 가려움증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8. 삭제
  9. 삭제
  10.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인터페론-감마(interferon-γ)에 의해 유발되는 가려움증 억제용 약학 조성물
  1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인터루킨-6(interleukin-6) 증가로 인해 발생되는 가려움증 억제용 약학 조성물
KR1020210025428A 2021-02-25 2021-02-25 신규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또는 피부가려움증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2573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428A KR102573754B1 (ko) 2021-02-25 2021-02-25 신규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또는 피부가려움증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428A KR102573754B1 (ko) 2021-02-25 2021-02-25 신규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또는 피부가려움증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417A KR20220121417A (ko) 2022-09-01
KR102573754B1 true KR102573754B1 (ko) 2023-09-01

Family

ID=83281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428A KR102573754B1 (ko) 2021-02-25 2021-02-25 신규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또는 피부가려움증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7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525B1 (ko) 2014-06-16 2015-12-1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말미잘유래 반복서열 단백질, 및 이의 생산방법
KR101817250B1 (ko) * 2016-10-31 2018-01-10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87947A2 (en) * 2007-09-11 2010-05-26 Mondobiotech Laboratories AG Use of calcitonin as anti-angiogenic agent
KR101351536B1 (ko) * 2007-11-14 2014-01-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53900B1 (ko) 2009-08-28 2010-04-2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염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1716806B1 (ko) * 2015-03-20 2017-03-17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 가려움증의 억제, 개선 또는 완화용 조성물
EP3324986B1 (en) * 2015-07-20 2021-11-24 Quorum Innovations, LLC Materials and methods for improving immune responses and the skin and/or mucosal barrier function
KR101817244B1 (ko) * 2015-10-27 2018-01-10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525B1 (ko) 2014-06-16 2015-12-1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말미잘유래 반복서열 단백질, 및 이의 생산방법
KR101817250B1 (ko) * 2016-10-31 2018-01-10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arin S. Straley 외 1명, "Design and adsorption of modular engineered proteins to prepare customized, neuron-compatible coatings", Front. Neuroeng., Vol. 2, No. 9, pp. 1-10, 2009.06.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417A (ko)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23707B2 (ja) 皮膚状態改善活性を有するペプチド、及びその用途
US7211269B2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use of peptides for promoting adhesion between skin cells
US10987295B2 (en) Method of facilitating the bindings between keratinocytes
US20040141939A1 (en) Cosmetic or dermatological use of peptides for promoting adhesion between skin cells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8450456B2 (en) Activating peptide of the synthesis of aquaporins and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it
US7504092B2 (en) Cosmetic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eptides, uses and treatment processes
KR101817244B1 (ko) 신규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또는 피부 주름형성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11099B1 (ko) 기능성 리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73754B1 (ko) 신규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또는 피부가려움증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1405558B1 (ko)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의 항가려움 및 항아토피 소재로의 활용
KR102619897B1 (ko) 신규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또는 피부가려움증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1668154B1 (ko) 왕불유행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9415422B (zh) 超低分子角蛋白肽的制备方法及其的利用
US8304392B2 (en) Pharmaceutical and/o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n active principle activator of cytochrome C
KR102453894B1 (ko) 캄페롤 배당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20230126828A (ko) 피부 가려움증의 억제, 경감, 또는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8394A (ko) 사이토카인 조합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