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558B1 -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의 항가려움 및 항아토피 소재로의 활용 - Google Patents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의 항가려움 및 항아토피 소재로의 활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558B1
KR101405558B1 KR1020110095800A KR20110095800A KR101405558B1 KR 101405558 B1 KR101405558 B1 KR 101405558B1 KR 1020110095800 A KR1020110095800 A KR 1020110095800A KR 20110095800 A KR20110095800 A KR 20110095800A KR 101405558 B1 KR101405558 B1 KR 101405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pha
peptide
caffeoyl
sk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2099A (ko
Inventor
정대현
모상현
이정훈
김수정
서효현
임창일
성지연
정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Priority to KR1020110095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558B1/ko
Priority to PCT/KR2011/007004 priority patent/WO2013042811A1/ko
Priority to US13/339,773 priority patent/US20130079287A1/en
Priority to CN2012101293087A priority patent/CN103012557A/zh
Publication of KR20130032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3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derived from pro-opiomelanocortin, pro-enkephalin or pro-dynorp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66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derived from pro-opiomelanocortin, pro-enkephalin or pro-dynorph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66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derived from pro-opiomelanocortin, pro-enkephalin or pro-dynorphin
    • C07K14/675Beta-endorph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Der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rds (AREA)
  • Immu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smetic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의 항가려움 및 항아토피 소재로의 활용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동시에 피부에 도포시에 펩티다아제 등에 의한 분해에 저항성을 가지고 있고, 온도 변화 등에도 안정성이 뛰어나 아토피 치료 등의 항염 용도의 화장품 소재에 적용가능한 카페오일 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의 항가려움 및 항아토피 소재로의 활용 {Caffeoyl-alpha-neo-endorphin Peptide Derivatives and its usage as anti-itching and anti-atopic dermatitis agent}
본 발명은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의 항가려움 및 항아토피 소재로의 활용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동시에 피부에 도포시에 펩티다아제 등에 의한 분해에 저항성을 가지고 있고, 온도 변화 등에도 안정성이 뛰어나 아토피 치료 등의 항염 용도의 화장품 소재에 적용가능한 카페오일 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과 직접 접하면서 인체를 보호하며 생화학적 및 물리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는 아주 중요한 조직이다. 사람의 피부 표면은 피지선에서 분비되는 피지와 땀샘에서 나오는 수분이 자연적으로 잘 혼합된 피지막이 각질층을 덥고 있어, 매끄럽고 윤기있고 촉촉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피부 내 수분함량이 줄어들면 각질이 떨어져 나가고, 이물질이 침투되면서 각종 염증 및 알러지가 유발되기 쉬워진다. 염증은 세포 나 조직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손상을 받으면 그 반응을 최소화하고 손상된 부위를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방어 목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며, 이러한 염증은 피부 여드름, 아토피 피부염 등으로 나타나게 된다.
특히, 아토피피부염의 경우, 정확한 병태생리는 아직까지 완전히 이해되고 있지 않으나 유전적 소인과 함께 면역학적, 환경적 요인이 관여하리라고 생각되고 있으며 특히 면역학적 관점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외인성 아토피 피부염은 IgE와 연관된 면역기전에 의해 발생되는데 특정 알러젠에 대한 즉시형 면역반응보다는 T세포 이상에 의한 지연형 면역반응이 관여한다는 보고들이 많다.아토피 피부염의 주된 피부증상은 습진성 병변으로 피부단자검사상 나타나는 홍반과 팽진이 아니기 때문에 즉시형 면역반응 검사인 피부단자검사 결과만으로 아토피 피부염의 직접적인 상관성을 평가하는 것에는 아직도 논란이 많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서 세포매개성 면역기능장애가 IgE증가와 관련 있음이 밝혀지면서 특정 알러젠(Allergen)에 대한 즉시형 면역반응보다는 T 세포 이상에 의한 지연형 면역 반응이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서 세포 매개성 면역장애는 약 80%까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바이러스 및 피부사상균등에 의한 피부감염증에 대해 감수성이 증가되어 있고, 접촉알러젠에 대한 감수성은 감소된 경향을 보인다.과거에는 T세포 성숙 결핍설, CD8+ 억제 T세포의 숫적 감소 등이 보고된 바 있었으나 최근엔 CD4+ T세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즉 B세포로 부터 IgE의 생성을 유도하는 IL-4, B세포로부터 IgE생성을 촉진하는 IL-5, IgE생성을 증폭시키는 IL-6등을 분비하는 T세포는 CD4+T세포 중 Th2세포인데, 아토피 환자의 말초혈액 및 피부병변으로부터 분리한 항원 특이 T세포 클론이 Th2로 밝혀졌고 이 세포들로부터 분비된 IL-4, IL-13은 IgE 생성을 촉진하고 IL-5는 호염구(basophil) 반응을 증진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 최근 보고에 의하면 아토피 피부염 상태에 따라 면역반응이 달라진다고 보고하고 있는데, 급성 아토피 피부염에는 Th2, 만성 아토피 피부염에는 Th1이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초기에는 Th2에서 분비하는 IL 4, IL 13이 중요하게 작용하며, 가려움이 생겨 긁기 시작하면 Th1 세포로 이동하게 된다.
아토피 피부염에 의해 손상되는 피부 구조를 보호하고, 손상된 피부를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강력한 항염 및 항산화 성분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선행 연구로써 엔돌핀류의 다양한 뉴로펩타이드들이 항가려움증 효과를 비롯한 항염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대한민국등록특허 10-1057938 (상처치유 및 조직재생을 위한 항염 화장료 조성물)에 제시하였으나, 펩타이드의 경우 생체 내에서 proteolysis(단백질가수분해)나, petidase(펩타이드 가수분해 효소)의 작용에 매우 취약하여 피부에 적용함에 있어 생물학적 안정성의 한계가 있어왔다.
한편, 카페익산(caffeic acid)과 같은 파이토케미칼류는 매우 강력한 항염, 항암, 항산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카페익산 역시 매우 난용성 물질로써 피부에 적용시에 한계가 있으며, 소량이 물에 녹은 후에도 용액 내에서 쉽게 산화 변패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용에 제한이 있어왔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언급한 카페익산을 피부에 적용시키기 위하여, 뉴로펩타이드들의 일종인 엔돌핀 펩타이들과 화학적으로 컨쥬게이션 하여 하나의 신규 물질을 합성하고, 이러한 신규 펩타이드 유도체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 등과 같은 피부염증 완화, 치료, 예방의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난용성 등의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피부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아토피 치료 등 항염, 항산화효능을 가지는 신소재로써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 펩타이드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73972969-pat00001
상기 식에서,
R1,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C1-C6의 알킬기, C1-C6의 알콕시기, 시아노, 할로 또는 아미노이고,
R2 및 R3은 히드록시이며,
n은 1이고,
L은 존재하지 않거나 연결기이며,
A는 Tyr-Gly-Gly-Phe-Leu-Arg-Lys-Tyr-Pro-Lys(YGGFLRKYPK), 또는
Tyr-Gly-Gly-Phe-Leu-Arg-Arg-Ile-Arg-Pro-Lys-Leu-Lys(YGGFLRRIRPKLK)의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 또는 그의 단편.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카페오일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염, 또는 항산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카페오일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아토피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카페오일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 방지 또는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카페오일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염증인자, 예컨대, IL-4, IL-5, IL-13, IL-31, IL-10, TNFa, IL-17의 발현 억제, 감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카페오일 펩타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염증 완화, 치료, 예방 방법 또는 아토피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카페오일 펩타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피부 가려움 방지 또는 완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카페오일 펩타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염증인자, 예컨대, IL-4, IL-5, IL-13, IL-31, IL-10, TNFa, IL-17의 발현 억제, 감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카페오일 펩타이드 유도체의 항염, 항산화, 항아토피 피부염, 항가려움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펩타이드 유도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73972969-pat00002
상기 식에서,
R1,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C1-C6의 알킬기, C1-C6의 알콕시기, 시아노, 할로 또는 아미노이고,
R2 및 R3은 히드록시이며,
n은 1이고,
L은 존재하지 않거나 연결기이며,
A는 Tyr-Gly-Gly-Phe-Leu-Arg-Lys-Tyr-Pro-Lys(YGGFLRKYPK), 또는
Tyr-Gly-Gly-Phe-Leu-Arg-Arg-Ile-Arg-Pro-Lys-Leu-Lys(YGGFLRRIRPKLK)의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 또는 그의 단편.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카페오일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염, 또는 항산화 조성물, 예컨대, 화장료,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카페오일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아토피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예컨대, 화장료,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카페오일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 방지 또는 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카페오일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염증인자, 예컨대, IL-4, IL-5, IL-13, IL-31, IL-10, TNFa, IL-17의 발현 억제, 감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카페오일 펩타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염증 완화, 치료, 예방 방법 또는 아토피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카페오일 펩타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피부 가려움 방지 또는 완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카페오일 펩타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염증인자, 예컨대, IL-4, IL-5, IL-13, IL-31, IL-10, TNFa, IL-17의 발현 억제, 감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페오일 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는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동시에 피부에 도포시에 펩티다아제 등에 의한 분해에 저항성을 가지고 있고, 온도 변화 등에도 안정성이 뛰어나 아토피 치료 등의 항염 용도의 화장품 소재에 적용가능할 것이다.
도 1은 고체상 합성법을 이용하여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의 합성 순서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의 수용액 산패에 대한 저항성이 증대됨을 확인한 실험 결과이다 (CA(왼쪽): 카페익산, CA-NP(오른쪽):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도 3은 피부 구성세포 각질형성세포 유래 펩티다아제에 대한 카페오일알파네오 엔돌핀의 증대된 안정성을 나타낸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왼쪽 막대: 알파네오엔돌핀, 오른쪽막대: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도 4는 피부자극 안전성 검증 시험에 있어서, 동물 모델에 시험 물질 도포 부위를 구분하여 기재한 그림이다.
도 5는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의 적용 24시간 (위) 및 72시간 (아래) 조건에서 피부 안전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유도성 아토피 피부염 동물 모델의 아토피 유도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Normal: 정상, AD: 아토피 유도 모델).
도 7은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의 아토피 개선효과를 유도성 아토피 피부염 동물 모델을 통해 확인한 사진 결과이다 (Cont.: 70% EtOH, pep.400: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400ug/각 귀, pep.800: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800ug/각 귀).
도 8은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의 아토피 개선 효과를 H&E 염색법을 통해 나타난 결과이다 (Cont.: 70% EtOH, pep.400: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400ug/각 귀, pep.800: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800ug/각 귀).
도 9는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처리가 혈청 내 IgE 농도 (위) 및 세포 배양액 내 IgE 농도에 미치는 영향(아래)을 나타낸 결과 그래프이다 (Cont.: 70% EtOH, pep.400: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400ug/각 귀, pep.800: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800ug/각 귀).
도 10은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처리에 의한 아토피 유도성 동물 모델의 림프절 CD4+T세포에서 아토피 유발성 사이토카인 IL-4, IL-5, IL-13의 감소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pep.400: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400ug/각 귀, pep.800: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800ug/각 귀).
도 11은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처리에 의한 아토피 유도성 동물 모델의 귀 전체 세포에서 아토피 유발성 사이토카인 IL-4, IL-5, IL-13의 감소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ont.: 70% EtOH, pep.400: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400ug/각 귀, pep.800: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800ug/각 귀).
도 12는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처리에 의한 아토피 유도성 동물 모델의 귀 스크래칭 감소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ont.: 70% EtOH, pep.400: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400ug/각 귀, pep.800: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800ug/각 귀).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펩타이드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73972969-pat00003
상기 식에서,
R1,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히드록시, C1-C6의 알킬기, C1-C6의 알콕시기, 시아노, 할로 또는 아미노이고,
R2 및 R3은 히드록시이며,
n은 1이고,
L은 존재하지 않거나 연결기이며,
A는 Tyr-Gly-Gly-Phe-Leu-Arg-Lys-Tyr-Pro-Lys(YGGFLRKYPK), 또는 Tyr-Gly-Gly-Phe-Leu-Arg-Arg-Ile-Arg-Pro-Lys-Leu-Lys(YGGFLRRIRPKLK)의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 또는 그의 단편.
본 명세서에서 C1-C6의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6개로 구성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1-C6의 알콕시기는 탄소수 1 내지 6개로 구성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 알콕시기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메톡시, 에톡시, n-프로판옥시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펩타이드를 명명하는 일반적인 규칙은 구체적으로 지시된 예외사항이 없는 경우 3문자 또는 1문자 아미노산 코드 적용을 기초로 한다. 다시 말해서, 아미노산 구조의 중심부를 3문자 코드(예를 들어, Ala, Lys) 또는 1문자 코드(예를 들어, A, K)로 표시하며, 3문자 코드의 앞에 "D-"를 적음으로써 D-입체형태(예를 들어, D-Ala, D-Lys)를 구체적으로 지시하지 않은 경우에는 L-입체형태로 가정한다.
펩타이드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잔기는 천연 또는 비-천연아미노산 잔기가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아토피 피부염의 가려움증을 진정시켜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 또는 완화시키는 인자로, 활성화된 m-type opioid receptor (MOR)의 상쇄 기능을 가지는 k-type opioid receptor(KOR)의 리간드인 엔돌핀 펩타이드류를 부분으로 하여, 이 부분에 강력한 항염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파이토케미칼 카페익산(caffeic acid)을 연결체로 합성하는 신 물질을 개발하였다. 일 예시로써, 알파네오엔돌핀과 다이노르핀을 들 수 있고, 다이노르핀도 뉴로펩타이드 중의 엔돌핀 펩타이드류로써 k-type opioid receptor (KOR)의 리간드로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는 엔돌핀 펩타이드를 먼저 합성한 다음, 카페익산과 커플링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카페오일 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의 고효율 생산을 위하여, 고체상 합성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합성방법을 개발하였으며 (도 1), 펩타이드는 두개 이상의 아미노산이 펩타이드 결합(peptide bond)이라는 화학결합 형태로 연결된 물질로 요즘은 대부분 Bruce Merrifield가 1963년도에 고안한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법(Solid-Phase Peptide Synthesis; SPPS)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도 이러한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법을 기반으로 카페오일 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를 개발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불용성의 폴리스티렌 수지에 보호기를 가지고 있는 아미노산을 이용해 엔돌핀 펩타이드를 우선 합성한 후, 이를 합성 지지체에서 분리하지 않고, 직접 카페익산을 화학적으로 합성한 후, 결합되지 않은 카페익산을 반응체에서 제거하는 방법을 플랫폼으로 개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펩타이드는 알파네오엔돌핀 또는 다이노르핀(dynorphin)일 수 있고, 아미노산 서열은 A는 Tyr-Gly-Gly-Phe-Leu-Arg-Lys-Tyr-Pro-Lys(YGGFLRKYPK), 또는 Tyr-Gly-Gly-Phe-Leu-Arg-Arg-Ile-Arg-Pro-Lys-Leu-Lys(YGGFLRRIRPKLK)의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 또는 그의 단편일 수 있다.
여기서, 단편은 상기 펩타이드의 서열 전체의 일부 서열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서열들 중 1, 2, 3, 4, 5, 6, 7, 8, 9, 또는 10개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이 포함되어 구성되거나, 일부 서열이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엔돌핀 펩타이드는 생체 내의 단백질을 추출한 다음 단백질 분해효소로 처리하여 저분자량화하거나, 유전자 재조합과 단백질 발현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펩타이드 합성기 등을 이용한 화학 합성 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유도체는 예를 들어,
(1) 통상의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법(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SPPS)에 의해 NH2-보호된 펩타이드-레진을 수득하는 단계;
(2) 수득된 NH2-보호된 펩타이드-레진을 카페익산과 반응시키는 단계; 및
(3) 레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목적하는 펩타이드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에 작용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작용기가 보호된 아미노산을 사용하여 펩타이드를 합성할 수 있으며, 상기 작용기에 결합된 보호기는 상기 단계 (3)에서 제거된다.
작용기가 보호된 아미노산을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과정의 한 구체예를 하기의 반응식 1에 간략히 나타내었다.
[반응식 1]
Figure 112011073972969-pat00004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펩타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특히 항산화 또는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항염증, 그 중에서도,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능에 효과를 가지고 있어, 이러한 용도로 사용가능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외에도 항염 치료용 조성물, 예방용 조성물로도 가능하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펩타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가려움 방지 또는 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에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펩타이드 유도체의 함량이 특별히 제한되는 수치는 없으며, 종래 알려져 있는 적절한 공정을 이용하여 제형화하는 등의 여러가지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고, 그 함량 수치는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범위라면 어떠한 범위든 가능하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카페오일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염증인자, 예컨대, IL-4, IL-5, IL-13, IL-31, IL-10, TNFa, IL-17의 발현 억제, 감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카페오일 펩타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염증 완화, 치료, 예방 방법 또는 아토피 치료 또는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카페오일 펩타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피부 가려움 방지 또는 완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카페오일 펩타이드 유도체를 이용한 염증인자, 예컨대, IL-4, IL-5, IL-13, IL-31, IL-10, TNF-α, IL-17의 발현 억제, 감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들의 구체적인 단계로, 상기 펩타이드 유도체 자체 또는 적절한 공지의 투여 방법(예컨대, 피부에 도포, 경구투여, 정맥내 투여 등)을 이용해 대상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의 함량은 50 내지 10,000ppm 수용액의 중량으로서 0.005 내지 1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펩타이드 유도체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 예를 들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파우더,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90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제조되는 전술한 바의 제형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 목 등)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색조화장품, 선크림, 투웨이케이크, 페이스파우더, 콤팩트, 메이크업베이스, 스킨커버, 아이쉐도우, 립스틱, 립글로스, 립픽스, 아이브로우 펜슬, 화장수 등의 화장품 및 샴푸, 비누 등의 세정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특히,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서는 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를 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다이노르핀도 알파네오엔돌핀과 동일한 기전에 관여하는 물질이므로, 알파네오엔돌핀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신규 펩타이드 유도체로써 동일 내지는 유사한 효과가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실시예 1: 카페오일( R 1 , R 2 R 5 는 수소, R 3 R 4 는 히드록시)- 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의 제조
1.1: NH2-보호된 펩타이드-레진의 합성
일반적으로 펩타이드는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9-fluorenylmethoxycarbonyl: Fmoc)을 아미노산의 보호기로 사용하여 통상의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법(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SPPS)에 의해 합성하였으며, N-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N-hydroxybenzotriazole: HOBt)와 N,N‘-디시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N,N'-dicyclohexylcarbodiimide: DCC)을 활성제로 사용하여 아미노산 잔기를 연장하였다[참고문헌: Wang C. Chan, Perter D. White, 'Fmoc 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Oxford].
1.2: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펩타이드의 합성
상기한 방법으로 합성된 NH2-보호된 펩타이드(티로신-글리신-글리신-페닐알라닌-루신-아르기닌-리신-티로신-프롤린-리신)-레진에 20% 피페리딘/NMP 용액을 가하여 아미노기에 결합된 Fmoc를 제거하고,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NMP)와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DCM)으로 세척한 후 카페익산(caffeic acid, Lancaster사) 5당량과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커플링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료된 후 NMP와 DCM으로 수회 세척한 다음 건조시켰다.
건조된 카페오일-트리펩타이드-레진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 페놀 : 티오아니솔 : 물 : 에탄디티올(82.5 : 5 : 5 : 5 : 2.5 (v/v))의 혼합 용액으로 실온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반응시켜, 펩타이드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에 존재하는 작용기의 보호기인 t-부틸옥시카르보닐(Boc) 및 트리틸(트리페닐메틸)기를 제거하고 레진으로부터 카페오일-데카펩타이드를 분리시킨 다음, 차가운 디에틸에테르로 상기 펩타이드를 침전시켰다.
수득한 카페오일-트리펩타이드를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이 포함된 물과 아세토니트릴을 용매로 역상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reverse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lumn: Gemini, C18 110A 250×21.2mm)하여 정제하였다.
수율: 41 %
실험예 1: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의 변온 처리시 물리적 안정성 시험
화장품류의 경우 다양한 외부 환경에 쉽게 노출되는 제품 특성을 고려해 볼 때 가혹적인 변온 조건에서의 물리적 안정성은 필수적인 요소로 꼽히고 있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는 수용액상에서 카페익산(caffeic acid) 보다 증대된 산화 안정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증대된 물리적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변온 조건에서 일정 시간 보관 후 분해 정도를 측정하는 시험을 수행 하였다.
먼저, 10,000ppm 농도의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수용액을 저온 (4℃), 상온 (20℃), 고온 (40℃)이 8시간 단위로 반복되는 변온 처리 조건에서 얼마나 안정한지를 30일, 60일, 그리고 90일 간격으로 육안관찰 및 HPLC 분석을 통하여 물리적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우선 수용화된 카페익산의 용액 내 변패가 카페오일-알파 네오 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에서 얼마나 감소되는지를 변온처리를 수행하며 60일까지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투명하였던 수용액이 매우 진한 갈색으로 변화되어 심한 물리적 산패를 보이는 카페익산만의 수용액과는 달리 동일한 농도의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에서는 거의 투명도가 변하지 않아 산패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
일반적으로 수용액 내에서 역시 안정도가 떨어지는 물질들인 펩타이드에 대한 증대된 안전성을 알파네오엔돌핀을 대조군으로 하여 HPLC로 평가한 결과, 초기 100% 함량의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가 변온 처리 0일, 30일, 60일, 그리고 90일 경과 후 각각 잔여 존재 함량이 99±2%, 96±4%, 90±8%, 그리고 81±19%의 안정성을 보여, 가혹한 변온 조건에서도 장시간 물리적으로 매우 안정되게 개량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대조군으로 사용한 펩타이드 부분만인 알파네오엔돌핀은 변온 처리 90일 경과 후 약 잔여 존재 함량이 46±23%로 물리적 안정성이 매우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신규 카페오일-펩타이드 유도체가 증대된 물리적 안정성을 가지고있어 다양한 산업적 응용 (예: 화장품, 의약외품, 의약품)에 원료소재로써 적절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의 펩티다제 안정성 시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는 아토피 개선 주요 성분으로 카페익산 부분이 항알러지 효과를 주는 동시에 펩타이드 부분인 알파네오엔돌핀이 효과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에 특이적인 간지러움을 완화시키는 소재이다. 그러나, 펩타이드 부분으로써 전구물질인 알파네오엔돌핀은 아미노산만의 구성체로 피부 작용 시 proteolysis (단백질 가수분해) 혹은 peptidase (펩타이드 가수분해 효소)의 작용에 매우 취약하여 화장품 소재로 원료화 하기에는 생물학적 안정성이 한계점으로 작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카페오일 펩타이드 유도체는 카페익산와의 합성을 통해 생물학적 안정성을 크게 증진 시켰고, 카페익산와의 합성을 통해 증대된 펩타이드 가수분해효소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각질형성세포 및 섬유아세포의 세포 파쇄액과 10,000ppm 농도의 알파네오엔돌핀 및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를 37℃에서 6시간 배양하고 잔여 존재 함량을 HPLC로 분석하였다.
37℃에서 6시간 배양후, 잔여 존재량을 분석하고 그 존재량을 초기 존재량에 대한 백분율 (%)로 비교 평가한 결과, 카페익산과 결합되지 않은 알파네오엔돌핀은 예상했던대로 상당히 많은 분해 손실이 발생된 반면,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는 거의 분해 손실이 발생하지 않아 피부각질형성세포 혹은 피부 섬유아세포 세포파쇄액 유래의 peptidase 분해로부터 각각 6.1±1.3배와 5.9±2.1배 증가되었다. 도 3에서는 특히, 피부각질형성세포의 세포 파쇄액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왼쪽 막대는 알파네오엔돌핀이고, 오른쪽 막대는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펩타이드 유도체 처리군의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예 3: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의 피부 자극 안전성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카페오일 펩타이드 유도체의 예상되는 일차 인체적용의 방법인 피부외 도포 시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의약품의 전임상 시험방법에 기준한 국소독성 피부자극 안전성을 검증하였다. 본 안전성 검증은 공인된 GLP 인증기관인 한국화학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수행하였으며, 국소독성 중 피부자극에 대한 최대 사용 농도 범위를 10 mg/ml 농도로 설정하고 이 농도에서 피부에 무작극성임을 시험하였다. 이를 위해 시험동물로 젊고 건강한 백색토끼 (New Zealand White-Rabbit)(2.03.0kg) 6마리 이상을 사용하였으며, 입수일로부터 5일간의 순화기간 중 매일 일반증상을 관찰하여 건강한 동물만을 선별한 후 경배부의 털을 제모하여 피부에 이상이 없는 동물 6마리를 시험에 이용하였다. 또, 군(group)을 분리 시 제모를 실시하여 피부에 이상이 없는 동물만 선택하여 시험하였다. 사육환경을 간단히 보면, 환경조건으로 온도 22℃, 상대습도 50%, 환기횟수 10~15 회/hr, 조명 12 h 점등/12 h 소등(08:00~20:00), 조도 150~300 Lux로 설정된 본 연구원의 토끼사육실에서 실시하였다. 사육환경의 모니터링은 시험기간 중 동물실의 온습도는 자동 측정기에 의하여 매 30분마다 측정되었으며, 조도 등의 환경조건은 정기적으로 측정되었다. 동물실의 환경 측정결과 시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는 변동은 없었다. 사육조건은 순화, 검역 및 관찰기간 동안 스테인레스제 사육상자 (380×480×300mm, 정도산업)에 개별적으로 사육하였다. 사료는 (주)카길애그리퓨리나 (전북 군산시 소룡동 56-4)로부터 공급받은 실험동물용 토끼 사료를 자유 섭취시켰으며, 물은 UV 조사된 여과수를 물병을 이용하여 자유 섭취시켰다. 사료 및 물 중의 오염물질 확인을 위하여, 사료 오염물질은 사료 제조업체의 정기적 검사에 따른 사료 성적서를 사료공급자로부터 받아 확인하였으며, 물의 오염물질은 본 연구원의 해당 표준작업수순서(SOPs)에 따른 정기적 검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시험물질인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는 10 mg/ml (10,000ppm) 농도로 녹여 각 동물 당 0.5ml을 아래의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즉, 시험물질의 적용 약 24시간 전에 제모를 실시한 후,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2.5×2.5) cm 크기의 정상 (비찰과) 피부 2개 부위와 손상 (찰과) 피부 2개 부위로 나누어 시험물질 및 용매를 도포하였다. 찰과 피부는 주사기의 바늘 끝으로 각질층은 손상되나 진피는 손상되지 않으며 피가 나지 않는 정도의 찰과상을 입혔다. 시험물질은 찰과피부 1개소와 비찰과부위 1개소에 각각 1개씩 도포한 후 비자극성 테이프 및 코반을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폐쇄첩포하였다. 대조구획에는 멸균거즈를 멸균증류수에 적시어 같은 방법으로 도포하였다 (도 4).
피부 자극의 발생 유무를 관찰하기 위하여, 일반증상관찰로써 시험물질 적용 종료 후 72시간동안 일반증상의 변화 및 사망동물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또, 체중 측정으로 시험물질 적용직전과 적용 후 72시간에 개체별 체중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피부 자극의 판정을 위하여 적용부위 관찰로써, 시험물질 적용 종료 후 24 및 72시간에 홍반, 가피 및 부종 등의 피부자극성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피부 반응의 평가 및 자극성의 판정은 아래의 표 1에 제시된 피부반응의 평가표에 준하여 실시하였고, 결과에 대한 자극성의 정도의 판정은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Draize의 P.I.I.(Primary Irritation Index) 산출 방법을 따랐다 (표 2).
Figure 112011073972969-pat00005
Figure 112011073972969-pat00006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으로 국소독성 중 피부자극 실험을 수행한 결과, 10 mg/ml 농도의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의 국소 독성의 결과는, 아래에 표 3 내지 표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독성이 없이 안전함을 검증하였다.
국소 독성 중 피부 자극 안전성 검증을 위한 본 시험 과정 중 발생한 사망률 및 일반 증상은 표 3과 같았으며, 시험기간 동안 시험물질 적용과 관련된 사망 또는 이상증상의 동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체중 변화는 표 4와 같았으며, 체중측정 결과 모든 동물에서 정상적인 체중증가를 보였다.
피부 자극 안전성을 판단하기 위한 적용 부위 관찰의 결과는 표 5와 같았다. 즉, 시험물질 노출 종료 후 24 및 72시간에 피부반응을 관찰한 결과, 홍반 및 부종 등의 피부반응이 관찰되지 않아 일차피부자극지수 (Primary Irritation Index, P.I.I.)는 "0.0"으로 평가되었다 (도 5). 이상의 결과로부터 10 mg/ml 농도의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를 NZW 토끼의 피부에 적용시 표 2의 기준에 의해 피부에 안전한 비자극성 (None irritant)물질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112011073972969-pat00007
Figure 112011073972969-pat00008
Figure 112011073972969-pat00009

실험예 4: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의 집진드기 아토피 동물모델을 통한 유효성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의 아토피 개선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우선 Balb/c 마우스에 아토피를 유도하였다. 먼저 20ul의 2% DNCB를 귀에 도포하여 면역 반응을 부스팅 시킨 후 1주일 후 다시 20ul의 2% DNCB 또는 15ul의 집먼지 진드기 (10mg/ml)를 교대로 주 1회씩 처리를 하였다. 3주간의 인덕션을 진행한 후 혈청에서 IgE level을 확인한 후 총 5가지의 그룹으로 쥐를 나누었다. 개선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매일 3주간 인덕션을 병행하며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1mg/ml 농도로 70% EtOH에 녹인 후 각 귀에 처리하였고 (pep.400: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400ug/각 귀, pep.800: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800ug/각 귀), 대조군으로는 동일한 양의 70% EtOH를 처리하였다. 인덕션 기간 중 DNCB 또는 집먼지 진드기를 처리한 다음날 귀 두께를 측정하여 귀 두께 변화 및 귀의 증상을 확인하여 기록하였다. 마지막 3주간의 처리 후 쥐를 희생하여 아토피 유발 부위인 귀 두께 변화, 귀의 병리학적 변화 등을 살펴보았다.
4.1. 외관상 효능
처리한 물질들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가장 먼저 귀의 외관상 변화를 확인해 보았다.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아토피를 총 6주간 유도를 하였을 경우 대조군 그룹에서 볼 수 있듯이 귀의 두께가 상당히 증가되고 각질이 많이 형성되며 염증 반응으로 인해 크게 부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건조 및 세포 괴사로 인해 딱지가 많이 형성되고 귀 모양이 변형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전반적으로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를 처리하였을 경우 눈으로 보이는 모든 증상이 대조군에 비해 크게 완화되어 건강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대조군에 비해 귀의 두께 및 각질, 홍반 정도, 경화 정도가 많이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
4.2. 귀의 병리학적 비교
아토피 증상을 유도시킨 귀의 두께가 증가되었다는 것은 염증 반응이 일어나서 수많은 면역세포들이 귀로 이동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다음으로 H&E 염색을 통해서 귀에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을 확인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hematoxylin은 핵을 염색하여 짙은 파란 또는 보라색의 점같이 표현이 되며 eosin은 세포질을 염색하여 붉은 자주빛을 나타내게 된다. 이를 위해 각 그룹의 쥐의 귀를 잘라 파라핀으로 고정한 후 단면을 잘라 염색을 실시하였다.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각 시험 그룹들의 귀를 비교해 보면 대조군에 비해 pep.800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800 ug/각 귀) 그룹의 경우 전체적으로 짙은 파란색 또는 보라색으로 염색된 면역세포의 수가 크게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8).
4.3. 혈청 내 IgE 농도 변화
다음으로 아토피의 가장 큰 마커로 사용되고 있는 혈청 내의 IgE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았다. 먼저 혈청을 준비한 후 알러젠 비특이적인 전체 IgE의 농도를 ELISA를 통해 확인한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전체 IgE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400 ug(각 귀당) 및 800 ug(각 귀당) 처리 실험군들에서 혈청내의 IgE농도를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9의 윗 그림).
이렇게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를 지속적으로 처리하였을 때 혈청 내의 IgE의 농도가 감소됨을 바탕으로 이 두 가지 물질이 IgE를 분비하는 주 세포인 B세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B cell intrinsic effect). 이를 위해 각 마우스의 림프절에서 B세포를 뽑은 후 IgE를 분비할 수 있는 조건인 IL-4, LPS로 더 자극을 준 후 이 B세포에서 분비하는 IgE의 농도를 ELISA로 확인하였다. 도 9의 아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B세포가 배양액으로 분비하는 IgE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그 억제 능이 강화됨이 보였다. 즉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를 지속적으로 처리 시 B세포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IgE의 분비를 억제시킴을 알 수 있었다.
4.4. 림프절 CD4 +T세포에서 아토피 유발성 사이토카인 발현량 비교
아토피는 초기 발병에 있어서는 Th2세포에서 발현하는 사이토카인인 IL-4, IL-5 그리고 IL-13 등이 중요하지만 진행된 아토피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Th1세포에서 발현하는 Th1 type 사이토카인인 IFNg, IL-12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아토피 또한 염증성 질환이므로 염증 유발에 관련된 사이토카인인 IL-17, TNFa 또한 발병에 있어 큰 역할을 한다. 따라서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의 지속적인 처리가 이러한 발병에 큰 역할을 하는 사이토카인의 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real-time PCR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각 그룹의 쥐의 림프절에서 CD4+T세포를 분리하고 또 귀를 잘라 전체 세포에서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을 mRNA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먼저 CD4+T 세포 경우 IL-4, IL-5, IL-13, IL-10, IFN-γ의 발현량을 비교해 본 결과 peptide를 처리시 IFN-γ, IL-10의 발현량은 크게 변화하지 않은 반면 IL-4, IL-5, IL-13은 감소하였으며 특히 IL-13이 가장 큰 감소됨이 보였다 (도 10).
4.5. 귀 전체 세포에서 아토피 유발성 사이토카인 발현량 비교
다음으로 귀에서 분리한 전체 귀 세포에서의 사이토카인 발현량을 비교해보면, 림프절의 T세포에서 발현되는 사이토카인에 비해 전반적으로 더 눈에 띄는 큰 감소를 보였다. 즉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의 처리 그룹에서 모두 현저히 IL-4, IL-5, IL-13, IL-17, IL-31, TNF-α, IFN-γ, IL-10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이러한 감소 현상은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의 경우 처리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IL-13, IL-17, IFN-γ, IL-10의 발현을 더 감소시켜 농도의존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1). 이러한 실험 결과들을 통해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의 지속적인 처리는 Th2 type의 사이토카인(IL-4, IL-5, IL-13, IL-31, IL-10)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 IL-17)들의 발현을 크게 저하시킴을 통해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IL-4, IL-5, IL-13은 B세포가 IgE를 분비하는데 있어 중요하게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기에 이 과정에서 관여를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4.6. 카페오일 알파 네오 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의 가려움 감소효과
아토피의 가장 큰 증상학적 특징은 심각한 가려움증으로 인한 스크래칭이다. 이러한 지속적인 스크래칭은 피부에 상처를 내고 염증반응을 더 심화시키고 아토피 증상을 더욱 심화시킨다. 따라서 이런 스크래칭을 억제시키는 것은 아토피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방법로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카페오일 펩타이드 유도체는 가려움의 신경전달 경로를 길항하여 가려움을 완화시킬 수 있는 알파네오엔돌핀의 결합체로써, 이를 통해 실제 마우스에 처리하였을 경우에도 스크래칭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지 확인해보았다. 이를 위해 각 그룹의 케이지를 캠코더를 이용해 10분 정도씩 녹화를 한 후 그룹 별 총 긁는 횟수를 측정해보았다.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룹별 마우스들이 긁는 횟수를 총 합하였을 때 대조군이 평균적으로 1분에 10번 정도를 긁는 반면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400 ug 처리군에서는 2.5회/분,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800 ug 처리군에서는 1.3회/분으로 대조군에 비해 크게 긁는 횟수가 감소되었다. 앞의 사이토카인 결과와 연관성 있게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마우스 유도 아토피 모델에서 가려움증을 완화시켜 스크래칭 횟수를 감소 시킴이 확인되었고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스크래칭 횟수도 더 효율적으로 감소되었다 (도 12).
Figure 112011073972969-pat00010

제형실시예 1: 카페오일 펩타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수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카페오일 펩타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수(스킨로션)를 하기 표 7에 기재된 조성과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성분 11번에 2, 3, 4, 8번을 순서대로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켰다(용해물 1). 한편, 성분 5번을 60℃ 정도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여기에 10번을 투입하여 용해시켰다(용해물 2). 그런 다음, 상기 용해물 2를 상기 용해물 1에 투입하고, 마지막으로 성분 1, 6, 7, 9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한 뒤 숙성시켜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73972969-pat00011

제형실시예 2: 카페오일 펩타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영양로션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카페오일 펩타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영양로션을 하기 표 8에 기재된 조성과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성분 10, 11, 13, 16번을 혼합 교반하면서 80~85℃에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시키고, 성분 2, 3, 4, 5, 6, 7, 8, 9, 12번을 80~85℃에서 가열 용해한 후 투입시켜 유화시켰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5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4번을 투입한 다음, 35℃에서 1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숙성시켜 영양로션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1073972969-pat00012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펩타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집먼지 진드기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 가려움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화학식 1]
    Figure 112014046887697-pat00026

    상기 식에서,
    R1, R2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이고,
    R3 및 R4는 히드록시이며,
    n은 1이고,
    L은 존재하지 않거나 연결기이며,
    A는 Tyr-Gly-Gly-Phe-Leu-Arg-Lys-Tyr-Pro-Lys(YGGFLRKYPK)의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 또는 그의 단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먼지 진드기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 가려움 완화는 IL-4, IL-5, IL-13, IL-31, IL-10, TNF-α, 또는 IL-17의 발현 억제 또는 감소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먼지 진드기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의 피부 가려움 완화는 IgE 분비 억제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10095800A 2011-09-22 2011-09-22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의 항가려움 및 항아토피 소재로의 활용 KR101405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800A KR101405558B1 (ko) 2011-09-22 2011-09-22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의 항가려움 및 항아토피 소재로의 활용
PCT/KR2011/007004 WO2013042811A1 (ko) 2011-09-22 2011-09-22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의 항가려움 및 항아토피 소재로의 활용
US13/339,773 US20130079287A1 (en) 2011-09-22 2011-12-29 Caffeoylalphaneoendorphin peptide derivative and use thereof as anti-itching and anti-atopic agents
CN2012101293087A CN103012557A (zh) 2011-09-22 2012-04-20 咖啡酰-α-新脑内啡肽衍生物及其作为抗瘙痒及抗特异性材料的用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800A KR101405558B1 (ko) 2011-09-22 2011-09-22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의 항가려움 및 항아토피 소재로의 활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099A KR20130032099A (ko) 2013-04-01
KR101405558B1 true KR101405558B1 (ko) 2014-06-16

Family

ID=47911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800A KR101405558B1 (ko) 2011-09-22 2011-09-22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의 항가려움 및 항아토피 소재로의 활용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079287A1 (ko)
KR (1) KR101405558B1 (ko)
CN (1) CN103012557A (ko)
WO (1) WO20130428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3661A1 (ko) * 2013-12-19 2015-06-25 (주)바이오에프디엔씨 항균펩타이드 베타-디펜신 3 및 3h의 라우릭산 융합을 통한 장기지속형 유도체, 세포투과성 펩타이드 융합을 통한 피부투과형 유도체 개발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0898B1 (ko) * 2015-04-30 2018-06-26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갈릭산이 결합된 펩타이드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6918813B (zh) * 2017-03-08 2019-04-30 浙江大学 一种基于距离统计的三维声纳点云图像增强方法
KR102101339B1 (ko) * 2017-03-29 2020-04-16 주식회사 비드테크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5641A1 (en) 2005-01-18 2006-07-27 Kumar Pillai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combinations of hydroxamate derivatives and antioxidants in a liposomal delivery system
WO2010000964A1 (fr) 2008-06-09 2010-01-07 Institut De Recherche Pour Le Developpement Procede microbiologique de synthese de derives cinnamoyl amides d'acides amines
KR20100025430A (ko) * 2008-08-27 2010-03-09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4-히드록시 치환기를 가지는 신규의 신나모일 펩타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57938B1 (ko) 2008-09-30 2011-08-18 (주)바이오에프디엔씨 상처 치유 및 조직 재생을 위한 항염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541103A (zh) * 2001-05-16 2004-10-27 �����˹��P����������Ʒ� 诱导持续免疫应答的方法
US7727961B2 (en) * 2004-04-30 2010-06-01 Tokai Bussan Co., Ltd. Antioxidant constituents
PT2282642E (pt) * 2008-04-30 2013-08-27 Nestec Sa Produtos compreendendo ácidos fenólicos descarboxilados derivados de ácidos clorogénicos do café e as suas utilizaçõ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5641A1 (en) 2005-01-18 2006-07-27 Kumar Pillai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combinations of hydroxamate derivatives and antioxidants in a liposomal delivery system
WO2010000964A1 (fr) 2008-06-09 2010-01-07 Institut De Recherche Pour Le Developpement Procede microbiologique de synthese de derives cinnamoyl amides d'acides amines
KR20100025430A (ko) * 2008-08-27 2010-03-09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4-히드록시 치환기를 가지는 신규의 신나모일 펩타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57938B1 (ko) 2008-09-30 2011-08-18 (주)바이오에프디엔씨 상처 치유 및 조직 재생을 위한 항염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79287A1 (en) 2013-03-28
CN103012557A (zh) 2013-04-03
WO2013042811A1 (ko) 2013-03-28
KR20130032099A (ko) 2013-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675B1 (ko) 피부 및/또는 점막의 치료 및/또는 관리에 유용한 펩티드 및 화장품학적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있어서의 이의 용도
KR100697360B1 (ko) 인간 유래 β-디펜신 타입 2 및/또는 타입 3의 유도활성성분 및 상기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약학적 조성물
US9511010B2 (en) Compounds useful in the treatment and/or care of the skin, hair and/or mucous membranes and their cosmetic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KR101451989B1 (ko)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US20170112737A1 (en) Cosmetics and pharmaceutical applications of gallic acid and gallic acid derivatives
US11484559B2 (en) Kapok tree flower extract, and cosmetic, pharmaceutical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KR101405558B1 (ko) 카페오일알파네오엔돌핀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의 항가려움 및 항아토피 소재로의 활용
KR20120048864A (ko) 트리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한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JP2003113068A (ja) 皮膚化粧料
KR101238291B1 (ko) 해조류 줄기세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20903B1 (ko) 피부주름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917645B1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01577B1 (ko) 니코티노일 펩타이드 유도체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53874B1 (ko) 데카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1099B1 (ko) 기능성 리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10486B1 (ko) 올리고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US8304392B2 (en) Pharmaceutical and/o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n active principle activator of cytochrome C
US8012938B2 (en) Dermatological and/o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polypeptides
KR102619897B1 (ko) 신규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또는 피부가려움증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2573754B1 (ko) 신규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 또는 피부가려움증 억제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US20220168339A1 (en) Anti-Inflammatory Compositions and Methods
KR20180096094A (ko) 코스모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714652B1 (ko) 산양유 추출물 및 산양유 버터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30093A (ko) 인삼 다당체와 녹차 다당체를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0561362B1 (ko) 석이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