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340B1 - 피부 가려움증 억제 또는 완화 및 화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가려움증 억제 또는 완화 및 화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340B1
KR102413340B1 KR1020200050593A KR20200050593A KR102413340B1 KR 102413340 B1 KR102413340 B1 KR 102413340B1 KR 1020200050593 A KR1020200050593 A KR 1020200050593A KR 20200050593 A KR20200050593 A KR 20200050593A KR 102413340 B1 KR102413340 B1 KR 102413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eight
parts
cosmetic composition
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2346A (ko
Inventor
박민희
정유미
정희범
정희준
Original Assignee
박민희
정유미
정희범
정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희, 정유미, 정희범, 정희준 filed Critical 박민희
Priority to KR1020200050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340B1/ko
Publication of KR20210132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가려움증 억제 또는 완화 및 화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니퍼 베리, 유칼립투스 및 메리골드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주니퍼 베리, 유칼립투스 및 메리골드 오일을 특정 조성비로 함유함에 따라, 가려움증 매개인자로부터 유도되는 바닐로이드 수용체1(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oid type 1, TRPV1)의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 가려움증 완화 및 억제 효과를 나타내고, 화상으로 인한 화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부 가려움증 억제 또는 완화 및 화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alleviating skin itching and preventing or improving skin damage due to burns}
본 발명은 피부 가려움증 억제 또는 완화 및 화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가려움증은 피부 질환에서 가장 주요하게 나타나는 증상이며, 생리적인 자기 보호 기능으로 외부로 부터의 유해하거나 자극이 되는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나타나는 하나의 현상이다. 가려움증은 통증을 동반할 수 있고, 동일한 자극이라도 때에 따라 사람에 따라 매우 다른 정도의 가려움증을 일으킬 수 있다. 가려움증은 외부자극과 무난하게 일어날 수도 있으며, 여러 가지 피부질환이나 내과적, 신경과적 질환과 연관되어 발생하기도 한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발된 가려움증은 상처, 발진 등의 이차적인 피부병변을 야기하며, 가려워서 긁게 되면 가려움증 유발 물질이 분비되어 가려움증이 더욱 심해지는 악순환이 발생하게 된다.
피부 외상이나 화상 후의 정상적인 상처치유과정은 지혈 단계(hemostasis), 염증 단계(inflammatory phase), 증식 단계 및 상처 수축(wound contraction) 단계를 거치는데, 각 단계에서 정상적인 균형이 맞지 않을 경우 상처치유가 늦어지거나, 상처 치유 후 흉터를 남기게 된다. 창상 치유의 각 과정에는 염증세포, 각질세포, 섬유아세포 등에서 분비되는 여러 종류의 성장인자 혹은 사이토카인과 함께 작용하여 창상 치유에 관여한다. 즉, 창상 치유 과정에서는 상처부위의 염증세포가 분비하는 매개체들의 신호에 의해서 대식세포들이 상처부위로 모여들고, 사이토카인 등을 분비하면, 상처부위에서 섬유아세포 등의 이동과 증식이 진행되면서 손상된 상처부위의 진피층이 기질을 형성하면서 상처부위가 치유된다. 반면, 2차 감염 등으로 염증 세포 등의 이상 증식이 있는 상처에는 TNF-α, Interlukin-8 등 여러 종류의 염증 유도성 사이토카인 등이 분비되게 되면서, 각질층 형성세포 등의 증식 속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화장품의 화학성분으로 인해 부작용이 발생하는 사례가 종종 알려지면서, 천연성분을 함유하여 제조되는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화장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고,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주니퍼 베리(juniper berry) 오일, 유칼립투스(Eucalyptus) 오일 및 메리골드(marigold) 오일을 특정 조성비로 함유하는 경우, 피부 가려움증 완화 및 억제 효과를 나타내고, 화상으로 인한 화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등록특허 10-0953515호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가려움증 억제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니퍼 베리(juniper berry) 오일; 유칼립투스(Eucalyptus) 오일; 메리골드(marigold) 오일; 라벤더 트루(Lavender True) 오일; 제라늄(geranium) 오일; 캐모마일 저먼(Chamomile German) 오일; 캐나디안 발삼(canadian balsam) 오일; 헬리크리섬(helichrysum) 오일; 라즈베리 씨드(Raspberry Seed) 오일; 라반딘(lavandin) 오일; 리나로올(Linalool) 오일; 리세아 쿠베바(litsea cubeba) 오일; 스피어민트(spearmint) 오일; 페퍼민트(peppermint) 오일; 코리앤더(coriander) 오일; 미르(myrrh) 오일; 클로브 버드(clove bud) 오일; 마누카(manuka) 오일; 붉은 인동초(coral honeysuckle) 오일; 라벤사라(ravensara) 오일; 니아울리(niaouli) 오일; 로즈마리(rosemary) 오일; 히솝(hyssop) 오일; 카난가(cananga) 오일; 당근씨앗(carrot seed) 오일; 세이지(sage) 오일; 레몬머틀(lemon myrtle) 오일; 케이드(cade) 오일; 티트리(tea tree) 오일; 야로우(yarrow) 오일; 패츌리(patchouli) 오일; 팔마로사(palmarosa) 오일; 러비지 뿌리(lovage root) 오일; 시더우드(cedarwood) 오일; 블랙 커민 씨드(black cumin seed) 오일; 머스크 씨드(musk seed) 오일; 수수씨앗(Millet seed) 오일; 멜리사(melissa) 오일; 페티그레인(pettigrain) 오일; 감초 뿌리(licorice root) 오일; 및 캄포나무(camphor tree) 오일; 을 포함하는 피부 가려움증 억제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니퍼 베리(juniper berry) 오일; 유칼립투스(Eucalyptus) 오일; 메리골드(marigold) 오일; 라벤더 트루(Lavender True) 오일; 제라늄(geranium) 오일; 캐모마일 저먼(Chamomile German) 오일; 캐나디안 발삼(canadian balsam) 오일; 헬리크리섬(helichrysum) 오일; 라즈베리 씨드(Raspberry Seed) 오일; 라반딘(lavandin) 오일; 리나로올(Linalool) 오일; 리세아 쿠베바(litsea cubeba) 오일; 스피어민트(spearmint) 오일; 페퍼민트(peppermint) 오일; 코리앤더(coriander) 오일; 미르(myrrh) 오일; 클로브 버드(clove bud) 오일; 마누카(manuka) 오일; 붉은 인동초(coral honeysuckle) 오일; 라벤사라(ravensara) 오일; 니아울리(niaouli) 오일; 로즈마리(rosemary) 오일; 히솝(hyssop) 오일; 카난가(cananga) 오일; 당근씨앗(carrot seed) 오일; 세이지(sage) 오일; 레몬머틀(lemon myrtle) 오일; 케이드(cade) 오일; 티트리(tea tree) 오일; 야로우(yarrow) 오일; 패츌리(patchouli) 오일; 팔마로사(palmarosa) 오일; 러비지 뿌리(lovage root) 오일; 시더우드(cedarwood) 오일; 블랙 커민 씨드(black cumin seed) 오일; 머스크 씨드(musk seed) 오일; 수수씨앗(Millet seed) 오일; 멜리사(melissa) 오일; 페티그레인(pettigrain) 오일; 감초 뿌리(licorice root) 오일; 및 캄포나무(camphor tree) 오일; 을 포함하는 화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주니퍼 베리, 유칼립투스 및 메리골드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주니퍼 베리, 유칼립투스 및 메리골드 오일을 특정 조성비로 함유함에 따라, 가려움증 매개인자로부터 유도되는 바닐로이드 수용체1(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oid type 1, TRPV1)의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 가려움증 완화 및 억제 효과를 나타내고, 화상으로 인한 화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피부 가려움증 억제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주니퍼 베리(juniper berry) 오일; 유칼립투스(Eucalyptus) 오일; 메리골드(marigold) 오일; 라벤더 트루(Lavender True) 오일; 제라늄(geranium) 오일; 캐모마일 저먼(Chamomile German) 오일; 캐나디안 발삼(canadian balsam) 오일; 헬리크리섬(helichrysum) 오일; 라즈베리 씨드(Raspberry Seed) 오일; 라반딘(lavandin) 오일; 리나로올(Linalool) 오일; 리세아 쿠베바(litsea cubeba) 오일; 스피어민트(spearmint) 오일; 페퍼민트(peppermint) 오일; 코리앤더(coriander) 오일; 미르(myrrh) 오일; 클로브 버드(clove bud) 오일; 마누카(manuka) 오일; 붉은 인동초(coral honeysuckle) 오일; 라벤사라(ravensara) 오일; 니아울리(niaouli) 오일; 로즈마리(rosemary) 오일; 히솝(hyssop) 오일; 카난가(cananga) 오일; 당근씨앗(carrot seed) 오일; 세이지(sage) 오일; 레몬머틀(lemon myrtle) 오일; 케이드(cade) 오일; 티트리(tea tree) 오일; 야로우(yarrow) 오일; 패츌리(patchouli) 오일; 팔마로사(palmarosa) 오일; 러비지 뿌리(lovage root) 오일; 시더우드(cedarwood) 오일; 블랙 커민 씨드(black cumin seed) 오일; 머스크 씨드(musk seed) 오일; 수수씨앗(Millet seed) 오일; 멜리사(melissa) 오일; 페티그레인(pettigrain) 오일; 감초 뿌리(licorice root) 오일; 및 캄포나무(camphor tree) 오일; 을 포함하는 피부 가려움증 억제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주니퍼 베리(juniper berry) 오일 0.5 중량부 기준 유칼립투스(Eucalyptus) 오일 0.3 내지 0.7 중량부, 메리골드(marigold) 오일 0.3 내지 0.7 중량부, 라벤더 트루(Lavender True) 오일 0.15 내지 0.35 중량부, 제라늄(geranium) 오일 0.1 내지 0.3 중량부, 캐모마일 저먼(Chamomile German) 오일 0.2 내지 0.4 중량부, 캐나디안 발삼(canadian balsam)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헬리크리섬(helichrysum)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라즈베리 씨드(Raspberry Seed)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라반딘(lavandin)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리나로올(Linalool)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리세아 쿠베바(litsea cubeba)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스피어민트(spearmint)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페퍼민트(peppermint)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코리앤더(coriander)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미르(myrrh) 오일 0.05 내지 0.25 중량부, 클로브 버드(clove bud)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마누카(manuka) 오일 0.3 내지 0.7 중량부, 붉은 인동초(coral honeysuckle) 오일 0.3 내지 0.7 중량부, 라벤사라(ravensara) 오일 0.1 내지 0.5 중량부, 니아울리(niaouli)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로즈마리(rosemary)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히솝(hyssop)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카난가(cananga)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당근씨앗(carrot seed)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세이지(sage)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레몬머틀(lemon myrtle)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케이드(cade)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티트리(tea tree) 오일 0.3 내지 0.7 중량부, 야로우(yarrow)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패츌리(patchouli)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팔마로사(palmarosa)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러비지 뿌리(lovage root)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시더우드(cedarwood)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블랙 커민 씨드(black cumin seed)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머스크 씨드(musk seed)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수수씨앗(Millet seed)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멜리사(melissa)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페티그레인(pettigrain) 오일 0.1 내지 0.3 중량부, 감초 뿌리(licorice root)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및 캄포나무(camphor tree)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주니퍼 베리(juniper berry) 오일 0.5 중량부 기준 유칼립투스(Eucalyptus) 오일 0.4 내지 0.6 중량부, 메리골드(marigold) 오일 0.4 내지 0.6 중량부, 라벤더 트루(Lavender True) 오일 0.15 내지 0.35 중량부, 제라늄(geranium) 오일 0.1 내지 0.3 중량부, 캐모마일 저먼(Chamomile German) 오일 0.2 내지 0.4 중량부, 캐나디안 발삼(canadian balsam)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헬리크리섬(helichrysum)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라즈베리 씨드(Raspberry Seed)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라반딘(lavandin)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리나로올(Linalool)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리세아 쿠베바(litsea cubeba)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스피어민트(spearmint)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페퍼민트(peppermint)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코리앤더(coriander)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미르(myrrh) 오일 0.05 내지 0.25 중량부, 클로브 버드(clove bud)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마누카(manuka) 오일 0.3 내지 0.7 중량부, 붉은 인동초(coral honeysuckle) 오일 0.3 내지 0.7 중량부, 라벤사라(ravensara) 오일 0.1 내지 0.5 중량부, 니아울리(niaouli)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로즈마리(rosemary)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히솝(hyssop)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카난가(cananga)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당근씨앗(carrot seed)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세이지(sage)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레몬머틀(lemon myrtle)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케이드(cade)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티트리(tea tree) 오일 0.3 내지 0.7 중량부, 야로우(yarrow)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패츌리(patchouli)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팔마로사(palmarosa)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러비지 뿌리(lovage root)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시더우드(cedarwood)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블랙 커민 씨드(black cumin seed)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머스크 씨드(musk seed)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수수씨앗(Millet seed)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멜리사(melissa)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페티그레인(pettigrain) 오일 0.1 내지 0.3 중량부, 감초 뿌리(licorice root)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및 캄포나무(camphor tree)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적외선 로스터를 사용하여 100 내지 140℃의 온도에서 3 내지 7분간 적외선을 조사하여 전처리 한 후, 추출할 수 있으며,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 압착법, 수증기 증류법, 냉침법, 온침법 및 용매추출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에 따라 추출된 오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으로 추출된 오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페이스트, 패치,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저, 오일,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왁스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형인 것일 수 있고, 피부 외용제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필수 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 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바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추출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보조제는 화장품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주니퍼 베리(juniper berry) 오일; 유칼립투스(Eucalyptus) 오일; 메리골드(marigold) 오일; 라벤더 트루(Lavender True) 오일; 제라늄(geranium) 오일; 캐모마일 저먼(Chamomile German) 오일; 캐나디안 발삼(canadian balsam) 오일; 헬리크리섬(helichrysum) 오일; 라즈베리 씨드(Raspberry Seed) 오일; 라반딘(lavandin) 오일; 리나로올(Linalool) 오일; 리세아 쿠베바(litsea cubeba) 오일; 스피어민트(spearmint) 오일; 페퍼민트(peppermint) 오일; 코리앤더(coriander) 오일; 미르(myrrh) 오일; 클로브 버드(clove bud) 오일; 마누카(manuka) 오일; 붉은 인동초(coral honeysuckle) 오일; 라벤사라(ravensara) 오일; 니아울리(niaouli) 오일; 로즈마리(rosemary) 오일; 히솝(hyssop) 오일; 카난가(cananga) 오일; 당근씨앗(carrot seed) 오일; 세이지(sage) 오일; 레몬머틀(lemon myrtle) 오일; 케이드(cade) 오일; 티트리(tea tree) 오일; 야로우(yarrow) 오일; 패츌리(patchouli) 오일; 팔마로사(palmarosa) 오일; 러비지 뿌리(lovage root) 오일; 시더우드(cedarwood) 오일; 블랙 커민 씨드(black cumin seed) 오일; 머스크 씨드(musk seed) 오일; 수수씨앗(Millet seed) 오일; 멜리사(melissa) 오일; 페티그레인(pettigrain) 오일; 감초 뿌리(licorice root) 오일; 및 캄포나무(camphor tree) 오일; 을 포함하는 화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주니퍼 베리(juniper berry) 오일 0.5 중량부 기준 유칼립투스(Eucalyptus) 오일 0.3 내지 0.7 중량부, 메리골드(marigold) 오일 0.3 내지 0.7 중량부, 라벤더 트루(Lavender True) 오일 0.15 내지 0.35 중량부, 제라늄(geranium) 오일 0.1 내지 0.3 중량부, 캐모마일 저먼(Chamomile German) 오일 0.2 내지 0.4 중량부, 캐나디안 발삼(canadian balsam)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헬리크리섬(helichrysum)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라즈베리 씨드(Raspberry Seed)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라반딘(lavandin)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리나로올(Linalool)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리세아 쿠베바(litsea cubeba)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스피어민트(spearmint)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페퍼민트(peppermint)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코리앤더(coriander)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미르(myrrh) 오일 0.05 내지 0.25 중량부, 클로브 버드(clove bud)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마누카(manuka) 오일 0.3 내지 0.7 중량부, 붉은 인동초(coral honeysuckle) 오일 0.3 내지 0.7 중량부, 라벤사라(ravensara) 오일 0.1 내지 0.5 중량부, 니아울리(niaouli)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로즈마리(rosemary)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히솝(hyssop)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카난가(cananga)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당근씨앗(carrot seed)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세이지(sage)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레몬머틀(lemon myrtle)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케이드(cade)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티트리(tea tree) 오일 0.3 내지 0.7 중량부, 야로우(yarrow)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패츌리(patchouli)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팔마로사(palmarosa)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러비지 뿌리(lovage root)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시더우드(cedarwood)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블랙 커민 씨드(black cumin seed)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머스크 씨드(musk seed)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수수씨앗(Millet seed)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멜리사(melissa)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페티그레인(pettigrain) 오일 0.1 내지 0.3 중량부, 감초 뿌리(licorice root)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및 캄포나무(camphor tree)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주니퍼 베리(juniper berry) 오일 0.5 중량부 기준 유칼립투스(Eucalyptus) 오일 0.4 내지 0.6 중량부, 메리골드(marigold) 오일 0.4 내지 0.6 중량부, 라벤더 트루(Lavender True) 오일 0.15 내지 0.35 중량부, 제라늄(geranium) 오일 0.1 내지 0.3 중량부, 캐모마일 저먼(Chamomile German) 오일 0.2 내지 0.4 중량부, 캐나디안 발삼(canadian balsam)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헬리크리섬(helichrysum)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라즈베리 씨드(Raspberry Seed)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라반딘(lavandin)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리나로올(Linalool)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리세아 쿠베바(litsea cubeba)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스피어민트(spearmint)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페퍼민트(peppermint)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코리앤더(coriander)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미르(myrrh) 오일 0.05 내지 0.25 중량부, 클로브 버드(clove bud)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마누카(manuka) 오일 0.3 내지 0.7 중량부, 붉은 인동초(coral honeysuckle) 오일 0.3 내지 0.7 중량부, 라벤사라(ravensara) 오일 0.1 내지 0.5 중량부, 니아울리(niaouli)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로즈마리(rosemary)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히솝(hyssop)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카난가(cananga)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당근씨앗(carrot seed)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세이지(sage)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레몬머틀(lemon myrtle)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케이드(cade)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티트리(tea tree) 오일 0.3 내지 0.7 중량부, 야로우(yarrow)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패츌리(patchouli)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팔마로사(palmarosa)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러비지 뿌리(lovage root)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시더우드(cedarwood)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블랙 커민 씨드(black cumin seed)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머스크 씨드(musk seed)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수수씨앗(Millet seed) 오일 0.025 내지 0.075 중량부, 멜리사(melissa)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페티그레인(pettigrain) 오일 0.1 내지 0.3 중량부, 감초 뿌리(licorice root)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 및 캄포나무(camphor tree) 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적외선 로스터를 사용하여 100 내지 140℃의 온도에서 3 내지 7분간 적외선을 조사하여 전처리 한 후, 추출할 수 있으며,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 압착법, 수증기 증류법, 냉침법, 온침법 및 용매추출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에 따라 추출된 오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으로 추출된 오일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주니퍼 베리(juniper berry) 오일의 제조
주니퍼 베리(juniper berry) 오일을 제조하기 위해, 주니퍼 베리 열매 800g을 적외선 로스터를 사용하여 120℃의 온도에서 5분간 적외선을 조사하여 열처리를 하였다. 그 후 30℃의 온도에서 20분간 냉풍건조하여 온도를 낮춰주어 전처리하였다.
그 후, 초임계 유체 추출(CO2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0.5L)) 장비(SCFE-0500, 일신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온도를 40℃, 압력 200bar로 조절하여 전처리된 주니퍼 베리 400g을 주입하고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60분 동안 초임계 추출을 실시하여 주니퍼 베리 오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유칼립투스(Eucalyptus) 오일의 제조
유칼립투스(Eucalyptus) 오일을 제조하기 위해, 유칼립투스 잎 1kg을 적외선 로스터를 사용하여 120℃의 온도에서 5분간 적외선을 조사하여 열처리를 하였다. 그 후 30℃의 온도에서 20분간 냉풍건조하여 온도를 낮춰주어 전처리하였다.
그 후, 초임계 유체 추출(CO2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0.5L)) 장비(SCFE-0500, 일신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온도를 40℃, 압력 200bar로 조절하여 전처리된 유칼립투스 잎 500g을 주입하고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60분 동안 초임계 추출을 실시하여 유칼립투스 오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3> 메리골드(marigold) 오일
메리골드(marigold) 오일을 제조하기 위해, 메리골드 꽃 500g을 적외선 로스터를 사용하여 120℃의 온도에서 5분간 적외선을 조사하여 열처리를 하였다. 그 후 30℃의 온도에서 20분간 냉풍건조하여 온도를 낮춰주어 전처리하였다.
그 후, 초임계 유체 추출(CO2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0.5L)) 장비(SCFE-0500, 일신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온도를 40℃, 압력 200bar로 조절하여 전처리된 메리골드 꽃 250g을 주입하고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60분 동안 초임계 추출을 실시하여 메리골드 오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4 내지 41>
상기 제조예 1 내지 3의 방법과 유사하게 하기 표 1의 식물 유래 오일을 제조하였다.
오일
제조예 4 라벤더 트루(Lavender True) 오일
제조예 5 제라늄(geranium) 오일
제조예 6 캐모마일 저먼(Chamomile German) 오일
제조예 7 캐나디안 발삼(canadian balsam) 오일
제조예 8 헬리크리섬(helichrysum) 오일
제조예 9 라즈베리 씨드(Raspberry Seed) 오일
제조예 10 라반딘(lavandin) 오일
제조예 11 리나로올(Linalool) 오일
제조예 12 리세아 쿠베바(litsea cubeba) 오일
제조예 13 스피어민트(spearmint) 오일
제조예 14 페퍼민트(peppermint) 오일
제조예 15 코리앤더(coriander) 오일
제조예 16 미르(myrrh) 오일
제조예 17 클로브 버드(clove bud) 오일
제조예 18 마누카(manuka) 오일
제조예 19 붉은 인동초(coral honeysuckle) 오일
제조예 20 라벤사라(ravensara) 오일
제조예 21 니아울리(niaouli) 오일
제조예 22 로즈마리(rosemary) 오일
제조예 23 히솝(hyssop) 오일
제조예 24 카난가(cananga) 오일
제조예 25 당근씨앗(carrot seed) 오일
제조예 26 세이지(sage) 오일
제조예 27 레몬머틀(lemon myrtle) 오일
제조예 28 케이드(cade) 오일
제조예 29 티트리(tea tree) 오일
제조예 30 야로우(yarrow) 오일
제조예 31 패츌리(patchouli) 오일
제조예 32 팔마로사(palmarosa) 오일
제조예 33 러비지 뿌리(lovage root) 오일
제조예 34 시더우드(cedarwood) 오일
제조예 35 블랙 커민 씨드(black cumin seed) 오일
제조예 36 머스크 씨드(musk seed) 오일
제조예 37 수수씨앗(Millet seed) 오일
제조예 38 멜리사(melissa) 오일
제조예 39 페티그레인(pettigrain) 오일
제조예 40 감초 뿌리(licorice root) 오일
제조예 41 캄포나무(camphor tree) 오일
<실시예 1> 주니퍼 베리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및 메리골드 오일 복합물을 포함하는 젤의 제조
주니퍼 베리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및 메리골드 오일을 포함하는 젤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2의 Class 1의 재료들을 계량하여 용기에 넣고 고체형태의 재료들이 완전히 녹을 때까지 80 내지 90℃에서 가열하면서 블랜더로 균일하게 용해하는 단계(단계 1);
별도의 용기에 하기 표 2의 Class 2의 재료들을 계량하여 넣고, 상기 단계 1과 혼합하고, 블랜더로 균일하게 섞어주는 단계(단계 2); 및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주니퍼 베리, 유칼립투스 및 메리골드 오일의 혼합물과 상기 표 4의 기타성분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젤을 제조하였다.
구분 재료명 함량(ml)
Class 1 달맞이오일 6
아보카도오일 2
살구씨오일 3
호호바오일 2
아마씨오일 3
마카다미아오일 2
님오일 3
로즈힙오일 3
칼렌듈라오일 15
히퍼리쿰오일 2
밀납 10
보리지 7
쉐이버터 25
Class 2 네추럴리퀴드 3
칼렌듈라추출물 50
판테놀 2
L-멘톨 2
glucodOX™ liquid 4
주니퍼 베리(juniper berry) 오일 유칼립투스(Eucalyptus) 오일 메리골드(marigold) 오일
실시예 1-1-1 0.3 0.5 0.5
실시예 1-1-2 0.4 0.5 0.5
실시예 1-1-3 0.5 0.5 0.5
실시예 1-1-4 0.6 0.5 0.5
실시예 1-1-5 0.7 0.5 0.5
실시예 1-2-1 0.5 0.3 0.5
실시예 1-2-2 0.5 0.4 0.5
실시예 1-2-3 0.5 0.5 0.5
실시예 1-2-4 0.5 0.6 0.5
실시예 1-2-5 0.5 0.7 0.5
실시예 1-3-1 0.5 0.5 0.3
실시예 1-3-2 0.5 0.5 0.4
실시예 1-3-3 0.5 0.5 0.5
실시예 1-3-4 0.5 0.5 0.6
실시예 1-3-5 0.5 0.5 0.7
비교예 1-1 0.5 - -
비교예 1-2 - 0.5 -
비교예 1-3 - - 0.5
비교예 1-4 - 0.5 0.5
비교예 1-5 0.5 - 0.5
비교예 1-6 0.5 0.5 -
비교예 1-7 - - -
구분 오일 함량
기타성분 라벤더 트루(Lavender True) 오일 0.25
제라늄(geranium) 오일 0.2
캐모마일 저먼(Chamomile German) 오일 0.3
캐나디안 발삼(canadian balsam) 오일 0.05
헬리크리섬(helichrysum) 오일 0.1
라즈베리 씨드(Raspberry Seed) 오일 0.05
라반딘(lavandin) 오일 0.1
리나로올(Linalool) 오일 0.05
리세아 쿠베바(litsea cubeba) 오일 0.05
스피어민트(spearmint) 오일 0.1
페퍼민트(peppermint) 오일 0.1
코리앤더(coriander) 오일 0.1
미르(myrrh) 오일 0.15
클로브 버드(clove bud) 오일 0.05
마누카(manuka) 오일 0.5
붉은 인동초(coral honeysuckle) 오일 0.5
라벤사라(ravensara) 오일 0.3
니아울리(niaouli) 오일 0.1
로즈마리(rosemary) 오일 0.1
히솝(hyssop) 오일 0.05
카난가(cananga) 오일 0.05
당근씨앗(carrot seed) 오일 0.05
세이지(sage) 오일 0.05
레몬머틀(lemon myrtle) 오일 0.05
케이드(cade) 오일 0.1
티트리(tea tree) 오일 0.5
야로우(yarrow) 오일 0.1
패츌리(patchouli) 오일 0.05
팔마로사(palmarosa) 오일 0.05
러비지 뿌리(lovage root) 오일 0.05
시더우드(cedarwood) 오일 0.1
블랙 커민 씨드(black cumin seed) 오일 0.0
머스크 씨드(musk seed) 오일 0.05
수수씨앗(Millet seed) 오일 0.05
멜리사(melissa) 오일 0.1
페티그레인(pettigrain) 오일 0.2
감초 뿌리(licorice root) 오일 0.1
캄포나무(camphor tree) 오일 0.1
<실험예 1> 주니퍼 베리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및 메리골드 오일 복합물을 포함하는 젤의 TRPV1 발현 억제 효과 확인
주니퍼 베리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및 메리골드 오일 복합물을 포함하는 젤의 가려움증 매개인자로부터 유도되는 바닐로이드 수용체1(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oid type 1, TRPV1)의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섬유아세포를 배양용 페트리 디쉬에 넣고 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후, 상기 실시예 1-1-1 내지 1-3-5 및 비교예 1-1 내지 1-7을 150㎍/㎖ 농도로 희석하여 처리하였다. 10분간 반응시킨 후, TRPV1의 발현을 위해 캡사이신을 처리하고, 60초간 세포내 Ca2+ 농도변화를 측정하였다. 494 nm의 파장으로 여기(excitation)시켰을 때, 516 nm의 파장으로 방출(emission)되는 형광으로 세포내 Ca2+ 농도를 측정하였다. 캡사이신 처리 후 60초간의 플렉스(flex)를 측정하여 얻어낸 값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차를 구한 후, 그 값을 각각의 상기 실시예 1-1-1 내지 1-3-5 및 비교예 1-1 내지 1-7 처리시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차와 비교하여 TRPV1 활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1 내지 1-7을 처리하는 경우 TRPV1 활성 저해율은 11 내지 25%인 반면, 실시예 1-1-1 내지 실시예 1-3-5를 처리하는 경우 35 내지 43%로 비교예 1-1 내지 1-7 대비 TRPV1 활성 저해율이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TRPV1 활성 저해율(%)
캡사이신(대조군) -
실시예 1-1-1 36
실시예 1-1-2 38
실시예 1-1-3 43
실시예 1-1-4 37
실시예 1-1-5 35
실시예 1-2-1 36
실시예 1-2-2 41
실시예 1-2-3 43
실시예 1-2-4 39
실시예 1-2-5 35
실시예 1-3-1 37
실시예 1-3-2 42
실시예 1-3-3 43
실시예 1-3-4 40
실시예 1-3-5 36
비교예 1-1 15
비교예 1-2 17
비교예 1-3 18
비교예 1-4 20
비교예 1-5 23
비교예 1-6 25
비교예 1-7 11
<실험예 2> 주니퍼 베리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및 메리골드 오일 복합물을 포함하는 젤의 화상치료 효과 확인
주니퍼 베리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및 메리골드 오일 복합물을 포함하는 젤의 화상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28 마리의 랫트의 등 부위 털을 제거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2도 화상을 유발시켰다. 화상을 입은 환부에 상기 실시예 1-1-1 내지 1-3-5 및 비교예 1-1 내지 비교예 1-7의 복합물을 1일 3회씩 도포하였다. 화상으로 인한 상처의 표면적을 7일간 관찰하여 상처 표면적의 변화로써 치료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1-1 내지 1-3-5는 비교예 1-1 내지 1-7에 비하여 화상으로 인한 상처 표면적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처 표면적(cm3)
초기 7일 경과후 감소량
실시예 1-1-1 7.3 2.1 5.2
실시예 1-1-2 7.2 1.5 5.7
실시예 1-1-3 7.4 1.2 6.2
실시예 1-1-4 7.3 1.8 5.5
실시예 1-1-5 7.3 2.0 5.3
실시예 1-2-1 7.2 2.3 4.9
실시예 1-2-2 7.3 1.6 5.7
실시예 1-2-3 7.4 1.2 6.2
실시예 1-2-4 7.2 1.7 5.5
실시예 1-2-5 7.3 2.2 5.1
실시예 1-3-1 7.3 2.4 4.9
실시예 1-3-2 7.1 1.3 5.8
실시예 1-3-3 7.4 1.2 6.2
실시예 1-3-4 7.4 1.6 5.8
실시예 1-3-5 7.5 2.6 5.1
비교예 1-1 7.3 4.1 3.2
비교예 1-2 7.4 4.2 3.2
비교예 1-3 7.2 4.0 3.2
비교예 1-4 7.1 3.5 3.6
비교예 1-5 7.3 3.4 3.9
비교예 1-6 7.5 3.7 3.8
비교예 1-7 7.4 4.9 2.5
<실험예 3> 가려움증 및 피부 병변 완화 확인
피부 가려움증이 심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평가 그룹당 5명이 되도록 그룹을 나눈 후, 각 그룹당 해당하는 상기의 실시예 1-1-1 내지 1-3-5 및 비교예 1-1 내지 1-7에서 제조한 젤을 지급하고 4주일간 매일 1회 이상 제품을 사용하게 하였다. 사용전과 사용 4주일 후의 피부 상태를 평가하게 하고, 그 평균을 산출하여 각 시험물질의 피부 가려움증 완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0~5점 척도를 사용하였고, '더 나빠졌음' 0점, '변화 없음'은 1점, '매우 경미한 반응 감소'는 2점, '약간 감소됨'은 3점, '가려움증이 좋아졌다' 4점, '매우 좋아졌다' 5점으로 평가하였다.
피부 가려움증 완화
실시예 1-1-1 4.3
실시예 1-1-2 4.4
실시예 1-1-3 4.9
실시예 1-1-4 4.7
실시예 1-1-5 4.2
실시예 1-2-1 4.1
실시예 1-2-2 4.3
실시예 1-2-3 4.9
실시예 1-2-4 4.2
실시예 1-2-5 4.0
실시예 1-3-1 4.1
실시예 1-3-2 4.2
실시예 1-3-3 4.9
실시예 1-3-4 4.4
실시예 1-3-5 4.3
비교예 1-1 2.1
비교예 1-2 2.2
비교예 1-3 2.3
비교예 1-4 3.1
비교예 1-5 3.3
비교예 1-6 3.4
비교예 1-7 1.9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니퍼 베리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및 메리골드 오일을 단독 또는 일부의 조합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1-1 내지 1-7의 젤을 사용한 경우보다 주니퍼 베리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및 메리골드 오일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1-1-1 내지 1-3-5를 사용한 경우에, 피부 가려움증이 현저히 진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주니퍼 베리(juniper berry) 오일 0.5 중량부 기준;
    유칼립투스(Eucalyptus) 오일 0.3 내지 0.7 중량부; 및
    메리골드(marigold) 오일 0.3 내지 0.7 중량부; 포함하는, 피부 가려움증 억제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라벤더 트루(Lavender True) 오일; 제라늄(geranium) 오일; 캐모마일 저먼(Chamomile German) 오일; 캐나디안 발삼(canadian balsam) 오일; 헬리크리섬(helichrysum) 오일; 라즈베리 씨드(Raspberry Seed) 오일; 라반딘(lavandin) 오일; 리나로올(Linalool) 오일; 리세아 쿠베바(litsea cubeba) 오일; 스피어민트(spearmint) 오일; 페퍼민트(peppermint) 오일; 코리앤더(coriander) 오일; 미르(myrrh) 오일; 클로브 버드(clove bud) 오일; 마누카(manuka) 오일; 붉은 인동초(coral honeysuckle) 오일; 라벤사라(ravensara) 오일; 니아울리(niaouli) 오일; 로즈마리(rosemary) 오일; 히솝(hyssop) 오일; 카난가(cananga) 오일; 당근씨앗(carrot seed) 오일; 세이지(sage) 오일; 레몬머틀(lemon myrtle) 오일; 케이드(cade) 오일; 티트리(tea tree) 오일; 야로우(yarrow) 오일; 패츌리(patchouli) 오일; 팔마로사(palmarosa) 오일; 러비지 뿌리(lovage root) 오일; 시더우드(cedarwood) 오일; 블랙 커민 씨드(black cumin seed) 오일; 머스크 씨드(musk seed) 오일; 수수씨앗(Millet seed) 오일; 멜리사(melissa) 오일; 페티그레인(pettigrain) 오일; 감초 뿌리(licorice root) 오일; 및 캄포나무(camphor tree) 오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식물 유래 오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가려움증 억제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니퍼 베리(juniper berry) 오일 0.5 중량부 기준 유칼립투스(Eucalyptus) 오일 0.4 내지 0.6 중량부, 메리골드(marigold) 오일 0.4 내지 0.6 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가려움증 억제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 압착법, 수증기 증류법, 냉침법, 온침법 및 용매추출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에 따라 추출된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가려움증 억제 또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주니퍼 베리(juniper berry) 오일 0.5 중량부 기준;
    유칼립투스(Eucalyptus) 오일 0.3 내지 0.7 중량부; 및
    메리골드(marigold) 오일 0.3 내지 0.7 중량부; 포함하는, 화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라벤더 트루(Lavender True) 오일; 제라늄(geranium) 오일; 캐모마일 저먼(Chamomile German) 오일; 캐나디안 발삼(canadian balsam) 오일; 헬리크리섬(helichrysum) 오일; 라즈베리 씨드(Raspberry Seed) 오일; 라반딘(lavandin) 오일; 리나로올(Linalool) 오일; 리세아 쿠베바(litsea cubeba) 오일; 스피어민트(spearmint) 오일; 페퍼민트(peppermint) 오일; 코리앤더(coriander) 오일; 미르(myrrh) 오일; 클로브 버드(clove bud) 오일; 마누카(manuka) 오일; 붉은 인동초(coral honeysuckle) 오일; 라벤사라(ravensara) 오일; 니아울리(niaouli) 오일; 로즈마리(rosemary) 오일; 히솝(hyssop) 오일; 카난가(cananga) 오일; 당근씨앗(carrot seed) 오일; 세이지(sage) 오일; 레몬머틀(lemon myrtle) 오일; 케이드(cade) 오일; 티트리(tea tree) 오일; 야로우(yarrow) 오일; 패츌리(patchouli) 오일; 팔마로사(palmarosa) 오일; 러비지 뿌리(lovage root) 오일; 시더우드(cedarwood) 오일; 블랙 커민 씨드(black cumin seed) 오일; 머스크 씨드(musk seed) 오일; 수수씨앗(Millet seed) 오일; 멜리사(melissa) 오일; 페티그레인(pettigrain) 오일; 감초 뿌리(licorice root) 오일; 및 캄포나무(camphor tree) 오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식물 유래 오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니퍼 베리(juniper berry) 오일 0.5 중량부 기준 유칼립투스(Eucalyptus) 오일 0.4 내지 0.6 중량부, 메리골드(marigold) 오일 0.4 내지 0.6 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법, 압착법, 수증기 증류법, 냉침법, 온침법 및 용매추출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에 따라 추출된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0. 삭제
KR1020200050593A 2020-04-27 2020-04-27 피부 가려움증 억제 또는 완화 및 화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13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593A KR102413340B1 (ko) 2020-04-27 2020-04-27 피부 가려움증 억제 또는 완화 및 화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593A KR102413340B1 (ko) 2020-04-27 2020-04-27 피부 가려움증 억제 또는 완화 및 화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346A KR20210132346A (ko) 2021-11-04
KR102413340B1 true KR102413340B1 (ko) 2022-06-27

Family

ID=78521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593A KR102413340B1 (ko) 2020-04-27 2020-04-27 피부 가려움증 억제 또는 완화 및 화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3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446B1 (ko) 2015-06-12 2016-01-21 조영희 아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추출물 il-s를 포함하는 항균, 보습, 가려움개선, 세라마이드증가, 항염 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
KR101901630B1 (ko) * 2017-05-29 2018-09-27 손수연 산죽잎,메리골드꽃,청미래뿌리 및 소루쟁이뿌리를 함유하는 가려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515B1 (ko) 2009-08-28 2010-04-2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피부 가려움증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90001530A (ko) * 2017-06-26 2019-01-04 농업회사법인 엔제이바이오피아 주식회사 아토피성 피부염 완화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257342B1 (ko) * 2018-09-11 2021-05-27 심재덕 항균 및 항염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446B1 (ko) 2015-06-12 2016-01-21 조영희 아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추출물 il-s를 포함하는 항균, 보습, 가려움개선, 세라마이드증가, 항염 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
KR101901630B1 (ko) * 2017-05-29 2018-09-27 손수연 산죽잎,메리골드꽃,청미래뿌리 및 소루쟁이뿌리를 함유하는 가려움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346A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8986755B1 (en) Skin moisturizer
KR102015173B1 (ko)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7663B1 (ko) 말로우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 참마뿌리추출물, 오크라열매 추출물, 아미노산 및 해수를 혼합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92004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개선 기능을 갖는 샴푸 조성물
KR101141802B1 (ko) 남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413340B1 (ko) 피부 가려움증 억제 또는 완화 및 화상으로 인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H06271452A (ja) サボテン類植物抽出物含有皮膚化粧料
KR20200104999A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9147A (ko)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48466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7357B1 (ko)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88226A (ko) 아마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63736B1 (ko) 효소 처리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CN114746077A (zh) 个人护理组合物及用于其的方法
KR102163865B1 (ko) 가려움증 또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3145B1 (ko) 스피큘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도 개선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13338B1 (ko) 부종 감소 또는 지방 분해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0980A (ko) 윈터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화장료 조성물 또는 항염 피부 외용제
KR102353386B1 (ko)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30822B1 (ko) 표면 개질된 천연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82389B1 (ko) 피부 트러블 완화 또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7571B1 (ko) 천연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1403B1 (ko) 비자 세라마이드와 울금 및 동백유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