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400B1 - 고농도 말초혈액단핵구의 항암 치료제 제조를 위한 장기간 냉동 보존 방법 - Google Patents

고농도 말초혈액단핵구의 항암 치료제 제조를 위한 장기간 냉동 보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400B1
KR100953400B1 KR1020070126060A KR20070126060A KR100953400B1 KR 100953400 B1 KR100953400 B1 KR 100953400B1 KR 1020070126060 A KR1020070126060 A KR 1020070126060A KR 20070126060 A KR20070126060 A KR 20070126060A KR 100953400 B1 KR100953400 B1 KR 100953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blood
cells
monocytes
cryopreserva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9289A (ko
Inventor
손정화
허윤정
손철훈
이경규
정주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넥스
Priority to KR1020070126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400B1/ko
Publication of KR20090059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05Chemical aspects
    • A01N1/021Preservation or perfusion media, liquids, solids or gases used in the preservation of cells, tissue, organs or bodily fluids
    • A01N1/0221Freeze-process protecting agents, i.e. substances protecting cells from effects of the physical process, e.g. cryoprotectants, osmolarity regulators like onco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14Blood; Artificial bloo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18Culture media for cell or tissue culture
    • C12N5/0031Serum-free culture med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ell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말초혈액단핵구(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의 장기간 냉동 보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에 비해 고농도, 고회수율로 말초혈액단핵구를 장기간 동안 보존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말초혈액 단핵구를 분리하는 제1단계와, 상기 단핵구를 일정 기간 냉동한 후 보존하는 제2단계, 그리고 상기 냉동보존된 단핵구를 융해, 복원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말초혈액 단핵구의 보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5~15중량%의 DMSO, 1~20중량%의 펜타스타치(pentastarch), 1~20중량%의 알부민(albumin), 0.1~1중량%의 글루코오즈, 0.01~0.1중량%의 EDTA 및 나머지의 무혈청배지로 조합되는 동결보존배지에 말초혈액 단핵구를 현탁하여 동결하여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말초혈액 단핵구, 고농도 냉동보존, 수지상세포, 림프구

Description

고농도 말초혈액단핵구의 항암 치료제 제조를 위한 장기간 냉동 보존 방법{The preservation method of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at high density condition, for manufacturing anticancer material}
본 발명은 말초혈액단핵구(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의 장기간 냉동 보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에 비해 고농도, 고회수율로 말초혈액단핵구를 장기간 동안 보존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 내에 존재하는 면역세포에는 암세포 또는 바이러스 감염세포와 같이 형질전환된 세포를 인식하는 세포인 수지상세포, 비(B)세포, 마크로파아지 등이 존재하며 또한 감염세포를 인식할 뿐 아니라 제거할 수 있는 자연살상(NK)세포와 T 림프구 등이 존재한다. 그리하여 이러한 면역세포들의 기능을 활용하여 상기 질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치료제로 제조하는 방법들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최근, 암 등의 질환을 치유하고자 자가 유래의 말초혈액 내 면역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제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품목허가를 받은 면역세포치료제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여서 앞으로 면역세포치료제의 시장이 폭발적 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위와 같은 세포치료제들은 모두 말초혈액 내 존재하는 면역세포(림프구, 수지상세포)를 치료제로써 이용하는 것으로 그 세포의 건강상태에 따라 치료제로 제조된 후 효과가 극적으로 차이가 날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암질환의 경우 암 진단을 받은 후 외과적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를 포함한 항암화학요법 등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 벌써 환자의 면역세포는 그 기능 이상을 일으키게 될 수 있어 상기 면역세포를 이용하여 면역세포치료제로 제조할시 그 효능은 장담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면역세포의 필요에 따라 필요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채혈할 경우 환자에게 고통을 줄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빈혈을 일으키게 할 수 있다.
이런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건강한 사람이나 암 질환이 완치된 사람 혹은 초기의 암질환 환자의 말초혈액 단핵구를 장기간 동안 동결보존하다가 이후 해당자에게 암질환이 발생 혹은 재발하였을 때 동결보존 중인 본인의 세포를 면역세포치료제로 사용하고자 해동하여 증식, 활성화시키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해동 후의 활성저하 등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임상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세포의 양은 고농도일 것을 요하는데, 종래의 냉동보관법들은 저농도의 실험적 수준에서 그치고 있어 실제 임상에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말초혈액 단핵구를 실제 환자 치료를 위해 고농도로 냉동보존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의 면역세포 동결보존 방법은 동결 전 추후 면역치료의 목적에 맞게 특정 면역세포로의 활성화 배양단계를 거친 후 동결보존을 실시하고 있지만, 말초혈액단핵구의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대로 여러 종류의 면역세포를 함유하고 있어 만일 활성화 이전에 동결보존을 안전하게 한다면 차후 말초혈액 단핵구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면역세포를 이용하여 면역세포치료를 하고자 할 때 융해하여 치료의 목적에 맞는 특정 면역세포로 성숙,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로써 동결보존 전의 고가의 싸이토카인 등이 필요로 하는 배양단계를 없애고, 추후 면역치료에 필요할 때 필요로 하는 세포의 특성에 맞게 활성화시킬 수 있어 2종, 3종 이상의 다른 종류의 면역세포로 증식, 성숙화 및 활성화시킨 다종의 면역세포치료제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비해 고농도로 말초혈액단핵구를 장기간 동안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방법에 비하여 면역세포치료제로 사용하기 위한 충분한 수의 세포를 세포 대부분의 활성을 유지하면서 장기간 동안 냉동 보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농도(1mL당 세포수 108개 이상)의 말초혈액 단핵구를 실제 환자 치료를 위해 안정되게 냉동보존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말초혈액 단핵구를 분리하는 제1단계와, 상기 단핵구를 일정 기간 냉동한 후 보존하는 제2단계, 그리고 상기 냉동보존된 단핵구를 융해, 복원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말초혈액 단핵구의 보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5~15중량%의 DMSO, 1~20중량%의 펜타스타치(pentastarch), 1~20중량%의 알부민(albumin), 0.1~1중량%의 글루코오즈, 0.01~0.1중량%의 EDTA 및 나머지의 무혈청배지로 조합되는 동결보존배지에 말초혈액 단핵구를 현탁하여 동결하여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말초혈액 단핵구를 상기 조성의 동결보존배지에 현탁하여 동결하여 보존함에 있어서는 온도를 -40℃까지 1℃/min의 속도로 떨어뜨리고 이후 -100℃까지는 10℃/min으로 떨어뜨린 후 액체질소탱크에서 -190~196℃로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 각 경우에 있어서, 말초혈액 단핵구를 상기 조성의 동결보존배지에 현탁하여 동결하여 보존함에 있어서는 보존되는 단핵구의 농도가 1×108 내지 1×1010 세포/mL의 농도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보존된 말초혈액단핵구는 이후 적절한 환경 내에서 공지의 방법에 따른 분화 배양을 통해 미성숙 수지상 세포와 성숙 수지상 세포 및 활성화 림프구(lymphocyte)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미성숙 수지상세포는 해당 항원 포식능을 가지며 성숙 수지상세포 및 활성화 림프구는 항암, 항바이러스의 효과를 가지게 된다.
상기 제1단계는 말초혈액 단핵구를 분리하는 단계로서 종래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한다. 채혈방법으로서는 질환 또는 건강한 상태 때의 자신의 말초혈액을 팔의 정맥에서 채혈을 하여 단핵구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단핵구를 함유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도 재료로 할 수 있다. 채혈량으로서는 0.001ml 내지 500ml 정도의 말초혈액이 좋다. 채혈한 말초혈액에는 응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헤파린, EDTA 또는 구 연산을 첨가할 수 있다. 채취한 말초혈액에서 단핵구를 분리하고 단핵구의 생존율을 측정하고,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단핵구의 표현형을 검사한 후 단핵구의 동결을 실시한다.
제2단계는 제1단계에서 분리한 말초혈액 단핵구를 일정 기간 냉동보존하는 동결 단계를 말한다. 보존하는 단핵구는 그 세포의 농도에 따라서 세포 보존액에 현탁하는 밀도를 적당히 선택할 수 있는데 1×108개/ml~1×1010개/ml 밀도에서 보존액 안에 현탁하고 동결 보존한다. 종래 방법에 따를 경우 1×108개/ml 이상의 고농도로 냉동보존하면 해동 후 세포의 생존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위와 같은 밀도에서 최적의 상태로 세포를 보존하는 게 가능해진다. 동결보존액의 양은 0.1ml~1000ml의 범위로 사용할 수 있다. 제조된 동결 보존액은 제조 후 사용 시까지 냉장고(4°C) 혹은 냉동고(-20°C 혹은 -70°C)에 보존할 수 있다. 동결 세포가 보존될 동결 튜브는 시판 중인 세포 동결 튜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동결 백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 크기는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동결하는 세포의 수는, 각 동결 튜브당 1×108~1×1010개가 적당하며 동결하는 튜브의 수는 채혈량에 따라 달라지며 1~1000개의 단위 수까지 보존 가능하고, 사용 시에 이것을 해동, 융해하고 복원한다. 한편, 동결의 경우에서는 자동동결시스템(controlled rate freezing system)을 사용해본 결과 세포의 안정성과 증식효율 면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상기 자동동결시스템은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동동결시스템에서 질소탱크로 옮길 때는 cane이나 동결튜브상자를 포함하여 질소탱크에 들어갈 수 있는 어느 물건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냉동보존 단계의 말초혈액 단핵구를 융해, 복원하는 공지의 단계를 말하는데 냉동보존된 상기의 단핵구를 37℃에서 융해 후 배양 배지에 현탁한 후 융해하여 생존율을 측정하고, 분리 배양을 통한 단핵구 및 림프구의 활성도를 측정하여 면역세포치료제로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37℃에서의 융해을 위해 heat block이나 항온조(water bath)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배지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세포배양용 무혈청동물배지를 사용하였다.
한편 위에서 말초혈액 단핵구를 현탁한 동결보존배지의 온도를 -40℃까지 1℃/min의 속도로 떨어뜨리고 이후 -100℃까지는 10℃/min으로 떨어뜨리는 것은 기존에 나와 있는 자동동결시스템(controlled rate freezing system)을 통해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에서는 IceCube Series 15x 자동동결시스템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위와 같은 속도와 방법으로 온도를 조절하는 것은 세포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서, 발명자들의 실험에 의해 밝혀진 사항이다.
또한 위에서 단핵구의 농도는 동결보존배지를 첨가하는 양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동결보존배지에 첨가되는 무혈청배지는 어떤 것이라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로써 DMEM, RPMI-1640, medium 199, IMDM, AIM-V 등의 무혈청배지 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면역세포치료제로 사용하기 위해 정상인, 암질환 완치 판정자, 초기 암환자 등에서 분리된 말초혈액 단핵구를 고농도로 적절한 동결보존배지에 현탁 후 안정하게 온도를 떨어뜨린 후 최종 액체질소 탱크 내에서 장기간 냉동보관함으로써 고농도로 말초혈액단핵구를 장기간 동안 보존할 수 있게 되므로, 이후 본인에게 암 질환이 발병하거나 재발하였을 때 냉동 보관하고 있던 상기의 세포를 융해 후 안정하게 증식, 활성화시켜 면역세포치료제로 제조하여 해당 암 질환의 면역치료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험예와 함께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면역세포치료제로 사용하기 위한 말초혈액 단핵구의 장기보관 처리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실험예를 설명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채혈 및 단핵구 분리
사람의 정맥으로부터 말초혈액을 10ml~500ml을 채혈하고 무균상태에서 혈액 을 뽑아내었다. 이때, 채혈 용기로는 헤파린 또는 EDTA와 같은 항응고제가 포함된 채혈 튜브(tube) 또는 백(bag)을 이용하였다. 일차로 백혈구 세포층을 분리한 후 50ml 튜브에 넣고 동량의 인산염 완충용액(PBS)을 첨가하여 희석하였다. 희석한 혈액을 Histopaque-1077 용액 위에 1:2∼1:4의 비율이 되도록 서서히 올려주고 400 ×g, 상온 조건하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한 후 단핵구를 분리하였다. 그런 다음 적당량의 인산염 완충용액으로 3회 원심세척하였다. 마지막 원심세척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인산염 완충용액으로 단핵구 침전물을 잘 부유시켜 trypan blue 용액을 이용하여 단핵구수를 측정한 결과, 총 세포개수는 1×108개 이상이었다.
실시예 2. 말초혈액 단핵구의 냉동보존
상기 1단계에서 얻은 말초혈액 단핵구 혼합액을 원심분리한 후 각각의 상기 인산염 완충용액을 제거하고 말초혈액 단핵구 침전물을 얻었다. 상기 단핵구를 세포보존액[5~15중량% DMSO, 1~20중량% pentastarch, 1~20중량% albumin, 0.1~1중량% 글루코오즈, 0.01~0.1% EDTA, 나머지 무혈청배지인 medium 199를 조합하여 함유하는 동결보존배지]과 잘 혼합한 후 배양 조건별로 1.8ml의 세포 보존용 튜브에 각각 1.0ml씩 분주하였다. 그런 다음 전술한 자동동결시스템을 이용하여 동결 튜브의 온도를 -40℃까지 1℃/min으로 떨어뜨리고 -100℃까지 10℃/min으로 떨어뜨린 후 질소탱크에 옮겨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3. 냉동보존 말초혈액단핵구의 융해, 검사
보관 70일 후, 상기 실시예 2에서 냉동보존해둔 튜브를 1개 꺼내 37℃ 항온조 (water bath)에서 약 1~4분간 해동하고 냉동보존 단핵구의 융해, 복원을 시행하였다. 원심분리용 튜브 안에 배지 8~11mL과 융해한 냉동보존 단핵구를 포함한 세포보존액 약 1ml을 넣어 현탁시켰다. 세포보존액을 제거하기 위하여 배양배지를 이용하여 3회 원심세척하고 상기의 배양배지 40mL로 현탁하였다. 상기 세포 현탁액 20μL를 trypan blue 용액 20uL와 혼합한 후 혈구 계산판에 옮긴 후 현미경 (올림푸스)하에서 살아있는 세포와 죽은 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일반적인 수동의 방법 (세포를 상기의 동결보존배지로 현탁한 후 isopropanol 박스에 담아 -70℃에서 하룻밤을 지내 후 최종 액체질소 탱크에 보존)으로 냉동보존한 세포의 융해 후 생존율은 68%였다. 반면 본 발명에 의해 냉동보존된 세포의 융해 후 생존율은 93%였다(도 1).
실시예 4. 냉동보존 말초혈액단핵구 배양
실시예 4는 상기 3단계에서 융해, 복원된 단핵구를 배양하여 면역세포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분화 배양 방법을 설명하는데 융해, 복원된 단핵구를 단구(monocyte)와 림프구(lymphocyte)로 나누어 배양하여 성숙 수지상세포와 활성화 림프구로 제조하기 위한 배양을 실시하였다. 일반적인 수동의 방법으로 냉동보존한 말초혈액단해구의 경우는 생존율이 낮아 활성 검사를 실시하지 못했다.
상기의 융해된 말초혈액 단핵구를 제 3단계에서 언급한 세포 배양용 배지에 현탁하여 바닥면적 75cm2인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고 37℃, 5% CO2 존재하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2시간 후, 플라스크 용기 내의 부유한 림프구 세포와 배양액을 수거하여 새로운 T75 cm2 플라스크 용기로 옮기고 500U/ml rhIL-2와 50ng/ml 항 CD3 항체를 첨가하였다. 또한, 원래의 플라스크 바닥에 부착되어 있는 단구 (monocyte) 세포를 미성숙 수지상 세포로 분화 배양하기 위하여 제 3단계에서 언급한 세포 배양용 배지에 1000U/ml rhGM-CSF, 1000U/ml rhIL-4를 첨가하여 만든 현탁액을 플라스크에 넣고 새로운 플라스크와 함께 37℃, 5% CO2 존재하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5. 미성숙 수지상세포 배양
상기 바닥에 부착된 단구세포의 배양을 통해 미성숙 수지상세포로 분화 배양을 실시하였다. 배양 3일째 1000U/ml rhGM-CSF, 1000U/ml rhIL-4를 추가로 첨가한 후 배양 6일째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세포성상을 관찰하였다. 동결하지 않은 말초혈액단핵구에서 분리 후 6일 동안 분화 배양된 미성숙 수지상세포의 성상(도 3a)과 상기의 방법으로 융해된 말초혈액 단핵구에서 분리 후 6일 동안 분화 배양된 미성숙 수지상세포의 성상(도 3b)에 별 차이가 없이 모두 덴드라이트가 발달되어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동결하지 않은 말초혈액단핵구에서 단구세포를 분리하여 6일 동안 미성숙 수지상세포로 분화배양한 후 유세포 분석기를 통해 세포의 표면항원을 분석한 결과와(도 4a) 상기방법으로 융해된 말초혈액단핵구에서 분리한 단구세포를 6일 동안 미성숙 수지상세포로 분화 배양 후 유세포 분석기로 세포의 표면항원을 분석한 결과(도 4b)를 비교했을 때 그 표현형의 차이가 동결 전후 별 차이가 없었다. 또한 덱스트란을 이용하여 미성숙 수지상세포의 항원 포식능을 확인한 결과 동결 전후 모두 세포의 항원 포식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도 5a, 5b).
실시예 6. 성숙 수지상세포의 배양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6일 동안 배양된 미성숙 수지상세포를 무혈청배지에 1×106cells/ml이 되도록 현탁한 후 종양항원 단백질 50ug/ml을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배양 4시간 후 성숙유도인자인 10ng/ml의 TNF-a, 10ng/ml의 IL-1b, 1000u/ml의 IL-6, 1ug/ml의 PGE2를 첨가하여 37℃, 5% CO2 존재하에서 48시간 동안 배양 하였다. 동결하지 않은 말초혈액에서 유래한 성숙 수지상세포의 표면항원 분석 결과(도 6a)와 상기의 융해한 말초혈액에서 유래한 성숙 수지상세포의 표면항원 분석 결과(도 6b)를 분석한 결과를 비교했을 때 동결하지 않은 세포와 동결 후의 세포 표현형 모두에서 CD80, CD83, CD86 등 성숙인자 발현이 증가한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동종의 T세포와 성숙한 수지상세포와의 혼합배양 후, 수지상세포에 의해 자극을 받은 T 세포의 증식능을 관찰한 결과, 동결 전 후 모두 성숙한 수지상세포에 의해 T세포 증식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7a, b).
실시예 7. 활성화림프구 배양
상기 실시예 4에서 분리한 림프구를 1000U/ml IFN-γ와 사람혈청이 포함된 세포배양 배지에서 1일 배양 후 500U/ml rhIL-2와 50 ng/ml 항 CD3 항체를 첨가하였다. 배양기간 2-3일 간격으로 인터루킨 2가 포함된 배지를 첨가했으며 활성화 림프구의 과밀도 현상을 막기 위하여 플라스크 용기의 크기 및 개수를 늘리면서 37℃, 5% CO2 존재 하에서 21일 동안 배양함으로써 활성화 림프구 5.0×108-5.0×1010개를 얻었다. 도 9는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배양 21일째의 활성화 림프구의 표면항원을 조사한 결과인데 동결 전후의 세포 표면항원의 비율에 별 차이 없었으며 상기의 융해한 말초혈액단핵구 유래 림프구의 경우 활성화림프구의 대표적인 표면항원인 CD3, CD56[살해세포(killer cell)표지자], NKG2D(살해세포 (killer cell) 표지자)의 발현이 동결하지 않고 배양한 림프구와 별 차이 없이 발현한 것을 확인 하였다. 특히 림프구 중 배양 21일째에 항암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는 살해세포의 표지자인 CD3음성 CD56양성 림프구, CD56양성 NKG2D양성 림프구가 동결 전후 관계없이 각각 54-64%, 68-71% 및 55-61%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항암치료제로 사용할 시 우수한 항암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유추해 볼 때, 대용량의 말초혈액단핵구의 장기간 냉동보존상태가 활성화림프구의 활성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사람의 말초혈액단핵구를 본 발명에 따라 동결튜브당 고농도로 안정하게 장기간 냉동보관 후 융해했을 때, 종전의 냉동보존법에 비하여 탁월한 세포생존율을 보였다. 그리고 상기 냉동보존방법을 통해서 얻은 수지상세포 및 림프구의 면역세포치료제로서의 기능성을 측정했을 때, 신선한 대조군과 동등한 수치를 보였다. 이를 근거로, 본 발명은 말초혈액단핵구를 동결튜브당 고농도로 안정하게 장기간 냉동보관 후 본인이 암 질환이 발병 혹은 재발하였을 때 면역세포치료제로 효율적으로 제조하여 해당 암 질환의 면역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효과적으로 시행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동 동결방법과 본 발명에 따라 냉동 보존한 말초혈액단핵구의 융해 후 생존율을 나타낸 것이고,
삭제
삭제
도 3a는 대조군으로서 냉동하지 않은 말초혈액단핵구에서 분리하여 배양을 통해 얻어진 미성숙 수지상세포의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냉동 보존 후 융해한 말초혈액단핵구에서 분리하여 배양을 통해 얻어진 미성숙 수지상세포의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 것이고,
도 4a는 대조군으로서 냉동하지 않은 말초혈액단핵구에서 분리하여 배양을 통해 얻어진 미성숙 수지상세포의 표면항원 발현양상을 유세포형광분석기로 분석한 결과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라 냉동 보존 후 융해한 말초혈액단핵구에서 분리하여 배양을 통해 얻어진 미성숙 수지상세포의 표면항원 발현양상을 유세포형광분석기로 분석한 결과이고,
도 5a는 대조군으로서 냉동하지 않은 말초혈액단핵구에서 분리하여 배양을 통해 얻어진 미성숙 수지상세포의 항원 포식능 여부를 분석한 결과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라 냉동 보존 후 융해한 말초혈액단핵구에서 분리하여 배양을 통해 얻어진 미성숙 수지상세포의 항원 포식능 여부를 분석한 결과이고,
도 6a는 대조군으로서 냉동하지 않은 말초혈액단핵구에서 분리하여 배양을 통해 얻어진 미성숙 수지상세포를 성숙 배양시켜 얻은 성숙 수지상세포의 표면항원 발현양상을 유세포형광분석기로 분석한 결과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라 냉동 보존 후 융해한 말초혈액단핵구에서 분리하여 배양을 통해 얻어진 미성숙 수지상세포를 성숙 배양시켜 얻은 성숙 수지상세포의 표면항원 발현양상을 유세포형광분석기로 분석한 결과이고,
도 7a는 대조군으로서 냉동하지 않은 말초혈액단핵구에서 분리하여 배양을 통해 얻어진 미성숙 수지상세포를 성숙 배양 시켜 얻은 성숙 수지상세포에 의한 티세포 (T cell)의 증식 유도여부를 분석한 결과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라 냉동 보존 후 융해한 말초혈액단핵구에서 분리하여 배양을 통해 얻어진 미성숙 수지상세포를 성숙 배양시켜 얻은 성숙 수지상세포에 의한 티세포 (T cell)의 증식 유도여부를 분석한 결과이고,
삭제
도9a는 대조군으로서 냉동하지 않은 말초혈액단핵구에서 분리하여 21일간 배 양을 통해 얻어진 림프구의 표면항원을 분석한 결과이고,
도9b는 본 발명에 따라 냉동 보존 후 융해한 말초혈액단핵구에서 분리하여 21일간 배양을 통해 얻어진 림프구의 표면항원을 분석한 결과이다.

Claims (3)

  1. 말초혈액단핵구를 분리하는 제1단계와, 상기 단핵구를 일정 기간 냉동한 후 보존하는 제2단계, 그리고 상기 냉동보존된 단핵구를 융해, 복원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말초혈액단핵구의 보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5~15중량%의 DMSO, 1~20중량%의 펜타스타치(pentastarch), 1~20중량%의 알부민(albumin), 0.1~1중량%의 글루코오즈, 0.01~0.1중량%의 EDTA 및 나머지의 무혈청배지로 조합되는 동결보존배지에 말초혈액단핵구를 현탁하고 동결하여 보존하되, 동결배지 1ml에 단핵구 1×108 내지 1×1010의 세포수를 현탁한 후 1.8mL의 세포 보존용 튜브에 넣어 동결한 다음, 온도를 -40℃까지 1℃/min의 속도로 떨어뜨리고 이후 -100℃까지는 10℃/min으로 떨어뜨린 후 액체질소탱크에서 -190~196℃로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말초혈액단핵구의 항암 치료제 제조를 위한 장기간 냉동 보존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070126060A 2007-12-06 2007-12-06 고농도 말초혈액단핵구의 항암 치료제 제조를 위한 장기간 냉동 보존 방법 KR100953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060A KR100953400B1 (ko) 2007-12-06 2007-12-06 고농도 말초혈액단핵구의 항암 치료제 제조를 위한 장기간 냉동 보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060A KR100953400B1 (ko) 2007-12-06 2007-12-06 고농도 말초혈액단핵구의 항암 치료제 제조를 위한 장기간 냉동 보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289A KR20090059289A (ko) 2009-06-11
KR100953400B1 true KR100953400B1 (ko) 2010-04-20

Family

ID=40989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060A KR100953400B1 (ko) 2007-12-06 2007-12-06 고농도 말초혈액단핵구의 항암 치료제 제조를 위한 장기간 냉동 보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4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6076428A1 (ja) * 2014-11-14 2017-08-24 日本赤十字社 臍帯血および末梢血の凍結保存方法および凍結保存用溶液
TWI829209B (zh) * 2022-06-24 2024-01-11 麗寶生醫股份有限公司 用於製造成熟樹突細胞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19282B (zh) * 2015-02-13 2017-01-11 广州赛莱拉干细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外周血单个核细胞无血清冻存液及冻存方法
CN106727699A (zh) * 2015-11-18 2017-05-31 上海莱馥生命科学技术有限公司 用于免疫治疗的制剂及其制备方法
CN107771781A (zh) * 2016-08-30 2018-03-09 天津市康婷生物工程有限公司 免疫细胞高活率冻存方法
CN109744226A (zh) * 2018-12-30 2019-05-14 深圳光彩生命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免疫细胞冻存液
CN109864064A (zh) * 2019-02-19 2019-06-11 武汉普诺赛生命科技有限公司 一种免疫细胞冻存液及免疫细胞冻存方法
CN110447636A (zh) * 2019-08-07 2019-11-15 广东万海细胞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外周血单个核细胞的冻存液、冻存方法及复苏方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 Blood*
논문2; ASH Annual Meeting Abstracts*
논문3; Electric Journal of Oncology*
논문4;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6076428A1 (ja) * 2014-11-14 2017-08-24 日本赤十字社 臍帯血および末梢血の凍結保存方法および凍結保存用溶液
TWI829209B (zh) * 2022-06-24 2024-01-11 麗寶生醫股份有限公司 用於製造成熟樹突細胞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289A (ko) 200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400B1 (ko) 고농도 말초혈액단핵구의 항암 치료제 제조를 위한 장기간 냉동 보존 방법
KR100943087B1 (ko) 면역치료용 활성화 림프구 제조방법
US7112576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ryopreservation of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KR101909879B1 (ko) 자연살해세포의 증식 방법 및 자연살해세포 증식용 조성물
CN105076116B (zh) 一种细胞冻存液及其应用与巨核祖细胞的冻存方法
KR101518409B1 (ko) 단핵세포 증량 방법
CN109536446B (zh) 单核细胞增殖剂、单核细胞增殖用培养基、及单核细胞的制造方法
CN110099998A (zh) 冷冻保存的肿瘤浸润淋巴细胞的再刺激
Yuan et al. Cryopreservation of human mesenchymal stromal cells expressing TRAIL for human anti-cancer therapy
JP6073417B2 (ja) 自然殺害細胞増殖方法、及び自然殺害細胞増殖用の組成物
KR101144196B1 (ko) 종양 치료를 위한 시험관내 부분 성숙된 수지상 세포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080063406A (ko) 태반 줄기세포를 이용한 면역 조절
JP6142142B2 (ja) メモリーt細胞を主成分とするリンパ球細胞群の製造方法
CN108379569B (zh) 高效荷载肿瘤抗原的dc疫苗及其诱导扩增肿瘤抗原特异性ctl的方法
JP2018520676A (ja) 治療目的のための細胞の凍結保存方法
WO2020044538A1 (ja) ヒトリンパ球細胞培養用無血清培地
CN112806354A (zh) 一种免疫细胞冻存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210238549A1 (en) Use of memory lymphocyte population in liver cancer treatment
CN110520138A (zh) 从华顿氏胶获得的用于治疗脓毒症的间充质干细胞
CN105963699A (zh) Fats作为黑色素瘤免疫治疗的靶点及应用
WO2021213446A1 (zh) 生物样品低温储存
CN109666638A (zh) 将外周血单个核细胞诱导为cik的试剂及其所用组合物
KR100569609B1 (ko) 세포면역치료제의 제조를 위한 림프구 장기 보관 방법
Lundell et al. Clinical scale expansion of cryopreserved small volume whole bone marrow aspirates produces sufficient cells for clinical use
KR20210148197A (ko) 면역 세포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