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187B1 -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 - Google Patents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187B1
KR100949187B1 KR1020090078873A KR20090078873A KR100949187B1 KR 100949187 B1 KR100949187 B1 KR 100949187B1 KR 1020090078873 A KR1020090078873 A KR 1020090078873A KR 20090078873 A KR20090078873 A KR 20090078873A KR 100949187 B1 KR100949187 B1 KR 100949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th
wire cable
flexible
conducto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승에스티
안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승에스티, 안형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승에스티
Priority to KR1020090078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1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6Extensible conductors or cables, e.g. self-coiling co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extensible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09Details relating to the conductive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전선 케이블을 필요시에 일정 길이만큼 길어지도록 하여 전선 케이블의 사용이 편리하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로 노출되는 피복의 외관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은, 수축과 팽창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피복(10)과; 상기 피복의 내부에 삽입되는 유연성 있는 도선(20)을 포함하고, 상기 피복을 외력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인장한 상태에서 상기 도선을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피복에 형성된 고정부에 고정한 후 상기 피복에서 외력을 해제하여 수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선이 상기 고정부 사이에서 구부러져 신축 가능한 여유 길이를 갖도록 제조된다.
전선 케이블, 신축, 피복, 도선

Description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FLEXIBLE ELECTRIC CABLE}
본 발명은 전선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 케이블을 필요시에 일정 길이만큼 길어지도록 하여 전선 케이블의 사용이 편리하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로 노출되는 피복의 외관을 보기 좋게 할 수 있는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 전선 케이블은 도체를 내심부로 형성하고 그 표면을 피복하여 내심부를 보호하도록 하며, 상기 내심부로 사용되는 도선은 자체적인 탄성이 없는 비철금속 물질(구리, 동, 은 등을 포함)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케이블이 신축/복원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상기한 내심부의 전선을 연선화한 후 비닐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재질을 이용하여 코일형태로 피복하는 것으로, 일반 유선 전화기의 코일형 케이블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상기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케이블의 경우 노출된 공간에서의 신축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상기 신축작용이 반복되면 케이블이 늘어져서 깔끔하게 정리되지 않 아 미관상으로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에 불편함을 주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립과 분리를 반복하여 사용하는 접이식 파이프에 상기한 방법에 의한 코일형 케이블을 적용하면, 사용이 반복됨에 따라 케이블이 점차 늘어져 파이프의 마디를 재조립시 상기 마디와 마디 사이에 케이블이 끼어 파이프 내부로 깔끔하게 복원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선 케이블을 필요시에 일정 길이만큼 길어지도록 하여 전선 케이블의 사용이 편리하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로 노출되는 피복을 코일 형태로 하지 않고 종래 피복과 동일 내지 유사한 형태로 구성하는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은, 수축과 팽창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피복과; 상기 피복의 내부에 삽입되는 유연성 있는 도선을 포함하고, 상기 피복을 외력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인장한 상태에서 상기 도선을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피복에 형성된 고정부에 고정한 후 상기 피복에서 외력을 해제하여 수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선이 상기 고정부 사이에서 구부러져 신축 가능한 여유 길이를 갖도록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에 의하면, 전선 케이블에 외력이 가해지면 피복이 팽창함과 함께 도선이 펼쳐지게 되어 전선 케이블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게 되므로 전선 케이블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피복이 코일 형태로 감기지 않은 상태이므로 시각적인 불쾌감을 주지 않기 때문에 제품가치를 높일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100)은, 수축과 팽창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피복(10) 및 피복(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유연성 있는 도선(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100)은 자체 탄성력과 유연성을 통해 신축됨으로써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A) 상태에서 도선(20)은 신축이 가능하도록 즉 길이가 길어질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사행형상으로 구부러진 형태이며, 여기서 길이방향을 따라 인장력이 가 해지면 (B) 상태처럼 피복(10)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신축되는 한편 도선(20)은 펼쳐지게 되어 전선 케이블(100)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피복(10)이 종래 전선 케이블의 피복과 동일한 외형을 보여줌으로써 즉 코일 형태로 감기지 않고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불쾌감을 주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의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피복(10)은 수축과 팽창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외력이 가해지면 팽창하고 외력이 없어지면 수축하여 원상태로 복원한다.
도선(20)은 전술한 것처럼, 외력이 가해지면 길이가 길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는데, 전기를 도통하는 특성상 피복(10)처럼 수축과 팽창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어려울 것이므로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설치된다(도 3참조).
피복(10)을 펼친 후 길이방향(도면 기준 좌우 양측)의 양측 중 일측 이상을 잡아당겨 인장한다.
인장된 상태의 피복(10)의 일면(완제품을 기준으로 할 때 내부면)에 도선(20)을 배선한다.
도선(20)의 배선을 위하여 피복(10)의 일면에는 피복(10)의 재질로 형성된 고정부(11)가 형성된다.
고정부(11)는 도선(20)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구비되며 피복(10)의 내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는 구조이다. 고정부(11)는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처럼 하부가 개방된 형태의 핀으로서 도선(20)을 덮으면서 피복(10)에 박혀 도선(20)을 고정할 수 있다.
도선(20)을 고정부(11)에 관통시켜 1회 이상 감아 고정하는 방식으로 피복(10)에 배선한다.
이때 피복(10)은 구부러짐 없이 인장된 상태이고 도선(20)은 피복(10)의 일면에 구부러짐 없는 상태이다.
피복(10)에 가해지고 있는 인장력을 해제하면 피복(10)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최초의 상태로 수축 복원하여 길이가 짧아지게 되며, 피복(10)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도선(20)도 길이가 짧아져야 하는데 도선(20)은 피복(10)처럼 수축과 팽창이 가능한 탄성 재질이 아니기 때문에 고정부(11) 사이에 있는 부분이 구부러짐으로써 길이가 짧아진다. 물론, 도선(20)은 이와 같이 구부러질 때 단선이 이루어지지 않는 유연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도선(20)의 구부러진 부분은 외력이 가해질 경우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는 여유 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피복(10)과 도선(20)의 구조적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피복(10)은 도선(20)을 보호할 수 있도록 도선(20)을 감싸는 형태이며, 예를 들어 원통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것처럼 피복(10)과 도선(20)을 조립할 수 있도록 피복(10)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방되어 양측의 자유단부가 마주하는 원통형을 유지하도록 탄성 변형된 상태일 수 있다.
즉, 도 4에서 (A) 상태가 초기 상태이며 (B) 상태가 외력에 의해 펼쳐진 상 태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피복(10)은 별도의 고정수단없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형으로 감겨 도선(2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도선(20)을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피복(10)의 마주하는 양측의 자유단부가 서로 결합되지 않는다면 외력에 의해 벌어질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수밀처리가 없으면 습기가 있는 곳에 배선된 경우 외부로부터 습기가 침투할 것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5a와 같이, 피복(10)의 마주하는 단부에는 체결돌기(12)와 체결홈(13)이 형성된다.
체결돌기(12)와 체결홈(13)은 피복(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되거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으며, 차수를 고려한다면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돌기(12)와 체결홈(13)은 고정수단의 일예인 것일 뿐이며, 피복(10)을 폐루프 형태로 유지할 수 있는 모든 구성이 가능하다.
도 5b는 피복(10)의 자유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피복(10)의 마주하는 양측의 자유단부에는 서로 겹쳐지는 돌출부(14,15)가 형성된다. 돌출부(14,15)가 서로 겹쳐짐으로써 피복(10)의 자유단부에는 외부로부터 침입을 막는 차단턱이 형성되어 이물질과 수분의 침투를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100)은 제조된 상태에서는 도 1 및 도 2의 (A)의 형태를 유지한다. 즉, 도선(20)은 피복(10)의 고정부(11) 사이에서 구부러져 있다. 이때, 도선(20)이 구부러져 있더라도 도선(20)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시각적인 불쾌감을 일으키지 않는다.
전선 케이블(100)을 사용할 때 전선 케이블(100)을 길이방향을 따라 잡아당기면 도 2의 (B)와 같이 피복(10)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늘어나게 되고, 도선(20)은 구부러진 부분이 펼쳐지게 되어 피복(10)의 신축을 방해하지 않는다.
즉, 도선(20)에 의한 도통에 오동작이 없으면서 전선 케이블(100)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2>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100)은, 평상시 판상을 유지하며 별도의 결속밴드(30)를 통해 도선(20)을 보호할 수 있는 폐루프 형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결속밴드(30)는 피복(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르게는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결속밴드(30)와 별개로 전술한 체결돌기(12)와 체결홈(13)이 적용될 수도 있다.
결속밴드(30)는 피복(10)을 감싸면서 자유단부가 매듭되거나 접착되어 마감될 수 있고 또는 테이프 형태로서 피복(10)의 개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될 수도 있다.
<실시예 3>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에에 의한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100)은, 피복(10)이 주름관 형태인 것이다.
주름관은 절첩이 가능한 유연성 있는 재질로서, 절첩에 의해 길이를 조절한다.
도선(20)의 배선은 전술한 실시예 1,2와 동일하다.
<실시예 4>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100)은, 고정부(11)에 2개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2개의 도선(20)이 독립적으로 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고정부(11)의 관통홀은 다수개가 형성되어 다수의 도선(20)이 배선되는 경우 모든 도선(20)은 서로 접촉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배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의 작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의 제조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에 적용된 피복의 예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에 적용된 고정수단의 예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의 자유단부의 다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피복, 11 : 고정부
12 : 체결돌기, 13 : 체결홈
20 : 도선, 30 : 결속밴드

Claims (9)

  1. 삭제
  2. 수축과 팽창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피복(10)과;
    상기 피복의 내부에 삽입되는 유연성 있는 도선(20)을 포함하고,
    상기 피복을 외력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인장한 상태에서 상기 도선을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피복에 형성된 고정부(11)에 고정한 후 상기 피복에서 외력을 해제하여 수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선이 상기 고정부 사이에서 구부러져 신축 가능한 여유 길이를 갖도록 제조하며,
    상기 피복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방되어 양측의 자유단부가 마주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
  3. 수축과 팽창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피복(10)과;
    상기 피복의 내부에 삽입되는 유연성 있는 도선(20)을 포함하고,
    상기 피복을 외력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인장한 상태에서 상기 도선을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피복에 형성된 고정부(11)에 고정한 후 상기 피복에서 외력을 해제하여 수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도선이 상기 고정부 사이에서 구부러져 신축 가능한 여유 길이를 갖도록 제조하며,
    상기 피복은 판재이며 상기 도선을 감싸도록 원형으로 감기면서, 다수의 결속밴드(30)를 통해 원형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
  4. 삭제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도선이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구비되며 상기 피복의 내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도선은 상기 관통홀에 1회 이상 감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피복에 체결되어 상기 도선을 상기 피복에 고정하는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피복의 마주하는 단부를 서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피복의 마주하는 단부에 각각 대응 형성되는 체결돌기(12)와 체결홈(13)을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
  9.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피복의 마주하는 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서로 겹쳐져 차단턱을 형성하는 돌출부(14,15)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
KR1020090078873A 2009-08-25 2009-08-25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 KR100949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873A KR100949187B1 (ko) 2009-08-25 2009-08-25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873A KR100949187B1 (ko) 2009-08-25 2009-08-25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9187B1 true KR100949187B1 (ko) 2010-03-23

Family

ID=42183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873A KR100949187B1 (ko) 2009-08-25 2009-08-25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1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5555A (ko) * 2015-02-20 2017-09-19 내셔날 인스티튜트 오브 어드밴스드 인더스트리얼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고신축성 배선 및 그 제조방법,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3420U (ja) * 1991-11-12 1993-06-11 日本電気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カールコード
JPH10312716A (ja) 1997-05-13 1998-11-24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の長さ調整構造および調整方法
KR20020034790A (ko) * 2000-11-03 2002-05-09 마기형 가요성 전선관 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일체형 가요성 전선관
KR20040058536A (ko) * 2002-12-27 2004-07-05 윤현선 길이조절이 가능한 와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3420U (ja) * 1991-11-12 1993-06-11 日本電気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カールコード
JPH10312716A (ja) 1997-05-13 1998-11-24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の長さ調整構造および調整方法
KR20020034790A (ko) * 2000-11-03 2002-05-09 마기형 가요성 전선관 및 이를 이용한 와이어 일체형 가요성 전선관
KR20040058536A (ko) * 2002-12-27 2004-07-05 윤현선 길이조절이 가능한 와이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5555A (ko) * 2015-02-20 2017-09-19 내셔날 인스티튜트 오브 어드밴스드 인더스트리얼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고신축성 배선 및 그 제조방법, 제조장치
KR101888325B1 (ko) 2015-02-20 2018-08-13 내셔날 인스티튜트 오브 어드밴스드 인더스트리얼 사이언스 앤드 테크놀로지 고신축성 배선 및 그 제조방법,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5119B2 (en) Choke-proof electrical cords
CA2375639C (en) An extendible, coilable member
US20120121120A1 (en) Non-entangling electrical cables
JP2002044827A (ja) 電線保護ケーシングおよび引込みクランプ
JP6641575B2 (ja) 導電路とシールド部材とのズレ防止構造、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100949187B1 (ko)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
KR20170048874A (ko)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
JP2002374612A (ja) グロメット
JP6947564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KR101282882B1 (ko)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
KR100751806B1 (ko)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
JP2008306787A (ja) 電線保護構造
JP2008149871A (ja) フラットハーネス用保護材およびフラットハーネス
JP5551637B2 (ja) 電気配線の保護カバーと保護カバーの取付け方法
JP5222476B2 (ja) ケーブル防護管
KR101067703B1 (ko) 신축가능한 와이어
US20180337520A1 (en) Flexible cover for wires or cables
JP2002354634A (ja) グロメットの電線配索構造およびその電線配索方法
JP3585521B2 (ja) ワイヤハーネス
KR200411793Y1 (ko)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
KR200405977Y1 (ko) 와이어 하네스 분기용 유동방지구조
JP7255112B2 (ja) 配線材の結束構造
JP2003139968A (ja) 光ファイバコード固定装置及びその結束固定方法
US11796745B2 (en) Cable anchoring
JPH0783534B2 (ja) プロテ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