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1806B1 -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 - Google Patents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1806B1
KR100751806B1 KR1020050124251A KR20050124251A KR100751806B1 KR 100751806 B1 KR100751806 B1 KR 100751806B1 KR 1020050124251 A KR1020050124251 A KR 1020050124251A KR 20050124251 A KR20050124251 A KR 20050124251A KR 100751806 B1 KR100751806 B1 KR 100751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inner core
elasticity
core portion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4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3909A (ko
Inventor
엄현덕
Original Assignee
엄현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현덕 filed Critical 엄현덕
Priority to KR1020050124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806B1/ko
Publication of KR20070063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3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4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fibrous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09Details relating to the conductive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6Extensible conductors or cables, e.g. self-coiling co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장성과 복원성을 요하는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케이블이 신축/복원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전선을 연선화한 후 비닐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재질을 이용하여 코일형태로 피복하는 것으로, 상기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케이블의 경우 노출된 공간에서의 신축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상기 신축작용이 반복되면서 케이블이 늘어지고 정리가 잘 되지 않는 등 사용에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블이 복원성 및 탄력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탄성체로 구성하는 내심부와, 상기 내심부를 소정형상의 직물로 감싸는 제 1 외피와, 상기 제 1 외피 외부에 전도체를 코일형태로 감아 형성하는 전도체부, 및 상기 전도체부를 소정형상의 직물로 감싸는 제 2 외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체, 케이블, 신축

Description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ELASTIC CAB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의 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이 접이식 파이프에 적용된 실시예.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케이블 110 : 내심부
120 : 제 1 외피 130 : 전도체부
140 : 제 2 외피 200 : 파이프
본 발명은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장성 및 복원성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노출된 공간에서의 신축/복원은 물론, 조립과 분리가 반복되는 접이식 파이프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케이블 의 늘어짐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파이프 재조립시에 케이블이 마디간에 끼이지 않도록 하는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 케이블은 도체를 내심부로 형성하고 그 표면을 피복하여 내심부를 보호하도록 하며, 상기 내심부로 사용되는 전선은 자체적인 탄성이 없는 비철금속 물질(구리, 동, 은 등을 포함)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케이블이 신축/복원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상기한 내심부의 전선을 연선화한 후 비닐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재질을 이용하여 코일형태로 피복하는 것으로, 일반 유선 전화기의 코일형 케이블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상기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케이블의 경우 노출된 공간에서의 신축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상기 신축작용이 반복되면 케이블이 늘어져서 깔끔하게 정리되지 않아 미관상으로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에 불편함을 주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립과 분리를 반복하여 사용하는 접이식 파이프에 상기한 방법에 의한 코일형 케이블을 적용하면, 사용이 반복됨에 따라 케이블이 점차 늘어져 파이프의 마디를 재조립시 상기 마디와 마디 사이에 케이블이 끼어 파이프 내부로 깔끔하게 복원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발명은, 인장성 및 복원성을 갖도 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노출된 공간에서의 신축/복원은 물론, 조립과 분리가 반복되는 접이식 파이프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케이블의 늘어짐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파이프 재조립시에 케이블이 마디간에 끼이지 않도록 하는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의 내심부와 전도체부에 각각 소정형상의 외피를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마찰을 줄여 피복을 보호하고 케이블의 신축을 용이하게 하는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케이블(100)이 복원성 및 탄력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탄성체로 구성하는 내심부(110), 상기 내심부(110)를 소정형상의 직물로 감싸는 제 1 외피(120), 상기 제 1 외피(120) 외부에 전도체를 코일형태로 감아 형성하는 전도체부(130), 및 상기 전도체부(130)를 소정형상의 직물로 감싸는 제 2 외피(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내심부(110)는 고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한 가닥의 탄성채 또는 복수 가닥의 탄성채를 한 묶음으로 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도체부(130)는, 케이블(100)의 신축작용을 용이하게 하는 연선 또는 에나멜 연선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 1 외피(120) 및 제 2 외피(140)는, 나일론 재질의 섬유를 이용하여 메쉬(mesh : 그물, 망)형상으로 짠 직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의 투시도와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은 내심부(110)와 제 1 외피(120), 전도체부(130) 및 제 2 외피(140)를 포함한다. 상기 내심부(110)는 탄력성 및 복원성이 뛰어난 탄성체로 형성하고, 상기 내심부(110) 위에 제 1 외피(120)를 입혀 내심부(110)를 보호하도록 하며, 상기 제 1 외피(120)는 실을 메쉬(mesh: 그물, 망)형태로 짠 직물을 이용한다.
상기 내심부(110)는 한 가닥의 탄성체 또는 여러 가닥의 탄성체를 한 묶음으로 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용도에 따라 복원성 및 탄력성을 갖는 다양한 소재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 1 외피(120)는 나일론과 같이 표면이 미끄러운 재질의 섬유를 사용하여 상기 내심부(110)의 부식을 방지하고 전도체부(130)와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도체부(130)는 상기 내심부(110)를 감싼 제 1 외피(120) 위에 코일형태로 감아 상기 내심부(110) 및 제 1 외피(120)와 일체형상이 되도록 하며, 케이블(100)의 신축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연선 또는 에나멜 연선을 사용한다. 상기 전도체부(130)는 전기가 도통되면서 신축이 가능한 다른 도체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 2 외피(140)는 상기 제 1 외피(120)와 마찬가지로 표면이 미끄러운 재질의 섬유를 사용하여 외부로부터의 오염을 차단하고, 휨, 충격, 습도 등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전도체부(130)를 제 1 외피(120)에 감은 후, 그 표면을 감싸서 외부마찰에 의한 전도체부(130)의 피복 손상을 방지한다.
상기 제 1 외피(120)와 제 2 외피(140)를 구성하는 직물의 소재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언급하는 나일론과 같은 재질의 섬유를 사용하여, 케이블의 끊어짐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케이블(100)의 신축작용을 도와주고 외부 환경이나 충격으로부터 내심부(110) 및 전도체부(13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한 직물의 소재 및 형상 이외에도 케이블의 신축작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소재 및 직물로의 변경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이 접이식 파이프에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이 접이식 파이프(200)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탄성체로 형성되는 내심부(110, 도 1 및 도 2 참조)에 의해 케이블의 인장 및 복원이 가능하며, 상기 내심부(110)에 감겨있는 전도체부(130, 도 1 및 도 2 참조)가 상기 내심부(110)와 동시 신축되므로 상기 파이프(200)의 분리/조립을 반복하여도 케이블(100) 및 전도체부(130)가 늘어지지 않아, 상기 파이프(200) 재조립시 파이프(200)를 연결하는 마디와 마디 사이에 케이블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는 실시 예들은 이하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특허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은 노출된 공간에서의 자유로운 신축작용은 물론, 상기한 특정 실시예인 접이식 파이프에 적용시 파이프 마디의 분리 및 조립이 반복되어도 케이블의 늘어짐이 없어, 상기 파이프 마디를 재조립할 때 마디간에 케이블이 끼이지 않아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으로 형성하는 외피에 의해 마찰이 감소되어 전기적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외부 환경 및 충격으로 인한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여 케이블 사용기간을 늘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기가 도통되는 전선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복원성 및 탄력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탄성체로 구성하는 내심부;
    상기 내심부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나일론 재질의 섬유를 이용하여 메쉬형상으로 짠 직물로 감싸고, 전도체부와의 마찰을 줄이는 제 1 외피;
    상기 제 1 외피 외부에 전도체를 코일형태로 감아 형성하는 전도체부; 및
    상기 전도체부를 나일론 재질의 섬유를 이용하여 메쉬형상으로 짠 직물로 감싸는 제 2 외피;
    를 포함하되,
    상기 전도체부는, 케이블의 신축작용을 용이하게 하는 연선 또는 에나멜 연선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심부는 고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심부는, 한 가닥의 탄성체 또는 복수 가닥의 탄성체를 한 묶음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
  4. 삭제
  5. 삭제
KR1020050124251A 2005-12-16 2005-12-16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 KR100751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251A KR100751806B1 (ko) 2005-12-16 2005-12-16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251A KR100751806B1 (ko) 2005-12-16 2005-12-16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387U Division KR200411793Y1 (ko) 2005-12-16 2005-12-16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909A KR20070063909A (ko) 2007-06-20
KR100751806B1 true KR100751806B1 (ko) 2007-08-27

Family

ID=38363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4251A KR100751806B1 (ko) 2005-12-16 2005-12-16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8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423B1 (ko) 2011-11-10 2012-11-2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도체 보호구조가 개선된 전력케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703B1 (ko) * 2009-05-26 2011-09-2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축가능한 와이어
CN116110642B (zh) * 2023-02-08 2024-04-26 中天科技海缆股份有限公司 脐带缆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906B1 (ko) 2004-07-15 2006-08-23 주식회사 이소디앤티 전선
KR20190000870U (ko) * 2017-09-28 2019-04-05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받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906B1 (ko) 2004-07-15 2006-08-23 주식회사 이소디앤티 전선
KR20190000870U (ko) * 2017-09-28 2019-04-05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423B1 (ko) 2011-11-10 2012-11-2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도체 보호구조가 개선된 전력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909A (ko) 200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6935B2 (ja) 光ファイバカールコード
JP2018536101A (ja) 自立的拡張状態および収縮状態を有する自己巻付編組テキスタイルスリーブならびにその構築方法
KR100751806B1 (ko)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
KR20150007505A (ko) 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WO2001048403A1 (fr) Garniture d'étanchéité
KR200411793Y1 (ko)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
JP3585465B2 (ja) 伸縮性コード
JP4634635B2 (ja) 伸縮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924371A (zh) 一种具有防屏蔽的抗拉的5g光纤带
KR101067703B1 (ko) 신축가능한 와이어
JPH0543420U (ja) カールコード
JP3989084B2 (ja) 光カールケーブル
JP6858846B2 (ja) 連続コード付きコードリールアセンブリ
KR100949187B1 (ko) 신축 가능형 전선 케이블
JPH0412569Y2 (ko)
JP2004198588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H0342571Y2 (ko)
KR100678403B1 (ko) 호스 내장형 케이블 구조
JP2017152095A (ja) コネクタ接続部の保護構造
JP2000321472A (ja) 光ケーブル
JP3071579U (ja) コード
KR20100089280A (ko) 소형화된 마이크로 유니트 광케이블
JP5097386B2 (ja) シールド導電体及びシールド導電体の製造方法
CN218729971U (zh) 一种耐弯折电缆
CN210167132U (zh) 一种弹性导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