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882B1 -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 - Google Patents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882B1
KR101282882B1 KR1020070006715A KR20070006715A KR101282882B1 KR 101282882 B1 KR101282882 B1 KR 101282882B1 KR 1020070006715 A KR1020070006715 A KR 1020070006715A KR 20070006715 A KR20070006715 A KR 20070006715A KR 101282882 B1 KR101282882 B1 KR 101282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assage hole
pipe
earphone
tw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9083A (ko
Inventor
정준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6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882B1/ko
Publication of KR20080069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6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without essentially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e.g.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casing or container, or intermittently engag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in sinuous or serpentine fash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01B7/041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attached to mobile objects, e.g. portable tools, elevators, mining equipment, hoisting cables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 케이블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정리함으로서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을 따라 이동하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에 구속되는 위치조정부; 및 상기 위치조정부에 형성되어 상기 위치조정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케이블의 다른 부위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길이가 길어서 사용중 또는 미사용시 너저분하게 보일 수 있는 엉키지 않도록 하여 케이블을 쉽게 정리할 수 있으며, 간단한 형상에 의하여 제조가 쉽고 저렴한 효과가 있다.
이어폰, 꼬임, 케이블

Description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Gripper for Preventing a Cable from Being Entangl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꼬임방지구의 단면도,
도 3과 도 4는 도 1의 꼬임방지구에 의하여 이어폰 케이블을 정리하고 있는 것을 보인 것으로,
제3은 위치조정부에 의하여 꼬임방지구를 케이블을 따라 희망하는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보인 작동 상태도,
도 4는 위치조정된 상태에서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모습을 보인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의 사시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꼬임방지구 11: 위치조정부
12: 관통홀 13: 고정부
14: 제1관부 15: 제2관부
16: 제1통로홀 18: 제2통로홀
17,19: 스플릿
본 발명은 이어폰 케이블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정리함으로서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 장치는 음향을 제공하는 전자기기에 연결하여 사용자만이 듣도록 하는 부수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어폰 장치는 사용자의 귀에 꽂거나 걸 수 있게 형성되는 스피커부와, 스피커부를 전자기기 본체에 구비되는 잭(jack)에 삽입하여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plug)를 구비하고 있으며, 스피커부와 플러그 사이에는 케이블(cable)에 의하여 연결된다.
케이블은 전자기기 본체로부터 일정한 사용반경 내에서 임의의 위치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쉽게 변형되거나 감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만약, 전자기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은 휴대 기기인 경우, 이어폰 장치는 통상적으로 감거나 뭉쳐서 가방이나 주머니 등에 넣어 보관하게 되는데, 연결 케이블은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케이블끼리 서로 엉키게 되므로 이어폰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엉켜진 연결 케이블을 일일이 풀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어폰 장치의 사용시 케이블이 엉키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하여 편의가 증진되도록 한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블을 따라 이동하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에 구속되는 위치조정부; 및 상기 위치조정부에 형성되어 상기 위치조정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케이블의 다른 부위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위치조정부는 상기 케이블이 통과될 수 있게 관통홀이 형성되는 관(管)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위치조정부의 일측에 상기 케이블의 어느 한 부위가 통과될 수 있게 제1통로홀이 형성되는 제1관부 및 상기 위치조정부의 타측에 상기 제1관부를 통과한 상기 케이블이 방향을 전환하여 통과될 수 있게 제2통로홀이 형성되는 제2관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위치조정부와 고정부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관부 및 제2관부의 측면에는 각각 상기 케이블이 측면방향으로 진입되어 상기 제1통로홀 및 제2통로홀로 각각 위치되도록 측면으로 개방된 스플릿(split)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통로홀 및 제2통과홀의 내벽에는 상기 케이블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요철은 상기 제1통로홀 및 제2통로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케이블이 통과될 수 있게 제1통로홀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관부; 및 상기 제1관부에 평행하게 상기 제1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통로홀을 통과한 상기 케이블이 방향을 전환하여 통과될 수 있게 제2통로홀이 형성되는 제2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꼬임방지구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꼬임방지구(10)는 세 개의 대롱 형태로 형성된 부분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세 부분중 가운데 부분은 위치조정부(11)를 이루며, 양측의 두 부분은 케이블을 고정하는 고정부(13)이다.
위치조정부(11)는 이어폰의 케이블(21)에 구속되며 케이블(2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의하면, 위치조정부(11)는 케이블(21)이 통과될 수 있게 관통홀(12)이 형성되어 있다. 가능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관통홀(12)의 직경은 케이블(21)이 약한 고정력으로 클램핑된 상태에서 이동되도록 케이블(21)의 직경과 비슷한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3)는 위치조정부(11)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위치조정부(11)로부터 떨어져 있는 케이블(21)의 다른 부위를 고정한다. 즉, 폰부(23)가 사용중에 있을 때 케이블(21)이 필요이상으로 길어진 다른 부분을 고정부(13)에 걸거나 고정하여 정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고정부(13)는 위치조정부(11)의 일측에 케이블(21)의 어느 한 부위가 통과될 수 있게 제1통로홀(16)이 형성되는 제1관부(14) 및 위치조정부(11)의 타측에 제1관부(14)를 통과한 케이블(21)이 방향을 전환하여 통과될 수 있게 제2통로홀(18)이 형성되는 제2관부(15)로 구성되어 있다.
제1관부(14) 및 제2관부(15)의 측면에는 각각 케이블(21)이 측면방향으로 진입되어 제1통로홀(16) 및 제2통로홀(18)로 각각 위치되도록 측면으로 개방된 스플릿(split)(17)(19)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케이블(21)을 고정부(13)에 걸고자 하는 경우, 제1관부(14) 또는 제2관부(15)의 스플릿(17)(19) 중 하나를 벌려 케이블(21)을 밀어 넣으면 된다.
제1관부(14) 또는 제2관부(15)의 직경은 후술하는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한 가닥만이 고정될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여러 가닥을 한꺼번에 집을 수 있도록 충분히 굵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위치조정부(11)와 고정부(13)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이 용이한 꼬임방지구(10)를 얻을 수 있다. 위치조정부(11)와 고정부(13)는 제조과정에서 같은 재질로 연결된 상태로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며, 각각을 제조한 후 나중에 조립과정에서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부(13)는 일정 길이를 갖는 관(管)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블(21)이 좁은 폭으로 가지런하게 감기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꼬임방지구(10)의 적용예를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도 1의 꼬임방지구에 의하여 이어폰 케이블을 정리하고 있는 것을 보인 것으로, 제3은 위치조정부에 의하여 꼬임방지구를 케이블을 따라 희망하는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보인 작동 상태도이고, 도 4는 위치조정된 상태에서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모습을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위치조정부(11)를 통하여 꼬임방지구(10)를 케이블(21)을 따라 이동시키며 원하는 위치로 둘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1관부(14)와 제2관부(15)에 케이블(21)의 임의의 부분들을 스플릿(17)(19)을 통하여 밀어 넣어 케이블(21)을 정리할 수 있다.
케이블(21)은 폰부(23)로 출력되는 신호를 제어하거나 재생되는 파일 등을 원격 조정할 수 있도록 리모컨 장치(24)가 중간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꼬임방지구(10)에 의하여 리모컨 장치(24)와 케이블(21)이 함께 엉켜져 풀기 어려운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5에 의하면, 본 실시예의 꼬임방지구(110)는 제1관부(114) 및 제2관부(115)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케이블(도 3의 21 참조)은 제1관부(114) 또는 제2관부(115)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임의의 위치로 이동되어 감길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아울러 이동된 위치에서 케이블은 제1관부(114) 또는 제2관부(115) 중 다른 하 나에 삽입되어 감기도록 할 수 있다.
여타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며,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유사한 번호를 부여하였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의 다른 실시예 설명에서도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5에 의하면, 꼬임방지구(210)는 제1관부(214) 또는 제2관부(215) 사이에 제1통로홀(216) 또는 제2통로홀(218)을 통과한 케이블이 방향을 전환하여 통과될 수 있게 제3통로홀(231)이 형성되는 제3관부(230)가 구비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꼬임방지구(21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부분은 제1관부(214) 내지 제3관부(230)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나머지 두 부분은 케이블을 감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6에 의하면, 제1통로홀(316) 및 제2통과홀(318)의 내벽에는 케이블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요철(351)(352)이 형성되어 있다. 요철(351)(352)은 제1통로홀(316) 및 제2통로홀(318)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제조의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에 의하면, 길이가 길어서 사용중 또는 미사용시 너저분하게 보일 수 있는 엉키지 않도록 하여 케이블을 쉽게 정리할 수 있으며, 간단한 형상에 의하여 제조가 쉽고 저렴한 효과가 있 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2)

  1. 케이블을 따라 이동하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에 구속되는 위치조정부; 및
    상기 위치조정부에 형성되어 상기 위치조정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케이블의 다른 부위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부는 상기 케이블이 통과될 수 있게 관통홀이 형성되는 관(管)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위치조정부의 일측에 상기 케이블의 어느 한 부위가 통과될 수 있게 제1통로홀이 형성되는 제1관부 및 상기 위치조정부의 타측에 상기 제1관부를 통과한 상기 케이블이 방향을 전환하여 통과될 수 있게 제2통로홀이 형성되는 제2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부와 고정부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부 및 제2관부의 측면에는 각각 상기 케이블이 측면방향으로 진입되어 상기 제1통로홀 및 제2통로홀로 각각 위치되도록 측면으로 개방된 스플릿(split)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로홀 및 제2통과홀의 내벽에는 상기 케이블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상기 제1통로홀 및 제2통로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
  8. 케이블이 통과될 수 있게 제1통로홀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관부; 및
    상기 제1관부에 평행하게 상기 제1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통로홀을 통과한 상기 케이블이 방향을 전환하여 통과될 수 있게 제2통로홀이 형성되는 제2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부 및 제2관부의 측면에는 각각 상기 케이블이 측면방향으로 진입되어 상기 제1통로홀 및 제2통로홀로 각각 위치되도록 측면으로 개방된 스플릿(split)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로홀 및 제2통과홀의 내벽에는 상기 케이블의 마찰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상기 제1통로홀 및 제2통로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부와 제2관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1통로홀 또는 제2통로홀을 통과한 상기 케이블이 방향을 전환하여 통과될 수 있게 제3통로홀이 형성되는 제3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
KR1020070006715A 2007-01-22 2007-01-22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 KR101282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715A KR101282882B1 (ko) 2007-01-22 2007-01-22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715A KR101282882B1 (ko) 2007-01-22 2007-01-22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083A KR20080069083A (ko) 2008-07-25
KR101282882B1 true KR101282882B1 (ko) 2013-07-05

Family

ID=39822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715A KR101282882B1 (ko) 2007-01-22 2007-01-22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865B1 (ko) * 2012-04-27 2013-07-05 박창희 엉킴방지가능한 이어폰 거치구
KR200485717Y1 (ko) * 2017-08-02 2018-02-13 이상민 이어폰 고정용 장식구
KR101987074B1 (ko) * 2018-07-06 2019-06-10 주식회사 블루콤 넥 밴드 이어폰용 클립
KR200491158Y1 (ko) * 2018-11-01 2020-02-26 주식회사 모바텍 휴대단말기 스트랩 겸용 데이터 및 충전 케이블
KR102488132B1 (ko) * 2021-07-19 2023-01-12 현태섭 헤드폰의 신축부 커버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329U (ja) * 1992-07-02 1994-02-04 アラコ株式会社 すべり止め付きクリップ
JP2000188488A (ja) 1998-12-21 2000-07-04 Funai Electric Co Ltd 配線結束装置
KR20000072220A (ko) * 2000-08-18 2000-12-05 오의석 전선 정리용 홀더
JP2001333485A (ja) 2000-05-19 2001-11-30 Victor Co Of Japan Ltd イヤホー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329U (ja) * 1992-07-02 1994-02-04 アラコ株式会社 すべり止め付きクリップ
JP2000188488A (ja) 1998-12-21 2000-07-04 Funai Electric Co Ltd 配線結束装置
JP2001333485A (ja) 2000-05-19 2001-11-30 Victor Co Of Japan Ltd イヤホーン
KR20000072220A (ko) * 2000-08-18 2000-12-05 오의석 전선 정리용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083A (ko) 200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3218B2 (ja) 相互接続するイヤホン
KR101282882B1 (ko) 이어폰 케이블의 꼬임방지구
US7348490B2 (en) Double wire cord and portable audio device using the same
KR101289244B1 (ko) 자동 감김 장치를 적용한 이어셋
EP1816099A1 (en) Cord management device, and cord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same
JP3661267B2 (ja) 内視鏡の可撓管
US8908898B2 (en) Earphone easily facilitating the tying and untying of an earphone wire
WO2010132501A3 (en) Headphones with reduced tangling and methods
JP5747484B2 (ja) ステレオヘッドホンおよびステレオヘッドホン用スライダ
JP5097443B2 (ja) 配線コード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用音響機器
JP5597858B2 (ja) ヘッドホンのケーブルの絡み防止構造
RU2433565C1 (ru) Проводная гарнитура
KR200396764Y1 (ko) 이어폰
GB2420552A (en) A cable holder
US20170155996A1 (en) Earphone device
KR20090012915U (ko) 이어폰선의 꼬임을 방지한 지퍼 이어폰
KR200397054Y1 (ko) 이어폰 목걸이의 이어폰 와이어 고정 장치
KR200181938Y1 (ko) 이오폰 코드의 꼬임 방지장치
KR200355142Y1 (ko) 스테레오 이어폰 수납 케이스
JP2002258065A (ja) 光ファイバ余長収納箱
JP3229559U (ja) コード絡まり防止具
KR200336027Y1 (ko) 휴대용 오디오 기기의 목걸이형 이어폰
JP4318229B1 (ja) 可撓性線状体
JP2018037913A (ja) イヤホン収納具、イヤホン
JP3129036U (ja) コード絡まり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