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153B1 - 화물운반용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화물운반용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153B1
KR100949153B1 KR1020090074190A KR20090074190A KR100949153B1 KR 100949153 B1 KR100949153 B1 KR 100949153B1 KR 1020090074190 A KR1020090074190 A KR 1020090074190A KR 20090074190 A KR20090074190 A KR 20090074190A KR 100949153 B1 KR100949153 B1 KR 100949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base
main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환
박종환
Original Assignee
스틸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틸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틸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4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28Tipping body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4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of adjustable length or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내에서 생산될 최대 폭, 최대 길이의 광폭 및 장기장 철판의 육로운송에 대응하고 파이프, 빔, 철근, 앵글 등의 화물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고, 적재된 화물의 길이에 따라 차량 적재부의 길이를 정해진 한도내에서 자유롭게 연장할 수 있으며, 적재되는 광폭철판의 높이에 따라 지지프레임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적재할 수 있는 철판의 치수 한도가 현저히 증가할 수 있고, 적재된 화물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화물운반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주행차량에 연결되는 연결부,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부, 주행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휠이 구비된 화물운반용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하단에 휠이 고정되어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는 한쌍의 외측메인프레임과, 상기 외측메인프레임 사이에 출몰가능하도록 내장되어, 외측메인프레임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내측메인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한쌍의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다수 고정되는 외측베이스와, 상기 외측베이스의 일측으로 출몰가능하도록 내장되는 내측베이스로 구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단에 고정되는 외측받침대와, 상기 외측받침대의 일측으로 출몰가능하도록 실린더와 연결되어 내장되는 내측받침대로 구성되는 받침대; 일측이 상기 내측받침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는 외측지지프레임과, 상기 외측지지프레임의 일측으로 출몰하도록 내장되는 내측상부지지프레임과, 상기 외측지지프레임의 타측으로 출몰하도록 내장되며,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지지판을 고정하는 내측하부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어 화물을 적재하는 지지프레임; 상 기 외측지지프레임의 타측을 승강시키는 실린더로 구성된다.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광폭철판, 지지프레임, 실린더, 베이스, 받침대, 메인프레임

Description

화물운반용 트레일러{trailer for freight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화물운반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국내에서 생산될 최대 폭, 최대 길이의 광폭 및 장기장 철판의 육로운송에 대응하고 파이프, 빔, 철근, 앵글 등의 화물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고, 적재된 화물의 길이에 따라 차량 적재부의 길이를 정해진 한도내에서 자유롭게 연장할 수 있으며, 적재되는 광폭철판의 높이에 따라 지지프레임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적재할 수 있는 철판의 치수 한도가 현저히 증가할 수 있고, 적재된 화물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화물운반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는 화물을 운반하기 위해 견인차량의 후방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의 전방에는 견인차량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의 후방으로는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부가 구비되며, 상기 적재부의 양측 하부에는 도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타이어가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는 구조적으로 적재부의 적재대가 평탄하게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폭이 좁은 철판은 용이하게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으나, 트레일러의 전폭보다 폭이 넓은 광폭철판의 경우에는 적재가 매우 어렵고 까다로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광폭철판의 적재 시 차량폭보다 넓게 돌출되어 도로 주행시 다른 운전자들의 불안 및 사고의 위험성을 내포하여 안정감이 떨어져 안전운행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화물운반용 트레일러는 구조적으로 파이프,빔,철근, 앵글 등의 화물이나 트레일러의 전장보다 길이가 긴 화물의 경우에도 적재가 까다롭고 적재후 화물이 처짐으로 인하여 화물이 손상되어 사용자의 품질을 저해하는 등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제시된 바 있는 등록실용신안 20-04403831호 '판형 광폭 화물운반용 평판트레일러'의 경우,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떨어져 배치되며, 전방에 견인차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킹핀이 돌출된 견인부를 이루고, 후방에는 도로를 주행할 수 있도록 양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가 마련된 액슬 축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주행부를 이루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폭방향 전방에서 후방까지 등간격으로 다수 배치된 보강프레임의 양단과 상기 사이드 멤버의 전, 후방에 배치되어 평면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을 이루는 제 1사이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사이드 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며 일측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스톱퍼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제 1사이드 프레임의 전, 후방과 측방일측이 나란히 배치되며, 타측은 상기 힌지장치가 배치된 만큼 내측으로 좁게 형성된 제 2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내측 방향 격자형으로 다수 배치된 보강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 내측으로 배치되며, 상기 보강프레임의 상부에 스크류 볼트로 고정된 적재바닥으로 이루어진 경사 프레임과, 상기 경사프레임의 일측 길이방향에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된 힌지장치와, 상기 힌지장치에 대향하는 타측 보강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실린더장치와, 상기 실린더장치의 양측방에 배치된 링크장치로 이루어진 광폭 화물운반용 평판 트레일러에 관한것으로, 상기 평판 트레일러의 실린더장치는 다단 실린더이며; 상기 링크장치는 상기 실린더장치 일측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경사프레임의 하측에 장착된 힌지브라켓에 힌지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가이드 핀이 배치된 제 1링크와, 상기 제 1링크와 대향하는 위치인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보강프레임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 1링크의 가이드 핀이 왕복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1링크 타단의 관통공과 동심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제 2링크와, 상기 제 1, 2링크의 각 관통공이 동심하면 관통삽입되는 스톱핀으로 이루어져, 판형으로 이루어진 광폭 화물의 적재가 용이하도록 하고, 광폭 이외에 일반화물의 적재도 가능하도록 한 다용도 평판 트레일러를 널리 제공하여 물류비용을 절감하도록 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물운반용 트레일러는 구조적으로 적재부가 자체적으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최대 폭과 높이가 상대적으로 감소하게되어 운반효율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적재부를 경사지도록 변형하여 강폭철판 등을 적재할 경우, 적재부의 경사진 각도의 조절이 불가능하여 적재된 화물의 크기와는 상관없이 일정한 각도로만 경사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경사진 적재부의 길이를 연장할 경우 상단만 연장하도록 구성되어, 중량의 화물을 적재하게되면 무게중심이 트레일러의 중심과 벗어나 자칫 트레일러가 전복할 우려가 있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트레일러의 전폭보다 폭이 넓은 광폭철판을 한층 더 용이하고도 편리하게 적재하여 보다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광폭철판뿐만 아니라 파이프,빔,철근, 앵글 등의 화물을 용이하게 적재하여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 트레일러의 전장보다 길이가 긴 화물의 운반 시에는 트레일러의 전장 길이를 전후로 신장시키되, 적재된 화물의 무게중심이 적재부의 중심에 오도록 하여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적재부의 높이를 감소하여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높이를 향상시켜 효율적인 운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지지프레임이 상부와 하부로 동시에 연장될 수 있어 적재할 수 있는 철판의 폭 범위를 향상시키고 화물의 변형을 감소시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행차량에 연결되는 연결부, 화물을 적재하는 적재부, 주행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휠이 구비된 화물운반용 트레일러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하단에 휠이 고정되어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는 한쌍의 외측메인프레임과, 상기 외측메인프레임 사이에 출몰가능하도록 내장되어, 외측메인프레임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내측메인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한쌍의 메인프레 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다수 고정되는 외측베이스와, 상기 외측베이스의 일측으로 출몰가능하도록 내장되는 내측베이스로 구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단에 고정되는 외측받침대와, 상기 외측받침대의 일측으로 출몰가능하도록 실린더와 연결되어 내장되는 내측받침대로 구성되는 받침대; 일측이 상기 내측받침대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로 연결되는 외측지지프레임과, 상기 외측지지프레임의 일측으로 출몰하도록 내장되는 내측상부지지프레임과, 상기 외측지지프레임의 타측으로 출몰하도록 내장되며,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지지판을 고정하는 내측하부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어 화물을 적재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외측지지프레임의 타측을 승강시키는 실린더;로 구성된 화물운반용 트레일러를 제공한다.
또한, 일반 평판 트레일러의 구조에서 벗어나 트레일러 견인부와 장폭철판을 적재하기 위한 장치를 부착하는 부위의 높이를 다르게 구성하고, 외경이 작은 타이어를 적용하므로써 광폭 철판을 적재할수 있도록 구성된 화물운반용 트레일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 화물운반용 트레일러에 따르면 트레일러의 전폭보다 폭이 넓은 광폭철판을 한층 더 용이하고도 편리하게 적재하여 보다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광폭철판뿐만 아니라 파이프,빔,철근, 앵글 등의 화물을 용이하게 적재하여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트레일러의 전장보다 길이가 긴 화물의 운반 시에는 트레일러의 전장 길이를 전후로 신장시키되, 적재된 화물의 무게중심이 적재부의 중심에 오도록 하여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적재부의 높이를 감소하 여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높이를 향상시켜 효율적인 운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지지프레임이 상부와 하부로 동시에 연장될 수 있어 적재할 수 있는 철판의 폭 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 화물운반용 트레일러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 화물운반용 트레일러(20)는 주행차량(10)에 연결되는 연결부(21), 화물(F)을 적재하는 적재부(22), 주행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휠(23)이 구비된 화물운반용 트레일러(20)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22)는 하단에 휠(23)이 고정되어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는 한쌍의 외측메인프레임(110, 110')과, 상기 외측메인프레임(110, 110') 사이에 출몰가능하도록 내장되어, 외측메인프레임(110, 110')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내측메인프레임(120)으로 구성되는 한쌍의 메인프레임(100);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다수 고정되는 외측베이스(210)와, 상기 외측베이스(210)의 일측으로 출몰가능하도록 내장되는 내측베이스(220)로 구성되는 베이스(200);
상기 베이스(200)의 상단에 고정되는 외측받침대(310)와, 상기 외측받침대(310)의 일측으로 출몰가능하도록 실린더(330)와 연결되어 내장되는 내측받침대(320)로 구성되는 받침대(300);
일측이 상기 내측받침대(32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H)로 연결되는 외측지지 프레임(410)과, 상기 외측지지프레임(410)의 일측으로 출몰하도록 내장되는 내측상부지지프레임(420)과, 상기 외측지지프레임(410)의 타측으로 출몰하도록 내장되며,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지지판(440)을 고정하는 내측하부지지프레임(430)으로 구성되어 화물(F)을 적재하는 지지프레임(400);
상기 외측지지프레임(410)의 타측을 승강시키는 실린더(500);로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먼저, 일반적으로 트레일러(20)는 트레일러(20)를 견인하는 주행차량(10)과 연결되는 연결부(21), 화물(F)을 적재하는 적재부(22),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단에 구비되는 다수의 휠(2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적재부(22)는 크게 메인프레임(100), 베이스(200), 받침대(300), 지지프레임(400), 실린더(500)로 구성된다.
메인프레임(100)은 하단에 각각 휠(23)이 고정되고, 전방과 후방에 분리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한쌍의 외측메인프레임(110, 110')과, 상기 외측메인프레임(110, 110') 사이에 출몰가능하도록 내장되어, 외측메인프레임(110, 110')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내측메인프레임(120)으로 구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길이가 긴 빔(beam)의 형태로 양측좌우의 휠(23)과 휠(23)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이 구비된다.
외측메인프레임(110, 110')은 중공형으로 구성되어, 내부 공간(S1)에 각각 내측메인프레임(120)을 절반씩 수용하며, 메인프레임(100)의 길이를 연장하고자 할 때에는 양측의 외측메인프레임(110, 110')에서 동일한 길이의 내측메인프레임(120) 을 출몰하고 고정함에 따라 외측메인프레임(110, 110')의 하단에 고정된 휠(23)이 메인프레임(100)의 양측에 위치하여 적재된 화물(F)의 무게중심이 휠(23)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2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다수 고정되는 외측베이스(210)와, 상기 외측베이스(210)의 일측으로 출몰가능하도록 내장되는 내측베이스(220)로 구성되며, 실질적으로 베이스(200)는 상단에 구비되는 받침대(300)를 지지하고, 지지프레임(400)이 경사질 경우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외측베이스(210)는 중공의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S2)을 형성하고, 일측에는 실린더(500)를 고정한다. 또한, 상기 공간(S2)에 수용된 내측베이스(220)는 실린더(500)가 고정되지 않은 타측을 통해 출몰하게 되고, 내측베이스(220)의 출몰은 베이스(200) 상단에 구비되는 내측받침대(320)의 출몰작용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내측베이스(220)는 외측베이스(210)에 출몰이 용이하도록 외측베이스(210)의 형상을 축소하여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상기 외측베이스(210)와 실린더(500)는 회전가능하도록 힌지(H)로 고정하게 되는데, 상기 외측베이스(210)의 양측단부에 일체로 연장된 연장부(215, 215')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215, 215') 사이에 실린더(500)가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대(300)는 베이스(200)의 상단에 고정되는 외측받침대(310)와, 상기 외측받침대(310)의 일측으로 출몰가능하도록 실린더(330)와 연결되어 내장되는 내측받침대(320)로 구성된다.
먼저, 외측받침대(310)는 내측받침대(320)가 내장되고 출몰할 수 있도록 중공의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S3)을 마련하며, 상기 공간(S3)에 수용된 내측받침대(320)는 외측받침대(310)의 내부 공간(S3)에 고정된 실린더(330)와 연결되어, 실린더(330)의 작용으로 외측받침대(310)에서 일측으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출몰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400)은 일측이 상기 내측받침대(32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H)로 연결되는 외측지지프레임(410)과, 상기 외측지지프레임(410)의 일측으로 출몰하도록 내장되는 내측상부지지프레임(420)과, 상기 외측지지프레임(410)의 타측으로 출몰하도록 내장되며,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지지판(440)을 고정하는 내측하부지지프레임(430)으로 구성되어 화물(F)을 적재하는 구성이다.
외측지지프레임(410)은 중공의 형상으로 내측이 소정의 공간(S4)을 마련하여, 내측상부지지프레임(420)과 내측하부지지프레임(430)을 각각 양측의 개구된 부분으로 수용하여 내측상부지지프레임(420)과 내측하부지지프레임(430)이 출몰하여 지지프레임(400)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내측받침대(320)와 힌지(H)로 연결된 외측지지프레임(410)은 외측베이스(210)에 고정된 실린더(500)에 의해 타측이 승강 및 하강하면서 외측지지프레임(410)과 외측베이스(210)는 다양한 경사각을 형성할 수 있으며, 승강할 경우 외측지지프레임(410)과 외측베이스(210) 사이의 각도는 증가하고, 하강할 경우 외측지지프레임(410)과 외측베이스(210) 사이의 각도는 줄어드는 것이다. 또한 지지프레임(400)은 받침대(300)의 사이 각도가 0°에 가까울 경우 지지프레임(400)은 받침대(300)의 상단에 수평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그 상단에 강관 및 철판 등의 화물(F)을 적재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내측메인프레임(120), 내측베이스(220), 내측받침대(320), 내측상부지지프레임(420) 및 내측하부지지프레임(430)은 각각 외측메인프레임(110, 110'), 외측베이스(210), 외측받침대(310), 외측지지프레임(410)의 내부 공간(S1, S2, S3, S4)에서 매끄럽게 슬라이딩하여 출몰할 수 있도록 일측 상단과 하단에 경사지도록 가공하여 테이퍼부(122, 225, 323, 422, 432)를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메인프레임(110, 110')과 내측메인프레임(120), 외측베이스(210)와 내측베이스(220), 외측받침대(310)와 내측받침대(320), 외측지지프레임(410)과 내측상부지지프레임(420), 내측하부지지프레임(430)은 각각 서로 대응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핀공(111, 111', 121, 211, 221, 311, 321, 411, 421, 431)을 형성하여 핀(P)으로 고정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핀공(111, 111', 121, 211, 221, 311, 321, 411, 421, 431)은 바람직하게는, 외측메인프레임(110, 110')과 내측메인프레임(120)은 핀공(111, 111', 121)끼리 연결하고, 외측베이스(210)와 내측베이스(220)는 핀공(211, 221)끼리 연결하며, 외측받침대(310)와 내측받침대(320)는 핀공(311, 321)끼리 연결하고, 외측지지프레임(410)과 내측상부지지프레임(420), 내측하부지지프레임(430)은 핀공(411, 421, 431)끼리 핀(P)을 꽂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외측메인프레임(110, 110')과 내측메인프레임(120), 외측베이스(210)와 내측베이스(220), 외측받침대(310)와 내측받침대(320), 외측지지프레임(410)과 내측상부지지프레임(420), 내측하부지지프레임(430)은 각각 길이 연장이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길이방향 즉 연장가능한 방향을 따라 다수의 핀공(111, 111', 121, 211, 221, 311, 321, 411, 421, 431)을 형성하고, 연장하거나 축소할 경우 그에 맞는 핀공(111, 111', 121, 211, 221, 311, 321, 411, 421, 431)에 핀(P)을 꽂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외측받침대(310) 및 내측받침대(320)는 내장된 실린더(330)에 의해 자체적으로 고정력을 구비하므로 핀공(311, 321)이 별도로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핀공(111, 111', 121, 211, 221, 311, 321, 411, 421, 431)에 끼워져 고정하는 핀(P)은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고리형태의 손잡이를 구비하여 핀(P)의 고정 및 해제가 용이하도록 하고, 핀공(111, 111', 121, 211, 221, 311, 321, 411, 421, 431)에 끼워지는 돌기부분이 한개가 아닌 두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핀공(111, 111', 121, 211, 221, 311, 321, 411, 421, 431)에 두 군데 이상 끼워져 고정력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받침대(310)에는 장공(611)과 핀공(612)이 구비된 메인하부안전바(610)가 힌지(H)로 연결되고, 상기 외측지지프레임(410)에는 메인하부안전바(610)에 끼워져 상하로 왕복하고 다수의 핀공(621)이 구비된 메인상부안전바(620)가 힌지(H)로 연결되며, 상기 장공(611)과 핀공(612, 621)에는 메인상부안전바(620)의 하강을 단속하는 안전핀(630)이 끼워져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400)이 수평으로 하강한 상태에서 메인하부안전바(610)와 메인상부안전바(620)는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지지프레임(400)이 경사지게 상승한 상태에서 메인하부안전바(610)와 메인상부안전바(620)는 실린 더(500)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지지프레임(400)을 받쳐주는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400)을 경사지게 상승시킨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메인하부안전바(610)와 메인상부안전바(620)의 핀공(612, 621)으로 안전핀(630)을 끼우면 지지프레임(400)이 하강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베이스(210)에는 핀공(711)이 구비된 보조하부안전바(710)가 힌지(H)로 연결되고, 상기 외측지지프레임(410)에는 보조하부안전바(710)에 끼워져 상하로 왕복하고 다수의 핀공(721)이 구비된 보조상부안전바(720)가 힌지(H)로 연결되며, 상기 핀공(711, 721)에는 보조상부안전바(720)의 하강을 단속하는 안전핀(730)이 끼워지되, 보조하부안전바(710)는 일측에 실린더(740)가 힌지(H)로 결합하며, 상기 실린더(740)의 하단은 외측메인프레임(110, 110')의 일측에 브라켓(750)으로 고정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400)이 수평으로 하강한 상태에서 보조하부안전바(710)와 보조상부안전바(720)는 실린더(740)가 하강하여 수평방형으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지지프레임(400)이 경사지게 상승한 상태에서 메인하부안전바(610)와 메인상부안전바(620) 및 실린더(500)와 마찬가지로 실린더(740), 바람직하게는 에어실린더가 보조하부안전바(710)를 상승시켜 보조상부안전바(720)가 펼쳐진 상태에서 지지프레임(400)을 받쳐주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지지프레임(400)을 경사지게 상승시킨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보조하부안전바(710)와 보조상부안전바(720)의 핀공(711, 721)으로 안전핀(730)을 끼우면 메인하부안전바(610)와 메인상부안전바(620)와 함께 지지프레임(400)이 하강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메인프레임(110, 110')과 내측메인프레임(120)은 중공형의 H-빔(beam)의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외측메인프레임(110, 110')과 내측메인프레임(120)은 중공형의 다양한 형태의 빔(beam)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과 하단의 표면적을 향상시키되 경량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H-빔(beam)의 형태로 구성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지지프레임(410)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하여 다수의 힌지고리(412, 413)를 구비하여, 다양한 위치의 힌지고리(412, 413)가 내측받침대(320)에 힌지(H)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내측받침대(320)와 힌지(H)로 연결되는 외측지지프레임(410)의 힌지고리(412, 413)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 구비될 경우, 지지프레임(400)의 경사 각도에 따라 내측받침대(320)와 힌지(H) 연결되는 힌지고리(412, 413)를 변경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평상시에는 가장 외측에 구비된 힌지고리(412)가 내측받침대(320)와 연결되어 있고, 지지프레임(400)의 경사각도가 증가하고 지지프레임(400)의 길이를 최대한으로 연장할 경우, 적재되는 화물(F)의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치우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외측의 힌지고리(412)보다 내측에 위치한 힌지고리(413)와 내측받침대(320)를 힌지(H)로 연결하여 무게중심이 적재부(22)의 중심에 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지지프레임(410)은 양측에 'ㄷ'자 형 의 내측상부지지프레임(420)이 끼워지는 상측수용부(410a)와, 상기 상측수용부 (410a)사이에 구비되어 일자형의 내측하부지지프레임(430)이 끼워지는 하측수용부(410b)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상부지지프레임(420)과 내측하부지지프레임(430)은 외측지지프레임(410)의 공간(S4)에 모두 수용되어야 하므로 내측상부지지프레임(420)과 내측하부지지프레임(430)가 겹치지 않도록 상측수용부(410a)와 하측수용부(410b)를 별도로 마련하여, 양측에 형성된 상측수용부(410a)에는 'ㄷ'자 형의 내측상부지지프레임(420)을 끼워 수용하고, 상측수용부(410a) 사이에 구비되는 하측수용부(410b)에는 일자형의 내측하부지지프레임(430)을 끼워 수용하고 출몰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베이스(210)와 내측베이스(220)는 각각 일측에 경사면(212, 222)을 구비하고, 강도 향상을 위해 양측의 중심부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절곡부(213, 223)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경사면(212, 222)은 지지프레임(400)이 경사질 경우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기 위해 구성되며, 절곡부(213, 223)는 외측베이스(210)와 내측베이스(220)가 지지프레임(400)을 지지하는 도중 큰 하중에 의해 비틀리거나 휘어지는 등의 형상을 방지하도록 보강의 목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받침대(310)의 저면에는 한쌍의 장공(312)이 형성되고, 내측받침대(320)의 저면에는 한쌍의 조립공(322)이 형성되며, 외측베이스(210)의 상면에는 외측받침대(310)의 장공(312)과 동일한 길이의 장공(214)이 한쌍으로 형성되고, 내측베이스(220)의 상면에는 외측베이스(210)의 장공(214)보다 짧은 길이의 장공(224)이 한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공(214, 224, 312)과 조립공(322)을 관통하는 핀(P)으로 고정되어 내측받침대(320)가 출몰할 때, 내측베이스(220)가 동시에 출몰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상기 장공(214, 224, 312) 및 조립공(322)은 내측베이스(220) 및 내측받침대(320)가 일직선상으로 출몰할 수 있도록 한쌍으로 구성되며, 장공(214, 312)과 장공(224)의 길이가 다른 이유를 도 11a 내지 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립공(322)에 끼워진 핀(P)은 차례대로 장공(312, 214, 224)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핀(P)으로 고정된 내측받침대(320)는 외측받침대(310)의 하단과 외측베이스(210)의 상단에 형성된 장공(312, 214)의 길이만큼 좌우로 왕복이 가능하다. 상기 내측받침대(320)의 좌우 왕복은 실린더(330)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내측받침대(320)가 좌우로 왕복하는 과정에서 내측베이스(220) 또한 동시에 좌우로 왕복하면서 외측베이스(210) 밖으로 출몰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내측베이스(220)의 상단에 타공된 장공(224)은 외측받침대(310)의 하단과 외측베이스(210)의 상단에 형성된 장공(312, 214)에 비해 길이가 짭게 형성되므로, 내측받침대(320)가 출몰하더라도 장공(312, 214)과 장공(224)의 길이차이 만큼 늦게 출몰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내측받침대(320)가 내측베이스(220)에 비해 더 출몰하게 되며, 이는 내측받침대(320)에 힌지(H) 고정된 외측지지프레임(410)에서 내측하부지지프레임(430)이 출몰하더라도 간섭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받침대(310)와 내측받침대(320)는 실린더(330)가 내장된 몸체(310a, 320a)와 상기 몸체(310a, 320a)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다리(310b, 320b)로 이루어진 'ㄷ'자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측받침대(310)와 내측받침대(320)가 몸체(310a, 320a)와 다리(310b, 320b)로 형성되어 'ㄷ'자형으로 이루어진 이유는 외측베이스(210)의 연장부(215, 215')사이에 힌지(H)결합된 실린더(500)가 다리(310b, 320b)사이를 통해 연장되어 외측지지프레임(410)을 승강 및 하강하도록 지지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 화물운반용 트레일러(20)에 따르면 트레일러(20)의 전폭보다 폭이 넓은 광폭철판을 한층 더 용이하고도 편리하게 적재하여 보다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광폭철판뿐만 아니라 파이프,빔,철근, 앵글 등의 화물(F)을 용이하게 적재하여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트레일러(20)의 전장보다 길이가 긴 화물의 운반 시에는 트레일러(20)의 전장 길이를 전후로 신장시키되, 적재된 화물(F)의 무게중심이 적재부(22)의 중심에 오도록 하여 구조적으로 안전하고, 적재부(22)의 높이를 감소하여 적재할 수 있는 화물(F)의 높이를 향상시켜 효율적인 운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지지프레임(400)이 상부와 하부로 동시에 연장될 수 있어 적재할 수 있는 철판의 폭 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 기재의 범위 내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수평으로 하강한 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경사지게 상승한 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이 경사지고 연장된 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베이스, 받침대, 지지프레임의 상황별 작동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프레임이 연장되는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의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와 받침대의 출몰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행차량 20 : 트레일러
21 : 연결부 22 : 적재부
23 : 휠 100 : 메인프레임
110, 110' : 외측메인프레임
111, 111', 121, 211, 221, 311, 321, 411, 421, 431 : 핀공
120 : 내측메인프레임 122, 225, 323, 422, 432 : 테이퍼부
200 : 베이스 210 : 외측베이스
212, 222 : 경사면 213, 223 : 절곡부
214, 224 : 장공 215, 215' : 연장부
220 : 내측베이스 300 : 받침대
310 : 외측받침대 310a, 320a : 몸체
310b, 320b : 다리 312 : 장공
320 : 내측받침대 322 : 조립공
330 : 실린더 400 : 지지프레임
410 : 외측지지프레임 412, 413 : 힌지고리
410a : 상측수용부 410b : 하측수용부
420 : 내측상부지지프레임 430 : 내측하부지지프레임
440 : 지지판 500 : 실린더
610 : 메인하부안전바 611 : 장공
612, 621 : 핀공 620 : 메인상부안전바
630 : 안전핀 710 : 보조하부안전바
711, 721 : 핀공 720 : 보조상부안전바
730 : 안전핀 740 : 실린더
750 : 브라켓 H : 힌지
P : 핀 F : 화물
S1, S2, S3, S4 : 공간

Claims (10)

  1. 주행차량(10)에 연결되는 연결부(21), 화물(F)을 적재하는 적재부(22), 주행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휠(23)이 구비된 화물운반용 트레일러(20)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22)는 하단에 휠(23)이 고정되어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는 한쌍의 외측메인프레임(110, 110')과, 상기 외측메인프레임(110, 110') 사이에 출몰가능하도록 내장되어, 외측메인프레임(110, 110')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내측메인프레임(120)으로 구성되는 한쌍의 메인프레임(100);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상단에 좌우방향으로 다수 고정되는 외측베이스(210)와, 상기 외측베이스(210)의 일측으로 출몰가능하도록 내장되는 내측베이스(220)로 구성되는 베이스(200);
    상기 베이스(200)의 상단에 고정되는 외측받침대(310)와, 상기 외측받침대(310)의 일측으로 출몰가능하도록 실린더(330)와 연결되어 내장되는 내측받침대(320)로 구성되는 받침대(300);
    일측이 상기 내측받침대(32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H)로 연결되는 외측지지프레임(410)과, 상기 외측지지프레임(410)의 일측으로 출몰하도록 내장되는 내측상부지지프레임(420)과, 상기 외측지지프레임(410)의 타측으로 출몰하도록 내장되며,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지지판(440)을 고정하는 내측하부지지프레임(430)으로 구성되어 화물(F)을 적재하는 지지프레임(400);
    상기 외측지지프레임(410)의 타측을 승강시키는 실린더(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트레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외측메인프레임(110, 110')과 내측메인프레임(120), 외측베이스(210)와 내측베이스(220), 외측받침대(310)와 내측받침대(320), 외측지지프레임(410)과 내측상부지지프레임(420), 내측하부지지프레임(430)은 각각 서로 대응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핀공(111, 111', 121, 211, 221, 311, 321, 411, 421, 431)을 형성하여 한 개 이상의 핀(P)이 동시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트레일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받침대(310)에는 장공(611)과 핀공(612)이 구비된 메인하부안전바(610)가 힌지(H)로 연결되고, 상기 외측지지프레임(410)에는 메인하부안전바(610)에 끼워져 상하로 왕복하고 다수의 핀공(621)이 구비된 메인상부안전바(620)가 힌지(H)로 연결되며, 상기 장공(611)과 핀공(612, 621)에는 메인상부안전바(620)의 하강을 단속하는 안전핀(630)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트레일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베이스(210)에는 핀공(711)이 구비된 보조하부안전바(710)가 힌지(H)로 연결되고, 상기 외측지지프레임(410)에는 보조하부안전바(710)에 끼워져 상하로 왕복하고 다수의 핀공(721)이 구비된 보조상부안전바(720)가 힌지(H)로 연결되며, 상기 핀공(711, 721)에는 보조상부안전바(720)의 하강을 단속하는 안전핀(730)이 끼워지되, 보조하부안전바(710)는 일측에 실린 더(740)가 힌지(H)로 결합하며, 상기 실린더(740)의 하단은 외측메인프레임(110, 110')의 일측에 브라켓(750)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트레일러.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메인프레임(110, 110')과 내측메인프레임(120)은 중공형의 H-빔(beam)의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트레일러.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프레임(410)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하여 다수의 힌지고리(412, 413)를 구비하여, 다양한 위치의 힌지고리(412, 413)가 내측받침대(320)에 힌지(H)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트레일러.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지지프레임(410)은 양측에 'ㄷ'자 형의 내측상부지지프레임(420)이 끼워지는 상측수용부(410a)와, 상기 상측수용부 (410a)사이에 구비되어 일자형의 내측하부지지프레임(430)이 끼워지는 하측수용부(410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트레일러.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베이스(210)와 내측베이스(220)는 각각 일측에 경사면(212, 222)을 구비하고, 강도 향상을 위해 양측의 중심부를 내 측으로 절곡하여 절곡부(213, 22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트레일러.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받침대(310)의 저면에는 한쌍의 장공(312)이 형성되고, 내측받침대(320)의 저면에는 한쌍의 조립공(322)이 형성되며, 외측베이스(210)의 상면에는 외측받침대(310)의 장공(312)과 동일한 길이의 장공(214)이 한쌍으로 형성되고, 내측베이스(220)의 상면에는 외측베이스(210)의 장공(214)보다 짧은 길이의 장공(224)이 한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장공(214, 224, 312)과 조립공(322)을 관통하는 핀(P)으로 고정되어 내측받침대(320)가 출몰할 때, 내측베이스(220)가 동시에 출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트레일러.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받침대(310)와 내측받침대(320)는 실린더(330)가 내장된 몸체(310a, 320a)와 상기 몸체(310a, 320a)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다리(310b, 320b)로 이루어진 'ㄷ'자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트레일러.
KR1020090074190A 2009-08-12 2009-08-12 화물운반용 트레일러 KR100949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190A KR100949153B1 (ko) 2009-08-12 2009-08-12 화물운반용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190A KR100949153B1 (ko) 2009-08-12 2009-08-12 화물운반용 트레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9153B1 true KR100949153B1 (ko) 2010-03-25

Family

ID=42183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190A KR100949153B1 (ko) 2009-08-12 2009-08-12 화물운반용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1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559B1 (ko) * 2011-06-30 2011-11-04 스틸로지스 주식회사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KR200464441Y1 (ko) * 2011-06-29 2013-01-02 주식회사 동화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지지장치
KR101314396B1 (ko) * 2012-09-17 2013-10-04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용 트레일러
KR101534963B1 (ko) * 2013-12-17 201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러기지 룸의 화물 적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9518A (ja) 1996-10-25 1998-05-19 Kimio Higuchi ダンプトラックの荷台構造
KR200424564Y1 (ko) 2006-06-10 2006-08-22 (주)한성티앤아이 화물차량의 적재함 폭 가변장치
KR20080014291A (ko) * 2006-08-10 2008-02-14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길이와 폭 조절이 가능한 소형 트레일러
KR20080097804A (ko) * 2007-05-03 2008-11-06 주식회사 삼성물류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평판형 적재프레임 및 그 가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9518A (ja) 1996-10-25 1998-05-19 Kimio Higuchi ダンプトラックの荷台構造
KR200424564Y1 (ko) 2006-06-10 2006-08-22 (주)한성티앤아이 화물차량의 적재함 폭 가변장치
KR20080014291A (ko) * 2006-08-10 2008-02-14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길이와 폭 조절이 가능한 소형 트레일러
KR20080097804A (ko) * 2007-05-03 2008-11-06 주식회사 삼성물류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평판형 적재프레임 및 그 가변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441Y1 (ko) * 2011-06-29 2013-01-02 주식회사 동화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지지장치
KR101079559B1 (ko) * 2011-06-30 2011-11-04 스틸로지스 주식회사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KR101314396B1 (ko) * 2012-09-17 2013-10-04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화물용 트레일러
KR101534963B1 (ko) * 2013-12-17 201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러기지 룸의 화물 적재장치
US9469233B2 (en) 2013-12-17 2016-10-18 Hyundai Motor Company Cargo loading apparatus of vehicle luggage roo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65162A1 (en) Apparatus for Pivoting a Platform of a Treadmill
KR100949153B1 (ko) 화물운반용 트레일러
CN202807548U (zh) 货物用机架
US20230147944A1 (en) Pusher lift cart
US8739990B2 (en) Upright support for gantry
KR100942726B1 (ko) 광폭 판재의 적재가 용이한 트레일러
AU2008216958B2 (en) Trailer for hauling tyres
KR200443831Y1 (ko) 판형 광폭 화물운반용 평판 트레일러
CN205589254U (zh) 烟道运输车
KR101075829B1 (ko)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보조적재프레임 장치
KR101079559B1 (ko)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CN209208584U (zh) 拖吊车的车斗
CN110155135A (zh) 货运板车
KR101349458B1 (ko)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US11584463B2 (en) Trailer
KR101202064B1 (ko)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KR101196553B1 (ko) 화물 운반용 트레일러
CN218786465U (zh) 一种可调节式起重钩固定支架及轮式起重机
KR101303913B1 (ko)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보조적재프레임장치
CN213060066U (zh) 物流配送助力车
CN218754841U (zh) 随车叉车固定装置
US6820889B1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manufactured housing
CN217893054U (zh) 一种轻量化结构的半挂车
KR100807183B1 (ko) 광폭화물 운송차량의 적재프레임 지지장치
JP5650184B2 (ja) トレ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