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4396B1 - 화물용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화물용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4396B1
KR101314396B1 KR1020120102882A KR20120102882A KR101314396B1 KR 101314396 B1 KR101314396 B1 KR 101314396B1 KR 1020120102882 A KR1020120102882 A KR 1020120102882A KR 20120102882 A KR20120102882 A KR 20120102882A KR 101314396 B1 KR101314396 B1 KR 101314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scaffold
footrest
crossbar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흥구
Original Assignee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2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4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4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4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062Especially adapted for carrying tracked vehicles, e.g. public works machinery, battle tanks, snow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4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of adjustable length or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화물차량의 주행차량에 연결되고, 다수의 피동차륜이 장착됨에 따라 상기 주행차량에 의해 이동하며, 상면에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베드; 상기 적재베드의 일측에 상기 적재베드의 폭방향을 따라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크로스바; 상기 크로스바의 양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각기 결합되어 상기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적재베드의 상면과 지면을 연결하는 발판; 상기 발판을 상기 슬라이더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하면서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패스너; 및 상기 크로스바에 일단부가 결합된 상태로 신축하면서 상기 패스너를 통해 상기 발판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발판을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거나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판이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하는 동시에 슬라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므로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한 발판간격의 확장은 물론 발판의 이동에 의한 발판간격의 축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차나 중장비와 같은 대형화물은 물론 장갑차와 같이 차륜의 폭이 좁은 화물도 적재할 수 있으며, 발판에 차폭등과 같은 부재가 돌출된 경우에도 발판의 폭이 축소됨에 따라 도로규정에 부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용 트레일러{TRAILER FOR CARGO}
본 발명은 화물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장비나 전차와 같은 화물을 적재베드로 안내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된 화물용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장비나 전차와 같은 화물은 구동수단이 궤도로 이루어짐에 따라 포장도로를 통한 이동시 도로를 파손할 우려가 있으며, 궤도에 무리가 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장거리 이동시에는 저상 트레일러에 적재된 상태로 운송된다.
이러한 트레일러의 선행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458536호에 개시된 전차 운반용 저상 트레일러가 있다.
선행기술의 저상 트레일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200)에 의해 주행가능한 차체(100)와, 차체(100)의 상면을 이루면서 전차나 중장비가 적재되는 적재판(110)과, 적재판(110)의 후방에 마련되는 발판(300)과, 적재판(110)의 좌우폭을 확장시키는 적재폭 조절수단(10)과, 발판(300)을 승강시키면서 발판(300)의 좌우폭을 확장시키는 발판 조절수단(20)과, 적재판(110)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조절수단(30) 및 적재판(110)에 적재된 전차를 결박하는 전차결박수단(4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저상 트레일러는 적재폭 조절수단(10)을 통해 적재판(110)의 적재폭을 확장시키는 동시에 발판조절수단(20)을 통해 발판(300) 사이의 간격을 확장시킴으로써 전차나 중장비를 적재판(110)에 적재하며, 화물의 운송이 완료된 후 적재판(110) 및 발판(300)의 간격을 원상태로 축소시키는 구성이다.
즉, 선행기술의 트레일러는 현행 도로규정에 의해 고속도로의 주행이 가능한 폭으로 형성되어 평상시 고속도로를 주행하며, 화물의 적재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판(110) 및 발판(300)의 간격이 화물의 폭에 부합되는 폭으로 확장되어 화물을 운송한다.
그런데, 선행기술의 발판(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조절수단(20)에 의해 간격의 확장만이 가능할 뿐, 간격의 축소는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선행기술의 트레일러는 장갑차나 소형중장비와 같이 차륜의 폭이 좁은 화물의 적재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의 트레일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300)의 양측단에 차폭등(50)이 설치될 경우, 차폭등(50)이 측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적재판(110)의 전체폭이 도로규정을 초과하게 되어 차폭등(50)이 측방차량과 접촉하므로 고속도로의 통행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KR 20-0458536 Y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물의 폭에 따라 발판을 적재베드의 외측방으로 이동시킴은 물론, 발판을 적재베드의 내측으로도 이동시킴으로써 차륜의 폭이 좁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용 트레일러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물용 트레일러는, 화물차량의 주행차량에 연결되고, 다수의 피동차륜이 장착됨에 따라 상기 주행차량에 의해 이동하며, 상면에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베드; 상기 적재베드의 일측에 상기 적재베드의 폭방향을 따라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크로스바; 상기 크로스바의 양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각기 결합되어 상기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적재베드의 상면과 지면을 연결하는 발판; 상기 발판을 상기 슬라이더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하면서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패스너; 및 상기 크로스바에 일단부가 결합된 상태로 신축하면서 상기 패스너를 통해 상기 발판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발판을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거나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패스너는, 상기 발판의 일단부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발판의 회전중심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기 발판과 함께 수평이동하며, 관통공을 갖는 관통부;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관통부의 관통공에 끼워져서 상기 발판의 회전축을 이루면서 상기 관통부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 및 상기 이동실린더 및 상기 발판을 연결하여 이동실린더의 구동력을 발판에 전달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삭제
상기 커넥터는 예컨대, 상기 관통부에 일단부가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타단부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동실린더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발판브래킷; 및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발판브래킷의 타단부가 끼워져서 상기 발판브래킷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브래킷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용 트레일러는, 발판이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하는 동시에 슬라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므로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 발판의 간격이 확장될 수 있으며, 특히 발판의 이동에 의한 발판간격의 축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차나 중장비와 같은 대형화물은 물론 장갑차와 같이 차륜의 폭이 좁은 화물도 적재할 수 있으며, 발판에 차폭등과 같은 부재가 돌출된 경우에도 발판의 간격이 축소됨에 따라 적재베드의 폭이 도로규정에 부합될 수 있다.
또한, 발판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관통부가 커넥터에 의해 이동실린더에 연결되어 가이드봉을 따라 수평이동하므로, 발판이 화물의 폭에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하여 회전을 통해 지면과 적재베드를 연결할 수 있다.
또, 커넥터를 구성하는 발판브래킷이 이동실린더에 결합된 상태로 브래킷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므로 발판의 수평이동이 이중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트레일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판의 조절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용 트레일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용 트레일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용 트레일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발판의 이동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더의 이동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적재베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적재제드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용 트레일러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베드(10), 크로스바(20), 슬라이더(30), 발판(40), 패스너(50) 및 이동실린더(60)를 포함한다.
적재베드(10)는 상면에 화물이 적재되는 구성요소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피동차륜(11)이 이 장착되며, 미도시된 주행차량에 일체 또는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주행차량에 의해 견인되면서 화물을 운송한다.
이러한 적재베드(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수단(15)이 양측에 마련되어 화물의 폭에 따라 확장된다. 여기서 확장수단(15)의 세부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알려진 임의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화물은 전차나 장갑차 또는 중장비로 구성되어 후술되는 발판(40)을 통해 적재베드(10)에 능동적으로 적재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일반화물로 구성되어 크레인이나 운반장비를 통해 적재베드(10)에 적재될 수 있다.
크로스바(2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베드(10)의 후단에 폭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이러한 크로스바(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30)는 후술되는 발판(40)과 함께 크로스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부재로써,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크로스바(20)에 중첩상태로 끼워지며,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바(20)의 양단부에 제각기 마련되어 슬라이더(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된다.
발판(40)은 적재베드(10)의 상면과 지면을 연결하여 중장비나 전차를 적재베드(10)로 안내하는 구성요소로써,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적재베드(10)의 양측에 마련되며, 화물의 폭에 따라 슬라이더(30)와 함께 이동하면서 후술되는 발판실린더(45)의 작동에 의해 편축회전하여 적재베드(10)와 지면을 연결한다. 이러한 발판(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차폭등(49)이 설치될 수 있다.
패스너(50)는 발판(40)을 슬라이더(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동시에 슬라이더(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패스너(50)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51), 가이드봉(53) 및 커넥터(5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관통부(5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40)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발판(40)의 회전중심을 이루면서 발판(40)과 함께 수평이동한다. 이러한 관통부(5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가이드봉(53)이 관통되도록 관통공을 갖는 관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봉(53)은 관통부(51)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발판(40)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부재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적으로 고정되며, 전술한 관통부(51)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관통부(51)에 끼워진다. 즉, 가이드봉(5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51)에 중첩상태로 끼워짐에 따라 발판(40)의 회전축을 이루면서 수평이동하는 관통부(51)를 가이드한다.
커넥터(55)는 이동실린더(60) 및 발판(40)을 연결하여 이동실린더(60)의 구동력을 발판(40)에 전달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에 마련되어 관통부(51)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관통부(51)와 후술되는 이동실린더(60)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넥터(55)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브래킷(55a) 및 브래킷가이드(55b)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발판브래킷(55a)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관통부(51)에 동일체로 고정되어 관통부(51)와 함께 이동하고, 이동실린더(60)가 결합된다.
브래킷가이드(55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발판브래킷(55a)이 끼워짐에 따라 발판브래킷(55a)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브래킷가이드(55b)는 후술되는 발판실린더(45)의 로드(45b)가 연결될 수도 있다.
즉, 발판(40)은 관통부(51) 및 가이드봉(53)에 의해 수평이동이 가이드되는 동시에 발판브래킷(55a) 및 브래킷가이드(55b)에 의해 수평이동이 가이드된다. 따라서, 발판(40)은 좀 더 안정적으로 슬라이더(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동실린더(60)는 발판(4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부재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바디(61)가 크로스바(20)에 고정되고, 로드(63)가 전술한 발판브래킷(55a)에 고정되어 신축하면서 발판(40)을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이동실린더(60)는 도 8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63)의 길이를 신장시키면서 한 쌍으로 이루어진 발판(40)의 간격을 확장시키거나, 도 8의 (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63)의 길이를 축소시키면서 발판(40)의 간격을 축소시킨다.
즉, 이동실린더(6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63)의 길이가 축소된 상태에서 발판브래킷(55a)을 측방으로 가압하여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봉(53)을 따라 관통부(51)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발판(40)의 간격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로 확장(L1)된다.
그리고, 이동실린더(60)는 로드(63)의 길이를 신장시키면서 발판브래킷(55a)을 계속 가압한다. 이때, 관통부(51)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의 측벽을 가압하여 크로스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더(30)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발판(40)의 간격은 도 8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로 확장되면서 최대폭(L2)으로 확장된다.
또한, 이동실린더(60)는 로드(63)의 길이를 축소시키면서 도 7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봉(53)을 따라 관통부(51)를 이동시켜 발판(40)의 간격을 1차로 축소시킨 후, 로드(63)의 길이를 계속 축소시킨다. 이때, 관통부(51)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의 측벽을 가압하여 크로스바(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더(30)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발판(40)의 간격은 도 8의 (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로 축소되면서 최소폭(L3)으로 축소된다.
한편, 본 발명의 트레일러는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스토퍼(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의 일부분을 크로스바(20)에 분리가능하게 구속함으로써 발판(40)의 이동만을 허용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스토퍼(70)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브래킷(71) 및 체결핀(73)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모션브래킷(71)은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의 일측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슬라이더(30)와 함께 이동하며, 슬라이더(30)가 크로스바(20) 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크로스바(20)의 일부분과 중첩된다.
체결핀(73)은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바(20)에 중첩된 모션브래킷(71)을 관통하여 크로스바(20)에 체결되면서 슬라이더(30)를 크로스바(20)에 구속한다.
즉, 슬라이더(30)는 스토퍼(70)에 의해 크로스바(20)에 구속됨에 따라 이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발판(40)은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가 고정된 상태로 가이드봉(53)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만 이동한다.
종합하면, 발판(40)은 모션브래킷(71) 및 체결핀(73)에 의해 슬라이더(30)가 고정됨에 따라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봉(53)의 길이만큼 축소되거나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될 수 있으며, 모션브래킷(71) 및 체결핀(73)의 분리에 의한 슬라이더(30)의 이동에 따라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폭으로 확장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체결핀(73)은 미도시된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면서 모션브래킷(71)에 체결되거나 분리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발판(40)은 전술한 발판실린더(45)에 의해 편축회전하면서 지면과 적재베드(10)의 상면을 연결한다.
발판실린더(4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45a)가 발판(40)에 고정되고, 로드(45b)가 전술한 발판브래킷(55a)에 고정되어 로드(45b)의 길이를 신축시켜서 발판(40)을 회전시킨다. 즉, 발판(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45b)의 길이가 신장됨에 따라 가이드봉(53)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며, 로드(45b)의 길이가 단축됨에 따라 가이드봉(53)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한다.
한편, 전술한 적재베드(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차륜(11)들을 통해 가해지는 노면의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서스펜션(80)이 마련된다.
이러한 서스펜션(80)은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축실린더(81), 어큐뮬레이터(83) 및 유압라인(82)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밸브(8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차축실린더(81)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차륜(11)이 설치된 차축에 제각기 연결되어 피동차륜(11)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며, 미도시된 유압펌프에 의해 신축하면서 피동차륜(11)의 높이를 제어한다.
이러한 차축실린더(81)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라인(82)을 통해 연결되어 유압이 제공되면서 작동한다.
어큐뮬레이터(83)는 차축실린더(81)의 작동을 댐핑하는 구성요소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라인(82)에 마련되어 차축실린더(81)와 연결된다.
이러한 어큐뮬레이터(83)는 차축실린더(81)의 수축에 따라 차축실린더(81)에서 배출되는 유체를 저장하면서 차축실린더(81)를 댐핑하며, 차축실린더(81)의 신장에 따라 유체를 차축실린더(81)에 공급한다.
제어밸브(85)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라인(82)에 개폐가능하게 마련되어 유압라인(82)의 일부분을 개폐함으로써, 차축실린더(81)들로 공급되는 유압을 단속하는 부재이다. 제어밸브(85)는 유압라인(82)에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라인(82)의 절반을 분할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어밸브(85)는 유압라인(82)의 중앙에서 개폐되면서 유압을 단속함으로써, 모든 차축실린더들(81a)(81b)로 유압을 공급하거나 적재베드(10)의 후방에 위치한 차축실린더들(81b)에만 유압을 제공한다.
예컨대, 제어밸브(85)는 평상운행시 유압라인(82)의 중앙을 개방하여 모든 차축실린더들(81a)(81b)로 유압을 공급하면서 적재베드(10)의 하중을 피동차륜들(11a)(11b)로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그리고, 제어밸브(85)는 노면의 구덩이나 진흙탕과 같이 바퀴가 헛도는 장애물에 전방피동차륜들(11a)이 빠졌을 경우, 유압라인(82)의 중앙을 폐쇄하여 후방 차축실린더들(81b)에만 유압을 공급하면서 후방 차축실린더들(81b)의 길이를 신장시킴으로써 적재베드(10)의 하중을 후방피동차륜들(11a)에 집중시키고, 전방피동차륜들(11a)에 가해지는 하중을 주행차량(견인차량)으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적재베드(10)는 전방피동차륜들(11a)에 가해진 하중이 후방피동차륜들(11b) 및 주행차량(견인차량)으로 분산되므로 장애물을 탈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밸브(85)는 후방피동차륜들(11b)이 장애물에 빠졌을 경우에는 전방 차축실린더들(81a)에만 유압을 공급하여 후방피동차륜들(11b)에 가해지는 하중을 전방피동차륜들(11a) 및 주행차량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적재베드(10)를 장애물에서 탈출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발판(40)은 예컨대, 전차와 같이 차륜의 폭이 큰 화물이 적재베드(10)에 적재될 경우,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실린더(60)의 작동에 의해 발판의 간격(L2)이 확장된다.
이때, 슬라이더(30)는 스토퍼(70)가 분리되며, 발판(40)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실린더(60)의 로드(63)에 의해 가이드봉(53)을 따라 이동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로 확장된 후, 로드(63)의 계속적인 가압에 의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바(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 8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40)의 간격(L2)을 2차로 확장시킨다.
그리고, 발판(40)은 발판실린더(45)의 작동을 통해 가이드봉(53)을 중심으로 편축회전하여 화물을 적재베드(10)로 안내한다.
이와 달리, 발판(40)은 예컨대 장갑차와 같이 차륜의 폭이 작은 화물이 적재베드(10)에 적재되거나 고속도로의 주행을 위하여 차폭등(49)의 간격을 적법한 간격으로 좁힐 경우, 도 8의 (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실린더(60)의 작동에 의해 발판(40)의 간격(L3)이 축소된다.
이때, 슬라이더(3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바(20)에 밀착된 상태로 스토퍼(70)에 의해 이동이 고정되며, 발판(40)은 이동실린더(60)의 로드(63)에 의해 가이드봉(53)을 따라 이동하여 도 8의 (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L3)이 축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용 트레일러에 의하면, 발판(40)이 슬라이더(30)와 함께 이동하는 동시에 슬라이더(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므로 슬라이더(30)의 이동에 의한 발판간격의 확장은 물론 발판(40)의 이동에 의한 발판간격의 축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차나 중장비와 같은 대형화물은 물론 장갑차와 같이 차륜의 폭이 좁은 화물도 적재할 수 있으며, 발판(40)에 차폭등(49)과 같은 부재가 돌출된 경우에도 발판(40)의 폭이 축소됨에 따라 도로규정에 부합될 수 있다.
또한, 발판(4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관통부(51)가 커넥터(55)에 의해 이동실린더(60)에 연결되어 가이드봉(53)을 따라 수평이동하므로, 발판(40)이 화물의 폭에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하여 회전을 통해 지면과 적재베드(10)를 연결할 수 있다.
또, 커넥터(55)를 구성하는 발판브래킷(55a)이 이동실린더(60)에 결합된 상태로 브래킷가이드(55b)에 의해 가이드되므로 발판(40)의 수평이동이 이중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30)가 스토퍼(70)에 의해 크로스바(20)에 분리가능하게 구속됨에 따라 발판(40)의 이동만이 가능하므로 발판(40)의 이동을 단계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덧붙여, 스토퍼(70)를 구성하는 모션브래킷(71)이 크로스바(20)에 중첩상태로 체결핀(73)에 의해 고정되므로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 적재베드 11 : 피동차륜
20 : 크로스바 30 : 슬라이더
40 : 발판 45 : 발판실린더
49 : 차폭등 50 : 패스너
51 : 관통부 53 : 가이드봉
55 : 커넥터 55a : 발판브래킷
55b : 브래킷가이드 60 : 이동실린더
61 : 실린더바디 63 : 로드
70 : 스토퍼 71 : 모션브래킷
73 : 체결핀 80 : 서스펜션
81 : 차축실린더 82 : 유압라인
83 : 어큐뮬레이터 85 : 제어밸브

Claims (3)

  1. 화물차량의 주행차량에 연결되고, 다수의 피동차륜이 장착됨에 따라 상기 주행차량에 의해 이동하며, 상면에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베드;
    상기 적재베드의 일측에 상기 적재베드의 폭방향을 따라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크로스바;
    상기 크로스바의 양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각기 결합되어 상기 크로스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적재베드의 상면과 지면을 연결하는 발판;
    상기 발판을 상기 슬라이더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하면서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패스너; 및
    상기 크로스바에 일단부가 결합된 상태로 신축하면서 상기 패스너를 통해 상기 발판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발판을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거나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패스너는,
    상기 발판의 일단부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발판의 회전중심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기 발판과 함께 수평이동하며, 관통공을 갖는 관통부;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관통부의 관통공에 끼워져서 상기 발판의 회전축을 이루면서 상기 관통부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 및
    상기 이동실린더 및 상기 발판을 연결하여 이동실린더의 구동력을 발판에 전달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화물용 트레일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관통부에 일단부가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더에 타단부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동실린더의 타단부가 결합되는 발판브래킷; 및
    상기 슬라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발판브래킷의 타단부가 끼워져서 상기 발판브래킷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브래킷가이드;를 포함하는 화물용 트레일러.
KR1020120102882A 2012-09-17 2012-09-17 화물용 트레일러 KR101314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882A KR101314396B1 (ko) 2012-09-17 2012-09-17 화물용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882A KR101314396B1 (ko) 2012-09-17 2012-09-17 화물용 트레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4396B1 true KR101314396B1 (ko) 2013-10-04

Family

ID=49637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882A KR101314396B1 (ko) 2012-09-17 2012-09-17 화물용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439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912B1 (ko) * 2015-08-28 2016-06-07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가변형 트레일러
WO2017196054A1 (ko) * 2016-05-10 2017-11-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동식 방호 울타리
KR101851197B1 (ko) * 2018-03-05 2018-06-07 아이씨피 주식회사 안전하게 수송할 수 있는 전차 운반용 저상 트레일러.
KR101862853B1 (ko) * 2018-03-05 2018-07-05 아이씨피 주식회사 발판의 폭 조절수단이 개선된 전차 운반용 가변형 트레일러
KR102176784B1 (ko) 2020-08-12 2020-11-09 김종목 트레일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153B1 (ko) * 2009-08-12 2010-03-25 스틸로지스 주식회사 화물운반용 트레일러
KR20120003927U (ko) * 2010-11-26 2012-06-05 한국특장차주식회사 슬라이드형 로우베드 트레일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153B1 (ko) * 2009-08-12 2010-03-25 스틸로지스 주식회사 화물운반용 트레일러
KR20120003927U (ko) * 2010-11-26 2012-06-05 한국특장차주식회사 슬라이드형 로우베드 트레일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912B1 (ko) * 2015-08-28 2016-06-07 대흥중공업 주식회사 가변형 트레일러
WO2017196054A1 (ko) * 2016-05-10 2017-11-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동식 방호 울타리
KR101851197B1 (ko) * 2018-03-05 2018-06-07 아이씨피 주식회사 안전하게 수송할 수 있는 전차 운반용 저상 트레일러.
KR101862853B1 (ko) * 2018-03-05 2018-07-05 아이씨피 주식회사 발판의 폭 조절수단이 개선된 전차 운반용 가변형 트레일러
KR102176784B1 (ko) 2020-08-12 2020-11-09 김종목 트레일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396B1 (ko) 화물용 트레일러
CN102858593B (zh) 装载有平台的拖车的枢转平台组件及使用方法
CA2763798C (en) Semi-trailer for transporting circular objects
US20150375663A1 (en) Trailer apparatuses
US8262118B2 (en) Vehicle power unit and body unit system
JP5541633B2 (ja) セミトレーラのサイドバンパ
KR20140094969A (ko) 철도 레일 하화장비
CN103182976A (zh) 自卸半挂车
GB2410221A (en) Trailers for carrying containerised loads
KR101898363B1 (ko) 프레임 지지체
US7841604B2 (en) Detachable trailing tag axle
JP2001063963A (ja) クローラー搭載式クレーン
US4434994A (en) Boom axle
US3414148A (en) Power loading semi-trailer
CN105015397A (zh) 液压爬梯
GB2523809A (en) Trailer
IE20160222A1 (en) A sliding bogie trailer
CN203864533U (zh) 工程机械运输车的折叠跳板
CN203864535U (zh) 一种带平移限位的低平板车
EP3141422B1 (en) A sliding bogie trailer
JP2004331032A (ja) 超長尺貨物輸送車両、走行回動台車
AU2009203202B2 (en) A vehicle having a ramp arrangement
JP2007269069A (ja) コンテナ積載用セミトレーラ
CN204641925U (zh) 一种履带式装载车
CN111727134B (zh) 用于运输车辆的底盘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