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705B1 - 강체 접이식 루프를 구비한 컨버터블 차랑용 후방 패키지선반 시스템 - Google Patents

강체 접이식 루프를 구비한 컨버터블 차랑용 후방 패키지선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705B1
KR100947705B1 KR1020047021729A KR20047021729A KR100947705B1 KR 100947705 B1 KR100947705 B1 KR 100947705B1 KR 1020047021729 A KR1020047021729 A KR 1020047021729A KR 20047021729 A KR20047021729 A KR 20047021729A KR 100947705 B1 KR100947705 B1 KR 100947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hood
loop
componen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1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6660A (ko
Inventor
제라드 께보
폴 께보
쟝 마르크 귀이예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외로뺀느 드 브르베 오토모빌-세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외로뺀느 드 브르베 오토모빌-세바 filed Critical 소시에떼 외로뺀느 드 브르베 오토모빌-세바
Publication of KR20050046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20Vehicle storage compartments for roof parts or for collapsible flexible tops
    • B60J7/202Vehicle storage compartments for roof parts or for collapsible flexible tops being characterised by moveable cover parts for closing the gap between boot lid and rearmost seats
    • B60J7/203Vehicle storage compartments for roof parts or for collapsible flexible tops being characterised by moveable cover parts for closing the gap between boot lid and rearmost seats the cover part comprising cover side fl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26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non plate-like elements, e.g. for convertibl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26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non plate-like elements, e.g. for convertible vehicles
    • B60J7/028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non plate-like elements, e.g. for convertible vehicles the sliding movement being combined with a pivot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20Vehicle storage compartments for roof parts or for collapsible flexible tops
    • B60J7/202Vehicle storage compartments for roof parts or for collapsible flexible tops being characterised by moveable cover parts for closing the gap between boot lid and rearmost seats

Abstract

본 발명은 강체 접이식 루프를 구비한 컨버터블 차량을 위한 후방 소화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수축가능한 제1 선반(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루프(2)가 닫힘위치에 있을 때 후방 부트(boot)(11)의 본네트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제2 선반(21)과, 상기 루프(2)가 접힘위치에 있을 때 해당 좌석(9)의 백(8)과 상기 본네트의 전방 모서리(24) 사이의 공간을 채우기 위하여 차량의 전방으로 상기 제2 선반(21)을 이동 및 안내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강체 접이식 루프, 컨버터블 차량, 후방 패키지 선반 시스템, 후드

Description

강체 접이식 루프를 구비한 컨버터블 차랑용 후방 패키지 선반 시스템{REAR PACKAGE SHELF SYSTEM FOR A CONVERTIBLE VEHICLE WITH A HARD FOLDING ROOF}
본 발명은 트렁크에 접혀지는 강체 루프를 구비한 컨버터블 차량의 후방 패키지 선반 시스템과 상기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후방 패키지 선반 시스템은 정상 위치에 있을 때 해당 좌석의 백(back) 뒤에 위치한 공간을 덮는데 접합한 선반 혹은 트레이와, 상기 루프의 구성부를 차량의 후방 트렁크 내부의 접힘 위치로 통과시키도록 상기 선반을 정상 위치와 수축 위치 사이에서 변위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루프의 구성부를 일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통과시킨 후에 실질적으로 수평의 정상 위치로 되돌아오는 상기 선반은 차량의 후방 트렁크의 후드의 전방 모서리로 연장 형성되는 후방 모서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따라서 상기 선반은 루프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루프 후방 구성부의 후방 모서리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패키지 선반 시스템은 차량이 2개 문을 구비한 세단형 자동차 구성에 해당하는 루프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선반과 후방 루프 구성부의 후방 모서리 사이에 발생하는 일정한 작동에 대해 비난하는 사용자들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한다.
상기 선반이 후방 루프 구성부의 후방 모서리에 제한이 되면, 루프가 후방 트렁크 내부의 닫힘 위치에 있을 경우 선반과 후방 트렁크의 후드의 전방 모서리 사이의 공간은 남아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패키지 선반 시스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 문을 구비한 세단형 구성과 컨버터블 구성을 갖춘 차량 모두에서 좌석의 백 뒤에 위치한 공간을 완전히 덮을 수 있는 전술한 유형의 후방 소화물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유형의 상기 후방 패키지 시스템은 상기 후드 하부에 부착되고, 루프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차량의 승객용 칸 위에서 전체적으로 후드 하부에 위치하도록 적응된 제2선반 혹은 트레이와, 루프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후드의 적어도 일부에서 전방 모서리를 돌출 형성시켜, 해당 좌석의 백과 상기 후드의 전방 모서리 사이의 공간을 채우기 위해 상기 제2선반을 차량 전방으로 변위시키고 안내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제1 선반은 차량이 2개 문을 구비한 세단형 구성일 경우에 좌석 백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덮을 수 있는 반면, 제2 선반은 차량이 컨버터블 구성일 경우 상기 공간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루프는 후방 트렁크 내부에 접혀 있다.
다른 중요한 특성에 따르면, 트렁크 내부로 접근하기 위하여 후드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회동하거나, 루프가 접혀진 상태에서 루프를 트렁크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에 각각 보관하기 위해 전방에서 후방으로 후드를 회동하도록 전후방 회동 그룹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후드가 전방과 후방으로 회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선반은 병진운동을 통해 상기 후드 아래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가변형 차량의 기능성과 품질을 향상시켜 '배럴(barrel)'형 차량에 대한 것보다 더 실행 가능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루프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제1 선반은 후방 루프 구성부 아래에 보관될 수 있도록 후방 모서리 근처에 위치한 축을 중심으로 상방향과 후방향로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트렁크에 짐이 실려있어도 루프가 후방 트렁크에 접히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차량의 각 측면의 제2선반이 후방 트렁크의 후드 아래에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각각의 안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운반대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고, 제2선반이 그 연장 위치에 밀접하게 도달했을 때, 후드의 전방 모서리에 압착될 수 있게 선반의 후방을 위로 이동시키기에 적합한 수단을 통해 상기 제2선반은 각 운반대에 대해 상대적으로 장착되어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들은 후술하는 내용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루프가 그 연장 위치에 있고 후방 트렁크의 후드는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방 패키지 선반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후방부의 절단면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루프를 그 접힘 위치에서 트렁크 내부로 통과시키도록 후방 트렁크의 후드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짐이 트렁크에 실리도록 후방 트렁크의 후드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그 개방 위치에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1과 유사한 부분도로서, 루프가 차량의 후방 트렁크 내부의 연장 위치에 위치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후방부의 평면도.
도 6은 제 2선반이 그 연장 위치에 밀접한 위치에 있을 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선반을 변위시키고 안내하는 수단을 도시한 도 1을 상세하게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6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제2선반이 그 연장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제2선반을 변위시키고 안내하는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2선반이 후방 트렁크의 후드 하부의 저장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2선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제2선반이 그 저장 위치에 있음을 도시 한 도면.
도 11은 제2선반이 도 6에서 도시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2선반을 변위시키고 안내하는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2는 도 11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제2선반이 도 7에 도시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제2선반을 변위시키고 안내하는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 개략도.
도 14는 도 13의 XIV-XIV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 단면도.
도 15는 제2선반이 트렁크 내부의 저장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2선반을 변위시키고 안내하는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평면도.
도 16은 도 15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제2선반이 연장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도 15의 XVII-XVII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도.
도 18은 도 17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도 17에 도시된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제2선반을 변위시키고 안내하는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평면 개략도.
도 20은 도 19의 상세도로서, 제2선반이 차량의 후방 루프의 후드 아래의 저장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도 20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제2선반이 연장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 시한 도면.
도 22는 도 20의 XXII-XXII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도.
도 23은 제2선반이 그 연장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2선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4는 도 3의 XXIV-XXIV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도.
도 25와 도 26은 텔레스코픽 측면 암으로 구동되는(각각 후방 수축 위치와 전방 연장위치로) 제2 이중선반의 다른 실시예를 투시 효과로 도시한 도면.
도 27은 양 방향으로 회동하는 후드용 회동/잠금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28과 도 29는 2개의 접합 부분을 구비한 트렁크 후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 내지 도 5은 후방 루프 구성부(3)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방 루프 구성부(4)로 이루어진 접이식 강체 루프(2)를 구비한 컨버터블 차량(1)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차량(1)은 정상 위치에서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루프의 닫힘 위치에 해당하는 해당 좌석(9)의 백(8)과 후방 루프 구성부(3)의 하부 후방 모서리(10) 사이의 공간(7)을 덮는 제1 선반(6)을 포함한다.
후방 패키지 선반 시스템(5)은 루프(2)의 구성부(3)(4)가 차량(1)의 후방 트렁크(11) 내부의 접힘 위치로 통과할 수 있도록 제1 선반(6)을 수축위치로 자체 이동시키는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후방 트렁크(11)는 루프 구성부(3)(4)를 후방 트렁크(11) 내부의 닫힘 위치까지 통과시키도록 도 2의 화살표(13) 방향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개방될 수 있는 후드(12)에 의해 닫힌다.
또한, 후드(12)는 차량의 후방에서 수화물과 다른 짐을 후방 트렁크(11)에 싣기 위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화살표 14 방향으로 후방에서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후드를 전방과 후방, 이중적으로 회동시킬 수 있게, 후드는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이 후방 트렁크 후드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그리고 전방에서 후방으로 각각 회동시키는 전후방 회동 그룹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후드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프랑스 특허 출원 FR-B-2,777,24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출원에서, 각 회동 그룹은 후드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혹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게 후드를 잠그거나 결합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잠금 장치이다. 이 회동 그룹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유형의 다른 후방 트렁크 후드에 대해서는 프랑스 특허 출원 FR 0201232 (2002년 2월 1일)에 개시되어 있다.
2개의 전방 회동/잠금 조립체 혹은 그룹(131) (도 27에 도시된 참조번호 131)은 후방 트렁크의 후드(12)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적응되어 있으며, 2개의 후방 회동/잠금 조립체(132)(131과 동일할 수 있다)는 상기 후드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적응되어 있다. 각 회동 조립체는 차량의 본체(135)에 고정된 베이스(133)와, 힌지 형성 부재(139)를 통 해 후방 트렁크의 후드(12)에 연결되고,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제 2 조립 구성부(143)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적응되어 해당 베이스(133)의 일부를 이루는 제1 조립 구성부(141)로 구성된다. 유리하게 동력을 전달받는 후크(144)는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이 되며, 상보 지지 구조(145)에 지지되고 후드의 회동 운동의 단부를 해당 닫힘 위치까지 안내하기 위해서 제1조립체 구성부(141)의 상보 지지 구조(145)와 결합된다.
또한, 각 회동 조립체의 힌지 형성 부재(139)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2개의 연결봉(147)을 포함하는데, 상기 2개의 연결봉(147)은 후드(12)의 일단에서 결합이 되고, 해당 제1 조립 구성부에 견고하게 부착된 암(149)에 두 개의 연결봉(147)의 타단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후드(12)는 단일체이지만, 도 28 및 도 29의 도면부호 220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후드부로 구성될 수 있다. 후드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개방될 때, 이러한 후드는 케이스 내부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2개의 구성부품(221)(22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부 중 하나인 구성부(221)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다른 구성부과 이격되어 있다. (도 28의 화살표 F 참조)
두 개의 구성부(221)(223)로 형성되는 조립체는 한편으로는 후드 전방에 위치한 조인트(227)로 차량의 섀시(225)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상기 조립체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전시키며, 다른 한편으로는 후드의 뒤에 위치한 록(229)으로 이 같은 섀시에 조립체가 잠기도록 한다. 구성부(221)는 제2 구성부(223)의 후방에 밀접 하게 위치한 축(231)을 따라 제2 구성부(223)에 결합이 되고, 양 구성부의 전방과 긴밀하게 위치한 슬라이딩 록(233)에 의해 제2 구성 부품(223)에 잠겨진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성부는 제2 구성부 전방에 구비된 리세스(recess)(223a)를 덮음으로써, 후드가 닫혔을 경우에,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2개의 측면 돌기부(224a)(224b)를 구비한다.
구성부(5)는 타 구성부(6)의 후방에 긴밀하게 위치한 축(10)을 따라 회동되는데, 이 회동은 제1 구성부(5)에 견고하게 부착된 톱니형 세그먼트(13)을 구동시키는 모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4 참조).
구성부(221)의 회동은 실린더(235)로 제어될 수 있다.
트렁크(11)에 접근하기 위해, 록(lock)(229)이 해제되고, 슬라이딩 록(233)으로 함께 잠겨 있는 양 구성부(221)(223)로 형성되는 짐 칸이 올려 진다. 따라서 짐 칸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회동된다.
트렁크에 루프(2)를 저장하려면, 록(233)(바람직하게 모터 구동되는)이 해제된다. 상기 제어는 구성부(221)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동시켜, 리세스(223a) 부분을 비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 루프 구성부(3)은 후방 트렁크(11)에 미끄러져 저장이 되도록 적응되어 있으며, 차량의 몸체에 견고하게 부착된 슬라이드(16)을 따라 이동하도록 적응된 롤러(15)를 최소한으로 포함하고, 이 때 전방 루프 구성부(4)는 그 자체로 공지되었으나 도시되지 않은 적응 수단에 의해 트렁크(11)의 내부로 안내된다.
본 발명은 차량(1)의 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후방 루프 구성부로 이루어진 접이식 루프의 케이스에 적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방 패키지 선반 시스템(5)은, 도 4에서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가 접힘 위치에 있을 때, 해당 좌석(9)의 백(8)과 후드(12)의 전방 모서리(24) 사이의 공간(23)을 채우기 위해 제2 선반(21)을 화살표(22) 방향인 차량의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안내시키는 수단과,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루프의 닫힘 위치에서 상기 후드(1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적응된 제2 선반(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선반(21)의 연장 위치는 도 4에 점선으로 도시화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선반(21)은, 화살표(22)로 도시되어 있듯이, 차량(1)의 길이 방향으로 제1 선반(6)보다 더 길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루프(2)가 도 4의 접힘 위치에 있을 때, 제1 선반(6)은 화살표(25)의 방향으로 후방 루프 구성부(3)에 대해 상대적이게 축(26)을 중심으로 상방향과 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후방 루프 구성부(3) 아래에, 특히 후방 창문(미도시) 아래에 저장되도록 적응되기 위해 그 후방 모서리(27) 근처에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정상 수평 위치에 있는 제1 선반(6)은 그 전방 모서리(28)과 함께 적어도 1개 이상의 멈추개(29)에 놓여 있고, 후방 루프 구성부(3)에 견고하게 부착된 스프링(30)으로 멈추개(stop)(29)에 얹혀 있는 위치에 영구히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가 접힘 위치에 있을 때, 제1 선반(6)은 스프링(30)의 작용에 반하여(도 4 참조) 제1 선반(6)을 후방 루프(30)로 회동시켜 버리는 제2 멈추개(31)에 의해 제지되어 있다.
수축되는 선반에 대한 다른 공지된 구성 역시 제1 선반(6)으로써 고려될 수 있다.
차량의 길이 방향(22)의 상기 제2 선반(21)의 크기는 후방 트렁크(11)의 후드(12)의 해당 크기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런 경우, 제2 선반(21)은 전방 구성부(21a)와, 전방 구성부(21a)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성을 가진 후방 구성부(21b)을 구비하여 후드(12) 하부에 완전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소화물 시스템(5)은 제2 선반(21)이 화살표(32) 방향인 후방을 향해 후드(12) 하부의 저장 위치로 움직이면, 전방 구성부(21a)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방 구성부(21b)을 이동시키고, 제2 선반(21)이 화살표(22)의 방향인 전방 연장 위치를 향해 움직이면, 실질적으로 전방 구성부(21a)에 정렬된 상기 후방 구성부(21a)을 제 자리로 위치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후방 구성부(21b)는 전방 구성부(21a)의 후미에 회동 가능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4,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 구성부(21b)는 그 선단(33)에서 차량(1)의 횡 방향(35)에 평행한 축(34)에 접합되고, 제 2 선반(21)의 전방 구성부(21a)에 지탱된다.
후방 구성부(21b)은 그것의 상면과 후부 가장자리에서 돌출부(37)를 갖는데, 상기 돌출부(37)는 후드(12) 하부에 고정된 캠면(38)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적응되어 있으며, 제2 선반(21)이 차량의 후방에서 후드(12) 아래의 저장 위치로 이동할 때, 전방 구성부(21a)를 후방 구성부(21b)에 정렬되는 위치로 올리도록 형성된 반대 스프링(40)의 작용에 반하여 후방 구성부(21b)를 화살표(39) 방향인 하방향으로 회동시켜 버리도록 하방향과 후방향으로로 연장형성 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1)의 각 측의 제2 선반(21)은 길이방향으로 후방 트렁크(11)의 후드(12) 아래에 실질적으로 연장된 각 안내부(42)를 따라 이동하는 운반대(41)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이 실시예에서, 운반대(41)는, 운반대(41)에 대해 상대적으로, 외팔보로써 제2 선반(21)의 전방 구성부(21a)의 앞 가장자리까지 전방으로 연장된 암(43)을 포함한다. 상기 암(43)은 그 선단에서 횡 방향(35)에 평행한 축(45)을 가지며, 그 축(45)에서 제2 선반(21)의 전방 모서리(44)와 접합된다.
제2 선반(21)의 후방 구성부(21b)는 그 후방 가장자리의 하면에서 제2 선반(21)이 연장 위치에 긴밀하게 도달했을 때 제2 캠면(47)과 접촉하도록 적응된 접촉자(46)로 받쳐진다.
제2 캠면(47)은 반대 스프링(40)으로 지지되고 있는 후방 구성부(21b)를 제1 구성부(21a)와 힘으로 정렬시키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2 구성부(21) 전체가 후방에서 들어 올려져서, 제2 선반(21)이 연장 위치에 도달할 때, 제2 구성부(21a)가 도 7에서 도시된 수요가 많은 실질적으로 수평한 위치에 위치할 때까지 축(45)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 때, 운반대(41)는 실질적으로 안내부(42)의 선단에 위치한다.
당연히, 스프링(40)과 축(45)은 후방 구성부(21b)가 전방 구성부(21a)와 정렬되는 위치에 영구히 향하도록 위치해 있다.
따라서, 제2 선반이 그 연장 위치에 가깝게 도달하고 이 위치에 도착했을 때 제2 선반(21)의 후방을 후드(12)의 전방 모서리(24)에 압착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선반(21)의 후방의 전방 변위를 가능케 하도록 적응된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2 선반(21)은 각 운반대(41)에 대해 상대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여러 다른 구성 또한 상기와 같은 기능을 이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 구성부(21b)는 그 하면에서 후드(12)가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Z'모양의 슬라이드(49)와 결합된 핑거(48)를 가진다. 상기 슬라이드(49)는 실선으로 도시된 그 연장 위치로부터 점선으로 도시된 후드(12) 하부의 저장 위치까지 제2 선반(21)을 다음과 같이 안내한다. 후방향과 하방향으로 향하는 제1 영역에서는 제2 선반(21)이 후드(12)의 상부 모서리(24)로부터 이동하게 되고, 안내부(42)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영역에서는 제2 선반(21)이 후드(12)의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후방향과 하방향으로 향하는 마지막 영역에서는 전방 구성부(21a)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방 구성부(21b)를 전술한 화살표(39)의 방향인 하방향으로 회동시켜 버린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부(42)는 운반대(41)가 포함하는 롤러(50)(51)가 와서 미끄러지는 슬라이드이다.
도 11과 도 12에서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선반(21)의 전방 구성부(21a)은 타단이 운반대(41)에 각각 접합된 양 조인트 암(52)(53)의 일단에 접합 연결되어 있다. 제2 선반(21)이 그 연장 위치에 밀접하게 도달하면, 접촉자(46)는 제 2 캠면(47)과 협동하여 제 2 4선반(41)의 후방을 위로 회동시킨다.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선반(21)의 후방 구성부(21b)는 외팔보로써 차량 전방을 향해 연장된 암(54)를 포함한다. 상기 암(54)는 제2 선반(21)의 전방 구성부(21a)가 포함하는 슬라이드(57)에서 미끄러지는 2개의 롤러 (55)(56)을 포함한다. 후방 구성부(21b)와 전방 구성부(21a) 사이에 장착된 스프링(58)은 후방 구성부를 차량의 뒤로 영구히 위치시킨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구성부(21b)가 후드(12) 하부의 저장 위치에 있을 때, 제2 선반(21)의 전체 길이의 크기를 제한하기 위해서 스프링(58)의 작용에서 반하여 전방 구성부(21a)에 대해 상대적이게 하부 구성부(21b)가 전방 미끄러짐 위치를 차지하게 하는 후드(12)에 포함된 걸림부(59)와 하부 구성부(21b)가 접촉한다.
도 10에 도시된 제2 선반(21)의 연장 위치에서, 스프링(58)의 작용을 받는 후방 구성부(21b)는 전방 구성부(21a)에 대해 상대적으로 뒤로 물러난 위치를 차지한다. 상기에서 전술한 마지막의 실질적으로 수평한 연장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 제 2 캠면(47)을 따라 미끄러지는 접촉자(46)는 제 2 선반(21)을 축(45)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동시킨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안내부(42)는 제2 선반(21)이 후드(12) 하부의 저장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만 이동시키는 거리와 최소한의 동일한 길이를 가진 잇대어진 레일이나 슬라이드로 형성된다.
각 운반대(41)은 공지된 수단에 의해 해당 안내부(42)를 따라 구동된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60)는 제2 선반(21)의 전방 구성부(21a) 하부에 고정되어 있고, 안내부(42)에 견고하게 부착된 톱니 막대(63)와 치합되는 톱니바퀴(62)에 플렉스(flex)(61)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15 내지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안내부(42)는 제2 선반(21)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그리고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텔레스코픽 암(70)으로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텔레스코픽 암(70)은 일반적으로 'C' 모양의 단면을 가진 세 개의 영역을 포함하는데,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내부에 딱 맞게 포개어지며, 제2 선반(21)의 전방 구성부(21a)는 마지막 영역에 고정이 되거나 상기 마지막 영역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각 영역은 인접하는 영역의 외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각 영역은 차량의 내부를 향하는 개구부를 가진다.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각 영역은 선행하는 영역의 내부로 미끄러지도록 적응되어 있다.
선반(21)의 전방 구성부(21a)를 후드(12) 하부의 저장 위치에서 연장위치로 그리고 반대로 움직이기 위해서, 접합된 암(71)은 한 쌍의 변형가능한 캘리퍼스를 형성하기 위해서 회전의 수직축(74)을 통해 서로가 연결된 제1 레그(leg)(72)와 제2 레그(73)를 포함한다.
제1 레그(72)의 자유단은 회전의 수직 축(77)을 통해 운반대(41)의 전방에 고정되어 있다.
접합된 암(71)은, 예를 들어, 후방 트렁크(11)의 후드(12) 아래에 고정된 실린더(78)로 작동되고 접합된 암(71)의 제1 레그(72)에 연결된다.
제1 선반(6)은 차량(1)의 횡 방향(35)으로 후측부 패널(82)의 각 내측 트림(trim)(81) 사이에 유효 공간에 해당하는 횡 면적을 가진다.
반대로, 상기와 같은 횡 방향(35)의 제2 선반(21)은 루프(2)가 접힘 위치에 있을 때 후측부 패널(82)에 의해 상기 자유 공간을 덮을 수 있도록 제1선반(6)보다 더 큰 면적을 가져야 한다.
도 23과 도 24의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선반(21)이 그 연장 위치에 있을 때, 제2 선반(21)은 차량의 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선반(21) 또는 전방과 후방 구성부(21a)(21b)를 잠그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차량은 컨버터블 구성을 구비한다. 실제로, 상기 제2 선반(21)이 보통 그 선반에 위치되는 다소 무거운 짐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잠금 동작이 요구된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선반(21)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로킹 핑거(85)(86)을 포함한다.
제2 선반이 그 연장 위치에 있을 때, 후방 구성부(21b)의 후방 모서리(87)에 위치한 제1 로킹 핑거(85)는 후방 트렁크(11)의 후드(12)의 전방 모서리(24)에 고정된 제1 스트라이커(88)에 잠겨진다.
상부 모서리(44)에 위치한 제2 로킹 핑거(86)는 해당 좌석(9)의 백(8) 뒤에 위치한 차량의 크로스 멤버(90)에 견고하게 부착된 제2 스트라이커(89)에 잠기게 된다.
여기서 전방 구성부(21a)로 제2 선반(21)에 포함된 모터(91)는 회전 운동을 통해 너트(94)(95)와 베어링 핑거(85)(86)을 각각 반대로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봉 (92)(93)을 회전시킨다.
스트라이커(88)(89)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핑거(85)(8)의 단부는 센터링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끝이 점점 작아지는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이 장점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는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만 대응하는데, 후방 구성부(21b)가 전방 구성부(21a)의 후방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후방 구성부(21b)는 후방 너트(95)에 고정이 되고, 모터(91)는 전방 구성부(21a)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방 구성부(21b)를 미끄러트리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로킹 핑거(85)와 복수개의 로킹 핑거(86)은 또한 이용가능하다. 차량의 횡 방향(35)으로 이동하는 로킹 핑거 역시 구비될 수 있다. 당연하게도,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많은 변경과 수정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가해질 수 있다.
2 개의 구성부(21a)(21b)를 구비한 제2 선반에 속하는 상기 모든 구성 부품은 단일체인 제2 선반(21)에 어떠한 수정없이 그 위치가 바뀔 수 있다.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의 루프 구성부를 포함한 접이식 루프의 경우에도 또한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전술한 양 전방 구성부(3)과 후방 구성부(4) 사이에 삽입되는 제3 중 간 구성부(96)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좌석(9)은 차량의 뒷 자석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에서 전술한 안내 수단과 구동 수단은 공지된 동일한 기능의 수단으로 대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축과 톱니바퀴나 웜 또는 케이블 또는 가요선을 구동시키는 모터, 기압 혹은 유압 실린더, 핸드 케이블 제어기 등이 구동수단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제1 선반(6)은 전술한 구성 부품과 다른 수단에 의해 수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선반은 좌석(9)의 백(8)에 고정된 횡 축을 중심으로 하부로 회동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시스템을 구비한 제2 이중 축 슬라이딩 선반(21)의 다른 실시예가 투시도를 참조하여 나타내어 진다.
후드(12) 아래에 가려진 각 안내부는 3개의 암(101)(102)(103)을 포함한 텔레스코픽 슬라이드(100)를 측면에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1 암(101)은 높인 탭(107)을 통해 제2 선반(21)의 전방 구성부(21a)의 전방(도면의 AVT)에 차량의 종축(111)에 수직인 접합된 축(109)을 따라 연결된다.
도면부호 112와 같이 협동하는 슬라이드와, 상기 제1 과 제3 암이 축방향 병진운동(111)을 하도록 제1 암과 제3암에 고정된 패드(119)(120)와 각각 체결되는 귀환 풀리 시스템(115)(116)과 케이블(113)를 통해 제2 암(103)은 각각 제1 과 제3 암 (101)(105)에 결합되어 있다.
제2 선반이 전방을 향한 연장 위치에 있을 때, 암(103)은 전방 구성부의 후방을 상부로 회동시키도록 제2 선반의 전방 구성부(21a)의 후방(도면의 ARR)쪽에 위치한 측면 핀(125)에 작용하는 캠(123)의 역할을 하는 램프로 구성된다 (도 25 참조).
제3 암(105)는 나사봉(127)과 너트(129)를 통해 제2 암(103)과 더 체결되며, 랙과 피니언 조립체(135)에 연결된 다른 봉(133)을 통해 모터(131)와 체결된다.
또한, 도 9 및 도 10 (롤러와 슬라이드 55, 56, 57)을 참조한 도시와 설명을 예를 들어, 제2 선반(21)의 전방과 후방 구성부(21a)(21b)는 차량의 상기 길이 방향(22)(111)을 따라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발명에서, 제1 선반(6)의 상면은 무광택 외관을 갖춘 반면, 제2 선반(2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택이 날 수 있다. 루프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제2 선반(21)은 후드(12) 아래로 수축되어 제1 선반(6)만이 승객 칸에서 볼 수가 있다는 점에서, 태양에 대해 반사 작용을 발생하는 이 광택 처리는 용인할 만하다. 개방 루프(컨버터블)의 경우에는 후방 창문에 반사에 관한 문제점이 없다.

Claims (12)

  1. 전방 루프 구성부(4)와 후방 루프 구성부(3)를 갖는 접이식 강체 루프(2), 후드(12,220)를 갖는 후방 트렁크(11), 승객 칸, 및 백(back)(8)을 갖는 좌석(9)을 포함하는 컨버터블 차량(1)용 후방 패키지 선반 시스템(5)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후방 루프 구성부에 장착되고, 상기 루프에 의하여 상기 승객 칸이 덮여지는 위치인 정상 위치에서 상기 좌석(9)의 상기 백 뒤에 위치한 공간(7)을 덮기 위한 제1 선반(6);
    상기 후드(12,220) 하부에서 상기 루프(2)의 상기 구성부들(3,4)을 상기 후방 트렁크(11) 내부의 접힘 위치로 통과시키기 위해, 상기 후방 루프 구성부를 향하도록 수축되는 위치로 상기 제1 선반(6)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
    상기 후드(12)의 하부에 부착되고, 상기 루프의 닫힘 위치에서 상기 후드 하부에 전체적으로 위치하게 되는 제2 선반(21); 및
    상기 후드의 적어도 일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수단으로서, 상기 루프의 접힘 위치에서 상기 좌석(9)의 백(8)과 상기 후드(12)의 전방 모서리(24) 사이의 공간을 상기 제2 선반(21)이 채우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루프가 상기 제1 선반(6)과 함께 상기 후방 트렁크(11) 내의 뒤쪽으로 수축되어 있는 때에도 상기 제2 선반(21)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안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후방 패키지 선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전방 회동 그룹(131)(132) 및 후방 회동 그룹(132)(229)(231)을 통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회동하고,
    상기 전방 회동 그룹(131)(132) 및 후방 회동 그룹(132)(229)(231)은 상기 후드를 후방에서 전방으로 회동시켜(pivot) 상기 후드가 상기 트렁크(11) 내부에 접근하도록 하거나, 상기 후드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동시켜 상기 루프가 접힘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트렁크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상기 루프가 저장되도록 하며,
    상기 제2 선반(21)은 상기 후드(12)(220) 하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패키지 선반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반(6)은 상기 루프(2)가 접힘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후방 루프 구성부(3) 하부에 저장되도록 상기 제1 선반의 후방 모서리(27)에 위치한 축(26)을 따라 하방향과 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패키지 선반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반(21)은 상기 차량(1)의 길이 방향(22)(111)으로 상기 후방 트렁크(11)의 후드(12) 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며,
    상기 제2 선반(21)은 전방 구성부(21a)와, 상기 전방 구성부(21a)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후방 구성부(21b)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구성부와 후방 구성부에 의하여 상기 제2 선반이 상기 후드(12)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시스템(5)은,
    상기 제2 선반(21)이 상기 후드(12) 하부의 저장 위치를 향해 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전방 구성부(21a)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후방 구성부(21b)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선반(21)이 연장되는 위치 쪽으로 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전방 구성부(21a)에 정렬된 상기 후방 구성부(21b)를 제자리로 위치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패키지 선반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구성부(21b)는 상기 전방 구성부(21a)의 단부(36)에서 회동가능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패키지 선반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반(21)은 상기 차량의 각 측면에서 상기 후방 트렁크(11)의 후드(12)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각각의 안내부(42)를 따라 이동하는 운반대(41)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패키지 선반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반(21)은 상기 제2 선반(21)이 연장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후드(12)의 전방 모서리(24)에 압착되기 위해서 상기 제2 선반(21)의 후방을 위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통하여 각 운반대(41)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패키지 선반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의 각 안내부(42)는 슬라이드, 랙 또는 레일 중에서 선택되며, 단일체로 형성되거나 텔레스코픽 유형(telescopic type)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패키지 선반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2 선반(21)의 연장 위치에서 각각의 선반 구성부(21a)(21b)를 잠그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패키지 선반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의 각 안내부는 세 개의 암(101)(103)(103)을 포함하는 제1 텔레스코픽 슬라이드(100)를 포함하고, 상기 세 개의 암은,
    - 상기 제2 선반(21)의 전방 구성부(21a)에 부착되는 제1 암(101),
    - 귀환 풀리(return pulleys)(115)(117)에 부착된 케이블(11)과 너트(129)에 부착된 나사봉(127)을 통해 각각 제1 암과 제3 암(105)에 체결되고, 상기 제2 선반(21)의 전방 연장 위치에서, 상기 전방 구성부의 후방을 위로 회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선반의 전방 구성부(21a)에 작용하는 캠(123)을 포함하는 제2 암(103); 및
    - 랙과 피니언 조립체(135)에 부착된 봉(133)을 통해 모터 구동되는 구동 수단(131)과 더 체결되는 제3 암(105)이며,
    상기 제2 선반(21)의 전방 및 후방 구성부들은 상기 차량의 상기 길이 방향(22)(111)과 제2 슬라이드(56)를 따라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패키지 선반 시스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반(6)의 상부면은 무광택 외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선반(21: 21a 및 21b)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택이 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패키지 선반 시스템.
  12. 제1항에 따른 후방 패키지 선반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
KR1020047021729A 2002-07-19 2003-07-10 강체 접이식 루프를 구비한 컨버터블 차랑용 후방 패키지선반 시스템 KR100947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09215 2002-07-19
FR0209215A FR2842467B1 (fr) 2002-07-19 2002-07-19 Systeme de plage arriere pour vehicule decouvrable a toit rigide repli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660A KR20050046660A (ko) 2005-05-18
KR100947705B1 true KR100947705B1 (ko) 2010-03-16

Family

ID=29797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1729A KR100947705B1 (ko) 2002-07-19 2003-07-10 강체 접이식 루프를 구비한 컨버터블 차랑용 후방 패키지선반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093885B2 (ko)
EP (1) EP1525109A1 (ko)
JP (1) JP4235173B2 (ko)
KR (1) KR100947705B1 (ko)
CN (1) CN100346995C (ko)
AU (1) AU2003269017A1 (ko)
DE (1) DE10392430T5 (ko)
ES (1) ES2231049T1 (ko)
FR (1) FR2842467B1 (ko)
SE (1) SE527374C2 (ko)
WO (1) WO20040093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39282B1 (fr) * 2002-05-03 2005-04-22 France Design Systeme de plage arriere escamotable pour vehicule decouvrable a toit repliable
FR2842467B1 (fr) * 2002-07-19 2008-07-18 France Design Systeme de plage arriere pour vehicule decouvrable a toit rigide repliable
DE10234350C5 (de) * 2002-07-28 2012-09-27 Webasto Ag Abdeckvorrichtung für ein ablegbares Dach eines Cabriolets und Cabriolet mit einer derartigen Abdeckvorrichtung
DE10234351B4 (de) * 2002-07-28 2012-10-04 Webasto Ag Cabriolet mit ablegbarem Klappdach
DE10242451B4 (de) * 2002-09-11 2013-11-28 Webasto Ag Hutablage eines Cabriolets
FR2851751B1 (fr) 2003-02-28 2006-06-23 France Design Systeme de plage arriere de vehicule
FR2851753B1 (fr) * 2003-02-28 2005-04-22 France Design Systeme de plage arriere de vehicule
FR2856958B1 (fr) * 2003-07-02 2006-03-03 France Design Capot de coffre arriere a verrouillage a appui constant, et vehicule ainsi equipe
FR2856966B1 (fr) * 2003-07-02 2008-07-04 France Design Capot de coffre arriere a articultion doublement verrouillee pour un vehicule decouvrable a toit repliable
DE10357097A1 (de) * 2003-12-06 2005-06-30 Wilhelm Karmann Gmbh Bewegliche Ablagefläche und Vorrichtung zum Halten einer solchen Ablagefläche sowie Fahrzeug mit einer solchen Ablagefläche und/oder einer solchen Halterung
JP4413068B2 (ja) * 2004-04-28 2010-02-10 ベバスト ジャパン株式会社 車両のルーフ格納構造
DE102004061775A1 (de) * 2004-12-22 2006-07-06 Wilhelm Karmann Gmbh Cabriolet-Fahrzeug mit einer beweglichen Hutablage
DE102005009720A1 (de) * 2005-03-03 2006-09-07 Daimlerchrysler Ag Verdeck für ein Cabriolet-Fahrzeug
US20060255619A1 (en) * 2005-05-16 2006-11-16 Dickie Robert B Retractable hard top for a four door vehicle
DE102005026489B4 (de) * 2005-06-09 2017-11-30 Valmet Automotive Oy Cabriolet-Fahrzeug mit einem in einem Verdeckkasten ablegbaren Dach
DE102005043513B3 (de) * 2005-09-12 2007-03-22 Magna Car Top Systems Gmbh Ablageüberdeckung für ein Steilheckfahrzeug mit offenem Aufbau
DE102005057651B4 (de) * 2005-12-01 2008-02-14 Magna Car Top Systems Gmbh Fahrzeug mit Abdeckanordnung
KR100774680B1 (ko) * 2005-12-08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접이식 루프 차량의 트렁크 리프트 가변 힌지 구조
DE102005060205A1 (de) * 2005-12-14 2007-06-28 Webasto Ag Hutablage eines Cabriolets
DE102006007635B4 (de) * 2006-02-18 2010-04-08 Magna Car Top Systems Gmbh Dach für einen Personenkraftwagen
FR2910386B1 (fr) * 2006-12-22 2009-02-06 Heuliez Sa Vehicule a plage mobile a organe de contact doux.
FR2923755B1 (fr) 2007-11-20 2009-12-18 Heuliez Toit escamotable avec tablette.
US7594688B1 (en) * 2008-06-25 2009-09-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Clip device for balancing opposing variation in a tripartite trim stackup
US8225465B2 (en) 2008-06-27 2012-07-24 Snik Llc Headset cord holder
US8695170B2 (en) * 2008-06-27 2014-04-15 Snik Llc Headset cord holder
JP5245610B2 (ja) * 2008-07-28 2013-07-2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パネル移動装置
ES2421436T3 (es) * 2010-11-24 2013-09-02 Fiat Group Automobiles Spa Vehículo con un estante de carga para un compartimiento de equipajes de vehículo
US8544929B2 (en) * 2011-06-02 2013-10-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package tray for reclining/folding rear seats
US9167329B2 (en) 2012-02-22 2015-10-20 Snik Llc Magnetic earphones holder
US10207656B2 (en) 2014-08-12 2019-02-19 Dura Operating, Llc Composite modu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0275A1 (en) * 2004-06-21 2005-12-22 Nissan Motor Co., Ltd. View adjustment method and view adjustment device for a vehicle
US20060001286A1 (en) * 2004-07-02 2006-01-05 Gerard Queveau Device for protecting objects disposed in the rear trunk of a motor vehicle having a retractable roof
US7093885B2 (en) * 2002-07-19 2006-08-22 Heuliez Rear parcel shelf system for a convertible vehicle with a hard folding roof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2042A (en) * 1957-10-17 1961-07-11 Gen Motors Corp Vehicle closure
DE4445941C1 (de) 1994-12-22 1996-03-28 Daimler Benz Ag Hardtop-Fahrzeug
DE19613917C2 (de) * 1996-04-06 1998-01-15 Daimler Benz Ag Abdeckanordnung für einen im Heckbereich eines Fahrzeugs angeordneten Verdeckkasten
FR2777240B1 (fr) * 1998-04-09 2000-06-09 France Design Coffre arriere pour vehicule decouvrable a toit repliable, comprenant une malle arriere et une plage arriere
FR2777241B1 (fr) * 1998-04-09 2000-06-09 France Design Malle arriere pour vehicule decouvrable a toit repliable, cette malle pouvant s'ouvrir de l'arriere vers l'avant et de l'avant vers l'arriere
US6217104B1 (en) * 1999-06-16 2001-04-17 Cts Fahrzeug Dachsysteme Gmbh Retractable hard top module
EP1092580B1 (de) * 1999-10-12 2002-11-13 Dura Convertible Systems GmbH Versenkbares Hardtop für Kraftfahrzeuge sowie Kraftfahrzeug mit Hardtop
JP4292354B2 (ja) * 1999-10-19 2009-07-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パッケージトレイ
JP3523816B2 (ja) * 1999-10-19 2004-04-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ラッゲージパネル開閉装置
FI109777B (fi) * 2000-03-23 2002-10-15 Valmet Automotive Oy Kansi avoauton katon säilytystilan peittämiseksi ja avoauto
DE10039683B4 (de) * 2000-08-14 2005-02-24 Wilhelm Karmann Gmbh Cabriolet-Fahrzeug
DE10050286B4 (de) * 2000-10-10 2004-08-05 Cts Fahrzeug-Dachsysteme Gmbh Mehrteilige Abdeckung für Fahrzeuge
WO2002043310A2 (en) * 2000-10-20 2002-05-30 Wavexpress, Inc.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relevant interactive content to a broadcast display
DE10217915C5 (de) * 2002-04-23 2008-10-09 Wilhelm Karmann Gmbh Cabriolet-Fahrzeug mit zumindest einem starren rückwärtigen Dachabschluß
FR2839282B1 (fr) * 2002-05-03 2005-04-22 France Design Systeme de plage arriere escamotable pour vehicule decouvrable a toit repliable
DE10234350C5 (de) * 2002-07-28 2012-09-27 Webasto Ag Abdeckvorrichtung für ein ablegbares Dach eines Cabriolets und Cabriolet mit einer derartigen Abdeckvorrichtung
DE10234351B4 (de) * 2002-07-28 2012-10-04 Webasto Ag Cabriolet mit ablegbarem Klappdach
DE10242451B4 (de) * 2002-09-11 2013-11-28 Webasto Ag Hutablage eines Cabriolets
DE10351062B3 (de) * 2003-10-31 2005-04-14 Edscha Cabrio-Dachsysteme Gmbh Verdeck für ein Cabriolet-Fahrzeu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3885B2 (en) * 2002-07-19 2006-08-22 Heuliez Rear parcel shelf system for a convertible vehicle with a hard folding roof
US20050280275A1 (en) * 2004-06-21 2005-12-22 Nissan Motor Co., Ltd. View adjustment method and view adjustment device for a vehicle
US20060001286A1 (en) * 2004-07-02 2006-01-05 Gerard Queveau Device for protecting objects disposed in the rear trunk of a motor vehicle having a retractable ro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0402234L (sv) 2004-10-26
AU2003269017A1 (en) 2004-02-09
SE527374C2 (sv) 2006-02-21
EP1525109A1 (fr) 2005-04-27
JP2005532950A (ja) 2005-11-04
JP4235173B2 (ja) 2009-03-11
FR2842467A1 (fr) 2004-01-23
US20050248171A1 (en) 2005-11-10
DE10392430T5 (de) 2005-04-21
SE0402234D0 (sv) 2004-09-16
ES2231049T1 (es) 2005-05-16
FR2842467B1 (fr) 2008-07-18
CN1668487A (zh) 2005-09-14
KR20050046660A (ko) 2005-05-18
CN100346995C (zh) 2007-11-07
US7093885B2 (en) 2006-08-22
WO2004009388A1 (fr) 200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705B1 (ko) 강체 접이식 루프를 구비한 컨버터블 차랑용 후방 패키지선반 시스템
EP1038710B1 (en) Articulated tonneau cover
US5161852A (en) Convertible top with improved geometry
US6629719B2 (en) Top stack mechanism for a convertible roof
US6419296B2 (en) Roof arrangement for a convertible
US6312041B1 (en) Collapsible roof for vehicle such as a truck, van or break
US20070158973A1 (en) Tailgate assembly
US20040041434A1 (en) Folding roof for vehicle with sliding elements
AU2003229275A1 (en) Folding top for a cabriolet vehicle
JP2003509261A (ja) 折りたたみルーフ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を装備した乗り物
US20070284910A1 (en) Movable vehicle roof assembly
US7357437B2 (en) Vehicle trunk lid opening device
US20040021338A1 (en) Motor vehicle retractable roof comprising three sliding pivoting elements
US7392873B2 (en) Hood compartment cover for a cabriolet vehicle with a retractable hood
US6840564B2 (en) Cover device for the removable roof of a convertible and a convertible with such a cover device
US20010017478A1 (en) Motor vehicle roof structure with side members which can be transferred into a stowage space
US7000973B2 (en) Pivoting convertible roof for a motor vehicle
US20060071502A1 (en) Retractable roof for a vehicle
EP1954514B1 (en) Convertible top having overcenter linkage
US7017971B2 (en) Actuator for a rear panel on a motor vehicle
EP3342610B1 (en) Tailgate for a vehicle
JPS61278422A (ja) 車両のサンル−フ装置
JP4716574B2 (ja) 乗物用オープンルーフ構造
US20090071075A1 (en) Door Hinge Having a Lifting Function For the Door
JPS61222817A (ja) 自動車の上部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