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742B1 -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용 기재를 가지는 접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및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용 기재를 가지는 접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및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742B1
KR100944742B1 KR1020077026607A KR20077026607A KR100944742B1 KR 100944742 B1 KR100944742 B1 KR 100944742B1 KR 1020077026607 A KR1020077026607 A KR 1020077026607A KR 20077026607 A KR20077026607 A KR 20077026607A KR 100944742 B1 KR100944742 B1 KR 100944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wiring
wiring board
adhesive sheet
flexible printed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6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2967A (ko
Inventor
가쓰히코 이토
다쓰오 요네모토
도모아키 사와다
이쿠오 다카하시
히데시 도미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닛신보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닛신보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02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32B17/04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onded with or embedded in a plastic substan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09Processes comprising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involving reaction of a part of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with each other in the reaction mixture
    • C08G18/095Processes comprising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involving reaction of a part of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with each other in the reaction mixture oligomerisation to carbodiimide or uretone-imin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1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08G18/767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containing only one alkylene bisphen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4007Curing agents not provided for by the groups C08G59/42 - C08G59/66
    • C08G59/4014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 C08G59/4042Imines;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9/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J161/00 - C09J17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 H05K3/462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layers or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88Composite multilayer circuits, i.e. comprising insulating layers having different properties
    • H05K3/4691Rigid-flexible multilayer circuits comprising rigid and flexible layers, e.g. having in the bending regions only flexible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4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45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1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C08L59/00 - C08L87/00; Derivatives thereof
    • C08L2666/20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main chain according to C08L75/00 - C08L79/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1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C08L59/00 - C08L87/00; Derivatives thereof
    • C08L2666/22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C08L2666/16 - C08L2666/2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6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 C09J2400/263Presence of textile or fabric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3/00Presence of epoxy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9/00Presence of polyamine or polyimide
    • C09J2479/08Presence of polyamine or polyimide polyimi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37Materials
    • H05K2201/0154Polyimi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83Dielectric layers
    • H05K2201/0195Dielectric or adhesive layers comprising a plurality of layers, e.g. in a multilayer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8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 H05K3/386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by the use of an organic polymeric bonding layer, e.g. adhesiv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 H05K3/4623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the circuit boards having internal via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ircuit layers before lamination, e.g. double-sided circuit boa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738Coating or impregnation intended to function as an adhesive to solid surfaces subsequently associated therewit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용 기재를 가지는 접착 시트로서,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또는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의 가공 시, 수지 조성물의 파티클이 발생하지 않으며, 높은 강성을 가지고, 성형성이 우수하고, 가공이 용이한 접착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접착 시트는,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접합에 이용되며, 직포 또는 부직포인 기재, 및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a) 하나의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는 에폭시 수지, (b) 상기 (a)성분인 에폭시 수지와 공통 용매에 분산 가능하며, 수 평균 분자량이 2,000 이상 10,000 미만인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 및 (c) 이미다졸계 경화제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상기 (a)성분과 상기 (b)성분의 질량비는 80:20∼20:80의 범위이다.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접착 시트,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 폴리이미드, 파티클

Description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용 기재를 가지는 접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및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 {ADHESIVE SHEET WITH BASE FOR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S, PRODUCTION METHOD THEREFOR, MULTILAYER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AND FLEX-RIGID PRINTED WIRING BOARD}
본 발명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접합에 이용되는 접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아울러, 상기 접착 시트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및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은, 예컨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즉, 양면에 동박이 클래딩(cladding)된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기판 재료의 양측 동박을 각각 패턴 에칭하여 내층 회로를 형성한 다음, 이 양측의 내층 회로 형성면 전체에,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커버레이(coverlay)를 각각 압착함으로써,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제작한다. 그리고, 이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한쪽 면에 동박이 클래딩된 외층 플렉시블 기판을 접합한 다음, 가압 가공에 의해 압착함으로써, 전자 부품을 탑재하기 위한 다층부가 형성되며, 이로써,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은, 예컨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즉, 기재에 수지를 함침시켜 얻어지는 프리프레그(prepreg)를 적층하여, 리지드 기판 재료를 제작한다. 그리고, 이 리지드 기판 재료를, 전술한 방법으로 제작되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에 접착제를 개재시켜 접합하는 동시에 적층함으로써,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접합에 이용되는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를 변성시켜 필름화한 접착제(일본특허 제350641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음), 또는 에폭시 수지를 기재에 함침시킨 다음, 건조하여 얻어지는 접착제가 이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필름 형태의 접착제(본딩 시트)나, 에폭시 수지를 기재에 함침시킨 다음, 건조하여 얻어지는 접착제는 모두 문제가 있다. 전자의 접착제는 강성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후자의 접착제는 천공이나 라우터 가공(routering) 시, 반경화 상태의 에폭시 수지의 파티클이 떨어지기 쉽고, 빌드-업(build-up) 시에 상기 파트클이 힌지(hinge)의 커버레이 부분 등에 비산하여, 타흔(dent) 발생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파티클의 발생이 적은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 역시 고려할 수 있지만, 상기 열가소성 접착제를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접착제의 강성이 낮아져서, 정밀도가 높은 가공을 수행하기에 곤란하며, 아울러, 높은 성형 온도를 요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제한된다.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용 기재를 가지는 접착 시트로서,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또는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의 가공 시, 수지 조성물의 파티클이 발생하지 않으며, 높은 강성을 가지고, 성형성이 우수하고, 가공이 용이한 접착 시트, 및 상기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부리는 (bending) 경우에도 수지 조성물의 파티클이 발생하지 않고, 높은 강성을 가지는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및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용 기재를 가지는 접착 시트는,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접합에 이용되는 접착 시트로서, 상기 접착 시트는, 직포 또는 부직포인 기재 및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지 조성물은, (a) 하나의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는 에폭시 수지, (b) 상기 (a)성분인 에폭시 수지와 공통 용매에 분산 가능하며, 수 평균 분자량이 2,000 이상 10,000 미만인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 및 (c) 이미다졸계 경화제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며, 상기 (a)성분과 상기 (b)성분의 질량비가 80:20∼20:8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용 기재를 가지는 접착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파티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높은 강성을 얻을 수 있으며, 아울러, 보이드(void)의 발생을 방지하여, 높은 성형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직포로서는 유리 섬유 직물(glass cloth)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직포로서는 유리 부직포 또는 유기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접착 시트의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용 기재를 가지는 접착 시트를 사용하여,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에 외층(外層) 플렉시블 기판을 접합하여 이루어진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제공한다. 이 경우에는, 구부려도, 수지 조성물의 파티클이 쉽게 발생하지 않으며, 아울러, 높은 강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은 높은 유리 전이점을 가지고, 흡수율(吸水率) 또한 낮으므로,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용 기재를 가지는 접착 시트를 사용하여,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에 외층(外層) 적층판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을 제공한다. 이 경우, 가요성을 가지는 부분에서 구부려도, 수지 조성물의 파티클이 쉽게 발생하지 않으며, 아울러, 높은 강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은 높은 유리 전이점을 가지고, 흡수율 또한 낮으므로,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기 공정에 특징을 가지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용 기재를 가지는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은,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접합에 이용되는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a) 하나의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는 에폭시 수지, (b) 상기 (a)성분인 에폭시 수지와 공통 용매에 분산 가능하며, 수 평균 분자량이 2,000 이상 10,000 미만인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 및 (c) 이미다졸계 경화제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상기 용매에 분산시켜, 바니쉬(varnish)를 제조하고, 상기 바니쉬를 직포 또는 부직포 기재에 함침시킨 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면, 파티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높은 강성 및 성형성을 가지는 접착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효과에 대해서는, 하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용 기재를 가지는 접착 시트(이하, 간단히 「접착 시트」라고도 칭함)는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접합에 이용된다. 여기서,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이란, 가요성 및 절연성이 있는 폴리이미드 필름의 표면에 회로 패턴을 형성한 배선판을 의미한다.
상기 접착 시트는, 직포 또는 부직포인 기재 및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지 조성물은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할 (a)성분∼(c)성분을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a)성분으로서는, 하나의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는 에폭시 수지를 사용한다. 이 같은 에폭시 수지로서는 종래부터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적층판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에폭시 수지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S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바이페닐(biphenyl)형 에폭시 수지,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이소시아누레이트형 에폭시 수지, 히단토인(hydantoin)형 에폭시 수지, 지환식 에폭시 수지(alicyclic epoxy resin), 바이페닐형 에폭시 수지, 다관능형 에폭시 수지, 브롬화 에폭시 수지, 인 변성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에폭시 수지를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기 수로서는, 하나의 에폭시 수지 분자 중에 에폭시기가 2개 이상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조를 고려하면, 에폭시기가 5개 이하인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에폭시 수지가 분자량 분포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에폭시기 수는 하나의 분자 당 에폭시기의 평균 개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b)성분으로서는, 입자 형상의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를 사용한다. 이 같은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를 예시하면, 일본 특개소51-6159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 L. M. Alberin 등의 방법(J. Appl. Polym. Sci., 21, 1999(1977)), 또는 일본 특개평2-292316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 즉,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디이미드화를 촉진하는 촉매의 존재 하에 제조할 수 있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 중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전술한 방법에서,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의 합성 원료인 상기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예시하면,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나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2,6-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미정제(crude)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미정제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4,4',4"-트리페닐메틸렌 트리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m-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틸렌-1,5-디이소시아네이트, 4,4'-바이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 3,3'-디메톡시-바이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사이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특히, 내열성이나 반응성을 고려하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의 합성 원료인 상기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란, 벤젠환에 직접 결합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가 하나의 분자 중에 2개 이상 존재하는 이소시아네이트를 의미한다. 특히, 재료의 범용성이 높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예시하면,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 또는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TDI)를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의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의 합성은, 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디이미드화를 촉진하는 촉매의 존재 하에 수행되며,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카르보디이미드화 촉매를 예시하면, 1-페닐-2-포스폴렌(phospholene)-1-옥사이드, 3-메틸-1-페닐-2-포스폴렌-1-옥사이드, 1-에틸-2-포스폴렌-1-옥사이드 및 1-메틸-2-포스폴렌-1-옥사이드 등의 인 화합물을 들 수 있 으며, 특히 바람직한 것을 예시하면, 3-메틸-1-페닐-2-포스폴렌-1-옥사이드를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의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의 합성은 용매를 이용하지 않고서 수행할 수도 있지만, 적당한 용매 중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의 합성에 사용 가능한 용매를 예시하면,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1,3-디옥산, 디옥솔란(dioxolan) 등의 지환식 에테르; 벤젠, 톨루엔, 자일렌, 에틸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트리클로로벤젠, 퍼클렌(perclene), 트리클로로에탄, 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또는 사이클로헥사논이나 메틸 에틸 케톤 등을 들 수 있고,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와 상기 (a) 에폭시 수지 성분이 분산 가능한 공통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일단 상기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를 용매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바니쉬를 제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사용 가능한 용매를 예시하면, 톨루엔, 메틸 에틸 케톤, 사이클로헥사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 합성 반응에서의 반응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40℃∼용매의 비점까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원료인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농도는, 용매를 포함하는 카르보디이미드화 반응 개시 시의 전체량에 대해서 5∼50 질량%, 바람직하게는 10∼35 질량%이다. 상기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농도가 5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의 합성에 시간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이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한편, 상기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농도가 50 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합성 중에 반응계가 겔화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는 수 평균 분자량이 2,000 이상, 10,000 미만이어야 한다. 상기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의 수 평균 분자량이 2,000 미만인 경우에는 파티클이 쉽게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수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인 경우에는 바니쉬의 점도가 상승하고, 기재에 대한 함침성이 저하되거나, 또는 보이드가 발생하여, 성형성이 저하된다.
잔존 이소시아네이트의 카르보디이미드화 반응으로 인한 보이드의 발생이 관찰되는 경우,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로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의 말단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는 화합물, 예컨대, 모노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말단 봉지제(terminal sealing agent)로서 사용하여, 적절한 중합도로 제어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말단 봉지제로서 사용 가능한 모노이소시아네이트를 예시하면, 페닐이소시아네이트, (오르토, 메타, 파라)-톨릴이소시아네이트, 디메틸페닐 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 메틸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화합물 외에도, 말단 봉지제로서 말단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 가능한 화합물을 예시하면, 지방족 화합물, 방향족 화합물, 지환족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이들 화합물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OH기를 가지는 메탄올, 에탄올, 페놀, 사이클로헥산올, N-메틸에탄올아민,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등; -NH2기를 가지는 부틸아민, 사이클로헥실아민 등; -COOH기를 가지는 프로피온산, 벤조산, 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시산 등; -SH기를 가지는 에틸 메르캅탄, 알릴 메르캅탄, 티오페놀 등이나, -NH 알킬 말단을 가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일본특허 제3506413호 공보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와 상기 에폭시 수지의 혼합에 의해 얻어진 혼합물은 필름상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의 혼합물을 이용함으로써, 접착 시트의 가요성을 개선할 수 있고, 가요성이 개선됨에 따라, 천공 또는 라우터 가공 시, 접착 시트의 엣지로부터 수지의 파티클이 떨어져 나가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a)성분 및 상기 (b)성분의 수지가 모두 분산될 수 있는 공통 용매를 예시하면, 톨루엔, 메틸 에틸 케톤, 사이클로헥사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용매를 각각 1종만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의 혼합 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와 상기 에폭시 수지가 모두 분산될 수 있는 공통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a)성분 및 상기 (b)성분의 수지를 혼합하여, 상기 기재에 함침시키기 위한 바니쉬를 제조할 때, 상기 에폭시 수지와 상기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가 분리되지 않고, 상용성이 높은 바니쉬를 얻을 수 있는 한편, 상기 (a)성분 중에 상기 (b)성분이 포획된 입자상 결정이 얻어진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바니쉬를 사용함으로써, 그리고, 이같이 하여 조제 되는 바니쉬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에폭시 수지나 경화제 등을 병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와의 부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바니쉬는 장기간 동안 안정하다. 한편, 부반응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바니쉬의 증점 또는 겔화로 인해, 상기 바니쉬를 기재에 함침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되는 바니쉬를 사용하여 접착 시트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바니쉬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 수지층 내에서 상기 에폭시 수지와 상기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가 분리되지 않고, 균일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균질한 접착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a)성분과 상기 (b)성분의 질량비는 80:20∼20:80이어야 한다. 상기 (b)성분인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의 배합량이, 상기 (a)성분인 에폭시 수지와 상기 (b)성분의 합계량에 대해서 20 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가공 시, 수지의 파티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고, 상기 배합량이 80 질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성형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서 상기 (c)성분으로서는, 상기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키기 위해 이미다졸계 경화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이미다졸계 경화제로서는, 에폭시 수지의 경화제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2-에틸-4-메틸이미다졸(2E4MZ), 2-페닐이미다졸(2PZ), 2-페닐-4-메틸-5-하이드록시메틸이미다졸(2P4MHZ)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미다졸계 경화제의 배합량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a)성분∼(c)성분을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지만, 상기 수지 조성물의 제조 시, 난연조제 또는 증점제 등의 기능을 가지는 첨가제(충전재)를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첨가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실리카 분말;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마그네슘 등의 금속 수화물의 분말; 탈크, 클레이 등의 점토 광물의 분말을 포함하는 무기 충전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첨가제의 배합량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 시트는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전술한 (a)성분∼(c)성분을 배합하고, 필요한 경우, 제막화제(flim-forming agent)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수지 조성물의 바니쉬를 제조한다. 그런 다음, 상기 바니쉬를 기재, 즉, 직포 또는 부직포에 함침시킨다. 이 때, 수지 함유율은 본 발명의 접착 시트 전체량에 대해서 30∼80 질량%로 설정할 수 있다. 바니쉬가 함침된 기재를, 예컨대, 130∼180℃의 온도에서 2∼20분간 가열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건조시키는 한편, 반경화 상태(B 스테이지화)가 되도록 함으로써, 접착 시트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기재로서 직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리 섬유 직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섬유 직물은 다른 직포에 비해 높은 강성을 가지기 때문에, 접착 시트의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재로서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리 부직포(유리 페이퍼) 또는 유기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 부직포 및 유기 섬유는 다른 부직포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기 때문에, 접착 시트의 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유기 섬유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이미드 섬유, 폴리아크릴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직포 또는 부직포의 두께는 0.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기재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필름 형태의 본딩 시트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는 접착 시트를 얻을 수 있으며, 배선판의 가공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접착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천공 또는 라우터 가공 시, 수지의 파티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성형 시, 보이드의 발생을 방지하여 성형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아울러, 성형 후에는 높은 강성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이하에 설명할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이나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에서 다층부의 층 수를 증가시키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접착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가요성을 가지는 부분에 필요한 높은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얻어진 접착 시트를,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접합에 이용하는 경우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착 시트(7)를 사용하여 제조된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1)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1)이란, 폴리이미드 수지 등과 같은 가요성이 있는 수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기판만을 다층화한 것을 의미하며,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1)은, 접착 시트(7)를 사용하여,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에 외층(外層) 플렉시블 기판(6)을 접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폴리이미드 필름 등의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기판 재료(2)의 양면에 내층 회로(3)를 형성하고, 양면의 내층 회로(3)를 스루 홀(through hole)(10)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 후, 플렉시블 기판 재료(2)의 표면을,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커버레이(4)로 피복함으로써,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을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커버레이(4)는 특별히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접착 시트(7)를 사용하여,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외층 플렉시블 기판(6)을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에 접합함으로써, 외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1)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외층 플렉시블 기판(6)은, 폴리이미드 필름 등의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기판 재료(11)의 양면에 외층 회로(12)를 형성하고, 양면의 외층 회로(12)를 스루 홀(13)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 후, 플렉시블 기판 재료(11)의 한쪽 면을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기판 재료(14)로 피복함으로써 제작된다. 그리고, 외층 플렉시블 기판(6)을 접합한 다음, 내층 회로(3)와 외층 회로(12) 사이를 스루 홀(18)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에 외층 플렉시블 기판(6)이 복수 개의 부분에서 접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외층 플렉시블 기판(6)이 접합되어 있는 부분에는 다층부(8)가 형성되고, 한편, 외층 플렉시블 기판(6)이 접합되어 있지 않고,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부분에는 가요성을 가지는 부분(9)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 시트(7)의 양면은 모두 폴리이미드 수지와 접한다. 즉, 접착 시트(7)의 한쪽 면은, 커버레이(4)를 구성하는 폴리이미드 수지와 접하고, 다른쪽 면은, 외층 플렉시블 기판(6)을 구성하는 폴리이미드 수지와 접한다. 한편, 커버레이(4)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접착 시트(7)의 한쪽 면은, 플렉시블 기판 재료(2)를 구성하는 폴리이미드 수지와 접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다층부(8) 사이에, 가요성을 가지는 부분(9)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1)을 가요성 부분(9)에서 구부릴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접착 시트(7)를 사용하여 제조된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1)을 구부리는 경우라도, 수지의 파티클이 쉽게 발생하지 않고, 보이드의 발생이 방지되며, 높은 강성을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접착 시트(27)를 사용하여 제조된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21)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21)이란, 폴리이미드 수지 등과 같은 가요성이 있는 수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기판, 및 유리 에폭시 등과 같은 유연성이 없는 리지드 기판을 다층화한 것을 의미하며,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21)은, 상기 접착 시트(27)를 사용하여,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25)에 외층(外層) 적층판(26)을 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폴리이미드 필름 등의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기판 재료(22)의 양면에 내층 회로(23)를 형성한 다음, 플렉시블 기판 재료(22)의 표면을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커버레이(24)로 피복하여,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25)을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커버레이(24)는 특별히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접착 시트(27)를 사용하여,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25)에 외층 적층판(26)을 접합함으로써,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21)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층 적층판(26)은, 유리 섬유 직물 등의 기재에 에폭시 수지 등과 같은 수지를 함침 및 건조시킨 적층판을 복수 개 적층한 다음, 적층된 적층판의 양면에 동박 등의 금속박을 포개어 놓고, 가열하면서 가압 성형한 후, 에칭에 의해 외층 회로(30)를 형성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빌드-업법에 의해, 외층 적층판(26)의 층 수를 적당히 증가시킬 수도 있다. 외층 적층판(26)을 접합한 후, 내층 회로(23)와 외층 회로(30) 사이를 스루 홀(31)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21)을 제조할 때에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25)에 외층 적층판(26)이 복수 개의 부분에서 접합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외층 적층판(26)이 접합되어 있는 부분에는 리지드 다층부(28)를 형성하고, 한편, 외층 적층판(26)이 접합되어 있지 않고,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25)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부분에는 가요성을 가지는 부분(29)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 시트(27)의 적어도 한쪽 면은 폴리이미드 수지와 접한다. 즉, 접착 시트(27)의 한쪽 면은, 커버레이(24)를 구성하는 폴리이미드 수지와 접하고, 다른쪽 면은, 외층 적층판(26)을 구성하는 에폭시 수지 등의 수지와 접한다. 한편, 커버레이(24)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접착 시트(27)의 한쪽 면은, 플렉시블 기판 재료(22)를 구성하는 폴리이미드 수지와 접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다층부(28) 사이에, 가요성을 가지는 부분(29)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21)을 가요성을 가지는 부분(29)에서 구부릴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접착 시트(27)를 사용하여 제조된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21)을 상기 가요성을 가지는 부분(29)에서 구부리는 경우라도, 수지의 파티클이 쉽게 발생하지 않고, 보이드의 발생이 방지되며, 높은 강성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또는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에서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접합에 본 발명의 접착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천공 가공 시, 상기 접착 시트로부터 발생하는 파티클이 저감되고, 특히,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에서는 접착 시트의 기재에 의해 전체적인 강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및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은 모두 높은 유리 전이점을 가지게 되고, 흡수율도 낮아져,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 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의 수지 조성물의 바니쉬의 제조〉
에폭시 수지로서, Dow Chemical Company에서 제조한 브롬화 에폭시 수지 「DER530A80」(에폭시 당량: 430 g/eq, 고형분 농도: 80 중량%)의 아세톤 용해액, 및 Tohto Kasei Co., Ltd.에서 제조한 인 변성 에폭시 수지 「FX305EK70」(에폭시 당량: 500 g/eq, 고형분 농도: 70 중량%)의 메틸 에틸 케톤 용해액을 사용하였다.
또한,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원료로서 사용하고, 톨루엔:메틸 에틸 케톤(MEK)=8:2(질량비)로 혼합한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약 5,000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를 사용하였다. 상기 수지 용액에,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에폭시 당량: 180 g/eq)를,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에폭시 수지=2:1(질량비)의 비율로 혼합하고, 이렇게 하여 얻어진 혼합물은 입자상 결정을 포함하였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경화제로서, 2-에틸-4-메틸이미다졸(2E4MZ)을 사용하였다.
상기 에폭시 수지와 상기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를 소정의 조성비(하기 표 1 참조)로 배합하되, 일부의 실시예(실시예 3 및 실시예 4)에서는 무기 충전재로서 수산화 알루미늄을 첨가하였으며, 각각의 성분들을 Tokushu Kikai Kogyo Co., Ltd.에서 제조한 호모믹서(homomixer)로 약 1,0OO rpm에서 약 90분간 혼합함으로써, 바 니쉬를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이 바니쉬에, 경화제인 2-에틸-4-메틸이미다졸(2E4MZ)을 배합한 후, 다시 약 15분간 교반한 다음, 탈기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의 바니쉬를 제조하였다. 표 1에 기재된 각각의 조성비는 질량부를 기준으로 한 값이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수지 조성물의 바니쉬의 제조〉
에폭시 수지로서, 브롬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Tohto Kasei Co., Ltd.에서 제조한 「YDB-500」: 에폭시 당량 50O g/eq),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Tohto Kasei Co., Ltd.에서 제조한 「YDCN-220」: 에폭시 당량 220 g/eq)를 사용하였다.
또한, 경화제로서, 디시안디아미드(분자량: 84, 이론적 활성 수소 당량: 21) 및 2-에틸-4-메틸이미다졸(2E4MZ)을 사용하였고, 용매로서, 메틸 에틸 케톤(MEK), 메톡시프로판올(MP) 및 디메틸포름아미드(DMF)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로서, 일본특허 제3506413호 공보의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를 사용하였다(단락 [0034] 참조). 즉, 본 비교예에 사용된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는,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페닐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사용하여 합성한 것이며, 수 평균 분자량이 20,000이다.
비교예 1에서는, 상기 에폭시 수지와 상기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를 소정의 조성비(하기 표 1 참조)로 배합하고, Tokushu Kikai Kogyo Co., Ltd.에서 제조한 호모믹서로, 약 1,000 rpm에서 약 90분간 혼합하여 바니쉬를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이 바니쉬에, 경화제인 2-에틸-4-메틸이미다졸(2E4MZ)을 배합하고, 다시 약 15분간 교반한 후, 탈기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의 바니쉬를 제조하였다.
또한, 비교예 2에서는, 상기 2종의 에폭시 수지를 소정의 조성비(하기 표 1 참조)로 배합하고, Tokushu Kikai Kogyo Co., Ltd.에서 제조한 호모믹서로, 약 1,0OO rpm에서 약 90분간 혼합하여 바니쉬를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이 바니쉬에, 경화제인 디시안디아미드 및 2-에틸-4-메틸이미다졸(2E4MZ)을 배합하고, 다시 약 15분간 교반한 후, 탈기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의 바니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접착 시트(기재를 포함하지 않는 필름)로서, NIKKAN INDUSTRIES Co., Ltd.에서 제조한 NIKAFLEX® SAFD(두께: 40 ㎛)를 사용하였다.
〈접착 시트의 제조〉
기재인 직포로서, Nitto Boseki Co., Ltd.에서 제조한 유리 섬유 직물 2116 타입 「WEA116E」(두께: O.1 ㎜)를 사용하였고, 또한, 기재인 부직포로서, 아라미드 섬유 부직포 「Thermount®」(DuPont에서 제조, 평량(坪量) 30 g=두께 0.04 ㎜)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수지 함유율이 접착 시트 전체량에 대해서 40∼80 질량%가 되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바니쉬를 상기 기재에 함침시켰다. 그런 다음, 바니쉬가 함침된 기재를 비(非)접촉식 가열 유닛에 의해, 약 130∼180℃의 온도에서 5분간 가열하여, 상기 바니쉬 중의 용매를 건조 및 제거한 결과, 반경화 상태인 B 스테이 지 상태의 접착 시트가 제조되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각각의 접착 시트를 사용하여, 파티클 발생 평가, 성형성 평가, 탄성률 측정을 수행하였다.
〈파티클 발생 평가 시험〉
커터 나이프를 사용하여, 한 면이 10 ㎝인 정방형 접착 시트를, 5 ㎜ 폭을 가지는 10개의 장방형 접착제 시편으로 잘라, 잘려진 단면으로부터 발생한 수지 파티클의 질량을 측정하였다.
〈성형성〉
두께가 0.2 ㎜인 적층판(Matsushita Electric Works Co., Ltd.에서 제조한 「R-1766」: 동박의 두께 35 ㎛) 표면의 동박을 에칭에 의해 제거하여, 회로를 형성한 다음, 내층 처리(흑화 처리)를 수행하였다. 상기 적층판과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Matsushita Electric Works Co., Ltd.에서 제조한 「R-F775」: 동박의 두께 18 ㎛) 사이에, 상기 접착 시트를 층간 절연 재료로서 개재시켜 적층한 다음, 프레스의 성형 최고 온도 180℃에서 90분간 가열하면서, 2.94 ㎫로 가압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층 배선 기판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내층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의 보이드의 발생 유무를 확인하였다.
〈탄성률〉
성형 후의 두께가 1.6 ㎜가 되도록, 접착 시트의 양면에 동박을 배치한 것을 프레스의 성형 최고 온도 180℃에서 90분간 가열하면서, 2.94 ㎫로 가압하여 적층 성형함으로써, 양면에 동박이 클래딩된 적층판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이 양면에 동박이 클래딩된 적층판 표면의 동박을 전면 에칭하여, 측정 시료를 제작하고, 제 작된 측정 시료에 대하여, JIS C6481에 준거하여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표 1은, 상기 파티클 발생 시험 결과, 성형성 평가 결과 및 탄성률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07082014613-pct00001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4의 각각의 접착 시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모두, 파티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높은 강성을 얻을 수 있으며, 보 이드의 발생을 방지하여 높은 성형성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수 평균 분자량이 10,OOO를 초과하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1의 접착 시트에서는 보이드가 발생하였고, 성형성이 저하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를 전혀 이용하지 않은 비교예 2의 접착 시트의 경우에는 파티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기재를 가지지 않는 비교예 3의 접착 시트의 경우에는 강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착 시트는,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및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에 적합하며, 수지의 파티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강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의 광범위한 이용이 기대된다.

Claims (6)

  1.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접합에 이용되는 접착 시트로서,
    상기 접착 시트는, 직포 또는 부직포인 기재 및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지 조성물은,
    (a)성분으로서의, 하나의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는 에폭시 수지,
    (b)성분으로서의, 상기 (a)성분인 에폭시 수지와 공통 용매에 분산 가능하며, 수 평균 분자량이 2,000 이상 10,000 미만인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 및
    (c)성분으로서의, 이미다졸계 경화제
    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며, 상기 (a)성분과 상기 (b)성분의 질량비가 80:20∼20:8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용 기재를 가지는 접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포가 유리 섬유 직물(glass clot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용 기재를 가지는 접착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가 유리 부직포 또는 유기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용 기재를 가지는 접착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접착 시트를 사용하여,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에 외층(外層) 플렉시블 기판을 접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접착 시트를 사용하여,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에 외층(外層) 적층판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
  6. 폴리이미드 수지로 이루어진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접합에 이용되는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a)성분으로서의, 하나의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는 에폭시 수지,
    (b)성분으로서의, 상기 (a)성분인 에폭시 수지와 공통 용매에 분산 가능하며, 수 평균 분자량이 2,000 이상 10,000 미만인 폴리카르보디이미드 수지, 및
    (c)성분으로서의, 이미다졸계 경화제
    를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상기 용매에 분산시켜, 바니쉬(varnish)를 제조하고, 상기 바니쉬를 직포 또는 부직포 기재에 함침시킨 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용 기재를 가지는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077026607A 2005-04-25 2006-04-19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용 기재를 가지는 접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및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 KR1009447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26104A JP4237726B2 (ja) 2005-04-25 2005-04-25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用基材入り接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多層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フレックスリジッドプリント配線板
JPJP-P-2005-00126104 2005-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967A KR20080002967A (ko) 2008-01-04
KR100944742B1 true KR100944742B1 (ko) 2010-03-03

Family

ID=37214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6607A KR100944742B1 (ko) 2005-04-25 2006-04-19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용 기재를 가지는 접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및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314523A1 (ko)
JP (1) JP4237726B2 (ko)
KR (1) KR100944742B1 (ko)
CN (1) CN101163769A (ko)
TW (1) TW200700220A (ko)
WO (1) WO20061151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32900B2 (ja) * 2006-08-28 2012-09-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用基材入り接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多層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フレックスリジッドプリント配線板
EP2262352A1 (en) * 2008-03-25 2010-12-15 Sumitomo Bakelite Co., Ltd. Method for producing rigid-flex circuit board, and rigid-flex circuit board
CN102046726B (zh) * 2008-05-27 2013-12-2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印刷布线板用环氧树脂组合物、阻焊剂组合物、树脂膜、树脂片、预浸料坯、带树脂的金属箔、覆盖层、柔性印刷布线板
EP2416355B1 (en) * 2009-04-02 2016-12-21 Murata Manufacturing Co., Ltd. Circuit board
JP4768059B2 (ja) 2009-08-12 2011-09-07 タツタ電線株式会社 多層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CN102686668A (zh) 2009-12-29 2012-09-19 3M创新有限公司 环氧组合物和由此制备的贴面膜
DE102010056055A1 (de) 2010-12-23 2012-06-28 Schreiner Group Gmbh & Co. Kg Etikett mit einem elektronischen Funktionselement
GB201313420D0 (en) * 2013-07-26 2013-09-11 Hexcel Composite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ibre reinforced composites
WO2015015975A1 (ja) * 2013-07-30 2015-02-0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多層基板および多層基板の製造方法
US20150122532A1 (en) * 2013-11-04 2015-05-07 Teledyne Technologies Incorporated High temperature multilayer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US9338915B1 (en) * 2013-12-09 2016-05-10 Flextronics Ap, Llc Method of attaching electronic module on fabrics by stitching plated through holes
KR20160014456A (ko) * 2014-07-29 2016-02-11 삼성전기주식회사 연성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16048723A (ja) * 2014-08-27 2016-04-07 イビデン株式会社 フレックスリジッド配線板
JP2016066711A (ja) * 2014-09-25 2016-04-28 イビデン株式会社 フレックスリジッド配線板
JP2016079220A (ja) * 2014-10-10 2016-05-16 日立化成株式会社 分子内にイミド基及びカルボジイミド基を有する化合物、該化合物の製造方法、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積層板及びフィルム
US10266644B2 (en) 2015-04-06 2019-04-23 Nisshinbo Chemical Inc. Epoxy resin composition
US11483923B2 (en) * 2016-03-30 2022-10-25 At&S Austria Technologie & Systemtechnik Aktiengesellschaft Laminated component carrier with a thermoplastic structure
WO2017168732A1 (ja) * 2016-03-31 2017-10-05 日立化成株式会社 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樹脂シート及び積層板
CN106203392B (zh) * 2016-07-25 2019-07-09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电子装置
JP7332323B2 (ja) * 2018-09-28 2023-08-23 株式会社槌屋 繊維強化接着シート
CN111194141B (zh) * 2018-11-15 2023-04-18 礼鼎半导体科技秦皇岛有限公司 电路板及其制作方法
KR102059277B1 (ko) * 2018-12-11 2019-12-24 주식회사 기가레인 벤딩 신뢰성이 개선된 연성회로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6952A (ja) * 1997-05-23 1998-1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板用材料及び配線板
JP2000094443A (ja) * 1998-09-25 2000-04-04 Nisshinbo Ind Inc プリプレグ、多層プリント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6172143B1 (en) * 1998-01-13 2001-01-09 Nisshinbo Industries, Inc. Resin composition for use in sealant and liquid sealant using the resin composition
US20050154148A1 (en) * 2003-10-08 2005-07-14 Motonori Nakamichi Molded article produced from alipha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6675A (en) * 1996-06-14 1999-06-29 Shin-Etsu Chemical Co., Ltd. Polycarbodiimide resin-containing adhesive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EP0957122B1 (en) * 1998-05-15 2003-11-26 Nisshinbo Industries, Inc. Epoxy resin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6952A (ja) * 1997-05-23 1998-1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板用材料及び配線板
US6172143B1 (en) * 1998-01-13 2001-01-09 Nisshinbo Industries, Inc. Resin composition for use in sealant and liquid sealant using the resin composition
JP2000094443A (ja) * 1998-09-25 2000-04-04 Nisshinbo Ind Inc プリプレグ、多層プリント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50154148A1 (en) * 2003-10-08 2005-07-14 Motonori Nakamichi Molded article produced from alipha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314523A1 (en) 2009-12-24
JP2006299175A (ja) 2006-11-02
CN101163769A (zh) 2008-04-16
JP4237726B2 (ja) 2009-03-11
KR20080002967A (ko) 2008-01-04
TW200700220A (en) 2007-01-01
WO2006115146A1 (ja)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742B1 (ko)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용 기재를 가지는 접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다층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및 플렉스 리지드 프린트 배선판
EP1768471B1 (en) Prepreg for printed wiring board, metal foil clad laminate and printed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KR100825526B1 (ko) 프라이머, 수지 부착 도체박, 적층판 및 적층판의 제조방법
KR101249479B1 (ko) 수지 조성물 및 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얻어진 수지부착 동박
EP0989788B1 (en) Prepreg,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said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JP5032900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用基材入り接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多層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フレックスリジッドプリント配線板
JP6620457B2 (ja) 樹脂組成物
KR100632862B1 (ko) 수지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프리프레그 및 적층판
EP1188778B1 (en)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and resin coated metal foil, prepreg and film-shaped adhesive all using the composition
JP2005336287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用熱硬化性接着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多層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並びにフレックスリジッドプリント配線板
KR20180027411A (ko)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레진 시트, 적층판, 및 프린트 배선판
JP2005340270A (ja) 積層板用プリプレグ、積層板並びにそれ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及びフレックスリジッドプリント配線板
JP2002249641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樹脂フィルム、樹脂付き金属箔、プリプレグ及び積層板
JPH11121935A (ja) 多層印刷配線板用積層体および多層印刷配線板
JP3733153B2 (ja) 多層プリント配線板
JP2004059704A (ja) プリント配線板用エポキシ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及び積層板
JP3828117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用熱硬化性接着シート
TW202340312A (zh) 樹脂組成物、預浸體、附樹脂之薄膜、附樹脂之金屬箔、覆金屬積層板及印刷配線板
JPH10326952A (ja) 配線板用材料及び配線板
JP2003246016A (ja) プリプレグシートと積層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