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548B1 - 주유소에서 발생하는 주유정보 데이터와 차량의 주행거리데이터를 이용한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유소에서 발생하는 주유정보 데이터와 차량의 주행거리데이터를 이용한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548B1
KR100941548B1 KR1020050093280A KR20050093280A KR100941548B1 KR 100941548 B1 KR100941548 B1 KR 100941548B1 KR 1020050093280 A KR1020050093280 A KR 1020050093280A KR 20050093280 A KR20050093280 A KR 20050093280A KR 100941548 B1 KR100941548 B1 KR 100941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ing
information data
data
valu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2028A (ko
Inventor
박혜원
Original Assignee
박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혜원 filed Critical 박혜원
Publication of KR20060052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유소 및 충전소(가스/전기)에서 주유/충전 후 발생되는 주유/충전정보 데이터와 운전자 단말 또는 서버 단말,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주행거리 데이터로부터 해당 자동차의 운행연비를 산출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각각으로 할당되며 소정의 주유정보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사용자 필드를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유량, 주유일시 및 급유 레벨 값을 포함하는 주유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당 사용자 필드에 저장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주유정보 데이터에 대하여 급유 레벨 값의 비교를 수행하여 연비 산정에 적합한 주유정보 데이터를 선별하는 소정의 주유정보 데이터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주행거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유정보 데이터 또는 주행거리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과거 주유정보 데이터와 과거 주행거리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필드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수신한 주유정보 데이터 및 주행거리 데이터와 연산하여 운행연비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거리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필드에 저장하고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운행연비 값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주유소에 구비하거나 사용자가 휴대 또는 차량에 탑재 또는 장착 가능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주유정보 데이터 및 주행거리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는 수단이며, 상기 소정의 주유정보 데이터 필터링은 상기 수신한 급유 레벨 값이 소정의 동일 레벨 급유값인 주유정보 데이터를 선별하여 취하는 제어이며, 상기 운행연비 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연료 탱크 내 소정의 일정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과 차기 동일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 각각에 대응하는 주행거리의 차를, 상기 일정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부터 차기 동일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까지의 급유량의 합으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차 운행연비, 주유정보, 주행거리, 운전자 단말, 서버 단말

Description

주유소에서 발생하는 주유정보 데이터와 차량의 주행거리 데이터를 이용한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A METHOD FOR OFFERING FUEL CONSUMPTION RATE OF A VEHICLE BY USING OILING DATA AND CAR MILEAGE DATA AND A SYSTEM THEREOF}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의 개요도,
도 1b는 상기 도 1a 의 데이터 흐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의 다른 개요도,
도 1d는 상기 도 1c 개요도의 데이터 흐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의 또 다른 개요도,
도 1f는 상기 도 1e 개요도의 데이터 흐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g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의 또 다른 개요도,
도 1h는 상기 도 1g 개요도의 데이터 흐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i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의 또 다른 개요도,
도 1j는 상기 도 1i 개요도의 데이터 흐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k는 상기 도 1i 개요도의 데이터 흐름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l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다른 단말의 내부 블록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b는 도 2a의 회원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c는 주유정보 및 주행거리 데이터 베이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d는 적정 연비 데이터 베이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2e는 회원 ID, 차량 ID 및 운전자 단말 ID 매칭 데이터베이스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4a는 주유정보 데이터가 발생하고 서버 단말을 경유하여 메인 서버로 전송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b는 주유기에서 POS로 주유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c는 CAT 단말과 POS 시스템 및 메인 서버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5a는 메인 서버가 주유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가득주유한 데이터를 판단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5b는 메인 서버가 주유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가득주유한 데이터를 판단하는 다른 방법의 흐름도,
도 5c는 운전자 단말에 수신되는 주행거리 데이터 요청의 일예와 회신예 및 운행연비 값 수신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6a는 메인 서버가 주행거리 데이터를 수신하여 유효한 데이터를 판단하고 운행연비를 계산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6b는 주행거리 데이터 필터링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a는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7b는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의 다른 일예의 일부를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시스템(메인 서버),
120:서버 단말, 130:운전자 단말,
210:데이터 인터페이스부, 220: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
230:주유정보 데이터 제어부, 240:주행거리 데이터 제어부,
250:주행거리 데이터 판별부 260:연비 계산부
본 발명은 주유소 및 충전소(가스/전기)에서 주유/충전 후 발생되는 주유/충전정보 데이터와 처량의 주행거리 데이터를, 운전자 단말 또는 서버 단말, 또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고 해당 자동차의 운행연비를 산출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운행연비는 그 수치 자체로서 자동차의 이상 발생에 대한 지표로서의 역할 및 운전자의 연료 절감 의식을 제고하여 주는 등 운전자에게는 경제적, 안전적 지표로서 그 의미가 크다.
일반인들에게 운행연비는 막연하게만 인식되어 있고, 각 차량별 실제 연비 수준은 대부분 모호한 상태이다. 통상 운전자가 자동차의 운행연비를 산출하기 위하여는, 자동차의 연료 탱크에 가득 주유하고 자동차를 운행한 후 다음 번 또 다시 가득 주유하여 그 동안의 운행거리를 그 거리 운행에 소모된 유량, 즉 다음 번 가득 주유시 급유되는 주유량 으로 나누어 계산하는 방법, 그리고 엔진 내부에 연료 소모율을 측정하는 전자장비를 별도로 장착하여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전자의 방법은 매 번 가득 주유시 마다 일일이 주행거리를 기록하거나 구간 주행거리 버튼을 리셋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운 불편과 동시에 기록을 누락하는 실수도 따르고, 후자의 경우는 고가의 장비 구매로 인하여 경제적 부담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별도의 장비없이 쉽게 자동차의 운행연비를 측정하는 방법은 고유가의 지속과 더불어 계속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해당 운행구간에 소요된 유량을 정확히 산출하고 오차를 최소화하는 기술적 구성을 포함하며, 운전자가 보유 또는 차량에 장착된 단말을 직접 이용함으로써 편의성과 체감성을 더하고, 고가의 장비없이도 자동차의 운행연비를 산출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유소 및 충전소(가스/전기)에서 주유/충전 후 발생되는 주유/충전정보 데이터와 운전자가 구비하거나 차량에 장착하는 운전자 단말, 또는 주유소/충전소에서 구비하는 서버 단말,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주행거리 데이터로부터 해당 자동차의 운행연비를 산출하여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각각으로 할당되며 소정의 주유정보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사용자 필드를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유량, 주유일시 및 급유 레벨 값을 포함하는 주유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당 사용자 필드에 저장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주유정보 데이터에 대하여 급유 레벨 값의 비교를 수행하여 연비 산정에 적합한 주유정보 데이터를 선별하는 소정의 주유정보 데이터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주행거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유정보 데이터 또는 주행거리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과거 주유정보 데이터와 과거 주행거리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필드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수신한 주유정보 데이터 및 주행거리 데이터와 연산하여 운행연비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거리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필드에 저장하고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운행연비 값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주유소에 구비하거나 사용자가 휴대 또는 차량에 탑재 또는 장착 가능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주유정보 데이터 및 주행거리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는 수단이며, 상기 소정의 주유정보 데이터 필터링은 상기 수신한 급유 레벨 값이 소정의 동일 레벨 급유값인 주유정보 데이터를 선별하여 취하는 제어이며, 상기 운행연비 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연료 탱크 내 소정의 일정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과 차기 동일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 각각에 대응하는 주행거리의 차를, 상기 일정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부터 차기 동일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까지의 급유량의 합으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기술적 구성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각각으로 할당되며 소정의 주유정보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주유량, 주유일시 및 급유 레벨 값을 포함하는 주유정보 데이터와, 차량의 주행거리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운행연비 값을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
수신한 상기 주유정보 데이터에 대하여 급유 레벨 값의 비교를 수행하여 연비산정에 적합한 주유정보 데이터를 선별하는 소정의 주유정보 데이터 필터링을 수행하는 주유정보 데이터 제어부;
상기 수신한 주유정보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 및 사용자 필드로부터 추출하는 과거 주유정보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를 연산하여 운행연비 값을 산출하는 연비계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비계산부는, 연료 탱크 내 소정의 일정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과 차기 동일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 각각에 대응하는 주행거리의 차를, 상기 일정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부터 차기 동일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까지의 급유량의 합으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자동차의 운행연비 제공 시스템은 여러 개의 주유소를 연합하여 회원 관리를 수행하는 서버 시스템일 수 있고, 단일 주유소가 운영하는 독립 시스템일 수도 있으며, 별도 독립 단말로서 운전자가 소지하거나 차량에 탑재할 수 있는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 네비게이션 또는 별도 전용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이하에서는 '메인 서버(100)' 로 기술하기로 함)
<도 4a>는 일반적인 주유소에서의 주유정보 데이터의 발생 과정과 상기 주유정보 데이터가 메인 서버로 전송되는 전체 과정에 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주유기로부터 POS로의 주유 데이터의 발생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며, 주유기 메이커의 상이함에도 데이터의 발생과 전송과정은 대동소이하다.
통상 자동차에 급유를 시작하기에 앞서 주유판매원은 운전자로부터 희망급유량을 요청(S410)받은 후 적절한 급유방식을 주유기(110)에 미리 세팅하게 된다. 급유방식의 세팅이라 함은 해당 주유기의 기능 버튼을 급유전에 미리 조작하여 3만원, 5만원 또는 10리터, 20리터 등으로 급유량을 급유전에 미리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급유방식은 주유기 제조회사의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3만원, 5만원 단위와 같은 정액급유(S415), 그리고 10리터, 20리터와 같은 정량급유(S416), 및 세팅을 하지 않고 곧바로 급유하는 미(未)세팅 급유방식(S414) 등 3가지 방식으로 구별된다. 상기 미(未)세팅 상태(S414)로 급유하는 경우는 자동차의 연료탱크에 가득 차도록 주유하는 경우로서 통상 연료탱크가 가득 차게 되면 주유기 토출부 끝의 노즐 센서가 작동하여 급유가 자동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급유가 완료(S419)되면 주유기(110)로부터 주유소의 POS(Point Of Sales ; 판매시점 관리) 시스템으로 주유기의 번호, 주유량, 주유금액을 포함한 주유정보 데이터가 전송되고 운전자는 주유 대금을 결제하게 되는데, 이 때 운전자가 정유사 혹은 주유소의 회원일 경우 결제 대금과 함께 주유 회원카드를 제시하게 된다. 회원카드는 회원ID를 저장한 매체로서 통상 마그네틱형이나, 회원 ID 외에 추가로 주 유정보 등의 메모리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는 스마트카드형 및 차량장착 RF태그형, 휴대폰 내장형 등 다양한 예가 있다. 주유소의 POS 시스템은 회원의 주유 실적 관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주유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급유 데이터에 회원카드의 회원ID 정보를 추가하여 회원의 주유 실적 관리를 수행하는 메인 서버(100)로 회원ID와 상기 주유정보 데이터를 전송한다. 시스템 운영자의 필요와 주유소의 환경에 따라 주유정보 데이터는 주유소의 POS 시스템으로부터 메인 서버(100)로 직접 전송될 수 있고, CAT 단말(Credit Authogorization Terminal ; 신용단말)과 같이 전송을 매개하는 단말을 경유하여 메인 서버(1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CAT 단말은 통상적으로 신용카드의 결제를 수행하는 VAN 단말기로서, POS 시스템과의 데이터 호환 가능 여부에 따라 연동형 CAT 단말과 비(非)연동형 CAT 단말로 구별된다. 연동형 CAT 단말은, POS 시스템에 수신된 주유정보 데이터를 메인 서버(100)로 전송하고 메인 서버(100)의 데이터 처리 응답 결과를 POS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CAT 단말이다. 비(非)연동형 CAT 단말은, POS 시스템과 메인서버(100)와의 프로토콜 불일치 등으로 인하여 POS 시스템에 수신된 주유정보 데이터를 메인 서버(100)로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주유정보 데이터를 수동으로 입력(S452)받아 메인 서버(100)로 전송하도록 구성한 단말이다. 즉, 비(非)연동형 CAT 단말은, 입력자가 운전자의 주유 회원 ID를 인식시킨 후 유종과 주유금액만 입력(S452)하여도 사전에 CAT 단말에 설정해 놓은 유종별 단가, 시각, 매장코드 등의 정보를 추가하여 메인 서버(100)로 함께 전송하므로, 상기 비(非)연동형 CAT 단말로부터 메인 서버(100)로 전송되는 주유정보 데이터는 연동형 CAT 단말의 경우와 동일하게 회원 ID, 유종, 주유금액, 주유량, 주유일시 등의 주유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한편, 상기 CAT 단말로부터 직접 혹은 POS를 거쳐 회원관리를 수행하는 메인 서버로 전송되는 주유정보 데이터의 처리 흐름은 <도 4c>와 같이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주유기에서 발생한 주유정보 데이터를 메인 서버(100)로 전송하기 위한 또다른 수단은 ODT 단말(Out Door Terminal ; 옥외용 주유기 단말)일 수 있다. ODT 단말은 주유기에 부착 또는 주유기와 일체형으로 된 것으로서 주유기에서 발생한 급유 데이터에 주유 회원 ID의 인식을 추가하여 메인 서버(100)로 주유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서버 단말(120)은, 주유소에서 발생한 상기 주유정보 데이터를 메인 서버(100)로 전송하는 수단으로서, POS 시스템, 유선 CAT 단말, 이동용 무선 CAT 단말, ODT 단말일 수 있으며, 후술하는 운전자 단말과 유무선 통신의 형태로 데이터 교환을 하는 경우에는 RF(Radio frequeancy),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ZigBee, 무선랜 및 블루투스 기반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인 서버(100)가 서버 단말(120)로부터 수신하는 주유정보 데이터의 프로토콜은, 상기 서버 단말(120)이 POS 시스템, CAT 단말, ODT 단말일 경우 구체적으로는 RS-232C 및 TCP/IP 규약을 포함하는 프로토콜일 수 있으며, RF 단말 등 무선 통신의 경우에는 해당 규약을 따른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인 서버(100)나 서버 단말(120) 및 통신을 매개하는 단말로부터 주행거리 데이터의 입력 요청을 받아 주행거리 데이터 및 고유 ID를 전송하고 운행연비값을 수신받는 운전자 단말(130)은, 회원이 휴대하거나 자동차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개인용 휴대폰(Mobile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 개인 휴대 정보 단말), 휴대용 인터넷 단말, 차량 주행정보를 기록하고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 컴퓨터, 차량용 PC, CNS(Car Navigation System;차량 항법 시스템) 단말, RF 통신을 이용한 무선 송수신 단말 및 전용 단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원 카드로서 주행거리 데이터를 기록 및 저장하고 메모리 가능한 IC칩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인 서버(100)가 운전자 단말(130)에게 주행거리 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데이터의 형태는, 상기 운전자 단말(130)이 운전자가 휴대 가능한 개인용 휴대폰, PDA 및 휴대용 인터넷 단말일 경우 구체적으로는 SMS(Short Message Service ; 단문메시지 서비스),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 자동응답 서비스), 또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기반의 메신저 및 이메일의 형태를 포함하며, 차량 장착 단말인 경우에는 해당 통신 프로토콜을 따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서버 단말(120) 또는 운전자 단말(130)과 메인 서버(100)간의 데이터 송수신 수단(140,150)은, 공중 인터넷망, 위성망, 이동통신망, VAN, RF, IrDA, 무선랜 등 기 알려진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도 2a)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운행연비의 제공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시스템은 그 원리상 유류의 주유 뿐 아니라 가스/전기 충전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시스템(메인 서버,100)은 데이터 인터페이스부(210),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 주유정보 데이터 제어부(230), 주행거리 데이터 제어부(240), 연비계산부(260) 및 적정연비 판단부(270)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210)는, 주유량과 주유일시 및 급유 레벨 값을 포함하는 주유정보 데이터와 차량의 주행거리 데이터를, 전술한 서버 단말(120) 또는 운전자 단말(130), 또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고, 운행연비 값을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는 장치이다. 상기 주유정보 데이터 제어부(230)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210) 에서 수신하는 주유정보 데이터에 대하여 급유 레벨 값이 소정의 일정 레벨값(예를들어 가득 급유값), 즉 일정한 동일 레벨 급유값을 갖는 데이터를 선별하여 취하는 주유정보 데이터 필터링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적합한 주유정보 데이터를 선별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주행거리 데이터 제어부(240)는 서버 단말(120) 또는 운전자 단말(130), 또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주행거리 데이터의 수신 시각과 실제 급유시각과의 차이가 일정 범위 이내인 주행거리 데이터를 선별함으로써 적합한 주행거리 데이터를 선별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는 각 회원별로 구분되며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 (210)에서 수신하는 주유정보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를 기록하며, 회원 및 차량과 관련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연비계산부(260)는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 (220)에 저장된 과거 주유정보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를 추출하고, 선별되는 주유정보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를 함께 연산함으로써 운행연비를 산출하는 장치이다. 상기 적정 연비 판단부(270)는 산출된 운행연비값이 적정한 운행연비값 범위내에 해당하는 지를 사전 설정한 적정 운행연비값 범위와 비교하여 판별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각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시스템(100)의 구체적인 작용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a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시스템(100)은 전술한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시스템(100)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은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운행연비의 제공 방법에 대하여 상술한다.(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은 그 원리상 유류의 주유 뿐 아니라 가스/전기 충전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도 1b>와 <도 3> 및 <도 5a>를 이용하여 서버 단말(120)이 메인 서버(100)에게로 전송한 주유정보 데이터의 처리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메인 서버(100)는 주유정보 데이터 및 주행거리 데이터의 기록을 위한 회원 필드를 유지(S501)한다.
상기 기술한 주유소의 서버 단말(120)로부터 운전자의 회원 ID와 주유량, 주유일시, 서버단말 ID를 포함하는 주유정보 데이터가 수신(S510)되면 메인 서버(100)는, 상기 주유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회원 ID(211)를 키워드로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를 검색(S520)하여 해당 회원의 주유정보 데이터 필드를 추출(S530)하고 해당 회원의 데이터 필드에 상기 주유정보 데이터를 저장(S540)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주유정보 데이터에는 종래의 주유량, 주유일시, 서버단말 ID 등으로 구성되는 주유 데이터에 소정의 급유레벨 값을 더 포함하여 수신하게 하고 상기 급유레벨 값을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의 특징인 소정의 주유정보 데이터 필터링을 적용하게 한다. 상기 급유레벨 값은 상기 기술한 급유방식 값(23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급유방식 값(233)은 주유기에서의 급유가 정액급유 세팅, 정량급유 세팅 및 미세팅 중 어느 한 상태의 값을 포함하는 값으로서, 소정의 일정 레벨 급유값의 한 종류인 가득 주유한 경우의 주유정보 데이터를 선별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서버(100)는 상기 주유정보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주유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급유 레벨 값, 즉 급유방식 값(233)이 정액주유 값이거나 정량주유 값을 갖는 주유정보 데이터 이외의 주유정보 데이터를 취하는 주유정보 데이터 필터링(S325)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운행연비의 계산 방법은, 차량이 운행한 운행거리를 그 구간의 운행에 소요된 유량으로 나누어 산출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 소요 유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연료 탱크 내 소정의 일정 레벨까지의 주유 시점부터 일정 거리 운행후 다시 연료 탱크의 동일 레벨까지로 주유할 때의 주유량을 측정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의 실시 일예로서는 가득 주유한 상태를 소정의 동일(일정) 레벨로 설정하여 설명한다. 즉, 연료 탱크내 상기 일정 레벨의 목표값을 가득 주유상태(full tank 상태)로 설정한다면, 상기 수신한 주유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급유레벨 값, 즉 급유방식 값(233)이 정액급유 값이거나 정량급유 값인 경우는 가득 주유한 경우가 아니므로 해당 데이터는 연비 산정에 적합하지 않게 되므로 해당 프로세스는 종료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정액급유나 정량급유의 경우가 우연히 가득 주유하는 경우가 될 수 있으나 그 확률은 매우 미미하여 본 프로세스에서는 이를 무시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정액급유, 정량급유 및 미세팅 급유 방식외에, 별도로 설정한 가득급유 방식을 추가하고 가득급유 방식의 주유정보 데이터만 선별하여 취하는 것은 바람직한 예이다. 이와 같은 주유정보 데이터 필터링은 운행연비 산출에 적합한 데이터를 선별하는 구성으로서, 적합하지 않은 주유정보 데이터에 대하여도 연비를 산출하게 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부적합한 데이터를 취급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메인 서버(100)의 부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상기 주유정보 데이터 필터링의 일에 있어서 가득 급유 값을 이용한 일예는, 도면을 참조하면, <도 4a>에서 정액급유(S415) 또는 정량급유(S416) 값을 갖는 주유정보 데이터를 본 발명의 프로세스에서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료 탱크내의 소정의 일정 레벨값을 기준점으로 활용하여 연비를 산정하는 것이 본 발명의 중심 사상이며 일정 레벨값의 종류로서는 상기 가득 주유하는 시점외에도 연료 부족 경고등이 들어오는 시점의 레벨 값이나, 임의의 일정 레벨 값 등을 채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일정 레벨 값을 적용하여 연비를 산출하는 예시를, 전술한 경우에 계속하여, 탱크내에 가득차도록 급유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예에서는 가득 급유 여부의 파악을 위한 구성은, 상기 기술한 급유 방식값을 이용함으로써 구성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서버(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유정보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주유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급유 레벨 값, 즉 급유방식 값(233)이 정액주유 값이거나 정량주유 값을 갖는 주유정보 데이터 이외의 주유정보 데이터를 취하는 주유정보 데이터 필터링(S325)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급유방식 값을 이용한 상기 주유정보 데이터 필터링에 있어서, 가득주유 신호를 발생시키는 바람직한 일예는, 주유기에 직접 가득주유 방식의 세팅 신호를 추가하고, 가득 주유하는 경우 서버 단말(120)이 상기 신호를 받아 메인 서버(100)로 전송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득주유 신호를 발생시키는 또 다른 일예는, 서버 단말(120)에 소정의 가득주유 키를 사전 약정하고 이를 서버 단말(120)상에 직접 입력하게 하여 상기 가득주유 키 값을 메인 서버(100)로 전송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득주유 신호를 발생시키는 또 다른 일예는, 서버 단말(120)측에서 소정의 가득주유 확인 제어를 미리 수행하도록 구성하도록 하고, 가득주유 여부 확인값을 메인 서버(100)로 전송하게 하는 것이다. 즉, 서버 단말(120) 이 주유기로부터 주유정보 데이터를 수신한 후 급유방식 값을 비교하여, 가득주유 값인 경우 소정의 가득주유 여부 확인값을 부여하거나, 급유방식 값이 정액급유 또는 정량급유 값을 포함하지 않는 주유정보 데이터에 대하여 가득주유 여부 확인값을 부여한 후, 메인 서버(100)에게로 주유정보 데이터와 회원 ID에 상기 가득주유 여부 확인값을 더 포함하여 전송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서버 단말(120)로부터 직접 가득주유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메인 서버(100)가 수행하는 소정의 주유정보 필터링은 앞서 기술한 정액급유 및 정량급유 값을 포함하는 주유정보 데이터를 제거하는 경우보다 수월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급유방식 값을 이용한 주유정보 데이터 필터링의 방법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주유 금액이 3만원, 5만원 등 일정 단위 금액일 경우 이를 정액주유로 인정하여 제거하는 일정 단위 주유데이터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주유 금액만으로써 판단할 때 58,000원을 주유한 경우 확률적으로 가득주유로 인식할 수 있으며, 5만원을 주유한 경우는 확률적으로 정액주유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나, 이와 같이 주유 금액만으로써 판단할 경우에는 착오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필터링의 정확성이 급유방식 값을 이용한 경우보다 떨어진다. 그러나 확률적으로 무효 데이터의 유효데이터화 가능성이 현저히 낮다고 판단될 경우 시스템 운영자는 이러한 일정 단위 금액 주유데이터 필터링을 채택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급유방식 값을 이용한 주유정보 데이터 필터링(S325)후 메인 서버(100)는, 필터링을 통과한 각각의 주유정보 데이터에 대응하는,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220) 내에 저장된 해당 회원 ID(211)를 키워드로 운전자 단말 ID(212)를 추출하여, 소정의 통신망(140, 150)을 통해 해당 운전자 단말(130)에게 주행거리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S570)한다. <도 5b>는 전술한 <도 5a>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프로세스이며, 데이터의 저장 및 주유정보 데이터의 필터링의 순서를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도 1c> 및 <도 1g>에서와 같이, 상기 서버 단말(120)이 운전자 단말(130)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서버 단말(120)이 운전자 단말(130)에게 주행거리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메인 서버(100) 또는 서버 단말(120)로부터 주행거리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받게 되면, 운전자 단말(130)이 핸드폰 등 휴대 가능한 것일 경우에는 자동차의 계기판에 나타난 주행거리 데이터를 회원이 상기 휴대폰(운전자 단말)에 수동으로 입력하여 전송하게 되고, 운전자 단말이 차량 장착형 PC 등일 경우에는 차량 장착 단말이 자동으로 주행거리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메인 서버 또는 서버 단말과 운전자 단말 사이의 데이터 교환 기술은 IrDA, RF Tag와 장치 등으로서 주지된 기술이다.
삭제
<도 5c>는 가득주유한 회원의 주유정보 데이터가 본 발명에 따른 주유정보 데이터 필터링을 통과한 후, 상기 회원의 운전자 단말(130)이 개인용 휴대폰일 경우 메인 서버(100) 또는 서버 단말(120)로부터 SMS(단문자메시지)의 형태로 주행거리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받고 회신하는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운전자 단말(130)이 휴대용 컴퓨터나 차량장착 컴퓨터 등 상기 SMS(단문자메시지 서비스) 보다 유연한 통신환경을 이용할 경우, 예를들어 무선 인터넷 기반 통신 환경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한 차량의 운전자가 둘 이상(예를 들어 부부), 또는 다차량 1운전자일 경우에도 차량 ID와 운전자 단말 ID를 대응시킨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함으로써 차량별 운행연비의 제공이 가능하다. 즉 회원 ID에 대응되는 운전자 단말 ID와 차량 ID를 함께 기본 정보 DB로서 설정하고(<도 2e 참조>), 운전자 단말에게 주행거리 데이터를 요청할 때 차량 ID를 확인하는 단계를 추가하여, 차량 ID가 다를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게 하면 해당 차량 ID별 운행연비 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운전자 단말(130)이 차량에 장착되어 외부의 통신 매체와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차량 운행정보 저장 칩 및 차량 컴퓨터일 경우, 메인 서버(100)는 사전 약정한 규약이 있을 경우 주행거리 데이터를 상기 차량 장착 운전자 단말(130)로부터 자동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이 때 메인 서버(100)와 차량장착 운전자 단말(130)의 중간에 통신 매개를 위하여 서버 단말(120)을 포함하는 별도의 통신 매개 단말을 경유할 수 있다. <도 1a>, <도 1c>, <도 1e> 및 <도 1g>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 단말(120)이 운전자 단말(130)과 주행거리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수신하는 구성을 도시하며, <도 1b>, <도 1d>, <도 1f> 및 <도 1h>는 각 구성도의 데이터의 흐름에 대하여 도시한다. 특히 <도 1c> 및 <도 1g>에서의 방법은 서버 단말(120)과 운전자 단말(130)간의 무선 통신 매개를 위한 통신 중개 수단이 포함된다.
이하 <도 6a>와 <도 6b>를 이용하여 메인 서버(100)가 운전자 단말(130)로부터 수신하는 주행거리 데이터의 처리 흐름에 대하여 상술한다.
운전자 단말(130)로부터 메인 서버(100)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부로 주행거리 데이터가 수신되면 메인 서버(100)는, 수신된 데이터내의 운전자 단말(130)의 ID(212)를 키워드로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220)를 검색하여 해당 회원의 주유정보 데이터 필드를 추출(S610)한다. (메인 서버(100)가 수신하는 주행거리 데이터에 대응하는 주유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시스템의 운영자는 소정의 주행거리 수신 허가부(235)를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메인 서버(100)는 운전자 단말(130)에게 주행거리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한 후 소정의 주행거리 수신 허가부(235)를 개방하고, 추후 주행거리 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운전자 단말(130)의 고유번호(212)와 함께 상기 주행거리 수신 허가부(235)가 개방된 주유정보 데이터를 탐색함으로써 메인 서버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주행거리 허가부 대신, 주행거리 데이터 전송을 요청한 회원 데이터들에 대하여 임시 메모리를 운용하는 것으로도 서버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후 메인 서버(100)는, 수신한 상기 주행거리 데이터와 상기 추출한 주유정 보 데이터의 비교를 통하여 유효성을 검증하는 소정의 주행거리 데이터 필터링(S630)을 수행한다. <도 6b>에 도시된 주행거리 데이터 필터링(S630)은, 운전자 단말(130)에의 입력 지연 또는 운전자 단말(130)과 메인 서버(100)를 중개하는 통신망의 네트워크 오류 등으로 인한 주행거리 데이터의 전송 지연 오류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이며, 본 발명에서 구하고자 하는 정확한 운행연비 산출을 위한 추가적인 구성이다. 즉, 소정의 수신 허용 한계 시간을 설정(S631)하고, 주유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급유 시각으로부터 주행거리 데이터에 포함된 주행거리 수신 시각까지의 소요 시간(도 6b의 P값)이 상기 허용 시간 한계를 초과하는 지를 판별하여(S635), 허용 시간 한계를 초과한 경우의 데이터는 이미 일정 거리를 운행한 후의 데이터일 확률이 매우 높게 되므로 본 발명의 프로세스에서 제외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허용 시간은 5분 이내 등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소요 시간 측정 기준에 있어서, 메인 서버(100)가 수신하는 주행거리 데이터 수신 시각 대신 운전자 단말(130)에 입력하여 전송하는 상기 주행거리 데이터의 전송 시각을 기준으로 할 수도 있다.
삭제
수신한 주행거리 데이터에 대한 연비계산식(S670)은 임시적으로 다음과 같이 된다.
연비결과값 = (금번 수신된 누적 주행거리값 - 직전의 누적 주행거리값) / ( 금번 주유량)
한편, 위의 산식에 따라 연비를 산출하기 위하여는 매번 동일 레벨(본 예에서는 매번 가득 주유)로 급유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특징인 주유정보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하여, 일정 레벨(가득) 급유 값 발생 시점과 차기 동일 레벨(가득) 급유값 발생 시점 각각에 대응하는 주행거리의 차와, 상기 일정 레벨 급유값 발생시점으로부터 차기 동일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까지의 급유량의 합을 이용하면, 회원이 항상 또는 연이어 동일 레벨로 주유하지 않더라도, 동일 레벨로 주유하는 시기가 도래할 때마다 운행연비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운행연비 산출 산식은 다음과 같이 된다.
운행연비 결과값(제1방법)
= (차기 동일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에 대응하는 주행거리 값 - 이전의 소정 레벨 급유 값 발생 시점에 대응하는 주행거리 값) / (이전의 소정 레벨 급유 값 발생 시점부터 차기 동일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까지의 주유량의 합)
따라서 <도 2c>의 회원 주유 기록 예시를 참고하면 연비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초 주유시(N1) = (32,000- Null ) / (70+Null) = 산정 불가
2회 주유시 (N2) = (32,500-32,000) / (50+0) = 10.0
3회 주유시 (N3) = ( Null -32,500) / (35+0) = 산정 불가
4회 주유시 (N4) = ( Null -32,500) / (30+35) = 산정 불가
5회 주유시 (N5) = (34,000-32,500) / (55+30+35) = 12.0
삭제
삭제
삭제
메인 서버(100)는 상기와 같이 운행연비 계산을 수행한 후, 운행연비 결과값과 주행거리 데이터를 메인 서버(100)의 해당 회원의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S690)하고 소정의 통신망(140, 150)을 통하여 운전자 단말(130)에게 상기 운행연비 결과값을 발송(S695)한다. 메인 서버(100)가 운전자 단말(130)에게 상기 운행연비 결과값을 발송하는 수단은 인터넷 이메일 등 사전에 회원과 약정한 다양한 통신경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 운영자는 운전자 단말(130)로 부터 전송되는 주행거리 데이터에 오류 수치가 입력될 가능성을 고려하여 별도의 적정 연비 데이터 베이스(<도 2d>)를 본 시스템과 연동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위와같이 산출된 운행연비값이 상기 적정연비 데이터 베이스에 규정된 소정의 최소 연비값 미만이거나 최대 연비값 초과인 경우 메인 서버(100)는 상기 운전자 단말(130)에게 오류 안내와 함께 주행거리 데이터의 재입력을 요청하고, 운전자 단말(130)로부터 재전송되는 주행거리 데이터로써 상기 기술한 방법으로 운행연비값을 재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a>, <도 1e,1f> 및 <도 1g,1h>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서버 단말(120)로부터 주유정보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가 일시에 또는 오차를 무시할 수 있을 만큼의 시간 차이를 두고 연이어 수신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주유정보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가 서버 단말(120)로부터 메인 서버(100)로 일시에 또는 연이어 수신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운전자 단말(130)로부터의 입력 시간 차이를 무시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수신 한계 허용 시간을 이용한 주행거리 데이터 필터링의 구성을 적용할 필요없이 운행연비의 계산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 단말(120)은, 주유정보 데이터, 회원 ID 및 수동으로 입력되는 주행거리 데이터 또는 차량장착 운전자 단말부터 자동으로 입력되는 주행거리 데이터를 메인 서버(100)로 전송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메인 서버(100)는 주유정보 데이터 및 주행거리 데이터의 기록을 위한 회원 필드를 유지(S710)하다가, 서버 단말(120)로부터 주유정보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를 일시에 혹은 오차를 무시할 수 있는 시간 간격으로 연이어 수신(S720)하게 되면, 가득 주유하지 않은 데이터를 제거하는 필터링을 수행하거나 가득 주유한 데이터를 선별하는 필터링을 수행한 후(S725), 상기 주유정보 데이터 필터링을 통과한 주유정보 데이터에 대응하는 회원ID를 키워드로 검색하여 해당 회원의 과거 주유정보 및 주행거리 데이터를 추출하고(S730), 전술한 방법으로 운행연비의 계산을 수행(S740)한 후, 회원과 사전 설정한 통신 경로로 상기 운행연비값을 전송(S750)한다.
한편 메인 서버(100)가 서버 단말(120)로부터 수신하는 주행거리 데이터에도 입력 오류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소정의 적정 연비 데이터 베이스(<도 2d>)를 구성하여 소정의 허용 범위를 벗어날 경우 주행거리 데이터의 재입력 요청 및 재계산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 단말(120)은, 전술한 모든 실시예에 있어, 메인 서버(100)의 부하를 경감하기 위하여, 직접 소정의 가득주유 확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즉, 서버 단말(120)은, 주유기로부터 주유정보 데이터를 수신한 후 급유방식 값을 비교하여, 가득주유 값인 경우 소정의 가득주유 여부 확인값을 부여하거나, 급유방식 값이 정액급유 또는 정량급유 값을 포함하지 않는 주유정보 데이터에 대하여 가득주유 여부 확인값을 부여한 후, 메인 서버(100)에게로 주유정보 데이터와 회원 ID에 상기 가득주유 여부 확인값을 더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가득주유 신호를 발생시키는 다른 일예는, 상기 서버 단말(120)에 소정의 가득주유 키를 사전 약정하고 이를 서버 단말(120)상에 직접 입력하게 하여 이를 메인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가득주유 신호를 발생시키는 또 다른 일예는, 서버 단말(120), 운전자 단말(130), 또는 사용자에게 별도의 사전 고지를 통하여 가득 주유한 경우에 주행거리 데이터를 전송하기로 약정하고, 추후 상기 서버 단말(120), 또는 운전자 단말(130), 또는 사용자로부터 주행거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때에는 별도 약정에 따라 가득주유 값을 포함하여 수신한 것이 되므로 주유정보 데이터 필터링시에 연비 산정을 위한 적합한 데이터로서 선정될 수 있다. 상기의 가득주유 신호 및 가득주유 레벨의 예시는,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주유정보 데이터를 선별하기 위하여, 즉, 연료 탱크내의 동일 레벨로 주유한 경우의 데이터를 선별하기 위하여 예를들어 설명한 방법이므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연료 부족 경고 시점 또는 임의의 선정 레벨 등 동일 레벨을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연료 탱크내에서 연료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탱크내 플로팅 밸브로부터 위치 저항값을 수신하여 사전에 설정한 저항값 범위와 비교하여 레벨값을 산정하는 방법, 또는 탱크내 높이가 다른 두 전극간 또는 다중 전극간의 전위차를 수신하여 사전 설정한 전위값 범위와 비교하여 레벨 값을 산정하는 방법 등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료 탱크의 레벨 값 설정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연료가 액체인 상태로서 가득 주유한 경우를 예로 들어 상세히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주유소 이외의 가스 충전소에서도 액화된 가스가 주입될 경우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동일 레벨값을 갖는 주유(충전) 데이터 필터링을 이용하여 연비를 산정할 수 있게 된다. 가스 충전이 기체의 상태로 이루어질 경우에도 탱크 내 압력의 일정 레벨을 기준으로 하여도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연비 산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술한 액체 연료 뿐 아니라 전기 배터리를 연료로 하는 전기 충전의 경우에도 자동차 배터리의 전류량 및 전압을 대상으로 하여 소정의 일정 레벨 전류/전압 값을 설정하고, 상기 일정 레벨 전류/전압 값을 갖는 충전 데이터의 필터링을 적용함으로써 전기 배터리를 이용한 차량의 연비도 측정할 수 있게 되며, 이렇게 연료의 물성이 달라질 지라도 해당 연료 탱크 용량의 동일 레벨 값을 갖는 데이터의 필터링을 이용하여 연비를 측정하는 것은 모두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표현의 편의상 '주유' 또는 '급유' 로 대표하여 기술하고 있다.
<도 1i>와 <도 1j> , <도 1k> 및 <도 1l>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서버 단말(120)에서 직접 운행연비값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이하 기술하는 서버 단말(120)은, 메인 서버(100)의 구성을 포함하지 않고, 운전자 단말(130)로부터 무선통신 혹은 접촉의 방법으로 주행거리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주유정보 데이터 및 주행거리 데이터를 직접 입력받아 운행연비값을 산출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 독립적인 운행연비 제공 단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 단말(120, <도 1i>, <도 1j>, <도 1k> 및 <도 1l>)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급유방식 값을 이용한 주유정보 필터링을 수행하며, 메모리 가능한 IC칩, 플래시 메모리 및 자체 메모리를 포함하는 운전자 단말(130)로부터 주행거리 데이터와 운전자 단말 ID를 전송받거나 read 또는 입력받은 후, 서버 단말(120)내의 연비계산부(126)에서 직접 운행연비값을 연산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표시하거나 인쇄물로 출력하고, 결과값 및 금번의 주유정보 데이터를 상기 운전자 단말(130)에 저장한다. 이 경우의 상기 운전자 단말(130)은 메모리 가능한 차량탈착형 IC칩, 플래시 메모리 및 자체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주행거리 데이터 정보를 기록 및 저장할 수 있으며, 과거의 주행거리 데이터와 주유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호출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 단말이 무선 송수신이 가능하고 기록,저장 및 쓰기가 가능할 경우 차량용 PC, CNS(Car Navigation System) 단말, RF 통신을 이용한 Tag 모듈, 블루투스 기반 송수신 모듈 및 전용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단말(130)은 서버 단말(120)을 일체형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은 <도 1l>에 도시되어 있다. 즉, 주행거리 데이터와 주유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부, 사용자로부터 직접 주유정보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키패드 입력부, 급유방식의 비교를 통하여 연비 산출에 적합한 주유정보 데이터를 선별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부, 주유정보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메모리부, 데이터 인터페이스부나 키패드 입력부를 통하여 수신하는 주유정보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로부터 운행 연비를 산출하는 연비 계산부, 및 산출된 운행 연비값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운행연비 제공 시스템이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 단말(120)은, 주유정보 데이터 및 주행거리 데이터의 수신을 대기하다가, 주유정보 데이터를 POS시스템이나 CAT단말, 또는 주유기로부터 주유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read 또는 운전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은 후, 급유방식 값의 비교를 통하여 운행연비 산출에 적합한 데이터를 선별하기 위한 소정의 주유정보 데이터 필터링을 수행하고, 주행거리 데이터 및 주유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며 고유 ID를 갖는 운전자 단말(130)에게 과거 주행거리 데이터와 주유정보 데이터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며, 상기 운전자 단말(130)로부터 수신하거나 read 또는 운전자로부터 입력받은 주행거리 데이터와 주유정보 데이터 및 금번의 주유정보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로부터 운행연비값을 연산하고 소정의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표시하거나 인쇄물로 출력한 후, 운행연비 결과값 및 금번 수신한 주유정보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를 대응시켜 상기 운전자 단말(130)에 저장한다. 상기 소정의 주유정보 데이터 필터링은 전술한 경우와 동일하게, 주유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급유방식의 값이 가득급유 값(일정 레벨 급유값)인 주유정보 데이터를 선별하여 취하거나, 급유방식의 값이 정액급유 또는 정량급유 값 이외인 주유정보 데이터를 선별하여 취하는 제어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서버(독립) 단말(120)의 구성은 <도 1l>에 도시되어 있으며 각 수단별 기능과 작용에 대하여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전술한 모든 실시예에 있어 운행연비값을 연산하는 산식은 전술한 산식과 동일하며, 연비를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운전자 단말 및 서버 단말을 포함한다)에게 제공할 때에는, 해당 차량의 연비를 사용자의 전후 운행 연비값 비교 정보 뿐 아니라 동종 타차량 그룹 혹은 전체 차량 그룹, 또는 특정 그룹에 대한 해당 차량의 연비 랭킹을 산정하고 해당 랭킹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운행연비의 제공 방법에 따르면, 운행연비를 통하여 차량 성능과 이상 여부에 대한 인지 및 해당 차량의 지속적 연비 추세를 통한 자체 이상 여부 인지, 그리고 경제적 운전에 대한 운전자로서의 자각 등 운행연비값이 제공하는 바람직한 효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각종 차량들의 연비 결과를 바탕으로 특정 차량에 대하여 동종 타차량들 대비 연비 랭킹 정보 등 연비 비교 정보도 함께 제공함으로써 보다 경제적인 운전에 대한 마인드 제고 등의 바람직한 효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 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장치(8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820)과 롬(ROM: Read Only Memory)(8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8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8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8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820) 및 롬(8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8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8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8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8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810)는 비디오 모니터,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8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8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과 같은 방법으로, 보편화된 주유 방법과 운전자 단말 및 서버 단말을 결합하는 것 만으로 자동차의 정확한 운행연비를 산출하고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상의 방법으로, 타 회원 동종 차량들과의 운행연비 평균값 비교 및 차량의 운행연비 변화 추세를 통한 이상 여부 파악 등 운행연비값이 제공하는 바람직한 효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8)

  1. 자동차 연비 제공 방법에 있어서,
    자동차 연비 제공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부에서,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유량, 주유일시 및 급유 레벨 값을 포함하는 주유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의 해당 사용자 필드에 저장하는 단계;
    자동차 연비 제공 시스템의 주유정보 데이터 제어부에서, 수신한 상기 주유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급유 레벨 값이 소정의 동일 레벨 급유값인 주유정보 데이터를 선별하여 취하는 소정의 주유정보 데이터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자동차 연비 제공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부에서,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주행거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자동차 연비 제공 시스템의 연비계산부에서,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유정보 데이터 또는 주행거리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과거 주유정보 데이터와 과거 주행거리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필드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수신한 주유정보 데이터 및 주행거리 데이터와 연산하여 운행연비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자동차 연비 제공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부에서, 상기 주행거리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필드에 저장하고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운행연비 값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주유정보 데이터 및 주행거리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는 수단이며, 주유소 또는 충전소에 구비하거나 사용자가 휴대 또는 차량에 탑재 또는 장착 가능한 것으로서, 차량의 주유정보 및 주행정보를 기록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차량용 컴퓨터, IC 칩, 플래시 메모리, CNS(Car Navigation System) 단말, POS 시스템, 유무선 VAN 단말, 이동통신 단말, 휴대 인터넷 단말, 휴대용 컴퓨터, RF Tag 모듈, IrDA 모듈, Zig Bee 모듈, 블루투스 기반 송수신 모듈 및 전용 단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운행연비 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연료 탱크 내 소정의 일정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과 차기 동일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 각각에 대응하는 주행거리의 차를, 상기 일정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부터 차기 동일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까지의 급유량의 합으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주유정보 데이터 필터링은, 수신한 급유 레벨값이 소정의 동일 레벨 급유값인 주유정보 데이터를 선별하여 취하는 제어 대신,
    소정의 동일 레벨로 주유한 경우에 주행거리 데이터를 전송하기로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과 별도 약정 또는 사전 고지한 후 상기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주행거리 데이터에 대응하는 주유정보 데이터를 취하는 제어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주유정보 데이터 필터링은, 급유 레벨 값이 가득급유 값인 주유정보 데이터를 선별하여 취하거나, 급유 레벨 값이 정액급유 값 또는 정량급유 값 이외인 주유정보 데이터를 선별하여 취하는 제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주유량은 주유금액을 주유단가로 나눈 결과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자동차 연비 제공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부에서,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유량, 주유일시 및 급유 레벨 값을 포함하는 주유정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의 해당 사용자 필드에 저장하는 단계;
    자동차 연비 제공 시스템의 주유정보 데이터 제어부에서, 수신한 상기 주유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급유 레벨 값이 소정의 동일 레벨 급유값인 주유정보 데이터를 선별하여 취하는 소정의 주유정보 데이터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자동차 연비 제공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부에서,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차량의 주행거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는,
    자동차 연비 제공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부에서,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주유량, 주유일시 및 급유 레벨 값을 포함하는 주유정보 데이터 및 차량의 주행거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자동차 연비 제공 시스템의 주유정보 데이터 제어부에서, 수신한 상기 주유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급유 레벨 값이 소정의 동일 레벨 급유값인 주유정보 데이터를 선별하여 취하는 소정의 주유정보 데이터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하나 이상의 사용자 각각으로 할당되며 소정의 주유정보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주유량, 주유일시 및 급유 레벨 값을 포함하는 주유정보 데이터와, 차량의 주행거리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운행연비 값을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부;
    수신한 상기 주유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급유 레벨 값이 소정의 동일 레벨 급유값인 주유정보 데이터를 선별하여 취하는 주유정보 데이터 제어부;
    상기 수신한 주유정보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 및 사용자 필드로부터 추출하는 과거 주유정보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를 연산하여 운행연비 값을 산출하는 연비계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주유정보 데이터 및 주행거리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는 수단이며, 주유소 또는 충전소에 구비하거나 사용자가 휴대 또는 차량에 탑재 또는 장착 가능한 것으로서, 차량의 주유정보 및 주행정보를 기록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차량용 컴퓨터, IC 칩, 플래시 메모리, CNS(Car Navigation System) 단말, POS 시스템, 유무선 VAN 단말, 이동통신 단말, 휴대 인터넷 단말, 휴대용 컴퓨터, RF Tag 모듈, IrDA 모듈, Zig Bee 모듈, 블루투스 기반 송수신 모듈 및 전용 단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연비계산부는, 연료 탱크 내 소정의 일정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과 차기 동일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 각각에 대응하는 주행거리의 차를, 상기 일정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부터 차기 동일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까지의 급유량의 합으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시스템.
  14. 주유량, 주유일시 및 급유 레벨값을 포함하는 주유정보 데이터와, 차량의 주행거리 데이터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키패드 입력부;
    상기 주유정보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부;
    입력된 상기 주유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급유 레벨 값이 소정의 동일 레벨 급유값인 주유정보 데이터를 선별하여 취하는 주유정보 데이터 제어부;
    입력된 상기 주유정보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 및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는 과거 주유정보 데이터와 주행거리 데이터를 연산하여 운행연비 값을 산출하는 연비계산부; 및
    산출된 운행연비 값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연비계산부는, 소정의 일정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과 차기 동일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 각각에 대응하는 주행거리의 차를, 상기 일정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부터 차기 동일 레벨 급유값 발생 시점까지의 급유량의 합으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시스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50093280A 2004-10-06 2005-10-05 주유소에서 발생하는 주유정보 데이터와 차량의 주행거리데이터를 이용한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41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720 2004-10-06
KR20040079720 2004-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028A KR20060052028A (ko) 2006-05-19
KR100941548B1 true KR100941548B1 (ko) 2010-02-10

Family

ID=37150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280A KR100941548B1 (ko) 2004-10-06 2005-10-05 주유소에서 발생하는 주유정보 데이터와 차량의 주행거리데이터를 이용한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154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8578A (ko) * 2014-05-30 2015-12-10 (주)닥터소프트 통신 단말을 이용한 주유소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06460B1 (ko) 2014-05-16 2016-03-25 조제환 라이터 가스 충전 시스템 관리방법
KR101607674B1 (ko) * 2014-03-14 2016-03-31 비씨카드 주식회사 주유소 추천 방법 및 카드사 서버
WO2017176149A1 (ru) * 2016-04-08 2017-10-12 Юрий Иванович ДРОБОТЯ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заправки топливом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20180132249A (ko) * 2017-06-02 2018-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그와 통신하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6622A (zh) * 2018-05-11 2018-08-21 王之顺 一种信息显示装置及数据处理方法
KR102353044B1 (ko) * 2018-07-30 2022-01-18 박병각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의 메인 서버
KR102129076B1 (ko) * 2018-07-30 2020-07-01 박병각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 및 그것의 주행연비 제공 방법
CN117196611A (zh) * 2020-04-20 2023-12-08 车主邦(北京)科技有限公司 加油数据的处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4652A (ko) * 2000-10-30 2002-05-09 이용선 차량 및 차량 운전자를 위한 정보 제공 사이트 운용 방법
KR20030000807A (ko) * 2001-06-27 2003-01-06 (주) 엘지텔레콤 무선단말기로의 차량관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4652A (ko) * 2000-10-30 2002-05-09 이용선 차량 및 차량 운전자를 위한 정보 제공 사이트 운용 방법
KR20030000807A (ko) * 2001-06-27 2003-01-06 (주) 엘지텔레콤 무선단말기로의 차량관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674B1 (ko) * 2014-03-14 2016-03-31 비씨카드 주식회사 주유소 추천 방법 및 카드사 서버
KR101606460B1 (ko) 2014-05-16 2016-03-25 조제환 라이터 가스 충전 시스템 관리방법
KR20150138578A (ko) * 2014-05-30 2015-12-10 (주)닥터소프트 통신 단말을 이용한 주유소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93607B1 (ko) * 2014-05-30 2016-02-19 (주)닥터소프트 통신 단말을 이용한 주유소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7176149A1 (ru) * 2016-04-08 2017-10-12 Юрий Иванович ДРОБОТЯ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заправки топливом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EA035389B1 (ru) * 2016-04-08 2020-06-05 Пигарева, Наталья Петровна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ая система заправки топливом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20180132249A (ko) * 2017-06-02 2018-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그와 통신하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384647B1 (ko) * 2017-06-02 2022-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그와 통신하는 단말기 및 그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028A (ko) 200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548B1 (ko) 주유소에서 발생하는 주유정보 데이터와 차량의 주행거리데이터를 이용한 자동차 운행연비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6564502B1 (ja) バッテリ管理システム
US850998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 internet logging and social comparison of vehicular driving behavior
KR101585115B1 (ko) 차량 유가보조금 부정수급검출관리시스템
KR100950522B1 (ko) 차량용 이산화탄소 모니터링장치, 이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80162193A1 (en) Data Recording System and Data Recording Method
JP2011102739A (ja) 電気自動車用充電ステーションの広域案内システム
WO2006137137A1 (ja) 顧客管理装置
CN103035037B (zh) 一种带有计价功能的出租车智能终端装置
JP6358821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9858984B (zh) 信息提供装置以及信息提供方法
JP201515295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9975835A (zh) 一种基于北斗定位的租赁车辆监控管理方法及系统
JP2022545018A (ja) 燃料経済性の推定
JP2015101291A (ja) 車両評価システム及び車両評価方法
KR20130094595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관리 시스템
JP2022069173A (ja) 充電予約システム
KR102353044B1 (ko) 주행연비 제공 시스템의 메인 서버
JP2001222797A (ja) 自動車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情報管理方法
KR20120050371A (ko) 자동차 관리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33365B1 (ko) 이동 연료 공급 시스템, 연료 공급 방법 및 연료량 검침및 신호 송신 장치
KR102269730B1 (ko) 전기자동차 대리충전 서비스 시스템
JP6675371B2 (ja) 管理システム
JP5622272B2 (ja) 走行管理情報提供システム
KR20090000037A (ko) 주유소 유류 가격정보 수집/조회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