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119B1 - 코어 테이프 부착 유닛 및 이를 갖는 코어 테이핑 장치 - Google Patents

코어 테이프 부착 유닛 및 이를 갖는 코어 테이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119B1
KR100940119B1 KR1020080108547A KR20080108547A KR100940119B1 KR 100940119 B1 KR100940119 B1 KR 100940119B1 KR 1020080108547 A KR1020080108547 A KR 1020080108547A KR 20080108547 A KR20080108547 A KR 20080108547A KR 100940119 B1 KR100940119 B1 KR 100940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tape
cylinder
attached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권
박동국
Original Assignee
크로바하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로바하이텍(주) filed Critical 크로바하이텍(주)
Priority to KR1020080108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3Corrosion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 테이프 부착 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코어 테이프 부착 유닛은 코어의 상면 끝단부가 커버되도록 상기 끝단부에 부착된 테이프를 갖는 코어가 안착되는 다수의 코어 안착부들이 외주를 따라 다수 위치에 마련되는 원판형의 회전 스테이지와, 상기 회전 스테이지를 일정 간격으로 회전 시키어, 일정 간격으로 회전 위치되는 코어의 테이프를 상기 코어의 상면 또는 하면과 2면의 테두리면에 순차적으로 부착시키는 테이프 부착 모듈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어 테이프 부착 유닛을 갖는 코어 테이핑 장치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ㄷ'의 코어에 테이프를 공급하고, 상기 공급된 테이프를 순차적인 부착 공정을 통하여 상기 코어에 부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순차적인 테이프 부착 공정을 통하여 테이프를 코어에 부착함으로써, 종래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테이프 부착 공정에 따르는 공정 시간 및 인건비등의 소요 비용을 용이하게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코어 테이프 부착 유닛 및 이를 갖는 코어 테이핑 장치{UNIT FOR ATTACHING CORE TAPE AND APPARATUS FOR TAPING COR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코어 테이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ㄷ'의 코어에 테이프를 공급하고, 상기 공급된 테이프를 순차적인 부착 공정을 통하여 상기 코어에 부착할 수 있는 코어 테이프 부착 유닛 및 이를 갖는 코어 테이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트랜스에는 코어가 설치된다. 여기서, 'U'타입의 코어의 경우에 보빈에 설치되고, 상기 보빈의 외주에는 절연 테이프가 외감되어 상기 보빈과 상기 코어를 서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코어의 외면을 에워싸도록 상기 코어의 외면에 보호 테이프를 테이핑 처리한다.
상기 코어의 외면에 행하여 지는 테이핑 처리는 보호 테이프를 일정 길이로 절취하고, 이 절취된 보호 테이프를 코어의 외면을 에워싸도록 코어의 외면에 부착하는 공정을 거친다.
여기서, 'U'타입 또는 'ㄷ'타입의 코어의 외면에 일정 길이의 보호 테이프를 부착하는 공정을 일 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ㄷ'타입의 코어는 상하부와 일측이 개방되는 개구를 갖는 코어 몸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코어 몸체는 상면과 하면을 가지며, 3면의 외주면과 3면의 내주면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보호 테이프는 상기 코어 몸체의 상면과 외주면인 테두리 3면을 감싸도록 부착된다.
먼저, 보호 테이프를 코어 몸체의 상면 끝단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상면에 부착시킨다. 이어, 상기 상면과 연결되는 코어 몸체의 후면(테두리면 중 하나)에 보호 테이프가 부착되도록 포밍시킨다. 그리고, 상기 코어 몸체의 양측면(테두리면 중 한 쌍)에 보호 테이프가 부착되도록 동시에 포밍시킨다. 그리고, 상기 코어 몸체의 양측면 상방으로 돌출되는 보호 테이프를 서로 마주보도록 포밍시키어 코어 몸체의 상면에 부착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 몸체의 상면에는 보호 테이프 간에 겹쳐져 접힌 접힘부가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코어에 보호 테이핑 처리하는 일련의 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종래에는 대량의 코어 테이핑 작업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시간당 생산량이 저하되고 인건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더하여, 종래에는 코어의 접힘부를 별도로 고정시키지 않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트랜스 제작 공정시에 테이프 부착 불량 등으로 인한 제품 불량률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ㄷ'의 코어에 테이프를 공급하고, 상기 공급된 테이프를 순차적인 부착 공정을 통하여 상기 코어에 부착할 수 있는 코어 테이프 부착 유닛 및 이를 갖는 코어 테이핑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순차적인 테이프 부착 공정을 통하여 테이프를 코어에 부착함으로써, 종래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테이프 부착 공정에 따르는 공정 시간 및 인건비등의 소요 비용을 용이하게 줄일 수 있는 코어 테이프 부착 유닛 및 이를 갖는 코어 테이핑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코어 테이프 부착 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코어 테이프 부착 유닛은 코어의 상면 끝단부가 커버되도록 상기 끝단부에 부착된 테이프를 갖는 코어가 안착되는 다수의 코어 안착부들이 외주를 따라 다수 위치에 마련되는 원판형의 회전 스테이지; 상기 회전 스테이지를 일정 간격으로 회전 시키어, 일정 간격으로 회전 위치되는 코어의 테이프를 상기 코어의 상면과 2면의 테두리면에 부착시키는 테이프 부착 모듈; 상기 테이프 부착 모듈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코어는 일정 길이를 이루고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제 1몸체들과, 상기 한 쌍의 제 1몸체들 일단을 잇는 제 2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는 일측이 개구되도록 상기 제 1몸체들과 상기 제 2몸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요홈을 갖는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의 상면 끝단부는 상기 제 2몸체의 상면 일정 영역이고,
상기 테이프 부착 모듈은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중앙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회전 스테이지를 일정 각도 간격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와, 상기 코어 안착부들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코어의 상면 또는 하면 끝단부에 부착된 코어를 집어 상기 코어 안착부들 중 어느 하나에 안착시키는 코어 이송 실린더와,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외주 근방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일정 간격으로 회전되는 상기 코어 안착부들에 안착된 코어에 부착된 테이프를 상기 코어의 상면과 2면의 테두리면에 순차적으로 부착시키는 테이프 부착 실린더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과 상기 코어 이송 실린더 및 상기 테이프 부착 실린더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작동시키고, 상기 테이프 부착 실린더는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일정 간격으로 회전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테이프 부착 실린더는 제 1부착 실린더와, 제 2부착 실린더와, 제 3부착 실린더와, 제 4부착 실린더를 구비하되,
상기 제 1부착 실린더는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회전되는 제 1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1위치에 위치되는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테두리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1부착 실린더 몸체와, 상기 제 1부착 실린더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테두리부를 향하여 신축되는 제 1부착 실린더축과, 상기 제 1부착 실린더 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코어의 테두리부를 감싸도록 상기 코어의 상면에 부착된 테이프를 꺽어 상기 코어의 상면과 직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개구와 대향되는 제 2몸체의 외면인 상기 코어의 후면에 부착하도록 상기 코어의 상면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상기 코어의 후면 형상에 대응하는 제 1포밍 부재를 갖고,
제 2부착 실린더는 상기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위치의 측부의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회전되는 제 2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2위치에 위치되는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테두리부를 향하는 제 2부착 실린더 몸체와, 상기 제 2부착 실린더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테두리부를 향하여 신축되는 제 2부착 실린더축과, 상기 제 2부착 실린더 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코어의 상면과 후면에 부착된 테이프를 상기 후면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상기 코어의 양측면에 부착하도록 한 쌍의 제 2포밍 부재와, 상기 제 2부착 실린더 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2포밍 부재들의 사이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코어의 양측면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프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힘을 가이드하는 접힘 가이드 부재를 갖고,
상기 제 3부착 실린더는 상기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위치의 측부의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회전되는 제 3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3위치에 위치되는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3부착 실린더 몸체와, 상기 제 3부착 실린더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상면을 향하여 신축되는 제 3부착 실린더축과, 상기 제 3부착 실린더 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코어의 양측면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프가 상기 코어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누르는 제 3포밍 부재를 갖고,
상기 제 4부착 실린더는 상기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 3위치의 측부의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회전되는 제 4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4위치에 위치되는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4부착 실린더 몸체와, 상기 제 4부착 실린더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상면을 향하여 신축되는 제 4부착 실린더축과, 상기 제 4부착 실린더 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코어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눌려져 서로 겹친 테이프를 서로 초음파 융착시키는 초음파 융착 부재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 1포밍 부재는 상기 코어의 상면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상기 코어의 후면 형상에 대응하는 밀착면이 형성되되, 상기 밀착면에는 구를수 있는 원통형의 탄성 롤러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포밍 부재는 상기 제 1부착 실린더 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탄성 재질의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상기 코어의 끝단부 상면에 말착되어 상기 상면을 따라 구르는 제 1롤러와, 상기 코어의 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후면을 따라 구를 수 있는 제 2롤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코어 테이핑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코어 테이핑 장치는 상기 코어 테이핑 장치는 일측이 개구되는 요홈을 갖는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코어들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코어 공급유닛; 상기 코어 공급유닛의 근방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되는 코어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의 끝단부에 상기 끝단부가 커버되도록 일정 크기의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유닛; 상기 코어 공급유닛의 근방에 배치되며, 상기 코어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의 끝단부에 공급된 테이프를 상기 코어의 상면 또는 하면과 2면의 테두리면에 순차적으로 부착시키는 테이프 부착유닛; 상기 테이프 부착유닛의 근방에 배치되며, 상기 테이프가 부착된 코어를 배출하는 코어 배출 유닛; 및 상기 코어 공급유닛과 상기 테이프 공급유닛과 상기 테이프 부착유닛 및 상기 코어 배출 유닛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코어는 일정 길이를 이루고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제 1몸체들과, 상기 한 쌍의 제 1몸체들 일단을 잇는 제 2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는 일측이 개구되도록 상기 제 1몸체들과 상기 제 2몸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요홈을 갖는 상기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의 상면 끝단부는 상기 제 2몸체의 상면 일정 영역이다.
여기서, 상기 코어 공급유닛은 일정 개수의 코어들을 다수의 열로 배치하는 코어 배치판과, 상기 코어 배치판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코어를 상기 코어 부착유닛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코어 배치판에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열을 이루는 코어들에 밀착되는 밀착대와, 상기 밀착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밀착대를 일정 간격으로 이동시키어 상기 밀착대에 밀착되는 열을 이루는 코어를 상기 이송 컨베이어 상으로 공급하는 밀착대 이동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코어는 일정 두께를 갖고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되는'ㄷ'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 공급 유닛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되는 코어의 개구를 인식하고 상기 개구 인식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송하는 포토 센서와, 상기 제어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상기 개구 인식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개구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코어의 이송을 제한하는 개별 공급 실린더를 더 구비하되,
상기 개별 공급 실린더는 상기 개구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승강되는 제한축과 상기 제한축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제한 축을 승강시키는 제한 실린더 몸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테이프 공급 유닛은 상기 코어 공급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일정 권취수로 권취롤에 권취되는 테이프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테이프 절단기와, 상기 테이프 절단기 근방에 마련되며, 상기 절단된 일정 길이의 테이프가 안착되는 테이프 안착판과, 상기 테이프 안착판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테이프 안착판에 안착된 상기 일정 길이의 테이프를 집어 상기 코어 공급유닛에 의하여 공급되는 코어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의 끝단부에 순차적으로 부착하는 테이프 이동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테이프 이동기는 상기 테이프 안착판과 상기 코어 공급 유닛을 따라 설치되는 제 1고정 프레임과, 상기 제 1고정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제 1고정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제 1이동체와, 상기 제 1이동체의 단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진공을 제공받아 상기 테이프 안착판에 안착된 일정 길이의 테이프를 흡착하여 집는 제 1그립퍼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테이프 부착 유닛은 원판형의 회전 스테이지와,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외주 테두리부에 마련되어 상기 코어가 안착되는 다수의 코어 안착부들과,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중앙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회전 스테이지를 일정 각도 간격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와, 상기 코어 안착부들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코어의 상면 끝단부에 부착된 코어를 집어 상기 코어 안착부들 중 어느 하나에 안착시키는 코어 이송 실린더와,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외주 근방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일정 간격으로 회전되는 상기 코어 안착부들에 안착된 코어에 부착된 테이프를 상기 코어의 상면과 2면의 테두리면에 순차적으로 부착시키는 테이프 부착 실린더들을 구비하되,
상기 테이프 부착 실린더는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일정 간격으로 회전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테이프 부착 실린더는 제 1부착 실린더와, 제 2부착 실린더와, 제 3부착 실린더와, 제 4부착 실린더를 구비하되,
상기 제 1부착 실린더는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회전되는 제 1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1위치에 위치되는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테두리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1부착 실린더 몸체와, 상기 제 1부착 실린더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테두리부를 향하여 신축되는 제 1부착 실린더축과, 상기 제 1부착 실린더 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코어의 테두리부를 감싸도록 상기 코어의 상면에 부착된 테이프를 꺽어 상기 코어의 상면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상기 코어의 후면에 부착하도록 상기 코어의 상면과 직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개구와 대향되는 상기 제 2몸체의 외면인 상기 코어의 후면 형상에 대응하는 제 1포밍 부재를 갖고,
상기 제 2부착 실린더는 상기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위치의 측부의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회전되는 제 2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2위치에 위치되는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테두리부를 향하는 제 2부착 실린더 몸체와, 상기 제 2부착 실린더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테두리부를 향하여 신축되는 제 2부착 실린더축과, 상기 제 2부착 실린더 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코어의 상면과 후면에 부착된 테이프를 상기 상면 및 후면과 서로 직각을 이루며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2면의 테두리면이고 상기 제 1몸체들의 외측면인 상기 코어의 양측면에 부착하도록 한 쌍의 제 2포밍 부재와, 상기 제 2부착 실린더 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2포밍 부재들의 사이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코어의 양측면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프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힘을 가이드하는 접힘 가이드 부재를 갖고,
상기 제 3부착 실린더는 상기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위치의 측부의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회전되는 제 3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3위치에 위치되는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3부착 실린더 몸체와, 상기 제 3부착 실린더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상면을 향하여 신축되는 제 3부착 실린더축과, 상기 제 3부착 실린더 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코어의 양측면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프가 상기 코어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누르는 제 3포밍 부재를 갖고,
상기 제 4부착 실린더는 상기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 3위치의 측부의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회전되는 제 4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4위치에 위치되는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4부착 실린더 몸체와, 상기 제 4부착 실린더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상면을 향하여 신축되는 제 4부착 실린더축과, 상기 제 4부착 실린더 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코어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눌려져 서로 겹친 테이프를 서로 초음파 융착시키는 초음파 융착 부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포밍 부재는 상기 코어의 상면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상기 코어의 후면 형상에 대응하는 밀착면이 형성되되, 상기 밀착면에는 구를수 있는 원통형의 탄성 롤러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포밍 부재는 상기 제 1부착 실린더 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사로 마주보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며 일정의 탄성을 갖는 한 쌍의 탄성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탄성 로드의 내측에는 서로 끼워져 유동되는 한 쌍의 파이프가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는 상기 한 쌍의 탄성 로드를 서로 탄지하는 탄성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탄성 로드의 끝단에는 한 쌍의 롤러가 회전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상기 코어의 끝단부 상면에 말착되어 상기 상면을 따라 구르는 제 1롤러와, 상기 코어의 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후면을 따라 구를 수 있는 제 2롤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어 이송 실린더는 상기 코어 공급 유닛과 상기 회전 스테이지를 따라 설치되는 제 2고정 프레임과, 상기 제 2고정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제 2고정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제 2이동체와, 상기 제 2이동체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승강되는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코어 공급 유닛의 코어를 집는 제 2그립퍼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어 배출 유닛은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외주 근방에 배치되며 상기 상면 또는 하면과 2면의 테두리면에 테이프가 부착된 코어를 집어 외부로 배출시키되,
상기 코어 배출 유닛은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 4위치의 측부의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회전되는 제 5위치에 배치되는 배출 유닛 프레임과, 상기 배출 유닛 프레임에 하방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테이프가 서로 초음파 융착된 코어가 배출되어 안착되는 배출 안착판과, 상기 배출 유닛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테이프가 서로 초음파 융착된 코어를 집어 상기 배출 안착판으로 이송하는 코어 배출 실린더와, 상기 배출 안착판으로부터 일단이 연결되어 일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의 타단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신축되어 상기 배출 안착판을 하방으로 회전 및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배출 안착판 조정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코어 테이프 부착 유닛 및 이를 갖는 코어 테이핑 유닛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코어 테이프 부착 유닛은 상기 코어 테이핑 장치에 포함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코어 테이프 부착 유닛을 상기 코어 테이핑 장치에 포함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코어 테이프 부착 유닛 및 이를 갖는 코어 테이핑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밀착대 이동 실린더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고정 프레임과 제 2고정 프레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a의 코어 공급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코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c는 도 3b의 코어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a의 테이프 공급 유닛의 테이프 절단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a의 테이프 부착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a에 도시된 코어의 끝단부에 테이프가 부착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제 1부착 실린더를 사용한 제 1부착 공정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A에 대한 확대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제 1포밍 부재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의 제 1포밍 부재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5의 제 1부착 실린더를 사용하여 테이핑된 코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5의 제 2부착 실린더를 사용한 제 2부착 공정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B에 대한 확대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제 2부착 실린더를 사용하여 테이핑된 코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4의 제 3부착 실린더를 사용한 제 3부착 공정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C에 대한 확대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의 제 3부착 실린더를 사용하여 테이핑된 코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4의 제 4부착 실린더를 사용한 제 4부착 공정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4의 코어 배출 유닛에 의하여 코어가 배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코어 배출 유닛에 의하여 코어가 배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코어 테이핑 장치는 크게 코어 공급 유닛(100)과, 테이프 공급 유닛(200)과, 테이프 부착 유닛(300)과, 코어 배출 유닛(600)과, 제어 유닛(700)으로 구성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c를 참조 하여 코어 공급 유닛(10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코어 공급 유닛(100)은 일정 형상의 코어(50)를 하기에 기술되는 테이프 부착 유닛(300)으로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도 3b 및 도 3c를 보면, 코어(50)는 서로 나란한 또는 평행한 일정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제 1몸체들(51)과, 상기 제 1몸체들(51)의 일단을 잇는 제 2몸체(5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몸체들(51)과 상기 제 2몸체(52)는 서로 직각을 이루고, 상기 제 1몸체들(51)과 상기 제 2몸체(52)의 사이에는 요홈(5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코어(50)는 일측으로 개구되는 요홈(51a)을 갖는 'ㄷ'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요홈(51a) 역시 'ㄷ'형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요홈(51a)은 3면의 내측 테두리면(상기 제 1몸체들(51)의 내측면들(1,2)과 상기 제 2몸체(52)의 내측면(3))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은 개구된다. 여기서, 상기 개구되는 측은 상기 제 2몸체(52)와 대향되는 측이다.
따라서, 상기 3면의 내측 테두리면은 제 1,2내측 테두리면(1,2)과 제 3내측 테두리면(3)으로 이루어진다.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 1내측 테두리면(1)과 상기 제 2내측 테두리면(2)은 한 쌍의 제 1몸체들(51)의 내측면들이다.
그리고, 상기 개구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제 1,2내측 테두리면(1,2)의 단부를 서로 잇는 제 3내측 테두리면(3)은 상기 제 2몸체(52)의 내측면이다.
그리고, 상기 코어(50)의 외측둘레는 4면의 외측 테두리면을 이룬다. 즉, 상기 4면의 외측 테두리면은 상기 제 1내측 테두리면(1)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1외측 테두리면(1')과, 상기 제 2내측 테두리면(2)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2외측 테두리면(2')과, 상기 개구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기 제 1외측 테두리면(1')과 상기 제 2외측 테두리면(2')의 단부를 서로 잇는 제 3외측 테두리면(3')과, 상기 요홈(51a)이 형성되도록 돌출되는 한 쌍의 제 1몸체의 단부 외면에 형성되는 제 4외측 테두리면(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외측 테두리면(1')과 상기 제 2외측 테두리면(2')은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외측 테두리면(1')은 한 쌍의 제 1몸체(51)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이고, 상기 제 2외측 테두리면(2')은 상기 한 쌍의 제 1몸체(51) 중 다른 하나의 외측면이고, 상기 제 3외측 테두리면(3')은 상기 제 2몸체(52)의 외측 테두리면이고, 상기 제 4외측 테두리면(4')은 상기 개구된 방향을 따르는 제 1몸체들(51)의 단부의 외측면이다.
그리고, 상기 코어(50)에는 상면과 하면이 형성된다. 상기 상면과 하면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4면의 테두리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테이프(60)는 실질적으로 코어(50)의 상면과 상기 코어(50)의 상면과 연결되는 코어(50)의 제 3외측 테두리면(3')과, 상기 제 3외측 테두리면(3')의 양단부와 연결되는 제 1외측 테두리면(1')과 제 2외측 테두리면(2')에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 3외측 테두리면(3')이 코어(50)의 후면에 해당되고, 이 코어(50)의 후면은 상기 개구와 대향되는 제 2몸체(52)의 외측면이다.
또한, 제 1외측 테두리면(1')과 제 2외측 테두리면(2')은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2면의 테두리면이고, 이는 코어(50)의 양측면이다.
그리고, 코어(50)의 상면은 상기 코어(50)의 후면과 코어(50)의 양측면과 서로 직각을 이루어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코어(50)의 상면 끝단부는, 상기 요홈(51a)의 개구와 대향되는 즉,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50)의 후면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제 2몸체(52)의 상면 일정 영역인 것이다. 따라서, 하기에 기술되는 일자 형성의 테이프(60)는 상기 코어(50)의 상면 일정 영역에 부착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코어 공급 유닛(10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코어 공급 유닛(100)은 일정 개수의 코어들(50)이 다수의 열로 배치되는 코어 배치판(110)과, 상기 코어 배치판(110)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코어(50)를 상기 코어 부착 유닛(300)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120)와, 상기 코어 배치판(110)에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열을 이루는 코어들(50)의 일측에 밀착되는 밀착대(130)와, 상기 밀착대(130)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 유닛(700)으로부 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밀착대(130)를 일정 간격으로 이동시키어 상기 밀착대(130)에 밀착되는 열을 이루는 코어들(50)을 상기 이송 컨베이어(120) 상으로 공급하는 밀착대 이동 실린더(140)를 갖는다.
상기 밀착대 이동 실린더(140)는 밀착대 이동 실린더 몸체(141)와 밀착대 이동 실린더 축(142)으로 구성된다. 상기 밀착대 이동 실린더 몸체(141)는 제어 유닛(700)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동작되는 제 1공압 제공부(910)로부터 진공을 제공받아 상기 밀착대 실린더 축(142)을 신장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 하면, 코어 공급 유닛(100)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120) 상에 위치되는 코어(50)를 순차적으로 집어 상기 테이프 부착 유닛(300)으로 이송하는 코어 이송 실린더(400)를 구비한다.
상기 코어 이송 실린더(400)는 이송 컨베이어(120)와 테이프 부착 유닛(300)의 회전 스테이지(310)의 상부를 잇는 제 2고정 프레임(410)에 연결되어 상기 제 2고정 프레임(410)을 따라 이동되는 제 2이동체(420)와, 상기 제 2이동체(420)에 마련되어 회전 스테이지(310) 상으로 하강 할 수 있는 제 2승강체(430)와, 상기 제 2승강체(430)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120) 상의 코어(50)를 집을 수 있는 제 2그립퍼(44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 2이동체(420)의 이동 동작과 상기 제 2승강체(430) 및 제 2그립퍼(440)의 작동은 제어 유닛(700)으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작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 2그립퍼(440)는 제어 유닛(700)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작동되는 제 3공압 제공부(930)로부터 진공을 제공받아 코어(50)를 집을 수 있 다.
그리고, 상기 제 2이동체(420)는 제 2고정 프레임(410)에 설치되어 제어 유닛(700)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작동되는 제 2레일(421)에 의하여 이동된다. 상기 제 2레일(421)의 일단은 상기 제 2고정 프레임(410)에 고정되고, 상기 제 2레일(421)의 타단은 상기 제 2이동체(420)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 2이동체(420)는 제 2고정 프레임(410)에 형성되는 제 2가이드(422)를 따라 이동된다.
또한,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 하면, 상기 코어 공급 유닛(100)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120)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 컨베이어(120)에 의하여 이송되는 코어(50)의 개구(50a)를 인식하고 상기 개구(50a) 인식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 유닛(700)으로 전송하는 포토 센서(150)와, 상기 제어 유닛(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송 컨베이어(12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 유닛(700)으로부터 상기 개구(50a) 인식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개구(50a)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코어(50)의 이송을 제한하는 개별 공급 실린더(160)를 갖는다.
상기 개별 공급 실린더(160)는 상기 개구(50a)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승강되는 제한축(161)과 상기 제한축(161)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 유닛(700)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제한축(161)을 승강시키는 제한 실린더 몸체(162)를 갖는다.
상기 제한 실린더 몸체(162)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유닛(700)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작동되는 제 2공압 제공부(920)로부터 진공을 제공받아 상기 제한축(161)을 신축시킨다.
다음은, 도 1 및 도 4를 참조 하여, 상기 테이프 공급 유닛(20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테이프 공급 유닛(200)은 상기 코어 공급 유닛(100)의 일측에 배치되며, 일정 권취수로 권취롤(211)에 권취되는 테이프(60)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테이프 절단기(210)와, 상기 테이프 절단기(210) 근방에 마련되며, 상기 절단된 일정 길이의 테이프(60)가 안착되는 테이프 안착판(220)과, 상기 테이프 안착판(2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 유닛(700)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테이프 안착판(220)에 안착된 상기 일정 길이의 테이프(60)를 집어 상기 코어 공급 유닛(100)에 의하여 공급되는 코어(5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의 끝단부에 순차적으로 부착하는 테이프 이동기(23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테이프 이동기(230)는 상기 테이프 안착판(220)과 상기 코어 공급 유닛(100)을 따라 설치되는 제 1고정 프레임(231)과, 상기 제 1고정 프레임(231)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 유닛(700)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제 1고정 프레임(231)을 따라 이동하는 제 1이동체(232)와, 상기 제 1이동체(232)에 설치되어 제어 유닛(700)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승강되는 제 1승강체(234)와, 상기 제 1승강체(234)의 단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진공을 제공받아 상기 테이프 안착판(220)에 안착된 일정 길이의 테이프(60)를 흡착하여 집는 제 1그립퍼(233)를 갖는다.
여기서, 도 2를 참조 하면, 상기 제 1그립퍼(2330)는 제어 유닛(700)으로부 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작동되는 제 4공압 제공부(940)로부터 진공을 제공받아 테이프(60)를 흡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이동체(233)는 제 1고정 프레임(231)에 설치되어 제어 유닛(700)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작동되는 제 1레일(235)에 의하여 이동된다. 상기 제 1레일(235)의 일단은 상기 제 1고정 프레임(231)에 고정되고, 상기 제 1레일(235)의 타단은 상기 제 1이동체(232)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이동체(232)는 제 1고정 프레임(231)에 형성되는 제 1가이드(236)를 따라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 1그립퍼(233)에는 제 4공압 제공부(940)와 연결되어 진공이 형성되는 진공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테이프(60)는 상기 진공홀에 형성되는 진공에 의하여 그립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 하면, 상기 테이프 안착판(220)의 상면에는 격자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 무늬(221) 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일정 길이로 절단된 테이프(60)가 제 1그립퍼(233)에 의하여 그립(또는 흡착)되는 경우에 테이프 안착판(220)의 상면으로부터 용이하게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다음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테이프 부착 유닛(300)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테이프 부착 유닛(300)은 원판형의 회전 스테이지(310)와, 상기 회전 스테이지(310)의 외주 테두리부에 마련되어 상기 코어(50)가 안착되는 다수의 코어 안착부들(320)과, 상기 회전 스테이지(310)의 중앙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 유닛(700)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회전 스테이지(310)를 일정 각도 간 격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330)와, 상기 코어 안착부들(320)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 유닛(700)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코어(500)의 상면 끝단부에 테이프(60)가 부착된 코어(50)를 집어 상기 코어 안착부들(320) 중 어느 하나에 안착시키는 코어 이송 실린더(400)와, 상기 회전 스테이지(310)의 외주 근방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일정 간격으로 회전되는 상기 코어 안착부들(320)에 안착된 코어(50)에 부착된 테이프(60)를 상기 코어(50)의 상면과 2면의 테두리면에 순차적으로 부착시키는 테이프 부착 실린더들(500)을 갖는다.
상기 코어 이송 실린더(400)의 구성은 상기에 기술하였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테이프 부착 실린더(500)는 상기 회전 스테이지(310)의 외주를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 부착 실린더(500)는 제 1부착 실린더(510)와, 제 2부착 실린더(520)와, 제 3부착 실린더(530)와, 제 4부착 실린더(540)로 구성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 하면, 상기 제 1부착 실린더(510)는 상기 회전 스테이지(310)의 회전되는 제 1위치(①)에 배치되며 상기 제 1위치(①)에 위치되는 코어 안착부(320)의 코어(50)의 테두리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1부착 실린더 몸체(511)와, 상기 제 1부착 실린더 몸체(511)에 마련되어 상기 코어 안착부(320)의 코어(50)의 테두리부를 향하여 신축되는 제 1부착 실린더축(512)과, 상기 제 1부착 실린더 축(512)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코어(50)의 테두리부를 감싸도록 상기 코어(50)의 상면에 부착된 테이프(60)를 꺽어 상기 코어(50)의 상면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상기 코어(50)의 후면에 부착하도록, 상기 코어(50)의 상면과 상기 코어(50)의 상면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상기 코어(50)의 후면 형상에 대응하는 제 1포밍 부재(513)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 1포밍 부재(513)는 상기 코어(50)의 상면과, 상기 코어(50)의 상면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상기 코어(50)의 후면 형상에 대응하는 밀착면(513a)이 형성된다. 상기 밀착면(513a)은 상기 코어(50)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 1면(S1)과, 상기 코어(50)의 후면에 밀착되는 제 2면(S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0을 참조 하면, 상기 밀착면(513a)에는 구를 수 있는 원통형의 탄성 롤러(519)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9를 참조 하면, 제 1포밍 부재(514)는 상기 제 1부착 실린더 축(511)의 단부에 설치되며 사로 마주보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며 일정의 탄성을 갖는 한 쌍의 탄성 로드(514a,514b)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탄성 로드(514a,514b)의 내측에는 서로 끼워져 유동되는 한 쌍의 파이프(515a,515b)가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515a,515b)의 내부에는 상기 한 쌍의 탄성 로드(514a,514b)를 서로 탄지하는 탄성 스프링(517)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탄성 로드(514a,514b)의 끝단에는 한 쌍의 롤러가 회전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롤러(515)는 상기 코어(50)의 끝단부 상면에 말착되어 상기 상면을 따라 구르는 제 1롤러(515a)와, 상기 코어(50)의 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후면을 따라 구를 수 있는 제 2롤러(515b)를 가질 수 있다.
도 5, 도 12 및 도 13을 참조 하면, 상기 제 2부착 실린더(520)는 상기 회전 스테이지(310)의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위치(①)의 측부의 상기 회전 스테이지(310)의 회전되는 제 2위치(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위치(②)에 위치되는 코어 안착부(320)의 코어(50)의 테두리부를 향하는 제 2부착 실린더 몸체(521)와, 상기 제 2부착 실린더 몸체(521)에 마련되어 상기 코어 안착부(320)의 코어(50)의 테두리부를 향하여 신축되는 제 2부착 실린더 축(522)과, 상기 제 2부착 실린더 축(522)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코어(50)의 상면과 후면에 부착된 테이프(60)를 상기 후면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상기 코어(50)의 테두리 양측면에 부착하도록 한 쌍의 제 2포밍 부재(523)와, 상기 제 2부착 실린더 축(522)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2포밍 부재들(523)의 사이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코어(50)의 양측면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프(60)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힘을 가이드하는 접힘 가이드 부재(524)를 갖는다.
도 5, 도 15 및 도 16을 참조 하면, 상기 제 3부착 실린더(530)는 상기 회전 스테이지(310)의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위치(②)의 측부의 상기 회전 스테이지(310)의 회전되는 제 3위치(③)에 배치되며, 상기 제 3위치(③)에 위치되는 코어 안착부(320)의 코어(5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3부착 실린더 몸체(531)와, 상기 제 3부착 실린더 몸체(531)에 마련되어 상기 코어 안착부(320)의 코어(50)의 상면을 향하여 신축되는 제 3부착 실린더 축(532)과, 상기 제 3부착 실린더 축(532)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코어(50)의 양측면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프(60)가 상기 코어(5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누르는 제 3포밍 부재(533)를 갖는다.
상기 제 3포밍 부재(533)는 상기 코어(50)의 상면을 누를 수 있는 누름 부 재(533a)와, 상기 코어(50)의 테두리 양측면을 밀착 가압할 수 있는 측면 가압 부재(533b)로 구성된다.
도 5 및 도 18을 참조 하면, 상기 제 4부착 실린더(540)는 상기 회전 스테이지(310)의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 3위치(③)의 측부의 상기 회전 스테이지(310)의 회전되는 제 4위치(④)에 배치되며, 상기 제 4위치(④)에 위치되는 코어 안착부(320)의 코어(5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4부착 실린더 몸체(541)와, 상기 제 4부착 실린더 몸체(541)에 마련되어 상기 코어 안착부(320)의 코어(50)의 상면을 향하여 신축되는 제 4부착 실린더 축(542)과, 상기 제 4부착 실린더 축(542)의 단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코어(5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눌려져 서로 겹친 테이프(60)를 즉 코어의 상면 양측에 형성되는 테이프 접힘부(F)를 서로 초음파 융착시키는 초음파 융착 부재(543)를 갖는다.
다음은, 도 5, 도 19 및 도 20을 참조로 하여 상기 코어 배출 유닛(600)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코어 배출 유닛(600)은 상기 회전 스테이지(310)의 외주 근방에 배치되며 상기 코어(50)의 상면 또는 하면과 2면의 테두리면에 테이프(60)가 부착된 코어50()를 집어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세하게는 상기 코어 배출 유닛(600)은 상기 회전 스테이지(310)의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 4위치(④)의 측부의 상기 회전 스테이지(310)의 회전되는 제 5위치(⑤)에 배치되는 배출 유닛 프레임(610)과, 상기 배출 유닛 프레임(610)에서 하방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테이프(60)가 서로 초음파 융착된 코어(50) 가 배출되어 안착되는 배출 안착판(620)과, 상기 배출 유닛 프레임(610)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 유닛(700)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테이프(60)가 서로 초음파 융착된 코어(50)를 집어 상기 배출 안착판(620)으로 이송하는 코어 배출 실린더(630)와, 상기 배출 안착판(620)으로부터 일단이 연결되어 일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바(640)와, 상기 연장바(640)의 타단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어 유닛(700)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신축되어 상기 배출 안착판(620)을 하방으로 회전 및 상방으로 회전시키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배출 안착판 조정 실린더(65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코어 배출 실린더(630)는 코어 배출 실린더 몸체(631)와, 상기 코어 배출 실린더 몸체(631)에 설치되어 신축되는 코어 배출 실린더 축(632)과, 상기 코어 배출 실린더 축(632)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5위치(⑤)에 위치되는 코어(50)를 집는 배출 그립퍼(633)로 구성된다.
도 1a를 참조 하면, 상기에 언급되는 제 1부착 실린더(510)는 제 1'공압 제공부(810)로부터 진공을 제공 받아 작동되고, 제 2부착 실린더(520)는 제 2'공압 제공부(820)로부터 진공을 제공 받아 작동되고, 제 3부착 실린더(530)는 제 3'공압 제공부(830)로부터 진공을 제공 받아 작동되고, 제 4부착 실린더(540)는 제 4'공압 제공부(840)로부터 진공을 제공 받아 작동되고, 상기 코어 배출 실린더(630)는 제 5'공압 제공부(850)로부터 진공을 받아 작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공압 제공부(810) 내지 5'공압 제공부(850)는 제어 유닛(700)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작동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코어 테이프 부착 유닛(300)은 본체(900) 상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에 언급된 코어 배출 유닛(600)이 배치되는 근방에는 상기 코어 배출 유닛(600)으로부터 배출되는 테이핑된 코어(50)가 본체(900)의 하부로 배출되는 배출홀(910)이 마련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배출홀(910)의 저부에는 상기 테이핑된 코어들(50)이 모아지는 커스터머 트레이(C-tray)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코어 테이프 부착 유닛 및 이를 갖는 코어 테이핑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a 내지 도4를 참조 하여, 테이프 공급 유닛(100)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코어 배치판(110)에는 다수 열을 이루는 코어들(50)이 배치된다. 이들은 열을 이루어 제어 유닛(700)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밀착대 이동 실린더(140)의 신장 동작을 통하여 이동되는 밀착대(130)에 의하여 일정 간격으로 밀린다.
여기서, 밀착대 이동 실린더 몸체(141)는 제 1공압 제공부(910)로부터 제공되는 진공을 사용하여 밀착대 이동 실린더 축(142)을 신장 또는 신축시킬 수 있고, 상기 밀착대(130)는 상기 밀착대 이동 실린더 축(14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밀착대(130)에 의하여 일정 간격으로 밀려지는 열을 이루는 코어들(50)은 이송 컨베이어(120)측으로 밀려 이송 컨베이어(120) 상에 안착된다.
이때, 이송 컨베이어(120)는 테이프 부착 유닛(300) 측을 향하여 항상 무한 궤도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12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 양단이 롤러에 회전 지지되고, 상기 롤러는 제어 유닛(700)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작동되는 모터와 같은 회전 수단에 의하여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120)는 상기 롤러의 회전됨에 따라 회전 동작된다.
이에 더하여, 이송 컨베이어(120) 상부에 위치되는 포토 센서(150)는 코어(50)의 개구(50a)를 감지한다. 즉, 포터 센서(150)는 코어(50)의 상면과의 거리와 코어(5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개구(50a)에 노출된 이송 컨베이어(120)와의 거리가 서로 다른 것을 사용하여 개구(50a)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포토 센서(150)에 의하여 상기 코어(50)의 개구(50a)가 감지되면, 상기 포토 센서(150)는 제어 유닛(700)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 유닛(700)은 제 2공압 제공부(920)를 작동시키고 이에 따라 개별 공급 실린더(160)의 제한 실린더 몸체(162)는 제한축(161)을 상기 개구(50a)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강시킨다.
따라서, 이송 컨베이어(120) 상의 코어(50)는 코어(50)의 개구(50a)에 위치되는 제한축(161)에 의하여 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이송 컨베이어(120) 상의 일정 위치에서 이동이 대기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대기되는 코어(50)의 상면에 테이프(60)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 유닛(200)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 유닛(700)은 테이프 절단기(210)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테이 프 절단기(210)는 권취롤(211)에 권취되는 테이프(60)를 도시되지 않은 절단 칼날을 사용하여 일정 길이를 갖도록 절단한다. 이와 같이 일정 길이로 절단된 테이프(60)는 테이프 절단기(210)의 배출구(212)를 통하여 배출됨과 아울러 테이프 안착판(220) 상에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테이프 안착판(220)의 상면에는 테이프(60)를 쉽게 띄어 낼 수 있도록 요철 형상 또는 격자 형상의 돌기들(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어 유닛(700)은 도 2에 도시된 테이프 이동기(230)를 동작시킨다. 즉, 테이프 이동기(230)의 제 1이동체(232)는 제 1레일(235)에 의하여 제 1고정 프레임(231)을 따라 상기 테이프 안착판(220)의 상부의 위치로 이동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제 1이동체(232)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1승강체(234)는 일정 위치로 하강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승강체(234)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1그립퍼(233)는 제 4공압 제공부(940)로부터 제공되는 진공을 사용하여 테이프 안착부(220)에 안착된 테이프(60)를 흡착하여 집을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1그립퍼(233)에는 외부로부터의 진공이 제공되는 진공홀이 형성된다.
이어, 제어 유닛(700)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 1승강체(234)는 일정 위치로 상승하고, 제 1이동체(232)는 제 1고정 프레임(231)을 따라 이송 컨베이어(120) 상에서 대기 중인 코어(50)의 상부 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어 유닛(700)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제 1승강체(234)는 제 1그립퍼(233)에 의하여 집힌 테이프(60)가 코어(5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일정 위치로 하강된다. 이어, 제어 유닛(700)은 제 1그립퍼(233)에 제공되는 진공을 소실시킨다. 이어, 상기 테이프 이동기(230)는 제어 유닛(700)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상기 일정 길이로 절단된 테이프(60)는 코어(50)의 상면에 부착될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테이프(60)는 코어(50)의 상면 끝단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코어(50)의 상면에 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 유닛(700)은 코어 이송 실린더(400)를 사용하여 상기 테이프(60)가 부착된 코어(50)를 테이프 부착 유닛(300)의 회전 스테이지(310)에 마련되는 코어 안착부(320)에 안착 시킨다.
즉, 제어 유닛(700)은 제 2레일(421)을 작동시키어 제 2이동체(420)를 제 2고정 프레임(410)을 따라 코어(50)의 상부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어, 제 2이동체(420)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 2승강체(430)는 제 4공압 제공부(940)로부터 제공되는 공압에 의하여 일정 위치로 하강되고, 제 2승강체(430)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 2그립퍼(440)는 테이프(60)가 부착된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진공을 사용하여 코어(50)를 흡착한다.
이어, 제어 유닛(700)은 제 2승강체(430)를 일정 위치로 상승되도록 하고, 제 2이동체(420)를 회전 스테이지(310)의 코어 안착부(320)의 상부로 위치시키고, 제 2그립퍼(440)에 흡착된 코어(50)가 코어 안착부(320)에 안착되는 위치로 배치되도록 제 2승강체(430)를 하강시킨다.
따라서, 상기 테이프(60)가 부착된 코어(50)는 코어 안착부(320)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의 코어(50)의 안착된 위치를 제 0위치라고 한다.
다음은, 코어(50)에 부착된 테이프(60)를 접어 코어(50)의 양측 테두리면과 상면에 부착시키어 고정시키는 테이프 부착 유닛(300)의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 제 1부착 공정 -
도 5 내지 도 8을 참조 하면, 제어 유닛(700)은 회전 모터(330)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회전 스테이지(310)의 제 0위치(ⓞ)에 위치된 코어 안착부(320)를 제 1위치(①)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 모터(330)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회전 스테이지(310)는 회전되고, 코어(50)가 안착된 코어 안착부(320)는 제 0위치(ⓞ)에서 제 1위치(①)로 이동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 안착부(320)에 안착된 코어(50)는 제 1위치(①)에 위치될 수 있다.
이어, 제어 유닛(700)은 제 1부착 실린더(510)를 작동시키어, 코어(50)의 상면 끝단부에 부착된 테이프(60)를 코어(50)의 상면과 연결되는 코어(50)의 후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 1부착 실린더(510)는 제 1부착 실린더 축(512)의 단부가 코어(50)의 상면과 후면을 잇는 끝단부 모서리를 향하도록 일정 각도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어 유닛(700)에 의하여 제 1부착 실린더(510)가 작동되면, 제 1부착 실린더(510)는 제 1부착 실린더 축(512)을 신장시키어 제 1부착 실린더 축(512)의 단부에 마련되는 제 1포밍 부재(513)가 상기 코어(50)의 상면과 후면에 동시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 1포밍 부재(513)는 코어의 상면에 밀착되는 제 1면(S1)과, 제 1면(S1)과 연결되며, 상기 상면과 연결되는 코어(50)의 후면에 밀착되는 제 2면(S2)을 갖는 밀착홈(513a)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 1부착 실린더 축(512)이 신장됨과 아울러 밀착홈(513a)의 제 1면(S1)은 코어(50)의 상면에 밀착되고 밀착홈(513a)의 제 2면(S2)은 코어(50)의 후면에 동시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코어(50)의 끝단부를 커버하도록 코어(50)의 상면에 부착된 테이프(60)는 'ㄱ'형상으로 접히게 되어 코어(50)의 상면과 하면에 동시에 부착된다.
- 제 2부착 공정 -
도 5 및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 하면, 제어 유닛(700)은 회전 모터(330)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회전 스테이지(310)의 제 1위치(①)에 위치된 코어 안착부(320)를 제 2위치(②)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 모터(330)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회전 스테이지(310)는 회전되고, 코어(50)가 안착된 코어 안착부(320)는 제 1위치(①)에서 제 2위치(②)로 이동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 안착부(320)에 안착된 코어(50)는 제 2위치(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어, 제어 유닛(700)은 제 2부착 실린더(520)를 작동시킨다. 이어, 제 2부착 실린더 몸체(521)는 제 2부착 실린더 축(522)을 코어(50)를 향하여 신장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 2부착 실린더 축(522)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2폴링 부재(523)는 상기 코어(50)의 양측 테두리 측면 및 상면과 실질적으로 밀착되도록 된 다.
즉, 상기 제 2부착 실린더 몸체(521)는 제 2부착 실린더 축(522)을 코어 안착부(320)에 안착된 코어(50)를 향하여 신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 2부착 실린더 몸체(521)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2포밍 부재(523)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부착 공정에서 코어(50)의 양측부로 돌출되는 테이프(60)를 코어(50)의 양측 테두리 측면에 부착되도록 밀착시킨다.
이와 아울러, 상기 테이프(60)가 상기 코어(50)의 양측 테두리면에 부착되면서 상기 양측 테두리면으로부터 접혀 상부로 돌출되는 테이프(60)는 상기 제 2포밍 부재(523)의 사이에 위치되는 접힘 가이드 부재(524)에 의하여 코어(50)의 상면에 접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어(50)의 상면 양측에는 테이프(60)의 접힘으로 인한 접힘부(F)가 형성된다. 상기 접힘부(F)는 하기에 기술되는 초음파 융착되는 부분이다.
- 제 3부착 공정 -
도 5 및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 하면, 제어 유닛(700)은 회전 모터(330)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회전 스테이지(310)의 제 2위치(②)에 위치된 코어 안착부(320)를 제 3위치(③)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 모터(330)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회전 스테이지(310)는 회전되고, 코어(50)가 안착된 코어 안착부(320)는 제 2위치(②)에서 제 3위치(③)로 이동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 안착부(320)에 안착된 코어(50)는 제 3위치(③)에 위치될 수 있다.
이어, 제어 유닛(700)은 제 3부착 실린더(530)를 작동시키어 접힘부(F)가 형성된 테이프(60)를 코어(50)의 상면에 부착시킨다.
즉, 제 3부착 실린더 몸체(531)는 제 3부착 실린더 축(532)을 코어(50)를 향하여 하방을 따라 하강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 3부착 실린더 축(532)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3폴링 부재(533)는 누름 부재(533a)를 사용하여 상기 코어(50)의 상면을 누름과 아울러 측면 가압 부재(533b)를 사용하여 코어(50)의 양측면을 다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3공정을 거치면서, 코어(50)의 상면 끝단부와 후면 및 양측면에는 테이프(60)가 부착된다.
-제 4부착 공정 -
도 18을 참조 하면, 제어 유닛(700)은 회전 모터(330)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회전 스테이지(310)의 제 3위치(③)에 위치된 코어 안착부(320)를 제 4위치(④)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 모터(330)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회전 스테이지(310)는 회전되고, 코어(50)가 안착된 코어 안착부(320)는 제 3위치(③)에서 제 4위치(④)로 이동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 안착부(320)에 안착된 코어(50)는 제 4위치(④)에 위치될 수 있다.
이어, 제어 유닛(700)은 제 4부착 실린더(540)를 사용하여 상기 코어(50)의 상면에 형성된 테이프(60)의 접힘부(F)를 융착시킨다.
즉, 제어 유닛(700)에 의하여 제 4부착 실린더 몸체(541)는 제 4위치(④)에 위치된 코어(50)의 상면을 향하여 제 4부착 실린더 축(542)을 하강시킨다.
이어, 제 4부착 실린더 축(542)의 끝단에 설치되는 초음파 융착 부재(543) 역시 하강된다.
따라서, 초음파 융착 부재(543)에 의하여 테이프(60)의 접힘부(F)는 서로 융착될 수 있고, 접힘부(F)가 모두 융착된 이후에 제 4부착 실린더(540)는 원위치로 복귀된다.
- 배출 공정 -
도 19 및 도 20을 참조 하면, 제어 유닛(700)은 회전 모터(330)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회전 스테이지(310)의 제 4위치(④)에 위치된 코어 안착부(320)를 제 5위치(⑤)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 모터(330)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회전 스테이지(310)는 회전되고, 상면, 후면 및 양측 테두리면에 테이프(60)가 부착 완료되고 테이프 접힘부(F)가 초음파 융착된 코어(50)가 안착된 코어 안착부(320)는 제 4위치(④)에서 제 5위치(⑤)로 이동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 안착부(320)에 안착된 코어(50)는 제 5위치(⑤)에 위치될 수 있다.
이어, 제어 유닛(700)은 코어 배출 실린더(630)를 사용하여 제 5위치(⑤)에 위치된 코어 안착부(320)로부터 코어(50)를 집어 코어 배출 유닛(600)의 배출 안착판(620)에 안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코어 배출 실린더(630)는 코어 배출 실린더 몸체(631)와, 상기 코어 배출 실린더 몸체(631)에 연결되어 승강될 수 있는 코어 배출 실린더 축(632)과, 상기 코어 배출 실린더 축(632)의 단부에 마련되어 제어 유닛(700)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코어(50)를 집을 수 있는 배출 그립퍼(633)로 구성된다. 상기 배출 그립퍼(633)는 상기에 기술된 코어 이송 실린더(400)의 제 2그립퍼(4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코어 배출 실린더(630)의 배출 그립퍼(633)에 의하여 제 5위치(⑤)의 코어 안착부(320)에 안착된 코어(50)는 배출 안착판(620)으로 이송되어 안착될 수 있다.
이어, 제어 유닛(700)은 배출 안착판 조정 실린더(650)의 축(651)을 신축시키고, 상기 축(651)에 힌지 연결된 연장바(640)는 하방으로 회전되면서 배출 안착판(620)을 하방으로 잡아 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출 안착판(620)은 하방을 향하여 기울어질 수 있고, 상기 배출 안착판(620)에 안착된 코어(50)는 기울어진 배출 안착판(620)의 일단을 통하여 미끄러지면서 배출 안착판(6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면, 후면, 양측 테두리면 및 테이프 접힘부(F)가 초음파 융착된 코어(50)는 코어 배출 유닛(60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일정 공간(예컨대, 부품 적재함)에 적재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코어 테이프 부착 유닛 및 이를 갖는 코어 테이핑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밀착대 이동 실린더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고정 프레임과 제 2고정 프레임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a의 코어 공급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코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c는 도 3b의 코어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a의 테이프 공급 유닛의 테이프 절단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a의 테이프 부착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a에 도시된 코어의 끝단부에 테이프가 부착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제 1부착 실린더를 사용한 제 1부착 공정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A에 대한 확대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제 1포밍 부재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의 제 1포밍 부재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5의 제 1부착 실린더를 사용하여 테이핑된 코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5의 제 2부착 실린더를 사용한 제 2부착 공정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B에 대한 확대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제 2부착 실린더를 사용하여 테이핑된 코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4의 제 3부착 실린더를 사용한 제 3부착 공정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C에 대한 확대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의 제 3부착 실린더를 사용하여 테이핑된 코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4의 제 4부착 실린더를 사용한 제 4부착 공정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4의 코어 배출 유닛에 의하여 코어가 배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코어 배출 유닛에 의하여 코어가 배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코어 공급 유닛
110 : 코어 배치판
120 : 이송 컨베이어
200 : 테이프 공급 유닛
210 : 테이프 절단기
300 : 테이프 부착 유닛
310 : 회전 스테이지
320 : 코어 안착부
330 : 회전 모터
400 : 코어 이송 실린더
500 : 테이프 부착 실린더
510 : 제 1부착 실린더
520 : 제 2부착 실린더
530 : 제 3부착 실린더
540 : 제 4부착 실린더
543 : 초음파 융착 부재
600 : 코어 배출 유닛
620 : 배출 안착판
700 : 제어 유닛

Claims (14)

  1. 코어의 상면 끝단부가 커버되도록 상기 끝단부에 부착된 테이프를 갖는 코어가 안착되는 다수의 코어 안착부들이 외주를 따라 다수 위치에 마련되는 원판형의 회전 스테이지;
    상기 회전 스테이지를 일정 간격으로 회전 시키어, 일정 간격으로 회전 위치되는 코어의 테이프를 상기 코어의 상면과 2면의 테두리면에 부착시키는 테이프 부착 모듈;
    상기 테이프 부착 모듈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코어는 일정 길이를 이루고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제 1몸체들과, 상기 한 쌍의 제 1몸체들 일단을 잇는 제 2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는 일측이 개구되도록 상기 제 1몸체들과 상기 제 2몸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요홈을 갖는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의 상면 끝단부는 상기 제 2몸체의 상면 일정 영역이고,
    상기 테이프 부착 모듈은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중앙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회전 스테이지를 일정 각도 간격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와, 상기 코어 안착부들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코어의 상면 또는 하면 끝단부에 부착된 코어를 집어 상기 코어 안착부들 중 어느 하나에 안착시키는 코어 이송 실린더와,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외주 근방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일정 간격으로 회전되는 상기 코어 안착부들에 안착된 코어에 부착된 테이프를 상기 코어의 상면과 2면의 테두리면에 순차적으로 부착시키는 테이프 부착 실린더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과 상기 코어 이송 실린더 및 상기 테이프 부착 실린더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작동시키고,
    상기 테이프 부착 실린더는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일정 간격으로 회전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테이프 부착 실린더는 제 1부착 실린더와, 제 2부착 실린더와, 제 3부착 실린더와, 제 4부착 실린더를 구비하되,
    상기 제 1부착 실린더는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회전되는 제 1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1위치에 위치되는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테두리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1부착 실린더 몸체와, 상기 제 1부착 실린더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테두리부를 향하여 신축되는 제 1부착 실린더축과, 상기 제 1부착 실린더 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코어의 테두리부를 감싸도록 상기 코어의 상면에 부착된 테이프를 꺽어 상기 코어의 상면과 직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개구와 대향되는 제 2몸체의 외면인 상기 코어의 후면에 부착하도록 상기 코어의 상면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상기 코어의 후면 형상에 대응하는 제 1포밍 부재를 갖고,
    제 2부착 실린더는 상기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위치의 측부의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회전되는 제 2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2위치에 위치되는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테두리부를 향하는 제 2부착 실린더 몸체와, 상기 제 2부착 실린더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테두리부를 향하여 신축되는 제 2부착 실린더축과, 상기 제 2부착 실린더 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코어의 상면과 후면에 부착된 테이프를 상기 후면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상기 코어의 양측면에 부착하도록 한 쌍의 제 2포밍 부재와, 상기 제 2부착 실린더 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2포밍 부재들의 사이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코어의 양측면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프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힘을 가이드하는 접힘 가이드 부재를 갖고,
    상기 제 3부착 실린더는 상기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위치의 측부의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회전되는 제 3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3위치에 위치되는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3부착 실린더 몸체와, 상기 제 3부착 실린더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상면을 향하여 신축되는 제 3부착 실린더축과, 상기 제 3부착 실린더 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코어의 양측면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프가 상기 코어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누르는 제 3포밍 부재를 갖고,
    상기 제 4부착 실린더는 상기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 3위치의 측부의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회전되는 제 4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4위치에 위치되는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4부착 실린더 몸체와, 상기 제 4부착 실린더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상면을 향하여 신축되는 제 4부착 실린더축과, 상기 제 4부착 실린더 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코어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눌려져 서로 겹친 테이프를 서로 초음파 융착시키는 초음파 융착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테이프 부착 유닛.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포밍 부재는 상기 코어의 상면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상기 코어의 후면 형상에 대응하는 밀착면이 형성되되,
    상기 밀착면에는 구를수 있는 원통형의 탄성 롤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테이프 부착 유닛.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포밍 부재는 상기 제 1부착 실린더 축의 단부에 설치되는 탄성 재질의 한 쌍의 롤러를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상기 코어의 끝단부 상면에 말착되어 상기 상면을 따라 구르는 제 1롤러와, 상기 코어의 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후면을 따라 구를 수 있는 제 2롤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테이프 부착 유닛.
  5. 일측이 개구되는 요홈을 갖는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코어들을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코어 공급유닛;
    상기 코어 공급유닛의 근방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되는 코어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의 끝단부에 상기 끝단부가 커버되도록 일정 크기의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 공급유닛;
    상기 코어 공급유닛의 근방에 배치되며, 상기 코어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의 끝단부에 공급된 테이프를 상기 코어의 상면 또는 하면과 2면의 테두리면에 순차적으로 부착시키는 테이프 부착유닛;
    상기 테이프 부착유닛의 근방에 배치되며, 상기 테이프가 부착된 코어를 배출하는 코어 배출 유닛; 및
    상기 코어 공급유닛과 상기 테이프 공급유닛과 상기 테이프 부착유닛 및 상기 코어 배출 유닛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여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코어는 일정 길이를 이루고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제 1몸체들과, 상기 한 쌍의 제 1몸체들 일단을 잇는 제 2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는 일측이 개구되도록 상기 제 1몸체들과 상기 제 2몸체의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요홈을 갖는 상기 'ㄷ'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의 상면 끝단부는 상기 제 2몸체의 상면 일정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테이핑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공급유닛은 일정 개수의 코어들을 다수의 열로 배치하는 코어 배치판과, 상기 코어 배치판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코어를 상기 코어 부착유닛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코어 배치판에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열을 이루는 코어들에 밀착되는 밀착대와, 상기 밀착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밀착대를 일정 간격으로 이동시키어 상기 밀착대에 밀착되는 열을 이루는 코어를 상기 이송 컨베이어 상으로 공급하는 밀착대 이동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테이핑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일정 두께를 갖고 중앙부에 개구가 형성되는'ㄷ'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 공급 유닛은 상기 이송 컨베이어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되는 코어의 개구를 인식하고 상기 개구 인식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송하는 포토 센서와, 상기 제어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상기 개구 인식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개구의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코어의 이송을 제한하는 개별 공급 실린더를 더 구비하되,
    상기 개별 공급 실린더는 상기 개구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승강되는 제한축과 상기 제한축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제한 축을 승강시키는 제한 실린더 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테이핑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공급 유닛은 상기 코어 공급 유닛의 일측에 배치되며, 일정 권취수로 권취롤에 권취되는 테이프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테이프 절단기와, 상기 테이프 절단기 근방에 마련되며, 상기 절단된 일정 길이의 테이프가 안착되는 테이프 안착판과, 상기 테이프 안착판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테이프 안착판에 안착된 상기 일정 길이의 테이프를 집어 상기 코어 공급유닛에 의하여 공급되는 코어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의 끝단부에 순차적으로 부착하는 테이프 이동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테이핑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이동기는 상기 테이프 안착판과 상기 코어 공급 유닛을 따라 설치되는 제 1고정 프레임과, 상기 제 1고정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제 1고정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제 1이동체 와, 상기 제 1이동체의 단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진공을 제공받아 상기 테이프 안착판에 안착된 일정 길이의 테이프를 흡착하여 집는 제 1그립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테이핑 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부착 유닛은 원판형의 회전 스테이지와,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외주 테두리부에 마련되어 상기 코어가 안착되는 다수의 코어 안착부들과,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중앙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회전 스테이지를 일정 각도 간격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와, 상기 코어 안착부들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코어의 상면 끝단부에 부착된 코어를 집어 상기 코어 안착부들 중 어느 하나에 안착시키는 코어 이송 실린더와,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외주 근방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일정 간격으로 회전되는 상기 코어 안착부들에 안착된 코어에 부착된 테이프를 상기 코어의 상면과 2면의 테두리면에 순차적으로 부착시키는 테이프 부착 실린더들을 구비하되,
    상기 테이프 부착 실린더는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일정 간격으로 회전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테이프 부착 실린더는 제 1부착 실린더와, 제 2부착 실린더와, 제 3부착 실린더와, 제 4부착 실린더를 구비하되,
    상기 제 1부착 실린더는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회전되는 제 1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1위치에 위치되는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테두리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1부착 실린더 몸체와, 상기 제 1부착 실린더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테두리부를 향하여 신축되는 제 1부착 실린더축과, 상기 제 1부착 실린더 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코어의 테두리부를 감싸도록 상기 코어의 상면에 부착된 테이프를 꺽어 상기 코어의 상면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상기 코어의 후면에 부착하도록 상기 코어의 상면과 직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개구와 대향되는 상기 제 2몸체의 외면인 상기 코어의 후면 형상에 대응하는 제 1포밍 부재를 갖고,
    상기 제 2부착 실린더는 상기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위치의 측부의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회전되는 제 2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2위치에 위치되는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테두리부를 향하는 제 2부착 실린더 몸체와, 상기 제 2부착 실린더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테두리부를 향하여 신축되는 제 2부착 실린더축과, 상기 제 2부착 실린더 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코어의 상면과 후면에 부착된 테이프를 상기 상면 및 후면과 서로 직각을 이루며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2면의 테두리면이고 상기 제 1몸체들의 외측면인 상기 코어의 양측면에 부착하도록 한 쌍의 제 2포밍 부재와, 상기 제 2부착 실린더 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2포밍 부재들의 사이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코어의 양측면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프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접힘을 가이드하는 접힘 가이드 부재를 갖고,
    상기 제 3부착 실린더는 상기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위치의 측부의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회전되는 제 3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3위치에 위치되는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3부착 실린더 몸체와, 상기 제 3부착 실린더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상면을 향하여 신축되는 제 3부착 실린더축과, 상기 제 3부착 실린더 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코어의 양측면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프가 상기 코어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누르는 제 3포밍 부재를 갖고,
    상기 제 4부착 실린더는 상기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 3위치의 측부의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회전되는 제 4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 4위치에 위치되는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4부착 실린더 몸체와, 상기 제 4부착 실린더 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코어 안착부의 코어의 상면을 향하여 신축되는 제 4부착 실린더축과, 상기 제 4부착 실린더 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코어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눌려져 서로 겹친 테이프를 서로 초음파 융착시키는 초음파 융착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테이핑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포밍 부재는 상기 코어의 상면과 직각으로 연결되는 상기 코어의 후면 형상에 대응하는 밀착면이 형성되되,
    상기 밀착면에는 구를수 있는 원통형의 탄성 롤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테이핑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포밍 부재는 상기 제 1부착 실린더 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사로 마 주보도록 일정 길이 연장되며 일정의 탄성을 갖는 한 쌍의 탄성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탄성 로드의 내측에는 서로 끼워져 유동되는 한 쌍의 파이프가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는 상기 한 쌍의 탄성 로드를 서로 탄지하는 탄성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탄성 로드의 끝단에는 한 쌍의 롤러가 회전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상기 코어의 끝단부 상면에 말착되어 상기 상면을 따라 구르는 제 1롤러와, 상기 코어의 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후면을 따라 구를 수 있는 제 2롤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테이핑 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이송 실린더는 상기 코어 공급 유닛과 상기 회전 스테이지를 따라 설치되는 제 2고정 프레임과, 상기 제 2고정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제 2고정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제 2이동체와, 상기 제 2이동체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승강되는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코어 공급 유닛의 코어를 집는 제 2그립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테이핑 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배출 유닛은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외주 근방에 배치되며 상기 상면 또는 하면과 2면의 테두리면에 테이프가 부착된 코어를 집어 외부로 배출시키되,
    상기 코어 배출 유닛은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제 4위치의 측부의 상기 회전 스테이지의 회전되는 제 5위치에 배치되는 배출 유닛 프레임과, 상기 배출 유닛 프레임에 하방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테이프가 서로 초음파 융착된 코어가 배출되어 안착되는 배출 안착판과, 상기 배출 유닛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 받아 상기 테이프가 서로 초음파 융착된 코어를 집어 상기 배출 안착판으로 이송하는 코어 배출 실린더와, 상기 배출 안착판으로부터 일단이 연결되어 일정 길이 연장되는 연장바와, 상기 연장바의 타단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신축되어 상기 배출 안착판을 하방으로 회전 및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배출 안착판 조정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 테이핑 장치.
KR1020080108547A 2008-11-03 2008-11-03 코어 테이프 부착 유닛 및 이를 갖는 코어 테이핑 장치 KR100940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547A KR100940119B1 (ko) 2008-11-03 2008-11-03 코어 테이프 부착 유닛 및 이를 갖는 코어 테이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547A KR100940119B1 (ko) 2008-11-03 2008-11-03 코어 테이프 부착 유닛 및 이를 갖는 코어 테이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0119B1 true KR100940119B1 (ko) 2010-02-02

Family

ID=42082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547A KR100940119B1 (ko) 2008-11-03 2008-11-03 코어 테이프 부착 유닛 및 이를 갖는 코어 테이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1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337B1 (ko) * 1994-12-28 1998-07-01 김만제 코일의 자동 테이프 부착장치
KR20010050508A (ko) * 1999-09-20 2001-06-15 다카노 야스아키 전자 부품의 테이핑 장치 및 테이핑 방법
KR200379257Y1 (ko) 2004-12-22 2005-03-17 박정수 테이프 부착 장치
KR20060085715A (ko) * 2005-01-25 2006-07-28 (주)제이티 캐리어 테이프의 실링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337B1 (ko) * 1994-12-28 1998-07-01 김만제 코일의 자동 테이프 부착장치
KR20010050508A (ko) * 1999-09-20 2001-06-15 다카노 야스아키 전자 부품의 테이핑 장치 및 테이핑 방법
KR200379257Y1 (ko) 2004-12-22 2005-03-17 박정수 테이프 부착 장치
KR20060085715A (ko) * 2005-01-25 2006-07-28 (주)제이티 캐리어 테이프의 실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48180B (zh) 一种全自动卷对片覆膜机
CN110048152A (zh) 一种电池全自动贴胶生产线
CN109075313B (zh) 制片卷绕一体机
KR102098091B1 (ko)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
CN110803365A (zh) 一种用于保护片生产加工的自动组装设备
CN110350046A (zh) 一种太阳能板全自动层压设备和层压方法
CN110492181A (zh) 一种叠片装置及一体式模叠装置
KR20160037584A (ko) 역삼투압 필터 모듈 제조 장치 및 시스템
US20020193219A1 (en) Method and device for assembling paper box
CN110936601A (zh) 纳米晶自动贴膜组装机
CN211544190U (zh) 一种用于保护片生产加工的自动组装设备
CN112421084A (zh) 用于膜电极的贴合装置
KR101050502B1 (ko) 이형지와 접착 테이프 테이핑 장치 및 그 방법
KR102204672B1 (ko) 물티슈 포장용기의 뚜껑 자동 부착장치
CN113353672A (zh) 高速切叠一体机
KR100940119B1 (ko) 코어 테이프 부착 유닛 및 이를 갖는 코어 테이핑 장치
JP4394190B2 (ja) 石英ルツボのラッピング装置
JP2006326813A (ja) 薄肉部品積層体の自動組立装置および薄肉部品を備えた荷姿構造
US10943811B2 (en) Tape affixing apparatus
TWM540451U (zh) 撕膜裝置
JPH1034770A (ja) 半自動製函装置及び同装置用折畳み作業台
CN215364110U (zh) 一种电容器薄膜分切机自动上料装置
CN213936280U (zh) 用于膜电极的贴合装置
CN211578914U (zh) 叠片设备
CN210681417U (zh) 一种全自动床垫包装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