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746B1 - 응집 반응 장치 - Google Patents

응집 반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746B1
KR100939746B1 KR1020057008430A KR20057008430A KR100939746B1 KR 100939746 B1 KR100939746 B1 KR 100939746B1 KR 1020057008430 A KR1020057008430 A KR 1020057008430A KR 20057008430 A KR20057008430 A KR 20057008430A KR 100939746 B1 KR100939746 B1 KR 100939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narrow
flocculation
flocculant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6538A (ko
Inventor
다다오 다케우치
Original Assignee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6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 B01F25/433Mixing tubes wherein the shape of the tube influences the mixing, e.g. mixing tubes with varying cross-section or provided with inwardly extending profiles
    • B01F25/4337Mixers with a diverging-converging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B01D21/286Means for gentle agitation for enhancing floc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B01F25/104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discharge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25/3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 B01F25/314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herein additional components are introduced at the circumference of the conduit
    • B01F25/314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herein additional components are introduced at the circumference of the conduit with additional mixing means other than injector mix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40Static mixers
    • B01F25/42Static mixers in which the mixing is affected by moving the components jointly in changing directions, e.g. in tubes provided with baffles or obstructions
    • B01F25/43Mixing tubes, e.g. wherein the material is moved in a radial or partly reversed direction
    • B01F25/433Mixing tubes wherein the shape of the tube influences the mixing, e.g. mixing tubes with varying cross-section or provided with inwardly extending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50Pipe mixers, i.e. mixers wherein the materials to be mixed flow continuously through pipes, e.g. column mix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27Processes for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of solid flocculants in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81Installations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organic material
    • C02F1/56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025/91Direction of flow or arrangement of feed and discharge openings
    • B01F2025/914Tangential flow, i.e. flow spiraling in a tangential direction in a flat plane or belt-lik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025/91Direction of flow or arrangement of feed and discharge openings
    • B01F2025/919Direction of flow or arrangement of feed and discharge opening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feed and discharge openings
    • B01F2025/9191Direction of flow or arrangement of feed and discharge opening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feed and discharge open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feed openings for one or more flows, e.g. for the mainflow and the flow of an additional component
    • B01F2025/91912Direction of flow or arrangement of feed and discharge opening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feed and discharge open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feed openings for one or more flows, e.g. for the mainflow and the flow of an additional component with feed openings at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flow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응집 반응 장치는 오니 등의 현탁수에 응집제를 첨가하여 응집 처리하는데 있어서, 현탁수 중에 응집제를 균일하게 분산시켜 응집제의 응집 기능을 유효하게 발휘시키고, 이에 의해 응집 효율의 향상, 처리 시간의 단축, 장치의 컴팩트화를 도모한다. 응집 반응 장치는 현탁수의 이송 배관(12), 이송 배관(12)에 이어져 있는 이송 배관(12)보다도 소직경인 세경 배관(13), 세경 배관(13) 또는 그 상류측 이송 배관(12)에 마련된 응집제 공급 수단, 및 물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며 유입구에 세경 배관(13)이 이어져 있는 응집 반응용의 일시 체류부(11)를 구비한다. 일시 체류부(11)의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를 향하는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의 유로 단면적이 이송 배관(12)의 단면적 보다도 크다.

Description

응집 반응 장치{AGGREGATION REACTION SYSTEM}
본 발명은 하수 등의 유기 배수의 생물 처리 공정에서 배출되는 잉여 오니(汚泥) 등의 현탁수를 응집 처리하기 위한 응집 반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응집제를 유효하게 작용시킬 수 있어 응집 반응 효율의 향상, 장치의 컴팩트화가 가능한 응집 반응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 등의 유기 배수의 생물 처리 공정에서 배출되는 잉여 오니를 탈수 처리하기 위해, 오니에 고분자 응집제를 첨가하여 응집 처리함으로써 플록(flock)을 형성시키고, 그 후 탈수 처리를 행한다. 응집 처리에 있어서, 보다 강고한 플록을 형성하여 탈수성을 높이기 위해, 폴리황산제2철 등의 무기 응집제를 첨가하여 오니의 하전을 중화시킨 후, 양쪽성 고분자 응집제가 첨가되는 경우가 있다.
도 7a는 오니(원니)에 고분자 응집제를 첨가하여 응집 처리하는 종래의 응집반응 장치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며, 원니(原泥)는 원니 펌프(P)에 의해 응집 반 응조(1)에 도입되고, 이 응집 반응조(反應槽)(1)에 고분자 응집제가 첨가되며, 교반기(1M)에 의해 교반 혼합되어 응집 오니가 배출된다. 고분자 응집제는 원니의 도입 배관에 주입되는 경우도 있다.
도 7b는 원니에 무기 응집제와 양쪽성 고분자 응집제를 첨가하여 응집 처리 하는 종래의 응집 반응 장치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며, 원니는 펌프(P)에 의해 제1 반응조(2)에 도입되고, 무기 응집제가 첨가되어 교반기(2M)에 의해 교반 혼합된 후, 제2 반응조(3)에 도입되고, 양쪽성 고분자 응집제가 첨가되어 교반기(3M)에 의해 교반 혼합되어 응집 오니가 배출된다.
오니에 고분자 응집제를 첨가하여 응집 처리하는 경우, 강한 교반을 행하면 플록이 미세화되기 때문에 완속 교반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고분자 응집제의 용액은 점성이 있으며, 완속 교반으로는 오니 중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플록의 미세화를 방지하기 위해, 완속 교반으로 한 경우에는 고분자 응집제의 분산에 장시간을 필요로 함과 동시에, 고분자 응집제의 오니 표면에 대한 부착 상황에 불균일이 생겨, 충분한 응집 작용을 얻을 수 없고, 결과적으로 고분자 응집제의 첨가량을 많게 해야 할 필요가 있다. 고분자 응집제의 균일 분산을 위해서는 급속 교반이 바람직하지만, 급속 교반을 행하면, 플록이 미세화되어 플록을 성장시킬 수 없다.
오니와 무기 응집제를 효율적으로 반응시키기 위해서도, 강한 교반이 필요하다. 이 경우에는 고분자 응집제에 의한 응집 처리시와 같이, 플록의 미세화가 문제가 되는 일은 없다. 그러나, 교반을 위한 동력을 소비하고, 또한 하수의 혼합 생오니와 같이, 오니 중에 협잡물이 포함되는 원니의 경우에는 교반 날개에 협잡물이 달라붙어 원활한 교반이 저해되는 경우도 있다.
일본 실용 공개 평성 제8-961호의 공보는 오니와 고분자 응집제와의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라인믹서를 구비한 응집 반응 장치를 개시한다. 이 응집 반응 장치 에서는 오니 중의 협잡물이 라인믹서의 교반 날개에 달라붙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배관 폐색에 도달할 우려가 있다.
통상의 배관은 펌프의 토출압을 억제하기 위해, 압력 손실이 커지지 않도록 직경이 크게 설계된다. 이러한 배관내에서는 현탁수의 흐름은 층류로 되어 있어 교반 효과는 얻을 수 없다.
일본 특허 제2965582호의 공보는 오니 배관의 중간 부분에 세경(細徑)부를 마련하고, 세경부의 난류로 응집제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응집 반응 장치를 개시한다. 배관 중간에 세경부를 마련하는 것만으로는 응집제의 균일 분산은 불완전하다. 특히, 고분자 응집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플록 형성을 위해 어느 정도의 처리 시간이 필요하지만, 이와 같이 단순히 배관 중간에 세경부를 마련한 것만으로는 충분한 처리 시간을 확보할 수 없고, 따라서, 양호한 플록을 형성할 수 없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오니 등의 현탁수에 응집제를 첨가하여 응집 처리하는데 있어서, 현탁수 중에 응집제를 균일하게 분산시켜 응집제의 응집 기능을 유효하게 발휘시키고, 이에 의해 응집 효율의 향상, 처리 시간의 단축, 장치의 컴팩트화를 가능하게 하는 응집 반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응집 반응 장치는 현탁수의 이송 배관, 상기 이송 배관에 이어져 있는 상기 이송 배관보다도 소직경인 세경 배관, 상기 세경 배관 또는 그 상류측 이송 배관에 마련된 응집제 공급 수단, 및 물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유입구에 상기 세경 배관이 직접 이어져 있는 응집 반응용 일시 체류부를 구비하며, 상기 일시 체류부의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를 향하는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의 유로(流路) 단면적이 상기 이송 배관의 단면적보다도 크고, 상기 일시 체류부 하류측에 설치된 상기 이송 배관보다도 소직경인 제2 세경 배관과, 상기 제2 세경 배관이 직접 개구(開口)하는 교반기를 갖는 교반 반응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의 이송 배관보다도 소직경인 세경 배관에서는 현탁수의 흐름이 난류가 되기 때문에 이 세경 배관 혹은 그 상류측에 주입된 응집제는 이 세경 배관으로 현탁수 중에 효율적으로 균일 분산된다. 이 세경 배관이 일시 체류부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세경 배관에 있어서 균일 분산된 응집제에 의한 응집 반응이 이 일시 체류부에 유입됨으로써 촉진된다.
응집제가 고분자 응집제인 경우, 현탁수에 첨가된 고분자 응집제는 세경 배관내에서 현탁수 중에 균일하게 분산되고, 고분자 응집제가 오니(SS)의 표면에 부착되고, 세경 배관 후단의 일시 체류부에 있어서, 플록이 충분히 성장한다.
응집제가 무기 응집제인 경우에는, 세경 배관에 있어서 무기 응집제를 급속히 균일 교반함과 동시에, 그 후단의 일시 체류부에 있어서 더욱 무기 응집제의 확산,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자는 무기 응집제를 첨가하여, 오니(SS) 표면의 음전하를 중화하는 반응이 매우 빠르게 초단위로 진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반응에 있어서는 오니 표면 하전 전량을 중화할 필요는 없고, 50% 정도 이상을 중화하면 좋고, 이 정도의 중화를 행하기 위해 필요한 무기 응집제를 첨가하여 교반·혼합을 행하면 좋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오니와 무기 응집제를 혼합하는 경우, 교반력이 강하고, 무기 응집제를 균일하게 확산할 수 있을 수 있으면, 평균적으로 오니 표면 하전의 50%를 중화할 수 있지만, 교반력이 약하여 무기 응집제를 충분히 확산시킬 수 없을 때에는 오니 표면 중 어떤 부분의 하전은 중화되지만, 충분히 중화되지 않는 부분이 생기고, 그 후, 고분자 응집제를 첨가했을 때에 형성되는 플록의 강도가 약해진다.
본 발명의 응집 반응 장치에서는 세경 배관에 있어서, 무기 응집제의 급속한 균일 확산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일시 체류부에 있어서, 이것을 촉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후, 고분자 응집제를 첨가했을 때에 강고한 플록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경 배관과 이 세경 배관이 연결되는 후단의 일시 체류부와의 조합은 매우 중요하며, 세경 배관내에서의 난류에 의한 급속 교반 작용과, 세경 배관을 통해 일시 체류부에 유입되는 고속 분사류에 의한 혼합, 확산 작용과, 일시 체류부내에서의 균일 혼합 작용으로 양호한 응집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일시 체류부를 마련하지 않는 경우, 응집제 주입 펌프의 맥동에 의해 응집제 주입량이 변동하여 응집제의 농도차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또한, 세경 배관만으로 응집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반응 시간의 확보를 위해 긴 세경 배관이 필요하게 되며, 이 경우에는 압력 손실이 커져, 펌프의 토출압을 크게 해야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세경 배관의 후단을 다시 이송 배관과 동등한 직경의 배관으로 한 경우에는 이 부분의 흐름은 층류가 되기 때문에 양호한 혼합 효과는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시 체류부는 이송 배관보다도 대직경인 배관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일시 체류부는 원통 용기로 하고, 이 원통 용기내에 선회류를 발생시키도록, 세경 배관을 원통 용기에 대하여 대략 접선 방향으로 접속한 것이어도 좋고, 이 경우에는 원통 용기내의 선회류로 양호한 혼합, 확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일시 체류부에는 교반기를 설치하여도 좋고, 특히, 고분자 응집제에 의한 플록의 조대화(粗大化)를 도모하는 경우, 세경 배관 및 세경 배관에서 일시 체류부로의 분사부에 있어서의 급속 혼합 후에 교반기로 완속 교반함으로써, 양호한 응집 처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응집 반응 장치에 있어서는 일시 체류부의 하류측에, 교반기를 갖는 교반 반응조를 설치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시 체류부의 하류측의 교반 반응조에는 세경 배관(제2 세경 배관이라 함)이 직접 개구되어 일시 체류부와 연결되어 있어서, 일시 체류부로부터 교반 반응조로 이송되는 동안에도 제2 세경 배관의 난류로 더욱 응집제의 균일 확산이 행하여지고, 교반 반응조의 완속 교반에 의해 응집 플록이 조대화되어, 양호한 응집 오니가 얻어진다.
도 1a는 응집 반응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 모식적인 정면도이며, 도 1b는 동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응집 반응 장치의 별도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 모식적인 정면도이며, 도 2b는 동 단면이고, 도 2c는 배관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응집 반응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모식적인 정면도이며, 도 3b는 동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응집 반응 장치가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의 응집 반응 장치의 체류조(滯留槽) 부분을 도시한 모식적인 정면도이고, 도 5b는 동 평면도이다.
도 6은 일시 체류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7a, 도 7b는 종래의 응집 반응 장치를 도시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응집 반응 장치의 적합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1∼3을 참조하여 응집제로서 고분자 응집제를 사용할 경우에 적합한 본 발명의 응집 반응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고분자 응집제에 의한 응집 처리에 적합한 응집 반응 장치를 보여주며, 도 1은 참고예와 관계된 응집 반응 장치를 도시하며, 도 2, 3은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도 1a, 2a는 모식적인 정면도이고, 도 1b, 2b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2c는 배관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a는 모식적인 정면도이고, 도 3b는 동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응집 반응 장치는 응집 반응조(11)에 오니(원니)를 이송하는 원니 펌프(P)를 갖는 이송 배관(12)에, 이 이송 배관(12) 보다도 소직경인 세경 배관(13)이 연결되고, 세경 배관(13)이 응집 반응조(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접 연결되어 있다. 고분자 응집제는 이송 배관(12)과 세경 배관(13)과의 연결 부분의 근방에 주입된다. 응집 반응조(11)는 교반기(11M)를 구비하고, 세경 배관(13)은 원통 용기 형태의 응집 반응조(11)에 대하여 대략 접선 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다.
원니가 원니 펌프(P)에 의해 이송 배관(12) 및 세경 배관(13)을 거쳐 응집 반응조(11)에 도입되는 동안, 이송 배관(12)과 세경 배관(13)과의 연결부 근방에서 고분자 응집제가 주입된다. 배관에 주입된 고분자 응집제는 소직경인 세경 배관(13)내에 있어서의 난류로 오니 중에 균일하게 분산, 혼합되고, 이 세경 배관(13)을 거친 고속 오니류가 응집 반응조(11)내에 유입될 때의 분사류에 의해 더욱 고분자 응집제의 혼합, 확산이 행해진다. 그리고, 세경 배관(13)에서 응집 반응조(11)에 접선 방향으로 유입된 오니류는 응집 반응조(11)내에서 선회류가 되어 이 응집 반응조(11)내의 오니와 혼합됨으로써, 고분자 응집제는 보다 한층 균일하게 혼합, 확산됨과 동시에, 응집 반응조(11)내의 완속 교반으로 플록이 성장하여, 양호한 응집 처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응집 반응조(11)에서 얻어진 응집 오니는 배관(14)을 통해 배출되고, 다음 탈수 공정으로 보내어진다.
도 1에 도시하는 응집 반응 장치는 응집 반응조(11)가 일시 체류부 로서 기능하는 것이지만, 도 2에 도시하는 응집 반응 장치는 응집 반응조(11)의 전단에 일시 체류부로서의 대직경 배관부(15)를 마련한 점이 다르며, 그 외에는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의 응집 반응 장치에서는 도 1의 응집 반응 장치와 마찬가지로 이송 배관(12)과 세경 배관(13)과의 연결부에 주입된 고분자 응집제가 세경 배관(13)내의 난류로 오니 중에 균일하게 혼합, 확산되고, 그 후, 세경 배관(13)으로부터 대직경 배관부(15)에 분사, 유입된 오니류가 대직경 배관부(15)내에서 유동함으로써 더욱 고분자 응집제의 혼합, 확산이 이루어진다. 대직경 배관부(15)를 유출한 오니류는 교반 반응조(이하 응집 반응조라고도 함)(11)에 접선 방향으로 유입되어 응집 반응조(11)내의 선회류로 더욱 고분자 응집제의 균일 확산이 이루어지고, 응집 반응조(11)로 완속 교반됨으로써, 응집 플록이 조대화하고, 응집 오니는 배관(14)에서 배출된다. 도 2a, 2b의 응집 반응 장치에서는 이 대직경 배관부(15)로부터 응집 반응조(11)로의 이송 배관도, 전단의 이송 배관(12)과 동등한 직경의 이송 배관(12a)과 전단의 세경 배관(13)과 동등한 직경의 세경 배관(제2 세경 배관)(13a)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대직경 배관부(15)로부터 응집 반응조(11)로 이송되는 동안에도 세경 배관(13a)의 난류로 고분자 응집제의 확산이 촉진된다.
응집 반응조(11)의 전단에 마련하는 일시 체류부는 도 2a,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직경 배관부(15)로 한정되지 않고, 원통 용기와 같은 반응조라도 좋다.
도 3a, 3b는 응집 반응조(11)의 전단에 마련하는 일시 체류부로서 원통 용기형의 체류조(16)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2a, 2b와 동일 기능을 발휘하는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둔다. 또한, 도 3a, 3b에 있어서, 후단의 응집 반응조는 도시를 생략해 둔다.
이러한 체류조(16)를 마련할 경우, 세경 배관(13)은 체류조(16)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함으로써, 체류조(16)내에서의 선회류에 의해 양호한 교반 혼합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도 3a, 3b의 응집 반응 장치에서는 도 2a, 2b의 응집 반응 장치와 마찬가지로 이송 배관(12)과 세경 배관(13)과의 연결부에 주입된 고분자 응집제가 세경 배관(13)내의 난류로 오니 중에 균일하게 혼합, 확산되고, 그 후, 세경 배관(13)으로부터 체류조(16)의 하부에 분사, 유입된 오니류가 체류조(16)내에서 선회하면서 상승함으로써, 더욱 고분자 응집제의 혼합, 확산이 이루어진다. 체류조(16)에서 흘러 나온 오니류는 이송 배관(12a), 세경 배관(13a)을 거치는 동안 세경 배관(13a)에서 더욱 고분자 응집제가 균일 확산된 후, 도시하지 않은 응집 반응조에 접선 방향으로 유입되어 응집 반응조내의 선회류로 더욱 고분자 응집제의 균일 확산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응집 반응조에서 완속 교반됨으로써, 응집 플록이 조대화하여 양호한 응집 오니를 얻을 수 있다.
도 2, 3은 응집제로서 고분자 응집제를 사용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응집 반응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며, 응집제로서 고분자 응집제를 사용하는 경우, 플록의 조대화를 위한 교반 반응조가 필요하게 된다. 이 교반 반응조는 도 2,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시 체류부의 후단에 마련되어, 고분자 응집제가 세경 배관에 있어서의 급속 혼합에 의해 오니 표면에 단시간에 균일하게 부착되고, 고분자 응집제가 부착된 오니가 교반 반응조 내에서 완속 교반됨으로써, 양호한 응집 오니를 얻을 수 있다.
삭제
이와 같이, 플록의 조대화를 위한 완속 교반에 앞서, 고분자 응집제의 균일 확산을 위한 급속 혼합이 세경 배관, 세경 배관과 교반 반응조 사이의 일시 체류부에서 추가적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교반 반응조로서의 응집 반응조에서의 체류 시간을 대폭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 결과, 응집 반응조의 용량을 작게 하여 장치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응집제의 균일 확산에 의해 주입한 고분자 응집제를 오니의 응집에 유효하게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고분자 응집제의 필요 첨가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이러한 응집 반응조로의 오니의 유입 방향을 응집 반응조의 접선 방향으로 한 경우에는 유입된 오니류가 교반 날개에 의해 생기는 선회류에 의해 조내의 흐름을 어지럽히는 일 없이 원활히 균일 교반되고, 플록의 성장이 촉진되게 되며, 교반을 위한 동력의 저감도 가능하다.
고분자 응집제에 의한 응집 처리의 경우, 세경 배관을 마련한 본 발명의 응집 반응 장치에 의하면, 응집 반응조(11)의 체류 시간을 0.5∼3분 정도와, 종래의 3∼10분 정도에 비해 대폭 단축할 수 있다.
이 응집 반응조의 전단에 도 2a∼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시 체류부로서의 대직경 배관부(15) 및 체류조(16)를 마련할 경우, 세경 배관과 일시 체류부와 응집 반응조로 균일 분산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일시 체류부의 체류 시간은 극히 단시간으로 충분하며, 예컨대, 도 2a, 2b의 대직경 배관부(15)의 경우, 체류 시간은 0.5∼5.0초 정도이고, 도 3a, 3b의 체류조(16)의 경우, 체류 시간은 1∼10초 정도가 좋다. 따라서, 이러한 체류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대직경 배관부(15)의 직경 및 길이, 체류조(16)의 직경 및 높이를 설정하면 좋다.
또한, 도 2a∼도 3b의 응집 반응 장치에 있어서, 일시 체류부로서의 대직경 배관부(15) 또는 체류조(16)로부터 응집 반응조(11)에 이르는 배관은 모두 세경 배관과 동등한 직경이라도 좋고, 세경 배관을 마련함으로써, 보다 한층 균일 확산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이 세경 배관 부분의 길이가 너무 길면, 압력 손실의 증대나 협잡물에 의한 배관 폐색을 초래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도 2a∼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송 배관(12a)과 세경 배관(13a)과의 조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경 배관(13a)이 응집 반응조(11)에 직접 개구되어 있다.
다음에, 도 4∼6을 참조하여 응집제로서 무기 응집제와 고분자 응집제를 사용할 경우에 적합한 본 발명의 응집 반응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6은 무기 응집제와 고분자 응집제에 의한 응집 처리에 적합한 본 발명의 응집 반응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4는 응집 반응 장치의 모식적인 단면도이고, 도 5a는 도 4의 응집 반응 장치의 체류조 부분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정면도이며, 도 5b는 동 평면도이다. 도 6은 일시 체류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4의 응집 반응 장치는 일시 체류부로서의 체류조(21)와 응집 반응조(22)를 구비하고, 원니 펌프(P)에 의해 도입된 원니는 체류조(21)의 입구측에서 무기 응집제가 주입된 후, 체류조(21)를 거쳐 응집 반응조(22)에 도입되고, 이 응집 반응조(22)에 주입된 양쪽성 고분자 응집제에 의해 더욱 응집 처리된다.
도 5a,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니 펌프(P)를 갖는 이송 배관(23)에 이 이송 배관(23)보다도 소직경인 세경 배관(24)이 연결되고, 세경 배관(24)이 체류조(21)에 연결되어 있다. 무기 응집제는 이송 배관(23)과 세경 배관(24)과의 연결 부분의 근방에 주입된다. 세경 배관(24)은 원통 용기 형태의 체류조(21)에 대하여 대략 접선 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다.
원니가 원니 펌프(P)에 의해 이송 배관(23) 및 세경 배관(24)을 거쳐 체류조(21)에 도입되는 동안, 이송 배관(23)과 세경 배관(24)과의 연결부 근방에서 무기 응집제가 주입된다. 배관(1)에 주입된 무기 응집제는 소직경인 세경 배관(24)내에 있어서의 난류로 오니 중에 균일하게 분산, 혼합되고, 이 세경 배관(24)을 거친 고속의 오니류가 체류조(21)내에 유입될 때의 분사류에 의해 더욱 무기 응집제의 혼합, 확산이 행해진다. 그리고, 세경 배관(24)에서 체류조(21)에 접선 방향으로 유입된 오니류는 체류조(21)내에서 선회류가 되어 이 체류조(21)내의 오니와 혼합됨으로써, 무기 응집제는 보다 한층 균일하게 혼합, 확산된다.
이와 같이 하여 무기 응집제가 혼합, 확산된 오니는 배관(25)에서 응집 반응조(22)로 보내어지고, 응집 반응조(22)내에서 양쪽성 고분자 응집제가 첨가되어 교 반기(22M)에 의해 완속 교반됨으로써 플록이 성장하고, 양호한 응집 오니를 얻을 수 있다. 얻어진 응집 오니는 배관(26)을 통해 배출되어 다음 탈수 공정으로 보내어진다.
도 4, 5a, 5b에 도시하는 응집 반응 장치는 일시 체류부로서의 체류조(21)를 마련한 것이지만, 이 일시 체류부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직경 배관부(27)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도 4, 5a, 5b의 응집 반응 장치와 마찬가지로 이송 배관(23)과 세경 배관(24)과의 연결부에 주입된 무기 응집제가 세경 배관(24)내의 난류로 오니 중에 균일하게 혼합, 확산되고, 그 후, 세경 배관(24)으로부터 대직경 배관부(27)에 분사, 유입된 오니류가 대직경 배관부(27)내에서 유동함으로써 더욱 무기 응집제의 혼합, 확산이 이루어진다. 대직경 배관부(27)에서 유출된 오니류는 도 4, 5a, 5b의 응집 반응 장치와 마찬가지로 배관(25)을 통해 응집 반응조에서 양쪽성 고분자 응집제가 첨가되어 완속 교반됨으로써, 응집 플록이 조대화되어 양호한 응집 오 니를 얻을 수 있다.
이 응집 반응조(22)로의 오니의 도입 배관은 도 1a,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응집 반응조(22)의 접선 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의 응집 반응 장치에서는 양쪽성 고분자 응집제는 응집 반응조(22)에 직접 주입되고 있지만, 응집 반응조(22)의 도입 배관으로서의 세경 배관혹은 세경 배관 바로 앞의 이송 배관에 양쪽성 고분자 응집제를 주입하도록 하여도 좋다. 응집 반응조(22)의 전단에 양쪽성 고분자 응집제의 균일 확산을 위한 일시 체류부를 마련하여도 좋다.
응집제로서 무기 응집제를 첨가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무기 응집제에 의한 중화 반응은 매우 빠르게 진행되며, 또한, 오니 표면 하전의 전량을 중화할 필요는 없고, 50% 정도의 하전을 중화할 수 있으면 좋다. 무기 응집제는 세경 배관에서 균일하게 혼합되고, 그 후 일시 체류부에 분사되어 더욱 균일 혼합, 확산되기 때문에 일시 체류부로서의 도 5b에 도시하는 체류조(21)나 도 6에 도시하는 대직경 배관부(27)에 있어서의 체류 시간은 극히 단시간이 좋고, 일반적으로는 0.5∼20초, 바람직하게는 1∼10초 정도가 좋다. 따라서, 일시 체류부는 이 정도의 체류 시간이 확보되도록 적절하게 설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경 배관의 직경은 그 상류측 이송 배관의 직경보다도 작으면 좋고,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세경 배관의 직경이 지나치게 크면 세경 배관을 마련한 것에 따른 혼합, 균일 확산 작용을 충분히 얻을 수 없고, 세경 배관의 직경이 너무 작으면 압력 손실이 커지고, 배관 폐색 등의 장애를 발생시켜 바람직하지 못하다. 세경 배관의 직경은 세경 배관을 통해 일시 체류부의 유입구에 유입되는 분사류의 유속(이하 「분사 유속」이라고 칭함)이 1∼10 m/sec, 특히 2∼5 m/sec 정도가 되는 직경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경우, 세경 배관의 직경은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한 세경 배관(13) 중 직경이 일정한 세경부(13B)의 직경이 이송 배관(12) 직경의 1/4∼1/2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세경 배관의 길이는 긴 쪽이 세경 배관의 난류에 의한 혼합, 균일 확산 작용을 얻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지만, 세경 배관이 과도하게 길면, 압력 손실의 증대를 초래하고, 이송 펌프의 토출압을 크게 해야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는 세경 배관의 난류에 의한 혼합, 균일 확산 작용에 추가하여, 세경 배관을 통해 일시 체류부에 이르는 분사부의 분사류나 일시 체류부내에 있어서의 혼합류에 의한 작용에 의해 양호한 혼합, 균일 확산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세경 배관의 길이는 과도하게 길게 할 필요가 없으며, 세경 배관의 직경, 그 직경 축소의 정도에 따라 다를 수도 있겠지만, O.1∼1.O m 정도가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세경 배관은 이송 배관보다도 직경이 작은 부분을 가리키고, 따라서, 예컨대, 도 2c에 있어서, 이송 배관(12) 중에서 직경 축소되는 부분(13A)과, 직경이 일정한 세경부(13B)를 포함하여 세경 배관(13)이라고 칭한다. 세경 배관(13) 중 이송 배관(12)에 이어져 있는 직경 축소부(13A)는 세경 배관(13) 전체 길이의 5∼5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응집제의 공급 수단은 이러한 세경 배관 또는 그 상류측 이송 배관에 마련된다. 현탁수 중에 주입된 응집제는 즉시 강교반하여 균일 확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응집제는 예컨대, 도 2c에 있어서, 세경 배관(13) 상류측의 기단부(세경 배관(13)과 이송 배관(12)과의 연결부)(B) 또는 세경 배관(13)의 직경 축소부(13A)의 중간 부분(C), 세경 배관(13)의 직경 축소부(13A)와 직경이 일정한 세경부(13B)와의 경계부(D), 세경 배관(13)의 일정한 세경부(13B)의 중간 부분, 혹은 세경 배관(13) 바로 앞의 이송 배관(12) 부분(A)에 주입되어도 좋다. 특히, 도 2c의 A부, B부, C부, D부 중 적어도 하나에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집제는 세경 배관 또는 이송 배관에 응집제 주입 배관을 접속하여, 가변 주입 펌프 등의 약주입(藥注入)용 펌프로 배관내에 압입하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시 체류부로서의 대직경 배관부나 체류조 혹은 응집 반응조는 그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를 향하는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의 유로 단면적이 이송 배관의 단면적 보다도 큰 것이 필수이지만, 예컨대, 도 2a, 2b, 도 6에 도시하는 대직경 배관부는 그 무엇보다도 직경이 큰 부분의 직경이 이송 배관 직경의 2∼4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경 배관과 그 후단의 일시 체류부와의 조합에 의한 응집제의 혼합, 균일 확산을 위한 수단은 복수조를 직렬로 접속하여도 좋고, 이에 의해 응집제의 혼합, 균일 확산을 보다 한층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조를 병렬로 접속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응집 반응 장치에 의해 오니 등의 현탁수를 응집 처리할 경우, 일시 체류부는 밀폐 용기형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는 악취의 발생, 오니의 비산, 다음 공정으로 오니를 보낼 때, 오니가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6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응집 반응 장치에 의해 오니의 응집 처리를 행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의 응집 반응 장치는 생물 처리 공정에서 배출되는 잉여 오니와 같은 현탁 고형물 농도가 높은 현탁수의 응집 처리에 유효하지만, 이러한 고농도 현탁수로 한정되지 않고, 공장 배수나 하수 등의 비교적 고형물농도가 낮은 오탁수의 응집 처리에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 참고예,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예 1 및 2
하수의 생물 처리 공정에서 배출되는 잉여 오니(농도 2%)를 도 1에 나타내는 응집 반응 장치에 3.5 m3/hr로 공급하여 응집 처리하였다.
이송 배관(12)의 직경 및 세경 배관(13)의 직경 및 길이와 응집 반응조(11)에 대한 분사 유속은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또한, 응집 반응조(11)의 치수 및 체류 시간은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고분자 응집제로서는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크리픽스 CP604」를 세경 배관(12)과 이송 배관(13)과의 연결부(도 2c의 B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오니의 TS에 대하여 표 1에 나타내는 양을 첨가하고, 얻어진 응집 오니의 플록 강도를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여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매우 양호함: 벨트 프레스 탈수기로 여유 있게 탈수 가능함.
양호함: 벨트 프레스 탈수기로 탈수 가능함.
양호하지 않음: 벨트 프레스 탈수기에 의한 탈수 곤란함.
비교예 1 및 2
도 7a에 나타내는 종래의 응집 반응 장치를 이용하여 표 1에 나타내는 치수의 응집 반응조에서 체류 시간 3분으로 응집 처리를 행한 것 이외는 참고예 1, 2와 마찬가지로 응집 처리를 행하고, 마찬가지로 얻어진 응집 오니의 플록 강도를 평가하여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37980202-pct00014
표 1로부터 도 1의 응집 반응 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응집 반응조의 약1/3 용량의 응집 반응조에서 우수한 응집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고분자 응집제의 필요 첨가율을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및 2
하수의 생물 처리 공정에서 배출되는 잉여 오니(농도 2%)를 도 4, 5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응집 반응 장치에 3.5 m3/hr로 공급하여 응집 처리하였다.
이송 배관(23)의 직경 및 세경 배관(24)의 직경 및 길이와 체류조(21)에 대한 분사 유속은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또한, 체류조(21)의 치수 및 체류 시간은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응집 반응조(22)의 치수는 φ 400 mm×H800 mm(유효 용량 58 L)이고 체류 시간은 1분으로 하였다.
무기 응집제로서는 폴리황산제2철을 세경 배관(24)과 이송 배관(23)과의 연결부(도 2c의 B부)에, 오니의 TS에 대하여 표 2에 나타내는 양을 첨가하고, 고분자 응집제로서는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크리베스트 E802」를 오니의 TS에 대하여 3.5%/TS 첨가하였다. 얻어진 응집 오니의 플록 강도를 상기 기준으로 평가하여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및 4
도 7b에 나타내는 종래의 응집 반응 장치를 이용하여 표 2에 나타내는 치수의 제1 반응조에서 체류 시간 339초로 응집 처리를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응집 처리를 행하고, 마찬가지로 얻어진 응집 오니의 플록 강도를 평가하여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9037980202-pct00015
표 2로부터 본 발명의 응집 반응 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제1 반응조의 약1/45 용량의 체류조에서 우수한 응집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장치를 대폭 컴팩트화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응집 반응 장치에 의하면,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응집제를 현탁수에 균일하게 분산 혼합시킬 수 있고, 응집제의 응집 효과를 유효하게 얻을 수 있다.
(2) (1)에 따라 응집제의 필요 첨가량을 저감할 수 있다.
(3) 응집제의 균일 분산 혼합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반응조의 필요 용량을 저감하여 장치를 컴팩트화함과 동시에, 설비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4) 응집제의 혼합을 위한 교반기를 필요로 하지 않거나 일부 생략할 수 있고, 교반에 필요한 동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교반기의 생략에 의해 현탁수 속의 협잡물이 달라붙는 등의 교반기로부터 유래되는 장애를 해소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가 발휘되고, 현탁수의 응집 처리를 소형 장치로 저비용이면서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현탁수의 이송 배관, 상기 이송 배관에 이어져 있는 상기 이송 배관보다도 소직경인 세경 배관, 상기 세경 배관 또는 그 상류측 이송 배관에 마련된 응집제 공급 장치, 및 물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가지며 상기 유입구에 상기 세경 배관이 직접 이어져 있는 응집 반응용 일시 체류부를 구비하며,
    상기 일시 체류부의 유입구로부터 유출구를 향하는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의 유로 단면적이 상기 이송 배관의 단면적보다도 크고,
    상기 일시 체류부 하류측에 설치된 상기 이송 배관보다도 소직경인 제2 세경 배관과, 상기 제2 세경 배관이 직접 개구(開口)하는 교반기를 갖는 교반 반응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 반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체류부는 상기 이송 배관보다도 대직경인 배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 반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체류부는 원통 용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 용기에 선회류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세경 배관은 상기 원통 용기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 반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체류부에 교반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 반응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제 공급 장치가 무기 응집제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 반응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제 공급 장치가 고분자 응집제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 반응 장치.
  7. 삭제
KR1020057008430A 2002-11-13 2003-10-31 응집 반응 장치 KR100939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29162A JP3539428B2 (ja) 2002-11-13 2002-11-13 凝集反応装置
JPJP-P-2002-00329162 2002-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538A KR20050086538A (ko) 2005-08-30
KR100939746B1 true KR100939746B1 (ko) 2010-02-04

Family

ID=32310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430A KR100939746B1 (ko) 2002-11-13 2003-10-31 응집 반응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56990B2 (ko)
EP (1) EP1561501A4 (ko)
JP (1) JP3539428B2 (ko)
KR (1) KR100939746B1 (ko)
CN (1) CN100384502C (ko)
AU (1) AU2003280682A1 (ko)
WO (1) WO20040435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8060A (ja) * 2004-09-24 2006-04-06 Susumu Takayama 撹拌装置
JP4670520B2 (ja) * 2005-07-14 2011-04-13 株式会社石垣 外部動力を利用した混合装置
SE530909C2 (sv) * 2007-01-15 2008-10-14 Kemira Kemi Ab Förfarande och system för separation av vätskor och fastämnen, vilka föreligger i en slurry
JP2008178781A (ja) * 2007-01-24 2008-08-07 Kurita Water Ind Ltd 凝集反応装置
JP5013070B2 (ja) * 2007-02-22 2012-08-29 栗田工業株式会社 撹拌混合器及びこれを備えた凝集反応装置
CA2731682A1 (en) * 2008-07-31 2010-02-04 Bell Helicopter Textron Inc.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KR100922198B1 (ko) * 2009-07-02 2009-10-20 최기억 혼화장치
CN102167428A (zh) * 2010-02-25 2011-08-31 天源环保有限公司 一种高效加药混凝装置
DE102010017490A1 (de) * 2010-06-21 2011-12-22 WME Gesellschaft für windkraftbetriebene Meerwasserentsalzung mbH Verfahren zur Aufbereitung eines salzhaltigen Rohwassers zur Herstellung eines Prozesswassers, damit hergestelltes Prozesswasser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CN102040326B (zh) * 2010-10-26 2013-05-08 北京恩菲环保股份有限公司 混合容器
JP2012170840A (ja) * 2011-02-17 2012-09-10 Kurita Water Ind Ltd 凝集処理装置及び凝集処理方法
KR101086555B1 (ko) * 2011-09-30 2011-11-23 허종형 수처리시설용 혼화장치
WO2014091819A1 (ja) * 2012-12-10 2014-06-19 日鉄住金環境株式会社 廃水中の懸濁物質の除去処理方法
JP6209370B2 (ja) * 2013-06-17 2017-10-04 水ing株式会社 汚泥凝集装置及び方法、及び汚泥処理装置
DE102016101417A1 (de) * 2016-01-27 2017-07-27 Clariant lnternational Ltd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Flokkulation von Feststoffanteilen eines Fest-flüssig-Gemisches
CN106423111A (zh) * 2016-10-13 2017-02-22 北京北方节能环保有限公司 一种用于有机废水处理的bf型吸附沉淀剂
CN108014677A (zh) * 2017-12-11 2018-05-11 大连百达开成不动产咨询有限公司 混凝剂制备投加系统
CN108031322A (zh) * 2017-12-11 2018-05-15 大连百达开成不动产咨询有限公司 一种混凝剂储罐的加热搅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7246A (ko) * 1975-01-21 1976-08-26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0047A (en) * 1966-05-05 1967-01-24 Hirsch Abraham Adler Truly vertical flow upflow tank with complete volumetric transit for water and wastetreatment
JPS5323032B2 (ko) * 1973-11-16 1978-07-12
JPS50146361A (ko) 1974-05-14 1975-11-25
JPS50146361U (ko) * 1974-05-21 1975-12-04
US4372851A (en) 1978-01-12 1983-02-08 Clevepak Corporation Multi stage flocculation treatment system
DE3030558C2 (de) * 1980-08-13 1982-10-28 Kronos Titan-Gesellschaft Mbh, 5090 Leverkusen Vorrichtung zur chemischen Konditionierung von Schlämmen
JPS59186690A (ja) * 1984-03-13 1984-10-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汚水浄化装置
JP2965582B2 (ja) * 1989-08-24 1999-10-18 株式会社青木建設 濁水処理装置
US5120436A (en) * 1991-03-21 1992-06-09 Reichner Thomas W Liquid clarification by effecting cohesion of solids
JPH08961A (ja) 1994-06-23 1996-01-09 Hodogaya Chem Co Ltd アンモニア及び/又はシアンガスを含有する排ガスの酸化分解処理方法
JP3552848B2 (ja) * 1996-06-14 2004-08-11 榮 畑山 浚渫固液分離土質改良方法
JP2001239103A (ja) * 2000-03-01 2001-09-04 Ikuo Sakai 廃水前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CN2430435Y (zh) * 2000-07-13 2001-05-16 韩春来 絮凝快速反应器
JP3691768B2 (ja) * 2001-02-08 2005-09-07 株式会社埼玉種畜牧場 汚泥処理方法
JP2002336605A (ja) * 2001-05-14 2002-11-26 Japan Water Works Association 水処理システムおよびフロック形成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7246A (ko) * 1975-01-21 1976-08-2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56990B2 (en) 2007-01-02
EP1561501A4 (en) 2006-01-11
US20050189280A1 (en) 2005-09-01
JP3539428B2 (ja) 2004-07-07
EP1561501A1 (en) 2005-08-10
CN100384502C (zh) 2008-04-30
AU2003280682A1 (en) 2004-06-03
CN1738671A (zh) 2006-02-22
WO2004043568A1 (ja) 2004-05-27
JP2004160353A (ja) 2004-06-10
KR20050086538A (ko) 2005-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746B1 (ko) 응집 반응 장치
US4100614A (en) Method for polymer dissolution
AU2006227100B2 (en) Activated sludge process wtth ballasted flocculation
US10494523B2 (en) Particle suspensions of flocculating polymer powders and powder flocculant polymer blends
CA2370922C (en) Process for treating sludge
US20080257810A1 (en) Water or Wastewater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BOD and Suspended Solids Through an Activated Sludge Process and a Ballasted Flocculation Process
US20020030003A1 (en) Activated sludg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JP2010000436A (ja) 有機性汚泥の脱水方法および装置
JP3888984B2 (ja) 合流式下水道の下水の処理方法と装置
WO1991000249A1 (en) Method of concentrating and dehydrating slurried sludge
US4559146A (en) Method of clarifying proteinaceous waste water containing solid impurities
US5388905A (en) Polymer mixing/activation system
JP5423256B2 (ja) 汚泥脱水方法及び汚泥脱水装置
US5954964A (en) Process for enhancing dewatering of treated biosolids in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5248416A (en) Sewage treatment system
KR100946263B1 (ko) 응집제 절감 혼합장치
KR101042008B1 (ko) 슬러지 처리용 약품 혼합시스템
CN218058714U (zh) 海水养殖池预处理设备及海水水产养殖系统
JP3410533B2 (ja) 汚泥処理装置
EP1371614B1 (en) Process for treating sludge involving a particular shear stirrer
JP3835610B2 (ja) 排水処理方法及び装置
CN110040826B (zh) 一种污水处理喷药装置
KR100286617B1 (ko) 순수 산소를 이용한 폐수의 처리 방법 및 장치
KR19990073535A (ko) 수처리공정에서의관내수처리제혼합장치
JP2009291736A (ja) フロック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