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152B1 -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152B1
KR100938152B1 KR1020080093444A KR20080093444A KR100938152B1 KR 100938152 B1 KR100938152 B1 KR 100938152B1 KR 1020080093444 A KR1020080093444 A KR 1020080093444A KR 20080093444 A KR20080093444 A KR 20080093444A KR 100938152 B1 KR100938152 B1 KR 100938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mold
elastic member
guide groove
bloc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호석
Original Assignee
장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호석 filed Critical 장호석
Priority to KR1020080093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152B1/ko
Priority to PCT/KR2009/005426 priority patent/WO2010036022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2Dies or mountings therefor
    • B21J13/03Die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4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76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형이 형합, 형합 해제됨에 따라 슬라이더가 슬라이딩되는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제1금형과 제2금형이 슬라이더를 사이에 두고 형합, 형합분리되고, 슬라이더가 제2금형에 구비된 블록부에 의해 제1금형 상에서 슬라이딩됨과 아울러 슬라이더와 제1금형 또는 슬라이더와 가이드 레일 사이에 개재된 탄성부재에 의해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를 제시함으로써,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을 위한 구조를 간소하게 개선할 수 있다.
금형캐스팅, 금형, 금형, 슬라이더, 앵귤러 핀

Description

금형장치{MO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형이 형합, 형합 해제됨에 따라 슬라이더가 슬라이딩되는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형장치는 필요한 성형품 형상에 완전히 일치하도록 정확하게 가공된 금형(die)에 용융금속 등의 성형품 원료를 주입하고 압력이나 열 등을 공급함으로써, 성형품을 성형하는데 쓰인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금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금형장치는 성형품이 성형되는 캐비티(Cavity)를 형성하기 위해, 슬라이더(slider)(10)를 사이에 두고 제1금형(20)과 제2금형(30)이 형합 가능토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10)는 상기 제1금형(20) 상에 슬라이딩(sliding)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제2금형(30)에는 형합 또는 형합 해제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0)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앵귤러 핀(Angular pin)(32)이 일체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10)에는 형합 또는 형합 해제됨에 따라 상기 앵귤러 핀(32)이 끼워지거나 이탈될 수 있도록 핀 홀(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금형(20)에는 형합시 상기 앵귤러 핀(32)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핀 홀(22)이 형성된다.
상기 앵귤러 핀(3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합시 상기 슬라이더(10)가 일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합 해제시 상기 슬라이더(10)가 형합 전 복귀위치를 향해 타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된다.
상기와 아울러, 형합 해제시 상기 슬라이더(10)의 복귀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4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슬라이더(10)와 상기 제1금형(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슬라이더(10)가 복귀되면 상기 슬라이더(10)에 형성된 스토퍼 홈(14)에 걸쳐지는 플런저(42)와, 상기 플런저(42)가 상기 슬라이더(10)를 향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플런저 스프링(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형합시에는 상기 플런저(42)가 상기 슬라이더(10)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0)보다 하측에 눌려있는다. 그리고 형합 해제시 상기 슬라이더(10)의 스토퍼 홈(14)이 상기 플런저(42)와 대응되게 위치되면, 상기 플런저(42)가 상기 플런저 스프링(44)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0)의 스토퍼 홈(14)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슬라이더(10)가 상기 플런저(42)에 의해 걸림되어 상기 복귀위치에 구속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1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1금형(20) 상에 한 쌍의 가이드 레일(5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10)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50)는 각각 상기 플런 저 스프링(44)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0)가 상기 제1금형(2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단턱부(16, 52)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금형장치는, 상기 슬라이더(10)의 슬라이딩을 위해 상기 앵귤러 핀(32), 상기 스토퍼(40)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50)이 필요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고, 이에 따라 성형품의 크기에 비해 과도하게 대형으로 제작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10) 및 상기 제1금형(20)에 각각, 상기 앵귤러 핀(32)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핀 홀(12) 또는 상기 핀 홈(22)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0)와 상기 제1금형(20)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핀 홀(12) 또는 상기 핀 홈(22) 형성을 위한 가공공정 때문에 상기 슬라이더(10) 및 상기 제1금형(20)의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공차 등으로 인한 불량률이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앵귤러 핀(32)이 상기 슬라이더(10) 및 상기 제1금형(20)에 끼워짐에 따라, 마찰 마모가 심하여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앵귤러 핀(32)이 상기 슬라이더(10) 및 상기 제1금형(20)에 끼워짐에 따라 제조 공차 등으로 인해, 간섭, 걸림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40) 때문에 상기 슬라이더(10)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50)에 각각 단턱부(16,52)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0)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50)의 구조 및 제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을 위한 구조가 간소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크기가 줄어들 수 있는 금형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더 및 제1금형에 핀 홀이나 핀 홈을 형성하지 않도록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을 위한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슬라이더 및 제1금형의 제조공정이 간소해질 수 있고 제조공정상 불량률이 줄어들 수 있으며, 형합 또는 형합해제시 마찰 마모를 줄여 수명이 향상될 수 있고, 형합 또는 형합해제시 간섭 또는 걸림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금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을 위한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슬라이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의 구조 및 제조가 간소해질 수 있는 금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금형과; 상기 제1금형 상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금형과 형합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일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럭부를 갖는 제2금형과;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형합 전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제1금형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를 제시한다.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슬라이더는 각각 그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개재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금형의 가이드 홈과 상기 슬라이더의 가이드 홈은,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서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 상기 블럭부에 의한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시보다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형합 전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 더 많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금형의 가이드 홈과 상기 슬라이더의 가이드 홈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형합 전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캐비티의 둘레방향과 상기 슬라이딩 방향 중 적어도 상기 캐비티의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의 바닥면과 상기 제1금형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하도록 개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제1금형에는 각각 그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개재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직경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형합 전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더의 가이드 홈과 상기 제1금형의 가이드 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종단면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방향 으로 갈수록 상기 제1금형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더를 향해 경사지도록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블럭부는 상기 제2금형의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2금형의 본체와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럭부와 상기 슬라이더는 서로의 외주면 접촉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럭부와 상기 슬라이더의 상호 접촉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금형 또는 상기 제2금형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접촉면의 경사방향과 대응되게 경사지도록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블럭부와 상기 슬라이더는 어느 하나가 그 나머지 하나에 삽입되면서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금형은 본체 및 상기 블럭부에 각각 온도조절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및 블럭부의 온도조절유로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블럭부에는 상기 제2금형의 본체에 형성된 온도조절유로와 연결되는 온도조절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금형과; 상기 제1금형 상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금형과 형합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일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럭부를 갖는 제2금형과;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금형 상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형합 전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가이드 레일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를 제시한다.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각각 그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개재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가이드 홈은,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서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 상기 형합시 상기 블럭부에 의한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시보다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형합 전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 더 많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의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가이드 홈은, 상기 블럭부와 상기 슬라이더의 분리시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제2금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합 또는 형합 해제를 위한 가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면 및 하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하도록 개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의 직경은 상기 블럭부와 상기 슬라이더의 분리시 상기 슬라이더의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가이드 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종단면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탄성부재의 직경은 상기 블럭부에 의한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시 상기 슬라이더의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가이드 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종단면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1금형 상에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블럭부에 의해 서로 같은 방향 또는 상이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블럭부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상기 제2금형에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블럭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 개 구비되어 서로 같은 형상을 취하거나 서로 상이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금형장치는 슬라이더와 제1금형 또는 슬라이더와 가이드 레일 사이에 탄성부재가 개재됨으로써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및 복귀위치 제한이 함께 가능하기 때문에, 슬라이더의 복귀위치 제한을 위한 별도의 스토퍼를 둘 필요가 없어서,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을 위한 구조가 간소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크기가 줄어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금형장치는 슬라이더와 제1금형 또는 슬라이더와 가이드 레일 사이에 탄성부재가 개재됨으로써 슬라이더의 복귀위치가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 및 제1금형에 앵귤러 핀과 같은 부재가 삽입되도록 홀이나 홈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을 위한 구조가 간소해질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공차 등의 제조공정상 불량률이 줄어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로 인해 마찰 마모를 줄일 수 있어 수명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로 인해 간섭 또는 걸림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금형장치는 탄성부재에 의해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이 안내될 수 있어, 슬라이더가 정확하고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금형장치는 탄성부재가 슬라이더의 슬라이딩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개재됨으로써, 형합 분리시 슬라이더가 자기 부상될 수 있어, 슬라이더와 제1금형의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금형장치는 슬라이더가 블록부로부터 힘을 받는 방향과 대응하여 탄성부재가 슬라이더의 슬라이딩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개재됨으로써, 슬라이더가 블록부에 의해 압축될 때 탄성부재가 균일하게 탄성변형될 수 있어서, 탄성부재의 수명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금형장치는 제1금형(100)과, 상기 제1금형(100) 상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더(110)와, 상기 슬라이더(1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금형(100)과 형합되고 상기 슬라이더(110)가 일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럭부(124)를 갖는 제2금형(120)과, 상기 슬라이더(110)가 상기 형합 전 위치, 즉 복귀위치(R)로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110)와 상기 제1금형(100)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이하, 명확한 설명을 위해 '제1탄성부재(130)'라 한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금형(100)과 상기 제2금형(120)은 형합 또는 형합 해제를 위해 둘 다 가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만 가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상기 제2금형(120)만 가동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금형(100)은 상기 제2금형(120)의 하측에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금형(120)의 상측에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슬라이더(110)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위해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제1금형(100)이 상기 제2금형(120)의 하측에 구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제1금형(100)과 상기 제2금형(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성형 온도나 냉각 등 온도 조절을 위해 냉매 또는 열매가 유동될 수 있는 온도조절유로(100A,12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구조가 개선됨에 따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와 달리 상기 제1금형(100)의 구조가 간소해짐으로써, 상기 온도조절유로(100A,120A)가 상기 제1금형(100)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온도조절유로(100A,120A)의 형성을 방해할 인자가 삭제되어, 상기 온도조절유로(100A,120A)의 형성 및 상기 제1금형(100)의 제조가 더욱 용이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조절에 의한 기대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제2금형(120)은 기본적으로 상기 제1금형(100) 및 상기 슬라이더(110)와 함께 상기 캐비티를 형성하는 본체(122)와, 상기 본체(122)와 일체로 구동되도록 구성된 상기 블럭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럭부(124)는 형합 또는 형합 해제시 상기 본체(122)와 일체로 가동될 수 있도록,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본체(122)와 별개로 분리되어 형성된 후 볼팅(bolting), 용접, 압입 등의 체결방법에 의해 상기 본체(122)와 일체화될 수 있으며, 물론 본체(12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본체(122)와 상기 블럭부(124)가 볼트 등의 체결부재(B1)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체결부재(B1)는 상기 블럭부(124)로부터 상기 본체(122)를 향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B1)는 체결시 상기 제1금형(100)과 제2금형(120)의 합형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블럭부(124)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같이 블럭부(124)가 본체(122)와 일체화됨으로써, 상기 제2금형(120)의 가동방향(화살표 M)과 상기 슬라이딩방향(화살표 S1, 화살표 S2)이 상이한바, 상기 블럭부(124)는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110)에 상기 슬라이딩방향(화살표 S1, 화살표 S2)으로 힘을 부여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110)와의 접촉면(124A)이 상기 가동방향(화살표 M)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상기 블럭부(124)를 간소하게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딩을 위한 별도의 구조나 동력원이 업어도 되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블럭부(124)는 상기 슬라이더(110)와의 접촉면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은 물론, 필요에 따라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블럭부(124)가 대칭적인 형상을 취하도록 상기 블럭부(124)의 적어도 일부가 테이퍼(taper) 형상을 취할 수도 있고, 상기 블럭부(124) 자체가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상기 블럭부(124)의 접촉면(124A) 뿐만 아니라 상기 슬라이더(110)의 접촉면(112)도 상기 블럭부(124)의 접촉면(124A)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블럭부(124)와 상기 슬라이더(110)가 상기 슬라이더(110)의 슬라이딩을 위해 서로 면접촉됨으로써, 상기 블럭부(124)가 상기 슬라이더(110)를 미는 힘이 충분히 상기 슬라이더(110)에 작용할 수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10)가 더욱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럭부(124)의 접촉면(124A)과 상기 슬라이더(110)의 접촉면(112)이 서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블럭부(124)와 상기 슬라이더(110) 간 마찰저항이 작아질 수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10)의 슬라이딩이 더욱 원활해질 수 있고, 상기 블럭부(124)와 상기 슬라이더(110)의 마모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을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더(110)와 상기 블럭부(124)는 서로의 외주면 접촉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10)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블럭부(124)는 상기 슬라이더(110)의 외측에서 상기 슬라이더(110)를 밀어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한편, 이외 실시 예로써,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럭부(124)의 접촉면과 상기 슬라이더(110)의 접촉면 중 어느 하나만 상기 가동방향(M)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도, 상기 블럭부(124)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10)의 슬라이딩이 가능은 하다.
상기 블럭부(124)는 상기 슬라이더(110)의 슬라이딩을 위해 상기 슬라이더(110)에 끼워지는 것보다는 상기 슬라이더(110)의 외측에서 상기 슬라이더(110)를 밀어주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슬라이더(110) 및 상기 제1금형(100)에 상기 블럭부(124)와의 결합을 위한 홈이나 홀을 삭제할 수 있고, 상기 블럭부(124)와 상기 슬라이더(110) 간 간섭 및 걸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블럭부(124)와 상기 슬라이더(110)의 마찰 면적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을 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럭부(124)는, 본 실시 예와 같이 형합시 상기 슬라이더(110)를 상기 캐비티를 향해 슬라이딩되는 경우, 상기 형합시 슬라이딩방향(화살표 S1, 화살표 S2)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더(110)의 후방에서 상기 슬라이더(110)를 밀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110)의 캐비티 반대쪽 면과 접촉토록 구성된다. 물론, 이와 반대의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블럭부(124)와 상기 슬라이더(110)의 접촉면(112)도 반대쪽으로 바뀌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블럭부(124)는 상기 슬라이더(110)가 복수 개인 경우, 이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은 물론, 상기 복수 개의 슬라이더(110)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면 상기 슬라이더(110)의 복수 개의 수보다 더 적게 구성되거나 하나만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1탄성부재(130)는 탄성력을 갖는다면 어떠한 부재이든 무방하나, 온도, 압력 등 금형캐스팅 조건, 슬라이더(110)의 중량 등을 감안하여,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130)는, 각각의 슬라이더(110)에 대응하여 하나만 개재될 수도 있지만, 상기 슬라이더(110)의 크기, 중량 등을 고려하여 상기 캐비티의 둘레방향 또는 상기 슬라이딩방향(화살표 S1, 화살표 S2)을 따라 다수 개재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130)는 상기 슬라이더(110)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적어도 상기 캐비티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탄성부재(130)는 상기 슬라이더(110)의 슬라이딩을 위한 탄성력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슬라이더(110)의 복귀위치(R)를 제한하는 역할도 겸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110)의 복귀위치(R)를 제한하는 별도의 구조를 추가하지 않도록, 상기 슬라이더(110)의 바닥면과 상기 제1금형(100)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물론, 이외에도 상기 제1탄성부재(130)는 탄성력 부여와 아울러 상기 슬라이더(110)의 복귀위치(R)를 제한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면, 어디 위치에 개재되든 무방함은 물론이다.
상기 제1탄성부재(130)는 상기 슬라이더(110)의 원활한 슬라이딩을 위해 상기 슬라이더(110)의 슬라이딩방향(화살표 S1, 화살표 S2)과 평행하도록 개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탄성부재(130)의 개재를 위해, 상기 슬라이더(110)와 상기 제1금형(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탄성부재(130)가 개재되는 가이드 홈(102,114)이 형성되는데, 간단하게 상기 가이드 홈(102,114)을 형성하는 것만으로 상기 슬라이더(110)의 가이드 및 상기 슬라이더(110)의 복귀위치(R) 제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홈(102,114)은 상기 슬라이더(110)와 상기 제1금형(100)에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명확한 설명을 위해 상기 제1금형(100)의 가이드 홈(102)을 제1가이드 홈(102)이라 하고, 상기 슬라이더(110)의 가이드 홈(114)을 제2가이드 홈(114)이라 한다.
상기 제1가이드 홈(102)과 상기 제2가이드 홈(114)은 상기 슬라이더(110)의 슬라이딩을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탄성부재(130)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1가이드 홈(102)과 상기 제2가이드 홈(114)은, 상기 슬라이딩방향(화살표 S1, 화살표 S2)을 따라서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 상기 블럭부(124)에 의한 상기 슬라이더(110)의 슬라이딩시보다 상기 슬라이더(110)가 상기 형합 전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 더 많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110)의 슬라이딩에 대응하여 상기 제1탄성부재(130)가 탄성 변형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블럭부(124)에 의한 상기 슬라이더(110)의 슬라이딩시에는 상기 제1가이드 홈(102)과 상기 제2가이드 홈(114)의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 작음으로써 상기 제1탄성부재(130)가 압축 변형되고, 상기 슬라이더(110)가 상기 형합 전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 상기 제1가이드 홈(102)과 상기 제2가이드 홈(114)의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 많아짐으로써 상기 제1탄성부재(130)가 복원되면서 상기 슬라이더(110)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가이드 홈(102)과 상기 제2가이드 홈(114)은, 상기 슬라이더(110)의 가이드 및 상기 슬라이더(110)의 복귀위치(R) 제한을 위해 필요한 만큼만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110)가 상기 형합 전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110)의 슬라이딩을 더욱 정확하게 안내하기 위해, 상기 제1 금형 상에는 상기 슬라이더(11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 쌍의 가 이드 레일(1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0)은 상기 제1금형(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제1금형(100)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0)의 제조 용이성 등을 위해 상기 제1금형(100)과 별도로 형성되어 볼팅 등의 체결방법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0)과 상기 슬라이더(110)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더(110)의 원활하는 슬라이딩을 위해, 상기 슬라이더(110)가 상기 형합 전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이하, 상술한 제1탄성부재(130)와의 차별을 위해 '제2탄성부재(150)'라 한다)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150)는 생략되어도 무방하나, 상기 슬라이더(110)의 크기, 중량, 강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1탄성부재(130)와 함께 구비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110)의 슬라이딩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상기 제1가이드 홈(102)과 상기 제2가이드 홈(114) 형성으로 인한 상기 제1금형(100) 및 상기 슬라이더(110)의 내구성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2탄성부재(150) 또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면 어떠한 부재이든 무방하며, 상술한 제1탄성부재(130)와 같이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제2탄성부재(150)는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방향(화살표 S1, 화살표 S2)과 평행하게 개재되거나, 필요에 따라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방향(화살표 S1, 화살표 S2)에 대하여 경사지게 개재되는 것도 가 능하다.
상기 제2탄성부재(150)의 개재를 위해, 상술한 제1가이드 홈(102) 및 상기 제2가이드 홈(114)과 같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0)과 상기 슬라이더(110)에는 각각 가이드 홈(142,11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명확한 설명을 위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140)의 가이드 홈(142)을 제3가이드 홈(142)이라 하고, 상기 제2탄성부재(150)의 개재를 위한 상기 슬라이더(110)의 가이드 홈(116)을 제4가이드 홈(116)이라 한다.
상기 제3가이드 홈(142)과 상기 제4가이드 홈(116)은, 상기 제2탄성부재(150)가 상기 가동방향(M)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140)의 상면 및 하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탄성부재(150)가 상기 가동방향(M)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140)에 걸림됨으로써 상기 제2탄성부재(150) 및 상기 슬라이더(11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는 이점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상기 슬라이더(110)의 이탈 방지를 위해, 상기 가이드 레일(140)에 단턱부를 형성하는 등 별도의 구조를 추가할 필요가 없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140) 및 전체적인 구조가 간소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금형장치의 구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형합 해제시에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금형(100)과 상기 제2금형(120)이 분리된다. 상기 제1탄성부재(130) 및 상기 제2탄성부재(150)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10)가 상기 복귀위치(R)에 있고, 이때 상기 제1가이드 홈(102)과 상기 제2가이드 홈(114) 및 상기 제3가이드 홈(142)과 상기 제4가이드 홈(116)은 서로 일치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제1탄성부재(130) 및 상기 제2탄성부재(150)는 원 길이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형합을 위해 상기 제2금형(120)이 상기 제1금형(100)를 향해 가동되면,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블럭부(124)의 접촉면과 상기 슬라이더(110)의 접촉면이 서로 접촉시작되고, 이후 상기 제2금형(120)의 가동이 진행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럭부(124)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10)가 밀리면서 '화살표 S1'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110)가 '화살표 S1'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 홈(102)과 상기 제2가이드 홈(114), 그리고 상기 제3가이드 홈(142)과 상기 제4가이드 홈(116)이 서로 어긋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탄성부재(130) 및 상기 제2탄성부재(150)가 압축 변형된다.
상기 같이 상기 제2금형(120)의 가동이 완료되면,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형합에 의해 상기 블럭부(124)가 상기 슬라이더(110)를 받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탄성부재(130) 및 상기 제2탄성부재(150)의 탄성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슬라이더(110)는 '화살표 S1'방향으로 슬라이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같이 형합 후, 상기 제2금형(120)이 상기 형합시와는 반대로 상기 제1금형(100) 반대쪽을 향해 가동되면, 상기 블럭부(124)가 상기 제2금형(120)과 함께 상기 슬라이더(110)로부터 물려나고, 이와 아울러 압축 변형되었던 상기 제1탄성부재(130) 및 상기 제2탄성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10)가 상기 복귀위치(R)를 향해 '화살표 S2'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된다.
이하, 첨부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동일, 유사한 설명이 본 실시 예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중복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동일 번호로 지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는, 제1탄성부재(130)가 슬라이더(110)의 슬라이딩방향(화살표 S1,화살표 S2)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탄성부재(130)는 상기 슬라이더(110)의 접촉면(112) 및 블럭부(124)의 접촉면(124A)의 경사방향과 대응되게 경사지도록 개재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블럭부(124)에 의한 상기 슬라이더(110)의 슬라이딩시 상기 블럭부(124)로부터 상기 슬라이더(110)에 작용하는 힘 방향과 상기 제1탄성부재(130)의 탄성력 방향이 같거나 비슷하게 됨으로써, 상기 블럭부(124)에 의한 상기 슬라이더(110)의 슬라이딩시 상기 제1탄성부재(130)의 저항을 덜 받을 수 있고, 상기 제1탄성부재(130)가 균일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탄성부재(130)가 경사지게 개재됨에 따라, 상기 제1금형(100) 의 가이드 홈인 제1가이드 홈(102)과 상기 슬라이더(110)의 가이드 홈인 제2가이드 홈(114)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 공간(G)의 종단면의 크기가, 상기 슬라이더(110)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달라진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 홈(102)과 상기 제2가이드 홈(114)이 서로 일치된 경우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 홈(102)과 상기 제2가이드 홈(114)이 어긋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공간(G)의 종단면이 더 커질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 예로써 이와 반대로 제1가이드 홈(102)과 상기 제2가이드 홈(114)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슬라이더(110)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슬라이딩될 때 상기 슬라이더(110)를 정확하게 상기 슬라이더(110)의 복귀위치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110)가 상기 복귀위치로 슬라이딩 되었을 때의 상기 가이드 공간(G)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110)가 가이드 레일(140)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상기 슬라이더(110)와 상기 가이드 레일(140) 사이에 제2탄성부재(150)가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탄성부재(150) 또한 상술한 제1탄성부재(130)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방향(화살표 S1,화살표 S2)에 대하여 경사지게 기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제2실시 예와 동일, 유사한 설명이 본 실시 예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중복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본 발명의 제1,제2실시 예와 동일 번호로 지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한 금형장치는, 슬라이더(110)가 제1탄성부재(130)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방향, 상기 복귀위치로 갈수록 상기 제1탄성부재(130)가 제1금형(100)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더(110)를 향해 경사지도록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슬라이더(110)가 블럭부(124)에 의해 슬라이딩 되었을 때의 가이드 공간(G)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더(110)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복귀위치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1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금형(100)으로부터 자기 부상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110)와 상기 제1금형(100) 간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110)가 가이드 레일(140)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상기 슬라이더(110)와 상기 가이드 레일(140) 사이에 제2탄성부재(150)가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탄성부재(150) 또한 상술한 제1탄성부재(130)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방향(화살표 S1,화살표 S2)에 대하여 경사지게 기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1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 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동일, 유사한 설명이 본 실시 예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중복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동일 번호로 지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는, 제2금형(120)의 본체(122)와 블럭부(124)가 분리 구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재(B1)에 의해 체결됨에 있어서, 체결부재(B1)가 상기 본체(122)에서 상기 블럭부(124)를 향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22)에는 상기 블럭부(124)와의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블럭부(124)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블럭부 삽입홈(12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금형(120)은 상기 본체(122) 뿐만 아니라 상기 블럭부(124)에도 온도조절유로(124B)가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구조적 간소화를 위해 상기 블럭부(124)의 온도조절유로(124B)는 상기 본체(122)의 온도조절유로(120A)와 연결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본체(122) 및 상기 블럭부(124) 사이에는 상기 본체(122) 및 상기 블럭부(124)의 온도조절유로(120A, 124B)의 밀봉성을 위해 실링부재(126)가 개재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17 및 도 1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동일, 유사한 설명이 본 실시 예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중복 설명을 생략함 과 아울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동일 번호로 지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 예는, 슬라이더(110)와 제2금형(120)의 블럭부(124) 중 어느 하나가 그 나머지 하나에 삽입되면서 상기 슬라이더(110)가 슬라이딩되게 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10)에는 상기 슬라이딩을 위해 상기 블럭부(124)가 분리 가능토록 삽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용 홈(110A)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블럭부(124)에 상기 슬라이더(110)가 삽입될 수 있는 슬라이딩용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110)는 상기 제1금형(100) 상에 하나만 구비될 수 있고, 본 실시 예와 같이 하나의 성형품을 성형하기 위해 또는 복수 개의 성형품을 동시에 성형하기 위해 상기 제1금형(100) 상에 복수 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슬라이더(110)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취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서로 상이한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슬라이더(110)는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블럭부(124)에 의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도 있으며,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블럭부(124)에 의해 서로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블럭부(124) 또한 상기 제2금형(120)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본 실시 예와 같이 복수 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블럭부(124)는 본 실시 예와 같이 둘 이상의 슬라이더(110)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형성될 수도 있고, 또 다른 실시 예로써 하나의 슬라이더(110)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블럭부(124)는 본 실시 예와 같이 서로 같은 형상을 취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서로 상이한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5실시 예에서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금형(100)과 제2금형(120)의 분리시에는 상기 블럭부(124)가 상기 슬라이더(110)의 슬라이딩용 홈(110A)으로부터 분리되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금형(100)과 상기 제2금형(120)의 합형시에는 상기 블럭부(124)가 상기 슬라이더(110)의 슬라이딩용 홈(110A)에 삽입되고, 이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10)가 슬라이딩된다.
이하, 첨부된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동일, 유사한 설명이 본 실시 예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중복 설명을 생략함과 아울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와 동일 번호로 지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실시 예는, 제2탄성부재(150)가 슬라이더(110)의 슬라이딩방향(화살표 S1, 화살표 S2)에 대하여 경사지게 개재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110)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더방향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10)와 가이드 레일(140) 간 공차를 상쇄시킴으로써 누설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탄성부재(150)의 직경은 상기 슬라이더(110)가 상기 형합 전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 상기 제3가이드 홈(142)과 상기 제3가이드 홈(116)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종단면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블럭부(124)에 의한 상기 슬라이더(110)의 슬라이딩시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탄성부재(150)의 직경은 상기 제3가이드 홈(142)과 상기 제4가이드 홈(116)에 형성되는 공간의 종단면의 크기보다 작아진다.
한편,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제2탄성부재(150)의 직경은 상기 블럭부(124)에 의한 상기 슬라이더(110)의 슬라이딩시 상기 제3가이드 홈(142)과 상기 제4가이드 홈(116)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종단면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15의 도면부호 '114'참조).
상기 제1탄성부재(130)가 경사지게 개재됨에 따라, 상기 제1금형(100)의 가이드 홈인 제1가이드 홈(102)과 상기 슬라이더(110)의 가이드 홈인 제2가이드 홈(114)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 공간(G)의 종단면의 크기가, 상기 슬라이더(110)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달라진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 홈(102)과 상기 제2가이드 홈(114)이 서로 일치된 경우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 홈(102)과 상기 제2가이드 홈(114)이 어긋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공간(G)의 종단면이 더 커질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 예로써 이와 반대로 제1가이드 홈(102)과 상기 제2가이드 홈(114)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슬라이더(110)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슬라이딩될 때 상기 슬라이더(110)를 정확하게 상기 슬라이더(110)의 복귀위치로 슬라이 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110)가 상기 복귀위치로 슬라이딩 되었을 때의 상기 가이드 공간(G)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탄성부재가 설치된 경우 제1탄성부재가 가이드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레일이 반드시 설치될 필요는 없다.
아울러 제2탄성부재가 슬라이더와 가이드레일 사이에 설치된 경우 제1탄성부재는 반드시 설치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슬라이더의 저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어 설치될 수 있으며, 제2탄성부재는 슬라이더의 측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거나 슬라이더의 저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어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금형장치의 형합 해제시 주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금형장치의 형합시 주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금형장치의 형합 해제시 주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금형장치의 형합 중간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금형장치의 형합시 주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금형장치의 형합 해제시를 보여준다.
도 8은 도 7과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금형장치의 형합시를 보여준다.
도 9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와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금형장치를 보여준다.
도 11은 도 5와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한 금형장치를 보여준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금형장치의 형합 해제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금형장치의 형합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한 금형장치의 형합 해제시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한 금형장치의 형합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의한 금형장치의 형합 해제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의한 금형장치의 형합 해제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의한 금형장치의 형합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의한 금형장치의 형합 해제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의한 금형장치의 형합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제1금형 102; 제1가이드 홈
110; 슬라이더 114; 제2가이드 홈
116; 제3가이드 홈 120; 제2금형
122; 본체 124; 블럭부
130; 제1탄성부재 140; 가이드 레일
142; 제4가이드 홈 150; 제2탄성부재

Claims (28)

  1. 제1금형, 및 상기 제1금형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설치된 슬라이더,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금형과 형합되는 제2금형을 포함하여 성형품이 성형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제2금형은 상기 캐비티 형성을 위해 상기 제1금형과의 형합시 상기 슬이더를 일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블럭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제1금형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금형 및 상기 제2금형이 형합되기 전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금형과 상기 슬라이더는 그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개재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금형의 가이드 홈과 상기 슬라이더의 가이드 홈은,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서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 상기 블럭부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되어 형합되었을 때보다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형합 전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 더 많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금형의 가이드 홈과 상기 슬라이더의 가이드 홈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형합 전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다수가 상기 캐비티의 둘레방향과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방향 중 적어도 상기 캐비티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의 바닥면과 상기 제1금형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하도록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제1금형에는 각각 그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개재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직경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형합 전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더의 가이드 홈과 상기 제1금형의 가이드 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종단면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제1금형에는 각각 그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개재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직경은 상기 블럭부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되어 형합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더의 가이드 홈과 상기 제1금형의 가이드 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종단면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형합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1금형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더를 향해 경사지도록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11. 제1금형, 및 상기 제1금형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설치된 슬라이더,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금형과 형합되는 제2금형을 포함하여 성형품이 성형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제1금형 상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가이드 레일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형합 전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가 개재되며;
    상기 제2금형은 상기 캐비티 형성을 위해 상기 제1금형과의 형합시 상기 슬라이더를 일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블럭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각각 그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개재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가이드 홈은,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서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 상기 블럭부에 의한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되어 형합되었을 때보다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형합 전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 더 많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가이드 홈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형합 전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14. 삭제
  15.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하도록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16.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슬라이딩되어 형합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각각 그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개재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직경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형합 전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더의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가이드 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종단면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각각 그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개재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직경은 상기 블럭부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되어 형합되었을 때, 상기 슬라이더의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가이드 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종단면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금형은 본체 및 상기 블럭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럭부는 상기 제2금형의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2금형의 본체와 분리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2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부와 상기 슬라이더는 서로의 외주면 접촉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가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블럭부와 상기 슬라이더의 상호 접촉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1금형 또는 상기 제2금형이 이동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블럭부와 상기 슬라이더의 상호 접촉면의 경사방향과 대응되게 경사지도록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2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부와 상기 슬라이더는 어느 하나가 그 나머지 하나에 삽입되면서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2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부와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블럭부에 의해 상기 캐비티를 향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2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금형은 본체 및 상기 블럭부에 각각 온도조절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및 블럭부의 온도조절유로가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2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1금형 상에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블럭부에 의해 서로 같은 방향 또는 상이한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2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부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상기 제2금형에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2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블럭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복수 개 구비되어 서로 같은 형상을 취하거나 서로 상이한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KR1020080093444A 2008-09-23 2008-09-23 금형장치 KR100938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444A KR100938152B1 (ko) 2008-09-23 2008-09-23 금형장치
PCT/KR2009/005426 WO2010036022A2 (ko) 2008-09-23 2009-09-23 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444A KR100938152B1 (ko) 2008-09-23 2008-09-23 금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8152B1 true KR100938152B1 (ko) 2010-01-22

Family

ID=41810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444A KR100938152B1 (ko) 2008-09-23 2008-09-23 금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38152B1 (ko)
WO (1) WO201003602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4704A (zh) * 2021-05-06 2021-09-03 宁波方正汽车模具股份有限公司 组合斜顶脱模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5138A (en) 1981-04-01 1982-10-12 Mazda Motor Corp Cam mold for press
JP2000071027A (ja) 1999-09-09 2000-03-07 Oiles Ind Co Ltd プレス用カム型
JP2004249645A (ja) 2003-02-21 2004-09-09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加硫用コンテナのガイド装置
KR100503624B1 (ko) * 2004-10-27 2005-07-26 (주)동일테크 프레스금형용 캠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209A (ko) * 2004-02-25 2005-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금형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5138A (en) 1981-04-01 1982-10-12 Mazda Motor Corp Cam mold for press
JP2000071027A (ja) 1999-09-09 2000-03-07 Oiles Ind Co Ltd プレス用カム型
JP2004249645A (ja) 2003-02-21 2004-09-09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加硫用コンテナのガイド装置
KR100503624B1 (ko) * 2004-10-27 2005-07-26 (주)동일테크 프레스금형용 캠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4704A (zh) * 2021-05-06 2021-09-03 宁波方正汽车模具股份有限公司 组合斜顶脱模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36022A3 (ko) 2010-07-22
WO2010036022A2 (ko) 201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873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ynthetic resin-made hollow member with intermediate element incorporated therein, and apparatus therefor
US10780610B2 (en) Insert molding die structure
US7481649B2 (e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having a nozzle sleeve
US9327436B2 (en) Stack mold transfer device
US9259870B2 (en) Metal mold for molded article
US7329118B2 (en) Nozzle and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US7104774B2 (en) Mold assembly
CN105452721A (zh) 扩张活塞液压链条张紧器
KR100938152B1 (ko) 금형장치
CN103753766B (zh) 斜浇口用热流道注塑模具装置
JP6095216B2 (ja) プラスチック成形用金型及び射出成形方法
TWM492208U (zh) 角式模芯致動機構
CN111660511B (zh) 注塑成型方法
KR101506401B1 (ko) 경사진 게이트를 위한 핫러너 사출금형장치
JP4412836B2 (ja) 射出成形装置
JP2002292687A (ja) 厚みが一端部から他端部に向けて漸減するくさび形状の導光板の射出圧縮成形用金型及びこれを用いる導光板の製造方法
US20100166908A1 (en) Cross-over nozzle system for stack molds
JP5808503B1 (ja) 金型内の気体放出構造
US11511470B2 (en) Slide guidance and wear reduction for injection molding
WO2017188067A1 (ja) スライド駒の駆動機構
JP2019014211A (ja) 射出成形方法及び金型
EP1839838B1 (en) Ejecting apparatus fo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6014949B2 (ja) 金型内の気体放出構造及び当該構造を備えた金型
CN117140867A (zh) 热流道模具
KR20140116582A (ko) 가동측 금형에 외측 슬라이딩 유닛을 지닌 사출성형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528

Effective date: 2009121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