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122B1 - 서리 방지용 단차를 갖는 방범용 센서 장치 - Google Patents

서리 방지용 단차를 갖는 방범용 센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122B1
KR100937122B1 KR1020077024968A KR20077024968A KR100937122B1 KR 100937122 B1 KR100937122 B1 KR 100937122B1 KR 1020077024968 A KR1020077024968 A KR 1020077024968A KR 20077024968 A KR20077024968 A KR 20077024968A KR 100937122 B1 KR100937122 B1 KR 100937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element unit
center
hoo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4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8671A (ko
Inventor
히로유키 이케다
Original Assignee
오프텍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프텍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프텍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8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8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1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act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83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act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by interruption of a radiation beam or barri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우수한 서리 방지 효과를 얻기 위해서, 방범용 센서 장치는, 검지파 IR 의 송신 또는 수신을 실시하는 센서 소자 (15, 23) 를 포함하는 소자 유닛 (21) 이 센서 본체 (41) 에 수평 편향각 및 상하 편향각 (θv) 가 조정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센서 본체 (41) 에 소자 유닛 (21) 을 덮는 커버 (43) 가 장착되며, 소자 유닛 (21) 에 있어서의 상하 편향의 회전 운동 중심 (10) 이, 소자 유닛 (21) 의 상하 방향의 중앙부에 대해 하방 또는 상방으로 편심되어 설정되어 있다. 커버 (43) 에 있어서의 소자 유닛 (21) 의 회전 운동 중심 (10) 이 편심된 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단차부 (44) 를 개재하여, 다른 부분보다 커버 (43) 내방에 요입된 요입부 (56) 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 (43) 에 있어서의 회전 운동 중심 (10) 의 상방 근방에, 센서 소자 (23) 에 대한 검지파 IR 의 통과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천공으로부터 차단하는 후드 (17) 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서리 방지용 단차를 갖는 방범용 센서 장치{CRIME PREVENTION SENSOR WITH FROST PROTECTION STEP DIFFERENCE}
본 발명은, 커버에 서리 방지용 단차부를 가지고, 또한, 커버에 있어서의 단차부의 근방 부위에 서리 방지용 후드가 장착된 방범용 센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방범용 센서 장치로서 직선적인 경계 구역의 양단부에, 적외선 빔의 투광부와 수광부를 설치하고, 투광부와 수광부 사이에서 적외선 빔을 투수광하여, 적외선 빔이 인체에 방해되는 것을 검출함으로써 인체를 검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범용 센서 장치에서는, 투광부 및 수광부 각각이 유닛화된 거의 동일한 외관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039043호 참조).
이러한 방범용 센서 장치의 투·수광기의 커버에, 광학 렌즈가 천공 (天空)을 볼 수 없도록, 후드 또는 단차를 설치한 것이 있다. 이로 인해, 커버에 있어서의 광학 렌즈에 대한 광 투과면의 일부는, 온도가 낮은 천공으로부터 차단되어 방사 냉각이 억제되는 결과, 겨울철에 있어서 방사 냉각에 의해 커버의 광 투과면에 서리가 생겨 적외선 빔이 차단되는 것이 방지된다.
발명의 개시
그러나, 이러한 서리 방지 효과를 크게 하려면, 커버로부터의 돌출량이 큰 후드, 또는 단차가 큰 커버를 이용할 필요가 있어, 후드 또는 커버가 커져, 방범용 센서 장치 전체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체 외형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우수한 서리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범용 센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방범용 센서 장치는, 검지파의 송신 또는 수신을 실시하는 센서 소자를 포함하는 소자 유닛이 센서 본체에, 수평 편향각 및 상하 편향각이 조정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센서 본체에 상기 소자 유닛을 덮는 커버가 장착되며, 상기 소자 유닛에 있어서의 상하 편향의 회전 운동 중심이, 상기 소자 유닛의 상하 방향의 중앙부에 대하여 하방 또는 상방으로 편심되어 설정되고, 상기 커버에 있어서의 소자 유닛의 상기 회전 운동 중심이 편심된 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단차부를 개재하여, 다른 부분보다 상기 커버 내방으로 요입된 요입부 (recessed portion) 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 운동 중심의 상방 근방에, 상기 센서 소자에 대한 상기 검지파 통과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천공으로부터 차단하는 후드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소자 유닛의 상하 편향의 회전 운동 중심이 소자 유닛의 상하 방향의 중앙부에 대하여 하방 또는 상방으로 편심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자 유닛을 상하 편향각이 최대가 되는 상태에서 수평 편향각을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변경시켰을 때, 소자 유닛의 회전 운동 궤적이, 회전 운동 중심이 편심된 측의 외단의 수평면 내에서의 회전 운동 궤적이 최소 직경이 되고, 또한, 이와 반대측의 외단의 수평면 내에서의 회전 운동 궤적이 최대 직경이 되어, 상하 방향의 양단부 간의 각각의 회전 운동 궤적 직경의 사이에 차이가 생긴다. 따라서, 소자 유닛을 덮는 커버는, 회전 운동 중심이 편심된 측에 대응하는 부분과, 그 이외의 다른 부분을, 소자 유닛에 있어서의 회전 운동 궤적 최소 직경과 회전 운동 궤적 최대 직경을 각각 포함할 수 있는, 가급적으로 작은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양부분 사이에 소자 유닛의 회전 운동 궤적 최소 직경과 회전 운동 궤적 최대 직경의 차분에 상당하는 큰 단차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후드로서 종래와 동일한 것을 이용해도, 커버의 검지파 통과 영역인 요입부로부터의 돌출량은, 단차부의 치수 분만큼 종래의 센서 장치보다 커진다. 이것에 수반하여, 요입부에 있어서의, 후드에 의해 천공으로부터 차단되는 서리 방지 유효 에어리어의 상하 폭이 커지고, 커버의 서리 방지 효과가 향상되어, 검지파의 커버 통과량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커버에 있어서의 소자 유닛의 상하 편향의 회전 운동 중심이 편심된 측과 반대측의 부분은, 소자 유닛의 최대 궤적 회전 운동 직경에 대응하여 종래의 커버의 외형보다 큰 형상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는데, 소자 유닛의 상하 편향의 각도 범위는 작기 (통상 10˚이하) 때문에, 종래의 커버에 비교하여 아주 조금 커진 외형에 그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체 외형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단차부의 상측의 비요입부 (non-recessed portion) 에 상기 후드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버의 요입부에 있어서의 검지파 통과 영역에서 본 후드의 돌출량이, 후드의 돌출 길이에 단차부의 치수를 가산한 것이 되기 때문에, 커버의 검지파 통과 영역에 설치하는 서리 방지 유효 에어리어의 상하 폭을 확실히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자 유닛이 적외선을 투광 또는 수광하는 상하 한 쌍의 광학계를 가지고, 상기 후드가, 상기 회전 운동 중심의 편심된 측에 위치하는 광학계에 대한 상기 차단을 실시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하 한 쌍의 투광계 또는 수광계 중 적어도 일방의 광학계에 대하여, 서리 발생이 방지되는 서리 방지 유효 에어리어를 크게 하여, 검지파의 커버 통과량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로 타방의 광학계에 대한 상기 차단을 실시하는 추가의 후드를 상기 커버에 설치할 수 있다. 이 추가의 후드는, 커버 전체의 외형 치수를 크게 하지 않도록, 커버에 있어서의 소자 유닛의 회전 운동 중심이 편심된 측에 위치하는 일방의 후드보다, 커버의 검지파 통과 영역으로부터의 돌출량은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돌출량을 작게 해도, 타방의 광학계에 있어서의 커버의 서리 발생에 의한 검지파의 커버 통과량 저하를 어느 정도 억제하여, 일방의 센서 소자에 의한 검출 불량을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한층 명료하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실시 형태 및 도면은 단순한 도시 및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서 이용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진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복수의 도면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호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방범용 센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의 (a) ∼ 2 의 (c) 는 도 1 의 방범용 센서 장치에 있어서의 수광부의 일부 파단한 우측면도 및 동 수광부의 센서 본체에 대한 소자 유닛의 상하 편향각이 상이한 2 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수광부의 커버를 제거한 상태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수광부를 나타내는 요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5 의 (a) ∼ 5 의 (e) 는 도 1 의 수광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우측면도 및 요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6 의 (a) ∼ 6 의 (d) 는 도 1 의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방범용 센서 장치에 있어서의 수광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7 의 (a) ∼ 7 의 (c)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방범용 센서 장치에 있어서의 수광부의 일부 파단한 우측면도 및 센서 본체에 대한 소자 유닛의 상하 편향각이 상이한 2 상태의 우측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방범용 센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방범용 센서 장치는, 직선적인 경계 구역의 양단측의 벽면 또는 폴에 서로의 광축을 일치시켜 서로 대향하는 배치로 형성되는 투광부 (1) 와 수광부 (2) 로 이루어지는 능동형의 적외선 검지 장치이며, 적외선 빔 IR 을 인체의 검지파로서 송수신한다. 투광부 (1) 로부터 투광된 적외선 빔이 인체에 방해되는 것을 수광부 (2) 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인체를 검지한다. 상기 투광부 (1) 및 수광부 (2) 는, 후술한 바와 같이, 모두 유닛화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투광부 (1) 는, 투광측 소자 유닛 (11), 투광 구동 회로 (12), 투광 억제 회로 (13) 및 투광측 커버 개폐 검지 스위치 (14) 를 가지고 있다. 상기 소자 유닛 (11), 투광 구동 회로 (12) 및 투광 억제 회로 (13) 는 각각 복수, 예를 들어 한쌍 설치되어 있지만, 도 1 에서는 하나만을 나타내고 있다. 소자 유닛 (11) 은,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등의 발광 소자 (15) 와 근적외선 같은 적외선 빔 IR 을 형성하기 위한 투광 렌즈 또는 반사 미러와 같은 송신측 광학계 (16) 를 구비하고, 투광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투광 구동 회로 (12) 는, 발광 소자 (15) 를 소정의 주파수로 발광 구동하여 펄스 변조파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빔 IR 을 출사 시킨다. 투광측 커버 개폐 검지 스위치 (14) 는, 후술하는 커버의 센서 본체에 대한 개폐를 검출하는 접촉형 또는 근접형 스위치이다. 투광 억제 회로 (13) 는, 커버 개폐 검지 스위치 (14) 가 커버의 개방을 검출했을 때에, 발광 소자 (15) 로부터 출사되는 적외선 빔이 커버에 의한 감쇠 투과분만큼 저감되는 구동 전력을 발광 소자 (15) 에 대해 공급하도록 투광 구동 회로 (12) 를 제어한다.
한편, 수광부 (2) 에서는, 수신측 소자 유닛 (21) 이, 수광 렌즈 또는 집광 미러와 같은 수신측 광학계 (22) 와 포토 트랜지스터와 같은 수광 소자 (23) 를 구비하여, 수광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수신측 소자 유닛 (21) 은, 투광부 (1) 로부터의 적외선 빔 IR 을 수광하여, 그 적외선 수광량에 따른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이 전기 신호는, 증폭 회로 (24) 에서 증폭된 후, 검파 회로 (25) 에서 외란광 (external disturbance light) 이 제거되어 펄스 변조파에만 의한 수광 신호의 레벨에 따른 신호로 변환되고, 이 신호 레벨이 설정 검지 레벨 이하인지 아닌지가 신호 판별 회로 (26) 에서 판별된다. 투광부 (1) 으로부터의 적외선 빔 IR 이 불법 침입자에 의해 차단되어 수광 신호 레벨이 미리 설정된 검지 레벨 이하가 되었을 때에는, 신호 판별 회로 (26) 로부터 검지 신호가 출력되어 경보 회로 (27) 가 구동되고, 불법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을 알리기 위한 경보 신호가 경보 회로 (27) 로부터,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경비 센터에 출력되게 되어 있다.
또, 검파 회로 (25) 에 접속된 전압계 등의 레벨 미터 (29) 에는, 소자 유닛 (21) 의 적외선 수광량에 비례한 신호 레벨이 표시된다. 게다가, 증폭 회로 (24) 는, 소자 유닛 (21) 으로부터의 수광 신호의 신호 레벨에 따라 AGC 회로 (30) 에 의해 이득 제어되어, 출력이 항상 일정한 신호 레벨 이하가 되도록 제어된다. 소자 유닛 (21), 증폭 회로 (24), 검파 회로 (25), 신호 판별 회로 (26) 및 레벨 미터 (29) 도 각각 복수, 예를 들어 한쌍 설치되어 있지만, 도 1 에서는 하나만을 나타내고 있다. 수광부 (2) 는, 추가로 수광측 커버 개폐 검지 스위치 (31) 와 수광 레벨 억제 회로 (32) 를 가지고 있다. 수광측 커버 개폐 검지 스위치 (31) 는, 후술하는 커버의 센서 본체에 대한 개폐를 검출하는 접촉형 또는 근접형 스위치이다. 수광 레벨 억제 회로 (32) 는, 커버 개폐 검지 스위치 (31) 가 커버의 개방을 검출했을 때에, AGC 회로 (30) 를 통하여 증폭 회로 (24) 의 이득을 낮춤으로써, 증폭 회로 (24) 에 대하여, 소자 유닛 (21) 으로부터의 수광 신호의 신호 레벨을 커버에 의한 감쇠 투과분만큼 저감시켜 증폭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투광부 (1) 및 수광부 (2)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모두 유닛화된 거의 동일한 외관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도 2 의 (a) ∼ 2 의 (c) 로 나타내는 수광부 (2) 를 대표로 하여 설명한다. 이 수광부 (2) 는, 도 2 의 (a) 에 나타내는 벽면이나 폴 등의 설치면 (S) 에 장착되는 수지제의 센서 본체 (41) 와, 이 센서 본체 (41) 의 베이스 (42) 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지제의 커버 (43) 를 가지고 있다.
수광측의 소자 유닛 (21) 은, 수광 렌즈로 이루어지는 상하 한 쌍의 수신측 광학계 (22) 가 유닛 케이스 (45) 에 유지되며, 그 유닛 케이스 (45) 의 내부에, 제 1 회로 기판 (46) 이 장착되어 있고, 각 수신측 광학계 (22) 의 후방에 위치하여 수광 소자 (23) 가 제 1 회로 기판 (46) 에 실장되어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 (42) 에 장착된 제 2 회로 기판 (47) 에는, 도 1 에 나타낸 구성의 센서 회로 (21, 24 ∼ 27, 29 ∼ 32) 가 실장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42) 의 전면측 하부에 고정된 지지 부재 (7) 에는, 도 3 의 정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 자 형상의 유지체 (8)(holder) 가, 연직 방향을 향하는 종축 (9) 의 주위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캔틸레버식으로 지지되고, 그 유지체 (8) 에, 소자 유닛 (21) 이, 도 2(a) 나타내는 수평 방향을 향하는 좌우 한쌍의 횡축 (10) 의 주위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종축 (9) 은 예를 들어 나사체 (도 4) 이며, 횡축 (10) 은 핀이다. 따라서, 소자 유닛 (21) 은, 베이스 (42) 에 대해서 종축 (9) 회전에 유지체 (8) 와 함께 회전 운동함으로써 수평 편향각이 가변 조정되고, 또한, 유지체 (8) 에 대해서 횡축 (10) 주위로 상대 회전 운동함으로써 상하 편향각이 가변 조정되어 그것에 의해, 도 1 의 투광부 (1) 의 소자 유닛 (11) 에 대한 광축 맞춤이 생기게 되어 있다. 이 광축 조정은 후술하는 조준기 (36)(sighting instrument) 를 이용해 실시된다.
상기 소자 유닛 (21) 은, 도 3 의 유닛 케이스 (45) 의 수평 편향의 회전 운동 중심을 형성하는 종축 (9) 이 유지체 (8) 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유닛 케이스 (45) 의 상하 편향의 회전 운동 중심을 형성하는 도 2 의 (a) 의 횡축 (10) 은, 유닛 케이스 (45)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중앙부에 대해 하방으로 편심되어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횡축 (10) 은, 유닛 케이스 (45) 의 상하 방향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었다.
상기 유지체 (8) 에는, 유지체 (8) 를 종축 (9) 의 주위로 회전시켜 소자 유닛 (21) 의 수평 편향각을 조정하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다이얼 (35) 이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체 (8) 의 앞벽 (8a) 에는 조정 나사 (19) 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통과되고, 그 조정 나사 (19) 는, 유닛 케이스 (45) 의 후단부에 하방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된 돌기부 (33) 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 돌기부 (33) 와 유지체 (8) 의 앞벽 (8a) 사이에, 돌기부 (33) 를, 즉 유닛 케이스 (45) 를 후방 (도 4 의 우측) 으로 가압하는 코일상의 스프링체 (34) 가, 조정 나사 (19) 에 삽입·통과되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다이얼 (35) 을 회전 조작하면, 유지체 (8) 와 함께 소자 유닛 (21) 의 수평 편향각을 조정할 수가 있고 또한, 조정 나사 (19) 를 회전 조작하면, 소자 유닛 (21) 의 상하 편향각을 조정할 수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소자 유닛 (21) 의 유닛 케이스 (45) 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중앙부에는, 광축 조정을 실시하기 위한 공지된 조준기 (36)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준기 (36) 는, 조준기 케이스 (37) 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엿보기 창 (38)(viewing window) 과, 앞측 정면의 좌우에 설치된 한쌍의 조준 구멍 (39) 과, 조준기 케이스 (37) 내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반사 미러 (도시 생략)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조준기 (36) 는, 커버 (43) 를 개방한 상태에서, 엿보기 창 (38) 으로부터 들여다 보면서 다이얼 (35) 또는 조정 나사 (19) 를 수동 조작하여 소자 유닛 (21) 의 수평 편향각 또는 상하 편향각을 조정하고, 상기 반사 미러에 비치는 도 1 의 투광부 (1) 의 소자 유닛 (11) 의 이미지와 도 3 의 조준 구멍 (39) 이 겹치도록 조작함으로써, 광축의 대략적인 조정을 실시하게 되어 있다. 이 대략적인 조정에 이어, 레벨 미터 (29) (도 1) 의 표시를 보면서 표시 레벨이 최대치가 되도록, 도 3 의 다이얼 (35) 및 조정 나사 (19) 를 조정하여 광축의 미세 조정을 실시하고, 도 1 의 레벨 미터 (29) 의 표시가 소정 레벨 이상이 될 때까지, 즉 수광부 (2) 의 광축이 투광부 (1) 에 정확하게 일치할 때까지, 투광부 (1) 및 수광부 (2) 의 광축 조정을 필요에 따라 복수회 반복한다. 또한, 투광부 (1) 도 상기 서술한 수광부 (2) 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 2 의 (a) 에 나타내는 커버 (43) 에는, 소자 유닛 (21) 의 상하 방향의 중앙부에 대향하는 부분에 단차부 (44) 가 형성되고, 그 상방에 비요입부 (55) 가, 하방에 요입부 (56)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소자 유닛 (21) 의 상하 편향의 회전 운동 중심인 횡축 (10) 이 소자 유닛 (21) 의 중앙부에 대해서 편심된 하방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단차부 (44) 를 개재하여, 다른 비요입부 (55) 보다 커버 (43) 내방으로 요입된 요입부 (56)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 (43) 에는, 상기 단차부 (44) 보다 상방측의 비요입부 (55) 에 있어서의 단차부 (44) 의 근방 지점에, 후드 (17) 가 비요입부 (55) 의 외주면에 끼워져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다. 이 단차부 (44) 와 후드 (17) 는, 겨울철에 있어서 커버 (43) 의 표면으로부터 기온이 낮은 천공을 향하여 열이 방출되는 방사 냉각에 의해 커버 (43) 의 광 투과면에 서리가 생겨 적외선 빔 IR 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커버 (43) 의 광 투과면 (검지파인 적외선 빔 IR 의 통과 영역) 의 일부를 온도가 낮은 천공으로부터 차단하여 방사 냉각을 억제한다.
상기 소자 유닛 (21) 은, 상하 한 쌍씩의 광학계 (22) 와 수광 소자 (23) 를 가지고 있지만, 적어도 일방측의 광학계 (22) 와 수광 소자 (23) 에 대한 적외선 빔 IR 의 커버 통과량을 인체 검지용의 필요한 값으로 확보하면, 인체 검지의 기능상 문제가 없다. 바꿔 말하면, 커버 (43) 에 있어서의 2개의 광학계 (22) 중 적어도 일방에 대응하는 광 투과면의 일부에 대한 서리 발생으로 인한 적외선 빔 IR 의 차단을 방지하도록 하면 된다. 그래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하방의 광학계 (22) 에 대해서만 단차부 (44) 와 후드 (17) 에 의한 서리 방지 수단을 설치하고, 이 서리 방지 수단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수광부 (2) 는, 종축 (9) 을 회전 운동 중심으로 하는 수평 편향각의 가변 범위가 180˚로, 또한, 도 2 의 (b), 도 2 의 (c) 로 나타내는 횡축 (10) 을 회전 운동 중심으로 하는 상하 편향각 (θV) 의 가변 범위가 5˚이하로 각각 설정되어 있다. 도 2 의 (b) 는, 소자 유닛 (21) 이 하향이 되는 방향으로 상하 편향각 (θV) 이 최대가 될 때까지 회전 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도 2 의 (c) 는, 소자 유닛 (21) 이 상향이 되는 방향으로 상하 편향각 (θV) 이 최대가 될 때까지 회전 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의 (b) 또는 (c) 의 어느 일방의 상태에서 수평 편향각을 180˚변경시키는 경우에도, 상하 편향각 (θV) 의 회전 운동 중심인 횡축 (10) 이 하방으로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종축 (9) 을 중심으로 하는 유닛 케이스 (45) 의 상단 외형부의 회전 운동 궤적과 하단 외형부의 각각의 회전 운동 궤적의 직경이 상이하다. 즉, 소자 유닛 (21) 을 상기 상태에서 수평 편향각을 180˚변경시켰을 경우에는, 유닛 케이스 (45) 에 있어서의 상단 외형부의 회전 운동 궤적의 직경이 소자 유닛 (21) 의 회전 운동 궤적 최대 직경 (D1) 이 되고, 또한, 유닛 케이스 (45) 에 있어서의 하단 외형부의 회전 운동 궤적의 직경이 소자 유닛 (21) 의 회전 운동 궤적 최소 직경 (D2) 가 된다.
유닛 케이스 (45) 의 상단 외형부의 회전 운동 궤적의 회전 운동 궤적 최대 직경 (D1) 은, 상하 편향각의 회전 운동 중심인 횡축 (10) 을 소자 유닛 (21) 의 상하 방향의 중앙부로 설정한 종래 경우의 유닛 케이스 (45) 의 상단 외형부 및 하단 외형부의 회전 운동 궤적의 직경보다 커지지만, 상하 편향각 (θV) 의 가변 범위가 5˚이하이기 때문에, 종래의 회전 운동 궤적의 직경에 대해 미소하게 커질 뿐이다. 한편, 유닛 케이스 (45) 의 하단 외형부의 회전 운동 궤적 최소 직경 (D2) 은, 상하 편향각 (θV) 의 회전 운동 중심인 횡축 (10) 이 유닛 케이스 (45) 의 상하 방향의 중앙부보다 하방으로 편심된 분만큼, 종래의 회전 운동 궤적의 직경보다 작아진다.
도 5 의 (a) ∼ 도 5 의 (e) 는 수광부 (2) 를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저면도, 우측면도 및 요부의 종단면도이고, 동 도면에 있어서, 커버 (43) 에 있어서의 후드 (17) 의 설치 부위보다 상방 비요입부 (55) 는, 유닛 케이스 (45) 의 상단 외형부의 회전 운동 궤적 최대 직경 (D1) 을 포함할 수 있는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운동 궤적 최대 직경 (D1) 이 종래의 센서 장치의 회전 운동 궤적의 직경보다 미소하게 커질 뿐이므로, 상기 비요입부 (55) 의 외형은 종래의 센서 장치의 커버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43) 의 비요입부 (55) 의 외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착되는 후드 (17) 는, 기존의 것과 거의 동일한 치수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 방 범용 센서 장치는, 종래의 센서 장치와 비교하여 전체 형상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는다. 후드 (17) 는, 커버 (43) 보다 외방으로 돌출하는 차양부 (17a) 와 장착부 (17b) 를 가지고, 도 5 의 (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43) 의 비요입부 (55) 의 외면에 약간 요입되어 형성된 끼움부 (55a) 에 장착부 (17b) 가 끼워져, 예를 들어 접착제로 고정된다.
한편, 커버 (43) 에 있어서의 후드 (17) 의 장착 부위보다 하방의 요입부 (56) 는, 도 2 의 (b) 의 유닛 케이스 (45) 의 하단 외형부의 회전 운동 궤적 최소 직경 (D2) 이 종래의 센서 장치의 회전 운동 궤적의 직경보다 작아진 분만큼 외형이 작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2 의 (a) 의 커버 (43) 의 단차부 (44) 는, 비요입부 (55) 와 요입부 (56) 의 치수차에 합치한 큰 것으로 되어 있다. 그 결과, 도 5 의 (d) 에 나타내는 커버 (43) 의 광 투과면으로부터의 후드 (17) 의 차양부 (17 a) 의 돌출량 (P1) 은, 종래와 거의 동형상의 후드 (17) 를 이용했을 경우에, 단차부 (44) 의 치수 분만큼 커지고, 이것에 수반하여, 커버 (43) 의 광 투과면에 있어서의 후드 (17) 의 차양부 (17a) 에 의해 천공에 대하여 그림자가 되는 서리 방지 유효 에어리어의 상하 폭 (A) 이 커져, 서리 방지 효과가 향상된다. 이로 인해, 이 방범용 센서 장치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전체 외형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면서도, 커버 (43) 의 광 투과면의 일부에 대한 서리 발생을 방지하여 상하 한쌍 중 하방의 광학계 (22) 에 대한 적외선 빔 IR 의 커버 통과량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6 은 상기 제 1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동 도면에 있어서, 도 5 와 동일 또는 상당하는 것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동 도면의 예에서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커버 (43) 에 있어서의 하방의 광학계 (22) 에 대한 적외선 빔 IR 의 광 투과면의 상부를 천공으로부터 차단하는 후드 (17) 를 설치한 것에 추가하여, 커버 (43) 에 있어서의 상방의 광학계 (22) 에 대한 적외선 빔 IR 의 광 투과면의 상부를 천공으로부터 차단하는 추가의 후드 (17A) 를 설치하고 있다. 이 추가의 후드 (17A) 로는, 하방의 후드 (17) 와 동일 치수의 것이 사용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상방의 후드 (17A) 의 커버 (43) 로부터의 돌출량 (P2) 은 종래의 센서 장치와 동일하기 때문에, 커버 (43) 에 있어서의 상방의 광학계 (22) 에 대한 적외선 빔 IR 의 광 투과면에 형성되는 서리 방지 유효 에어리어의 상하 폭 (A2) 도, 종래의 센서 장치와 동일해진다. 그러나, 이 추가의 후드 (17A) 에 의해, 상방의 수광 소자 (23) 에 대한 적외선 빔 IR 의 커버 통과량 저하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한층 더 검출 불량을 보완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동 도면 (a) ∼ (c) 는 도 2 의 (a) ∼ 도 2 의 (c) 에 대응하고 있어, 도 2 와 동일 또는 상당한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상하 편향각 (θV) 의 회전 운동 중심인 횡축 (10) 을 소자 유닛 (21) 의 중앙부에 대해 하방으로 편심된 위치에 설치한 것에 대하여,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하 편향각 (θV) 의 회전 운동 중심인 횡축 (10) 을 소자 유닛 (21) 의 중앙부에 대해 상방측에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양만큼 편심된 위치에 설치하고, 상방의 광학계 (22) 에 대응하는 커버 (43A) 의 광 투과면의 일부분을 후드 (17) 에 의해 천공으로부터 차단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수반하여, 커버 (43A) 는, 요입부 (56) 가 상방의 광학계 (22) 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의 중앙 부분에 설치되고, 또한, 이 요입부 (56) 의 상하 양측에 비요입부 (55) 가 설치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방범용 센서 장치에 있어서도, 제 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소자 유닛 (21) 의 지지 형태 및 커버 (43A) 의 형상이 상이할 뿐이고,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 (43) 에 있어서의 하방의 광학계 (22) 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한 서리 발생을 방지하고 있는 것에 대해, 이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 (43A) 에 있어서의 상방의 광학계 (22) 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한 서리 발생을 방지하고 있는 구성이 상이할 뿐, 비요입부 (55) 의 외형을 종래의 센서 장치의 커버와 거의 동일한 치수로 설정할 수 있고, 또한, 후드 (17) 로서 기존의 것과 동일한 치수의 것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 형상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치수의 단차부 (44) 를 형성하여,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서리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방범용 센서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수광부 (2) 외에, 도 1 의 투광부 (1) 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 이외에, 원적외선을 검지하는 수동형의 적외선 검지기, 또는, 이들 능동형과 수동형의 복합 검지 기술을 사용한 방범용 센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당업자이면, 본건 명세서를 보고,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 및 수정을 용이 하게 상정할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경 및 수정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로부터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으로 해석된다.

Claims (4)

  1. 검지파의 송신 또는 수신을 실시하는 센서 소자를 포함하는 소자 유닛 (15, 23) 이 센서 본체 (41) 에, 조정 수단을 통하여 횡축 및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수평 편향각 및 상하 편향각이 조정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센서 본체에 상기 소자 유닛을 덮는 커버가 장착되며,
    상하 운동을 위한 횡축 (10) 을 소자 유닛 (15, 23) 상하방향의 중앙부에 대하여 하방 또는 상방에 설치하여, 상기 소자 유닛에 있어서의 상하 편향의 회전 운동 중심 (10) 이, 상기 소자 유닛 (15, 23) 의 상하 방향의 중앙부에 대하여 하방 또는 상방으로 편심되어 설정되고,
    상기 커버에 있어서의 소자 유닛의 상기 회전 운동 중심이 편심된 측에 대응하는 부분에, 단차부를 개재하여, 다른 부분보다 상기 커버 내방으로 요입된 요입부 (凹入部) 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 운동 중심의 상방 근방에, 상기 센서 소자에 대한 상기 검지파 통과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를 천공으로부터 차단하는 후드가 설치되어 있는 방범용 센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단차부 상측의 비요입부에 상기 후드가 지지되어 있는 방범용 센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파는 적외선이고, 상기 소자 유닛이 적외선을 투광 또는 수광하는 상하 한 쌍의 광학계를 가지며, 상기 후드가, 상기 회전 운동 중심의 편심된 측에 위치하는 광학계에 대한 상기 차단을 실시하는 방범용 센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추가로, 타방의 광학계에 대한 상기 차단을 실시하는 추가의 후드가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있는 방범용 센서 장치.
KR1020077024968A 2005-03-30 2006-03-29 서리 방지용 단차를 갖는 방범용 센서 장치 KR1009371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96899 2005-03-30
JPJP-P-2005-00096899 2005-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671A KR20070118671A (ko) 2007-12-17
KR100937122B1 true KR100937122B1 (ko) 2010-01-18

Family

ID=37073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968A KR100937122B1 (ko) 2005-03-30 2006-03-29 서리 방지용 단차를 갖는 방범용 센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33067B2 (ko)
EP (1) EP1868171B1 (ko)
JP (1) JP4748736B2 (ko)
KR (1) KR100937122B1 (ko)
CN (1) CN100527177C (ko)
WO (1) WO20061067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6292B (en) * 2009-12-18 2015-02-11 Applied Concepts Ltd Intruder deterrent systems
JP5824701B2 (ja) * 2011-11-10 2015-11-25 オプテックス株式会社 物体検出装置に使用する自動角度調整ユニット
EP3521814B1 (en) * 2016-09-30 2022-08-03 Rigaku Corporation Wavelength-dispersive 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 and x-ray fluorescence analysing method using the same
FR3087930B1 (fr) * 2018-10-29 2020-12-25 Jesus Jimenez Element pour barriere infrarouge reduisant la formation de givre
CN114387749A (zh) * 2021-12-30 2022-04-22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入侵探测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338U (ja) * 1991-07-11 1993-01-29 セルコ株式会社 赤外線送受光装置
JPH1039043A (ja) 1996-07-23 1998-02-13 Opt Kk 照準器付きの防犯センサ
JP2789582B2 (ja) * 1987-06-16 1998-08-20 松下電工株式会社 赤外線防犯検知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1814B2 (ja) * 1978-06-19 1984-08-04 オムロン株式会社 反射形光電スイッチ
US4347438A (en) * 1979-01-22 1982-08-31 Richard Spielman Light transceiver device
US4626683A (en) * 1982-11-12 1986-12-02 Eaton Corporation Through-beam optical detector system with alignment aid
JPS60134183U (ja) * 1984-02-16 1985-09-06 オ−テツク電子株式会社 赤外線警戒装置
US4650989A (en) * 1985-01-04 1987-03-17 Cerberus Ag Alignment apparatus for photoelectric intrusion detector system
JPH0445110Y2 (ko) * 1985-05-30 1992-10-23
JPH02122380U (ko) * 1989-03-22 1990-10-05
JPH04161831A (ja) * 1990-10-26 1992-06-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赤外線ビーム式検知器
JPH08171679A (ja) 1994-12-16 1996-07-02 Atsumi Electron Corp Ltd 赤外線ビームセンサ
JP4686699B2 (ja) * 2001-09-26 2011-05-25 オプテックス株式会社 防犯用センサ装置
JP3896406B2 (ja) * 2002-04-11 2007-03-22 オプテックス株式会社 防犯用センサ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9582B2 (ja) * 1987-06-16 1998-08-20 松下電工株式会社 赤外線防犯検知器
JPH056338U (ja) * 1991-07-11 1993-01-29 セルコ株式会社 赤外線送受光装置
JPH1039043A (ja) 1996-07-23 1998-02-13 Opt Kk 照準器付きの防犯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68171A1 (en) 2007-12-19
EP1868171A4 (en) 2011-09-07
JP4748736B2 (ja) 2011-08-17
KR20070118671A (ko) 2007-12-17
US20090059483A1 (en) 2009-03-05
JPWO2006106732A1 (ja) 2008-09-11
WO2006106732A1 (ja) 2006-10-12
CN1942908A (zh) 2007-04-04
EP1868171B1 (en) 2019-01-02
US7633067B2 (en) 2009-12-15
CN100527177C (zh) 200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122B1 (ko) 서리 방지용 단차를 갖는 방범용 센서 장치
JP6175835B2 (ja) レーザレーダ装置
US5103346A (en) Detector with 180 detecting range
ES2413556T3 (es) Contacto de puerta óptico de alta seguridad
KR101916965B1 (ko) 육안 조준기 및 육안 조준기를 구비한 방범 센서
JP3896406B2 (ja) 防犯用センサ装置
JP4686699B2 (ja) 防犯用センサ装置
JP4761340B2 (ja) 防犯用センサ装置
KR100470235B1 (ko) 광전자 스모크 센서용 광 투사 장치
EP1615053B1 (en) Radiation barrier element
JP2006309743A (ja) カバー開閉検知スイッチを備えた防犯用センサ装置
JP3004867U (ja) 自動ドア用物体検知装置
JP6755450B2 (ja) 対向型電波センサーの照準器
JP4010480B2 (ja) 多光軸光電センサ
JP7386415B2 (ja) 光線式検知装置
JP2005049206A (ja) 照準器および赤外線式防犯装置
JP4089660B2 (ja) 防犯検知装置
JP4660707B2 (ja) 防犯用センサ装置
JP2006309746A (ja) モニタ出力部を改善した防犯用センサ装置
KR100388444B1 (ko) 적외선 감지기
JP2017150826A (ja) 物体検知装置
KR20000015100U (ko) 티브이 안테나 부착형 초음파 센서
JP2005235129A (ja) 防犯用検知ユニット
JPH02297827A (ja) 光電スイッチ
JPH0843149A (ja) 赤外線ビームセンサの防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