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965B1 - 육안 조준기 및 육안 조준기를 구비한 방범 센서 - Google Patents

육안 조준기 및 육안 조준기를 구비한 방범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965B1
KR101916965B1 KR1020120126686A KR20120126686A KR101916965B1 KR 101916965 B1 KR101916965 B1 KR 101916965B1 KR 1020120126686 A KR1020120126686 A KR 1020120126686A KR 20120126686 A KR20120126686 A KR 20120126686A KR 101916965 B1 KR101916965 B1 KR 101916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er
microlens
axis
objective lens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1903A (ko
Inventor
히로유키 이케다
마타이치 구라타
Original Assignee
오프텍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프텍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프텍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1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1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act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83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act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by interruption of a radiation beam or barri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3/00Manufacturing, calibrating, cleaning, or repairing instruments or devices covered by groups G01V1/00 – G01V1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02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involving prisms or mirr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3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focusing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 G08B29/20Calibration, including self-calibrating arrangements
    • G08B29/22Provisions facilitating manual calibration, e.g. input or output provisions for testing; Holding of intermittent values to permit measur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phys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scope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조준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자가 적절한 방향으로부터 육안 조준기를 들여다보는 것을 용이하게 가능하게 하는 육안 조준기를 제공한다. 마이크로 렌즈가 설치된 접안 렌즈와, 접안 렌즈의 시야에 포함되는 제 1 마커가 형성된 대물 렌즈와, 접안 렌즈 및 대물 렌즈 사이의 광로에 배치된 반사 미러를 구비하고, 제 1 마커는, 원 또는 다각형의 윤곽선으로 이루어지고, 시축이 허용 범위로부터 벗어나면 마이크로 렌즈의 시야로부터 벗어나 일부분이 결락되어 시인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육안 조준기 및 육안 조준기를 구비한 방범 센서{SIGHTING DEVICE AND SECURITY SENSOR SYSTEM UTILIZING SUCH SIGHTING DEVICE}
본 출원은, 2011년 11월 1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1-246387 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그 전체를 참조에 의해 본원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인용한다.
본 발명은, 송신기에서 수신기로 송신된 검지선의 차단에 의해 침입자 등을 검지하는 방범 센서에 설치되는 육안 조준기, 및 이 육안 조준기를 구비한 방범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능동형 방범용 센서 장치는, 직선적인 경계 구역의 양 단부에, 적외선 투광부의 투광기와 적외선 수광부의 수광기가, 이들의 광축을 일치시킨 배치로 설치되어 있고, 직선적인 근거리에서 수백 m 의 장거리까지의 경계 구역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장거리가 될수록, 투광기와 수광기 사이에서의 광축을 정확하게 일치시키기 어렵다. 그래서, 종래의 방범용 센서 장치에는, 도 13a 및 1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조준기가 투광기 및 수광기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센서 장치의 설치 또는 메인터넌스에 있어서는 상기 조준기에 따라 광축을 맞추게 되어 있다.
이 조준기 (50) 는, 1 쌍의 접안창 (51) 과, 1 쌍의 대물창 (52) 과, 양 창 (51, 52) 사이에서 조준축 (56) 상에 배치된 1 쌍의 조준 미러 (53)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투광기의 조준기에 있어서의 조준 이미지는 수광기이고, 수광기의 조준기에 있어서의 조준 이미지는 투광기이기 때문에, 투광기와 수광기의 광축이 일치하면, 조준축은 이 광축과 일치하여, 투광기와 수광기가 정확하게 대향하여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도 1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조준기 (50) 를 사용한 광축 조정에서는, 좌우의 어느 일방의 접안창 (51) 을 작업자가 일방의 눈 (60) 으로 들여다보면서, 다이얼이나 조정 나사를 조작하여 투광기 또는 수광기의 방향을 상하 좌우로 움직여, 조준 미러 (53) 에 비치는 수광기 또는 투광기의 이미지가 대물창 (52) 의 중앙에 오도록 조정한다. 그러나, 도 1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정을 실시하는 작업자가 접안창 (51) 을 정면으로부터가 아닌 경사 방향으로부터 들여다보았을 경우, 시축 (55) 이 조준축 (56) (즉, 대향하는 투광기 또는 수광기로부터 연장되는 축) 에 대해 어긋나 버린다. 이와 같이 시축 (55) 과 조준축 (56) 이 어긋난 상태에서 광축 조정이 행해지면, 정확하게 광축이 조정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광축 조정을 실시하는 작업자는, 그 시축 (55) 을 가능한 한 조준축 (56) 에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접안창 (51) 을 들여다보는 작업자의 눈을 적절하게 위치시켜 시축과 조준축을 일치시키기 위해서, 조준기 (50) 의 외측을 향하여 접안창 (51) 으로부터 연장된 관측통을 설치한 것이 존재한다. 그러나, 넓은 시야를 취하기 위해서 접안창 (51) 을 크게 하면, 관측통의 조준기로부터의 돌출 길이가 길어져, 이 조준기를 구비한 방범 센서 취급이 곤란해짐과 함께, 볼품도 나쁘다.
한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8-248479호에는, 방범 센서가 아니라, 카메라의 파인더 장치에 있어서, 파인더 화면의 중심을 나타내는 타깃 마크가 대물 렌즈에 형성되고, 접안 렌즈에 마이크로 렌즈가 장착된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파인더 장치에 의하면, 파인더 화면의 중심을 나타내는 타깃 마크가 마이크로 렌즈를 통해 피사체 이미지와 함께 선명하게 관찰된다.
그러나, 카메라의 파인더 장치에 있어서의 타깃 마크는, 피사체 이미지를 파인더 화면의 중심에 합치시키는 것이다. 그 때문에, 마이크로 렌즈를 들여다보는 사람의 시축을 조정하여 마이크로 렌즈의 정면에 안구를 위치시킬 필요성은, 이와 같은 파인더 장치에는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본 발명은, 방범 센서에 설치되는 육안 조준기에, 마이크로 렌즈 및 타깃 마크를 적용하여, 당해 타깃 마크를 조준축과 시축을 합치시키기 위한 축 일치 마커로서 사용함으로써, 조준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자가 적절한 방향으로부터 육안 조준기를 들여다보는 것을 용이하게 가능하게 하는 육안 조준기, 및 이 육안 조준기를 구비한 방범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구성에 관련된 방범 센서에 있어서의, 검지파의 송신기 및 수신기의 각각의 송신 방향 및 수신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육안 조준기는, 마이크로 렌즈가 설치된 접안 렌즈와, 상기 접안 렌즈의 시야에 포함되는 제 1 마커가 형성된 대물 렌즈와, 상기 접안 렌즈 및 상기 대물 렌즈 사이의 광로에 배치된 반사 미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마커는, 원 또는 다각형의 윤곽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를 들여다보는 눈의 시축이 허용 범위로부터 벗어나면, 상기 제 1 마커의 상기 마이크로 렌즈에 의해 확대된 이미지가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시야로부터 벗어나 일부분이 결락되어 시인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 렌즈」는, 볼록 렌즈로서, 대상물을 확대하여 육안 관찰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렌즈이다.
「윤곽선」은, 어떠한 형상의 윤곽을 나타내는 선인데, 실선일 필요는 없다. 즉, 윤곽선은 복수의 절단된 지점을 가져도 되고, 윤곽선에는, 윤곽이 이루는 형상을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간헐적인 복수의 윤곽선부로 구성되는 것도 포함된다.
「시축」은, 당해 육안 조준기를 들여다보고 송신기의 송신 방향 및 수신기의 수신 방향의 조정, 요컨대 조준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자의 편방의 눈의 시축을 가리킨다.
「시축이 허용 범위로부터 벗어나는」이란, 조준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자의 시축의 위치가 적절하지 않았기 때문에, 방범 센서의 운용 중에 송신기로부터 검지파를 수신기에서 수신할 수 없는 것을 말한다. 즉, 비록 시축이 조준축과 일치하고 있지 않아도, 그러한 시축에 의한 조정의 결과, 송신기로부터의 검지파를 수신기에서 수신할 수 있다면, 시축은 「허용 범위」에 포함되게 된다. 또한, 「투광기로부터의 검지파를 수광기에서 수신할 수 있는」이란, 당해 방범 센서에 수신 레벨을 감시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감시 수단에 의해 수신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가리키는 데에 반해, 그러한 감시 수단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방범 센서마다 설정되어 있는 감도 여유의 범위 내인 것을 가리킨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시축이 허용 범위로부터 벗어나면, 대물 렌즈에 형성된 제 1 마커가 마이크로 렌즈의 시야로부터 벗어나 일부분이 결락되어 시인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당해 육안 조준기를 사용하여 조준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자가 이 제 1 마커의 전체를 시인할 수 있도록 눈의 위치, 요컨대 마이크로 렌즈를 들여다보는 방향을 조절하면, 용이하게 시축을 허용 범위 내로 넣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대물 렌즈에 형성된 제 1 마커가 축 일치 마커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조준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자는 적절한 방향으로부터 육안 조준기를 들여다보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육안 조준기를 사용하여 조준 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자의 편방의 눈의 시축이 허용 범위 내로 들어간 상태에서 이 작업자가 조준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송신기의 송신 방향과 수신기의 수신 방향의 어긋남을 허용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이 조준 작업이 행해지면, 방범 센서의 작동시에, 송신기로부터의 검지파를 수신기에서 반드시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 마커의 상기 윤곽선의 제 1 외접원의 중심은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광축 상에 위치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광축 상의 일점으로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에 의해 확대된 상기 마커의 허상의 명시 거리에 위치하는 명시 위치와, 상기 제 1 외접원의 원주를 연결하는 제 1 원추 측면이, 상기 명시 위치로부터 상기 마이크로 렌즈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대물 렌즈 상의 시야의 원주상의 외부 가장자리와, 상기 명시 위치를 연결하는 제 2 원추 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Δθ ≤ θo/2 를 만족한다. 단, Δθ 는, 상기 제 2 원추 측면의 모선과 상기 광축이 이루는 각도 (제 2 각도) 와, 상기 제 1 원추 측면의 모선과 상기 광축이 이루는 각도 (제 1 각도) 의 차이고, θo 는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검지파의 확대 각도이다.
여기서, 제 1 마커의 윤곽선이 원주인 경우, 요컨대 연속 또는 불연속 원의 윤곽선인 경우, 「제 1 마커의 윤곽선의 외접원」은, 그 원 자체를 가리킨다.
「명시 거리」는 정상적인 눈의 근점 거리로서, 대상물로부터 약 250 ㎜ 이다. 「마이크로 렌즈에 의해 확대된 마커의 허상의 명시 거리」도, 이 허상으로부터 약 250 ㎜ 이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대물 렌즈에 형성된 제 1 마커의 외접원으로부터 연장된 제 1 원추 측면이 마이크로 렌즈에 의해 얻어지는 대물 렌즈 상의 시야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된 제 2 원추 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하므로, 명시 위치 또는 그 근방에 눈을 위치시킨 작업자가 마이크로 렌즈를 들여다보면, 제 1 마커는 마이크로 렌즈에 의한 시야 내에 들어간다. 한편, 제 2 원추 측면의 모선과 광축이 이루는 각도 (제 2 각도) 와, 제 1 원추 측면의 모선과 광축이 이루는 각도 (제 1 각도) 의 차 Δθ 가 검지파의 확대 각도 θo 의 1/2 이하이기 때문에, 명시 위치 또는 그 근방에 눈을 위치시킨 작업자가 마이크로 렌즈를 들여다보고 시인하는 제 1 마커는, 마이크로 렌즈에 의한 시야 내의 영역의 어느 정도의 비율을 점유한다. 이 때문에, 시축이 조준축으로부터 어느 정도 벗어나기 시작하여, 제 1 마커는 마이크로 렌즈에 의한 대물 렌즈 상의 시야 범위 내로부터 비어져 나와 일부가 결락되게 된다.
이것은, 제 1 마커가, 시야 내에 들어가고 또한 시야에 거의 동등한 크기이면, 작업자의 눈이 명시 위치로부터 멀어져 시축이 벗어나면, 곧바로 제 1 마커가 시야로부터 벗어나 일부분이 결락되어 시인되는데, 비록, 제 1 마커가 시야보다 작기 때문에 작업자의 눈이 명시 위치로부터 멀어져 시축이 어느 정도 어긋날 때까지 제 1 마커의 일부분의 결락이 시인되지 않는다고 해도, 검지파의 확대 범위를 초과하면, 시축의 어긋남이 인식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크기가 제한된 제 1 마커는, 시축이 허용 범위로부터 벗어나면 마이크로 렌즈의 시야로부터 벗어나 일부분이 결락되는 것과 같은 크기이기 때문에, 시축과 조준축을 일치시키기 위한 축 일치 마커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시축과 조준축을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시축을 조정함으로써, 조준축에 대한 시축의 어긋남을 허용 범위 내로 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물 렌즈에는, 상기 제 1 마커의 중심을 나타내는 제 2 마커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마커에 의해, 조준 작업에 유용한 중심이 나타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마커는 직선으로 이루어지고, 당해 직선은 상기 윤곽선으로부터 그 중심을 향해 연장되고, 또한 상기 윤곽선의 중심에는 도달하지 않는 길이의 3 개 이상의 선부로 이루어진다. 이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선부에 의해, 조준 작업에 유용한 중심이 나타나는 한편, 이들 선부의 길이는 윤곽선의 중심에는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윤곽선의 중심 부분의 대물 렌즈는 투명한 상태이고, 이들 선부는, 작업자가 조준을 볼 때의 방해는 되지 않는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검지파는 광이고,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는 각각 투광기 및 수광기이며,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의 각각의 송신 방향 및 수신 방향의 조정은, 상기 투광기와 상기 수광기의 광축 맞춤이다. 이와 같이 검지파가 광인 경우, 적외선 빔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검지파는, 광 이외에도 전파여도 되고, 마이크로파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검지파는, 또, 레이저여도 된다. 상기 검지파는, 또한 초음파여도 된다.
본 발명의 일 구성에 관련된, 송신기 및 수신기를 구비한 방범 센서는, 상기 육안 조준기를 구비한다.
청구 범위 및/또는 명세서 및/또는 도면에 개시된 적어도 2 개의 구성의 어떠한 조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특히, 청구 범위의 각 청구항의 2 개 이상의 어떠한 조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고로 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실시형태 및 도면은 단순한 도시 및 설명을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서 이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하는 청구 범위에 따라 정해진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복수의 도면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품 부호는 동일 부분을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준기가 적용되는 방범 센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준기가 장착된 수광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조준기를 나타내는 개략 횡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3 의 조준기에 설치된 접안 렌즈를 조준기의 내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6 은 도 3 의 조준기에 설치된 대물 렌즈를 조준기의 내측에서 본 정면도로서, 대물 렌즈에 형성된 마커 집합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도 3 의 조준기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조준기의 구성에 대응한 모식도이다.
도 9 는 도 3 의 조준기의 대물 렌즈에 형성된 축 일치 마커로서, 축 일치 마커의 크기가 시야의 외부 가장자리에 거의 동등한 경우에 있어서의 축 일치 마커의 시인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는 도 3 의 조준기의 대물 렌즈에 형성된 축 일치 마커로서, 축 일치 마커의 크기가 시야의 외부 가장자리보다 상당히 작은 경우에 있어서의 축 일치 마커의 시인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축 일치 마커의 전체가 시인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 는 도 3 의 조준기의 대물 렌즈에 형성된 축 일치 마커로서, 축 일치 마커의 크기가 시야의 외부 가장자리보다 상당히 작은 경우에 있어서의 축 일치 마커의 시인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축 일치 마커의 일부가 누락되어 시인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도 3 의 조준기에 설치된 대물 렌즈를 조준기의 내측에서 본 정면도로서, 도 6 의 마커 집합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도 3 의 조준기에 설치된 대물 렌즈를 조준기의 내측에서 본 정면도로서, 도 6 의 마커 집합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 는 종래의 조준기를 사용한 광축 조정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횡단면도이다.
도 13b 는 도 13a 의 조준기를 사용한, 광축 조정의 다른 모습을 나타내는 개 대략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준기가 적용되는 방범용 센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이 방범용 센서 장치 (S) 는, 예를 들어 200 m 이상의 직선적인 경계 구역의 양 단부의 벽면 또는 폴에 광축을 일치시켜 서로 대향하는 배치로 설치되는 투광부 (1) 와 수광부 (8) 로 이루어지고, 투광부 (1) 및 수광부 (8) 는 모두 유닛화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투광부 (1) 는 투광기 (2) 및 투광기 구동 회로 (3) 를 가지고 있고, 이 투광기 (2) 및 투광기 구동 회로 (3)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1 쌍 형성되어 있는데, 도 1 에서는 1 개만을 나타내고 있다. 투광기 (2) 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투광 소자와, 이 투광 소자로부터 발생한 적외선을 반사시켜 일정 방향을 향하는 근적외선과 같은 적외선 빔 (IR) 으로서 출사하는 출사 미러를 구비하고 있다. 투광기 구동 회로 (3) 는 투광기 (2) 의 투광 소자를 소정의 주파수로 발광 구동시켜 펄스 변조파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빔 (IR) 을 출사시킨다. 이 적외선 빔 (IR) 의 확대 각도, 요컨대 검지파의 확대 각도를 θo 로 한다.
한편, 수광부 (8) 에서는, 집광 미러와 포토 트랜지스터 등의 수광 소자를 구비한 수광기 (9) 가, 투광부 (1) 로부터의 적외선 빔 (IR) 을 수광하여, 그 적외선 수광량에 따른 신호 레벨의 전기 신호를 출력하고, 이 전기 신호가 증폭 회로 (10) 에서 증폭된 후에, 검파 회로 (11) 에서 외란광을 제거하여 펄스 변조파에만 의한 수광 신호의 레벨에 따른 신호로 변환되어, 이 신호 레벨이 미리 설정된 침입 검지 레벨 이하인지의 여부를 신호 판별 회로 (12) 에서 판별한다. 신호 판별 회로 (12) 는, 투광부 (1) 로부터의 적외선 빔 (IR) 이 불법 침입자에 의해 차단되어 수광 신호 레벨이 미리 설정된 침입 검지 레벨 이하인 것으로 판별했을 때에,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경보 회로 (13) 는, 신호 판별 회로 (12) 로부터 검지 신호가 입력됨으로써 구동되어, 불법 침입자가 존재하는 것을 알리기 위한 경보 신호를,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경비 센터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수광부 (8) 의 검파 회로 (11) 에는 전압계와 같은 레벨 미터 (14) 가 접속되어 있고, 이 레벨 미터 (14) 에는, 수광기 (9) 의 적외선 수광량에 비례한 신호 레벨이 표시된다. 검파 회로 (11) 에는, 레벨 미터 (14) 와는 별도로, 수광 신호의 레벨이 소정 레벨을 초과했을 때에 점등하는 레벨 표시기가 접속되는 경우도 있다. 상기 수광기 (9), 증폭 회로 (10), 검파 회로 (11), 신호 판별 회로 (12) 및 레벨 미터 (14) 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1 쌍 형성되어 있는데, 도 1 에서는 1 개만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수광부 (8)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이 예에서는, 수광부 (8) 는 상하 2 개의 수광기 (9) 를 갖는다. 투광부 (1) 도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동 도면에는 투광부 (1) 에 있어서의 상당 부품에 대응하는 부호도 함께 부여하고 있다. 수광부 (8) 는, 벽이나 폴 등의 장착면에 장착되는 장착용 베이스 (33) 와, 이 장착용 베이스 (33) 에 이것의 복수의 장착 구멍 (34) 을 통하여 자유롭게 착탈되도록 장착되어 센서 회로 전체를 덮는 커버 (35) 에 의해, 외체 (外體) 케이스가 구성되어 있다. 수광기 (9) 는, 집광 미러 (31) 의 초점 위치에 수광 소자 (도시 생략) 가 배치되고, 그 집광 미러 (31) 의 개구부가 미러 커버 (36) 로 덮여 있다.
수광기 (9) 와 투광기 (2) 의 광축의 조(粗)조정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조준기 (4)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 (7) 를 구비하고, 이 본체 케이스 (7) 는, 제 1 케이스 (17) 와 제 2 케이스 (18) 을 합체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케이스 (17) 는, 전 (前) 측면에 좌우 1 쌍의 접안창 (관측창) (20) 과 좌우 1 쌍의 대물창 (24) 을 갖는다.
제 2 케이스 (18) 는, 제 1 케이스 (17) 의 후부에 예를 들어 나사 고정 수단 (도시 생략) 으로 연결되어 있고,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1 쌍의 베어링 통부 (28) 를 갖는다. 본체 케이스 (7) 내에는, 반사 미러 (27) 가 대물창 (24) 과의 사이에서 조준축 (32) 상에 배치되고, 이로써, 조준기 (4) 가 구성되어 있다.
접안창 (20) 에는 투명한 유리나 수지로 이루어지고, 오목 렌즈로 구성된 접안 렌즈 (21) 가 끼워 맞춰져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안 렌즈 (21) 의 대물측의 면에는, 그 중심부에, 정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상의 마이크로 렌즈 (22) 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안 렌즈 (21) 및 마이크로 렌즈 (22) 는, 접안 렌즈 (21) 의 광축 및 마이크로 렌즈 (22) 의 광축이 일치하도록 일체 성형되어 있다.
마이크로 렌즈 (22) 는, 볼록 렌즈로 이루어져, 물체를 확대하여 비출 수 있다. 마이크로 렌즈 (22) 는, 후술하는 마커 집합을 확대할 수 있도록 그 시야는 마커 집합보다 크지만, 마이크로 렌즈 (22) 의 외측에, 조준 상대인 수광기 또는 투광기를 작업자가 접안 렌즈 (21) 를 시인할 수 있을 정도로 작다.
도 4 로 되돌아와, 대물창 (24) 에는 투명한 유리나 수지로 이루어지고, 볼록 렌즈로 구성된 대물 렌즈 (25) 가 끼워 맞춰져 있다. 이 대물 렌즈 (25) 의 조준기 (4) 의 내방측의 표면 (25a) 에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커 집합 (26)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마커 집합 (26) 은, 원의 윤곽선 요컨대 원주로 이루어지는 축 일치 마커 (제 1 마커) (26a) 와, 중심을 나타내는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중심 마커 (제 2 마커) (26b) 를 갖는다. 축 일치 마커 (26a)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준축과 시축을 합치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중심 마커 (26b)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4 개의 선부 (26ba, 26bb, 26bc 및 26bd) 로 이루어진다. 이들 선부 (26ba ∼ 26bd) 는, 원주로 이루어지는 윤곽선 (26a) 상의 등간격의 4 점으로부터 각각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동일 길이를 갖고, 그 길이는 윤곽선 (26a) 에 의해 구성되는 원의 반경보다 짧다. 즉, 축 일치 마커 (26a) 의 중심을 나타내는 직선 (26b) 은, 당해 원의 중심 및 그 부근에는 겹치지 않지만, 당해 원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선부 (26ba ∼ 26bd) 의 가상 연장선의 교점이 원의 중심이기 때문에, 이들 선부에 따라 원의 중심 위치는 용이하게 상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심을 나타내는 직선 (26b) 은 4 개의 선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했는데, 이 직선은, 3 개 이상이면 어떠한 수의 선부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즉, 직선을 구성하는 선부의 가상 연장선의 교점이 원의 중심을 나타낼 수 있으면 된다. 단, 선부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3 개 ∼ 6 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 개이다.
중심 마커 (26b) 는, 또, 직선 이외여도 되고, 축 일치 마커 (26a) 의 중심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중심 마커 (26b) 는, 십자, 점 또는 작은 원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심이 축 일치 마커 (26a) 의 중심과 일치한다.
이와 같이, 마커 집합 (26) 에는, 마커의 중심을 나타내는 직선 (26b) 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광축 조정에 유용한 중심이 나타나 있다. 또, 이 직선 (26b) 은, 윤곽선 (26a) 으로부터 그 중심을 향해 연장되고, 또한 윤곽선 (26a) 의 중심에는 도달하지 않는 4 개의 선부 (26ba ∼ 26bd) 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광축을 조정하는 데에 유용한 중심이 나타나는 한편, 윤곽선 (26a) 의 중심 부분의 대물 렌즈는 투명한 상태로, 이들 선부 (26ba ∼ 26bd) 는, 작업자가 조준을 볼 때의 방해는 되지 않는다.
원주상의 축 일치 마커 (26a) 는, 대물 렌즈 (25) 의 표면 (25a) 에 백색의 잉크를 프린트하여 형성되어 있다. 축 일치 마커 (26a) 는, 이 밖에, 단면이 삼각 형상 또는 반원 형상이 되는 돌기가, 렌즈 성형시에 표면 (25a) 에 일체 성형된 것이어도 되고, 오목부로서 표면 (25a) 에 일체 성형된 것이어도 된다. 즉, 축 일치 마커 (26a) 는, 그 형상인 원주가 시인되는 것이면 어떠한 방법으로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이 축 일치 마커 (26a) 를 구성하는 원의 윤곽선의 중심과 대물 렌즈 (25) 의 중심은 거의 일치한다.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중심 마커 (26b) 에 대해서도, 축 일치 마커 (26a) 와 동일한 방법으로 대물 렌즈 (25) 에 형성되어 있다.
축 일치 마커 (26a) 의 크기에 대해, 추가로 도 7 및 도 8 을 이용하여 상세히 서술한다. 이 도면에서는, 간략화하여 설명하기 위해서, 반사 미러 (27) (도 4) 를 생략하고, 반사 미러 (27) (도 4) 에 의해 반사되어야 하는 광이 직진하는 것으로서 도시한다. 즉, 대물 렌즈 (25) 와 접안 렌즈 (21) 가 일직선 상에 배치된, 간략화된 구성에 기초하여, 축 일치 마커 (26a) 의 크기에 대해 설명한다. 또, 축 일치 마커 (26a) 의 중심을 나타내는 직선 (26b) (도 6) 도 간략화를 위해 도시하지 않는다.
먼저, 축 일치 마커 (26a) 의 크기의 상한에 대해 설명한다. 대물 렌즈 (25) 및 축 일치 마커 (26a) 의 윤곽선의 중심 (26d) 은 일치하여, 마이크로 렌즈 (22) 의 광축 (L0) 상에 위치한다. 이 마이크로 렌즈 (22) 의 광축 (LO) 상의 일점으로서, 마이크로 렌즈 (22) 에 의해 확대된 축 일치 마커 (26a) 의 허상 (도시 생략) 의 명시 거리 (이 허상으로부터 약 250 ㎜) 의 위치를 아이·포인트 (IP) 라고 한다. 이 아이·포인트 (IP) 는, 접안 렌즈 (21) 의 마이크로 렌즈 (22) 를 들여다보고 마이크로 렌즈 (22) 에 의해 확대된 마커 집합 (26) 을 보는 작업자가, 그 눈을 무리시키지 않고 마커 집합 (26) 을 보고자 하는 경우에 자연스럽게 그 편방의 안구의 수정체 (눈) 를 위치시키는 위치이다.
아이·포인트 (IP) 에 각각 정상점을 갖는 2 개의 원추체 (제 1 및 제 2 원추체) 를 상정한다. 제 1 원추체는, 마커 원추 측면 (제 1 원추 측면) (S1) 을 갖고, 이 면 (S1) 은, 아이·포인트 (IP) 와, 원주상의 축 일치 마커 (26a) 를 연결한다. 제 2 원추체는, 아이·포인트 (IP) 와, 아이·포인트 (IP) 로부터 마이크로 렌즈 (22) 에 의해 얻어지는 대물 렌즈 (25) 상의 시야의 원주상의 외부 가장자리 (61) 를 연결하는 시야 원추 측면 (제 2 원추 측면) (S2) 을 갖는다. 마커 원추 측면 (S1) 은, 시야 원추 측면 (S2) 보다 내측에 위치한다. 즉, 축 일치 마커 (26a) 와 원주상의 외부 가장자리 (61) 는 동심상이고, 축 일치 마커 (26a) 의 직경은 외부 가장자리 (61) 의 직경보다 작다.
여기서, 아이·포인트 (IP) 로부터 마이크로 렌즈 (22) 에 의해 얻어지는 대물 렌즈 (25) 상의 시야의 직경 (d2), 요컨대 원주상의 외부 가장자리 (61) 에 의해 둘러싸이는 원의 직경은, 아이·포인트 (IP) 와 마이크로 렌즈 (22) 의 외측선 (22a) 을 연결하는 원추 측면 (S3) 의 연장면이 대물 렌즈 (25) 와 교차하는 원주상의 교선 (62) 에 의해 둘러싸이는 원의 직경 (d3) 을 마이크로 렌즈 (22) 의 배율 (m) 로 나눈 크기이다. 즉, 원상의 외부 가장자리 (61) 의 직경 (d2) 은, d2=d3/m 의 식으로 구해진다.
이와 같이, 아이·포인트 (IP) 의 대물 렌즈 (25) 상에 있어서의 시야 내에 축 일치 마커 (26a) 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아이·포인트 (IP) 로부터 접안 렌즈 (21) 를 들여다보는 작업자는, 마이크로 렌즈 (22) 에 의해 확대된 축 일치 마커 (26a) 의 전체를 반드시 시인할 수 있다.
그러나, 마이크로 렌즈 (22) 의 광축 (L0) 상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편방의 눈을 위치시켜, 예를 들어 포인트 (IP') 로부터 작업자가 마이크로 렌즈 (22) 를 들여다보았을 경우, 축 일치 마커 (26a) 의 전체를 작업자가 시인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특히, 원주상의 축 일치 마커 (26a) 가 시야의 외부 가장자리 (61) 와 일치하거나, 또는 원주상의 축 일치 마커 (26a) 가 시야의 외부 가장자리 (61) 보다 약간 작은 경우, 작업자의 눈의 위치가 광축 상으로부터 약간 어긋난 것만으로,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일치 마커 (26a) 의 일부가 결락되어 시인된다.
다음으로, 축 일치 마커 (26a) 의 크기의 하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 의 투광기 (2) 로부터의 검지파의 확대 각도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θo 이다. 그리고, 예를 들어, 이 확대 각도 θo 는 약 2˚이다. 단, 이 확대 각도 θo 는 기기의 설계 사양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이 수치는 단순한 일례이다.
이 확대 각도 θo 에 대해, 도 7 의 마커 원추 측면 (S1) 의 모선 (L1) 과 광축 (LO) 이 이루는 제 1 각도 (θ1) 와, 시야 원추 측면 (S2) 의 모선 (L2) 과 광축 (LO) 이 이루는 제 2 각도 (θ2) 의 차 (Δθ) 는, 이하의 식 1 을 만족한다.
Δθ ≤ θo/2 (식 1)
이 식 1 은, 축 일치 마커 (26a) 의 크기에 의존한 각도 (θ1) 의 마이크로 렌즈 시야에 의존한 θ2 에 대한 어긋남 (Δθ) 이, 검지파의 확대 내로 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그 때문에, 식 1 을 만족하도록 축 일치 마커 (26a) 의 크기를 결정하면, 광축 조정에 있어서 시축을 조준축에 합치시키는 데에, 이 축 일치 마커 (26a) 가 유효하게 이용된다.
예를 들어, 축 일치 마커 (26a) 의 크기가 그 하한에 가까운 크기로 식 1 을 만족하는, 요컨대 Δθ=θo/2 를 만족할 정도의 크기인 경우, 축 일치 마커 (26a) 의 크기는, 마이크로 렌즈 (22) 에 의한 대물 렌즈 (25) 상에 얻어지는 시야의 외부 가장자리 (61) 보다 상당히 작아진다. 이와 같은 축 일치 마커 (26a) 를 마이크로 렌즈 (22) 로부터 들여다보는 작업자는, 도 10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축이 조준축으로부터 어긋나 축 일치 마커 (26a) 의 중심이 시야의 외부 가장자리 (61) 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나 있었다고 해도, 축 일치 마커 (26a) 의 전체를 시인할 수 있다. 여기서, 대물 렌즈 (25) 상에 얻어지는 마이크로 렌즈 (22) 에 의한 시야의 외부 가장자리 (61) 는 시인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작업자는 시축이 조준축으로부터 어긋나 있는 것을 인식하기 어렵다. 그러나, 이와 같이 시축이 조준축으로부터 어긋나 광축 조정이 이루어지면 투광기와 수광기의 광축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검지파가 어느 정도 확대되어 있기 때문에, 그 광축의 어긋남은 허용 범위 내이다.
한편, 도 10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축이 조준축으로부터 더욱 어긋나, 축 일치 마커 (26a) 를 마이크로 렌즈 (22) 로부터 들여다보는 작업자가, 일부가 누락된 축 일치 마커 (26a) 를 시인하면, 시축의 어긋남은 허용 범위 외가 된다.
이와 같이, 축 일치 마커 (26a) 의 크기는 검지파의 확대 θo (도 1) 에 따라 하한이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광축 조정에 있어서의 요구, 즉, 확대가 작은 검지파이면 광축 조정은 엄밀하게 행해져야만 하는 데에 반해, 확대가 큰 검지파이면 광축 조정이 엄밀하지 않아도 된다는 요구에 합치하고 있다.
도 2 로 되돌아와, 장착용 베이스 (33) 의 중앙부에 설치된 단자대 케이스 (39) 의 상하부에는, 회전판 (37) 이 도시되지 않은 연직축 둘레 (도면의 h 방향 둘레) 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판 (37) 에는, 도 4 에서도 나타낸 1 쌍의 지지판 (29) 이, 도 2 의 회전판 (37) 에 대해 직교하는 배치로 고정되어 있다. 이 양 지지판 (29) 의 외측면에는, 미끄럼 방지가 부착된 조작판 (우측측만 도시) (38) 이 고정되어 있고, 조작판 (38) 을 손에 들고 회전 조작함으로써, 수광기 (9) 의 수평각 (도 2 의 h 방향의 각도) 이 조조정된다. 또한, 조정 나사 (40, 41) 의 정반대 방향에 대한 회전 조작에 의해 미세 조정이 행해진다.
수광기 (9) 에 일체화된 조준기 (4) 는,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광기 (9) 의 좌우 일체의 베어링 통부 (28) 의 지지판 (29) 의 지지축 (30) 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밖으로부터 끼워져, 지지축 (30) 둘레 (도 2 의 v 방향 둘레) 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고, 이 조준기 (4) 의 지지축 (30) 둘레의 회전 운동은, 도 2 의 조정 나사 (40, 41) 의 정반대 방향에 대한 회전 조작에 의해 행해진다. 이렇게 하여, 수광기 (9) 의 상하각 (도 2 의 v 방향의 각도) 이 가변 조절된다. 수광기 (9) 의 투광기 (2) 에 대한 광축 맞춤은, 수평각과 상하각을 가변 조정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도 1 의 투광부 (1) 는, 수광 소자 (도시 생략) 의 배치 형성 위치에 수광 소자 대신에 투광 소자를 배치하는 것 뿐으로,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서술한 수광부 (8) 와 동일하다. 또, 이 센서 장치에서는, 도 1 의 2 개의 수광기 (9) 로부터 함께 검지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에 경보 회로 (13) 로부터 경보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준기를 사용한 광축 조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 방범용 센서 장치에서는, 설치시나 메인터넌스시에 광축 조정을 실시하는 경우, 먼저, 도 2 의 투광부 (1) 에 있어서의 베이스 (33) 에 자유롭게 착탈된 커버 (35) 를 개방하여, 작업자는, 편방의 눈으로 조준기 (4) 의 접안 렌즈 (21) 에 설치된 도 8 의 마이크로 렌즈 (22) 를 들여다본다. 그 때에, 작업자는 들여다보는 눈을 적절한 장소에 위치시킨다. 작업자가 마이크로 렌즈 (22) 를 들여다보았을 때에, 도 10a 와 같이, 대물 렌즈 (25) 에 형성된 축 일치 마커 (26a) 의 모든 부분을 시인할 수 있던 경우에는, 작업자는 눈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해도 되고, 그 눈의 위치에서 광축의 조정을 실시해도 된다. 이것과는 반대로, 작업자가 마이크로 렌즈 (22) 로부터 들여다보았을 때에, 도 10b 와 같이 대물 렌즈 (25) 에 형성된 축 일치 마커 (26a) 의 일부가 누락되어 있는 것을 시인한 경우에는, 작업자는 축 일치 마커 (26a) 의 모든 부분을 시인할 수 있게 될 때까지, 마이크로 렌즈 (22) 를 들여다보는 눈의 위치를 조금씩 이동시켜, 요컨대, 마이크로 렌즈 (22) 에 대해 눈이 정면으로 오도록 방향을 변화시켜, 축 일치 마커 (26a) 전체를 시인할 수 있는 위치를 찾아낸다. 구체적으로는, 축 일치 마커 (26a) 의 누락이 시인시키는 부분이 존재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작업자는 눈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축 일치 마커 (26a) 의 하부가 누락되어 있으면, 작업자는 눈의 위치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축 일치 마커 (26a) 전체를 시인할 수 있도록 한다.
작업자가 축 일치 마커 (26a) 의 모든 부분을 시인할 수 있으면, 접안 렌즈 (21) 에 설치된 마이크로 렌즈 (22) (도 5) 를 들여다보는 작업자의 눈이 적절히 위치시켜진 것으로 인식되므로, 작업자는 눈의 위치를 그대로 하고, 조작판 (38) 을 회전 조작하여, 투광기 (2) 의 수평 편향각 또는 상하 편향각을 조정하여, 반사 미러 (27) (도 4) 에 도 1 의 수광부 (8) 의 소자 유닛의 이미지가 비치도록 광축의 조조정을 실시한다. 이 조조정에 이어서, 작업자는, 도 1 의 레벨 미터 (14) 의 표시를 보면서 표시 레벨이 최대치가 되도록, 도 2 의 조정 나사 (40, 41) 를 조정하여 광축의 미세 조정을 실시하여, 도 1 의 레벨 미터 (14) 의 표시가 소정 레벨 이상이 될 때까지, 요컨대 투광기 (2) 의 광축이 수광기 (9) 에 가능한 한 일치할 때까지, 광축 조정을 실시한다. 이와 같은 광축 조정을 투광부 (1) 및 수광부 (8) 에 대해 필요에 따라 복수회 반복한다.
도 11 및 도 12 에, 각각, 마커 집합의 제 1 변형예 및 제 2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1 에 나타내는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마커 집합 (26A) 은, 정방형의 윤곽선 요컨대 정방형의 4 변으로 이루어지는 축 일치 마커 (제 1 마커) (26Aa) 와, 중심을 나타내는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중심 마커 (제 2 마커) (26Ab) 를 갖는다. 이 마커 집합의 예에서도, 중심을 나타내는 중심 마커 (26Ab) 는 동일 길이의 4 개의 선부 (26Aba, 26Abb, 26Abc 및 26Abd) 로 이루어진다. 이들 선부 (26Aba ∼ 26Abd) 는, 각각 정방형의 정상점으로부터 정방형의 중심을 향해 연장된다. 또, 정방형의 외접원 (26Ac) 의 중심은 대물 렌즈 (25) 의 중심과 거의 일치한다. 정방형의 모서리부는, 세선 (26Ad) 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90˚가 아니고 둔각이 되도록 작게 잘라내어도 된다.
도 12 에 나타내는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마커 집합 (26B) 의 축 일치 마커(제 1 마커) (26Ba) 는, 도 6 및 도 11 에 나타낸 좌우 상하 대칭 형상의 윤곽선과는 상이하고, 상하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서, 각 변의 길이가 상이한 7 각형의 윤곽선 (26Ba) 으로 이루어진다. 이 윤곽선 (26Ba) 의 외접원 (26Bc) 의 중심은, 대물 렌즈 (25) 의 중심과 거의 일치한다.
또한, 이 축 일치 마커 (26Ba) 는, 복수의 윤곽선부 (26Baa) 로 구성된다. 즉, 축 일치 마커를 구성하는 윤곽선 (26Ba) 은, 복수가 중단된 지점을 갖는다. 단, 이 윤곽선 (26Ba) 은, 윤곽이 이루는 형상을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윤곽선부 (26Baa) 를 갖기 때문에, 마이크로 렌즈 (22) (도 7) 를 통해 이 마커 집합 (26B) 을 보는 작업자에게 있어서는, 복수의 윤곽선부 (26Baa) 에 의해 인식되는 윤곽 형상의 일부가 누락된 것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이 마커 집합 (26B) 은, 중심 마커를 갖지 않는 것으로서 나타내었지만, 가져도 된다.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커 집합 (26A) (26B) 의 축 일치 마커 (26Aa) (26Ba) 는 임의의 다각형의 윤곽선으로 구성되는데, 이들 다각형보다 도 6 에 나타낸 축 일치 마커 (26a) 와 같이 원의 윤곽선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원은 아니고 다각형의 윤곽선으로부터 축 일치 마커가 구성되는 경우, 그 윤곽선은, 원에 가까운 형상, 요컨대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거의 동등한 점의 집합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원주 이외의 윤곽선을 포함하는 축 일치 마커의 크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1 의 정방형의 윤곽선으로 이루어지는 축 일치 마커 (26Aa) 의 외접원 (26Ac) 의 크기는, 도 7 및 도 8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축 일치 마커 (26a) 의 형상인 원주의 크기와 동일하게 구해진다. 즉, 이 외접원 (26Ac) 의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 렌즈 (22) 의 시야의 외부 가장자리 (61) 에 일치하거나, 이 시야보다 조금 작지만, 외접원 (26Ac) 의 크기의 허용 범위는, 상기 서술한 식 (1) 을 만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정된 외접원 (26Ac) 의 크기에 따라, 마커 집합 (26A) 을 구성하는 정방형상의 윤곽선으로 이루어지는 축 일치 마커 (26Aa) 의 크기가 설정된다.
도 12 의 축 일치 마커 (26Ba) 의 크기도, 마찬가지로, 축 일치 마커 (26Ba) 의 외접원 (26Bc) 의 크기가, 마이크로 렌즈 (22) 의 시야의 외부 가장자리 (61) 의 범위 내이고, 또한 식 (1) 을 만족하는 크기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육안 조준기 (4) (도 2) 가 설치된 도 2 의 수광부 (8) 의 구조는 단순한 일례이며, 광축 조정이 필요한 수광부 및 투광부이면,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본 육안 조준기 (4) 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검지선으로서 적외선 빔이 사용되고 있지만, 초음파나 전파를 사용한 것이어도 된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육안 조준기의 대물 렌즈에는, 상기 서술한 각 예와 같은 축 일치 마커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준기가 설치된 방범 센서의 광축을 조정할 때에는, 이 축 일치 마커에 의해, 작업자는 적절한 방향으로부터 육안 조준기를 들여다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했는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2 투광기
4 육안 조준기
9 수광기
21 접안 렌즈
22 마이크로 렌즈
25 대물 렌즈
26a 축 일치 마커
27 반사 미러
S 센서 장치

Claims (8)

  1. 방범 센서에 있어서의, 검지파의 송신기 및 수신기의 각각의 송신 방향 및 수신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육안 조준기로서,
    마이크로 렌즈가 설치된 접안 렌즈와,
    상기 접안 렌즈의 시야에 포함되는 제 1 마커가 형성된 대물 렌즈와,
    상기 접안 렌즈 및 상기 대물 렌즈 사이의 광로에 배치된 반사 미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마커는, 원 또는 다각형의 윤곽선으로 이루어지고, 시축이 허용 범위로부터 벗어나면, 상기 제 1 마커의 상기 마이크로 렌즈에 의해 확대된 허상이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시야로부터 벗어나 일부분이 결락되어 시인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육안 조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커의 상기 윤곽선의 제 1 외접원의 중심은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광축 상에 위치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광축 상의 일점으로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에 의해 확대된 상기 제 1 마커의 허상의 명시 거리에 위치하는 명시 위치와, 상기 제 1 외접원의 원주를 연결하는 제 1 원추 측면이, 상기 명시 위치로부터 상기 마이크로 렌즈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대물 렌즈 상의 시야의 원주상의 외부 가장자리와, 상기 명시 위치를 연결하는 제 2 원추 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Δθ ≤ θo/2 (식 1)
    을 만족하는, 육안 조준기.
    단, Δθ 는, 상기 제 2 원추 측면의 모선과 상기 광축이 이루는 제 2 각도와, 상기 제 1 원추 측면의 모선과 상기 광축이 이루는 제 1 각도의 차이고, θo 는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검지파의 확대 각도이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 렌즈에는, 상기 제 1 마커의 중심을 나타내는 제 2 마커가 형성되어 있는, 육안 조준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커는 직선으로 이루어지고, 당해 직선은 상기 윤곽선으로부터 그 중심을 향해 연장되고, 또한 상기 윤곽선의 중심에는 도달하지 않는 길이의 3 개 이상의 선부로 이루어지는, 육안 조준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파는 광이고,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는 각각 투광기 및 수광기이며,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의 각각의 송신 방향 및 수신 방향의 조정은, 상기 투광기와 상기 수광기의 광축 맞춤인, 육안 조준기.
  6. 송신기 및 수신기를 구비한 방범 센서로서, 추가로
    제 1 항에 기재된 육안 조준기를 구비한, 방범 센서.
  7. 육안 조준기를 사용하여, 방범 센서에 있어서의 검지파의 송신기 및 수신기의 각각의 송신 방향 및 수신 방향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마이크로 렌즈를 갖는 접안 렌즈를 상기 육안 조준기에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접안 렌즈의 시야에 포함되는 제 1 마커를 갖는 대물 렌즈를 상기 육안 조준기에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접안 렌즈 및 상기 대물 렌즈 사이의 광로에 반사 미러를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마이크로 렌즈를 통해 상기 제 1 마커의 상기 마이크로 렌즈에 의해 확대된 허상의 전체가 시인되도록, 상기 마이크로 렌즈로부터 상기 조준기를 들여다보는 눈의 위치를 조정하는 공정과,
    상기 눈을 조정된 상기 위치에 유지하면서, 상기 송신기의 송신 방향 및 상기 수신기의 수신 방향을 조정하는 공정을 구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커의 윤곽선의 제 1 외접원의 중심은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광축 상에 위치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광축 상의 일점으로서, 상기 마이크로 렌즈에 의해 확대된 상기 제 1 마커의 허상의 명시 거리에 위치하는 명시 위치와, 상기 제 1 외접원의 원주를 연결하는 제 1 원추 측면이, 상기 명시 위치로부터 상기 마이크로 렌즈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대물 렌즈 상의 시야의 원주상의 외부 가장자리와, 상기 명시 위치를 연결하는 제 2 원추 측면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Δθ ≤ θo/2 (식 1)
    을 만족하는, 방법.
    단, Δθ 는, 상기 제 2 원추 측면의 모선과 상기 광축이 이루는 제 2 각도와, 상기 제 1 원추 측면의 모선과 상기 광축이 이루는 제 1 각도의 차이고, θo 는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검지파의 확대 각도이다.
KR1020120126686A 2011-11-10 2012-11-09 육안 조준기 및 육안 조준기를 구비한 방범 센서 KR1019169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46387 2011-11-10
JP2011246387A JP5712345B2 (ja) 2011-11-10 2011-11-10 目視照準器および目視照準器を備えた防犯セン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903A KR20130051903A (ko) 2013-05-21
KR101916965B1 true KR101916965B1 (ko) 2018-11-08

Family

ID=47632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686A KR101916965B1 (ko) 2011-11-10 2012-11-09 육안 조준기 및 육안 조준기를 구비한 방범 센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35855B2 (ko)
EP (1) EP2592441B1 (ko)
JP (1) JP5712345B2 (ko)
KR (1) KR101916965B1 (ko)
ES (1) ES284349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4701B2 (ja) * 2011-11-10 2015-11-25 オプテックス株式会社 物体検出装置に使用する自動角度調整ユニット
US9869527B2 (en) * 2014-12-13 2018-01-16 Precision Accuracy Solutions, Inc. Supplementary sight aid adaptable to existing and new sight aid
JP6755450B2 (ja) * 2017-06-27 2020-09-16 竹中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対向型電波センサーの照準器
CN109459847B (zh) * 2017-09-06 2021-08-24 信泰光学(深圳)有限公司 光学指示结构
US11467257B2 (en) * 2017-09-27 2022-10-11 Bushnell Inc. Golf laser rangefinders
WO2021141739A1 (en) * 2020-01-07 2021-07-15 Dimitri Mikroulis Firearm optical sight, system and method
CN111796339B (zh) * 2020-07-16 2021-03-19 长春工程学院 一种智能传感器的设计方法、智能设备
WO2023192617A1 (en) * 2022-03-31 2023-10-05 Musco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fine tuning of capture devic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9539A (ja) 2001-03-19 2002-09-27 Optex Co Ltd 防犯用センサ装置の照準器
JP2005049206A (ja) 2003-07-28 2005-02-24 Nippon Aleph Corp 照準器および赤外線式防犯装置
JP2007086151A (ja) 2005-09-20 2007-04-05 Nikon Corp カメラ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2010151747A (ja) 2008-12-26 2010-07-08 Takenaka Engineering Co Ltd 赤外線センサーの照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5940A (en) * 1957-12-31 1959-12-08 Gen Dynamics Corp Optical alignment gage
JP3570767B2 (ja) 1994-09-06 2004-09-29 株式会社東亜理化学研究所 ファインダー装置
US5664244A (en) * 1994-09-06 1997-09-02 Fuji Photo Film Co., Ltd. Viewfinder device
JP3378741B2 (ja) * 1996-07-23 2003-02-17 オプテックス株式会社 照準器付きの防犯センサ
JP3896406B2 (ja) * 2002-04-11 2007-03-22 オプテックス株式会社 防犯用センサ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9539A (ja) 2001-03-19 2002-09-27 Optex Co Ltd 防犯用センサ装置の照準器
JP2005049206A (ja) 2003-07-28 2005-02-24 Nippon Aleph Corp 照準器および赤外線式防犯装置
JP2007086151A (ja) 2005-09-20 2007-04-05 Nikon Corp カメラ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2010151747A (ja) 2008-12-26 2010-07-08 Takenaka Engineering Co Ltd 赤外線センサーの照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92441A2 (en) 2013-05-15
US20130119257A1 (en) 2013-05-16
JP2013104887A (ja) 2013-05-30
EP2592441B1 (en) 2020-12-23
JP5712345B2 (ja) 2015-05-07
KR20130051903A (ko) 2013-05-21
US8835855B2 (en) 2014-09-16
EP2592441A3 (en) 2017-01-25
ES2843493T3 (es) 202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965B1 (ko) 육안 조준기 및 육안 조준기를 구비한 방범 센서
US7087884B2 (en) Light barrier or light grid with alignment mechanism
CN101686325B (zh) 用于监视摄像机的复合球型窗
US10234283B2 (en) Binoculars rangefinder
US7301617B2 (en) Surveying apparatus
JP2013104887A5 (ko)
EP3130888B1 (en) Automatic survey instrument
US10520792B2 (en) Range finder
JP6993420B2 (ja) 物体を検知するライダーセンサ
US11016182B2 (en) Through-the-lens, co-aligned optical aiming system for a phase-type, laser-based distance measuring device
JP2003099860A (ja) 防犯用センサ装置
JP4690316B2 (ja) 照準装置及び非接触で又は接触させて使用可能な測定装置
JP4761340B2 (ja) 防犯用センサ装置
JP4737578B2 (ja) 防犯用センサ装置の照準器
JP2017072764A (ja) 表示装置
US7176444B2 (en) Precision adjustable light barrier
JP5568820B2 (ja) 赤外線センサーの照準装置
JP2005049206A (ja) 照準器および赤外線式防犯装置
JP6755450B2 (ja) 対向型電波センサーの照準器
US8981295B2 (en) Night vision device with display of ancillary environmental information
JP5514017B2 (ja) 監視方向確認装置
US8854220B1 (en) Indicating desiccant in night vision goggles
JP5167558B2 (ja) 光学センサ用エリア認識スコープ
RU2202092C2 (ru) Нашлемная система целеуказания и индикации
TWM577570U (zh) Infrared detector comb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