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087B1 - 합성수지제 용기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087B1
KR100937087B1 KR1020037014228A KR20037014228A KR100937087B1 KR 100937087 B1 KR100937087 B1 KR 100937087B1 KR 1020037014228 A KR1020037014228 A KR 1020037014228A KR 20037014228 A KR20037014228 A KR 20037014228A KR 100937087 B1 KR100937087 B1 KR 100937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rib
synthetic resin
angle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4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2503A (ko
Inventor
다나카도시마사
도미야마시게루
오자와도모유키
이이즈카다카오
쓰쓰이나오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040052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65D1/0276Bottom construction having a continuous contact surface, e.g. Champagne-typ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9/00Kinds or details of pack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79/005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 B65D79/008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the deformable part being located in a rigid or semi-rigid container, e.g. in bottles or jars
    • B65D79/0084Packages having deformable parts for indicating or neutralizing internal pressure-variations by other means than venting the deformable part being located in a rigid or semi-rigid container, e.g. in bottles or jars in the sidewall or shoulder par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81Bottles of non-circular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대략 사각통형상의 몸통부를 가지는 병체형상의 합성수지제 용기에 있어서, 어깨부의 몸통부와의 연이어 형성한 부분인 어깨하단부의 평탄벽부분의 폭방향을 따르는 중앙에, 비교적 폭이 넓은 세로홈형상의 홈리브를 함몰형성하는 것에 의해, 이 부분의 강성을 높여, 변형하기 어렵게 하는 동시에, 변형하더라도, 그 변형이 영구변형이 되지 않도록 하여, 용기의 취급시, 특히 용기를 옆으로 넘어뜨린 자세에서의 적층 수납의 안전성을 높인다.

Description

합성수지제 용기{SYNTHETIC RESIN CONTAINER}
본 발명은, 대략 사각통형상을 한 몸통부를 가지는 합성수지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대략 사각통형상을 한 몸통부를 가지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수지제 2축 연신 블로우성형 병체 등의 합성수지제 용기는, 사각통형상의 몸통부의 하단을, 몸통부내로 만곡하여 함몰한 바닥부로 폐쇄하고, 몸통부의 상단에, 몸통과 연속하는 사각추통 사다리꼴 형상을 한 어깨부를 통해 원통형상의 입구통부를 연이어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몸통부의 대략 중앙높이 위치에, 좌굴강도보강용의 둘레홈을 형성하거나, 평탄벽부분에 밀폐된 용기내에 발생하는 감압을, 함몰변형에 의해 흡수하는 감압흡수패널을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몸통부의 모서리부는, 모떼기한 모서리벽 부분으로 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대략 사각통형상을 한 몸통부를 가지는 합성수지제 용기는, 골판지 박스에 넣어서 격납 및 반송 등의 취급시에는, 공간낭비가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효율이 좋은 취급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발휘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내용물을 밀봉수납한 용기를, 옆으로 넘 어뜨린 자세로 적층한 상태에서, 상하의 용기가 몸통부의 평탄벽부분과 모떼기한 모서리벽부분을 서로 부딪치게 한 상태가 되면, 평탄벽부분에 모서리벽부분을 맞부딪쳐 있는 쪽의 용기의 몸통부로부터 어깨부에 걸친 부분이 굴곡형상으로 함몰변형되고, 이 함몰변형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증대하여 영구변형으로 발전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사각통형상의 합성수지제 용기의 몸통부로부터 어깨부에 걸친 부분의, 옆방향으로부터의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이로써 이 종류의 합성수지제 용기의 옆으로 넘어뜨린 자세에서의 적층 수납, 예를 들면 자동판매기에서의 옆으로 넘어뜨린 자세에서의 적층 수납을 안전하게 달성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하단에 다리부를 형성하는 바닥부를 연이어 형성하고, 모서리부를 모떼기한 사각통형상의 몸통부의 상단에, 이 몸통부에 연속한 대략 사각통형상을 한 어깨부를 세워 연이어 형성하며, 이 어깨부의 상단에 원통형상의 입구통부를 세워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
어깨부의 몸통부와의 연이어 형성한 부분인 어깨 하단부의 평탄벽부분의 폭방향을 따르는 중앙에, 세로홈형상의 홈리브를 함몰형성하는 것, 그리고
홈리브를 평판형상의 홈바닥벽의 양쪽끝단에 홈측벽을 굴곡형상으로 연이어 형성한 구조로 하고, 어깨하단부의 하단가장자리의 폭인 어깨폭 W에 대한 홈리브의 하단가장자리의 폭인 리브폭 T의 비율 T/W를, 0.03∼0.30의 범위내에 설정한 것에 있다.
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용기의 몸통부가, 대략 사각통형상이기 때문에, 옆으로 넘어뜨린 자세에서 적층할 때에 통상의 상태에서는, 몸통부의 평탄벽부분끼리가 서로 접촉하여, 상호간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은 안정한 적층 상태가 된다.
그러나, 어떤 원인, 예를 들면 자동판매기내의 용기의 하강통로중에서 상호 자세의 어긋난 변화 등에 의해, 상호 적층 상태에서 용기의 한쪽이 다른쪽에 대하여, 다른쪽의 평탄벽부분에 대해 모서리부분을 접촉시키는 자세가 되어, 용기의 몸통부의 상단부에 옆방향으로 누름압력이 작용하면, 몸통부 상단부로부터 어깨하단부에 걸쳐 가장 굴곡변형하기 쉬운 중앙부분이, 홈리브에 의해 굴곡변형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홈리브를 포함시킨 중앙부분 전체를 함몰변위시키는 형태로 함몰변형하는 것이 되며, 이 때문에 이 몸통부 상단부에서 어깨 하단부에 걸친 부분은, 외부로부터의 누름압력에 대하여 강한 저항력을 발휘하는 것이 된다.
또한, 이 몸통부 상단부로부터 어깨 하단부에 걸친 부분의, 누름압력에 의한 함몰변형은, 구부림 함몰변형이 아니라, 단순한 만곡 함몰변형이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장시간동안, 함몰변형상태로 되어 있었다고 하여도 외력인 누름압력을 제거하면 자신의 탄력에 의해 원형으로 자연복귀하여, 영구변형을 발생하는 일은 없다.
삭제
이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홈리브가 없는 구조의 종래 용기의 정면 어깨하단부를, 1변 10mm의 사각막대로 2.3mm 누른 경우의 강성강도가, 1.16 인 것이므로, 이 종래의 강성강도에 비교하여 대략 만족할 수 있는 강성강도인 1.30 이상이 되도록 비율 T/W의 상한을 0.30으로 설정하고, 또한 비율 T/W의 하한을 0.03으로 설정한 것은, 1.30 이상의 강성강도를 얻을 수 있지만, 그 이하가 되면 홈리브 자체의 성형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서의 경우 T/W의 범위를, 0.18∼0.24의 범위로 특정한 것이다.
이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비율 T/W의 범위를 0.18∼0.24로 특정하는 것에 의해, 강성강도를 1.60 이상으로 대폭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어깨부의 강성강도를 저하시키는 일없이, 용기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홈바닥벽에 대한 홈측벽의 세운 각도인 측벽각도 R를, 30°∼90°의 범위내로 설정한 것을 더한 것이다.
이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과 조합되는 것에 의해, 확실한 강성강도의 증가를 얻을 수 있는 것이지만, 측벽각도 R를 30°이상으로 한 것은, 이 측벽각도 R를 30°이하로 하면, 홈리브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강성강도의 증가정도가 급속히 저하하기 때문이고, 반대로 측벽각도 R를 90°이하로 한 것은, 측벽각도 R를 90°이상으로 하는 것이 성형상 대단히 곤란하기 때문이다.
청구항 4 또는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2 또는 3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홈리브의 깊이인 리브깊이 D를, 0.5∼2.5 [mm]의 범위내로 설정한 것을 더한 것이다.
이 청구항 4 또는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 1, 2 또는 3에 기재된 발명과 조합되는 것에 의해, 확실한 강성강도의 증가를 얻을 수 있는 것이이지만, 리브깊이 D를 0.5mm 이상으로 한 것은, 0.5mm 이하로 하면, 홈리브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강성강도의 증가정도가, 급속히 저하하기 때문이고, 2.5mm 이하로 한 것은, 2.5mm 이상으로 하면, 용기의 성형에 상당한 무리가 생기기 때문이다.
청구항 5, 7, 8 또는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2, 3, 4 또는 6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홈리브에 있어서의 양쪽 가장자리의 하단가장자리에 대하여 세운 각도인 리브측면각도 r를 85°이상, 바람직하게는 85°∼95°의 범위내로 설정한 것을 더한 것이다.
이 청구항 5, 7, 8 또는 9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청구항 1, 2, 3, 4 또는 6에 기재된 발명과 조합되는 것에 의해, 확실한 강성강도의 증가를 얻을 수 있는 것이지만, 리브측면각도 r를 85°이상으로 한 것은, 리브측면각도 r를 85°이하로 하면, 홈리브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강성강도의 증가정도가 급속히 저하하기 때문이고, 또한 리브측면각도 r를 85°∼95°의 범위내로 하면, 홈리브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강성강도를 가장 강한(1.6 이상)것으로 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중,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화살표시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중, B-B선을 따라 절단하여 화살표시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어깨부의 하중에 대한 변형량의 특성을 나타내는 해석특성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강도해석에 따른 구조예를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7은, 강도해석에 사용한 홈리브의 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8은, 강도해석에 사용한 홈리브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9는, 어깨폭에 대하여 리브폭을 변화시킨 경우의 강성강도 해석결과의 제 1의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결과를 선도로 나타낸 어깨폭과 리브폭의 비율의 특성선도이다.
도 11은, 어깨폭에 대하여 리브폭을 변화시킨 경우의 강성강도 해석결과의 제 2의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결과를 선도로 나타낸 어깨폭과 리브폭의 비율의 특성선도이다.
도 13은, 측벽 각도를 변화시킨 경우의 강성강도 해석결과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결과를 선도로 나타낸 측벽 각도와 강성강도와의 특성선도 이다.
도 15는, 리브 깊이를 변화시킨 경우의 강성강도 해석결과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결과를 선도로 나타낸 리브 깊이와 강성강도와의 특성선도이다.
도 17은, 리브측면각도를 변화시킨 경우의 강성강도 해석결과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결과를 선도로 나타낸 리브측면각도와 강성강도와의 특성선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용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전체 정면도이고, 하단을, 다리부를 형성하여 안쪽으로 함몰하는 바닥부(11)로 폐쇄하고, 모서리부를 모떼기한 대략 사각통형상의 몸통부(8)의 상단에, 대략 사각통추 사다리꼴형상의 어깨부(2)를 연이어 형성하며, 이 어깨부(2)의 상단에, 바깥둘레면에 나사조 및 네크링을 형성한 원통형상의 입구통부(1)를 연이어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제의 두께가 얇은 2축연신 블로우성형 병체로 되어 있다.
어깨부(2)의 하단부는, 위방향의 단부(4)를 경계로 하여 어깨하단부(3)로 되어 있고, 이 어깨하단부(3)의 폭방향의 중앙부에는, 어깨하단부(3)의 전체 높이범위에 걸쳐서, 세로홈형상의 홈리브(5)가 함몰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리브(5)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홈측벽(6)과, く자 형상으로 굴곡한 홈 바닥벽(7)으로 구성되어, 어깨하단부(3)의 각각의 평탄벽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몸통부(8)는, 약간 아래 위치에, 보강용의 둘레홈(10)을 함몰형성하고, 이 둘레홈(10)에 의해 상하로 분할된 몸통부(8)의 각 평탄벽부분에는, 용기내에 발생한 감압을 흡수하기 위한 패널벽(9)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합성수지제 용기에는,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상품명 표시 및 장식을 위한 슈링크라벨이 바깥에 장착되지만, 이 슈링크라벨은 그의 상단부를 단부(4)에 걸고 하단부를 둘레홈(10)에 거는 것에 의해, 용기에 대해 양호하게 부착된다.
다음에, 홈리브(5)를 형성한 경우와, 형성하지 않은 경우의 중량 26.5g의 500㎖ 병의 어깨하단부(3)로부터 몸통부(8) 상단부에 걸친 부분을 1변 10mm의 사각막대로 눌렀을 때의 막대의 이동량 S와 누름하중 P와의 관계의 해석예를 도 5에 나타낸다. 또, 이 해석예에 있어서, 홈리브(5)는, 도 5중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평판형상의 홈바닥벽(7)의 양쪽끝단 가장자리에 홈바닥벽(6)을 굴곡형상으로 연이어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도 5에 있어서, 홈리브(5)를 형성한 경우의 특성곡선 A와 홈리브(5)를 형성하지 않은 경우의 특성곡선 B와의 비교로부터 명백하듯이, 누름에 의해 어깨하단부(3)로부터 몸통부(8) 상단부에 걸친 부분을 2mm 함몰변형시켰을 때, 즉 이동량 S = 2mm일 때의 누름하중 P(kg)은, 홈리브(5)가 없는 경우는 1.1인 데 비하여, 홈리브(5)가 있는 경우는 1.6이고, 또한 몸통부분을 4mm 함몰변형시켰을 때, 즉 이동량 S = 4mm 때의 누름하중 P(Kg)은, 홈리브(5)가 없는 경우 1.6인데 비하여, 홈리브(5)가 있는 경우 2.0이었다.
이 해석결과로부터 명백하듯이, 이동량 S=2mm일 때에는, 홈리브(5)가 없는 것에 비하여 홈리브(5)가 있는 것은, 45% 큰 강성을 발휘하고, 또한 이동량 S=4mm일 때에는, 홈리브(5)가 없는 것에 비하여 홈리브(5)가 있는 것은 25% 큰 강성을 발휘하고 있다.
다음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리브(5)를, 적어도 평판형상의 홈바닥벽(7)의 양쪽끝단 가장자리로부터 홈측벽(6)을 굴곡하여 연이어 형성한 구조로 하고, 홈리브(5)가 형성된 어깨하단부(3)의 하단가장자리의 폭을 어깨폭 W(도 6 참조), 홈리브(5)의 하단가장자리의 폭을 리브폭 T(도 8 참조), 홈리브(5)의 상단가장자리의 폭을 리브 상부폭 T'(도 8 참조), 홈바닥벽(7)에 대한 홈바닥벽(6)의 세운 각도를 측벽각도 R(도 7 참조), 홈리브(5)의 하단가장자리에 대한 측단 가장자리의 세운 각도를 리브측면각도 r(도 8 참조), 그리고 홈리브(5)의 깊이를 리브깊이 D(도 7 참조)로 설정하여, 도 6에 나타낸 500㎖의 병의 몸통부(8)로부터 어깨부(2)에 걸친 부분의 강성해석의 결과를 이하에 나타낸다.
이 해석은, 도 5중에 도시한 어깨하단부(3)를 1변 10mm의 사각막대로 누른 강성해석이고, 어깨하단부(3)의 두께는 0.31mm로 균일하고, 이동량 S=2.3mm이라고 하는 조건으로 행하였다.
도 9는, 측벽각도 R=90°, 리브측면각도 r=90°(즉, T=T')로 하고, 리브깊이 D=1.5 mm로 고정하여, 어깨폭 W에 대한 리브폭 T의 비율 T/W 로서 강성강도 비교를 한 것으로, 도 10은 그 결과의 특성곡선 a를 나타낸 것이다.
도 9 및 도 10으로부터 명백하듯이, 홈리브가 없는 특성곡선 e(1.16 일정)에 대하여 특성곡선 a는, 비율 T/W가 0.47 이하의 전체범위에서 강성강도가 높아지고 있다.
도 11은, 측벽각도 R을 45°로 변경한 것 이외는, 도 9와 같은 조건이고, 어깨폭 W에 대한 리브폭 T의 비율 T/W로서 강성강도 비교를 한 것으로, 도 12는 그 결과의 특성곡선 a'을 나타낸 것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보면, 측벽각도 R을 90°로 한 경우쪽이 측벽각도 R을 45°로 한 경우에 비교해서, 강성강도가 약 5% 정도 높아지고 있다고 하는 차이가 있지만, 특성곡선 a 및 a'의 변화는 거의 동일하고, 비율 T/W가 0.30 이하에서는, 모두 홈리브가 없는 경우의 1.16(Kg)가 되는 강성강도에 비해서 대략 만족할 수 있는 정도인 1.30(kg) 이상의 강성강도를 발휘하고 있다.
특히, 비율 T/W를, 0.18로부터 0.24의 범위로 특정한 경우에는, 얻어지는 강성강도는 대략 1.60 이상이 되어, 충분한 강성강도를 얻을 수 있고, 그 만큼, 강성강도를 저하시키는 일없이, 용기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도 13은, 리브측면각도 r=90°, 리브깊이 D=1.5mm, 리브폭 T=9mm로 고정하고, 측벽각도 R를 변화시킨 경우의 강성강도비교를 한 것으로, 도 14는 그 결과의 특성곡선 b를 나타낸 것이다.
특성곡선 b로부터 명백하듯이, 측벽각도 R과 강성강도는, 대략 비례관계로 변화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성형조건이 허락하는 한, 측벽각도 R은 90°에 가까운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유리한 것을 알 수 있다.
도 15는, 측벽각도 R=45°, 리브측면각도 r=90°, 리브폭 T=9mm로 고정하여, 리브깊이 D를 변화시킨 경우의 강성강도비교를 한 것으로, 도 16은 그 결과의 특성곡선 c를 나타낸 것이다.
특성곡선 c로부터 명백하듯이, 리브깊이 D와 강성강도란, 리브깊이 D가 커지면 커질수록, 강성강도도 커지지만, 강성강도의 증대정도는, 리브깊이 D의 증대에 따라서 둔해지는 관계로 변화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블로우성형이라고 하는 성형조건을 고려하면, 리브깊이 D는 1.5∼2.0mm로 설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17은, 측벽각도 R=45°, 리브폭 T=9mm, 리브깊이 D=1.5mm로 고정하여, 리브측면각도 r을 변화시킨 경우의 강성강도비교를 한 것으로, 도 18은 그 결과의 특성곡선 d를 나타낸 것이다.
특성곡선 d로부터 명백하듯이, 리브측면각도 r이 85°보다 작아지면, 즉 리브상부폭 T'가 리브폭 T보다도 커지는 경향이 강하게 되면, 강성강도가 급격히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리브측면각도 r이 85°보다도 커지는 범위, 즉 주로 리브 상부폭 T'가 리브폭 T보다도 작은 범위에서는, 강성강도가 약간씩 저하하는 경향이 될 뿐이기 때문에, 리브측면각도 r은 85°이상으로 설정해 두는 것이 유리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리브측면각도 r을, 85°∼95°로 특정한 경우에는, 1.60(Kg) 이상의 강성강도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 상기한 해석은, 용량이 500㎖의 용기를 대상으로 하여 행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그 실시가 용량이 500 ㎖의 용기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여러 종류의 용기에 실시 가능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용기의 몸통부의 상단부에 측방에서 누름압력이 작용하더라도, 몸통부 상단부에서 어깨하단부에 걸쳐 가장 굴곡변형하기 쉬운 중앙부분을, 홈리브가 굴곡변형하기 어렵도록 보강하고 있으며, 발생하는 변형은, 홈리브를 포함시킨 중앙부분 전체가 함몰변위하는 형태의 함몰변형이 되기 때문에, 몸통부 상단부에서 어깨 하단부로부터 어깨하단부에 걸친 부분은, 외부로부터의 누름압력에 대하여 강한 강성을 발휘하여, 큰 변형을 발생하지 않고, 옆으로 넘어뜨린 자세에서의 안정한 적층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몸통부 상단부에서 어깨 하단부에 걸친 부분에 발생하는 함몰변형은 구부러진 함몰변형이 아니라, 단순한 만곡 함몰변형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장시간 동안, 함몰변형상태가 되어 있었다고 하더라도, 외력인 누름압력을 제거하면, 자신의 탄력에 의해 원형으로 자연복귀하여, 영구변형을 발생는 일 없고, 이로써 용기를 옆으로 넘어뜨린 자세인 채로 안전하게 적층한 상태에서 격납할 수가 있다.
또한, 어깨하단부로부터 몸통부 상단부에 걸친 부분의 강성을, 구조적으로 충분히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그 만큼,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이로써 높은 자원화 절약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어깨폭 W와 리브폭 T와의 비율 T/W의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홈리브를 형성하는 것에 의한 강성강도 상승의 기본적인 구성을, 강성강도가 종래는 1.16에 대하여, 대략 만족할 수 있는 1.30 이상으로 설정할 수가 있고, 이에 따라 얻어지는 강성강도 상승정도를 일정레벨 이상으로 할 수 있어, 안정하게 확실한 강성강도 상승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비율 T/W의 범위를 0.18∼0.24의 범위로 특정함으로써 강성강도의 대폭 증가를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강성강도를 저하시키는 일없이, 용기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을 달성할 수가 있어, 큰 자원화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측벽각도를 크게 하는 것에 따라서, 홈측벽의 보강리브로서의 기능이 강하게 되고, 그 만큼 강성강도를 크게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조건 및 성형조건이 허락하는 범위에서 측벽각도를 크게 하여, 강성강도 상승에 일조 할 수 있다.
청구항 4 또는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리브깊이를 크게 함에 따라서, 홈측벽의 보강리브로서의 기능이 강하게 되는 경향이 있고, 그 만큼 강성강도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조건 및 성형조건이 허락하는 범위에서, 리브깊이를 크게 하여, 강성강도 상승에 일조 할 수 있다
청구항 5, 7, 8 또는 9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홈리브에 의한 강성강도 상승작용에 있어서, 리브폭과 리브상부폭과의 관계가 깊이 관계하고 있는 것을 명백하게 하여, 이에 따라 홈리브를 형성하는 것에 의한 강성강도 상승을, 확실하고 유효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Claims (10)

  1. 하단에 다리부를 형성하는 바닥부(11)를 연이어 형성하고, 모서리부를 모떼기한 사각통형상의 몸통부(8)의 상단에, 이 몸통부(8)에 연속한 사각통형상을 한 어깨부(2)를 세워 연이어 형성하며, 이 어깨부(2)의 상단에 원통형상의 입구통부(1)를 세워 형성하여 구성되고, 상기 어깨부(2)의 몸통부(8)와의 연이어 형성한 부분인 어깨하단부(3)의 평탄벽부분의 폭방향을 따르는 중앙에, 세로홈형상의 홈리브(5)를 함몰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홈리브(5)를 평판형상의 홈바닥벽(7)의 양측단에 홈측벽(6)을 굴곡형상으로 연이어 형성한 구조로 하고, 상기 어깨하단부(3)의 하단가장자리의 폭인 어깨폭 W에 대한, 상기 홈리브(5)의 하단가장자리의 폭인 리브폭 T의 비율 T/W를, 0.03∼0.30의 범위내로 설정하여 이루어지는 합성수지제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비율 T/W를 0.18∼0.24의 범위로 설정한 합성수지제 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홈바닥벽(7)에 대하여 세운 각도인 측벽각도 R을, 30°∼90°의 범위내로 설정한 합성수지제 용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홈리브(5)의 깊이인 리브깊이 D를, 0.5∼2.5[mm]의 범위내로 설정한 합성수지제 용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홈리브(5)에서의 양쪽 가장자리의 하단가장자리에 대하여 세운 각도인 리브측면각도 r를 85°∼95°의 범위내로 설정한 합성수지제 용기.
  6. 제 3 항에 있어서, 홈리브(5)의 깊이인 리브깊이 D를, 0.5∼2.5[mm]의 범위내로 설정한 합성수지제 용기.
  7. 제 3 항에 있어서, 홈리브(5)에서의 양쪽 가장자리의 하단가장자리에 대하여 세운 각도인 리브측면각도 r를 85°∼95°의 범위내로 설정한 합성수지제 용기.
  8. 제 4 항에 있어서, 홈리브(5)에서의 양쪽 가장자리의 하단가장자리에 대하여 세운 각도인 리브측면각도 r를 85°∼95°의 범위내로 설정한 합성수지제 용기.
  9. 제 6 항에 있어서, 홈리브(5)에서의 양쪽 가장자리의 하단가장자리에 대하여 세운 각도인 리브측면각도 r를 85°∼95°의 범위내로 설정한 합성수지제 용기.
  10. 삭제
KR1020037014228A 2001-11-30 2002-11-29 합성수지제 용기 KR1009370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67952 2001-11-30
JP2001367952 2001-11-30
JP2002341832A JP3887753B2 (ja) 2001-11-30 2002-11-26 合成樹脂製容器
JPJP-P-2002-00341832 2002-11-26
PCT/JP2002/012495 WO2003045792A1 (fr) 2001-11-30 2002-11-29 Recipient en resine synthe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503A KR20040052503A (ko) 2004-06-23
KR100937087B1 true KR100937087B1 (ko) 2010-01-15

Family

ID=26624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228A KR100937087B1 (ko) 2001-11-30 2002-11-29 합성수지제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14626B2 (ko)
EP (1) EP1459991B1 (ko)
JP (1) JP3887753B2 (ko)
KR (1) KR100937087B1 (ko)
AU (1) AU2002349637A1 (ko)
WO (1) WO20030457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6233B2 (en) * 2002-12-05 2018-02-20 Graham Packaging Company, L.P. Rectangular container having a vertically extending groove
JP5029859B2 (ja) * 2005-06-30 2012-09-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壜体
KR101252888B1 (ko) * 2005-07-08 2013-04-09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다층 병
JP4992329B2 (ja) * 2006-07-31 2012-08-08 東洋製罐株式会社 合成樹脂製容器
JP4826379B2 (ja) * 2006-07-31 2011-11-30 東洋製罐株式会社 合成樹脂製容器
JP5099555B2 (ja) * 2008-07-31 2012-12-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角形壜体
JP5435344B2 (ja) * 2009-09-30 2014-03-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丸形壜体
AU363830S (en) 2015-04-15 2015-08-26 Sig Technology Ag Bottle
BR112022013373A2 (pt) * 2020-01-13 2022-09-13 Procter & Gamble Garrafas transparentes incluindo paredes laterais facetadas
USD1006633S1 (en) 2021-03-15 2023-12-05 The Nature's Bounty Co. Bott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4098B1 (ko) * 1988-04-01 1999-02-18 요시노 야타로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한 병
KR0172956B1 (ko) * 1989-07-10 1999-03-30 요시노 야타로 합성수지제 병체
JP2001322616A (ja) * 2000-05-17 2001-11-20 Yoshino Kogyosho Co Ltd ボトルの減圧吸収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8997A (en) * 1965-10-11 1967-03-14 Crystal Preforming And Packagi Plastic jug
JPS6252034A (ja) 1985-07-30 1987-03-0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リブとへこみパネルを有する容器
US5222615A (en) * 1985-07-30 1993-06-29 Yoshino Kogyosho Co., Ltd. Container having support structure in its bottom section
US5067622A (en) * 1989-11-13 1991-11-26 Van Dorn Company Pet container for hot filled applications
JP2604807Y2 (ja) 1993-04-26 2000-06-0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ボトル
GB9308650D0 (en) * 1993-04-27 1993-06-09 Unilever Plc Plastic containers
JP2833481B2 (ja) * 1994-07-20 1998-12-09 東洋製罐株式会社 耐座屈性プラスチックボトル
USD366421S (en) * 1994-12-19 1996-01-2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Bottle
JPH08301253A (ja) * 1995-04-27 1996-11-19 Hokkai Can Co Ltd 角型容器及びその整列方法
US5593056A (en) * 1995-05-08 1997-01-14 Pepsico., Inc. Rib for plastic container
USD378353S (en) * 1995-10-25 1997-03-11 Sahin Emre Bottle
JP2905838B2 (ja) * 1996-03-01 1999-06-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壜体
USD427077S (en) * 1996-05-06 2000-06-27 Ac Humko Corp. Bottle
USD387279S (en) * 1996-06-13 1997-12-09 Plaxicon Company Bottle
JPH10175625A (ja) * 1996-12-17 1998-06-30 Toyo Seikan Kaisha Ltd 角型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H11100018A (ja) * 1997-07-28 1999-04-13 Toyo Seikan Kaisha Ltd ボトル
USD398539S (en) * 1997-08-21 1998-09-22 Colgate-Palmolive Company Container
US5988417A (en) * 1997-11-12 1999-11-23 Crown Cork & 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Plastic container having improved rigidity
JP2000072123A (ja) * 1998-08-29 2000-03-07 Yoshino Kogyosho Co Ltd 押潰し可能な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4111291B2 (ja) * 1998-09-05 2008-07-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押潰し可能な角形プラスチックボトル
US6161713A (en) * 1998-12-07 2000-12-19 Crown Cork & Seal Technologies Corporation Bottle with integrated grip portion
USD439166S1 (en) * 1998-12-23 2001-03-20 Graham Packaging Company L.P. Container dome
JP2002145233A (ja) * 2000-11-14 2002-05-22 Toyo Seikan Kaisha Ltd 角形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2002166916A (ja) 2000-11-29 2002-06-11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2軸延伸ブロー成形軽量壜体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AU2003298855A1 (en) * 2002-12-05 2004-06-30 Graham Packaging Company, L.P. A rectangular container with cooperating vacuum panels and ribs on adjacent sid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4098B1 (ko) * 1988-04-01 1999-02-18 요시노 야타로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한 병
KR0172956B1 (ko) * 1989-07-10 1999-03-30 요시노 야타로 합성수지제 병체
JP2001322616A (ja) * 2000-05-17 2001-11-20 Yoshino Kogyosho Co Ltd ボトルの減圧吸収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45792A1 (fr) 2003-06-05
EP1459991A1 (en) 2004-09-22
JP2003226317A (ja) 2003-08-12
US20040256399A1 (en) 2004-12-23
US7114626B2 (en) 2006-10-03
JP3887753B2 (ja) 2007-02-28
AU2002349637A1 (en) 2003-06-10
EP1459991B1 (en) 2012-10-31
EP1459991A4 (en) 2009-04-01
KR20040052503A (ko) 200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4098B1 (ko) 2축 연신 블로우 성형한 병
JP4675013B2 (ja) ピンチグリップ式ボトル型容器
KR100706855B1 (ko) 합성 수지제 보틀형 용기
US7874442B2 (en) Hot-fill plastic container with ribs and grip
CA2540427C (en) Bottle with reinforced top portion
KR100937087B1 (ko) 합성수지제 용기
JP2004517784A (ja) 真空パネル、ロゴ、グリップ部が一体とされた容器
JP4756324B2 (ja) 合成樹脂製壜体
JPH0423765Y2 (ko)
JP3916842B2 (ja) 扁平ボトル
JP4291604B2 (ja) 合成樹脂製ボトル型容器
JPH0589214U (ja) 合成樹脂製壜体
JP3544706B2 (ja) 二軸延伸ブロー成形容器
JP4813285B2 (ja) 合成樹脂製ボトル
JPH0333612Y2 (ko)
JPH0740953A (ja) 合成樹脂製壜体
JPH07132924A (ja) 合成樹脂製壜体
US6971540B1 (en) Plastic container
JPH0239926Y2 (ko)
JP3982654B2 (ja) 合成樹脂製補強パネルおよびこの合成樹脂製補強パネルを用いた合成樹脂製壜体
JPH084407Y2 (ja) 2軸延伸ブロー成形壜体
JP3560368B2 (ja) 二軸延伸ブロー成形容器
JP7172035B2 (ja) 合成樹脂製容器
EP1196327A1 (en) Stackable and reinforced container
JP4287203B2 (ja) 合成樹脂製壜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