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472B1 -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침대 - Google Patents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472B1
KR100936472B1 KR1020090084399A KR20090084399A KR100936472B1 KR 100936472 B1 KR100936472 B1 KR 100936472B1 KR 1020090084399 A KR1020090084399 A KR 1020090084399A KR 20090084399 A KR20090084399 A KR 20090084399A KR 100936472 B1 KR100936472 B1 KR 100936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bed
unit
holder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현
Original Assignee
김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현 filed Critical 김지현
Priority to KR1020090084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4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8Devices for prevention against falling-out, e.g. detachable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2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releasably mounted on the bedstead or another item of furniture
    • A47B23/025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releasably mounted on the bedstead or another item of furniture mounted on the bedst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5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left-right translation m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69Presence detector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infrared sensor, micro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ublic Health (AREA)
  • Multimedia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 프레임(10), 링거홀더(20), 링거거치대(30) 및 매트(40)를 포함하는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링거홀더(20)에 삽입하여 장착하는 센서거치대(110)와, 상기 센서거치대(110)상에 개재하여 장착하는 센서부(120)와, 상기 센서거치대(110)의 상측에 링거거치대(30)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보조파이프(130)를 구비하는 감지수단(100); 상기 센서부(120)에 연결되어 인가 받은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송신부(210)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부(120)와 송신부(2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20)를 구비하는 메인박스(200); 상기 송신부(210)와 무선으로 통신하고, 상기 송신부(210)가 센서부(120)로부터 인가받은 데이터를 전송받는 수신부(300); 및 상기 수신부(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통해 제어동작을 하는 제어부(40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400)의 신호를 인가받아 외부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수단(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환자의 움직임을 센서로 감지하여가 환자가 침대에서 떨어지기 전에 이를 알림으로서 환자의 낙상을 방지할 뿐 아니라, 표준화된 링거홀더에 장착할 수 있는 감지수단을 사용함으로서 활용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90084399
환자, 침대, 낙상, 보호

Description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침대{BED FOR A SAFING ACCIDENT PREVENTION}
본 발명은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움직임을 센서로 감지하여가 환자가 침대에서 떨어지기 전에 이를 알림으로서 환자의 낙상을 방지할 뿐 아니라, 표준화된 링거홀더에 장착할 수 있는 감지수단을 사용함으로서 활용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침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환자용 침대는 환자가 편안한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된 보조기구로서, 최근 들어 그 이용률이 매우 높으며 환자의 질환에 따라 각각 다른 구조로 제작되고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환자용 침대는 링거를 거치할 수 있는 링거 거치대를 장착할 수 있는 홀더가 구비된다. 이에 따른 홀더는 국내표준화가 되어 있는 것으로 공통으로 적용되고 있다. 또한 환자용 침대는 병원마다 그 형상 및 모양과 구조가 각각 상이하여 소정의 감지모듈을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기 곤란하다. 또한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보호자가 항시 곁에 있어야 하나 그렇지 못한 경우에 환자가 침대를 이탈하여 떨어질 수도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환자의 움직임을 센서로 감지하여가 환자가 침대에서 떨어지기 전에 이를 알림으로서 환자의 낙상을 방지할 뿐 아니라, 표준화된 링거홀더에 장착할 수 있는 감지수단을 사용함으로서 활용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침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침대 프레임, 링거홀더, 링거거치대 및 매트를 포함하는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링거홀더에 삽입하여 장착하는 센서거치대와, 상기 센서거치대 상에 개재하여 장착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거치대의 상측에 링거거치대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보조파이프를 구비하는 감지수단;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어 인가 받은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부와 송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메인박스; 상기 송신부와 무선으로 통신하고, 상기 송신부가 센서부로부터 인가받은 데이터를 전송받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통해 제어동작을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인가받아 외부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센서부는 포토센서, 발광센서, 적외선센서, 레이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센서부의 작동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출력수단은 모니터 또는 스피커 또는 전광판 또는 문자호출 단말기를 통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침대는 환자의 움직임을 센서로 감지하여가 환자가 침대에서 떨어지기 전에 이를 알림으로서 환자의 낙상을 방지할 뿐 아니라, 표준화된 링거홀더에 장착할 수 있는 감지수단을 사용함으로서 활용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침대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침대의 사시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수단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침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침대 프레임(10), 링거홀더(20), 링거거치대(30) 및 매트(40)를 포함하는 환자용 침대에 관련되며, 이러한 환자용 침대에 환자의 낙상사고를 방지하도록 감지수단(100), 메인박스(200), 수신부(300), 제어부(400) 및 출력수단(50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수단(100)은 상기 링거홀더(20)에 삽입하여 장착하는 센서거치대(110)와, 상기 센서거치대(110)상에 개재하여 장착하는 센서부(120)와, 상기 센서거치대(110)의 상측에 링거거치대(30)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보조파이프(130)를 구비한다. 센서거치대(110)는 전체적으로 링거홀더(20)에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원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중단에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센서부(120)를 구비한다. 이때, 센서거치대(110)의 상측에는 링거거치대(30)를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보조파이프(130)를 연장되게 구비한다. 이는 센서거치대(110)를 링거홀더(30)에 삽입 장착됨에 따라 링거거치대(30)를 삽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함이다. 더구나, 미설명된 도면부호 131은 안전구로서, 보조파이프(130)상에 링거거치대(30)를 장착하지 않을 시에 사용하는 것인데, 이는 보조파이프(130)상에 안전구를 장착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센서부(120)는 포토센서, 발광센서, 적외선센서, 레이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서 포토센서는 물체를 검출할 때 쓰는 광(光)전 센서라 부르기도 하고, 무 접촉식으로 물체가 인식 여부를 기기에 신호를 주며, npn방식과 pnp방식이 있습니다. 즉, 포토센서는 침대의 센서거치대(110)상에 설치한다. 레이저센서는 침대 상에서 감지수단(100)이 위치하는 반대편에 반사광판을 두는 방식으로 설치한다. 적외선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나누어지는데 일측을 침대 상에서 감지수단(100)이 위치하는 반대편에 둔다. 이와 같은 센서부는 포토센서, 발광센서, 적외선센서, 레이저센서 중 어느 하나만 사용하는 것이지만, 2개 이상의 복수로 사용하면 검출 신뢰성이 향상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감지수단(100)은 센서부(120)를 각각 마주보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침대의 일측의 머리쪽과 다리쪽에 각각 설치하거나 서로 교차되도록 X자 형태로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인박스(200)는 상기 센서부(120)에 연결되어 인가 받은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송신부(210)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부(120)와 송신부(2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20)를 구비한다. 메인박스(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의 일측에 개재되어 후술하는 수신부(300)와 상호 신호를 주고 받는다. 이러한 메인박스(200)는 송신부(210)와 전원공급부(220)를 구비하는데, 송신부(210)는 센서부(120)로부터 인가받은 데이터를 전달받아 수신부(3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원공급부(220)는 일반적인 기판으로서 220v의 전원을 인가받아 센서부(120)와 송신부(210)의 작동 전압에 따라 전원을 공급한다. 예컨대, 센서부(120)는 12V를, 송신부(210)에는 5V를 각각 공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신부(300)는 송신부(210)와 무선으로 통신하고, 상 기 송신부(210)가 센서부(120)로부터 인가받은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수신부(300)는 일반적인 무선통신의 모듈로서 특정 기기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즉 송신부(210)로부터 데이터를 전달 받고, 이를 제어부(400)로 전달받은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출력수단(500)은 상기 수신부(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통해 제어동작을 하는 제어부(40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400)의 신호를 인가받아 외부로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400)는 수신부(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통해 제어동작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때 제어부(400)는 센서부(120)의 작동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주간 또는 야간으로 작동시간을 설정함으로써, 의료진의 인력현황에 맞추어 작동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수단(500)은 제어부(400)의 신호를 인가받아 외부로 신호를 출력하는데, 이때 출력수단(500)은 모니터 또는 스피커 또는 전광판 또는 문자전송(SMS)을 통하여 신호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통하여 조립에 있어서, 도 3처럼, 상측에 센서부(120)가 구비되어 있는 센서거치대(110)를 링거홀더(20)에 삽입 장착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센서거치대(110)의 위쪽에 구비되어 있는 보조파이프(130)에 링거거치대(30)를 삽입 장착할 수 도 있다. 아울러 감지수단(100)은 도 1 및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환자의 머리 쪽 양단에 위치한 링거홀더(20) 양쪽에 구비된다. 물론 상시 감지수단(100)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환자의 다리 쪽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그 개수도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센서부(120)는 메인박스(100)의 송신부(210) 및 전원공급부(220)에 연결되어, 송신부(210)에 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전원공급부(2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송신부(210)는 수신부(3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센서부(120)로부터 인가받은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무선으로 연결되는 방법은 WLAN, RFID, Bluetooth, Zigbee 등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는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한다.
아울러, 제어부(400)는 수신부(300)와 인접하여 설치되어 수신부(300)로부터 데이터를 인가 받는다. 출력수단(500)은 제어부(400) 연결되어 신호를 인가받는데, 출력수단(500)은 의료진이 출력수단(500)의 신호를 인지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되는 모니터 또는 스피커 또는 전광판 또는 문자호출 단말기 등과 연결된다.
이때 출력수단(500)은 전광판을 병원의 복도나 자주 드나드는 문프레임 상단에 설치하여 컴퓨터 앞에 있지 않은 다른 의료진이 쉽게 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문자호출단말기는 일반적으로 문자메세지를 받을 수 있는 문자호출기(pager) 또는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통하여 작동에 있어서, 우선 사용자는 제어부(400)를 조작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센서부(120)의 작동시간을 설정한다. 예컨대 의료진이 많은 주간에는 센서부(12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야간으로 작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환자가 침대 밑으로 내려오려고 하는 경우에는 사고가 많이 발생하다. 따라서 침대 위에 있는 환자가 신체를 움직여 침대 밑으로 내려오려고 할 경우에 센서부(120)에 신체가 감지되게 된다.
이어서, 센서부(120)와 연결되어 있는 송신부(210)는 센서부(120)로부터 데 이터를 인가 받아 수신부(210)로 무선 전송한다. 이때 수신부(210)는 송신부(210)로부터 인가받은 데이터를 제어부(400)로 전송하고, 제어부(400)는 송신부(210)로부터 인가받은 데이터를 통하여 환자가 침대에서 내려오는 동작을 하고 있음을 인지한다.
이후, 제어부(400)는 환자의 동작을 인지한 후 출력수단(500)을 통하여 신호를 외부를 출력한다. 출력수단(500)은 모니터 또는 스피커 또는 전광판 또는 문자호출 단말기를 통하여 신호를 출력하는데, 우선 모니터를 통하여 의료진에게 알림과 동시에 스피커를 통하여 소리로 알린다.
아울러 병원의 복도나 자주 드나드는 문프레임 상단에 설치하여 컴퓨터 앞에 있지 않은 다른 의료진이 쉽게 볼 수 있도록 설치된 전광판에도 알림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의료진 또는 보호자의 문자호출기(pager) 또는 휴대폰에 환자의 상태를 알리는 문자메시지를 호출한다.
물론 모니터 또는 스피커 또는 전광판 또는 문자호출 단말기를 통한 알림 기능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전부 사용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침대는 환자의 움직임을 센서로 감지하여 환자가 침대에서 떨어지기 전에 이를 알림으로서 환자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침대의 사시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지수단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침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감지수단 110: 센서거치대
120: 센서부 130: 보조파이프
200: 메인박스 210: 송신부
220: 전원공급부 300: 수신부
400: 제어부 500: 출력수단

Claims (4)

  1. 침대 프레임(10), 링거홀더(20), 링거거치대(30) 및 매트(40)를 포함하는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링거홀더(20)에 삽입하여 장착하는 센서거치대(110)와, 상기 센서거치대(110)상에 개재하여 장착하는 센서부(120)와, 상기 센서거치대(110)의 상측에 링거거치대(30)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보조파이프(130)를 구비하는 감지수단(100);
    상기 센서부(120)에 연결되어 인가 받은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송신부(210)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부(120)와 송신부(2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20)를 구비하는 메인박스(200);
    상기 송신부(210)와 무선으로 통신하고, 상기 송신부(210)가 센서부(120)로부터 인가받은 데이터를 전송받는 수신부(300); 및
    상기 수신부(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통해 제어동작을 하는 제어부(40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400)의 신호를 인가받아 외부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수단(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20)는 포토센서, 발광센서, 적외선센서, 레이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센서부(120)의 작동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 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500)은 모니터 또는 스피커 또는 전광판 또는 문자호출 단말기를 통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 침대.
KR1020090084399A 2009-09-08 2009-09-08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침대 KR100936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399A KR100936472B1 (ko) 2009-09-08 2009-09-08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399A KR100936472B1 (ko) 2009-09-08 2009-09-08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6472B1 true KR100936472B1 (ko) 2010-01-13

Family

ID=41809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399A KR100936472B1 (ko) 2009-09-08 2009-09-08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472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943B1 (ko) 2012-12-17 2013-07-19 주식회사 솔트 다수의 자기센서가 내장된 매트를 이용한 낙상 환자감시시스템
KR101438002B1 (ko) 2013-02-28 2014-09-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방지 장치
KR101504968B1 (ko) 2014-11-04 2015-03-24 주식회사 솔트 적외선 감지센서를 활용한 낙상환자 감지시스템
KR101532911B1 (ko) * 2013-11-01 2015-07-01 김영애 환자의 움직임을 감시하기 위한 적외선 감지 장치
KR20160071819A (ko) * 2014-12-12 2016-06-22 주식회사 나이팅게일케어시스템즈 이원화 센서를 이용한 낙상 감지 장치, 이를 이용한 낙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3043A (ko) 2014-12-16 2016-06-24 김창영 의료용 침대
KR20180120955A (ko) 2017-04-28 2018-11-07 윤성훈 인출식 안전수단을 구비한 병원용 침대
KR101932213B1 (ko) * 2018-05-11 2018-12-26 대건메디피아(주) 신체 보호용 침대
KR101932212B1 (ko) * 2018-01-26 2018-12-26 대건메디피아(주) 낙상 방지 기능을 구비한 의료용 침대
KR102258011B1 (ko) * 2020-09-23 2021-06-21 주식회사 내프터 낙상 예측 시스템 및 낙상 예측 방법
KR20220083064A (ko) 2020-12-11 2022-06-20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낙상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2486080B1 (ko) * 2022-03-10 2023-01-09 최재국 치매 환자용 낙상방지 침대 시스템
KR102666503B1 (ko) 2021-09-28 2024-05-16 나윤채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3396A (ja) 2005-03-20 2006-10-05 Shinsei Kaigo Systems Kk 徘徊・転落・転倒通報装置
KR200437091Y1 (ko) 2007-04-17 2007-11-01 인천전문대학산학협력단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한 원격 환자감시 시스템 및 이에이용되는 환자감시용 매트
KR100790000B1 (ko) 2006-05-12 2008-01-02 이국환 다목적 지능형 매트 시스템
JP2009077908A (ja) 2007-09-26 2009-04-16 Shizuoka Prefecture 被介護者動作検出装置と被介護者動作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3396A (ja) 2005-03-20 2006-10-05 Shinsei Kaigo Systems Kk 徘徊・転落・転倒通報装置
KR100790000B1 (ko) 2006-05-12 2008-01-02 이국환 다목적 지능형 매트 시스템
KR200437091Y1 (ko) 2007-04-17 2007-11-01 인천전문대학산학협력단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한 원격 환자감시 시스템 및 이에이용되는 환자감시용 매트
JP2009077908A (ja) 2007-09-26 2009-04-16 Shizuoka Prefecture 被介護者動作検出装置と被介護者動作検出方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943B1 (ko) 2012-12-17 2013-07-19 주식회사 솔트 다수의 자기센서가 내장된 매트를 이용한 낙상 환자감시시스템
KR101438002B1 (ko) 2013-02-28 2014-09-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방지 장치
KR101532911B1 (ko) * 2013-11-01 2015-07-01 김영애 환자의 움직임을 감시하기 위한 적외선 감지 장치
KR101504968B1 (ko) 2014-11-04 2015-03-24 주식회사 솔트 적외선 감지센서를 활용한 낙상환자 감지시스템
KR20160071819A (ko) * 2014-12-12 2016-06-22 주식회사 나이팅게일케어시스템즈 이원화 센서를 이용한 낙상 감지 장치, 이를 이용한 낙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24034B1 (ko) 2014-12-12 2017-04-06 주식회사 나이팅게일케어시스템즈 이원화 센서를 이용한 낙상 감지 장치, 이를 이용한 낙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3043A (ko) 2014-12-16 2016-06-24 김창영 의료용 침대
KR101639489B1 (ko) 2014-12-16 2016-07-22 김창영 의료용 침대
KR20180120955A (ko) 2017-04-28 2018-11-07 윤성훈 인출식 안전수단을 구비한 병원용 침대
KR101932212B1 (ko) * 2018-01-26 2018-12-26 대건메디피아(주) 낙상 방지 기능을 구비한 의료용 침대
KR101932213B1 (ko) * 2018-05-11 2018-12-26 대건메디피아(주) 신체 보호용 침대
KR102258011B1 (ko) * 2020-09-23 2021-06-21 주식회사 내프터 낙상 예측 시스템 및 낙상 예측 방법
KR20220083064A (ko) 2020-12-11 2022-06-20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낙상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220136972A (ko) 2020-12-11 2022-10-1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낙상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2666503B1 (ko) 2021-09-28 2024-05-16 나윤채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
KR102486080B1 (ko) * 2022-03-10 2023-01-09 최재국 치매 환자용 낙상방지 침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472B1 (ko)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침대
US20210393461A1 (en) Smart hospital headwall system
JP5385177B2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JP5765807B2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JP5424395B2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JP5527893B2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JP5278958B2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JP5957368B2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JP2010172451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JP5971798B2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CN209993058U (zh) 一种病床护理呼叫系统
KR200428049Y1 (ko) 무선 응급 구난 시스템
JP2016063464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JP2008206780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JP2005236437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CN203015057U (zh) 医疗呼叫对讲系统
JP5454925B2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JP5099913B2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JP2011072371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KR200295653Y1 (ko) 사용자의 위치파악이 가능한 무선단말장치
JP2006230480A (ja) ナースコール子機
JP2007067597A (ja) 呼び出し子機
JP2015058260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WO2023244469A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patient support apparatuses
WO2024006347A1 (en) Badge and patient support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