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503B1 -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503B1
KR102666503B1 KR1020210127607A KR20210127607A KR102666503B1 KR 102666503 B1 KR102666503 B1 KR 102666503B1 KR 1020210127607 A KR1020210127607 A KR 1020210127607A KR 20210127607 A KR20210127607 A KR 20210127607A KR 102666503 B1 KR102666503 B1 KR 102666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alarm
rotating plate
plate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5126A (ko
Inventor
나윤채
Original Assignee
나윤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윤채 filed Critical 나윤채
Priority to KR1020210127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503B1/ko
Publication of KR20230045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2Side-rails characterised by safety means, e.g. to avoid injuries to patient or careg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24Side-rail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accessories, e.g. bed control means, nurse call or reading l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r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매환자가 침대에서 내려오고자 하는 경우, 사전에 경고음을 알리거나 보호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치매환자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치매환자가 침대로부터 이탈하고자 하는 경우 알람을 울려 치매환자의 낙상방지 및 침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저면에 부착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과 연결되어 상기 침대의 저면에서 돌출되어, 치매환자가 발로 밟게 되면 하부측으로 회전하는 회전판; 상기 고정판에 근접하도록 상기 회전판에 장착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고정판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이 치매환자의 발에 의해 하부측으로 회전되는 경우 알람을 울리는 경보부; 및 상기 회전판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판과 연결하는 힌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THE WARNING DEVICE OF BED ESCAPE FOR DEMENTIA PATIENT}
본 발명은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매환자가 침대에서 내려오고자 하는 경우, 사전에 경고음을 알리거나 보호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치매환자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의료 기술의 발달과 식생활의 개선으로 인해 현대사회는 차츰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그에 따라 노령층 인구수는 차츰 증가하고 있고, 노령층 인구수가 증가함에 따라 치매와 같은 노인성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쉽게 치료하기 어려운 다양한 병명의 중증환자들도 늘어나 병원에서 장기간 치료를 받는 경우가 더욱더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치매환자나 중증환자들은 링거액 공급을 위한 링거줄, 호흡보조를 위한 코줄, 소변배출을 위한 소변줄 등을 비롯한 다양한 의료기기들을 착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상태나 치료경과 등을 확인하기 위한 다양한 의료장비들의 보조를 받고 있다.
그러나, 치매환자나 중증환자들은 치료행위로 인한 스트레스나 우울증 등으로 인하여 침상을 이탈하여 주변의 의료장비들을 파손하거나 주변의 물건들을 집어 던지는 등과 같은 행위를 하는 경우가 있어서 환자들의 치료 및 환자의 보호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요양원이나 요양병원을 벗어나서 길거리를 배회하다가 길을 잃거나 사고를 당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침대의 이탈을 감지할 수 있는 기술들이 제시되어 왔다. 특허 제1770057호는 압력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요양병원에서 요양생활을 하는 환자 및 노약자 등과 같은 피보호자의 야간의 화장실로의 이동에 따른 낙상 사고 등에 대배하기 위한 압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환자의 움직임 여부를 파악하여 표시해 줄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특허 제1250423호는 낙상 보호용 침대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침대프레임, 매트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에서, 침대프레임 양쪽 측면 일부에 상기 침대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일정 길이의 판형으로 상기 환자의 낙상으로 인한 접촉시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어 낙상을 감지하는 감지레버; 및 상기 감지레버가 상기 낙상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감지레버가 스위칭 on 되어 상기 환자가 지면에 닿기 전에 작동되어 상기 환자를 보호하는 에어백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들은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장비를 구비하여 낙상시의 부상을 방지하는 등 다수의 구성들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실제 적용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고, 그에 따라 실제 침대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지 않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43864호(2011.06.16.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1250423호(2013.03.28. 등록) 등록특허공보 제10-1254792호(2013.04.09. 등록)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21676호(2020.03.02.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치매환자가 침대를 내려오려고 발을 딛는 순간 알람이 울릴 수 있는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매환자가 침대를 이탈하고자 하는 경우, 보호자에게 알려 치매환자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이 단순하여 고장의 발생이 적고,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치매환자가 침대로부터 이탈하고자 하는 경우 알람을 울려 치매환자의 낙상방지 및 침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저면에 부착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과 연결되어 상기 침대의 저면에서 돌출되어, 치매환자가 발로 밟게 되면 하부측으로 회전하는 회전판; 상기 고정판에 근접하도록 상기 회전판에 장착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고정판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이 치매환자의 발에 의해 하부측으로 회전되는 경우 알람을 울리는 경보부; 및 상기 회전판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판과 연결하는 힌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고정판은,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에 자석, 접착패드 또는 공기 흡착판 형태의 접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침대의 저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고정판을 상기 침대의 저면에 직접 장착하기 위한 볼트 형태의 접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힌지부는, 경첩으로 이루어져 고정판과 회전판의 저면에서 상기 고정판과 상기 회전판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힌지부는, 일측은 고정판에 고정장착되고, 타측은 회전판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연결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바는, 상기 고정판과 상기 회전판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센서부는, 회전판의 상부면에 장착되거나, 고정판과 접촉되는 회전판의 측면에서 끼워져 장착되거나, 회전판의 저면에 장착되고, 경보부는, 상기 센서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에 장착되거나, 상기 회전판과 접촉되는 상기 고정판의 측면에서 끼워져 장착되거나, 상기 고정판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센서부와 서로 마주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센서부는, 마그네틱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고, 경보부는, 상기 센서부에 대응하여, 상기 센서부의 움직임에 따라 회로의 ON/OFF 작동을 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ON 작동에 따라 구동되는 알람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센서부는, 마그네틱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고, 경보부는, 상기 센서부에 대응하여, 상기 센서부의 움직임에 따라 회로의 ON/OFF 작동을 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ON 작동 신호에 따라 알람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MCU와, 상기 MCU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알람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알람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알람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알람부는, 상기 송신부의 유무선 신호를 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알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센서부는, 마그네틱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고, 경보부는, 상기 센서부에 대응하여, 상기 센서부의 움직임에 따라 회로의 ON/OFF 작동을 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ON 작동에 따라 구동되는 알람과,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알람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MCU와, 상기 MCU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알람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송신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알람신호는 보호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동되어, 상기 보호자 단말기는 상기 알람신호를 받아서 경고 메세지 또는 경고음을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는, 치매환자가 침대를 이탈하고자 하는 경우, 침대이탈 전에 이를 알릴 수 있기 때문에 치매환자 보호 및 치매환자에 의해 발생되는 기물 파괴 등에 따른 재산상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는, 치매환자가 침대를 이탈하기 전에 미리 알람을 울리거나 보호자에게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치매환자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는, 구성이 단순하여 고장의 발생이 적고 그에 따라 설치비용 등 경제적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대한 일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의 제4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가 장착된 침대와, 환자의 움직임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가 침대에 장착되는 방법을 도시한 장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에 사용되는 센서부와 경보부의 제1실시예의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에 사용되는 센서부와 경보부의 제2실시예의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에 사용되는 센서부와 경보부의 제3실시예의 블럭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대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의 제4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가 장착된 침대와, 환자의 움직임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가 침대에 장착되는 방법을 도시한 장착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에 사용되는 센서부와 경보부의 제1실시예의 블럭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에 사용되는 센서부와 경보부의 제2실시예의 블럭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에 사용되는 센서부와 경보부의 제3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10)의 제1실시예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10)는, 환자가 사용하는 침대(50)의 저면에 부착되는 고정판(12)과, 고정판(12)과 연결되어 침대(50)의 저면에서 침대 외측으로 돌출되고 치매환자가 발로 밟게 되면 하부측으로 회전하는 회전판(11)과, 고정판(12)에 근접하도록 회전판(11)에 장착되는 센서부(14)와, 센서부(14)와 마주보도록 고정판(12)에 설치되어, 회전판(11)이 치매환자의 발에 의해 하부측으로 회전되는 경우 알람을 울리는 경보부(14)와, 회전판(11)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판(12)과 연결하는 힌지부(16)로 구성된다.
고정판(12)과 접하는 회전판(11)의 상부면 접촉면 측에는 센서부(15)가 고정장착된다. 센서부(15)와 마주보도록 경보부(14)가 회전판(11)과 접하는 고정판(12)의 상부면의 접촉면 측에 고정 장착된다. 또한, 고정판(12)에는 고정판(12)을 침대(50)의 저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접착부(13)가 형성된다. 접착부(13)는 침대(50) 프레임(51)에 부착되기 때문에 자석, 전후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탈부착이 가능한 접착패드 또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공기가 빠지면서 부착되는 공기 흡착판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부(13)는 또한 탈부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볼트(미도시)로 침대 프레임(51)에 완전히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이러한 부착방법의 변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단순한 설계 변경 사항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고정판(12)의 저면에는 고정판(12)을 탈부착하기 위한 손잡이(17)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7)가 없는 경우라도 고정판(12)의 후단을 잡으면 접착부(13)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손잡이(17)가 없어도 무방하다. 또한, 손잡이(17)는 손잡이를 직립하고 접을 수 있도록 손잡이 하부측에 힌지(미도시)를 형성하면, 고정판(12)을 침대 프레임(51)으로부터 분리할 때는 직립시키고, 장착된 상태에서 접어 놓으면 손잡이가 돌출되지 않아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접착부(13)는 침대 저면의 금속 프레임에 장애물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접착부(13)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슬롯형태의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힌지부(16)는 회전판(11')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경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판(12)과 회전판(11)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는 자석(18)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측에는 자석을 고정하고 타측은 금속을 고정할 수 있다. 고정판(12)과 회전판(11)이 서로 접하는 접촉면인 두께 부분에 자석(18)을 형성함으로써, 힌지부(16)를 보조할 수 있다. 힌지부(16)가 오랜 사용으로 고정되지 못하고 쉽게 회전되는 경우, 자석(18)에 의해 고정판(12)과 회전판(11)이 서로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힌지부(16)를 보조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10')의 제2실시예이다. 도 1의 제1실시예와 구성은 동일하나, 센서부(15)와 경보부(14)의 설치방법이 다르다. 제2실시예의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10')도, 환자가 사용하는 침대(50)의 저면에 부착되는 고정판(12')과, 고정판(12')과 연결되어 침대(50)의 저면에서 침대 외측으로 돌출되고 치매환자가 발로 밟게 되면 하부측으로 회전하는 회전판(11')과, 고정판(12')에 근접하도록 회전판(11')에 장착되는 센서부(14)와, 센서부(14)와 마주보도록 고정판(12')에 설치되어, 회전판(11')이 치매환자의 발에 의해 하부측으로 회전되는 경우 알람을 울리는 경보부(14')와, 회전판(11')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판(12')과 연결하는 힌지부(16)로 구성된다.
고정판(12')과 접하는 회전판(11')의 상부면 접촉면 측에는 센서부(15)가 고정 장착된다. 센서부(15)와 마주보도록 경보부(14)가 회전판(11')과 접하는 고정판(12')의 상부면 접촉면 측에 고정 장착된다. 또한, 고정판(12')에는 고정판(12')을 침대(50)의 저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접착부(13)가 형성된다. 접착부(13)는 침대(50) 프레임(51)에 부착되기 때문에 자석, 전후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탈부착이 가능한 접착패드 또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공기가 빠지면서 부착되는 공기 흡착판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접착부(13)는 탈부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볼트로 침대 프레임(51)에 완전히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이러한 부착방법의 변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단순한 설계 변경 사항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고정판(12')의 저면에는 고정판(12')을 탈부착하기 위한 손잡이(17)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7)가 없는 경우라도 고정판(12')의 후단을 잡으면 접착부(13)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손잡이(17)가 없어도 무방하다. 또한, 손잡이(17)는 손잡이를 직립하고 접을 수 있도록 손잡이 하부측에 힌지(미도시)를 형성하면, 고정판(12')을 침대 프레임(51)으로부터 분리할 때는 직립시키고, 장착된 상태에서 접어 놓으면 손잡이가 돌출되지 않아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힌지부(16)는 회전판(11')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경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고정판(12')과 회전판(11')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는 자석(18)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측에는 자석을 고정하고 타측은 금속을 고정할 수 있다. 고정판(12')과 회전판(11')이 서로 접하는 접촉면인 두께 부분에 자석(18)을 형성함으로써, 힌지부(16)를 보조할 수 있다. 힌지부(16)가 오랜 사용으로 힌지부만으로 회전판(11')의 고정이 잘 안되는 경우, 자석(18)에 의해 고정판(12')과 회전판(11')이 서로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힌지부(16)를 보조할 수 있다. 도 3은 회전판(11')과 고정판(12')에 센서부(15)와 경보부(14)가 장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2')에는 경보부 장착 슬롯(121')이 형성되고, 경보부(14)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122')이 형성된다. 경보부(14)는 경보부 장착 슬롯(12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경보부(14)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122')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경보부(14)를 완전히 커버하는 형태로 꽂는 경우라면 공간(122')이 형성되지 않고, 경보부 장착 홈이 형성됨은 자명하다. 마찬가지로 센서부(15)는 센서부 장착 슬롯(111')에 삽입 장착되어 고정된다. 센서부(15)가 위치하는 공간(112')이 경보부와 마찬가지로 형성되나, 공간(112')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홈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10")의 제3실시예이다. 도 4의 제3실시예도 제1실시예와 구성은 동일하나, 회전판(11")과 고정판(12')의 전체적인 형상이 상이하다. 그에 따라 센서부(15)와 경보부(14)의 설치방법에서도 차이점을 가진다. 제3실시예의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10")는, 환자가 사용하는 침대(50)의 저면에 부착되는 고정판(12")과, 고정판(12")과 연결되어 침대(50)의 저면에서 침대 외측으로 돌출되고 치매환자가 발로 밟게 되면 하부측으로 회전하는 회전판(11")과, 고정판(12")에 근접하도록 회전판(11")에 장착되는 센서부(14)와, 센서부(14)와 마주보도록 고정판(12")에 설치되어, 회전판(11")이 치매환자의 발에 의해 하부측으로 회전되는 경우 알람을 울리는 경보부(14)와, 회전판(11")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판(12")과 연결하는 힌지부(16")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고정판(12")과 회전판(11")은 PE 소재, PP소재, PVC 소재 등의 폴리머를 이용한 사출성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고정판(12")과 접하는 회전판(11")의 저면측에는 센서부(15)가 고정판(12")과 접하도록 고정 장착된다. 또한, 센서부(15)와 마주보도록 경보부(14)가 회전판(11")과 접하는 고정판(12")의 저면 측에 고정 장착된다. 고정판(12") 상부면에는 고정판(12")을 침대(50)의 저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접착부(13)가 형성된다. 접착부(13)는 침대(50) 프레임(51)에 부착되기 때문에 자석, 전후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탈부착이 가능한 접착패드 또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공기가 빠지면서 부착되는 공기 흡착판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접착부(13)는 탈부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볼트로 침대 프레임(51)에 완전히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이러한 부착방법의 변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단순한 설계 변경 사항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고정판(12")의 저면에는 고정판(12")을 탈부착하기 위한 손잡이(1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7)가 없는 경우라도 고정판(12")의 후단을 잡고 접착부(13)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손잡이(17)가 없어도 무방하다. 또한, 손잡이(17)는 손잡이를 직립하고 접을 수 있도록 손잡이 하부측에 힌지(미도시)를 형성하면, 고정판(12')을 침대 프레임(51)으로부터 분리할 때는 직립시키고, 장착된 상태에서는 접어 놓으면 손잡이가 돌출되지 않아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힌지부(16)는 회전판(11")에는 힌지축이 형성되고 고정판(12")에는 힌지축이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어도 경첩의 역할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구성도 경첩으로 표현한다. 또한, 고정판(12")과 회전판(11")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는 자석(18)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양측 모두에 자석(18)을 형성하거나, 일측에는 자석을 고정하고 타측은 금속을 형성하여 서로 탈부착할 수도 있다. 고정판(12")과 회전판(11")이 서로 접하는 접촉면인 두께 부분에 자석(18)을 형성함으로써, 힌지부(16)를 보조할 수 있다. 힌지부(16)가 오랜 사용으로 힌지부만으로 회전판(11")의 고정이 잘 안되는 경우, 자석(18)에 의해 고정판(12")과 회전판(11")이 서로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힌지부(16)를 보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10"')의 제4실시예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의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10"')는, 힌지부(16"')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점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경보장치(10"')는, 환자가 사용하는 침대(50)의 저면에 부착되는 고정판(12)과, 고정판(12)과 연결되어 침대(50)의 저면에서 침대 외측으로 돌출되고 치매환자가 발로 밟게 되면 하부측으로 회전하는 회전판(11)과, 고정판(12)에 근접하도록 회전판(11)에 장착되는 센서부(14)와, 센서부(14)와 마주보도록 고정판(12)에 설치되어, 회전판(11)이 치매환자의 발에 의해 하부측으로 회전되는 경우 알람을 울리는 경보부(14)와, 회전판(11)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판(12)과 연결하는 힌지부(16"')로 구성된다.
고정판(12)과 접하는 회전판(11)의 상부면 접촉면 측에는 센서부(15)가 고정장착된다. 센서부(15)와 마주보도록 경보부(14)가 회전판(11)과 접하는 고정판(12)의 상부면의 접촉면 측에 고정 장착된다. 또한, 고정판(12)에는 고정판(12)을 침대(50)의 저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접착부(13)가 형성된다. 접착부(13)는 침대(50) 프레임(51)에 부착되기 때문에 자석, 전후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탈부착이 가능한 접착패드 또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공기가 빠지면서 부착되는 공기 흡착판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부(13)는 또한 탈부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볼트로 침대 프레임(51)에 완전히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이러한 부착방법의 변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단순한 설계 변경 사항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고정판(12)의 저면에는 고정판(12)을 탈부착하기 위한 손잡이(17)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7)가 없는 경우라도 고정판(12)의 후단을 잡으면 접착부(13)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손잡이(17)가 없어도 무방하다. 또한, 손잡이(17)는 손잡이를 직립하고 접을 수 있도록 손잡이 하부측에 힌지(미도시)를 형성하면, 고정판(12)을 침대 프레임(51)으로부터 분리할 때는 직립시키고, 장착된 상태에서 접어 놓으면 손잡이가 돌출되지 않아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힌지부(16"')는 회전판(11)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회전판(11)과 고정판(12)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연결바 형태로 이루어진다. 연결바(16"')는 일측은 회전판(11)에 고정되고 타측은 고정판(12)에 장착되는데, 회전판(11)에는 힌지축(162"')으로 형성되어 회전판(11)의 회전이 가능하게 하고, 고정판(12)에는 고정축(161"')으로 형성되어 연결바(16"')가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연결바(16"')에는 타원형 홀(미도시)을 형성하고, 타원형 홀에 힌지축(162"')이 고정됨으로써, 회전판(11)과 고정판(12)의 유격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고정판(12)과 회전판(11)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는 자석(18)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양측 모두에 자석(18)을 사용하거나, 일측에는 자석을 고정하고 타측은 금속을 고정할 수도 있다. 고정판(12)과 회전판(11)이 서로 접하는 접촉면인 두께 부분에 자석(18)을 형성함으로써, 회전판(11)과 고정판(12)이 서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치매환자가 발로 밟는 경우에는 쉽게 회전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침대(50)와 치매환자의 움직임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6의 침대(50)는 침대 프레임(51)과 매트리스(52) 및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53)으로 이루어진다. 통상 침대 프레임(51)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금속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이탈 경보장치(10)는 침대 프레임(51)의 저면에 부착된다. 치매환자가 회전판(11)을 밟게 되면 회전판(11)이 고정판으로부터 떨어지면서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경보부(14)의 알람이 작동되어, 치매환자의 움직임이 간호사, 요양사 등 보호자에게 알려지게 된다. 그에 따라 보호자는 적당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10, 10', 10", 10"')에 사용되는 센서부(15)와 경보부(14)에 대한 구성이다. 경보부(14)와 센서부(15)는 회전판과 고정판의 실시예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경보장치의 제1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5)는 마그네틱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의 경보부(14)는, 센서부(15)의 움직임에 따라 전원을 ON/OFF 하는 스위치(141)와, 스위치(141)의 ON 작동에 따라 구동되는 알람(142)으로 구성된다.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세부적인 구성은 생략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IC칩이 더 사용될 수 있다. 센서부(15)가 장착된 회전판(10)이 치매환자의 발에 의해 회전하면서 하부로 내려가는 경우, 센서부(15)가 경보부(14)로부터 멀어짐에 다라 스위치(141)는 ON 상태가 되고, 스위치가 ON이 됨에 따라 알람(142)이 벨, 소리 또는 음성 등으로 울리게 되며, 알람이 울림에 따라 보호자가 치매환자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통상 마그네틱 센서는 자석을 이용하고, 스위치(141)는 자석의 움직임에 따라 ON/OFF 되는 리드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외선 센서의 센서 신호를 받아서 스위치가 구동되는 통신형 스위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9는 센서부(15)와 연동되는 경보부(14')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경보부(14')는 메인부(140')와 알람부(142')가 서로 별개로 형성된다. 우선 메인부(140')는, 센서부(15)와 연동되어 ON/OFF 작동되는 스위치(141')와, 스위치의 작동신호를 받아서 알람부(142')로 제어하기 위한 MCU(Main Control Unit)(143')와, MCU(143')의 제어신호를 받아서 알람부(142')로 전송하는 송신부(144')로 이루어진다. 알람부(142')는, 메인부(14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며, 송신부(144')의 신호를 받는 수신부(142-1')와, 수신부(142-1')에서 전송된 신호에 따라 알람이 울리는 알람부(142')로 이루어진다. 메인부(140')는 고정판(11)의 저면에 장착된다. 알람부(142')는 요양원 내의 병실 또는 병실 바깥 복도측에 부착될 수 있다. 센서부(15)는 앞선 실시예에 설명한 바와 같이, 마그네틱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판(11)에 장착된 센서부(15)가 치매환자의 발에 의해 하부측으로 회전하게 되며, 센서부(15)와 스위치(141')가 서로 떨어지게 되고, 센서부(15)가 스위치(14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스위치(141')가 ON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MCU(143')는 스위치의 ON 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송신부(144')를 전송하고, 송신부(144')는 MCU(143')의 제어신호를 알람부(142')로 전송한다. 알람부(142')는 수신부(142-1')에서 MCU(143')의 제어신호를 받아서 알람(142-2')로 전송하게 되면 알람(142-2')이 울리게 되어 보호자가 이를 인식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알람(142-2')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벨, 소리 또는 음성 등으로 울릴 수 있다.
도 10은 센서부(15)와 연동되는 경보부(14")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경보부(14")는 센서부(15)와 연동되어 ON/OFF 작동되는 스위치(141")와, 스위치의 작동신호를 받아서 알람(142")을 울릴 수 있도록 알람(142")으로 알람신호를 보내고 네트워크(20)를 통해 보호자의 단말기(30)로 알람신호를 보내는 MCU(Main Control Unit)(143")와, MCU(143")의 알람신호를 받아서 네트워크(20)를 통해 보호자의 단말기(30)로 알람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144")로 이루어진다. 알람(142")은 직접 스위치(141")의 ON 작동에 의해 직접 구동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MCU(143')는 송신부(144")로 알람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송신부(144")는 보호자의 단말기(30)와 연동되어 알람신호를 수신하고, 알람신호가 수신된 단말기(30)는 문자 또는 진동으로 치매환자가 침대에서 이탈하고 있음을 알려주게 된다. 상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서도 알람은 별도로 병실의 복도 외측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단순한 설계변경 사항에 불과한 영역이다. 센서부(15)는 앞선 실시예에 설명한 바와 같이, 마그네틱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판(11)에 장착된 센서부(15)가 치매환자의 발에 의해 하부측으로 회전하게 되며, 센서부(15)와 스위치(141")가 서로 떨어지게 되고, 센서부(15)가 스위치(14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스위치(141")가 ON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MCU(143")는 스위치의 ON 신호에 따라 알람신호를 송신부(144")를 전송하고, 송신부(144')는 MCU(143')의 알람신호를 네트워크(20)를 통해 보호자의 단말기(30)로 전송한다. 보호자의 단말기(30)는 알람신호를 전송받아 메시지, 진동 또는 음성 메시지를 통해서 보호자에게 알려준다. 그에 따라 보호자는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침대이탈 경보장치
11 : 회전판
12 : 고정판
13 : 접착부
14 : 경보부
15 : 센서부
16 : 힌지부
17 : 손잡이
18 : 자석
20 : 네트워크
30 : 단말기
50 : 침대

Claims (8)

  1. 치매환자가 침대로부터 이탈하고자 하는 경우 알람을 울려 치매환자의 낙상방지 및 침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저면에 부착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과 연결되어 상기 침대의 저면에서 돌출되어, 치매환자가 발로 밟게 되면 하부측으로 회전하는 회전판;
    상기 고정판에 근접하도록 상기 회전판에 장착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고정판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이 치매환자의 발에 의해 하부측으로 회전되는 경우 알람을 울리는 경보부; 및
    상기 회전판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판과 연결하는 힌지부;
    로 구성되고,
    상기 센서부는, 마그네틱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경보부는, 상기 센서부에 대응하여, 상기 센서부의 움직임에 따라 회로의 ON/OFF 작동을 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ON 작동에 따라 구동되는 알람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
  2. 치매환자가 침대로부터 이탈하고자 하는 경우 알람을 울려 치매환자의 낙상방지 및 침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저면에 부착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과 연결되어 상기 침대의 저면에서 돌출되어, 치매환자가 발로 밟게 되면 하부측으로 회전하는 회전판;
    상기 고정판에 근접하도록 상기 회전판에 장착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고정판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이 치매환자의 발에 의해 하부측으로 회전되는 경우 알람을 울리는 경보부; 및
    상기 회전판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판과 연결하는 힌지부;
    로 구성되고,
    상기 센서부는, 마그네틱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경보부는, 상기 센서부에 대응하여, 상기 센서부의 움직임에 따라 회로의 ON/OFF 작동을 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ON 작동 신호에 따라 알람 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MCU와, 상기 MCU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알람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알람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알람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알람부는, 상기 송신부의 유무선 신호를 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알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
  3. 치매환자가 침대로부터 이탈하고자 하는 경우 알람을 울려 치매환자의 낙상방지 및 침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저면에 부착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과 연결되어 상기 침대의 저면에서 돌출되어, 치매환자가 발로 밟게 되면 하부측으로 회전하는 회전판;
    상기 고정판에 근접하도록 상기 회전판에 장착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고정판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이 치매환자의 발에 의해 하부측으로 회전되는 경우 알람을 울리는 경보부; 및
    상기 회전판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판과 연결하는 힌지부;
    로 구성되고,
    상기 센서부는, 마그네틱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며,
    상기 경보부는, 상기 센서부에 대응하여, 상기 센서부의 움직임에 따라 회로의 ON/OFF 작동을 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ON 작동에 따라 구동되는 알람과, 상기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알람신호의 전송을 제어하는 MCU와, 상기 MCU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알람신호를 전송하는 송신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송신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알람신호는 보호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동되어, 상기 보호자 단말기는 상기 알람신호를 받아서 경고 메세지 또는 경고음을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에 자석, 접착패드 또는 공기 흡착판 형태의 접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침대의 저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고정판을 상기 침대의 저면에 직접 장착하기 위한 볼트 형태의 접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경첩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판과 상기 회전판의 저면에서 상기 고정판과 상기 회전판을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일측은 상기 고정판에 고정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판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회전판에 장착되는 연결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바는, 상기 고정판과 상기 회전판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회전판의 상부면에 장착되거나, 상기 고정판과 접촉되는 상기 회전판의 측면에서 끼워져 장착되거나, 상기 회전판의 저면에 장착되고,
    상기 경보부는, 상기 센서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에 장착되거나, 상기 회전판과 접촉되는 상기 고정판의 측면에서 끼워져 장착되거나, 상기 고정판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센서부와 서로 마주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
  8. 삭제
KR1020210127607A 2021-09-28 2021-09-28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 KR102666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607A KR102666503B1 (ko) 2021-09-28 2021-09-28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607A KR102666503B1 (ko) 2021-09-28 2021-09-28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126A KR20230045126A (ko) 2023-04-04
KR102666503B1 true KR102666503B1 (ko) 2024-05-16

Family

ID=85928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607A KR102666503B1 (ko) 2021-09-28 2021-09-28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650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1252A (ja) 2006-05-12 2007-11-22 Kamiya Tri:Kk 離床検出装置
KR100936472B1 (ko) 2009-09-08 2010-01-13 김지현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침대
KR101250423B1 (ko) * 2010-05-31 2013-04-19 주식회사 넷블루 환자 낙상 보호용 침대 및 관리 시스템
KR101287943B1 (ko) 2012-12-17 2013-07-19 주식회사 솔트 다수의 자기센서가 내장된 매트를 이용한 낙상 환자감시시스템
KR101770057B1 (ko) * 2016-02-24 2017-08-21 한국건설 주식회사 압력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4717B2 (ja) 2006-01-20 2010-07-28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離床予測・検知システムを備えた寝台装置
KR101254792B1 (ko) 2012-04-20 2013-04-17 가온소프트(주) 침대 이탈 감지시스템
KR20180004334A (ko) * 2018-01-02 2018-01-10 (주)유비코드 환자 낙상 예방을 위한 감지 시스템
KR20200021676A (ko) 2018-08-21 2020-03-02 주식회사 스톤웰 침대 이탈 감지 장치
KR102409929B1 (ko) * 2019-09-24 2022-06-16 위보환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1252A (ja) 2006-05-12 2007-11-22 Kamiya Tri:Kk 離床検出装置
KR100936472B1 (ko) 2009-09-08 2010-01-13 김지현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침대
KR101250423B1 (ko) * 2010-05-31 2013-04-19 주식회사 넷블루 환자 낙상 보호용 침대 및 관리 시스템
KR101287943B1 (ko) 2012-12-17 2013-07-19 주식회사 솔트 다수의 자기센서가 내장된 매트를 이용한 낙상 환자감시시스템
KR101770057B1 (ko) * 2016-02-24 2017-08-21 한국건설 주식회사 압력 센서를 이용한 환자 및 노약자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126A (ko)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0482A (en) Patient monitor
CA255649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mporarily disabling a patient monitor
AU2001241755B2 (en) Pressure sensitive mat with breathing tube apparatus
US6611783B2 (en) Attitude indicator and activity monitoring device
US6917293B2 (en) Integral, flexible, electronic patient sensing and monitoring system
EP2548473B1 (en) Moisture detection system for use on a hospital bed
US7999690B1 (en) Door excess weight alarm
US7474224B2 (en) Patient monitor with magnetic disarming circuit
AU2001241755A1 (en) Pressure sensitive mat with breathing tube apparatus
US8419660B1 (en) Patient monitoring system
US20130245503A1 (en) Patient Monitoring System with Unitary Structure and Method
CN103824418A (zh) 离床监护的报警系统及床、报警装置及其报警方法
JP2007301252A (ja) 離床検出装置
WO2006012460A3 (en) Enhanced acoustic monitoring and alarm response
KR102666503B1 (ko)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
CN103617697A (zh) 一种医用离床报知呼叫系统及其工作方法
TWI528333B (zh) Off-bed detection device
US20060030182A1 (en) Patient presenc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20230129645A (ko) 낙상알리미 장치
US6476724B1 (en) Crib gate position indicator
JP3586773B2 (ja) ベッド落下予知警報装置
JP3826505B2 (ja) セキュリティ装置
TWM465161U (zh) 醫療用床之床欄警示裝置
CN109191787A (zh) 用于老人的非接触式生命监测系统
JPH11213266A (ja) シート状センサを利用した簡易型徘徊報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