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423B1 - 환자 낙상 보호용 침대 및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자 낙상 보호용 침대 및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423B1
KR101250423B1 KR1020100051160A KR20100051160A KR101250423B1 KR 101250423 B1 KR101250423 B1 KR 101250423B1 KR 1020100051160 A KR1020100051160 A KR 1020100051160A KR 20100051160 A KR20100051160 A KR 20100051160A KR 101250423 B1 KR101250423 B1 KR 101250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fall
bed
detection lev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1626A (ko
Inventor
김정일
김학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넷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넷블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넷블루
Priority to KR1020100051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423B1/ko
Publication of KR20110131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8Devices for prevention against falling-out, e.g. detachable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26Restraining en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rsing (AREA)
  • Biophysics (AREA)
  • Dent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상 보호용 침대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침대프레임, 매트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프레임 양쪽 측면 일부에 상기 침대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일정 길이의 판형으로 상기 환자의 낙상으로 인한 접촉시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어 낙상을 감지하는 감지레버; 및 상기 감지레버가 상기 낙상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감지레버가 스위칭 on 되어 상기 환자가 지면에 닿기 전에 작동되어 상기 환자를 보호하는 에어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낙상 보호용 침대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게 되면, 환자가 실제로 침대에서 낙상하는 경우에도 다치지 않고 안전하게 환자를 보호할 수 있고, 안전가드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환자의 낙상 충격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정전사고 등 불의의 상황에도 완벽하게 낙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침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환자의 낙상에 따른 보호와 더불어, 그 사실을 외부로 네트워크를 통해 즉각적인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고, 관련 보호자에게 모바일을 통해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완벽하게 환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환자 낙상 보호용 침대 및 관리 시스템{safe bed for patient fall, and servant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낙상을 방지 또는 보호용 침대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환자용 침대는 환자가 편안한 상태를 취할 수 있도록 된 보조기구로서, 최근 들어 그 이용률이 매우 높으며 환자의 질환에 따라 각각 다른 구조로 제작되고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환자용 침대는 링거를 거치할 수 있는 링거 거치대를 장착할 수 있는 홀더가 구비된다. 이에 따른 홀더는 국내표준화가 되어 있는 것으로 공통으로 적용되고 있다. 또한 환자용 침대는 병원마다 그 형상 및 모양과 구조가 각각 상이하여 소정의 감지모듈을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기 곤란하다. 또한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보호자가 항시 곁에 있어야 하나 그렇지 못한 경우에 환자가 침대를 이탈하여 떨어질 수도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종래의 기술에서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미리 낙상하기 전에 환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경보음 등을 울리는 방법으로 환자 스스로 낙상상태를 인지하여 방지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낙상 방지용 침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침대 프레임(10), 링거홀더(20), 링거거치대(30) 및 매트(40)를 포함하는 환자용 침대에 관련되며, 이러한 환자용 침대에 환자의 낙상사고를 방지하도록 감지수단(100), 메인박스(200), 수신부(300), 제어부(400) 및 출력수단(50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지수단(100)은 상기 링거홀더(20)에 삽입하여 장착하는 센서거치대(110)와, 상기 센서거치대(110)상에 개재하여 장착하는 센서부(120)와, 상기 센서거치대(110)의 상측에 링거거치대(30)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보조파이프(130)를 구비한다. 센서거치대(110)는 전체적으로 링거홀더(20)에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원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중단에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센서부(120)를 구비한다. 이때, 센서거치대(110)의 상측에는 링거거치대(30)를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보조파이프(130)를 연장되게 구비한다.
이는 센서거치대(110)를 링거홀더(30)에 삽입 장착됨에 따라 링거거치대(30)를 삽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함이다. 더구나, 미설명된 도면부호 131은 안전구로서, 보조파이프(130)상에 링거거치대(30)를 장착하지 않을 시에 사용
하는 것인데, 이는 보조파이프(130)상에 안전구를 장착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센서부(120)는 포토센서, 발광센서, 적외선센서, 레이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포토센서는 물체를 검출할 때 쓰는 광(光)전 센서라 부르기도 하고, 무 접촉식으로 물체가 인식 여부를 기기에 신호를 주며, npn방식과 pnp방식이 있습니다. 즉, 포토센서는 침대의 센서거치대(110)상에 설치한다.
레이저센서는 침대 상에서 감지수단(100)이 위치하는 반대편에 반사 광판을 두는 방식으로 설치한다. 적외선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나누어지는데 일측을 침대 상에서 감지수단(100)이 위치하는 반대편에 둔다. 이와 같은 센서부는 포토센서, 발광센서, 적외선센서, 레이저센서 중 어느 하나만 사용하는 것이지만, 2개 이상의 복수로 사용하면 검출 신뢰성이 향상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감지수단(100)은 센서부(120)를 각각 마주보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침대의 일측의 머리쪽과 다리쪽에 각각 설치하거나 서로 교차되도록 X자 형태로도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낙상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센서의 고장이나 시스템의 고장 또는 정전으로 인하여 환자의 낙상상태를 감지할 수 없는 경우, 환자가 낙상하는 경우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측면에 안전가드를 설치하여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였으나, 인권침해 문제로 안전가드를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에 환자를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낙상방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환자가 실제로 낙상하는 경우에도 다치지 않고 안전하게 환자를 보호할 수 있는 침대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또한, 안전가드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환자의 낙상 충격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정전사고에도 완벽하게 낙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침대프레임, 매트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환자가 낙상되는 경우, 상기 침대의 측면 양쪽에 설치되어 상기 환자가 낙상하는 경우, 상기 환자의 접촉에 의해 낙상을 감지하는 감지레버; 상기 감지레버가 상기 낙상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감지레버와 연결되어 상기 환자가 지면에 닿기 전에 펼쳐져 상기 환자를 보호하는 에어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레버에서 낙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에에벡의 스위칭을 on하고, 상기 감지레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감지레버는 상기 침대프레임 양쪽 측면 일부에 설치되고, 일정 길이의 판형으로 상기 환자의 접촉시 탄성력을 갖고 회동되면서 상기 에어백의 스위칭을 on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지레버는 쿠션 커버가 씌어진 것일 수 있고, 상기 감지레버로부터 상기 환자의 낙상신호를 받고 스위칭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에어백의 스위칭으로 on 신호를 보내고, 상기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침대프레임, 매트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환자가 낙상되는 경우, 상기 침대의 측면 양쪽에 설치되어 상기 환자의 낙상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에서 상기 환자의 낙상신호를 받고 스위칭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감지센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스위칭 신호에 의해 상기 환자가 지면과 충돌하기 전에 펼쳐지는 에어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침대프레임 양쪽 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침대프레임 양쪽 측면 일부에 설치되고, 일정 길이의 판형으로 상기 환자의 접촉시 탄성력을 갖고 회동되면서 낙상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완충장치는 쿠션 커버가 씌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낙상 보호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침대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낙상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환자상태를 모니터하고 상기 낙상신호를 전송하는 관리서버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낙상신호를 수신받는 모바일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제공하면, 낙상방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환자가 실제로 침대에서 낙상하는 경우에도 다치지 않고 안전하게 환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안전가드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환자의 낙상 충격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정전사고에도 완벽하게 낙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침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환자의 낙상에 따른 보호와 더불어, 그 사실을 외부로 네트워크를 통해 즉각적인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고, 관련 보호자에게 모바일을 통해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완벽하게 환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낙상 방지용 침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낙상 보호용 침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낙상 보호용 침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의 낙상 보호 침대를 구비하는 낙상 보호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낙상 보호용 침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낙상 보호용 침대는 침대프레임(1), 매트(3)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환자가 낙상되는 경우, 상기 침대의 측면 양쪽에 설치되어 상기 환자가 낙상하는 경우, 상기 환자의 접촉에 의해 낙상을 감지하는 감지레버(5); 상기 감지레버(5)가 상기 낙상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감지레버(5)와 연결되어 상기 환자가 지면에 닿기 전에 펼쳐져 상기 환자를 보호하는 에어백(airbag)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환자가 침대에 누워서 잠이든 상태에서, 주변에 보호자가 없는 경우 환자의 잠버릇 등을 통하여 침대에서 낙상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환자가 침대에서 낙상하는 경우 중증 골절, 요통 등에게는 낙상으로 인한 충격이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낙상을 미연에 감지하여 경고를 함으로써, 방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뜻하지 않게 낙상될 수 있다는 점에서 환자를 보호할 장치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환자가 낙상상태에 이르는 경우 외부 경고음을 통해 환자에게 경각심을 환기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로 환자가 낙상되는 경우 침대 하부 측면에 설치되는 에어백을 통해 환자를 낙상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낙상보호 침대에 관한 것이다.
구성 및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침대는 프레임(1)과 프레임(1) 상부에 위치하는 매트(3)로 구성되는데, 침대의 양쪽 측면에는 직사각형의 판형 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판형 레버는 낙상 감지레버(5)로서, 환자가 낙상하는 경우 측면 일부에 설치된 감지레버(5) 눌리면서 회동하게 되고, 상기 감지레버(5)와 연결된 감지레버(5)의 하부에 양쪽에 숨겨져 설치된 에어백이 펼쳐지면서 쿠션으로 작용하여 환자의 낙상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시스템이다.
여기서, 감지레버(5)와 에어백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전기식으로 스위칭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고, 기계식으로 스위칭 밸브와 상기 감지레버(5)가 연결되어 감지레버(5)가 환자와의 접촉을 통해 회동하게 되면 바로 에어백이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기계식으로 직접연결되게 되면, 외부의 전원장치가 사고에 의해 차단된다. 하더라도 계속적으로 환자를 낙상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전기식 장치보다 내구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식 장치는 감지레버(5)와 에어백이 도선을 통해 에어백 장치 자체적으로 보유한 스위칭 장치와 직접 연결되어 전기 신호에 에어백이 동작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감지레버(5)의 선택적 동작의 제어를 위해 제어부(7)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레버(5)는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서 환자가 낙상시 접촉하는 경우 회동하게 되는데, 침상의 높이에서 지면까지의 낙하 속도를 줄여 낙상충격을 상당부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직사각형 모양의 판형 감지레버(5)의 표면을 쿠션을 갖는 커버로 씌워 설치하게 되면 더욱 충격 완화의 효과와 환자의 작은 접촉에 의한 상해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감지레버(5)는 환자 외의 사람들이 침대에 다가가면서 발생될 수 있는 접촉 확률을 줄이기 위해서 침대 프레임(1)의 측면 길이만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전면 또는 후면 일부에 설치하여 되도록이면 환자가 낙상하는 경우에만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또한 환자가 침대에서 이탈하여 화장실을 가거나 이동시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어부(7)는 환자의 낙상으로 인해 감지레버(5)가 접촉되어 회동 되는 경우, 전기 신호를 받아 에어백의 스위칭 신호를 전송하여 에어백을 동작시키는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환자 주변에 보호자가 있는 경우와 같이, 특별히 낙상을 감시하고 보호장치를 작동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전원을 차단하여, 환자 외의 사람들이 감지레버(5)의 접촉을 통한 불필요한 에어백 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낙상 보호용 침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침대프레임(1), 매트(3)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환자가 낙상되는 경우, 상기 침대의 측면 양쪽에 설치되어 상기 환자의 낙상을 감지하는 감지센서(6); 상기 감지센서(6)에서 상기 환자의 낙상신호를 받고 스위칭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감지센서(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 및 상기 스위칭 신호에 의해 상기 환자가 지면과 충돌하기 전에 펼쳐지는 에어백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의 실시예는, 침대의 양쪽 측면 또는 상부 하부 측면에 감지센서(6)가 설치되어 있다. 감지센서(6)는 낙상 감지센서(6)로서, 포토센서 또는 레이저센서 등으로 환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침대의 측면 경계부분에 다다르는 경우 낙상으로 감지하게 되어, 감지센서(6)와 도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측면 하부에 양쪽에 숨겨져 설치된 에어백이 펼쳐지면서 쿠션으로 작용하여 환자의 낙상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시스템이다.
여기서, 감지센서(6)와 에어백 사이에는 제어부(7)가 설치되는데, 제어부(7)는 감지센서(6)에서 상기 환자의 낙상신호를 받고 스위칭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감지센서(6)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즉, 감지센서(6)가 환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낙상하려고 하는 경우 낙상신호를 제어부(7)로 보내게 되면, 제어부(7)에서는 감지센서(6)의 신호를 스위칭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스위칭 신호를 다시 에어백으로 전송하여 에어백을 터트리게됨으로써, 환자가 지면에 닿기 전에 펼쳐짐으로써 환자를 낙상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도 2의 실시예와는 달리, 감지센서(6)에 의해 환자의 낙상 직전의 상태를 감지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고 빠르게 반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침대에는 측면에 도 2에 예시된 감지레버(5)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낙상충격 완충장치(4)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완충장치(4)는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서 환자가 낙상시 접촉하는 경우 회동하게 되는데, 침상의 높이에서 지면까지의 낙하 속도를 줄여 낙상충격을 상당부분 완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직사각형 모양의 판형 완충장치(4)의 표면을 쿠션을 갖는 커버로 씌워 설치하게 되면 충격 완화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작은 접촉에 의한 상해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역시 낙상충격 완충장치(4)는 환자 외의 사람들이 침대에 다가가면서 발생될 수 있는 접촉 확률을 줄이기 위해서 침대 프레임(1)의 측면 길이만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전면 또는 후면 일부에 설치하여 되도록이면 환자가 낙상하는 경우에만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또한 환자가 침대에서 이탈하여 화장실을 가거나 이동시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의 나머지 구성은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의 낙상 보호 침대를 구비하는 낙상 보호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낙상 보호용 침대(150)와, 상기 침대로부터 네트워크(170)를 통하여 낙상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환자상태를 모니터하고 상기 낙상신호를 전송하는 관리서버(250)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낙상신호를 수신받는 모바일(31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의 낙상 보호 침대(150)에 존재하는 제어부(7)에서 낙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170)를 통하여 관리서버(250)로 전송하게 된다. 전송된 상기 디지털 신호는 상기 관리서버)250)에 내장된 프로그램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외부의 환자의 보호자 또는 병원의 클라이언트의 모바일(310, 350)) 등에게 상기 환자의 낙상상태의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낙상 후의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환자의 낙상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켜 보호하는 것 뿐만 아니라, 그 후 환자가 정신적 충격에 빠질 수 있고 비상상황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외부의 간병인, 보호자 및 병원관계자에게 전송하여 알려 줄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종합적이고 안전한 환자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리서버(250)에서는 환자와 근접거리에 있는 중앙통제실의 서버로서, 상기 서버에 상주하는 간병인이나 기타 관리자가 항상 환자를 상기 낙상 신호를 전송받아 항상 모니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긴급한 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낙상 보호용 침대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게 되면, 낙상방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환자가 실제로 침대에서 낙상하는 경우에도 다치지 않고 안전하게 환자를 보호할 수 있고, 안전가드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환자의 낙상 충격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정전사고 등 불의의 상황에도 완벽하게 낙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침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환자의 낙상에 따른 보호와 더불어, 그 사실을 외부로 네트워크를 통해 즉각적인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고, 관련 보호자에게 모바일을 통해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완벽하게 환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 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침대 프레임, 2: 가드, 3: 매트, 4: 완충장치 5: 감지레버
6: 감지센서, 7: 제어부, 9: 에어백(airbag), 150: 낙상 보호용 침대,
170: 네트워크, 250: 관리서버, 310: 모바일, 350: 병원

Claims (10)

  1. 침대프레임, 매트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프레임 양쪽 측면 일부에 상기 침대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일정 길이의 판형으로 상기 환자의 접촉시 일정한 저항력을 갖고 회동 되면서 낙상 충격을 완화시키고, 상기 환자의 낙상으로 인한 접촉시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어 낙상을 감지하는 완충 낙상 감지레버; 및
    상기 감지레버가 상기 낙상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감지레버가 스위칭 on 되어 상기 환자가 지면에 닿기 전에 작동되어 상기 환자를 보호하는 에어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보호용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레버에서 낙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에에벡의 스위칭을 on하고, 상기 감지레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보호용 침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레버는 쿠션 커버가 씌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보호용 침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레버로부터 상기 환자의 낙상신호를 받고 스위칭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에어백의 스위칭으로 on 신호를 보내고, 상기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낙상 보호용 침대.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00051160A 2010-05-31 2010-05-31 환자 낙상 보호용 침대 및 관리 시스템 KR101250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160A KR101250423B1 (ko) 2010-05-31 2010-05-31 환자 낙상 보호용 침대 및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160A KR101250423B1 (ko) 2010-05-31 2010-05-31 환자 낙상 보호용 침대 및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626A KR20110131626A (ko) 2011-12-07
KR101250423B1 true KR101250423B1 (ko) 2013-04-19

Family

ID=45499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160A KR101250423B1 (ko) 2010-05-31 2010-05-31 환자 낙상 보호용 침대 및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42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819A (ko) 2014-12-12 2016-06-22 주식회사 나이팅게일케어시스템즈 이원화 센서를 이용한 낙상 감지 장치, 이를 이용한 낙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83067A (ko) 2018-01-03 2019-07-11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방지용 침대
KR20230045126A (ko) 2021-09-28 2023-04-04 나윤채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
KR20230129645A (ko) 2022-03-02 2023-09-11 나윤채 낙상알리미 장치
KR102666503B1 (ko) * 2021-09-28 2024-05-16 나윤채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515212D0 (en) * 2015-08-27 2015-10-14 Eldridge Daniel A bed safety device
CN107569014A (zh) * 2017-10-27 2018-01-12 湖南时变通讯科技有限公司 防止婴幼儿坠床摔伤的设备
KR20200021676A (ko) 2018-08-21 2020-03-02 주식회사 스톤웰 침대 이탈 감지 장치
KR102608941B1 (ko) 2021-11-12 2023-12-01 인빅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환자의 이상 행동 탐지 시스템
KR102601770B1 (ko) * 2021-12-02 2023-11-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침상낙하 예측 방법과 침상낙하 보호 장치
KR102486080B1 (ko) * 2022-03-10 2023-01-09 최재국 치매 환자용 낙상방지 침대 시스템
CN115192336B (zh) * 2022-08-02 2023-08-15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一种智能型防跌落床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2065A (en) 1991-01-08 1991-10-01 West Raymond O Impact cushioning device for bed or wheelchair
US6594835B2 (en) * 2001-10-05 2003-07-22 Raymond O. West Impact cushioning system sensor to detect and prevent fall related injuries
JP2006263396A (ja) 2005-03-20 2006-10-05 Shinsei Kaigo Systems Kk 徘徊・転落・転倒通報装置
JP2009077908A (ja) 2007-09-26 2009-04-16 Shizuoka Prefecture 被介護者動作検出装置と被介護者動作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2065A (en) 1991-01-08 1991-10-01 West Raymond O Impact cushioning device for bed or wheelchair
US6594835B2 (en) * 2001-10-05 2003-07-22 Raymond O. West Impact cushioning system sensor to detect and prevent fall related injuries
JP2006263396A (ja) 2005-03-20 2006-10-05 Shinsei Kaigo Systems Kk 徘徊・転落・転倒通報装置
JP2009077908A (ja) 2007-09-26 2009-04-16 Shizuoka Prefecture 被介護者動作検出装置と被介護者動作検出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819A (ko) 2014-12-12 2016-06-22 주식회사 나이팅게일케어시스템즈 이원화 센서를 이용한 낙상 감지 장치, 이를 이용한 낙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83067A (ko) 2018-01-03 2019-07-11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방지용 침대
KR20230045126A (ko) 2021-09-28 2023-04-04 나윤채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
KR102666503B1 (ko) * 2021-09-28 2024-05-16 나윤채 치매환자용 침대이탈 경보장치
KR20230129645A (ko) 2022-03-02 2023-09-11 나윤채 낙상알리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626A (ko)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423B1 (ko) 환자 낙상 보호용 침대 및 관리 시스템
KR101725624B1 (ko)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감지하는 낙상 감지 서버 및 낙상 감지 서버가 수행하는 낙상 감지 방법
KR100936472B1 (ko) 안전사고 방지용 보호침대
US6204767B1 (en) Chair monitor
US20030197608A1 (en) Person-individual emergency recognition system
JP3124757U (ja) 倒れ非常通報装置
EP2098206B1 (en) Alarm system
US20090163778A1 (en) Personal Warning Apparatus
GB2491376A (en) Hip protectors comprising electronic fall detection systems
KR20120083946A (ko) 공사현장의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
CN106617454A (zh) 一种安全帽
JP3925649B2 (ja) 転倒検出方法及び転倒救助方法
CN107248261A (zh) 一种防止婴儿跌落的智能安全防护装置
KR101702574B1 (ko)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 위험을 판단하는 장치가 포함된 침대
KR101241089B1 (ko) 침상 낙상 감지용 알람 패드,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상 낙상 판단 방법
US20210078845A1 (en) Anti-extrusion device and aerial work platform
AU2021105073A4 (en) Alarm buzzer for baby fall protector bed
KR20120004479U (ko) 초음파 진동을 이용한 유리 파괴 장치
KR102404971B1 (ko) 환자의 낙상 감시시스템 및 그 감시방법
KR20190089539A (ko) 긴급 상황을 알려주는 휠체어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015631B1 (ko) 사용자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TWI500000B (zh) Protective cover of the bed
CN103680056A (zh) 一种儿童坠床预警系统及方法
CN212878584U (zh) 一种带危险报警功能的智能床
KR20220010666A (ko) 베드용 낙상 방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