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624B1 -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감지하는 낙상 감지 서버 및 낙상 감지 서버가 수행하는 낙상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감지하는 낙상 감지 서버 및 낙상 감지 서버가 수행하는 낙상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624B1
KR101725624B1 KR1020150048927A KR20150048927A KR101725624B1 KR 101725624 B1 KR101725624 B1 KR 101725624B1 KR 1020150048927 A KR1020150048927 A KR 1020150048927A KR 20150048927 A KR20150048927 A KR 20150048927A KR 101725624 B1 KR101725624 B1 KR 101725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ll
user
result
information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0046A (ko
Inventor
배정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ublication of KR20160080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an emergency event, e.g. a f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61B5/1117Fall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6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 A61B5/1128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using a particular sensing technique using image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2Ma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13Medical image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Monitoring the patient using a local or closed circuit, e.g. in a room or bui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82Event detection, e.g. detecting unique waveforms indicative of a medical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85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for synchronising or triggering a physiological measurement or image acquisition with a physiological event or waveform, e.g. an ECG sign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감지하는 게이트웨이 및 게이트웨이가 수행하는 낙상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게이트웨이가 수행하는 낙상 감지 방법은 사용자가 낙상하면서 발생하는 압력, 낙상과 관련된 사용자의 음성 및 낙상에 따른 사용자의 상태를 통해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고, 낙상인 경우, 단말로 낙상된 사용자의 상태를 전달함에 따라 보호자로 하여금 적절한 대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감지하는 낙상 감지 서버 및 낙상 감지 서버가 수행하는 낙상 감지 방법{FALL DETECTION SERVER FOR SENSING TO FALL WHETHER OF USER AND FALL DETECTION METHOD FOR PERFORMING FALL DETECTION SERVER}
아래의 설명은 낙상 감지 서버 및 낙상 감지 서버가 수행하는 낙상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침대에서 낙상하면서 발생하는 압력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한 낙상 감지 서버에 관한 것이다.
낙상사고는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갑작스럽게 넘어지거나 떨어져서 신체가 다치는 것으로 뼈와 근육에 상처를 입히는 사고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낙상사고는 신체의 움직임이 미숙한 어린아이 또는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에게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나, 최근에는 나이와 신체조건에 상관없이 젊은 사람들도 자주 낙상사고를 당한다.
또한, 낙상사고는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발생함에 따라 위험한 사고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사용자의 낙상 상태를 주변인들이 알지 못하며, 낙상한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여 치료할 수 있는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낙상한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낙상 감지 기법이 제안되었다. 구체적으로, 낙상 감지 기법은 사용자가 장착한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낙상 상태를 판단한 후, 센서의 GPS 정보를 통해 낙상한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기법이다.
하지만, 센서를 이용한 낙상 감지 기법은 낙상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므로 배터리 소모의 증가, 낙상 감지 오류의 증가, 오류 감지에 대한 필터링 효율 감소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센서를 이용한 낙상 감지 기법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센서정보를 기반으로 낙상사고를 감지하기 때문에 낙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센서정보(손으로 흔드는 행위, 뛰는 행위 및 부딪히는 행위)를 사용자가 제공하는 경우 이를 낙상으로 판단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낙상사고에 따른 판단을 위해 센서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정보를 보강하여 낙상사고 인지 또는 사용자의 의도적인 동작인지를 파악할 수 있는 보다 정확한 낙상 감지 방법이 제안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낙상에 대한 감지하기 위해 센서정보뿐만 아니라, 압전 소자, 동영상 또는 음성과 같은 다른 정보를 추가하여 낙상여부를 감지하는 낙상 감지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낙상이 감지되면, 사용자와 연관된 단말로 사용자의 상태를 전달하는 낙상 감지 방법을 제안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 감지 서버가 수행하는 낙상 감지 방법은 침대에 인접하여 배치된 압전판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압력에 따른 전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전기 정보에 기초해 사용자의 제1 낙상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장치를 트리거링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및 수신한 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낙상 정보를 사용자와 연관된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압전판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발생된 전기의 변화량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발생된 전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압전판에 가해진 압력의 강도가 낙상과 관련된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발생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정보는 상기 침대에서 낙상하면서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이 압전판에 접촉함에 따라 압전판에 가해진 면적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 감지 방법은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한 이후에, 상기 사용자의 낙상에 따른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를 트리거링하는 단계; 및 상기 트리거링된 마이크로부터 사용자의 낙상과 관련된 소리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제2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한 소리 정보가 사용자로부터 발화되어 미리 등록된 낙상과 관련된 사용자의 음성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트리거링하는 단계는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집한 소리 정보 중에 사용자의 음성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침대에서 낙상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제2 낙상 여부의 판단 결과를 더 포함한 사용자의 낙상 정보를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가 수행하는 낙상 감지 방법은 침대에 인접하여 배치된 압전판에 가해진 압력에 의한 전기의 변화량에 따른 전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낙상 감지 서버에 상기 수신한 전기 정보를 전달하여 전달된 전기 정보에 따른 마이크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신호를 마이크에 전달하고, 신호에 따라 트리거링된 마이크로부터 사용자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낙상 감지 서버에 수신한 소리 정보를 전달하여 전달된 소리 정보에 따른 촬영장치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신호를 촬영장치에 전달하고, 신호에 따라 트리거링된 촬영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한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낙상 감지 서버에 수신한 영상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 감지 서버는,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전기 정보가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발생되었는지에 대한 제1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낙상 여부의 결과에 따라 마이크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게이트웨이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소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인지 또는 수집한 소리 중에 사용자의 음성이 포함되었는지에 대한 제2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낙상 여부의 결과에 따라 촬영장치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게이트웨이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낙상 정보를 사용자와 연관된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가 수행하는 낙상 감지 방법은 압력판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압력에 따른 전기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제1 낙상 여부의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낙상 여부의 결과에 따라 압력판에 의해 트리거링된 마이크로부터 사용자의 낙상과 관련된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제2 낙상 여부의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낙상 여부의 결과에 따라 마이크에 의해 트리거링된 촬영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상태에 대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제3 낙상 여부의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낙상 여부의 결과, 제2 낙상 여부의 결과 및 제3 낙상 여부의 결과를 낙상 감지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 감지 서버는 상기 게이트웨이와 페어링되어 상기 제1 낙상 여부의 결과, 제2 낙상 여부의 결과 및 제3 낙상 여부의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제1 낙상 여부의 결과, 제2 낙상 여부의 결과 및 제3 낙상 여부의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낙상 정보를 사용자와 연관된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 감지 서버는 침대에 인접하여 배치된 압전판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압력에 따른 전기 정보를 수신하는 전기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한 전기 정보에 기초해 사용자의 제1 낙상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사용자의 낙상에 따른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를 트리거링하는 마이크 트리거링부; 상기 트리거링된 마이크로부터 사용자의 낙상과 관련된 소리 정보를 수신하는 소리 정보 수신부; 상기 쉰한 소리 정보에 기초해 사용자의 제2 낙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장치를 트리거링하는 촬영장치 트리거링부; 상기 촬영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영상 정보 수신부 및 상기 판단 결과 및 수신한 영상 정보를 따른 사용자의 낙상 정보를 사용자와 연관된 단말에 전달하는 단말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는 침대에 인접하여 배치된 압전판에 가해진 압력에 의한 전기의 변화량에 따른 전기 정보를 수신하는 전기 정보 수신부;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낙상 감지 서버에 상기 수신한 전기 정보를 전달하여 전달된 전기 정보에 따른 마이크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 트리거링 수신부; 상기 수신한 신호를 마이크에 전달하고, 신호에 따라 트리거링된 마이크로부터 사용자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 정보를 수신하는 소리 정보 수신부; 상기 낙상 감지 서버에 수신한 소리 정보를 전달하여 전달된 소리 정보에 따른 촬영장치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촬영장치 트리거링 수신부; 상기 수신한 신호를 촬영장치에 전달하고, 신호에 따라 트리거링된 촬영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한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영상 정보 수신부; 및 상기 낙상 감지 서버에 수신한 영상 정보를 전달하는 영상 정보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 감지 서버는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전기 정보가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발생되었는지에 대한 제1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낙상 여부 판단부; 상기 제1 낙상 여부의 결과에 따라 마이크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게이트웨이에 전달하는 마이크 트리거링 전달부;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소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인지 또는 수집한 소리 중에 사용자의 음성이 포함되었는지에 대한 제2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낙상 여부 판단부; 상기 제2 낙상 여부의 결과에 따라 촬영장치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게이트웨이 전달하는 촬영장치 트리거링 전달부; 및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낙상 정보를 사용자와 연관된 단말에 전달하는 단말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는 압력판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압력에 따른 전기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제1 낙상 여부의 결과를 수신하는 제1 낙상 결과 수신부; 상기 제1 낙상 여부의 결과에 따라 압력판에 의해 트리거링된 마이크로부터 사용자의 낙상과 관련된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제2 낙상 여부의 결과를 수신하는 제2 낙상 결과 수신부; 상기 제2 낙상 여부의 결과에 따라 마이크에 의해 트리거링된 촬영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상태에 대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제3 낙상 여부의 결과를 수신하는 제3 낙상 결과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제1 낙상 여부의 결과, 제2 낙상 여부의 결과 및 제3 낙상 여부의 결과를 낙상 감지 서버에 전달하는 낙상 감지 서버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 감지 서버는 상기 게이트웨이와 페어링되어 상기 제1 낙상 여부의 결과, 제2 낙상 여부의 결과 및 제3 낙상 여부의 결과를 수신하는 낙상 결과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제1 낙상 여부의 결과, 제2 낙상 여부의 결과 및 제3 낙상 여부의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낙상 정보를 사용자와 연관된 단말에 전달하는 단말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낙상 감지 방법은 기존의 센서정보 이외에 압전 소자, 동영상 또는 음성과 같은 다른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의 낙상에 따른 현재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낙상 감지 방법은 사용자의 낙상에 따른 사용자와 연관된 단말에 상태를 전달함으로써, 사용자의 예상하지 못한 낙상에 따른 사용자의 신체 상해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 감지 시스템에 대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낙상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으로 인한 사용자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전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일실시예에 따른 압전판을 통해 감지되는 압력의 강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일실시예에 따른 압전판을 통해 감지되는 면적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압전판과 연결되는 게이트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에 따른 사용자의 상태가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 감지 시스템에 대한 구상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낙상 감지 시스템은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낙상 감지 장치, 낙상 감지 서버(104) 및 단말(10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사용자를 보호하는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소지한 보호자 단말일 수 있다.
낙상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낙상에 따른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로써, 사용자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압전판, 사용자의 주변 배경을 촬영할 수 있는 촬영장치 및 사용자의 주변음성을 수집할 수 있는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낙상 감지 서버(104)는 낙상 감지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낙상과 관련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낙상 감지 서버(104)는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압력, 동영상, 음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따른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낙상 감지 서버(104)는 침대(101)에 인접하여 배치된 압전판을 통해 침대(101)에 위치한 사용자가 바닥으로 낙상함에 따른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압전판은 침대 주변으로 바닥 또는 침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압력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낙상 감지 서버(104)는 사용자가 소지하거나 착용할 수 있는 장치로써,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장치,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낙상 감지 서버(104)는 낙상 감지 장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낙상 감지 장치에서 판단된 결과를 단말(105)에 전달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낙상 감지 서버(104)는 압전판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압력으로 인한 전기의 발생 여부와 관련된 전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낙상 감지 서버(104)는 발생된 전기 정보가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전기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전기는 사용자에 의해 압전판에 가해진 압력의 강도가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발생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기 정보는 사용자로 하여금 예상하지 못한 움직임으로 인해 압전판에 가해진 압력으로 인하여 발생된 전기의 변화량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전기는 사용자의 낙상으로 인해 발생한 전기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압전판에 가해진 압력의 강도 또는 면적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낙상 감지 서버(104)는 수신한 전기 정보에 기초해 사용자의 제1 낙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낙상 감지 서버(104)는 전기 신호를 통해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전기가 발생된 경우에 따른 제1 낙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낙상 감지 서버(104)는 판단된 결과에 대응하여 마이크(102)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102)를 트리거링한다는 것은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전기가 발생함에 따른 사용자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낙상 감지 서버(104)는 트리거링된 마이크(102)로부터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수집할 수 있다. 낙상 감지 서버(104)는 전기가 발생한 공간에 배치된 마이크(102)를 통해 사용자의 낙상에 따른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수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낙상 감지 서버(104)는 사용자의 낙상으로 예상되는 전기가 발생됨에 따라 사용자의 낙상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을 수행하기 위해 소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낙상 감지 서버(104)는 수집한 소리로부터 낙상과 관련된 사용자의 음성이 수집되었는지에 대한 제2 낙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낙상과 관련된 사용자의 음성은 낙상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해에 따른 신음소리, 사용자의 구조 요청 음성 또는 미 설정된 패턴을 가지는 음성 등 사용자의 낙상을 알리기 위한 다양한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음성이 소리에 수집된 경우, 낙상 감지 서버(104)는 사용자의 상태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장치(103)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장치(103)를 트리거링 한다는 것은 사용자의 음성이 소리 정보에 수집됨에 따라 현재 사용자의 상태를 촬영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낙상 감지 서버(104)는 촬영장치(103)의 트리거링된 결과 또는 촬영장치(103)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상태에 대한 영상 정보를 사용자와 연관된 단말(105)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장치(103)의 트리거링된 결과를 단말(105)에 전달한다는 것은 사용자가 낙상하였다고 예상됨에 따라 현재 상태를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촬영장치가 활성화되었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함일 수 있다.
낙상 감지 서버(104)는 사용자의 낙상에 대하여 압전판에 가해지는 압력 및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통해 사용자의 낙상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낙상 감지 서버(104)는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낙상되어 바닥에 누워있거나 앉아있는 현재 상태를 단말(104)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보호자는 전달된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낙상에 따른 보호자의 적절한 대처가 수행될 수 있다.
결국, 낙상 감지 서버(104)는 사용자의 낙상과 관련된 전기 정보, 소리 정보, 영사 정보가 발생함에 따라 사용자의 예상치 못한 낙상인지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동작인지를 단계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낙상에 따른 관리에 대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낙상 감지 서버(104)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촬영장치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낙상 감지 시스템은 사용자의 낙상으로 인한 의식불명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음성을 발성할 수 없는 상황을 고려하여 마이크를 동반한 촬영장치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낙상 감지 서버(104)는 촬영장치의 트리거링된 결과 또는 촬영된 사용자의 상태를 사용자와 연관된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낙상 감지 시스템은 침대에서 낙상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결과에 포함하여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낙상 감지 서버에 대한 동작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게이트웨이(20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상 감지 장치로부터 단계(1), (2), (3) 의 각 순서에 따라 사용자의 낙상과 관련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단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204)는 낙상 감지 서버(205)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낙상을 감지하기 위한 압전판(201), 마이크(202), 촬영장치(203)로부터 각 장치에서 센싱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1)에서 게이트웨이(204)는 압전판(201)에서 판단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낙상과 관련된 전압 또는 면적에 의해 결정된 전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204)는 압전판(201)으로부터 감지된 낙상과 관련된 전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기 정보를 낙상 감지 서버(205)에 전달할 수 있다.
낙상 감지 서버(205)는 게이트웨이(204)로부터 수신한 전기 정보와 미리 설정되어 사용자의 낙상에 따른 압력과 관련된 전기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낙상 감지 서버(205)는 수신한 전기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제1 낙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낙상 감지 서버(205)는 사용자가 낙상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의 낙상과 관련된 음성을 수집하기 위해 마이크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게이트웨이(204)에 전송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204)는 낙상 감지 서버(205)로부터 마이크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기 위한 마이크(202)가 트리거링되도록 수신된 신호를 마이크(202)에 전달할 수 있다.
단계(2)에서 마이크(202)는 게이트웨이(204)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트리거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웨이(204)는 트리거링된 마이크(202)를 통해 낙상으로 인한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소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게이트웨이(204)는 수신한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소리 정보를 낙상 감지 서버(205)에 전달할 수 있다. 낙상 감지 서버(205)는 게이트웨이(204)로부터 수신한 소리 정보와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낙상과 관련된 음성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제2 낙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낙상 감지 서버(205)는 사용자의 제2 낙상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장치(203)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게이트웨이(204)에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낙상 감지 서버(205)는 사용자의 낙상에 따라 촬영장치(203)를 트리거링하지 않고, 압전판 및 마이크를 통해 판단된 결과를 단말(206)에 바로 전달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204)는 낙상 감지 서버(205)로부터 촬영장치(203)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촬영장치(203)에 전달할 수 있다.
단계(3)에서 촬영장치(203)는 게이트웨이(204)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대응하여 트리거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웨이(204)는 촬영장치를 통해 촬영된 낙상에 의한 사용자의 현재 모습을 담은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이 때, 촬영장치(203)는 적외선 카메라일 수 있다. 게이트웨이(204)는 촬영장치(203)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낙상 감지 서버(205)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낙상 감지 서버(205)는 게이트웨이(204)로부터 사용자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낙상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낙상 감지 서버(205)는 판단된 사용자의 낙상 정보를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결국, 게이트웨이(204)는 사용자의 낙상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압전판(201), 마이크(202), 촬영장치(203)를 통해 사용자의 낙상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낙상 감지 서버(205)는 게이트웨이(204)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낙상 여부에 따라 단계적으로 사용자의 낙상에 대한 실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낙상 감지 서버(205)는 낙상 감지 장치와 페어링된 게이트웨이(204)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낙상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음에 따라 게이트웨이(204)로부터 수신된 각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낙상 감지 서버에 대한 동작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낙상 감지 장치는 도 3과 같이 1단계부터 5단계의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트리거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에 따른 각 단계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낙상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낙상과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는 압전판(301), 마이크(302), 촬영장치(30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낙상 감지 장치는 내부적으로 감지된 사용자의 낙상과 관련된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낙상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낙상 여부에 따른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낙상 감지 장치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낙상 감지 장치는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판단 기준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1)에서 압전판(301)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낙상과 관련된 전압 또는 면적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압전판(301)은 기 설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감지된 전압 또는 면적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2)에서 압전판(301)은 사용자가 낙상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낙상과 관련된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소리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마이크를 트리거링할 수 있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압전판(301)은 생성된 신호를 마이크에 전달하고 마이크로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했다는 결과를 게이트웨이(304)에 전달할 수 있다.
단계(3): 마이크(302)는 압전판(301)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트리거링 됨으로써, 전원이 턴온되고, 낙상과 관련된 사용자의 음성 또는 주변 소리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302)는 수집한 사용자의 음성 또는 주변 소리를 기반으로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현재 낙상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마이크(302)는 사용자의 낙상과 관련된 음성에 따라 사용자가 낙상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촬영장치(303)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촬영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302)는 촬영장치(303)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전달하였다는 것에 대하여 게이트웨이(304)에 알림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단계(4)에서 촬영장치(303)는 마이크(302)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낙상과 관련된 사용자의 현재 모습을 수집하기 위해 트리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촬영장치(303)는 트리거링 됨으로써, 전원이 턴온되고, 낙상에 의한 사용자의 현재 영상 또는 주변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단계(5) 촬영장치(303)는 촬영한 사용자의 영상을 게이트웨이(304)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웨이(304)는 전달된 사용자의 영상을 낙상 감지 서버(305)에 전달할 수 있다. 낙상 감지 서버(305)는 사용자의 낙상과 관련된 결과를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갑작스런 응급 상황에 따른 낙상 감지 장치에 의한 상황 판단에 따라 보다 신속하게 보호자를 호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호자 또는 의료진으로부터 상황에 따른 처방을 제공받을 수 있다.
결국, 낙상 감지 장치는 M2M 방식으로 압전판(301), 마이크(302) 및 촬영장치(303)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으로 인한 사용자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전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압전판은 침대에 인접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를 살펴보면 압전판은 침대를 중심으로 바닥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압전판은 사용자의 낙상과 관련된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침대의 바닥면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압전판은 사용자가 침대에서 낙상하는 경우, 낙상에 따른 압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살펴보면 압전판은 침대에 직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압전판은 사용자의 낙상과 관련된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침대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압전판은 사용자가 침대에서 낙상하기 직전에 접촉되는 부분에 배치되어 실시간으로 낙상에 따른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압전판은 사용자의 낙상에 따른 1차적인 추측을 위해 사용되는 전기 정보를 감지하여 낙상 감지 서버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낙상 감지 서버는 전기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압전판에 가하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낙상 감지 서버는 압전판에 가해진 압력에 의한 전기 정보에 따른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마이크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또한 압전판은 게이트웨이에 대한 필요조건 없이 자체적으로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라 마이크를 트리거링할 수 있다.
도 5은 일실시예에 따른 압전판을 통해 감지되는 압력의 강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을 참고하면, 압전판은 사용자가 가하는 압력에 따른 서로 다른 강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압전판은 감지된 압력의 강도에 대응하여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를 살펴보면, 압전판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압력의 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일상적인 생활에 따라 압전판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압전판은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압력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낙상 감지 서버는 발생된 전기와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전기와 비교함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동작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낙상 감지 서버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된 전기가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전기를 발생시키지 않는다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동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전기는 사용자의 몸무게, 키 등의 신체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기준으로 적용될 수 있다.
반면, 도 5의 (b)를 살펴보면, 압전판은 사용자가 낙상함에 따라 가해진 압력을 감지하여 가해진 압력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압전판은 도 5의 (a)에서 발생한 압력과 다르게 사용자가 의도치 않게 넘어지거나 떨어지는 등 돌발적인 상황에서 발생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낙상 감지 서버는 사용자가 낙상함에 따라 발생된 전기가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의 전기를 발생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낙상한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결국, 낙상 감지 서버는 사용자가 침대에서 낙상했다고 판단하기 위해, 압전판에 가해지는 압력의 강도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낙상 감지 서버는 사용자가 돌발적인 상황에 따른 낙상인 경우, 압력의 강도가 큰 것을 고려하여 압력의 강도에 따른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는 일실시예에 따른 압전판을 통해 감지되는 면적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를 참고하면, 압전판은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가 압전판과 접촉되는 면적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를 살펴보면, 압전판은 사용자가 압전판에 위에 접촉된 면적을 감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낙상과 무관하게 압전판 위를 걸어다니거나, 기어다니는 등의 낙상과 관련되지 않은 행동을 취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압전판과 접촉하는 지면에 있어, 낙상 시 접촉되는 지면보다 적은 면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낙상 감지 서버는 사용자의 의도에 의한 동작임을 인식할 수 있다.
반면, 도 6의 (b)를 살펴보면, 낙상 감지 서버는 사용자가 낙상함에 따라 사용자와의 접촉되는 지면이 넓은 면적으로 접촉됨을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침대에서 낙상함에 있어, 신체의 등, 가슴으로 무게가 많이 나가는 신체부위가 먼저 지면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낙상 감지 서버는 사용자가 낙상함에 따라 신체부위 중 지면에 접촉된 사용자의 신체에 대한 압전판의 면적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낙상으로 인한 동작임을 인식할 수 있다.
결국, 낙상 감지 서버는 사용자가 낙상함에 따른 사용자가 취하는 자세를 기반으로 압전판에 접촉된 사용자의 면적을 판단하여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낙상 감지 서버는 사용자가 낙상함에 따라 압전판에 접촉되는 면적이 넓은 것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압전판에 대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압전판(701)은 사용자의 낙상에 따른 상황을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압전판(701)은 사용자의 낙상여부를 판단하고, 유선으로 연결되어 단말에 사용자의 상황을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의 (a)를 살펴보면 압전판(701)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의료진을 호출할 수 있는 호출장치(702)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호출 장치는 사용자의 침대에 부착될 수 있다. 일례로, 게이트웨이(701)는 침대 프레임, 침대 옆의 벽 등 다양한 위치에 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웨이(701)는 버튼 형태로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요양원에서 널리 상용화된 너스콜(nursecall)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압전판(701)은 침대에 인접하여 부착되어 사용자가 침대에서 낙상함에 따른 전기 정보에 따른 낙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압전판은 사용자의 낙상 여부의 결과에 따라 유선으로 연결된 호출 장치(702)를 통해 단말에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살펴보면 압전판(701)은 사용자 단말의 거치대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낙상에 따른 전기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로써, 단말과는 별도로 존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전판(701)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장치의 거치대와 연동하여 압전판에 가해진 사용자의 낙상과 관련된 전기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압전판(701)은 전기 정보 감지에 따른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여 이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 단말의 거치대(703)에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의 거치대(703)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됨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을 감지하기 위해 별도의 마이크 및 촬영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추가 설치에 대한 번거로움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거치대(703)는 사용자 장치가 접촉된 상태에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시 응급전화 또는 데이터 플랜에 따라 영상통화 또는 음성통화로 단말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압전판(701)은 UI를 통해 사용자의 의해 가해진 압력에 따른 낙상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호출 장치(702) 또는 스마트폰 거치대(703)를 통해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낙상에 따른 사용자의 상태가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낙상 감지 서버는 사용자가 낙상함에 따라 촬영장치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상태에 대한 영상 정보를 사용자와 연관된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낙상 감지 서버는 낙상한 사용자에 대한 신속한 대처를 위해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압전판, 마이크를 통해 판단된 각각의 판단 결과를 더 포함하여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도 8의 (a)를 살펴보면 단말은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부모님, 형제, 자매와 연계되는 단말일 수 있다. 단말은 낙상 감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낙상과 관련된 결과 및 영상을 전송받아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례로, 환자가 본인의 집에서 요양하는 경우, 낙상 감지 시스템은 사용자의 낙상에 따라 단말에 결과 및 영상을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생략되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반면, 도 8의 (b)를 살펴보면, 단말은 사용자를 의료적으로 보호하는 간호사, 의사와 연계되는 단말일 수 있다. 단말은 낙상 감지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의 낙상과 관련된 결과 및 영상을 전송받아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낙상 감지 서버는 현재 사용자가 병원 등 의료적으로 보호를 받음에 따라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여 단말에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낙상 감지 서버는 사용자가 낙상함에 따라 촬영장치의 트리거링된 결과, 사용자의 상태를 촬영한 영상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낙상에 따른 사용자의 적절한 대처를 위해 진료 내역을 더 포함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따른 사용자의 실시간 영상을 확인하기 위해 촬영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은 보호자에 의해 보호자가 원하는 각도 또는 방향으로 촬영장치의 화면을 조작하여 현재 사용자의 상황을 보다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사용자의 낙상이 판단됨에 따라 주변 소리 중 사용자의 음성을 따라서 촬영장치의 화면 방향을 조작할 수 있다.
결국, 낙상 감지 서버는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가 낙상하면서 발생하는 압력, 낙상과 관련된 사용자의 음성 및 낙상에 따른 사용자의 상태를 순차적으로 검증함에 따라 낙상인지 또는 사용자의 의도적인 동작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낙상 감지 서버는 낙상인 경우, 단말로 낙상된 사용자의 상태를 전달함에 따라 보호자로 하여금 적절한 대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낙상 감지 방법은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하나의 정보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낙상을 판단할 수 있는 신체의 충격, 사용자의 신음 소리,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 또는 동작을 통한 복합적인 정보를 기반으로 낙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낙상 감지 방법은 기존에 센서 정보만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보다 정확한 사용자의 낙상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낙상 감지 방법은 위에서 언급한 침대뿐만 아니라, 압전판, 마이크, 촬영장치 등을 설치할 수 있는 화장실, 계단 등 낙상이 발생할 수 있는 장소에서도 사용자의 낙상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1: 침대
102: 마이크
103: 촬영장치
104: 단말

Claims (17)

  1. 낙상 감지 서버가 수행하는 낙상 감지 방법에 있어서,
    침대에 인접하여 배치된 압전판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압력에 따른 전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전기 정보에 기초해 사용자의 제1 낙상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낙상에 따른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를 트리거링하는 단계;
    상기 트리거링된 마이크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낙상과 관련된 소리 정보가 사용자로부터 발화되어 미리 등록된 낙상과 관련된 사용자의 음성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제2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낙상 여부에 따른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장치를 트리거링하는 단계;
    상기 촬영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및 수신한 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낙상 정보를 사용자와 연관된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낙상 감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압전판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발생된 전기의 변화량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발생된 전기 정보를 수신하는 낙상 감지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압전판에 가해진 압력의 강도가 낙상과 관련되어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발생됨에 따라 결정되는 낙상 감지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정보는,
    상기 침대에서 낙상하면서 사용자의 신체가 압전판과 접촉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와 압전판 간에 접촉된 면적에 의해 결정되는 낙상 감지 방법.
  5. 삭제
  6. 삭제
  7. 낙상 감지 서버가 수행하는 낙상 감지 방법에 있어서,
    침대에 인접하여 배치된 압전판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압력에 따른 전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전기 정보에 기초해 사용자의 제1 낙상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의 낙상에 따른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를 트리거링하는 단계;
    상기 트리거링된 마이크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낙상과 관련된 소리 정보가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수집한 소리 정보 중에 사용자의 음성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제2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낙상 여부에 따른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장치를 트리거링하는 단계;
    상기 촬영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및 수신한 영상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낙상 정보를 사용자와 연관된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낙상 감지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침대에서 낙상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제2 낙상 여부의 판단 결과를 더 포함한 사용자의 낙상 정보를 단말에 전달하는 낙상 감지 방법.
  9. 게이트웨이가 수행하는 낙상 감지 방법에 있어서,
    침대에 인접하여 배치된 압전판에 가해진 압력에 의한 전기의 변화량에 따른 전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낙상 감지 서버에 상기 수신한 전기 정보를 전달하여 전달된 전기 정보에 따른 마이크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신호를 마이크에 전달하고, 신호에 따라 트리거링된 마이크로부터 사용자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낙상 감지 서버에 수신한 소리 정보를 전달하여 전달된 소리 정보에 따른 촬영장치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신호를 촬영장치에 전달하고, 신호에 따라 트리거링된 촬영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한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낙상 감지 서버에 수신한 영상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장치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낙상 감지 서버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소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리 정보가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인지 또는 소리 정보로 수집된 소리 중에 사용자의 음성이 포함되었는지에 대한 제2 낙상 여부의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전달되는 촬영장치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낙상 감지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낙상 감지 서버는,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전기 정보가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발생되었는지에 대한 제1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낙상 여부의 결과에 따라 마이크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게이트웨이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소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낙상 여부의 결과에 따라 촬영장치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게이트웨이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낙상 정보를 사용자와 연관된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낙상 감지 방법.
  11. 게이트웨이가 수행하는 낙상 감지 방법에 있어서,
    압력판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압력에 따른 전기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제1 낙상 여부의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낙상 여부의 결과에 따라 압력판에 의해 트리거링된 마이크로부터 사용자의 낙상과 관련된 소리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제2 낙상 여부의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낙상 여부의 결과에 따라 마이크에 의해 트리거링된 촬영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상태에 대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제3 낙상 여부의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낙상 여부의 결과, 제2 낙상 여부의 결과 및 제3 낙상 여부의 결과를 낙상 감지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낙상 여부의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낙상 감지 서버를 통해 상기 압력판에 의해 트리거링된 마이크로부터 수신한 소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리 정보가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인지 또는 소리 정보로 수집된 소리 중에 사용자의 음성이 포함되었는지에 대한 판단 결과인 제2 낙상 여부의 결과를 수신하는 낙상 감지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낙상 감지 서버는,
    상기 게이트웨이와 페어링되어 상기 제1 낙상 여부의 결과, 제2 낙상 여부의 결과 및 제3 낙상 여부의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제1 낙상 여부의 결과, 제2 낙상 여부의 결과 및 제3 낙상 여부의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낙상 정보를 사용자와 연관된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낙상 감지 방법.
  13. 침대에 인접하여 배치된 압전판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압력에 따른 전기 정보를 수신하는 전기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한 전기 정보에 기초해 사용자의 제1 낙상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사용자의 낙상에 따른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를 트리거링하는 마이크 트리거링부;
    상기 트리거링된 마이크로부터 사용자의 낙상과 관련된 소리 정보를 수신하는 소리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과 관련된 사용자의 음성과 일치하는지 여부에 기초해 사용자의 제2 낙상 여부를한 소리 정보가 사용자로부터 발화되어 미리 등록된 낙상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장치를 트리거링하는 촬영장치 트리거링부;
    상기 촬영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영상 정보 수신부 및
    상기 판단 결과 및 수신한 영상 정보를 따른 사용자의 낙상 정보를 사용자와 연관된 단말에 전달하는 단말 전달부
    를 포함하는 낙상 감지 서버.
  14. 침대에 인접하여 배치된 압전판에 가해진 압력에 의한 전기의 변화량에 따른 전기 정보를 수신하는 전기 정보 수신부;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낙상 감지 서버에 상기 수신한 전기 정보를 전달하여 전달된 전기 정보에 따른 마이크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마이크 트리거링 수신부;
    상기 수신한 신호를 마이크에 전달하고, 신호에 따라 트리거링된 마이크로부터 사용자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 정보를 수신하는 소리 정보 수신부;
    상기 낙상 감지 서버에 수신한 소리 정보를 전달하여 전달된 소리 정보에 따른 촬영장치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촬영장치 트리거링 수신부;
    상기 수신한 신호를 촬영장치에 전달하고, 신호에 따라 트리거링된 촬영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한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영상 정보 수신부; 및
    상기 낙상 감지 서버에 수신한 영상 정보를 전달하는 영상 정보 전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장치 트리거링 수신부는,
    상기 낙상 감지 서버를 통해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소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리 정보가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인지 또는 소리 정보로 수집된 소리 중에 사용자의 음성이 포함되었는지에 대한 제2 낙상 여부의 판단 결과에 대응하여 전달되는 촬영장치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게이트웨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낙상 감지 서버는,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전기 정보가 미리 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발생되었는지에 대한 제1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낙상 여부 판단부;
    상기 제1 낙상 여부의 결과에 따라 마이크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게이트웨이에 전달하는 마이크 트리거링 전달부;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소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낙상 여부 판단부;
    상기 제2 낙상 여부의 결과에 따라 촬영장치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신호를 게이트웨이 전달하는 촬영장치 트리거링 전달부; 및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낙상 정보를 사용자와 연관된 단말에 전달하는 단말 전달부;
    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16. 압력판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압력에 따른 전기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제1 낙상 여부의 결과를 수신하는 제1 낙상 결과 수신부;
    상기 제1 낙상 여부의 결과에 따라 압력판에 의해 트리거링된 마이크로부터 사용자의 낙상과 관련된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제2 낙상 여부의 결과를 수신하는 제2 낙상 결과 수신부;
    상기 제2 낙상 여부의 결과에 따라 마이크에 의해 트리거링된 촬영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상태에 대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된 제3 낙상 여부의 결과를 수신하는 제3 낙상 결과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제1 낙상 여부의 결과, 제2 낙상 여부의 결과 및 제3 낙상 여부의 결과를 낙상 감지 서버에 전달하는 낙상 감지 서버 전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낙상 여부의 결과는,
    상기 압력판에 의해 트리거링된 마이크로부터 수신한 소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리 정보가 사용자로부터 발화된 음성이거나 또는 소리 정보로 수집된 소리 중에 사용자의 음성이 포함되었는지에 대한 판단 결과인 게이트웨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낙상 감지 서버는,
    상기 게이트웨이와 페어링되어 상기 제1 낙상 여부의 결과, 제2 낙상 여부의 결과 및 제3 낙상 여부의 결과를 수신하는 낙상 결과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제1 낙상 여부의 결과, 제2 낙상 여부의 결과 및 제3 낙상 여부의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낙상 정보를 사용자와 연관된 단말에 전달하는 단말 전달부
    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
KR1020150048927A 2014-12-29 2015-04-07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감지하는 낙상 감지 서버 및 낙상 감지 서버가 수행하는 낙상 감지 방법 KR101725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585,023 US10004430B2 (en) 2014-12-29 2014-12-29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fall
US14/585,023 2014-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046A KR20160080046A (ko) 2016-07-07
KR101725624B1 true KR101725624B1 (ko) 2017-04-10

Family

ID=56162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927A KR101725624B1 (ko) 2014-12-29 2015-04-07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감지하는 낙상 감지 서버 및 낙상 감지 서버가 수행하는 낙상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04430B2 (ko)
KR (1) KR1017256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409A (ko) * 2021-07-26 2023-02-02 최기도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9925B2 (en) * 2015-12-30 2020-09-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onic fall event communication system
JP6778131B2 (ja) * 2017-02-27 2020-10-28 アイホン株式会社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CN107007297B (zh) * 2017-03-25 2020-06-26 浙江君安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计算机断层扫描仪的防护装置
CN107316439A (zh) * 2017-08-03 2017-11-0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和基于其的坠床行为检测方法、装置
KR102232700B1 (ko) * 2017-09-14 2021-03-26 (주)엘지하우시스 환자 및 노약자의 낙상 감지방법
KR102357196B1 (ko) * 2019-09-20 2022-01-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보행 분석 장치 및 방법
US20220354387A1 (en) * 2019-11-28 2022-11-10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Method, and Monitoring Program
CN111904429A (zh) * 2020-07-30 2020-11-10 中国建设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人体跌倒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587423B2 (en) * 2020-08-03 2023-02-21 Healthcare Integrated Technologies, Inc. Fall validation with privacy-aware monitoring
CN114821980A (zh) * 2021-01-18 2022-07-2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基于家电设备的人体监护方法和家电设备
KR102289606B1 (ko) 2021-03-09 2021-08-12 김종환 응급 알림 시스템
KR102604548B1 (ko) * 2021-03-19 2023-11-21 위보환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84784B1 (ko) 2022-04-19 2023-01-04 김종환 네가티브 촬영 방식의 호흡 감지 응급 알림 시스템
KR102525902B1 (ko) 2022-07-29 2023-04-25 김종환 자살 방지 응급 알림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9078A (ja) * 2008-11-26 2010-06-10 Ind Technol Res Inst 音声イベントを基礎とする緊急通報方法とシステム及び行動軌跡構築方法
KR101438002B1 (ko) * 2013-02-28 2014-09-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방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4525A (ja) 1996-09-25 1998-04-14 Saitama Pref Gov ベッド通報装置
US6515586B1 (en) * 1998-12-18 2003-02-04 Intel Corporation Tactile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US7629890B2 (en) * 2003-12-04 2009-12-08 Hoana Medical, Inc. System and methods for intelligent medical vigilance with bed exit detection
WO2004112611A1 (ja) * 2003-06-20 2004-12-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就寝装置及び在床状態検出方法
US7852208B2 (en) * 2004-08-02 2010-12-14 Hill-Rom Services, Inc. Wireless bed connectivity
US7319386B2 (en) * 2004-08-02 2008-01-15 Hill-Rom Services, Inc. Configurable system for alerting caregivers
CA2648706A1 (en) * 2006-04-20 2007-11-01 Iq Life, Inc. Monitoring system
US7916066B1 (en) * 2006-04-27 2011-03-29 Josef Osterweil Method and apparatus for a body position monitor and fall detector using radar
US20160284202A1 (en) * 2006-07-17 2016-09-29 Eloquence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advanced patient communication
PL2374856T3 (pl) * 2007-03-27 2014-12-31 Interface Inc System oraz sposób instalacji pokrycia podłogowego
US20120169467A1 (en) * 2010-12-31 2012-07-05 Condra David L Patient alert management system
WO2012122002A1 (en) * 2011-03-04 2012-09-13 Stryker Corporation Sensing system for patient supports
KR101241089B1 (ko) 2011-04-08 2013-03-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상 낙상 감지용 알람 패드,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상 낙상 판단 방법
US20130127620A1 (en) * 2011-06-20 2013-05-23 Cerner Innovation, Inc. Management of patient fall risk
US20160049820A1 (en) * 2013-03-14 2016-02-18 Ramon Anthony Caamaño Electrical Energy Storage Systems, Electric Drive Systems, Controllers, and Electrical Power Management Systems
US20160228040A1 (en) * 2013-09-13 2016-08-11 Konica Minolta, Inc. Notification System
TWI539400B (zh) * 2013-12-18 2016-06-21 美思科技股份有限公司 臨床資訊管理系統
US9649073B2 (en) * 2014-09-14 2017-05-16 Voalte, Inc. Usage modeling for intelligent management of alarms and messages in mobile health systems
US9691240B2 (en) * 2015-01-22 2017-06-27 Interface, Inc. Floor covering system with sensors
US20160235610A1 (en) * 2015-02-18 2016-08-18 Allen Medical Systems, Inc. Using patient monitoring data to control a person support apparatus
US20160307429A1 (en) * 2015-04-14 2016-10-20 Hill-Rom Services, Inc. Monitoring of patient suppor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29078A (ja) * 2008-11-26 2010-06-10 Ind Technol Res Inst 音声イベントを基礎とする緊急通報方法とシステム及び行動軌跡構築方法
KR101438002B1 (ko) * 2013-02-28 2014-09-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방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409A (ko) * 2021-07-26 2023-02-02 최기도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61631B1 (ko) 2021-07-26 2023-07-28 최기도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046A (ko) 2016-07-07
US20160183847A1 (en) 2016-06-30
US10004430B2 (en) 201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624B1 (ko)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감지하는 낙상 감지 서버 및 낙상 감지 서버가 수행하는 낙상 감지 방법
US10332377B2 (en) Person support apparatuses with patient mobility monitoring
KR100988459B1 (ko) 낙상 감지 장치 및 방법
US9177459B2 (en) ECG-enabled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s
KR101654609B1 (ko) 거동이 불편한 자, 장애인 및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RU2685815C1 (ru) Способ реагирования на обнаружение пад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US20160358447A1 (en) Intelligent waistband and intelligent falling-over emergency pre-warning system
JP2014229199A (ja) 転倒時通報システム及び転倒時通報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KR101715218B1 (ko)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 위험을 판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210256829A1 (en) System to secure health safety during charging of health wearable
JP2014230207A (ja) 転倒時通報システム及び転倒時通報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KR20170004269A (ko) 낙상 감지 장치 및 방법
JP5202469B2 (ja) 監視支援装置、システム及び監視支援方法
KR101489896B1 (ko) 비상호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1975384B1 (ko) 독거인 관리용 로봇, 이를 이용한 독거인 관리 장치 및 독거인 관리 방법
JP6519166B2 (ja) 監視制御プログラム、監視制御装置、および監視制御方法
JP2016032501A (ja) 看護・介護支援装置および看護・介護支援方法
US10304310B2 (en) Check-in service on a personal help button
JP2006285425A (ja) ロボットを用いたヘルスケアサービスシステム
JP2019022592A (ja) 歩行補助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961476B1 (ko) 행동 패턴 인식 장치 및 방법
CN113168755A (zh) 用于监测用户的方法和系统
KR20190007128A (ko) 유아의 위험상태 예측을 위한 카메라장치와 그 방법
TW201500033A (zh) 三階段感應跌倒偵測裝置
WO2017147977A1 (zh) 一种贴片式健康监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