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631B1 -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631B1
KR102561631B1 KR1020210097870A KR20210097870A KR102561631B1 KR 102561631 B1 KR102561631 B1 KR 102561631B1 KR 1020210097870 A KR1020210097870 A KR 1020210097870A KR 20210097870 A KR20210097870 A KR 20210097870A KR 102561631 B1 KR102561631 B1 KR 102561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ressure
vibration
fall
value
pressur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6409A (ko
Inventor
최기도
권오찬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최기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도 filed Critical 최기도
Priority to KR1020210097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631B1/ko
Publication of KR20230016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5Monitoring making use of different thresholds, e.g. for different alarm lev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rket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오류 없이 신뢰성 높게 낙상 사고의 응급 상황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병실 바닥에 설치된 제1 낙상 감지기로부터 수신한 제1 진동 및 음압 신호가 모두 기 설정한 제1 진동 및 음압 기준치 이상이고, 병실 벽면에 설치된 제2 낙상 감지기로부터 수신한 제2 진동 및 음압 신호가 모두 기 설정한 제2 진동 및 음압 기준치 미만인 경우, 제1 진동 및 음압 신호에 대한 주파수 분석을 통해 병실 내 낙상 유무를 판단한다.

Description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falldown}
본 발명은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오류 없이 신뢰도 높게 낙상 사고의 응급 상황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019년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노인 요양 시설의 사고 발생 현황을 살펴보면, 낙상 44.3%(5,202건), 투약 31.8%(3,798건), 검사 6.0%(715건)%로 낙상으로 인한 사고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낙상 사고 중에서 침대 낙상(68.2%)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종래 낙상 모니터링 관련 기술은 대부분 영상인식 기반 기술을 사용하여 개인 사생활 노출의 위험성이 높고, 가시각의 문제로 인해 카메라의 천장 설치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고비용의 문제가 있다.
다른 간이적인 낙상 진단 시스템으로는 매트에 압력 센서를 설치하여 환자가 매트에서 등을 때면 휴대용 수신기로 위험 신호를 전송하는 제품이 있으나, 이는 병실 내 노인의 활동성을 고려하지 않는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진동센서의 진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낙상을 감지하는 선행 기술이 있으나, 외부 환경에 의한 외란을 낙상으로 오인하는 것과 같이 낙상을 감지하는데 있어서 오류가 빈번하고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4664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류 없이 신뢰도 높게 낙상 사고의 응급 상황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바닥에 설치되어 매초 생성한 진동/음압 신호에서 피크값을 포함하는 일정 시간 범위의 제1 유효 진동/음압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낙상 감지기와, 벽면에 설치되어 매초 생성한 진동/음압 신호에서 피크값을 포함하는 일정 시간 범위의 제2 유효 진동/음압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낙상 감지기와, 상기 제1 낙상 감지기 및 상기 제2 낙상 감지기로부터 각각 제1 유효 진동/음압 신호 및 제2 유효 진동/음압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유효 진동/음압 신호의 확률분포도를 구한 후 표준편차를 이용해 상기 제1 낙상 감지기의 제1 진동/음압 기준치를 안전값, 주의값 및 경고값으로 설정하고, 제2 유효 진동/음압 신호의 확률분포도를 구한 후 표준편차를 이용해 상기 제2 낙상 감지기의 제2 진동/음압 기준치를 안전값, 주의값 및 경고값으로 설정한 후, 다시 상기 제1 낙상 감지기 및 상기 제2 낙상 감지기로부터 각각 제1 유효 진동/음압 신호 및 제2 유효 진동/음압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유효 진동/음압 신호가 제1 진동/음압 기준치의 주의값 이상이고 제2 유효 진동/음압 신호가 제2 진동/음압 기준치의 주의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낙상 감지기에서 제1 진동/음압 기준치의 주의값 이상의 제1 유효 진동/음압 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전부터 일정 시간까지 누적한 제1 진동/음압 신호의 누적 데이터를 이용해 낙상 진단을 수행하는 낙상 감지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낙상 감지 서버는 상기 제1 진동/음압 신호의 누적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하여 누적 진동 파워 스펙트럼 및 누적 음압 파워 스펙트럼을 생성하고 누적 진동 파워 스펙트럼 및 누적 음압 파워 스펙트럼으로부터 각각 진동 결과값 및 음압 결과값을 산출하여 진동 결과값 및 음압 결과값이 기 설정된 제3 진동/음압 기준치 이상이면 낙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낙상 감지 서버는 제1 진동신호의 누적 데이터를 소정 시간 단위로 나누어 소정 시간 단위의 데이터에 대해 퓨리에 변환을 수행한 후 퓨리에 변환된 데이터를 합산하여 누적 진동 파워 스펙트럼을 생성하여 누적 진동 파워 스펙트럼의 특정 대역으로부터 진동 결과값을 산출하고, 제1 음압 신호의 누적 데이터를 소정 단위로 나누어 소정 시간 단위의 데이터에 대해 퓨리에 변환을 수행한 후 퓨리에 변환된 데이터를 합산하여 누적 음압 파워 스펙트럼을 생성하여 누적 음압 파워 스펙트럼의 특정 대역으로부터 음압 결과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진동 결과값이 제3 진동 기준치 이상이고 상기 산출한 음압 결과값이 제3 음압 기준치 이상이면 낙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낙상 감지 서버는 제1 진동/음압 기준치의 안전값, 주의값 및 경고값을 상기 제1 낙상 감지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낙상 감지기는 제1 유효 진동/음압 신호가 제1 진동/음압 기준치의 주의값 이상이면 제1 진동/음압 기준치의 주의값 이상의 제1 유효 진동/음압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전부터 일정 시간까지 누적한 제1 진동/음압 신호의 누적 데이터를 상기 낙상 감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류 없이 신뢰도 높게 낙상 사고의 응급 상황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요양시설 병실의 바닥 및 벽면에 낙상 감지기를 설치하여 바닥 및 벽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및 음압을 측정하면서 바닥의 진동 및 음압이 제1 기준치 이상이고, 벽면의 진동 및 음압이 제2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 한해 바닥의 진동 및 음압에 대한 주파수 분석을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외부 환경(바람, 외부충격 등)에 의한 외란이 낙상으로 오인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낙상 모니터링의 신뢰도를 한층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낙상 감지기의 기준치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1차 낙상 진단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2차 낙상 진단 과정을 나타낸 도면.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1 낙상 감지기(10), 제2 낙상 감지기(20), 낙상 감지 서버(30), 관리자 단말(40) 등을 포함한다.
제1 낙상 감지기(10)와 제2 낙상 감지기(20)는 동일한 장치로서, 제1 낙상 감지기(10)는 병실 바닥에 설치되고, 제2 낙상 감지기(20)는 병실 벽면에 설치되어 각각 병실 내의 진동 및 음압을 측정한다.
제1 낙상 감지기(10)는 병실 바닥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음압을 측정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낙상 감지 서버(30)로 제1 진동 및 음압 신호를 전송한다.
제2 낙상 감지기(20)는 병실 벽면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음압을 측정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낙상 감지 서버(30)로 제2 진동 및 음압 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낙상 감지기(10) 및 제2 낙상 감지기(2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hooth) 등의 근거리통신 또는 LTE, 5G 등의 무선통신을 통해 낙상 감지 서버(30)로 진동 및 음압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낙상 감지 서버(30)는 제1 낙상 감지기(10)로부터 수신한 제1 진동 및 음압 신호와 제2 낙상 감지기(20)로부터 수신한 제2 진동 및 음압 신호를 이용하여 병실 내의 낙상 유무를 판단한다.
낙상 감지 서버(30)는 제1 진동 및 음압 신호가 모두 기 설정한 제1 진동 및 음압 기준치 이상이고, 제2 진동 및 음압 신호가 모두 기 설정한 제2 진동 및 음압 기준치 미만인 경우, 제1 진동 및 음압 신호에 대한 주파수 분석을 통해 낙상 유무를 판단한다. 낙상 감지 서버(30)는 병실 내 낙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낙상 응급 상황을 관리자 단말(40)로 통지한다.
관리자 단말(40)은 낙상 감지 서버(30)로부터 실시간 낙상 응급 상황을 통지받아 요양시설(요양병원, 요양원, 실버타운 등)에서 발생하는 병실 내 낙상 사고를 감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 단말(40)은 요양시설의 관리자가 사용하는 퍼스널 컴퓨터(PC),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낙상 감지기의 기준치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낙상 감지기(10, 20) 제품에 내재하는 오차(센서 오차, 회로 특성, 기구 특성), 외부 환경 또는 외란에 대한 데이터 차이로 인해 낙상 결정에 대한 오진단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낙상 감지기(10, 20)를 실전 배치하여 실제적인 낙상 모니터링을 하기 전에 낙상 감지기(10, 20)의 기준치를 설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낙상 감지기(10)는 초당 200개의 제1 진동/음압 신호를 생성한다(S10).
여기서 진동/음압 신호는 진동신호 및 음압신호를 말한다. 제1 낙상 감지기(10)에는 진동센서와 음압센서가 내장되어 있다. 제1 낙상 감지기(10)는 진동센서를 통해 초당 200개의 제1 진동신호를 생성하고, 음압센서를 통해 초당 200개의 제1 음압신호를 생성한다.
제1 낙상 감지기(10)는 단계 S10에서 생성한 제1 진동/음압 신호로부터 제1 유효 진동/음압 신호를 추출하여 낙상 감지 서버(30)로 전송한다(S12).
여기서 유효 진동/음압 신호란 유효 진동신호 및 유효 음압신호를 의미한다. 제1 낙상 감지기(10)는 200개의 제1 진동신호에서 피크(peak) 진동값을 포함하는 일정 시간 범위에 있는 제1 유효 진동신호를 출력하고, 200개의 제1 음압신호에서 피크 음압값을 포함하는 일정 시간 범위에 있는 제1 유효 음압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제1 낙상 감지기(10)는 제1 유효 진동신호 및 제2 유효 음압신호로 구성된 제1 유효 진동/음압 신호를 낙상 감지 서버(30)로 전송한다.
제2 낙상 감지기(20)는 제1 낙상 감지기(10)와 동일하게 초당 200개의 제2 진동/음압 신호를 생성한다(S14). 제2 낙상 감지기(20)는 진동센서를 통해 초당 200개의 제2 진동신호를 생성하고, 음압센서를 통해 초당 200개의 제2 음압신호를 생성한다.
제2 낙상 감지기(10)는 단계 S14에서 생성한 제2 진동/음압 신호로부터 제2 유효 진동/음압 신호를 추출하여 낙상 감지 서버(30)로 전송한다(S16).
제2 낙상 감지기(20)는 200개의 제2 진동신호에서 피크(peak) 진동값을 포함하는 일정 시간 범위에 있는 제2 유효 진동신호를 출력하고, 200개의 제2 음압신호에서 피크 음압값을 포함하는 일정 시간 범위에 있는 제2 유효 음압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제2 낙상 감지기(20)는 제2 유효 진동신호 및 제2 유효 음압신호로 구성된 제2 유효 진동/음압 신호를 낙상 감지 서버(30)로 전송한다.
낙상 감지 서버(30)는 제1 낙상 감지기(10) 및 제2 낙상 감지기(20)로부터 각각 제1 유효 진동/음압 신호 및 제2 유효 진동/음압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유효 진동/음압 신호에 근거해 제1 진동/음압 기준치를 설정하고(S18), 제2 유효 진동/음압 신호에 근거해 제2 진동/음압 기준치를 설정한다(S20).
낙상 감지 서버(30)는 제1 유효 진동/음압 신호의 확률분포도를 구한 후 표준편차(σ)를 이용해 제1 낙상 감지기(10)의 제1 진동/음압 기준치를 구하고, 제2 유효 진동/음압 신호의 확률분포도를 구한 후 표준편차(σ)를 이용해 제2 낙상 감지기(20)의 제2 진동/음압 기준치를 구한다.
여기서 진동/음압 기준치는 진동 기준치와 음압 기준치를 말하고, 기준치는 안전값(±σ), 주의값(±2σ) 및 경고값(±3σ)을 포함한다. 진동 기준치는 진동 안전값, 진동 주의값 및 진동 경고값을 포함하고, 음압 기준치는 음압 안전값, 음압 주의값 및 음압 경고값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낙상 감지 서버(30)는 제1 유효 진동신호의 확률분포도를 구한 후 표준편차(σV1)를 이용해 제1 진동 기준치로서 제1 진동 안전값(±σV1), 제1 진동 주의값(±2σV1), 제1 진동 경고값(±3σV1)을 산출한다.
낙상 감지 서버(30)는 제1 유효 음압신호의 확률분포도를 구한 후 표준편차(σS1)를 이용해 제1 음압 기준치로서 제1 음압 안전값(±σS1), 제1 음압 주의값(±2σS1), 제1 음압 경고값(±3σS1)을 산출한다.
또한, 낙상 감지 서버(30)는 제2 유효 진동신호의 확률분포도를 구한 후 표준편차(σV2)를 이용해 제2 진동 기준치로서 제2 진동 안전값(±σV2), 제2 진동 주의값(±2σV2), 제2 진동 경고값(±3σV2)을 산출한다.
낙상 감지 서버(30)는 제2 유효 음압신호의 확률분포도를 구한 후 표준편차(σS2)를 이용해 제2 음압 기준치로서 제2 음압 안전값(±σS2), 제2 음압 주의값(±2σS2), 제2 음압 경고값(±3σS2)을 산출한다.
낙상 감지 서버(30)는 제1 진동/음압 기준치를 제1 낙상 감지기(10)로 전송하고(S22), 제2 진동/음압 기준치를 제2 낙상 감지기(20)로 전송한다(S24).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1차 낙상 진단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1차 낙상 진단 과정은 도 2에 도시된 기준치 설정 과정이 완료된 이후에 수행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낙상 감지기(10) 및 제2 낙상 감지기(20)는 각각 제1 유효 진동/음압 신호 및 제2 유효 진동/음압 신호를 낙상 감지 서버(30)로 전송한다(S30, S32).
제1 낙상 감지기(10)는 제1 유효 진동/음압 신호가 제1 진동/음압 기준치의 주의값 이상인지 확인한다(S34).
제1 낙상 감지기(10)는 제1 유효 진동신호의 값이 제1 진동 기준치의 주의값(제1 진동 주의값)(±2σV1)이상이고, 제1 유효 음압신호의 값이 제1 음압 기준치의 주의값(제1 음압 주의값)(±2σS1) 이상이면, 제1 진동/음압 신호의 누적 데이터를 낙상 감지 서버(30)로 전송한다(S36).
여기서, 제1 진동/음압 신호의 누적 데이터는 제1 진동/음압 기준치의 주의값 이상의 제1 유효 진동/음압 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전부터 일정 시간(예를 들어, 3초)까지 누적된 제1 진동/음압 신호를 말한다.
제1 낙상 감지기(10)는 제1 진동 주의값 이상의 제1 유효 진동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전 3초간 누적된 제1 진동신호의 누적 데이터와 제1 음압 주의값 이상의 제1 유효 음압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전 3초간 누적된 제1 음압신호의 누적 데이터를 낙상 감지 서버(30)로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제2 낙상 감지기(20)는 제2 유효 진동/음압 신호가 제2 진동/음압 기준치의 주의값 이상인지 확인한다(S38).
제2 낙상 감지기(20)는 제2 유효 진동신호의 값이 제2 진동 기준치의 주의값(제2 진동 주의값)(±2σV2) 이상이고, 제2 유효 음압신호의 값이 제2 음압 기준치의 주의값(제2 음압 주의값)(±2σS2) 이상이면, 제2 진동/음압 신호의 누적 데이터를 낙상 감지 서버(30)로 전송한다(S40).
즉, 제2 낙상 감지기(20)는 제2 진동 주의값 이상의 제2 유효 진동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전 예를 들어, 3초간 누적된 제2 진동신호의 누적 데이터와 제2 음압 주의값 이상의 제2 유효 음압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전 예를 들어, 3초간 누적된 제2 음압신호의 누적 데이터를 낙상 감지 서버(30)로 전송한다.
낙상 감지 서버(30)는 제1 낙상 감지기(10) 및 제2 낙상 감지기(20)로부터 각각 제1 유효 진동/음압 신호 및 제2 유효 진동/음압 신호를 수신하면서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제1 낙상 감지기(10) 및/또는 제2 낙상 감지기(20)로부터 제1 진동/음압 신호의 누적 데이터 및/또는 제2 진동/음압 신호의 누적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낙상 감지 서버(30)는 제1 유효 진동/음압 신호가 제1 진동/음압 기준치의 주의값 이상이고 제2 유효 진동/음압 신호가 제2 진동/음압 기준치의 주의값 미만인지 확인한다(S42).
즉, 낙상 감지 서버(30)는 제1 유효 진동신호가 제1 진동 주의값 이상이고 제1 유효 음압신호가 제1 음압 주의값 이상이며, 동시에 제2 유효 진동신호가 제2 진동 주의값 미만이고 제2 유효 음압신호가 제2 음압 주의값 미만이면, 2차 낙상 진단을 수행한다(S44).
만약, 제1 유효 진동/음압 신호가 제1 진동/음압 기준치의 주의값 이상이고 제2 유효 진동/음압 신호가 제2 진동/음압 기준치의 주의값 미만인 경우가 아니면, 낙상 감지 서버(30)는 낙상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2차 낙상 진단을 수행하지 않는다(S46).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2차 낙상 진단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낙상 감지 서버(30)는 제1 유효 진동/음압 신호가 제1 진동/음압 기준치의 주의값(±2σV1, ±2σS1) 이상이고 제2 유효 진동/음압 신호가 제2 진동/음압 기준치의 주의값(±2σV2, ±2σS2) 미만인 경우, 제1 진동신호의 누적 데이터 및 제1 음압신호의 누적 데이터를 이용해 2차 낙상 진단을 수행한다.
먼저, 낙상 감지 서버(30)는 제1 진동신호의 누적 데이터 예를 들어, 3초간 누적된 진동신호에 대해 주파수 분석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낙상 감지 서버(30)는 3초간 누적된 진동신호를 1초 단위로 나누어 1초 데이터에 대해 고속 퓨리에 변환(FFT)을 수행한 후(S100), 3개의 FFT 데이터를 합산하여 누적 진동 파워 스펙트럼을 생성한다(S102).
낙상 감지 서버(30)는 누적 진동 파워 스펙트럼에서 특정 대역으로부터 상수값을 산출한다(S104). 누적 진동 파워 스펙트럼의 특정 대역으로부터 산출한 상수값이 진동 결과값이 된다. 진동 결과값은 누적 진동 파워 스펙트럼에서 특정 대역의 에너지값이다.
마찬가지로, 낙상 감지 서버(30)는 제1 음압신호의 누적 데이터 예를 들어, 3초간 누적된 음압신호에 대해 주파수 분석을 수행한다.
낙상 감지 서버(30)는 3초간 누적된 음압신호를 1초 단위로 나누어 1초 데이터에 대해 고속 퓨리에 변환(FFT)을 수행한 후(S110), 3개의 FFT 데이터를 합산하여 누적 음압 파워 스펙트럼을 생성한다(S112).
낙상 감지 서버(30)는 누적 음압 파워 스펙트럼에서 특정 대역으로부터 상수값을 산출한다(S114). 누적 음압 파워 스펙트럼의 특정 대역으로부터 산출한 상수값이 음압 결과값이 된다. 음압 결과값은 누적 음압 파워 스펙트럼에서 특정 대역의 에너지값이다.
낙상 감지 서버(30)는 진동/음압 결과값이 기 설정한 제3 진동/음압 기준치 이상인지 확인한다(S120).
즉, 낙상 감지 서버(30)는 진동 결과값이 제3 진동 기준치 이상이고 음압 결과값이 제3 음압 기준치 이상인 경우 낙상으로 판단하고(S122),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외란으로 판단한다(S124).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제1 낙상 감지기 20: 제2 낙상 감지기
30: 낙상 감지 서버 40: 관리자 단말

Claims (4)

  1. 바닥에 설치되어 매초 생성한 진동/음압 신호에서 피크값을 포함하는 일정 시간 범위의 제1 유효 진동/음압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낙상 감지기와,
    벽면에 설치되어 매초 생성한 진동/음압 신호에서 피크값을 포함하는 일정 시간 범위의 제2 유효 진동/음압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낙상 감지기와,
    상기 제1 낙상 감지기 및 상기 제2 낙상 감지기로부터 각각 제1 유효 진동/음압 신호 및 제2 유효 진동/음압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유효 진동/음압 신호의 확률분포도를 구한 후 표준편차를 이용해 상기 제1 낙상 감지기의 제1 진동/음압 기준치를 안전값, 주의값 및 경고값으로 설정하고, 제2 유효 진동/음압 신호의 확률분포도를 구한 후 표준편차를 이용해 상기 제2 낙상 감지기의 제2 진동/음압 기준치를 안전값, 주의값 및 경고값으로 설정한 후, 다시 상기 제1 낙상 감지기 및 상기 제2 낙상 감지기로부터 각각 제1 유효 진동/음압 신호 및 제2 유효 진동/음압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유효 진동/음압 신호가 제1 진동/음압 기준치의 주의값 이상이고 제2 유효 진동/음압 신호가 제2 진동/음압 기준치의 주의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낙상 감지기에서 제1 진동/음압 기준치의 주의값 이상의 제1 유효 진동/음압 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전부터 일정 시간까지 누적한 제1 진동/음압 신호의 누적 데이터를 이용해 낙상 진단을 수행하는 낙상 감지 서버를 포함하는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상 감지 서버는 상기 제1 진동/음압 신호의 누적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하여 누적 진동 파워 스펙트럼 및 누적 음압 파워 스펙트럼을 생성하고 누적 진동 파워 스펙트럼 및 누적 음압 파워 스펙트럼으로부터 각각 진동 결과값 및 음압 결과값을 산출하여 진동 결과값 및 음압 결과값이 기 설정된 제3 진동/음압 기준치 이상이면 낙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낙상 감지 서버는 상기 제1 진동신호의 누적 데이터를 소정 시간 단위로 나누어 소정 시간 단위의 데이터에 대해 퓨리에 변환을 수행한 후 퓨리에 변환된 데이터를 합산하여 누적 진동 파워 스펙트럼을 생성하여 누적 진동 파워 스펙트럼의 특정 대역으로부터 진동 결과값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음압 신호의 누적 데이터를 소정 단위로 나누어 소정 시간 단위의 데이터에 대해 퓨리에 변환을 수행한 후 퓨리에 변환된 데이터를 합산하여 누적 음압 파워 스펙트럼을 생성하여 누적 음압 파워 스펙트럼의 특정 대역으로부터 음압 결과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진동 결과값이 제3 진동 기준치 이상이고 상기 산출한 음압 결과값이 제3 음압 기준치 이상이면 낙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상 감지 서버는 제1 진동/음압 기준치의 안전값, 주의값 및 경고값을 상기 제1 낙상 감지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낙상 감지기는 제1 유효 진동/음압 신호가 제1 진동/음압 기준치의 주의값 이상이면 제1 진동/음압 기준치의 주의값 이상의 제1 유효 진동/음압신호가 발생한 시점 이전부터 일정 시간까지 누적한 제1 진동/음압 신호의 누적 데이터를 상기 낙상 감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10097870A 2021-07-26 2021-07-26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61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870A KR102561631B1 (ko) 2021-07-26 2021-07-26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870A KR102561631B1 (ko) 2021-07-26 2021-07-26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409A KR20230016409A (ko) 2023-02-02
KR102561631B1 true KR102561631B1 (ko) 2023-07-28

Family

ID=8522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870A KR102561631B1 (ko) 2021-07-26 2021-07-26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6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001B1 (ko) 2008-12-30 2011-09-30 유넷웨어(주) 낙상 감지 장치 및 낙상 감지 방법
KR101725624B1 (ko) 2014-12-29 2017-04-10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감지하는 낙상 감지 서버 및 낙상 감지 서버가 수행하는 낙상 감지 방법
KR102034559B1 (ko) 2014-03-31 2019-10-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장 스펙트럼의 상관계수의 변화 패턴을 이용한 보안 감시 장치 및 그것의 보안 감시 방법
KR102404971B1 (ko) 2021-02-02 2022-06-07 (주)아주스마트솔루션 환자의 낙상 감시시스템 및 그 감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270A (ko) * 2015-07-01 2017-01-11 김주철 낙상 감지 장치 및 낙상 감지 시스템
KR102246649B1 (ko) 2019-09-23 2021-04-30 주식회사 시스포케어 침대 낙상 예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001B1 (ko) 2008-12-30 2011-09-30 유넷웨어(주) 낙상 감지 장치 및 낙상 감지 방법
KR102034559B1 (ko) 2014-03-31 2019-10-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장 스펙트럼의 상관계수의 변화 패턴을 이용한 보안 감시 장치 및 그것의 보안 감시 방법
KR101725624B1 (ko) 2014-12-29 2017-04-10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감지하는 낙상 감지 서버 및 낙상 감지 서버가 수행하는 낙상 감지 방법
KR102404971B1 (ko) 2021-02-02 2022-06-07 (주)아주스마트솔루션 환자의 낙상 감시시스템 및 그 감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409A (ko)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58885B2 (ja) 危険な状態を検出するロケーションベースの無線システム
US20190212429A1 (en) Object sensing device, automotive radar system, surveillance radar system, object sensing method, and program
US20170303074A1 (en) Bluetooth personnel location system
EP3091519A1 (en) Jamming detection method and device
CN109831742B (zh) 基于终端检测的监控方法及系统
KR101842500B1 (ko) 지능형 화재 감지 시스템
CN104637260A (zh) 一种实现区域监控报警的方法、装置及服务器
US100684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ual tamper reset in a monitoring system
US20130103350A1 (en) Method and system to validate wired sensors
US9153122B2 (en) Environmental alert for computer systems
KR20160046690A (ko) 타겟이 휴대하는 휴대용 추적 장치 및 휴대용 추적 장치 동작 방법
KR101950093B1 (ko) 비콘을 이용한 화재 재난 조기 경보 시스템
KR102561631B1 (ko)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US2017033951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ltitude Sensing Beacons
KR20150019174A (ko) 양방향 와치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170265B1 (ko) 열차 차량 내의 소음 감지 시스템 및 방법
JP2017120195A (ja) 振動解析システム、振動解析装置および振動解析方法
KR20170069728A (ko) 노약자의 생체 및 정밀위치 정보의 추적 알고리즘에 기반한 노약자 안전관리시스템
US11288947B2 (en) Manual call point device with sensor
JPWO2015173844A1 (ja) 非常停止装置
CN106155645B (zh) 一种实现预警的方法和装置
TWI616852B (zh) Dynamic warning fire service
EP3543976A1 (en) A method for increasing specificity of jamming detection in a home alarm system
KR101717274B1 (ko)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190043737A (ko) 웨어러블디바이스를 이용한 비상신호 송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