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4784B1 - 네가티브 촬영 방식의 호흡 감지 응급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가티브 촬영 방식의 호흡 감지 응급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4784B1
KR102484784B1 KR1020220048371A KR20220048371A KR102484784B1 KR 102484784 B1 KR102484784 B1 KR 102484784B1 KR 1020220048371 A KR1020220048371 A KR 1020220048371A KR 20220048371 A KR20220048371 A KR 20220048371A KR 102484784 B1 KR102484784 B1 KR 102484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camera
target area
detection target
emergency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김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환 filed Critical 김종환
Priority to KR1020220048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76Camera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video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92Sensor dual technology, i.e. two or more technologies collaborate to extract unsafe condition, e.g. video tracking and RFID track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7Details of data content structure of message packets; data protoco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급 상황 감지 대상 영역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이미지 모델링을 통해 감지 대상 영역에서 응급 상황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응급 감지 센서, 상기 응급 상황 감지 대상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응급 상황 감지 대상 영역을 네가티브로 촬영하는 상기 IP 카메라, 상기 응급 상황 감지 대상 영역 내의 상기 응급 감지 센서 및 상기 IP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응급 감지 센서 및 상기 IP 카메라를 인터넷에 연결하는 댁내 통신부, 상기 응급 감지 센서 및 상기 IP 카메라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응급 감지 센서로부터 응급 상황 감지 신호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상기 응급 상황 감지 신호로부터 응급 상황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IP 카메라에 상기 응급 상황 감지 영역 촬영 및 촬영 사진 전송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IP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사진과 함께 응급 상황 여부를 알림 대상에게 전달하는 알림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응급 감지 센서는 응급 상황 감지 대상 영역으로 고주파를 방사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수신하여 감지 대상 영역을 설정 간격으로 이미지 모델링하여 감지 대상 영역 내의 감지 대상의 호흡 주기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감지 응급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네가티브 촬영 방식의 호흡 감지 응급 알림 시스템{BREATH DETECTION EMERGENCY ALARM SYSTEM}
본 발명은 원격으로 호흡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네가티브 촬영 방식의 응급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OECD의 분석에 따르면 OECD 국가 대부분의 중위 연령이 40세 이상이며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고, 인구 고령화에 따라 많은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 중 낙상 사고는 매년 고령자의 21.0%에서 발생하며 70세 이상의 고령자에게는 약 25%, 80세 이상의 고령자에게는 약 50%에서 발생할 정도로 빈번하게 발생한다. 고령자의 낙상의 경우 허리, 엉덩이뼈, 대퇴골 부상과 같은 큰 부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고령자의 낙상 사고는 72% 정도가 병원 치료로 이어지고, 47.4% 정도에서는 후유증을 남기게 된다.
한편, 전체 고령자 중 1인 가구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 낙상 사고는 대부분은 주택 내에서 발생하여,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도 즉각적인 조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고령자에게 발생한 낙상 사고를 감지하여 원격의 보호자에게 알릴 수 있는 기술이 많이 개발되었다. 낙상의 감지는 감지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자세 변화에 의한 가속도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감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가속도가 임계치를 넘는 경우는 일상적인 상황에서도 발생할 수 있고, 낙상 후 부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까지 보호자에게 알리는 것은 불필요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낙상 감지 장치는 목걸이 타입 또는 스마트 워치 타입으로 개발되었는데, 목걸이 타입 또는 스마트 워치 타입은 모든 종류의 낙상을 감지할 수 없고, 몸에 착용하고 있어야 낙상을 감지할 수 있으며, 전원 공급을 위해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충전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 공개 10-2016-0080046 한국 특허 등록 10-1438002 한국 특허 공개 10-2012-0114893 일본 특허 공개 JP100945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낙상 상태 및 호흡 여부를 정확히 감지하고 응급 상황 발생 시 이를 알릴 수 있는 네가티브 촬영 방식의 응급 알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응급 상황 감지 대상 영역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이미지 모델링을 통해 감지 대상 영역에서 응급 상황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응급 감지 센서;
상기 응급 상황 감지 대상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응급 상황 감지 대상 영역을 촬영하는 상기 IP 카메라;
상기 응급 상황 감지 대상 영역 내의 상기 응급 감지 센서 및 상기 IP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응급 감지 센서 및 상기 IP 카메라를 인터넷에 연결하는 댁내 통신부;
상기 응급 감지 센서 및 상기 IP 카메라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응급 감지 센서로부터 응급 상황 감지 신호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상기 응급 상황 감지 신호로부터 응급 상황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IP 카메라에 상기 응급 상황 감지 영역 촬영 및 촬영 사진 전송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IP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사진과 함께 응급 상황 여부를 알림 대상에게 전달하는 알림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응급 감지 센서는 응급 상황 감지 대상 영역으로 고주파를 방사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수신하여 감지 대상 영역을 설정 간격으로 이미지 모델링하여 감지 대상 영역 내의 감지 대상의 호흡 주기를 감지하고,
상기 ip 카메라는 상기 응급 상황 감지 대상 영역을 네가티브로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가티브 촬영 방식의 호흡 감지 응급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시 대상 영역에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알림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는 화재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응급 감지 센서는 상기 감시 대상 영역 내에 위치하는 사람 숫자를 감지하여 상기 알림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알림 서비스 서버는 화재 발생 상황을 119 안전신고센터로 통지할 때 상기 사람 숫자를 함께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 알림 시스템은, 자동으로 작동하여 호흡 중단 및 낙상 감지 시 사용자가 의식이 없을 때에도 도움을 자동으로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 알림 시스템은, 빨리 쓰러지거나 천천히 쓰러지거나, 물체 뒤에서 쓰러지는 등 종류와 상관 없이 모든 종류의 쓰러짐을 감지하여 이를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 알림 시스템은, 사용자가 몸에 착용하지 않고도 낙상 및 호흡 중단을 감지하여 이를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응급 알림 시스템은 물체나 가구 뒤에서 낙상하더라도 이를 감지하여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 알림 시스템은, 낙상 위치를 네가티브로 촬영하여 전달하므로, 개인 사진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 알림 시스템은 화재 발생 시 감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사람 숫자를 함께 전달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응급 알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응급 알림 시스템이 침실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도 2의 화면의 지도에서 낙상 발생 지역을 클릭했을 때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 알림 시스템에 따라 낙상 감지 후 복지 담당자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급 알림 시스템에 따라 낙상 감지 후 설정된 휴대 전화번호로 전송된 메시지, 네가티브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응급 알림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결정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네가티브 촬영 방식의 응급 알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응급 알림 시스템은 응급 감지 센서(120), IP 카메라(140), 댁내 통신부(110), 화재감지부(150), 알림 서비스 서버(200), 알림 대상 스마트폰(300), 응급 상황 관리자 PC(400)를 포함한다.
응급 감지 센서(120)는 응급 상황을 감지할 실내 벽면 설정 높이에 설치된다. 응급 감지 센서(120)는 전자파를 방사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전자파를 수신하여 감지 대상 영역을 이미지 모델링하여 감지 대상 영역 내에서 낙상 발생 여부를 감지하거나 호흡 여부를 감지한다.
낙상을 감지하는 낙상 감지부(121)는 레이더 센서를 사용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방사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수신하여 감지 대상 영역을 이미지 모델링하여 감지 대상 영역 내에서 낙상 발생 여부를 감지한다.
정상 호흡 여부를 감지하는 호흡 감지부(122)는 밀리미터웨이브를 방사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웨이브를 수신하여 감지 대상 영역을 이미지 모델링하고, 설정 시간 간격으로 모델링한 이미지를 비교하여 호흡 간격을 감지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들숨) 시에는 흉곽이 팽창하고, 호기(날숨) 시에는 흉곽이 수축하므로 모델링한 이미지에서 흉부 크기 변화를 감지하여 호흡 주기를 감지하고, 정상호흡, 빈호흡, 완서호흡, 수면무호흡, 호흡 정지 등을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 또는 설정 단말 등으로 전달한다.
정상 호흡은 규칙적으로 흡기와 호기의 주기적 교대가 일어나는 안정시의 호흡형으로 흡기성 또는 호기성 휴지기가 없는 것을 말한다. 호흡수는 호흡운동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1분간의 호흡(흡기와 호기를 합쳐서 1회로 하는) 수를 말한며, 성인의 경우 평균 16회 정도이다. 그외 체위, 체온, 외부기온, 운동, 정신적 긴장 등에 의해서도 변화하며, 또한 의식적으로 바꿀 수도 있다. 연수에 있는 호흡중추의 지배를 받고 있다. 건강한 사람의 안정시 호흡수는 매분 16~20회정도, 소아는 40~50회정도이고 호흡수1에 대해서 맥박수 3~5의 비율이 된다. 호흡수의 증가는 건강한 자라도 운동후나 정신적 흥분시에 보게 된다. 심질환 및 폐질환에서 주로 나타나며, 호흡수가 이상하게 증가한 상태를 빈호흡 tachypnea라 하고 각종 폐질환, 발열, 빈혈시에 볼수 있다. 한편 두개내압의 항진, 요독증, 당뇨병성혼수, 아편중독 등의 경우에 호흡수는 감소하는데 이것을 완서호흡 bradypnea라고 한다. 완서호흡은 호흡수가 보통보다 감소한 상태로 일반적으로 12회/분 이하로, 완서호흡은 요독증이나 당뇨병에 의한 혼수, 약물중독, 급성알콜 중독, 뇌질환에 인정하는 경우가 많다. 호흡수가 증가하고 동시에 호흡이 얕아진 상태를 빈호흡(과다호흡)이라 부른다. 호흡수가 증가하고 호흡깊이는 늘어난 상태는 과환기라고 부른다. 빈호흡에는 거의 항상 호흡곤란이 동반된다. 울혈성 심부전, 폐렴, 알카리증. 수막염. 발열(특히 소아)등에서 자주 볼 수 있다. (간호학대사전, 1996. 3. 1., 대한간호학회)
한편, 수면 장애중 가장 흔한 형태로 수면 무호흡증이 있다. 수면 중에 무호흡이 발생하면 체내의 산소가 부족하게 된다. 심장은 더 많은 피를 순환시키기 위하여 빨리 뛰게 되고, 자주 깨고 교감신경이 향진되어서 심장은 더 세게 박동을 해야 하며, 혈압이 올라가고 심장박동이 불규칙하여지며 심장박동이 일시적으로 멈추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심장정지가 오래 지속되면 다른 질병이 없던 건강한 사람도 사망할 수 있다. 이런 경우가 건강하다고 생각했던 사람이 잠자리에 들었다가 갑자기 사망하는 원인의 하나이다. 수면 무호흡증이 오래되면 혈압이 올라가며 심장부전, 부정맥, 심근경색증 및 뇌졸중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빈호흡이나 완서호흡과 같은 이상 호흡, 또는 수면 무호흡증 또는 호흡정지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리포트하고, 설정 시간 이상 호흡이 정지될 경우 후술할 알림 서비스 서버(200)로 리포트한다.
화재 감지부(150)는 CO 가스 감지, 연기 감지, 또는 불꽃 감지를 통해 감시 대상 영역에서 화재가 발생했는 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를 알림 감지 서버로 전달한다.
응급 감지 센서(120)는 이미지 모델링을 통해 감지 대상 영역 내에서 낙상을 감지하므로, 빠른 쓰러짐, 천천히 쓰러짐, 물체 뒤에서 쓰러짐 등 모든 종류의 낙상을 감지할 수 있다. 응급 감지 센서(120)에는 감시 대상 영역에서 잠자리 위치를 미리 설정하여 잠자리 위치에서 낙상 감지 기능을 오프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잠자리를 정하여 잠자는 것과 낙상을 구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응급 감지 센서(120)는 잠자리에서 1.5m 이내에 설치되어 잠자리로 고주파를 방사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웨이브를 이미지 모델링하여 수면중 감지 대상의 호흡 주기를 감지하므로, 정상호흠, 빈호흡, 완서호흡, 수면무호흡증, 및 호흡 정지 여부를 감지하여 설정된 이상 호흡의 경우 응급 상황으로 판단하여 이를 알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응급 감지 센서(120)는 감지 대상 영역에 존재하는 인원수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 시 감지 대상 영역에 존재하는 인원수를 함께 전달한다. 응급 감지 센서(120)는 감지 대상 영역에 사람 존재 여부와 호흡 종류를 함께 전달하여 인원 구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IP 카메라(140)는 응급 상황을 감지할 실내 전체를 촬영 가능하도록 해당 영역에 하나 이상 설치된다. IP 카메라(140)는 유선 또는 무선랜을 통해 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관리자 제어에 따라 촬영 및 촬영한 영상 또는 사진을 전송한다. IP 카메라(140)는 양방향 스피커 기능을 포함하여 관리자가 응급 상황 발생 시 감시 영역 내로 사운드를 전송하고, 감시 영역 내의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한다. IP 카메라(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상 발생 영역을 네가티브로 촬영하여 개인의 사적인 상태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P 카메라(140)가 네가티브로 사진을 촬영하면 사람의 형체만 보이게 되고 누구인지는 알아보기 어렵기 대문에 사생활 보호가 가능하게 된다.
댁내 통신부(110)는 3G 통신 모듈, 4G 통신 모듈, 5G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와이브로(Wibro) 통신 모듈, M2M 통신 모듈,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모듈 및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중 어느 하나 등과 같이 공지된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응급 감지 센서(120) 및 IP 카메라(140)는 댁내 통신부(110)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된다.
알림 서비스 서버(200)는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가입자 별로 응급 감지 센서(120) 및 IP 카메라(140)와 연결되어 응급 감지 센서(120)로부터 응급 상황으로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하는 IP 카메라(140)에 촬영 및 사진 전송 명령을 전송하고, IP 카메라(140)로부터 전송받은 사진으로 설정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가입자 별로 설정된 알림대상 스마트폰(300)으로 발생 이벤트, IP 카메라(140)에서 전달받은 촬영 사진, 가입자 위치 지도를 전송한다. 알림 서비스 서버(200)는 응급 상황 관리자 PC(400)로 발생 이벤트, IP 카메라(140)에서 전달받은 촬영 사진, 가입자 위치 지도를 전달할 수 있다.
알림 대상 스마트폰(300)은 응급 알림 서비스 가입 시 알림 서비스 서버(200)에 IP 또는 스마트폰 번호를 등록한다. 알림 대상 스마트폰(300)은 응급 알림 서비스 앱을 다운받아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급 알림 서비스 앱은 응급 감지 센서(120)의 감지 정보를 수신하거나 IP 카메라(140)의 영상을 수신하여 스마트폰(300)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응급 상황 발생 시 알림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사진, 지도를 디스플레이한다. 알림 대상 스마트폰(300)은 보호자 스마트폰 또는 복지 담당자 스마트폰이 될 수 있다. 알림 대상 스마트폰(300)의 메시지 또는 SNS로 전달된 응급 알림 메시지에는 알림 이벤트 대상, 사진 및 지도가 전달된다.
응급 상황 관리자 PC(400)는 지자체의 복지 담당 공무원 PC가 될 수 있다. 담당자의 PC로 발생 이벤트 IP 카메라(140)에서 전달받은 사진 가입자 위치 지도가 전달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응급 알림 시스템에 따라 낙상 감지 후 전달된 복지 담당자 PC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응급 알림 대상자 성명, 주소, 발생시간, 경과 내용 등이 지도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알림 대상 스마트폰(300) 사용자 또는 응급 상황 관리자 PC(400)의 담당자는 전달받은 사진을 통해 응급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IP 카메라(140)를 통해 응급 발생 장소로 긴급 통화를 하거나 응급 상황 발생 장소의 상황을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알림 서비스 서버(200)는 알림 대상 스마트폰(300) 또는 응급 상황 관리자 PC(400)와 함께 119 안전신고센터(500)로 응급 상황을 전달하여 119 구급차 등이 출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알림 서비스 서버(200)는 알림 대상 스마트폰(300) 또는 응급 상황 관리자 PC(400)와 함께 119 안전신고센터(500)로 응급 상황이 발생한 영역, 응급 상황 종류 등을 전달하여 구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가티브 촬영 방식의 호흡 감지 응급 알림 시스템은 낙상이 발생하면 5초 안에 낙상을 감지하고 1분 내에 응급 상황을 전달하여 응급 조치가 가능하게 한다. 화재 감지 시 실내에 몇명의 사람이 있는 지에 대한 정보를 화재 알림과 함께 119 안전 신고센터(5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1분 안에 응급 상황 발생을 알려 골든 타임 안에 생명을 구함으로써 사회 경제적 비용을 감소시키고 진정한 노인 복지를 이룰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댁내통신부 120 : 응급 감지 센서
121 : 낙상 감지부 122 : 호흡 감지부
140 : IP 카메라 150 : 화재 감지부
200 : 알림 서비스 서버

Claims (2)

  1. 응급 상황 감지 대상 영역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이미지 모델링을 통해 감지 대상 영역에서 응급 상황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응급 감지 센서;
    상기 응급 상황 감지 대상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응급 상황 감지 대상 영역을 촬영하는 상기 IP 카메라;
    상기 응급 상황 감지 대상 영역 내의 상기 응급 감지 센서 및 상기 IP 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응급 감지 센서 및 상기 IP 카메라를 인터넷에 연결하는 댁내 통신부;
    상기 응급 감지 센서 및 상기 IP 카메라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응급 감지 센서로부터 응급 상황 감지 신호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상기 응급 상황 감지 신호로부터 응급 상황으로 판단할 경우 상기 IP 카메라에 상기 응급 상황 감지 영역 촬영 및 촬영 사진 전송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IP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사진과 함께 응급 상황 여부를 알림 대상에게 전달하는 알림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응급 감지 센서는 응급 상황 감지 대상 영역으로 밀리미터웨이브를 방사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웨이브를 수신하여 감지 대상 영역을 이미지 모델링하고, 설정 시간 간격으로 모델링한 이미지를 비교하여 흡기(들숨) 시에는 흉곽이 팽창하고, 호기(날숨) 시에는 흉곽이 수축하는 흉부 크기 변화를 통해 호흡 주기를 감지하고,
    상기 IP 카메라는 상기 응급 상황 감지 대상 영역을 네가티브로 촬영하여 촬영한 네가티브 영상을 상기 알림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가티브 촬영 방식의 호흡 감지 응급 알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감시 대상 영역에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알림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는 화재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응급 감지 센서는 상기 감시 대상 영역 내에 위치하는 인원수를 감지하여 상기 알림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알림 서비스 서버는 화재 발생 상황을 119 안전신고센터로 통지할 때 상기 인원수를 함께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가티브 촬영 방식의 호흡 감지 응급 알림 시스템.
KR1020220048371A 2022-04-19 2022-04-19 네가티브 촬영 방식의 호흡 감지 응급 알림 시스템 KR102484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371A KR102484784B1 (ko) 2022-04-19 2022-04-19 네가티브 촬영 방식의 호흡 감지 응급 알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371A KR102484784B1 (ko) 2022-04-19 2022-04-19 네가티브 촬영 방식의 호흡 감지 응급 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4784B1 true KR102484784B1 (ko) 2023-01-04

Family

ID=8492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371A KR102484784B1 (ko) 2022-04-19 2022-04-19 네가티브 촬영 방식의 호흡 감지 응급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478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4525A (ja) 1996-09-25 1998-04-14 Saitama Pref Gov ベッド通報装置
KR20120114893A (ko) 2011-04-08 2012-10-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상 낙상 감지용 알람 패드,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상 낙상 판단 방법
KR101438002B1 (ko) 2013-02-28 2014-09-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방지 장치
KR20160080046A (ko) 2014-12-29 2016-07-0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감지하는 낙상 감지 서버 및 낙상 감지 서버가 수행하는 낙상 감지 방법
KR20180136770A (ko) * 2017-06-15 2018-12-2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71307A (ko) *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허브테크 레이더를 이용한 수면 무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19149172A (ja) * 2016-02-15 2019-09-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検知システムおよび検知方法
KR102289606B1 (ko) * 2021-03-09 2021-08-12 김종환 응급 알림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4525A (ja) 1996-09-25 1998-04-14 Saitama Pref Gov ベッド通報装置
KR20120114893A (ko) 2011-04-08 2012-10-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상 낙상 감지용 알람 패드,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상 낙상 판단 방법
KR101438002B1 (ko) 2013-02-28 2014-09-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방지 장치
KR20160080046A (ko) 2014-12-29 2016-07-0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사용자의 낙상 여부를 감지하는 낙상 감지 서버 및 낙상 감지 서버가 수행하는 낙상 감지 방법
JP2019149172A (ja) * 2016-02-15 2019-09-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検知システムおよび検知方法
KR20180136770A (ko) * 2017-06-15 2018-12-2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71307A (ko) *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허브테크 레이더를 이용한 수면 무호흡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289606B1 (ko) * 2021-03-09 2021-08-12 김종환 응급 알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3752B1 (ko) 수면 중인 대상체의 쾌면을 유도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쾌면 유도 장치
US20220211333A1 (en) Video-based patient monitoring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breathing
US11369321B2 (en) Monitoring and tracking system, method, article and device
US10448874B2 (en) Visit dur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6200568A (zh) 远程监控系统
JP2015103116A (ja) 自動通報システム
US11819315B2 (en) Human condition detecting device
KR102338297B1 (ko) 사용자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JP2010194005A (ja) 呼吸計測方法及び呼吸計測装置
JP2019152914A (ja) 保育施設児童見守り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CN109394223A (zh) 监测人体活动的方法、装置和服务器
KR101868593B1 (ko) 스마트 토이를 이용한 노인 모니터링 및 관제시스템
KR102484784B1 (ko) 네가티브 촬영 방식의 호흡 감지 응급 알림 시스템
CN109730659A (zh) 一种基于微波信号监测的智能床垫
KR20150061745A (ko) 적외선 방식 뎁스 카메라 기반의 독거노인 위급상황 감지 시스템
JP7435459B2 (ja) 状態監視装置および状態監視方法
KR102525902B1 (ko) 자살 방지 응급 알림 시스템
US2023007889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ventilatory depression and for prompting a patient to breathe
JPWO2020003715A1 (ja) レポート出力プログラム、レポート出力方法およびレポート出力装置
JP2003085679A (ja) 車椅子着座人異常検知装置
US202003903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Person for Signs of Sickness
TWI656502B (zh) 隨身安全照護方法、裝置及系統
JP2021089633A (ja)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プログラム及び見守り方法
JP2000030174A (ja) 縫いぐるみ状セキュリティ装置
EP3744245A1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respiratory rate of a su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