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6770A -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6770A
KR20180136770A KR1020170075944A KR20170075944A KR20180136770A KR 20180136770 A KR20180136770 A KR 20180136770A KR 1020170075944 A KR1020170075944 A KR 1020170075944A KR 20170075944 A KR20170075944 A KR 20170075944A KR 20180136770 A KR20180136770 A KR 20180136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unit
block
difference valu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희
최하정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무림지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무림지앤아이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75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6770A/ko
Publication of KR20180136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8Elder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더센서를 이용하여 관리대상인 노약자의 심박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노약자의 신체에 별도의 측정수단을 장착하지 않아도 심박상태 검출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임과 동시에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열-감지센서가 감지영역(S)을 N×N 블록들로 분할하여 온도를 측정한 후 측정된 온도를 활용하여 인체를 감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인체감지의 분해능 및 정확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관리서버가 기 설정된 상황인지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레이더센서에 의해 검출된 심박상태정보 및 열-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된 모션정보를 분석하여 노약자의 긴급상황 발생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긴급상황을 정밀하고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고, 원격 관리서버가 긴급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기 설정된 관리자의 단말기로 긴급상황이 발생하였다는 정보 및 위치를 포함하는 긴급상황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긴급상황 발생 시 이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는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remote management and monitering system for old and infirm}
본 발명은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감지영역(S) 내 환자의 유무, 움직임 및 심박동수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하여 감지대상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함과 동시에 긴급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는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자디바이스 및 센싱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감지영역(S) 내 감지대상을 원격에서 모니터링 하기 위한 원격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이 널리 연구되어 실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인구통계에 따르면, 2020년에 우리나라는 65세 이상의 노령인구가 전체인구 대비 14%를 초과하는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노약자의 상태를 원격에서 모니터링 및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493322호(발명의 명칭 : 의료진단 시스템)에는 측정수단을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들숨 및 날숨의 호흡패턴을 측정한 후, 외부 의료기관 서버가 측정수단으로부터 전송받은 호흡패턴을 분석하여 분석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치료수단 정보를 검출하여 이를 관리대상의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관리대상이 의료기관을 직접 내방하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장소 및 시간에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어 검진절차가 간편해짐과 동시에 치료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의료진단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의료진단 시스템은 특정 관리대상의 호흡패턴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관리대상이 별도의 측정수단을 장착하여야만 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관리대상이 측정수단을 직접 장착한 상태에서만 모니터링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번거롭고 복잡한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특히 관리대상이 노령이하고 할 때, 관리대상의 모니터링은 일시적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나, 상기 의료진단 시스템은 측정수단을 장착한 상태에서만 모니터링이 이루어져 고령인의 관리 목적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단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의료진단 시스템은 관리대상의 재실여부, 움직임 등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이 기재되어 있지 않아, 모니터링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409299호(발명의 명칭 : 셀프 콜 기능을 갖는 게이트 웨이를 이용한 독거노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개시된 독거노인 원격 모니터링 방법을 구현하는 전반적인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독거노인 원격 모니터링 방법(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S900)은 제1 단계(S910)와, 제2 단계(S920), 제3 단계(S930), 제4 단계(S940)로 이루어진다.
제1 단계(S910)는 게이트 웨이의 현재 모드(mode)가 재실상태 인지 또는 외출상태 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때 제1 단계(S910)의 게이트 웨이는 독거노인이 거주하는 실내에 출입문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미 도시)를 통해 독거노인에 대한 재실상태 또는 외출상태 정보를 수신 받으며, 수신받은 재실상태 또는 외출상태는 현재의 모드(mode)로 설정된다.
제2 단계(S920)는 미리 설정된 시간 스케줄에 따라 셀프 벨(self bell)이 울리도록 하는 단계이다.
제3 단계(S930)는 독거노인이 셀프 벨(self bell) 소리를 듣고 전화를 수신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제4 단계(S940)는 독거노인이 전화를 수신하는 지 여부의 판단에 따라 서비스 관리서버로 신변이상 추정정보를 전송하거나, 게이트 웨이의 현재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S900)은 게이트 웨이 및 통화수단을 이용하여 셀프 벨이 울릴 때 독거노인의 전화 수신여부에 따라 긴급상항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원격에서 독거노인을 효율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종래기술(S900)은 독거노인인 관리대상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통화수단과 같은 별도의 장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하기 때문에 편의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모니터링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셀프 벨이 울리는 주기마다 1회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서비스 효율성이 떨어지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S900)은 관리영역 내 관리대상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검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긴급상황 발생 여부의 판단이 늦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이에 다른 긴급상황에 대한 대처 및 대응이 지체되는 단점을 갖는다.
즉 1)관리대상의 상태를 실시간 감지하되, 카메라 등으로 인하여 관리대상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으면서 관리영역 내 관리대상의 재실여부, 출입인원 카운팅, 궤적 등의 정보를 검출할 수 있으며, 2)별도의 측정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비접촉식으로 관리대상의 생체정보를 검출할 수 있고, 3)원격 관리서버가 검출된 정보들을 분석하여 관리대상의 상태정보 및 긴급상황 발생정보를 검출하여 관리대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관리할 수 있는 원격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레이더센서를 이용하여 관리대상인 노약자의 심박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노약자의 신체에 별도의 측정수단을 장착하지 않아도 심박상태 검출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임과 동시에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열-감지센서가 감지영역(S)을 N×N 블록들로 분할하여 온도를 측정한 후 측정된 온도를 활용하여 인체를 감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인체감지의 분해능 및 정확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관리서버가 기 설정된 상황인지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레이더센서에 의해 검출된 심박상태정보 및 열-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된 모션정보를 분석하여 노약자의 긴급상황 발생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긴급상황을 정밀하고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는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원격 관리서버가 긴급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기 설정된 관리자의 단말기로 긴급상황이 발생하였다는 정보 및 위치를 포함하는 긴급상황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긴급상황 발생 시 이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는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기 설정된 감지영역(S)의 하부구조물에 설치되며, 직상부에 배치된 인체의 호흡상태를 검출하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검출된 호흡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호흡감지부; 상기 감지영역(S)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영역(S)의 온도를 측정하는 열감지센서와, 상기 열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데이터를 통해 상기 감지영역(S) 내 재실인원수(N)를 포함하는 재실정보 및 검출된 객체의 궤적을 추적하여 검출된 각 객체의 움직임정보를 포함하는 모션정보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검출된 재실정보 및 모션정보와 상기 호흡감지부로부터 전송받은 호흡상태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인체감지부; 상기 감지영역(S)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기인 관리자 단말기; 기 설정된 상황인지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인체감지부로부터 전송받은 재실정보, 모션정보 및 호흡상태정보를 분석하여 감지대상에 긴급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며, 긴급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긴급상황이 발생하였다는 긴급발생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호흡감지부는 레이더센서이고, 상기 호흡감지부는 관리대상의 인체의 피부를 투과하여 내부 장기에 도달할 수 있는 주파수의 레이더신호를 방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호흡감지부는 레이더의 투과율을 분석하여 긴급상황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호흡감지부는 관리대상의 취침이 이루어지는 구조물의 하부에 설치되며, 레이더신호를 방사한 후 반사되는 신호를 수집하며, 반사파의 주파수 편이를 검출한 후 검출된 주파수 편이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 긴급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원격관리서버는 전송받은 재실정보 및 모션정보를 통해 상기 감지영역(S) 내 검출된 객체가 기 설정된 임계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거나 또는 전송받은 호흡상태정보를 통해 주파수 편이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벗어날 때 긴급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인체감지부의 상기 열감지센서는 상기 감지영역(S)을 N×N 블록들로 분할하여 블록별로 온도값을 측정하고, 상기 인체감지부의 제어부는 기 설정된 주기(T1) 마다 상기 열-감지센서를 구동시키는 센서 제어부; 설정된 기준값(C)과, 상기 센서 제어부를 통해 상기 열-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블록별 온도값 데이터들 각각의 차이값인 블록별 차이값들을 산출하는 블록별 차이값 산출부; 상기 블록별 차이값 산출부에 의한 블록별 차이값들 중 최대값인 최대 차이값을 검출하는 최대 차이값 검출부; 상기 최대 차이값 검출부에 의한 최대 차이값을 갖는 블록을 진입블록으로 결정한 후 상기 진입블록의 궤적을 추적하며, 상기 진입블록의 궤적이 상기 감지영역(S) 상에서 기 설정된 기준선(L)을 통과할 때 통과방향에 따라 재실인원수(N)를 ‘1’씩 증가 또는 차감시키는 카운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선(L)은 상기 감지영역(S)의 출입구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카운팅부는 상기 최대 차이값 검출부에 의한 최대 차이값을 객체가 상기 감지영역(S)으로 진입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는 최대 차이값의 최소값으로 정의되는 제2 설정값(TH2)에 비교하며, 만약 최대 차이값이 상기 제2 설정값(TH2) 미만이면 상기 감지영역(S)으로 객체가 진입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며, 만약 최대 차이값이 상기 제2 설정값(TH2) 이상이면 상기 감지영역(S)으로 객체가 진입하였다고 판단하여 최대 차이값을 갖는 블록을 진입블록으로 결정하고, 상기 인체감지부의 제어부는 기준값 보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값 보정부는 기 설정된 주기(T2) 마다 인체가 감지되지 않았을 때의 블록별 온도값 데이터들의 합산값인 전체값(Mn)을 산출하는 전체값 산출모듈; 상기 전체값 산출모듈에 의한 전체값(Mn)과 이전 주기의 전체값(Mn-1)의 차이값인 전체차이값(△M)을 산출하는 전체차이값 산출모듈; 상기 전체차이값 산출모듈(383)에 의한 전체차이값(△M)을, 기준값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블록별 온도값 데이터들의 합산값들의 최소값으로 정의되는 제1 설정값(TH)에 비교하는 비교모듈; 상기 비교모듈에서 전체차이값(△M)이 상기 제1 설정값(TH1) 미만이면 기준값(C)을 보정하지 않되, 전체차이값(△M)이 상기 제1 설정값(TH1) 이상 또는 이하일 때 기준값(C)을 증가 또는 차감시키는 기준값 보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값 보정모듈은 기준값 보정의 크기가 ‘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더센서를 이용하여 관리대상인 노약자의 심박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노약자의 신체에 별도의 측정수단을 장착하지 않아도 심박상태 검출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임과 동시에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열-감지센서가 감지영역(S)을 N×N 블록들로 분할하여 온도를 측정한 후 측정된 온도를 활용하여 인체를 감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인체감지의 분해능 및 정확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서버가 기 설정된 상황인지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레이더센서에 의해 검출된 심박상태정보 및 열-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된 모션정보를 분석하여 노약자의 긴급상황 발생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긴급상황을 정밀하고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 관리서버가 긴급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기 설정된 관리자의 단말기로 긴급상황이 발생하였다는 정보 및 위치를 포함하는 긴급상황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긴급상황 발생 시 이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409299호(발명의 명칭 : 셀프 콜 기능을 갖는 게이트 웨이를 이용한 독거노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개시된 독거노인 원격 모니터링 방법을 구현하는 전반적인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호흡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인체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인체감지부의 감지영역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카운팅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한 명의 객체가 감지영역(S)을 통과할 때 본 발명의 카운팅부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두 명의 객체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달아 감지영역(S)을 통과할 때 본 발명의 카운팅부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5의 기준값 보정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2의 호흡감지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2의 원격 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호흡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1)은 분해능 및 정밀도를 높인 인체감지부(3)와, 관리대상인 노약자(21)의 호흡상태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하는 호흡감지부(5)를 분석 및 활용하여 원격 관리서버(7)에서 노약자(21)의 상태를 모니터링 함과 동시에 긴급상황 발생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하여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때 관리대상은 환자, 노인 등을 포함하는 노약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감지영역(S)은 노약자(21)의 주거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정의되며, 예를 들어 침실(20)이 구비된 병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1)은 천장과 같은 상부구조물에 설치되어 감지영역(S) 내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부(3)와, 감지영역(S) 내 배치된 침실과 같은 하부구조물에 설치되어 노약자(21)의 호흡 상태를 감지한 후 검출된 호흡상태정보를 인체감지부(3)로 전송하는 호흡감지부(5)와, 인체감지부(3)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로부터 전송받은 재실정보, 모션정보 및 호흡상태정보를 모니터링 함과 동시에 이들을 분석하여 긴급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원격 관리서버(7)와, 감지영역(S)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기인 관리자 단말기(9)와, 인체감지부(3), 관리자 단말기(9) 및 원격 관리서버(7)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11)과, 인체감지부(3) 및 호흡감지부(5)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망(1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체감지부(3)가 열-감지센서(300) 및 제어부(30)를 포함하고 이들이 임베디드(embedded) 타입으로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어부(30)는 별도의 컨트롤러로 분리되게 제작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통신망(11)은 인체감지부(3), 관리자 단말기(9) 및 원격 관리서버(7)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상세하게로는 광역통신망(WAN)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Network)망,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망(12)은 인체감지부(3) 및 호흡감지부(5)의 접속을 지원하는 통신망이며, 상세하게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9)는 관리영역(S)의 노약자(21)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소지하거나 또는 관리자의 위치한 공간에 배치되는 단말기이며, 통신망(11)을 통해 원격 관리서버(7)로부터 긴급발생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이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긴급상황 발생 시 관리자가 이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긴급발생 데이터는 긴급상황이 발생하였다는 정보와, 긴급상황이 발생된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인체감지부(3)는 감지영역(S) 내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세하게로는 열-감지센서(300)를 포함한다.
또한 인체감지부(3)는 감지영역(S) 내 인체를 감지함과 동시에 인원수를 카운팅(Counting) 하여 재실인원수(N)를 포함하는 재실정보를 검출한다. 이때 재실정보는 감지영역(S) 내 인체감지여부 정보 및 재실인원수(N)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인체감지부(3)는 검출된 인체인 객체들 각각의 궤적을 추적하여 모션정보를 검출한다. 이때 모션정보는 각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인체감지부(3)는 재실정보 및 모션정보가 검출되면, 근거리 통신망(12)을 통해 검출된 재실정보 및 모션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인체감지부(3)는 후술되는 도 5 내지 10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호흡감지부(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영역(S) 내 침실(20)의 하부에 설치되어 노약자(21)의 호흡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이며, 상세하게로는 레이더신호를 송수신하는 레이더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호흡감지부(5)는 침실(20)에 눕거나 자는 노약자(21)의 급작스러운 호흡정지를 감지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또한 호흡감지부(5)는 송수신된 레이더신호를 분석하여 노약자(21)의 호흡상태를 검출한다. 이러한 호흡감지부(5)의 구성 및 동작과정은 후술되는 도 11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인체감지부(3)의 제어부(30)는 자체적으로 검출된 재실정보 및 모션정보와, 호흡감지부(5)로부터 전송받은 호흡상태정보를 통신망(11)을 통해 원격 관리서버(7)로 전송한다.
원격 관리서버(7)는 인체감지부(3)의 제어부(30)로부터 전송받은 재실정보, 모션정보 및 호흡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함과 동시에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또한 원격 관리서버(7)는 기 설정된 상황인지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송받은 재실정보, 모션정보 및 호흡상태정보를 분석하여 긴급상황이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원격 관리서버(7)는 긴급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감지영역(S)의 관리자 단말기(9)로 긴급발생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원격 관리서버(7)는 인체감지부(3)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가 기 설정되어 저장됨으로써 긴급상황 발생 시 인체감지부(3)의 식별정보를 통해 위치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인체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인체감지부의 감지영역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인체감지부(3)는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하부의 감지영역(S)의 온도값을 측정하는 열-감지센서(300)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감지센서(300)로부터 측정된 온도값들을 분석하여 재실인원수(N)를 산출하는 제어부(30)로 이루어진다.
열-감지센서(300)는 감지영역(S) 내 온도값을 측정한다. 즉, 열-감지센서(300)는 천장에 설치될 때 지면을 향하는 직하부에 감지영역(S)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열-감지센서(300)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감지영역(S)의 온도값을 측정하며, 상세하게로는 초당 5회의 제1 주기(T1) 마다 감지영역(S)의 온도값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감지센서(300)는 측정된 온도값들을 제어부(30)로 입력한다.
또한 열-감지센서(300)의 렌즈는 4×4의 셀들로 형성됨으로써 열-감지센서(300)에 의해 형성되는 감지영역(S)은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4 블록들로 이루어진다.
즉 열-감지센서(300)는 온도 측정 시 감지영역(S)의 각 블록의 온도값 데이터들을 측정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감지영역(S)이 4×4 블록들로 분할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감지영역(S)은 N×N(N>2) 블록들로 분할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감지영역(S)은 이동방향(A)에 수직인 방향의 길이를 갖되, 감지영역(S)의 출입구에 인접한 지점에 기준선(L)이 형성된다. 이때 인체감지부(3)는 객체가 기준선(L)을 통과할 때 이동방향에 따라 재실인원수(N)를 ‘+’ 또는 ‘-’ 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감지영역(S)의 하부영역에 출입구가 설치되는 경우, 인체감지부(3)는 객체가 +A의 방향으로 기준선(L)을 통과하는 경우 기존 재실인원수(N)에 1을 합산하여 재실인원수(N)를 갱신하되, -A의 방향으로 기준선(L)을 통과하는 경우 기존 재실인원수(N)에 1을 차감하여 재실인원수(N)를 갱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인체감지부(3)는 만약 3m 높이의 천장에 설치될 때 가로 2.43m, 세로 2.52m의 크기로 감지영역(S)이 형성되고, 만약 2m 높이의 천장에 설치될 때 가로 1.62m, 세로 1.68m의 크기로 감지영역(S)이 형성된다.
도 6은 도 2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의 제어부(30)는 제어모듈(31)과, 메모리(32), 통신인터페이스부(33), 센서 제어부(34), 블록별 차이값 산출부(35), 최대 차이값 검출부(36), 카운팅부(37), 기준값 보정부(38), 통계데이터 생성부(39)로 이루어진다.
제어모듈(31)은 제어부(30)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32), (33), (34), (35), (36), (37), (38), (39)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모듈(31)은 기 설정된 제1 주기(T1=초당 5회) 마다 센서 제어부(34)를 구동시켜 센서 제어부(34)의 제어에 따라 열-감지센서(300)가 제1 주기(T1) 마다 블록별로 온도를 측정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모듈(31)은 센서 제어부(34)를 통해 열-감지센서(300)에 의해 측정된 블록별 온도데이터들을 블록별 차이값 산출부(35)로 입력함과 더불어 메모리(32)에 저장하며, 기준값 보정부(38)로 입력한다.
또한 제어모듈(31)은 블록별 차이값 산출부(35)에 의해 산출된 블록별 차이값 데이터들을 최대 차이값 검출부(36)로 입력함과 동시에 메모리(32)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모듈(31)은 최대 차이값 검출부(36)에 의해 검출된 최대 차이값 데이터들을 카운팅부(37)로 입력하고, 카운팅부(37)에 의해 검출된 재실인원수를 메모리(32)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모듈(31)은 기 설정된 제2 주기(T2) 마다 기준값 보정부(38)를 구동시켜 기준값 보정부(38)에 의해 기준값 데이터가 보정되도록 한다.
메모리(32)에는 제1 주기(T1), 제2 주기(T2) 및 제1 설정값(TH1, Threshold1)이 기 설정되어 저장된다. 이때 제1 설정값(TH1)은 기준값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블록별 온도값 데이터들의 합산값들의 최소값으로 정의된다.
또한 메모리(32)에는 전술하였던 도 5의 기준선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32)에는 센서 제어부(34)에 의해 측정된 블록별 온도값 데이터들과, 블록별 차이값 산출부(35)에 의해 산출된 블록별 차이값 데이터들과, 최대 차이값 검출부(36)에 의해 검출된 최대 차이값 데이터와, 카운팅부(37)에 의해 검출된 재실인원수(N)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32)에는 통계데이터 생성부(39)에 의해 생성된 통계데이터가 저장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3)는 외부 장치와 데이터통신을 지원한다.
센서 제어부(34)는 제어모듈(31)의 제어에 따라 제1 주기(T1) 마다 열-감지센서(300)를 구동시킴으로써 제1 주기(T1) 마다 감지영역(S)의 블록별로 온도가 측정되도록 한다.
또한 센서 제어부(34)는 열-감지센서(300)로부터 블록별 온도값 데이터들이 입력되면, 입력된 블록별 온도값 데이터들을 블록별 차이값 산출부(35)로 입력한다.
블록별 차이값 산출부(35)는 센서 제어부(34)로부터 입력된 블록별 온도값 데이터들 각각과, 후술되는 도 11의 기준값 보정부(38)에 의해 설정된 기준값 데이터(C)의 차이값인 블록별 차이값들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기준값 데이터(C)가 ‘180’이고, 1블록의 온도값 데이터가 ‘190’이며, 2블록의 온도값 데이터가 ‘194’인 경우, 블록별 차이값 산출부(35)에 의해 산출된 1블록의 차이값은 ‘10’이며, 2블록의 차이값은 ‘14’이 된다.
즉 블록별 차이값 산출부(35)는 기준값 데이터와, 블록별 온도값 데이터들의 차이값들을 각각 산출한다. 이때 산출된 블록별 차이값 데이터들은 최대 차이값 검출부(36)로 입력된다.
최대 차이값 검출부(36)는 입력된 블록별 차이값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이들 중 가장 큰 크기를 갖는 최대 차이값 데이터를 검출한다.
이때 최대 차이값 검출부(36)에 의해 검출된 최대 차이값 데이터는 카운팅부(37)로 입력된다.
도 7은 도 6의 카운팅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카운팅부(37)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 및 판정모듈(371)과, 궤적추적모듈(373), 카운팅모듈(375)로 이루어진다.
비교 및 판정모듈(371)은 최대 차이값 검출부(36)로부터 입력된 최대 차이값 데이터와, 기 설정된 제2 설정값(TH2, Threshold2)을 비교한다. 이때 제2 설정값(TH2)은 인체가 진입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는 최대 차이값의 최소값으로 정의된다.
또한 비교 및 판정모듈(371)은 만약 최대 차이값이 제2 설정값(TH2) 미만이면, 해당 블록으로 사람이 진입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며, 만약 최대 차이값이 제2 설정값(TH2) 이상이면, 해당 블록으로 사람이 진입하였다고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인체가 감지영역(S)으로 진입하지 않는 경우에도, 외부 환경에 의하여 블록들의 온도가 소정의 차이를 갖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최대 차이값을 제2 설정값(TH2)에 비교하여 사람의 진입 여부를 검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비교 및 판정모듈(371)은 만약 최대 차이값이 제2 설정값(TH2) 이상이면, 최대 차이값이 발생된 블록을 사람이 진입한 블록인 ‘진입블록‘으로 결정하며, 결정된 ’진입블록‘ 데이터를 궤적추적모듈(373)로 입력한다.
궤적추적모듈(373)은 비교 및 판정모듈(371)로부터 ’진입블록‘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연속되는 주기의 진입블록들의 궤적을 추적하여 진입블록들의 궤적이 기준선(L)을 통과하는지를 판별한다.
또한 궤적추적모듈(373)은 만약 진입블록들의 궤적이 기준선(L)을 통과하는 경우, 카운팅모듈(375)을 구동시킨다.
카운팅모듈(375)은 궤적추적모듈(373)에 의해 진입블록들이 +A 방향으로 기준선(L)을 통과하는 경우 기존 재실인원수(N)에 1을 합산하여 재실인원수(N)를 갱신하되, 진입블록들이 A 방향으로 기준선(L)을 통과하는 경우 기존 재실인원수(N)에 1을 차감하여 재실인원수(N)를 갱신한다.
도 8은 한 명의 객체가 감지영역(S)을 통과할 때 본 발명의 카운팅부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가 감지영역(S)을 X 방향으로 이동하되, P3 -> P7 -> P11 -> P15의 순서에 따라 통과할 때, 열-감지센서(300)에 의해 측정된 블록별 온도값 데이터들을 보면 객체가 이동한 블록인 ‘P3’, ‘P7’, ‘P11’, ‘P15’의 온도값 데이터들이 제일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블록별 차이값 산출부(35)에 의해 산출된 블록별 차이값들을 보면, 객체가 이동한 블록인 ‘P3’, ‘P7’, ‘P11’, ‘P15’의 차이값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객체가 P7 블록(표의 a에 대응)에서 P11 블록(표의 b에 대응)으로 통과할 때 기준선(L)을 통과하기 때문에 카운팅모듈(375)은 기존 재실인원수(N)에서 1을 차감하여 재실인원수(N)를 산출하게 된다.
도 9는 두 명의 객체가 동일한 방향으로 연달아 감지영역(S)을 통과할 때 본 발명의 카운팅부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객체가 우선 감지영역(S)을 X 방향으로 진입하여 P15 -> P11 -> P6 -> P2의 순서에 따라 통과하고, 제2객체가 제1객체의 진입 직후 곧바로 감지영역(S)을 X방향으로 진입하여 P14 -> P11 -> P7 -> P2로 통과할 때, 블록별 차이값 산출부(35)에 의해 산출된 블록별 차이값들을 보면, 객체가 이동한 블록의 차이값이 최대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객체 및 제2객체가 기준선(L)을 통과하기 때문에 카운팅모듈(375)은 기존 재실인원수(N)에서 1을 합산한 후 다시 1을 합산하여 재실인원수(N)를 산출하게 된다.
도 10은 도 5의 기준값 보정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의 기준값 보정부(38)는 제어모듈(31)의 제어에 따라 기 설정된 제2 주기(T2) 마다 구동되며, 기준값(C)을 보정한다.
또한 기준값 보정부(38)는 제2 주기(T2) 마다 인체가 감지되지 않았을 때의 블록별 온도값 데이터들의 합산값인 전체값(Mn)을 산출하는 전체값 산출모듈(381)과, 전체값 산출모듈(381)에 의해 산출된 전체값(Mn)과 이전 주기의 전체값(Mn-1)의 차이값인 전체차이값(△M)을 산출하는 전체차이값 산출모듈(383)과, 전체차이값 산출모듈(383)에 의해 산출된 전체차이값(△M)을 기 설정된 제1 설정값(TH1)에 비교하는 비교모듈(385)과, 비교모듈(385)에서 전체차이값(△M)이 제1 설정값(TH1) 미만이면 기준값(C)을 보정하지 않되, 전체차이값(△M)이 제1 설정값(TH1) 이상 또는 이하일 때 기준값(C)을 보정하는 기준값 보정모듈(387)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설정값(TH1)은 기준값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블록별 온도값 데이터들의 합산값들의 최소값으로 정의된다.
기준값 보정모듈(387)은 만약 전체차이값(△M)이 제1 설정값(TH1) 이상 또는 이하이면, 기존 기준값(C)에서 1을 합산 또는 차감하여 기존값(C)을 갱신한다.
일반적으로, 열-감지센서(300)는 설치된 장소의 온도가 전체적으로 올라가거나 또는 떨어지는 경우, 인체감지율이 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설치장소의 온도가 5℃ 증가하는 경우, 본 발명은 블록별 차이값 산출부(35)에 의해 산출되는 블록별 차이값들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객체가 감지영역(S)을 통과하더라도, 이를 감지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기준값 보정부(38)가 제2 주기(T2) 마다 인체가 감지되지 않았을 때의 온도값들을 합산한 전체값(Mn)과 이전 주기의 전체값(Mn-1)의 차이값인 전체차이값(△M)을 산출한 후 산출된 전체차이값(△M)이 제1 설정값(TH1) 이상 또는 이하일 때 설치 장소의 온도가 상승하였다고 판단하여 기준값을 ‘1’ 증가 또는 차감시킴으로써 설치장소의 온도에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설치장소의 온도가 5℃가 상승하였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에서는 기준값을 제2 주기마다 1씩 증가시키기 때문에 그다음 주기에 다시 기준값이 1이 증가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는 5℃의 상승에 적합한 기준값을 갖게 된다.
이때 만약 설치장소의 온도 상승크기 보다 기준값의 증가크기가 크게 되면, 인체감지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에러율이 증가하게 된다.
예를 들어 기준값의 보정크기가 ‘5’라고 가정할 때, 설치장소의 온도가 1℃가 증가하더라도 기준값이 5가 증가하기 때문에 감지영역(S)으로 객체가 진입하지 않더라도, 블록별 차이값들의 크기가 전체적으로 증가하여 인체를 감지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기준값 보정부(38)은 기준값 보정 시 기준값을 ‘1’만 증가시키도록 구성됨으로써 설치장송의 온도변화량이 크거나 또는 작더라도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5로 돌아가서 통계데이터 생성부(39)를 살펴보면, 통계데이터 생성부(39)는 센서 제어부(34)롭부터 입력된 블록별 온도값 데이터들과, 블록별 차이값 산출부(35)에 의하여 산출된 블록별 차이값 데이터들과, 최대 차이값 산출부(36)에 의해 산출된 최대 차이값 데이터와, 카운팅부(37)에 의해 산출된 재실인원수(N) 정보와, 기준값 보정부(38)에 의해 보정된 기준값(C) 정보를 날짜, 요일, 시간 등의 카테고리 별로 정렬이 가능한 통계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11은 도 2의 호흡감지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의 호흡감지부(5)는 근거리 통신망(12)을 통해 인체감지부(3)의 제어부(3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51)와, 레이더신호를 송출한 후 반사신호를 수신받는 레이더송수신부(53)와, 송수신된 레이더신호를 분석하여 호흡상태정보를 검출하는 호흡상태 검출부(55)로 이루어진다.
호흡상태 검출부(55)는 레이더의 투과율을 분석하여 수면상태, 긴급상황 등을 포함하는 호흡상태정보를 검출한다.
즉 호흡상태 검출부(55)는 운동 중인 물체에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방사하면, 그 반사파가 물체의 운동속도에 비례하는 주파수 편이를 갖는 도플러 현상을 이용하여 송수신된 레이더신호를 분석하여 호흡상태정보를 검출한다.
이때 레이더신호는 인체의 피부로 방사될 때, 인체의 피부를 투과하게 된다. 이에 따라 레이더 송수신부(53)는 폐, 심장 등의 장기에 도달할 수 있는 주파수의 전파를 인체에 방사하게 되면, 반사파의 주파수 편이가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호흡상태 검출부(55)는 주파수 편이를 검출하여 검출된 주파수 편이를 포함하는 호흡상태정보를 검출한다.
또한 호흡상태 검출부(55)는 검출된 주파수 편이를 기 설정된 임계치에 비교하여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 긴급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호흡감지부(5)는 검출된 호흡상태정보를 인체감지부(3)의 제어부(30)로 전송한다.
이때 인체감지부(3)의 제어부(30)는 검출된 재실정보 및 모션정보와, 호흡감지부(5)로부터 전송받은 호흡상태정보를 원격 관리서버(7)로 전송한다.
도 12는 도 2의 원격 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원격 관리서버(7)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71)와, 데이터베이스부(72), 통신 인터페이스부(73), 데이터파싱부(74), 긴급상황 발생 여부 판단부(75), 모니터링부(76)로 이루어진다.
제어부(71)는 원격 관리서버(7)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72), (73), (74), (75), (76)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1)는 긴급상황 발생여부 판단부(76)에 의해 긴급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긴급발생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기(9)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73)를 제어한다.
데이터베이스부(72)에는 제어부(30)로부터 전송받은 재실정보, 모션정보 및 호흡상태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72)에는 긴급상황 발생 여부 판단부(76)에 의해 검출된 긴급상황 발생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72)에는 인체감지부(3)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부(72)에는 관리자 단말기(9)의 식별정보가 저장된다.
데이터파싱부(74)는 통신 인터페이스부(73)를 통해 인체감지부(3)로부터 전송받은 재실정보, 모션정보 및 호흡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72)에 저장한다.
긴급상황 발생 여부 판단부(75)는 기 설정된 상황인지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재실정보, 모션정보 및 호흡상태정보를 분석하여 긴급상황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긴급상황 발생 여부 판단부(75)는 1)감지영역(S) 내 객체가 기 설정된 임계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거나 또는 2)호흡상태정보를 통해 호흡패턴이 무호흡, 불규칙 등인 경우 긴급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71)는 긴급상황 발생 여부 판단부(75)에 의해 긴급상황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작업자 단말기(9)로 긴급발생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긴급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1)은 레이더센서를 이용하여 관리대상인 노약자의 심박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노약자의 신체에 별도의 측정수단을 장착하지 않아도 심박상태 검출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임과 동시에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1)은 열-감지센서가 감지영역(S)을 N×N 블록들로 분할하여 온도를 측정한 후 측정된 온도를 활용하여 인체를 감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인체감지의 분해능 및 정확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1)은 관리서버가 기 설정된 상황인지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레이더센서에 의해 검출된 심박상태정보 및 열-감지센서에 의해 검출된 모션정보를 분석하여 노약자의 긴급상황 발생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긴급상황을 정밀하고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1)은 원격 관리서버가 긴급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기 설정된 관리자의 단말기로 긴급상황이 발생하였다는 정보 및 위치를 포함하는 긴급상황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긴급상황 발생 시 이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1: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3:인체감지부 5:호흡감지부 7:원격 관리서버
9:관리자 단말기 11:통신망 12:근거리 통신망
20:침실 21:노약자 30:제어부
31:제어모듈 32:메모리 33:통신 인터페이스부
34:센서제어부 35:블록별 차이값 산출부
36:최대 차이값 검출부 37:카운팅부 38:기준값 보정부
39:통계데이터 생성부 300:열감지센서

Claims (7)

  1. 기 설정된 감지영역(S)의 하부구조물에 설치되며, 직상부에 배치된 인체의 호흡상태를 검출하며,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검출된 호흡상태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호흡감지부;
    상기 감지영역(S)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감지영역(S)의 온도를 측정하는 열감지센서와, 상기 열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온도데이터를 통해 상기 감지영역(S) 내 재실인원수(N)를 포함하는 재실정보 및 검출된 객체의 궤적을 추적하여 검출된 각 객체의 움직임정보를 포함하는 모션정보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가 검출된 재실정보 및 모션정보와 상기 호흡감지부로부터 전송받은 호흡상태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인체감지부;
    상기 감지영역(S)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기인 관리자 단말기;
    기 설정된 상황인지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인체감지부로부터 전송받은 재실정보, 모션정보 및 호흡상태정보를 분석하여 감지대상에 긴급상황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며, 긴급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될 때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긴급상황이 발생하였다는 긴급발생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감지부는 레이더센서이고,
    상기 호흡감지부는
    관리대상의 인체의 피부를 투과하여 내부 장기에 도달할 수 있는 주파수의 레이더신호를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감지부는 레이더의 투과율을 분석하여 긴급상황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4. 청구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감지부는
    관리대상의 취침이 이루어지는 구조물의 하부에 설치되며, 레이더신호를 방사한 후 반사되는 신호를 수집하며, 반사파의 주파수 편이를 검출한 후 검출된 주파수 편이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벗어나는 경우 긴급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5. 청구항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관리서버는
    전송받은 재실정보 및 모션정보를 통해 상기 감지영역(S) 내 검출된 객체가 기 설정된 임계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거나 또는 전송받은 호흡상태정보를 통해 주파수 편이가 기 설정된 임계치를 벗어날 때 긴급상황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감지부의 상기 열감지센서는
    상기 감지영역(S)을 N×N 블록들로 분할하여 블록별로 온도값을 측정하고,
    상기 인체감지부의 제어부는
    기 설정된 주기(T1) 마다 상기 열-감지센서를 구동시키는 센서 제어부;
    기 설정된 기준값(C)과, 상기 센서 제어부를 통해 상기 열-감지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블록별 온도값 데이터들 각각의 차이값인 블록별 차이값들을 산출하는 블록별 차이값 산출부;
    상기 블록별 차이값 산출부에 의한 블록별 차이값들 중 최대값인 최대 차이값을 검출하는 최대 차이값 검출부;
    상기 최대 차이값 검출부에 의한 최대 차이값을 갖는 블록을 진입블록으로 결정한 후 상기 진입블록의 궤적을 추적하며, 상기 진입블록의 궤적이 상기 감지영역(S) 상에서 기 설정된 기준선(L)을 통과할 때 통과방향에 따라 재실인원수(N)를 ‘1’씩 증가 또는 차감시키는 카운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선(L)은 상기 감지영역(S)의 출입구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7.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부는
    상기 최대 차이값 검출부에 의한 최대 차이값을 객체가 상기 감지영역(S)으로 진입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는 최대 차이값의 최소값으로 정의되는 제2 설정값(TH2)에 비교하며, 만약 최대 차이값이 상기 제2 설정값(TH2) 미만이면 상기 감지영역(S)으로 객체가 진입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며, 만약 최대 차이값이 상기 제2 설정값(TH2) 이상이면 상기 감지영역(S)으로 객체가 진입하였다고 판단하여 최대 차이값을 갖는 블록을 진입블록으로 결정하고,
    상기 인체감지부의 제어부는 기준값 보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값 보정부는
    기 설정된 주기(T2) 마다 인체가 감지되지 않았을 때의 블록별 온도값 데이터들의 합산값인 전체값(Mn)을 산출하는 전체값 산출모듈;
    상기 전체값 산출모듈에 의한 전체값(Mn)과 이전 주기의 전체값(Mn-1)의 차이값인 전체차이값(△M)을 산출하는 전체차이값 산출모듈;
    상기 전체차이값 산출모듈(383)에 의한 전체차이값(△M)을, 기준값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는 블록별 온도값 데이터들의 합산값들의 최소값으로 정의되는 제1 설정값(TH)에 비교하는 비교모듈;
    상기 비교모듈에서 전체차이값(△M)이 상기 제1 설정값(TH1) 미만이면 기준값(C)을 보정하지 않되, 전체차이값(△M)이 상기 제1 설정값(TH1) 이상 또는 이하일 때 기준값(C)을 증가 또는 차감시키는 기준값 보정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값 보정모듈은 기준값 보정의 크기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70075944A 2017-06-15 2017-06-15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1367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944A KR20180136770A (ko) 2017-06-15 2017-06-15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944A KR20180136770A (ko) 2017-06-15 2017-06-15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770A true KR20180136770A (ko) 2018-12-26

Family

ID=65006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944A KR20180136770A (ko) 2017-06-15 2017-06-15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6770A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225B1 (ko) 2019-04-04 2019-07-05 주식회사 렛츠온 노약자 안심케어 시스템
KR102046149B1 (ko) * 2019-03-07 2019-11-18 주식회사 젠다카디언 위급 상황 판단 장치
KR102116396B1 (ko) 2019-11-22 2020-05-28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사회약자 인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60463B1 (ko) 2020-05-12 2020-09-28 (주)피스오브퍼즐 인공지능 기반의 노약자 응급상황 대처 시스템
KR102167296B1 (ko) 2020-02-28 2020-10-19 김민경 노약자의 생활 밀착형 돌봄 시스템
KR102268456B1 (ko) * 2020-07-17 2021-06-24 주식회사 고콘 실시간 모니터링 및 돌봄 시스템
KR20210086397A (ko) * 2019-12-30 2021-07-0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센서를 이용한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53587B1 (ko) * 2020-10-20 2022-01-21 주식회사 열림정보기술 IoT 센서를 이용한 독립 공간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98490A (ko) 2021-01-04 2022-07-12 대구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약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보호자에게 전달하는 위치추적 시스템
KR102484784B1 (ko) * 2022-04-19 2023-01-04 김종환 네가티브 촬영 방식의 호흡 감지 응급 알림 시스템
KR20230028844A (ko) * 2021-08-23 2023-03-03 (주) 텔트론 독거인 돌봄 시스템 및 방법
WO2023113246A1 (ko) * 2021-12-15 2023-06-2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움직임 보정을 통한 운전자 호흡수 추출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91683A (ko) * 2021-12-16 2023-06-2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위급상황 인지기능을 갖춘 가정용 홈케어 ai 낙상감지 시스템
KR102644026B1 (ko) * 2023-06-16 2024-03-06 주식회사 킨스텍 Ai 기반의 고독사 관리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된 제어박스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149B1 (ko) * 2019-03-07 2019-11-18 주식회사 젠다카디언 위급 상황 판단 장치
JP2020142081A (ja) * 2019-03-07 2020-09-10 ザンダー カーディア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危急状況判断装置
US10827340B2 (en) 2019-03-07 2020-11-03 Xandar Kardian Emergency determination device
KR101997225B1 (ko) 2019-04-04 2019-07-05 주식회사 렛츠온 노약자 안심케어 시스템
KR102116396B1 (ko) 2019-11-22 2020-05-28 주식회사 인텔리빅스 사회약자 인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086397A (ko) * 2019-12-30 2021-07-0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센서를 이용한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67296B1 (ko) 2020-02-28 2020-10-19 김민경 노약자의 생활 밀착형 돌봄 시스템
KR102160463B1 (ko) 2020-05-12 2020-09-28 (주)피스오브퍼즐 인공지능 기반의 노약자 응급상황 대처 시스템
KR102268456B1 (ko) * 2020-07-17 2021-06-24 주식회사 고콘 실시간 모니터링 및 돌봄 시스템
KR102353587B1 (ko) * 2020-10-20 2022-01-21 주식회사 열림정보기술 IoT 센서를 이용한 독립 공간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98490A (ko) 2021-01-04 2022-07-12 대구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약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보호자에게 전달하는 위치추적 시스템
KR20230028844A (ko) * 2021-08-23 2023-03-03 (주) 텔트론 독거인 돌봄 시스템 및 방법
WO2023113246A1 (ko) * 2021-12-15 2023-06-2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움직임 보정을 통한 운전자 호흡수 추출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91683A (ko) * 2021-12-16 2023-06-2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위급상황 인지기능을 갖춘 가정용 홈케어 ai 낙상감지 시스템
KR102484784B1 (ko) * 2022-04-19 2023-01-04 김종환 네가티브 촬영 방식의 호흡 감지 응급 알림 시스템
KR102644026B1 (ko) * 2023-06-16 2024-03-06 주식회사 킨스텍 Ai 기반의 고독사 관리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된 제어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6770A (ko) 노약자 원격 관리 및 모니터링 시스템
US11197641B2 (en) Communication device, abnormality notification system, and abnormality notification method
KR101949799B1 (ko) 생체 신호 감지용 밀리미리파 레이더 센서를 활용한 보호 시설 관리 시스템
JP6874679B2 (ja) 監視装置
KR102231183B1 (ko) IoT 망을 이용한 독거인 생활 패턴 학습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08312B1 (ko) 바이탈 사인 센서 기반의 응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90118B1 (ko) 레이더 신호를 이용한 요양 병원용 사고 발생 감지 시스템
US11911187B2 (en) Monitoring a subject
WO2018145911A1 (en) Monitoring activity of a person
TWI655611B (zh) Care system and method
KR20190047820A (ko) 비콘 기반 환자 모니터링 방법 및 모니터링 시스템
US20210225465A1 (en) Tracking individual user health using intrusion detection sensors
US20200322439A1 (en) Method for tracking persons and state of tracked person and device employing method
KR101639954B1 (ko)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KR20210112839A (ko) 레이더를 이용한 응급상황 지원시스템
JPWO2020071375A1 (ja) 状態監視装置
JPWO2020071374A1 (ja) 状態監視装置および状態監視方法
KR101720295B1 (ko)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생체 신호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WO20190081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LL DETECTION
KR20230128024A (ko) 모니터링용 센서 및 시스템
KR102384211B1 (ko) 센서를 이용한 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AU2015299180B2 (en) A system for identifying a change in walking speed of a person.
KR101768643B1 (ko)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생체 신호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1768644B1 (ko) 무선 네트워크 기반의 생체 신호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2565174B1 (ko) 열-감지센서를 이용한 병동 돌발 상황 경보 및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