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548B1 -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548B1
KR102604548B1 KR1020210036130A KR20210036130A KR102604548B1 KR 102604548 B1 KR102604548 B1 KR 102604548B1 KR 1020210036130 A KR1020210036130 A KR 1020210036130A KR 20210036130 A KR20210036130 A KR 20210036130A KR 102604548 B1 KR102604548 B1 KR 102604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fall
person
protected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1468A (ko
Inventor
위보환
Original Assignee
위보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보환 filed Critical 위보환
Priority to KR1020210036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548B1/ko
Publication of KR20220131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1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2Side-rails characterised by safety means, e.g. to avoid injuries to patient or careg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08Side-rail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nection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24Side-rail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accessories, e.g. bed control means, nurse call or read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25Side-bolst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12Remot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20Displays or mon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상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대상자의 침대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 및 침대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보호대상자가 침대에서 낙상한 상태 또는 낙상할 가능성을 판단하여 간병인 또는 간호사에게 즉시 통보하여 낙상 사고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낙상 모니터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설정된 낙상징후 움직임 조건에만 간병인 또는 간호사를 포함하는 관리자에게 이를 전달하여 불필요한 모니터링을 줄일 수 있어 관리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Fall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낙상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대상자가 침대에서 낙상한 상태 또는 낙상할 가능성을 판단하여 간병인 또는 간호사를 포함하는 관리자에게 즉시 통보하여 낙상 사고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낙상 모니터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과학의 발전과 인간수명의 증가에 따른 노령인구가 증가하면서 노령인구에 대한 의료복지혜택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와 비례하여, 많은 노령자 및 신체활동이 부자유스러운 사람들이 홀로 거주하는 현상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실버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데, 그 하나가 환자를 감시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하여 이상 발생시에 의료센터나 친인척들에게 자동으로 구급 통보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환자 감시 모니터링 시스템은 병실을 단순 모니터링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보양원이나 양로원 또는 노인 지정병원 등의 경우의 독거 노인,장기요양환자, 치매증상이나 정신질환을 가지고 있는 지각능력저하 장애자 등과 같이 스스로 자신을 돌볼 수 없는 무의탁 노인이나 환자는 별도의 노인 요양병원이나 정신병원 등에 입원시켜 담당 의사나 간호사들이 이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돌보고 있으나, 무의탁 노인이나 환자가 담당의사나 간호사 없이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직접 휴대폰 또는 긴급연락용 단말기기 등을 이용하여 연락을 취하여야 하나 직접적으로 조작할 수 조차 없는 경우가 번번히 발생되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관리가 소홀한 야간 취침시에 환자용 침대에서 갑작스럽게 낙상하는 경우에는 환자 스스로가 별도의 조치를 취할 수조차 없어 낙상 자체로 큰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다시 말해, 거동이 불편한 무의탁 노인이나 환자가 야간에 취침시에 환자용 침대에서 낙상하는 경우에 있어 사전에 대응이 미흡하여 신변파악과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여러 위험요소에 노출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종래 낙상을 방지하는 침대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7157 호에는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자리를 비울 경우에만 침대 측면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보호대상자가 낙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의료용 침대 낙상방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의료용 침대 낙상방지장치는 보호대상자 낙상 방지를 위해 침대 일측을 지속적으로 폐쇄하여야 하므로 보호대상자가 심리적으로 답답할 수 있으며, 긴급 상황 시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즉시 확인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83067 : 낙상방지용 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35232호 : 낙상 방지용 침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호대상자와 함께 침대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 및 침대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보호대상자가 침대에서 추락할 가능성 및 위험도를 분석하여 추락 가능성 및 추락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될 시 이를 간병인 또는 간호사에게 즉시 통보 및 신속한 물리적인 조취를 취하도록 하여 낙상 사고를 미연에 방지 및 낙상 사고에 대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낙상 감지기와 이를 이용한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를 통한 신호 전달 시, 설정된 낙상징후 움직임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에만 간병인 또는 간호사에게 전달하여 관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낙상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침대에 누워있는 보호대상자를 촬영하도록 침대 또는 상기 침대에 인접하게설치되는 카메라와, 상기 침대에 설치되어 보호대상자가 상기 침대의 가장자리로 이동하는 낙상징후 움직임을 감지하는 다수의 낙상 감지기를 포함하는 감지부와; 상기 침대에 설치된 상기 감지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분석하여 낙상 징후 움직임을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낙상 징후 움직임 감지 시,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알림수단을 구비하고, 다수의 상기 낙상 감지기는 상기 침대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거나 상기 침대에 인접하는 바닥측에 설치되어 보호대상자의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호대상자과 상기 간병인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학습되어, 상기 감지신호가 전달 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정보에 상기 보호대상자가 식별되면 상기 낙상징후 움직임으로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촬영된 정보가 표시되거나 상기 알림수단이 구동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낙상감지기는 보호대상자의 하중에 따른 압력값을 측정할 수 있는 로드셀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셀에 의해 설정된 압력값보다 높은 값이 전달되면 상기 낙상징후 움직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호대상자가 식별되고, 상기 낙상감지기로부터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낙상징후 움직임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에 식별된 보호대상자의 머리가 보이는 경우 상기 침대에 앉아 있는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낙상징후 움직임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간병인의 복장 및 보호대상자의 복장의 형태 및 색깔이 입력되어, 상기 카메라에 촬영된 영상정보에서 보호대상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낙상 감지기가 침대의 가장자리 또는 침대에 인접한 바닥면에 설치되어 보호대상자가 낙상의 상태이거나 낙상위험이 있는 움직임 상태임을 원거리에 있는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어 상황에 따른 즉각대처가 가능하여 안전사고 발생이 감소될 수 있으며 관리 효율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설정된 낙상징후 움직임 조건에만 간병인 또는 간호사를 포함하는 관리자에게 이를 전달하여 불필요한 모니터링을 줄일 수 있어 관리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카메라에 촬영된 촬영영상에서 관리자와 보호대상자를 식별하여 낙상의 상태이거나 낙상위험이 있는 움직임 상태임 판단할 수 있어 관리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낙상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침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낙상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부가 낙상징후움직임 판단에 따라 간병인 또는 간호사에게 감지신호를 알리는 여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낙상모니터링 시스템에 적용된 낙상 감지기에 대한 일부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낙상모니터링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각 침대별 모니터링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낙상모니터링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긴급상황을 형상화한 이미지들에 대한 도면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낙상모니터링 시스템의 낙상 감지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낙상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침대에 대한 일부 절재 사시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낙상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된 침대에 대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7)은 병실 또는 침실의 침대(1)에 설치되어 보호대상자의 낙상 징후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8)와, 감지부(8)에서 전달된 정보를 분석하여 낙상 징후 움직임을 판단하는 제어부(81,92)와; 제어부와 연결되며 카메라(55)에서 촬영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95)와; 제어부(81,82)와 연결되어 낙상 징후 움직임 감지 시,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알림수단(96)을 구비한다.
제어부는 하나의 병실 또는 침실에 마련되는 로컬제어부(81)와, 병동의 간호사실과 같은 관제센터(미도시) 측에 설치되는 중앙제어부(92)로 구분된다.
침대(1)는 하나의 병실 또는 침실에, 다수 개 배치될 수도 있으며 하나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컬제어부(81)는 하나의 병실 또는 침실에 하나만 마련되고 각 침대(1)에 설치된 다수의 감지부(8)와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각 침대에 설치되어 감지부(8)와 일대일 연결되도록 다수 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7)은 하나의 병실 또는 침실 측에 설치되어 감지부(8)의 감지정보가 전달되는 로컬통신부(70)와, 통신망(90)을 통해 로컬통신부(70)로부터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중앙제어부(93)로 전달하는 중앙통신부(92)를 구비한다.
로컬통신부(70)는 로컬제어부(81)와 연결되어 후술되는 감지부(8)의 낙상감시스위치(9)의 감지신호와, 카메라(55)의 촬영정보를 중앙통신부(92)로 무선으로 송출할 수 있게 지원한다.
중앙제어부(93)는 감지부(8)로부터 감지신호와 촬영정보를 전달받아 낙상 징후 움직임을 판단한다. 중앙제어부(93)는 낙상 징후 움직임 감지 시,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또는 점멸광을 발생시키는 램프와 같은 알림수단(96)을 작동시켜 간병인 또는 간호사를 포함하는 관리자에게 보호대상자가 낙상상태 또는 낙상의 위험이 있는 상태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중앙제어부(93)는 낙상 징후 움직임 판단 시, 간병인 또는 간호사 등의 휴대폰과 같은 관리자 단말기(94)와 관제센터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95)에 경보메세지나 경보이미지를 전송시킬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95)에 전송된 경보메세지나 경보이미지는 중앙제어부(93)에 설정되어, 상황에 적합한 문구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95)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중앙제어부(93)는 카메라(55)로부터 전달된 영상정보의 보호대상자의 위치 및 자세에 따라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구나 이미지가 설정되어, 디스플레이부(95)에 상기 문구나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보호대상자의 거동 상태에 따라 중앙제어부(93)에 저장된 이미지를 매칭하는 방법은 카메라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인 예로, 중앙제어부(93)는 각 병실의 다수의 침대(1)마다 매칭되는 고유번호가 저장되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95)에 각 침대의 고유번호와 함께 각 상기 침대의 모니터링 상태가 동시에 분할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95)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제어부(93)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급상황으로 판단된 어느 하나의 침대(1)가 나머지 침대(1)들보다 확대되게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95)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부(93)는 도 6을 참조하면, 카메라에서 전달된 촬영정보를 통해 긴급상황으로 판단된 어느 하나의 침대(1)가 확대되게 표시될 때, 각 상황에 맞는 모습을 형상화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95)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부(93)는 카메라에서 전달된 촬영정보를 통해 보호대상자가 침대(1)에 앉아있거나, 침대(1)에서 내려오려고 다리를 아래로 내리고 걸터앉아있거나, 침대(1)에 장착된 안전바가 내려가 있거나, 보호대상자가 간호사 호출을 위해 침대 측에 마련된 호출벨(미도시)을 눌렀거나, 보호대상자가 일정시간이상 움직임이 없거나, 보호대상자가 침대에 낙상하거나 일정시간이상(예, 15분~20분)침대에서 벗어나 침대 상에 보이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상황들 중, 어느 하나의 상황에 해당하는 경우 긴급상황으로 인식하도록 설정된다.
중앙제어부(93)는 긴급상황으로 판단된 어느 하나의 침대(1)가 확대되게 표시될 때, 설정된 긴급상황에 맞는 모습을 형상화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95)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a 내지 도 6f를 참조하면, 중앙제어부(93)는 보호대상자가 침대에 앉아 있을 때의 모습을 형상화한 이미지(도6a), 보호대상자가 침대(1)의 가장자리측에 걸터앉아 있을 때의 모습을 형상화한 이미지(도6b), 침대(1)의 안전바가 내려가 있을 때 모습을 형상화 한 이미지(도6c), 보호대상자가 호출벨을 눌렀을 때 간호사가 확인할 수 있도록 형상화한 이미지(도6d), 보호대상자가 일정시간 이상 누워있는 이미지(도6e), 침대에 보호대상자가 일정시간 이상 부재시를 형상화한 이미지(도6f)가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앙제어부(93)는 촬영정보에 적합한 이미지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부(95)에 표시함으로써, 간병인이나 간호사가 디스플레이부(95)에서 대략 2미터 이상 멀어진 거리에서도 보호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다.
또는, 로컬제어부(81)는 보호대상자가 낙상 상태이거나, 침대에서 앉아서 내려오려는 등 낙상의 위험이 있는 상태임을 판단하여 그 판단된 정보를 로컬통신부(70)를 통해 중앙제어부(93)로 전달할 수도 있다. 중앙제어부(93)는 판단된 정보에 따라 알림수단의 구동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와 관리자 단말기에 판단된 정보를 알릴 수 있는 문구나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또는, 로컬제어부(81) 또는 중앙제어부(93)는 보호대상자의 복장과, 간호사를 포함하는 간병인의 복장의 형태와 모습이 저장되어 보호대상자과 간병인을 구분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인공지능의 머신러닝(machine learing)이나 딥러닝(deep learing)을 통해 학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컬제어부(81) 또는 중앙제어부(93)는 보호대상자와 간병인 및 간호사와 구분할 수 있도록, 영상물 수집 분석부(미도시)와, 식별대상 검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물 수집 분석부는 영상물에서 동일한 환자복을 입은 보호대상자들이 포함된 영상물을 수집하며 상기 영상물 내의 환자복의 색상, 디자인 및 보호대상자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물에 보이는 환자복의 외형을 저장할 수 있다. 식별대상 검출부는 영상물 수집분석부에 수집된 영상물 내의 환자복의 색상, 디자인 및 보호대상자의 움직임에 따라 영상물에 보이는 환자복의 외형을 인공지능의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심층학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컬제어부(81) 또는 중앙제어부(93)는 영상물 수집 분석부에 저장된 환자복에 관한 저장된 정보에서 식별대상 검출부를 통해 환자복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학습되어, 카메라(55)의 촬영영상에서 환자복을 입은 보호대상자를 식별함으로써 간병인이나 간호인과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로컬제어부(81) 또는 중앙제어부(93)는 영상물 수집 분석부가 간병인이나 간호사의 유니폼이 포함된 영상물을 수집하여 간병인이나 간호사의 유니폼의 색상, 디자인 및 움직임에 따라 영상물에 보이는 간병인이나 간호사의 유니폼의 외형을 저장하고, 식별대상 검출부를 통해 간병인이나 간호사의 유니폼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학습될 수 도 있을 것이다. 또는, 로컬제어부(81) 또는 중앙제어부(93)는 보호대상자의 환자복, 간병인이나 간호사의 유니폼을 각각 식별할 수 있도록 학습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3을 참고하면, 로컬제어부(81) 또는 중앙제어부(93)는 감지신호가 전달되고, 학습된 보호대상자의 정보를 통해 카메라에 촬영된 영상 정보에서 보호대상자가 식별되더라도, 감지신호가 설정된 시간(예,2초 ~ 5초)이상으로 전달될 경우에만 낙상징후 움직임으로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컬제어부(81) 또는 중앙제어부(93)는 낙상징후 움직임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부(95)에 촬영된 정보가 표시되거나 알림수단(96)이 구동되도록 적용된다.
또한, 로컬제어부(81) 또는 중앙제어부(93)는 카메라(55)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에 인식하고자 하는 신체부위 즉, 식별된 보호대상자의 상체나 머리가 보이는 경우를 보호대상자과 누워있다가 일어나 앉아있는 상태로 보고 낙상징후 움직임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55)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에 하체나 다리만 보여 누워있는 상태로 판단되는 보호대상자가 앉기 위해 상체를 일으켜 세우면서 보호대상자의 상체나 머리 등 인식하고자 하는 신체부위가 보이는 경우를 보호대상자가 앉아있는 자세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망(90)에 복수 개의 로컬제어부(81)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다수의 로컬제어부(81)는 각각 저장되어있는 고유식별번호를 감지신호와 함께 연결된 로컬통신부(70)를 통해 각각 송신하며, 중앙제어부(93)는 수신된 고유식별번호를 통해 중앙제어부(93)와 연결된 데이테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된 정보와 대조함으로써 감지신호가 전달된 침대 또는 침실의 로컬제어부를 구분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93)는 관리자가 낙상징후 움직임이 감지된 침대나 침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고유식별번호를 통해 로컬제어부가 식별되면 로컬제어부(81)가 설치된 침대 또는 침실의 병실이나 침대번호를 디스플레이부(95)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단말기(94) 또는 알림수단을 통해 관리자가 보호대상자의 낙상 또는 낙상 징후 움직임 상태가 파악되면, 디스플레이부(93)에 표시되는 침대 영상정보를 통해 보호대상자의 현재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8)는 침대(1)에 누워있는 보호대상자를 촬영하도록 침대(1) 또는 침대(1)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카메라(55)와, 침대(1)의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프레임(3)의 프레임본체(4)에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되게 배열되어 보호대상자가 침대(1)의 가장자리로 이동하는 낙상징후 움직임을 감지하는 다수의 낙상 감지기(9)를 포함한다.
카메라(55)는 보호대상자가 침대에 누워있을 때, 보호대상자의 머리나 어깨 위쪽을 제외한 전신과 매트리스(2) 전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렌즈부(미도시)가 하향 경사지고, 매트리스의 폭 방향 가장자리 양측이 촬영된 영상의 좌우측에 위치되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대상자가 침대에 누워있을 때 보호대상자의 머리부분에 인접하게 침대(1)의 프레임(3)의 길이방향 일측에 프레임(3)에 대해 상방에 위치되게, 프레임(3)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61)의 상단에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55)는 일반적인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일반적인 카메라가 적용될 수 있으나, 보호대상자의 위치나 움직임 상태를 판단하여 중앙제어부(93)가 보호대상자의 거동 상태에 따라 저장된 이미지를 매칭할수 있도록 열화상카메라 또는 움직이는 보호대상자의 모션을 캡쳐할 수 있는 3D 모션캡쳐카메라가 적용될 수도 있다. 카메라(55)가 열화상카메라인 경우, 중앙제어부는 온도분포를 통해 보호대상자의 거동상태를 판단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55)가 3D 모션캡쳐카메라인 경우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호 위치를 달리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7)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대상자가 손, 발, 머리, 목 등에 착용가능하여 상호 위치에 따라 카메라(55)로부터 보호대상자의 움직임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모션캡쳐센서(98,99)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모션캡쳐센서(98,99)는 도시된 개수에 한정되지 않고, 보호대상자의 다양한 부위에 착용될 수 있으며, 보호대상자의 의복에 배열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7)은 영상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는 A/D컨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하고, 로컬제어부(81)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를 침대의 프레임 폭 방향 가장자리 양측을 위험영역, 상기 위험영역들 사이에 보호대상자가 누워있거나 앉아 있을 수 있는 안심영역으로 구분하며,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A/D컨버터에 의해 디지털화된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보호대상자의 움직임을 검지하고 보호대상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영상정보를 역추적하여 낙상징후움직임인지 판단하는 검지프로세서;를 구비할 수 있다. 검지프로세서는 중앙제어부(93)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7)은 영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D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험영역은 도 2를 참고하면, 매트리스(2)의 폭 방향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다수의 낙상 감지기(9)가 설치되는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검지프로세서는 보호대상자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검지모듈(미도시)과, 검지모듈로부터 보호대상자의 움직임이 검지되고 안심영역에서 위험영역으로 보호대상자의 물직임이 추적되면 낙상징후 움직임으로 판단하는 추적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지모듈에서 보호대상자의 움직임이 검지되면, 추적모듈에서 영상정보의 프레임을 역추적(back tracking)하거나, 하여 안심영역에서 위험영역으로 보호대상자의 움직임이 추적된 경우인지를 판단하여 낙상 징후 움직임으로 판별한다.
또는, 추적모듈은 카메라가 열화상카메라인 경우, 영상의 온도분포를 통해 보호대상자가 안심영역에서 위험영역으로 이동하였는지 판단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추적모듈은 카메라가 3D 캡쳐 카메라인 경우, 모션캡쳐센서(98,99)로부터 전달쇤 정보를 통해 보호대상자가 안심영역에서 위험영역으로 이동하였는지 판단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카메라(55)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보호대상자의 거동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은 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247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55)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를 통해 로컬제어부 또는 중앙제어부가 특정행위 만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이를 관제센터에 송신할 수 있는 방법이 인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 예로 특정행위는 안심영역 내에서 보호대상자가 누워서 거동하는 정상동작행위, 침대에 앉아있거나 일어나려고 하는 주의동작행위, 보호대상자가 누운상태로 위험영역 측으로 이동하거나 침대의 가장자리에 걸터 앉아 있는 이상동작행위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중앙제어부(93)는 카메라에 촬영된 영상정보를 통해, 보호대상자가 침대에서 오르거나 내려갈려고 한는 상황인지 등을 파악하여, 간병인이나 간호사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95)나 알림수단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낙상 감지기(9)는 침대(1)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거나 침대(1)에 인접하는 바닥측에 설치되어 보호대상자의 하중이 가해지면 로컬제어부(81)로 감지신호를 전달한다.
낙상 감지기(9)는 침대(1)의 프레임(3)이나 침대(1)에 인접하는 바닥측에 지지되며 일정한 폭으로 길이연장된 하판(10)과; 하판(10)에 대응되는 폭과 길이로 연장되며,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 일측이 하판(10)과 힌지결합되어 폭 방향 타측이 하판(10)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근접하도록 회동가능한 상판(20)과; 하판(10)에 설치되어 상판(2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50)와; 하판(10)에 설치되는 제1감지단자(31)와, 보호대상자의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하판(10)과 근접하는 방향으로 상판(20)이 회동 시 제1감지단자(31)와 접촉되게 상판(20)에 설치되는 제2감지단자(32)를 포함하며 로컬제어부(81)와 전기적 연결된 감지신호발생부(30)와; 하판(10)의 상부에 상판(2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50)와; 완충유닛(60);을 구비한다.
하판(10)과 상판(20)은 각각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내부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로 형성되며, 내부공간이 다수의 종방향격벽(15)과 다수의 횡방향격벽(14)에 의해 각각 구획되어 있다.
하판(10)의 다수의 횡방향격벽(14)에는 각각 다른 낙상 감지기(9)들과 로컬제어부(81)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기케이블(C)이 관통연장되게 절제된 절제홈(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판의 다수의 종방향 격벽(15) 중 절제홈(16)에 인접한 하나의 종방향 격벽(14)의 상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전기케이블(C)을 구속하는 다수의 제1고리부(19)가 형성된다.
상판(20)은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의 일측 가장자리에 적어도 하나의 상판힌지결합부(21)가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판힌지결합부(21)는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인입 형성된 힌지결합홈(23)을 구비한다.
하판(10)은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판힌지결합부(21)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마주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하판힌지결합부(11)를 구비한다. 하판힌지결합부(11)는 상판힌지결합부(21)와 마주보는 길이방향의 측면에 힌지결합홈(23)에 끼워지도록 돌출되어 상판(20)을 지지하는 힌지결합돌기(13)를 구비한다.
탄성부재(50)는 하판(10)에 대해 상판(20)을 균일하게 지지 할 수 있도록 하판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가 설치된다. 탄성부재(50)는 하판(10)의 상단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갖고, 상판(20)의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압축될 수 있는 압축코일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탄성부재(50)는 상판(20)에 매트의 하중만이 가해졌을 때는 상판(20)을 하판(10)으로부터 나란하게 지지하고, 보호대상자의 하중이 가해졌을때 상판(20)이 하판(10)과 근접하도록 회동할 정도의 탄성력을 갖는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판(10)은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탄성부재(50)의 하부로 삽입됨으로써 탄성부재(50)를 고정하는 탄성부재끼움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판(20)에는 탄성부재(50)의 상부가 인입되어 탄성부재(50)가 길이 신축시 탄성부재(50)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부재(2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24)는 상판(20)에 대해 하판(10)측으로 돌출되며, 탄성부재(50)의 상부가 수용될 수 있게 내측이 상방으로 인입형성된다. 지지부재(24)는 상판(20)의 폭방향의 중심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돌출된 길이가 짧도록 형성되어 상판(20)이 하판(10)에 근접하도록 회동 시 하판(10)에 대한 지지부재(24)의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감지신호발생부(30)는 전류가 통할 수 있는 금속소재로 형성되고 로컬제어부(8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호 접촉 시 로컬제어부(81)에 감지신호가 발생시키는 제1 감지단자(31)와 제2 감지단자(32)를 구비한다.
제1 감지단자(31)는 하판(10)의 폭방향의 타측 가장자리 중앙에서 횡방향 격벽(14)들에 의해 양측부가 지지되고, 상면이 하판(10)의 상단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제2 감지단자(32)는 상판(20)의 폭방향의 타측 가장자리 중앙에서 횡방향 격벽(14)들에 의해 지지되고, 상판(20)이 하판(10)과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 시 하단이 제1 감지단자(31)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전기케이블(C)은 (+)선(82a)과 (-)선(82b)이 내장될 수 있으며, (+)선(82a)이 제1 감지단자(31)에 연결되고 (-)선(82b)이 제2감지단자(32)에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전기케이블(C)은 제1감지단자(31)와 제2감지단자(32)가 접촉시 전기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으면 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완충유닛(60)은 하판(10)에 상판(20)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1 완충부재(61)와, 상판(20)에 하판(10)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2 완충부재(62)로 구성된다. 완충유닛(60)은 하판(10) 및 상판(20)의 각 폭 방향 타측 가장자리에서 각각 감지신호발생부(3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며, 하판(10) 및 상판(20)의 격벽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제1 완충부재(61)는 하판(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 곡률을 갖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제2 완충부재(62)는 상판(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볼록한 호형 곡률을 갖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제1 완충부재(61)는 볼록한 상단이 제1감지단자(31)보다 상방에 위치되고, 제2 완충부재(62)는 볼록한 하단이 제2감지단자(32)보다 하방에 위치된다. 이는 상판(20)이 하판(10)과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 할 때, 제1 완충부재(61)와 제2 완충부재(62)가 상호 접촉에 의한 탄성변형을 되면서 하판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완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완충유닛(60)은 제1 완충부재(61)와 제2 완충부재(62)가 상호 접촉 시 전기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전기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완충부재(61)와 제2 완충부재(62)은 상호 접촉되면서, 보호대상자의 하중에 의해 제1감지단자(31)와 제2감지단자(32)가 접촉 전 예비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로컬제어부(81)는 완충유닛(60)으로부터 전달된 예비신호를 로컬통신부(70)를 통해 중앙통신부(92)로 송신할 수 있으며, 중앙제어부(93)는 예비신호가 전달되면 제1감지단자(31)와 제2감지단자(33)가 접촉되면서 발생되는 감지신호에 따른 경고메세지나 경고이미지와 구별되는 경고메세지나 경고이미지가 관리자단말기(94)나 디스플레이부(95)에 전달 및 표시되거나 또는 다른 멜로디나 음향이 알림수단인 스피커에 송출되게 제어할 수 있다.
하판(10)과 상판(20)에는 하판(10)과 상판(20)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는 걸림부(70)가 설치된다. 걸림부(70)는 하판에 설치되는 제1 걸림부재(71)와, 상판에 설치되는 제2 걸림부재(75)로 구성된다.
제1 걸림부재(71)는 하판(10)의 상면으로부터 상부가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하부보다 상부가 더 큰 폭을 가져 제1 걸림턱(72)이 형성되고, 제1 걸림턱(72)으로부터 상부의 면적이 좁아지도록 연장되어 제1 경사면(73)이 형성된다.
제2 걸림부재(75)는 상판(20)의 하면으로부터 하부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부보다 하부가 더 큰 폭을 가져 제2 걸림턱(76)이 형성되고, 제2 걸림턱(76)으로부터 하부의 면적이 좁아지도록 연장되어 제1 경사면(73)에 마주하여 면접촉이 가능한 제2 경사면(77)이 형성된다.
제1 걸림부재(71)와 제2 걸림부재(75)는 제1 걸림턱(72)과 제2 걸림턱(76)이 맞닿아 탄성부재(50)로 인해 하판(10)으로부터 벌어지려는 상판(20)의 회동각도를 제한하고, 상판(20)이 하판(10)과 일정 간격 이상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근접하도록 상판(20)이 회동 시 제1 경사면(73)과 제2 경사면(77)이 맞닿도록 엇갈려 형성된다.
상판(20)과 하판(10)이 분리된 상태에서 배터리 교체작업 등이 끝난 후에 상판(20)이 하판(10)과 일정한 간격 이하로 좁아지는 회동 시, 제1 걸림부재(71)와 제2 걸림부재(75)는 상호 면접하는 제1 경사면(73)과 제2 경사면(77)을 통해 상기 상판(10b)의 회동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상호 밀어냄으로써 탄성변형될 수 있다.
제1 경사면(73)과 제2 경사면(77)은 상기 상판(20)의 회동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밀어내어 제1 걸림부재(71)와 제2 걸림부재(75)를 각각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한편, 하판(10)은 길이방향 양측에 개방되고 마주하는 상판 방향으로 개방되는 결합홈(17)과, 결합홈(17)의 저면에서 상판(20)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결합돌기(18)가 형성된다.
낙상 감지기(9)는 결합홈(17)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전기케이블(C)을 구속하는 케이블구속부재(40)를 더 구비한다.
케이블구속부재(40)는 각 결합홈(17)에 장착되게 복수 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합홈(17)에 대응되게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고 결합돌기(18)가 삽입결합되는 제1돌기결합공(42)이 형성된 베이스부(41)와, 하판(10) 폭 방향의 베이스부(41)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하판(10)의 상부에 하판(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전기케이블(C)을 구속하는 제2고리부(43)를 구비한다.
낙상 감지기(9)는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낙상 감지기(9)와 전기케이블(C)을 통해 연결되는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감지부(8)는 상호 인접하는 낙상 감지기(9)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연결부재는 상호 인접하는 낙상 감지기(9)들의 마주하는 결합홈(17)에 양측이 각각 삽입결합되게, 케이블구속부재(40)의 베이스부(41)가 두개 형합된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며 양측에 결합돌기(18)가 삽입결합되는 제2돌기결합공(미도시)가 형성된다. 연결부재는 일측에 대해 타측이 좌우 회동가능한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는 연결부재는 양측이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와이어나 필름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하판(10)은 폭 방향 중심측 상면에 로컬제어부(81)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원형 베터리와 같은 전원부(미도시)를 장착할 수 있는 전원 고정틀(44)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로컬제어부는 침대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는데, 전원부는 다수의 낙상 감지기(9) 중 로컬제어부와 인접한 하나의 낙상 감지기(9)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전원부는 로컬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로컬제어부(81)는 제1 감지단자(31)와 제2 감지단자(32)가 상호 접촉되어 통전되면서 발생된 감지신호를 로컬통신부(70)를 통해 관제센터 측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의 인접한 바닥에 설치되어 보호대상자가 낙상하였을 때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신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보호매트(97)가 구비될 수 있다. 보호매트(97)의 저부에는 보호대상자가 낙상하였거나, 보호대상자의 보호매트상에 위치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도록 낙상 감지기가 상호 이격되게 배열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낙상 감지기가 침대의 가장자리 또는 침대에 인접한 바닥면에 설치되어 보호대상자가 낙상의 상태이거나 낙상위험이 있는 움직임 상태임을 원거리에 있는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어 상황에 따른 즉각대처가 가능하여 안전사고 발생이 감소될 수 있으며 관리 효율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에 보호대상지의 거동 상태에 매칭된 문구나 이미지를 표시하여 보호자가 보호대상지의 거동상태 파악이 용이하므로 관리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설정된 낙상징후 움직임 조건에만 간병인 또는 간호사를 포함하는 관리자에게 이를 전달하여 불필요한 모니터링을 줄일 수 있어 관리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카메라에 촬영된 촬영영상에서 관리자와 보호대상자를 식별하여 낙상의 상태이거나 낙상위험이 있는 움직임 상태임 판단할 수 있어 관리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로드셀을 더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모니터링시스템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7에 도시된 낙상 감지기(9")는 상판(20)에 장착홈(28)이 더 형성되고, 다수의 로드셀(35)를 더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본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9)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판(20)은 로드셀(35)이 각각 수용될 수 있는 장착홈(25)이 상판(2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다수 개 형성된다. 로드셀(35)은 상부가 노출되도록 각 장착홈(25)에 삽입 설치된다. 로드셀(35)은 보호대상자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전류신호값으로 변환하여 발생시킬 수 있으며, 각 로드셀(35)은 가해지는 하중의 크기에 따라 각기 다른 값의 전류신호값을 발생시킨다.
로컬제어부(81)는 로드셀(35)로 전달된 전류신호값이 설정된 값 이상일 때 감지신호를 중앙제어부(93) 송신하거나, 로컬제어부(81)에 수신된 전류신호값의 차이를 통해 보호대상자가 편중 상태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신호를 관리자에게 알리기 위해 중앙제어부(93)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중앙제어부(93)는 로컬제어부(81)를 통해 전달된 전류신호값이 설정된 값이상 일때, 보호대상자의 편중상태 또는 낙상징후 움직임 상태로 판단하고 알림수단과 디스플레이부를 구동시키도록 적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9˝)가 침대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상태에서, 보호대상자가 침대의 가장자리로 거동 시 로드셀(35)에는 보호대상자의 위치 또는 자세에 따라 각기 다른 하중이 부하된다. 로컬제어부(81) 또는 중앙제어부(93)는 각기 달리 수신된 전류신호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관리자에게 보호대상자가 낙상의 위험이 있는 상태임을 알릴 수 있는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제1 및 제2감지단자에 감지신호가 전달되더라도, 로드셀(35)에서 전달된 압력값 즉, 전류신호값이 로컬제어부(81)나 중앙제어부(93)에 전달된 값보다 적은 경우에는 알림수단과 디스플레이부를 구동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은 낙상감지기(9")에 제1 및 제2감지단자 없이 로드셀(35)만 구비되어, 로드셀(35)에서 보호대상자 하중에 의한 전류신호값이 전달되면, 영상정보를 통해 보호대상자인지를 식별하고, 전달된 전류신호값이 로컬제어부(81)나 중앙제어부(93)에 설정된 전류신호값보다 높으면, 알림수단과 디스플레이부가 구동되게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를 이용한 낙상감지모니터링 시스템(207)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를 이용한 낙상감지모니터링 시스템(207)은 침대에 마련되어 보호대상자가 눕는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프레임 일측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안전바(106)를 승강시키는 안전바 승강유닛(110)을 더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및 2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를 이용한 낙상감지모니터링시스템의 구조와 동일하다.
안전바(106)는 프레임본체부(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방향으로 폭을 가지며 프레임본체부(4)의 폭 방향으로 내측이 관통된 직사각형상의 외형프레임(107)와, 외형프레임(107)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복수의 승강가이드바(108)를 구비한다.
안전바승강유닛(100)은 프레임본체부(4)의 폭 방향 일측에 장착되며 프레임본체부(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내부공간(112)을 갖는 승강지지하우징(111)과, 승강지지하우징(111) 내에 장착되는 승강구동모터(114)와, 승강구동모터(114)의 구동축(115)에 장착되며 일측에 래크기어가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승강가이드바(108)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116)를 구비한다.
로컬제어부(81)는 낙상 감지기(9,9")로부터 감지시호 전달 시, 보호대상자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바(106)가 상승되게 승강구동모터(114)를 구동시킨다.
로컬제어부(81)는 예비신호가 낙상감지기(9,9")로부터 전달되고, 보호대상자가 영상정보에 식별된 후, 낙상감지기(9)로부터 설정시간 이상 감지신호가 전달되거나, 설정된 전류신호값 이상이 낙상감지기(9")로부터 전달되면 판단하는 낙상 징후 움직임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예비신호는 낙상감지기(9)의 제1 및 제2감지단자(31,32)가 접하면서 발생되는 감지신호나, 전류신호값 크기에 상관없이 낙상감지기(9")의 로드셀(35)로부터 전달되는 전류신호값을 말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낙상감지모니터링 시스템(207)은 로컬제어부(81)를 통해 낙상 징후 감지 시, 안전바(106)가 자동으로 상승되므로 보호대상자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를 이용한 낙상감지모니터링 시스템(307)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를 이용한 낙상감지모니터링 시스템(307)은 침대(1)의 프레임본체(4)의 하방에 지면에 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로컬제어부(81)의 제어에 의해 낙상 징후 움직임 감지 시 보호대상자가 낙상 예상되는 상기 침대의 측 방향으로 돌출 이동되게 이동되어 보호대상자가 침대로부터 낙상 시 보호대상자를 보호하는 쿠션매트(397)를 포함하는 낙상충격완충유닛(310);을 더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낙상 감지기를 이용한 낙상감지모니터링(7)과 동일하다.
낙상충격완충유닛(310)은 프레임본체(4)의 하면에 프레임본체(4)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1레일(311)과, 제1레일의(311)의 일측에 장착되는 스크류구동모터(313)과, 일단이 스크류구동모터의 구동축(미도시)과 결합되고 제1레일(311)의 하방에서 제1레일(311)에 나란하게 연장되며 타단이 프레임본체(4)의 하면에 장착된 브라켓(315)에 제자리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스크류바(315)와, 제1레일(311) 상에 제1레일(31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스크류바(315)가 관통되어 나사 결합되는 슬라이더(318)와, 슬라이더(318)의 하단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되고 하단이 지면과 나란하게 연장된 절곡판(319)과, 절곡판(319)의 하단에 지지되는 쿠션매트(397)을 구비한다.
로컬제어부(81)는 스크류구동모터(313)과 연결되어, 낙상 감지기(9)로부터 감지신호 전달 시, 쿠션매트(397)가 프레임본체(4)의 수직하방에서 측방으로 돌출되게 스크류구동모터(313)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로컬제어부(81)는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신호 미전달 시 쿠션매트(397)가 절곡판(319)과 함께 프레임본체(4)의 수직하방으로 이동되게 스크류구동모터(313)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낙상 감지모니터링 시스템은 도면에 도시 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침대 3 : 프레임
7 :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8 : 감지부 9 : 낙상 감지기
10 : 하판 20 : 상판
30 : 감지신호발생부 31 : 제1감지단자
32 : 제2감지단자 55 : 카메라
70 : 로컬통신부 81 : 로컬제어부
92 : 중앙통신부 93 : 중앙제어부
94 : 관리자단말기 95 : 디스플레이부

Claims (8)

  1. 침대에 누워있는 보호대상자를 촬영하도록 침대 또는 상기 침대에 인접하게설치되는 카메라와, 상기 침대에 설치되어 보호대상자가 상기 침대의 가장자리로 이동하는 낙상징후 움직임을 감지하는 다수의 낙상 감지기를 포함하는 감지부와; 상기 침대에 설치된 상기 감지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분석하여 낙상 징후 움직임을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낙상 징후 움직임 감지 시, 간병인 또는 간호사를 포함하는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알림수단;을 구비하고,
    다수의 상기 낙상 감지기는 상기 침대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거나 상기 침대에 인접하는 바닥측에 설치되어 보호대상자의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호대상자와 상기 관리자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학습되어, 상기 감지신호가 전달 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정보에 상기 보호대상자가 식별되면 상기 낙상징후 움직임으로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촬영된 정보가 표시되거나 상기 알림수단이 구동되게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는 누워 있는 보호대상자의 어깨 위쪽을 제외한 전신을 촬영할 수 있도록, 렌즈부가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정보에 식별된 보호대상자의 머리를 포함한 상체가 보이는 경우 상기 침대에 앉아 있는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낙상징후 움직임으로 판단하고,
    다수의 상기 침대마다 매칭된 고유번호와 함께 각 상기 침대의 모니터링 상태가 동시에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긴급상황으로 판단된 어느 하나의 상기 침대가 나머지 상기 침대들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확대되게 표시되도록 하고,
    보호대상자가 상기 침대에 앉아있거나, 상기 침대에 다리를 아래로 내리고 걸터앉아있거나, 상기 침대에 장착된 안전바가 내려가 있거나, 보호대상자가 상기 침대에 마련된 긴급버튼을 눌렀거나, 보호대상자가 일정시간이상 움직임이 없거나, 보호대상자가 상기 침대에 낙상했거나 부재한 경우를 포함하는 상황들 중, 어느 하나의 상황에 해당하는 경우 긴급상황으로 인식하도록 설정되며,
    긴급상황으로 판단된 어느 하나의 상기 침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확대되게 표시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상황에 대응되는 모습을 형상화한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낙상감지기는
    보호대상자의 하중에 따른 압력값을 측정할 수 있는 로드셀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셀에 의해 설정된 압력값보다 높은 값이 전달되면 상기 낙상징후 움직임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호대상자가 식별되고, 상기 낙상감지기로부터 설정된 시간 이상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낙상징후 움직임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관리자의 복장 및 보호대상자의 복장의 형태 및 색깔이 입력되어, 상기 카메라에 촬영된 영상정보에서 보호대상자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모니터링 시스템.
  6. 침대에 누워있는 보호대상자를 촬영하도록 침대 또는 상기 침대에 인접하게설치되는 카메라와, 상기 침대에 설치되어 보호대상자가 상기 침대의 가장자리로 이동하는 낙상징후 움직임을 감지하는 다수의 낙상 감지기를 포함하는 감지부와;
    상기 침대에 설치된 상기 감지부에서 전달된 정보를 분석하여 낙상 징후 움직임을 판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낙상 징후 움직임 감지 시, 간병인 또는 간호사를 포함하는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알림수단을 구비하고,
    다수의 상기 낙상 감지기는 상기 침대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거나 상기 침대에 인접하는 바닥측에 설치되어 보호대상자의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호대상자와 상기 관리자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학습되어, 상기 감지신호가 전달 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정보에 상기 보호대상자가 식별되면 상기 낙상징후 움직임으로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촬영된 정보가 표시되거나 상기 알림수단이 구동되게 제어하고,
    상기 침대의 프레임의 하방에 지면에 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가 낙상 징후 움직임 판단 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보호대상자가 낙상 예상되는 상기 침대의 측 방향으로 돌출 이동되게 이동되어 보호대상자가 상기 침대로 부터 낙상 시 보호대상자를 보호하는 쿠션매트를 포함하는 낙상충격완충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7. 제 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는 보호대상자가 눕는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프레임 일측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안전바를 승강시키는 안전바 승강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낙상 징후 움직임 판단 시, 보호대상자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안전바가 상승되게 상기 안전바 승강유닛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상모니터링 시스템.
  8. 삭제
KR1020210036130A 2021-03-19 2021-03-19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KR102604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130A KR102604548B1 (ko) 2021-03-19 2021-03-19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130A KR102604548B1 (ko) 2021-03-19 2021-03-19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468A KR20220131468A (ko) 2022-09-28
KR102604548B1 true KR102604548B1 (ko) 2023-11-21

Family

ID=83461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130A KR102604548B1 (ko) 2021-03-19 2021-03-19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5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40356B (zh) * 2022-10-18 2023-12-22 中健国康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微感智能护理床控制方法及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002B1 (ko) 2013-02-28 2014-09-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방지 장치
KR101860062B1 (ko) * 2017-01-06 2018-05-23 한국과학기술원 낙상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060761B1 (ko) * 2019-04-09 2019-12-30 주식회사 에이치랩 기계 학습을 활용한 rf 기반의 낙상 판단 시스템 및 그의 낙상 판단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001B1 (ko) * 2008-12-30 2011-09-30 유넷웨어(주) 낙상 감지 장치 및 낙상 감지 방법
US10004430B2 (en) * 2014-12-29 2018-06-26 Lg Cn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fall
KR101715218B1 (ko) * 2015-06-25 2017-03-1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 위험을 판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83067A (ko) 2018-01-03 2019-07-11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방지용 침대
KR101935232B1 (ko) 2018-06-18 2019-04-03 주식회사 소프트웨어융합연구소 낙상 방지용 침대
KR102481117B1 (ko) * 2020-11-17 2022-12-23 이상한 사용자 자세 기반 낙상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002B1 (ko) 2013-02-28 2014-09-1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낙상 방지 장치
KR101860062B1 (ko) * 2017-01-06 2018-05-23 한국과학기술원 낙상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102060761B1 (ko) * 2019-04-09 2019-12-30 주식회사 에이치랩 기계 학습을 활용한 rf 기반의 낙상 판단 시스템 및 그의 낙상 판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1468A (ko) 2022-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Bendary et al. Fall detection and prevention for the elderly: A review of trends and challenges
US7987069B2 (en) Monitoring patient support exiting and initiating response
JP5648840B2 (ja) ベッド上及び室内の見守りシステム
US20090044334A1 (en) Automatically adjusting patient platform support height in response to patient related events
US20150281659A1 (en) Image transmission or recording triggered by bed event
US20130082842A1 (en) Method and device for fall detection and a system comprising such device
KR101715218B1 (ko) 영상 분석을 통하여 환자의 낙상 위험을 판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3240601A (ja) 使用者離床予測システム、方法および装置
US8610584B2 (en) Fall-down alarm system
JP2009018158A (ja) 姿勢モニタシステムおよび身体モニタシステム
US20210142643A1 (en) Patient-fall scenario detector and systems and methods for remediating fall scenarios
CN113035345A (zh) 带有生命体征监测的床垫及其监控系统
KR101956429B1 (ko) 관리 대상자의 상태 인식을 통한 질병 발병 및 위험 상황 방지를 위한 스마트 매트 시스템
US20200187869A1 (en) System for providing real time warnings based on continuous sensor signals
KR101712191B1 (ko) 환자 낙상예방 모니터링 장치
EP3103385A1 (en) Image transmission or recording triggered by bed event
JP5924820B2 (ja) トイレ見守り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トイレ見守り装置
KR102604548B1 (ko)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05883B1 (ko) 요양원 인공지능 자동관제 시스템
JP2002360522A (ja) 独居老人安全生活支援装置
JP2007072964A (ja) 離床予測自動感知通報方法と同自動感知通報システム
JP2020113016A (ja)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09929B1 (ko) 낙상 모니터링 시스템
WO2020145130A1 (ja)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488780A1 (en)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