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414B1 -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414B1
KR100936414B1 KR1020070043555A KR20070043555A KR100936414B1 KR 100936414 B1 KR100936414 B1 KR 100936414B1 KR 1020070043555 A KR1020070043555 A KR 1020070043555A KR 20070043555 A KR20070043555 A KR 20070043555A KR 100936414 B1 KR100936414 B1 KR 100936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cal
carbon atoms
formula
organosilicon compound
hydrogen a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3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8081A (ko
Inventor
크리스티안 헤르치히
Original Assignee
와커 헤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커 헤미 아게 filed Critical 와커 헤미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108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8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4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1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as well as one or more C—O—Si link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38Polysiloxan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77/382Polysiloxan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or silicon
    • C08G77/388Polysiloxan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or silicon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0834Compounds having one or more O-Si linkage
    • C07F7/0838Compounds with one or more Si-O-Si sequences
    • C07F7/0872Preparation and treatment thereof
    • C07F7/0889Reactions not involving the Si atom of the Si-O-Si seque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2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08G77/2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nitrogen-contain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ilic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단계에서,
(1) 1차 아미노기를 갖는 SiC-결합 유기 라디칼을 하나 이상 함유하는 유기규소 화합물과
(2) 화학식 -O-C(=O)-의 기를 함유하는, 유기 에스테르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환형 유기 카보네이트 및 락톤을 반응시키고,
그 후 제2 단계에서,
제1 단계에서 얻어진 (1)과 (2)의 반응 생성물과
(3) 디케텐 또는 디케텐 유도체를 반응시키는,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성물은 라디칼 G1 및 G2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SiC-결합 유기 라디칼 G를 하나 이상 함유하는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이며, 상기 라디칼 G1은 하기 화학식 (VIII)의 라디칼이고, 상기 라디칼 G2는 하기 화학식 라디칼 (IX)의 라디칼이다.
-R1{-N[C(=O)-CHR5-C(=O)-CH2R5]-R1}x-NH-C(=O)-(O)v-R4{-O-[C(=O)-CHR5-C(=O)-CHR5]yH}z (VIII)
-R1(-NR2'-R1)x-NH-C(=O)-(O)v-R4{-O-[C(=O)-CHR5-C(=O)-CHR5]yH}z (IX)
(상기 식 중, R1, R2, R4, R5, v 및 x는 특허청구범위의 제2항, 제5항 및 제6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R2'은 R2의 의미 중 하나를 나타내나, 단, R2'은 수소 원자가 아니며,
y는 0 또는 1, 바람직하게는 1이고, z는 1 또는 2, 바람직하게는 1이다)
유기규소 화합물, 디케텐

Description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PROCESS FOR PREPARING β-KETOCARBONYL-FUNCTIONAL ORGANOSILICON COMPOUNDS}
본 발명은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제4,861,839호는 아세토아세트산 (티오)에스테르 또는 아세토아세트아미도 기로 치환되며 금속 촉매용 단량체형 킬레이트 리간드로서 사용되는 알콕시실란에 관해 기재한다.
중합체 β-케토 에스테르 실록산은 미국 특허 제4,808,649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그 제조 방법 및 폴리염화비닐용 안정화제로서의 그 용도 역시 공지되어 있다.
아세토아세테이트기를 함유하는 작용성 폴리실록산은 미국 특허 제5,952,443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여기서 작용기의 일부는 작용기당 2개 이상의 β-케토카보닐기를 함유하여야 하고, 디메틸실록시 단위의 수는 50개 이하이다. 또한, 표면 코팅 제제에서의 폴리아민에 의한 가교에 관해 기재되어 있다.
디케텐 및 그 유도체에 의한 카비놀 또는 아미노 폴리실록산의 개질에 관해 서는 미국 특허 6,121,404호에 기재되어 있다. 생성물은 엘라스토머 필름의 제조를 위해 아미노 폴리실록산과 함께 수용액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겔화 생성물이 얻어지는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제1 단계에서,
(1) 1차 아미노기를 갖는 SiC-결합 유기 라디칼을 하나 이상 함유하는 유기규소 화합물과
(2) 화학식 -O-C(=O)-의 기를 함유하는, 유기 에스테르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환형 유기 카보네이트 및 락톤을 반응시키고,
그 후 제2 단계에서,
제1 단계에서 얻어진 (1)과 (2)의 반응 생성물과
(3) 디케텐 또는 디케텐 유도체를 반응시키는,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유기규소 화합물(1)로서는, 하기 화학식 (I)의 SiC-결합 유기 라디칼 A를 하나 이상 함유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1(-NR2-R1)x-NH2 (I)
상기 식 중,
R1은 탄소 원자수 1∼18의 2가 유기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18의 2가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18의 1가 유기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18의 1가 탄화수소 라디칼,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며,
x는 0 또는 정수 1∼10, 바람직하게는 0, 1 또는 2이다.
상기 유기규소 화합물(1)은 단량체, 소중합체 또는 중합체일 수 있으며, 직쇄, 분지쇄 또는 환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사용되는 유기규소 화합물(1)은 하기 화학식 (II)의 단위를 포함하는 유기폴리실록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Figure 112007033534403-pat00001
(II)
상기 식 중,
A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R은 라디칼당 탄소 원자수가 1∼18인 치환 또는 비치환된 1가 탄화수소 라디칼이며,
R3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 또는 에틸 라디칼이고,
a는 0 또는 1이고,
b는 0, 1, 2 또는 3이고,
c는 0 또는 1이며,
단, a+b+c의 합은 ≤ 3이고, 분자당 평균 하나 이상의 라디칼 A가 존재한다.
유기규소 화합물(1)의 바람직한 예는 하기 화학식 (IIIa) 및 (IIIb)의 유기폴리실록산이다:
AgR3-gSiO(SiR2O)l(SiRAO)kSiR3-gAg (IIIa)
(R3O)R2SiO(SiR2O)n(SiRAO)mSiR2(OR3) (IIIb)
상기 식 중,
A, R 및 R3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g는 0 또는 1이고,
k는 0 또는 정수 1∼30이고,
l은 0 또는 정수 1∼1,000이고,
m은 정수 1∼30이고,
n은 0 또는 정수 1∼1,000이며,
단, 분자당 평균 하나 이상의 라디칼 A가 존재한다.
라디칼 R의 예로는 알킬 라디칼,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1-n-부틸, 2-n-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tert-펜 틸 라디칼, 헥실 라디칼, 예컨대 n-헥실 라디칼, 헵틸 라디칼, 예컨대 n-헵틸 라디칼, 옥틸 라디칼, 예컨대 n-옥틸 라디칼 및 이소옥틸 라디칼, 예컨대 2,2,4-트리메틸펜틸 라디칼, 노닐 라디칼, 예컨대 n-노닐 라디칼, 데실 라디칼, 예컨대 n-데실 라디칼, 도데실 라디칼, 예컨대 n-도데실 라디칼 및 옥타데실 라디칼, 예컨대 n-옥타데실 라디칼; 시클로알킬 라디칼, 예컨대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및 메틸시클로헥실 라디칼; 알케닐 라디칼, 예컨대 비닐, 5-헥세닐, 시클로헥세닐, 1-프로페닐, 알릴, 3-부테닐 및 4-펜테닐 라디칼; 알키닐 라디칼, 예컨대 에티닐, 프로파길 및 1-프로피닐 라디칼; 아릴 라디칼, 예컨대 페닐, 나프틸, 안트릴 및 페난트릴 라디칼; 알카릴 라디칼, 예컨대 o-, m-, p-톨릴 라디칼, 크실릴 라디칼 및 에틸페닐 라디칼; 및 아랄킬 라디칼, 예컨대 벤질 라디칼, α- 및 β-페닐에틸 라디칼이 있다.
라디칼 R1의 예로는 탄소 원자수 1∼18의 알킬렌 라디칼, 예를 들어 화학식 -CH2-, -CH2CH2-, -CH(CH3)-, -CH2CH2CH2-, -CH2C(CH3)H-, -CH2CH2CH2CH2-, -CH2CH2CH(CH3)-의 라디칼이 있으며, -CH2CH2- 및 -CH2CH2CH2-의 라디칼이 바람직하다.
라디칼 A의 예로는
-CH2-NH2
-CH(CH3)-NH2
-C(CH3)2-NH2
-CH2CH2-NH2
-CH2CH2CH2-NH2
-CH2CH2CH2CH2-NH2
-CH2CH2CH(CH3)-NH2
-CH2CH2CH2-NH-CH2CH2-NH2
-CH2CH2CH2-N(CH3)-CH2CH2-NH2
-CH2CH2CH2[-NH-CH2CH2]2-NH2
-CH2CH2C(CH3)2CH2-NH2가 있다.
탄화수소 라디칼 R의 예는 탄화수소 라디칼 R2에도 적용된다.
알킬 라디칼 R3의 예로는 알킬 라디칼,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1-n-부틸, 2-n-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tert-펜틸 라디칼, 헥실 라디칼, 예컨대 n-헥실 라디칼, 헵틸 라디칼, 예컨대 n-헵틸 라디칼, 옥틸 라디칼, 예컨대 n-옥틸 라디칼 및 이소옥틸 라디칼, 예컨대 2,2,4-트리메틸펜틸 라디칼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유기규소 화합물(1)은 바람직하게는 25℃에서의 점도가 1 mPa.s∼1,000,000 mPa.s이고, 바람직하게는 25℃에서의 점도가 100 mPa.s ∼50,000 mPa.s이며, 분자량 Mn은 바람직하게는 200∼200,000 달톤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2,000∼50,000 달톤이다.
유기규소 화합물(1)은 1차 아미노기와, 경우에 따라 2차 아미노기를 유기규소 화합물(1) g당 0.01∼12 mequ.,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기규소 화합물(1) g당 0.05∼3 mequ. 범위의 적정 가능한 양으로 함유한다.
1종의 유기규소 화합물(1) 또는 다종의 유기규소 화합물(1)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에스테르 화합물(2)은 화학식 -O-C(=O)-의 기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에스테르 화합물(2)로서는 하기 화학식 (V)의 락톤 또는 시클로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7033534403-pat00002
(V)
상기 식 중,
R4는 하나 이상의 별개의 산소 원자가 개재할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18의 2가 또는 3가 탄화수소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5의 2가 탄화수소 라 디칼이며,
v는 0 또는 1, 바람직하게는 1이고,
z는 1 또는 2, 바람직하게는 1이다.
화학식 (V)에서 v가 0이고 z가 1일 때(즉, 락톤)의 2가 라디칼 R4의 예로는 화학식 -CH2CH2-, -CH2CH2CH2-, -CH2CH2CH2CH2- 및 -CH2CH2CH2CH2CH2-의 라디칼이 있다.
화학식 (V)에서 v가 1이고 z가 1일 때(즉, 시클로카보네이트)의 2가 라디칼 R4의 예로는 화학식 -CH2CH2-, -CH2CH2CH2-, -CH2C(CH3)H- 및 -C(CH3)HCH2-의 라디칼이 있으며, 화학식 (V)에서 v가 1이고 z가 2일 때(즉, 라디칼 R4가 히드록실기로 치환될 때)의 3가 라디칼 R4의 예로는 화학식 -CH2C(CH2-)H- 및 -C(CH2-)HCH2-의 라디칼이 있다.
유기 에스테르 화합물(2)의 예로는 프로피오락톤, 부티로락톤, 카프로락톤,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부틸렌 카보네이트 및 글리세릴 카보네이트가 있다. 원칙적으로, 유기규소 화합물(1)의 반응을 위해, 열린 사슬 에스테르, 예컨대 히드록시산의 알킬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그보다 환형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며, 시클로카보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에스테르 화합물(2)은 유기규소 화합물(1) 내에 존재하는 모든 1차 아미노기 의 합계를 기준으로 대략 화학량론적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에스테르 화합물(2)은 유기규소 화합물(1) 내의 1차 아미노기 -NH2 mol당 바람직하게는 1.0∼2.0 mol, 바람직하게는 1.0∼1.2 mol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 방법의 제1 단계, 즉 (1)과 (2)의 반응은 10∼120℃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25∼8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스테르 화합물(2)이 유기규소 화합물(1) 중에 불용성이거나 난용성인 경우, 50∼100℃의 고온의 반응 온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 방법의 제1 단계에서의 반응의 진행도는 초기에 혼탁했던 혼합물이 맑아지는 것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의 제1 단계에서 얻어진 (1)과 (2)의 반응 생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VI)의 SiC-결합 유기 라디칼 B를 하나 이상 함유하는 유기규소 화합물이다:
-R1(-NR2-R1)x-NH-C(=O)-(O)v-R4(-OH)z (VI)
상기 식 중,
R1, R2, R4, v 및 x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z는 1 또는 2, 바람직하게 는 1이다.
(1)과 (2)의 반응 결과로서, 라디칼 B는 우레탄 카비놀기를 함유하게 된다.
본 발명 방법의 제2 단계에서는, 하기 화학식 (VII)의 디케텐을 디케텐(3)으로서 사용한다:
Figure 112007033534403-pat00003
(VII)
상기 식 중,
R5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18의 탄화수소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이다.
탄화수소 라디칼 R의 예는 탄화수소 라디칼 R5에도 적용된다.
화학식
Figure 112007033534403-pat00004
의 디케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온에서 다시 디케텐을 유리시키는 디케텐-아세톤 부가 생성물 또는 t-부틸 아세토아세테이트와 같은 디케텐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 방법의 제2 단계에서는, (1)과 (2)의 반응 생성물과 반응하는 디케텐(3)의 양을 광범위한 범위 내에서 선택할 수 있다. 유기규소 화합물(1)이 1차 아미노기뿐만 아니라 2차 아미노기 역시 함유한다면, 이러한 1차 및 2차 아미노기와 적어도 등량인 양의 디케텐(3)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과 (2)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카비놀기는 디케텐(3)과 완전히 또는 부분 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약간 과잉량의 디케텐(3)을 사용하고, 반응이 완료된 후에, 바람직하게는 이를 다시 감압 하에 제거하거나(휘발성 디케텐) 또는 다른 방식으로 반응시키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따라서 디케텐(3)은 본 발명 방법의 제2 단계에서 (1)과 (2)의 반응 생성물 내의 2차 아미노기(2차 -NH-)와 카비놀기의 합계의 mol당 0.5∼1.25 mol, 바람직하게는 0.8∼1.1 mol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는 디케텐과 아미노 및 카비놀 기를 등몰량으로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며, 즉, 디케텐은(3)은 바람직하게는 (1)과 (2)의 반응 생성물 내의 2차 아미노기와 카비놀기의 mol당 약 1.0 mol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 방법의 제2 단계에서, (1)과 (2)의 반응 생성물 내의 2차 아미노기와 디케텐(3)의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주변 온도(상온)에서 자발적으로 진행되나, 고온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1)과 (2)의 반응 생성물 내의 우레탄 카비놀기와 디케텐(3)을 반응시키기 위해서는 고온이 요구되며, 따라서 이 반응은 50∼12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방법의 제2 단계에서의 디케텐(3)과의 반응은 3차 아민 등의 염기성 촉매 존재 하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차 아민의 예로는 트리에틸아민, 트리노닐아민, 트리스(이소트리데실아민), 디아자비시클로옥탄,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메틸디프로필렌트리아민 및 비스(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올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주변 대기압에서, 즉, 약 1,020 hPa의 압력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보다 고압 또는 보다 저압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회분식, 반연속식 또는 연속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의 제조는 유기 용매 중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규소 화합물이 점도가 높을 때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용매의 예로는 포화 탄화수소, 예컨대 n-펜탄, n-헥산, n-헵탄 및 n-옥탄 및 이들의 분지쇄 이성질체, 석유정(petroleum spirits), 예를 들어 1,020 hPa에서 비등 범위가 80℃∼140℃인 알칸 혼합물, 불포화 탄화수소, 예컨대 1-헥센, 1-헵텐, 1-옥텐 및 1-데센, 방향족 탄화수소, 예컨대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탄소 원자수 1∼6의 할로겐화 알칸, 예를 들어 염화메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및 퍼클로로에틸렌, 에테르, 예컨대 디-n-부틸 에테르, 알콜,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 및 저분자량 직쇄 및 환형 유기폴리실록산을 들 수 있다.
유기규소 화합물(1)에서 R2가 수소일 경우, 본 발명의 방법에서 얻어지는 반응 생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VIII)의 SiC-결합 유기 라디칼 G1을 하나 이상 함유하는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이다:
-R1{-N[C(=O)-CHR5-C(=O)-CH2R5]-R1}x-NH-C(=O)-(O)v-R4{-O[-C(=O)-CHR5-C(=O)- CHR5]y-H}z (VIII)
상기 식 중,
R1, R4, R5, v 및 x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y는 0 또는 1, 바람직하게는 1이고,
z는 1 또는 2, 바람직하게는 1이며,
단,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y는 1이다.
유기규소 화합물(1)에서 R2가 수소 원자가 아니라 대신에 탄소 원자수 1∼18의 유기 라디칼인 경우, 본 발명의 방법에서 얻어지는 반응 생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IX)의 SiC-결합 유기 라디칼 G2를 하나 이상 함유하는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이다:
-R1(-NR2'-R1)x-NH-C(=O)-(O)v-R4{-O[-C(=O)-CHR5-C(=O)-CHR5]y-H}z (IX)
상기 식 중,
R1, R4, R5, v, x, y 및 z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R2'은 R2의 의미 중 하나를 나타내나, 단, R2'은 수소 원자가 아니고,
단,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y는 1이다.
라디칼 R2의 예는 그 전체 범위가 라디칼 R2'에 적용되나, 단, R2'은 수소 원 자는 아니다.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의 80 mol%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mol% 이상에서 y가 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얻어지는 반응 생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X)의 단위를 포함하는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폴리실록산이다:
Figure 112007033534403-pat00005
(X)
상기 식 중,
G는 라디칼 G1 및 G2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라디칼이고, 이때 G1 및 G2 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으며,
R, R3, a, b 및 c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단, a+b+c의 합은 ≤ 3이고, 분자당 평균 하나 이상의 라디칼 G가 존재한다.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폴리실록산의 바람직한 예는 하기 화학식 (IIIa) 및 (IIIb)의 유기폴리실록산이다:
GgR3-gSiO(SiR2O)l(SiRGO)kSiR3-gGg (IIIa)
(R3O)R2SiO(SiR2O)n(SiRGO)mSiR2(OR3) (IIIb)
상기 식 중,
G, R 및 R3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g는 0 또는 1이고,
k는 0 또는 정수 1∼30이고,
l은 0 또는 정수 1∼1,000이고,
m은 정수 1∼30이고,
n은 0 또는 정수 1∼1,000이며,
단, 분자당 평균 하나 이상의 라디칼 G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은 분자량 Mn이 바람직하게는 400∼200,000 달톤, 바람직하게는 2,000∼100,000 달톤이다.
실시예 1:
1차 아미노기 함량이 0.353 mequ./g인 α,ω-비스(아미노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 200 g을 에틸렌 카보네이트 8.08 g과 함께 70℃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으며, 초기에 혼탁했던 혼합물이 맑아졌다. 계속해서 동일 온도에서, 1차 아미노기 의 사용량에 해당하는 양의 디케텐 5.94 g을 첨가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의 반응을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중 10% 농도의 디아자비시클로옥탄 용액 0.04 g으로 촉진하였다. 약간의 발열과 함께 아세토아세틸화가 시작되었다. 2 시간이 더 지난 후, IR 스펙트럼에서 디케텐을 검출할 수 없었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켰다. 이로써 점도 554 mm2/s(25℃)의 투명한 황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아미노기는 더 이상 검출할 수 없었다(< 0.001 mequ./g). 1H-NMR 스펙트럼은 아세틸아세톡시에틸우레탄기의 정량적 형성을 확인시켜 주었다. 생성물은 약 0.8 중량%의 비소비(미반응) 에틸렌 카보네이트를 함유하였으며, 이것은 감압 하에 120℃에서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 2:
주로 메톡시 말단기를 함유하고 총 아민 함량이 0.297 mequ./g이며 점도가 1,120 mm2/s(25℃)인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실록시 및 디메틸실록시 단위의 공중합체 200 g을 에틸렌 카보네이트 2.62 g과 함께 충분히 교반하면서 80℃에서 2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초기에 유백색이었던 반응 혼합물이 맑아졌다. 중간체의 1H-NMR 스펙트럼은 1차 아미노기가 2-히드록시에틸우레탄기로 정량적으로 전환되었음을 보여주었다. 그 후, 카비놀 및 2차 아미노 기의 합계를 기준으로 등몰량에 해당하는 양의 디케텐 4.99 g을 첨가하자, 발열 반응이 신속히 개시되었다. 그 후,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중 10% 농도의 디아자비시클로옥탄 용액 0.04 g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80℃에서 2 시간 더 교반하였으며, 그 후 모든 디케텐이 소비되었다. 이 혼합물을 냉각시켜, 점도가 30,500 mm2/s(25℃)이고 적정 가능한 잔류 아민 함량이 0.002 mequ./g인 무색 투명한 오일을 수득하였다.
비교 실험:
본 발명 방법의 제1 단계, 즉 에틸렌 카보네이트와의 반응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변경을 가하여 실시예 2의 절차를 반복하였다. 디케텐을 도입하자, 유동성이었던 오일이 1 분 내에 겔화되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비겔화 생성물로서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0)

  1. 제1 단계에서,
    (1) 1차 아미노기를 갖는 SiC-결합 유기 라디칼을 하나 이상 함유하는 유기규소 화합물과
    (2) 화학식 -O-C(=O)-의 기를 함유하는 유기 에스테르 화합물을 반응시키고,
    그 후 제2 단계에서,
    제1 단계에서 얻어진 (1)과 (2)의 반응 생성물과
    (3) 디케텐 또는 디케텐 유도체를 반응시키는,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의 SiC-결합 유기 라디칼 A를 하나 이상 함유하는 유기규소 화합물을 유기규소 화합물(1)로서 사용하는 방법:
    -R1(-NR2-R1)x-NH2 (I)
    상기 식 중,
    R1은 탄소 원자수 1∼18의 2가 유기 라디칼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18의 1가 유기 라디칼이며,
    x는 0 또는 정수 1∼10이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I)의 단위를 포함하는 유기폴리실록산을 유기규소 화합물(1)로서 사용하는 방법:
    Figure 112009040488748-pat00006
    (II)
    상기 식 중,
    A는 제2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R은 라디칼 당 탄소 원자수가 1∼18인 1가 탄화수소 라디칼이며,
    R3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 라디칼이고,
    a는 0 또는 1이고,
    b는 0, 1, 2 또는 3이고,
    c는 0 또는 1이며,
    단, a+b+c의 합은 ≤ 3이고, 분자 당 평균 하나 이상의 라디칼 A가 존재한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IIa) 또는 (IIIb)의 유기폴리실록산을 유기규소 화합물(1)로서 사용하는 방법:
    AgR3-gSiO(SiR2O)l(SiRAO)kSiR3-gAg (IIIa)
    (R3O)R2SiO(SiR2O)n(SiRAO)mSiR2(OR3) (IIIb)
    상기 식 중,
    A는 제2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R은 라디칼 당 탄소 원자수가 1∼18인 1가 탄화수소 라디칼이며,
    R3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 라디칼이고,
    g는 0 또는 1이고,
    k는 0 또는 정수 1∼30이고,
    l은 0 또는 정수 1∼1,000이고,
    m은 정수 1∼30이고,
    n은 0 또는 정수 1∼1,000이며,
    단, 분자 당 평균 하나 이상의 라디칼 A가 존재한다.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V)의 락톤 또는 시클로카보네이트를 유기 에스테르 화합물(2)로서 사용하는 방법:
    Figure 112007033534403-pat00007
    (V)
    상기 식 중,
    R4는 하나 이상의 별개의 산소 원자가 개재할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18의 2가 또는 3가 탄화수소 라디칼이며,
    v는 0 또는 1이고,
    z는 1 또는 2이다.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VII)의 디케텐을 디케텐(3)으로서 사용하는 방법:
    Figure 112007033534403-pat00008
    (VII)
    상기 식 중,
    R5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18의 탄화수소 라디칼이다.
  7. 라디칼 G1 및 G2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SiC-결합 유기 라디칼 G를 하나 이상 함유하는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로서, 상기 라디칼 G1은 하기 화학식 (VIII)의 라디칼이고, 상기 라디칼 G2는 하기 화학식 라디칼 (IX)의 라디칼인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
    -R1{-N[C(=O)-CHR5-C(=O)-CH2R5]-R1}x-NH-C(=O)-(O)v-R4{-O[-C(=O)-CHR5-C(=O)-CHR5]y-H}z (VIII)
    -R1(-NR2'-R1)x-NH-C(=O)-(O)v-R4{-O[-C(=O)-CHR5-C(=O)-CHR5]y-H}z (IX)
    상기 식 중,
    R1은 탄소 원자수 1∼18의 2가 유기 라디칼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18의 1가 유기 라디칼이며,
    R4는 하나 이상의 별개의 산소 원자가 개재할 수 있는, 탄소 원자수 1∼18의 2가 또는 3가 탄화수소 라디칼이며,
    R5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18의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v는 0 또는 1이고,
    x는 0 또는 정수 1∼10이며,
    R2'은 R2의 의미 중 하나를 나타내나, 단, R2'은 수소 원자가 아니며,
    R2'은 탄소 원자수 1∼18의 1가 유기 라디칼이고,
    y는 0 또는 1이고,
    z는 1 또는 2이며,
    단,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y는 1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R4가 화학식 -CH2CH2-의 라디칼이고 R5가 수소 원자이고 v가 1이며 z가 1인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X)의 단위를 포함하는 유기폴리실록산인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
    Figure 112009040488748-pat00009
    (X)
    상기 식 중,
    G는 라디칼 G1 및 G2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라디칼이고, 상기 G1 및 G2 는 제7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으며,
    R은 라디칼 당 탄소 원자수가 1∼18인 1가 탄화수소 라디칼이며,
    R3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 라디칼이고,
    a는 0 또는 1이고,
    b는 0, 1, 2 또는 3이고,
    c는 0 또는 1이며,
    단, a+b+c의 합은 ≤ 3이고, 분자 당 평균 하나 이상의 라디칼 G가 존재한다.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IIa) 또는 (IIIb)의 유기폴리실록산인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
    GgR3-gSiO(SiR2O)l(SiRGO)kSiR3-gGg (IIIa)
    (R3O)R2SiO(SiR2O)n(SiRGO)mSiR2(OR3) (IIIb)
    상기 식 중,
    G는 제7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R은 라디칼 당 탄소 원자수가 1∼18인 1가 탄화수소 라디칼이며,
    R3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 원자수 1∼8의 알킬 라디칼이고,
    g는 0 또는 1이고,
    k는 0 또는 정수 1∼30이고,
    l은 0 또는 정수 1∼1,000이며,
    m은 정수 1∼30이고,
    n은 0 또는 정수 1∼1,000이며,
    단, 분자 당 평균 하나 이상의 라디칼 G가 존재한다.
KR1020070043555A 2006-05-04 2007-05-04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 KR1009364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20815.3 2006-05-04
DE102006020815A DE102006020815A1 (de) 2006-05-04 2006-05-04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ta-Ketocarbonyl-funktionellen Organosiliciumverbindun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081A KR20070108081A (ko) 2007-11-08
KR100936414B1 true KR100936414B1 (ko) 2010-01-12

Family

ID=38353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3555A KR100936414B1 (ko) 2006-05-04 2007-05-04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95119B2 (ko)
EP (1) EP1852456B1 (ko)
JP (1) JP5044276B2 (ko)
KR (1) KR100936414B1 (ko)
CN (1) CN101067024B (ko)
DE (2) DE1020060208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311A (ko) * 2017-12-06 2020-07-02 와커 헤미 아게 베타-케토카르보닐-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의 에멀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39940A1 (de) * 2006-08-25 2008-03-06 Wacker Chemie Ag ß-Ketocarbonyl-funktionelle Siloxanpolymere enthaltende Zusammensetzungen
JP5160921B2 (ja) * 2008-02-25 2013-03-13 花王株式会社 ウレタン結合含有基を有する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化合物
DE102008000931A1 (de) * 2008-04-02 2009-10-08 Wacker Chemie Ag Wachsartige ß-Ketocarbonyl-funktionelle Organosiliciumverbindungen
ES2391913T3 (es) * 2008-06-13 2012-12-03 Clariant Finance (Bvi) Limited Composiciones cosméticas o farmacéuticas que comprenden polisiloxanos modificados con al menos un grupo carbamato
EP2288642A1 (en) * 2008-06-13 2011-03-02 Clariant Finance (BVI) Limited Polydiorganosiloxane bearing carbamate functions,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softeners in the textile industry
EP2912083B8 (en) 2012-10-29 2016-12-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ydiorganosiloxane polyurethane
EP3541882B1 (de) * 2016-11-16 2020-04-22 Wacker Chemie AG Dispersionen von béta-ketocarbonyl-funktionellen organosiliciumverbindunge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02776B1 (fr) * 1986-08-12 1988-11-10 Rhone Poulenc Chimie Diorganopolysiloxane a fonction beta-cetoester utile comme stabilisant des polymeres a base de polychlorure de vinyle
JPS63313793A (ja) * 1987-06-15 1988-12-21 Nippon Paint Co Ltd 金属キレ−ト化合物
JP2693482B2 (ja) * 1988-05-12 1997-12-24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
US4973680A (en) * 1989-03-03 1990-11-27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Organosiloxane-containing polysaccharides
GB9101205D0 (en) * 1990-02-14 1991-02-27 Ici Plc Incorporation of desired groups into polymers,the polymers so produced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m
JPH0418172A (ja) * 1990-05-11 1992-01-22 Asahi Glass Co Ltd シリコーン系繊維処理剤
JPH0658507B2 (ja) * 1991-03-13 1994-08-03 工業技術院長 光学素子
JPH0971506A (ja) * 1995-06-27 1997-03-18 Pola Chem Ind Inc 架橋型シリコーン含有化粧料
US5952443A (en) * 1997-08-01 1999-09-14 Ppg Industries Ohio, Inc. Acetoacetate functional polysiloxanes
US6121404A (en) * 1998-07-06 2000-09-19 Dow Corning Corporation β-diketo functional organosilicon compounds
NO325853B1 (no) * 2004-04-16 2008-08-04 Nor X Ind As Polymer kommpound
DE102005056051A1 (de) * 2005-11-24 2007-05-31 Wacker Chemi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ta-Ketocarbonyl-funktionellen Organosiliciumverbindungen
DE102005056050A1 (de) * 2005-11-24 2007-05-31 Wacker Chemie Ag Alpha-(beta-Ketocarbonyl)-funktionelle Organosiliciumverbindungen und deren Herstellung
DE102005058745A1 (de) * 2005-12-08 2007-06-14 Wacker Chemie Ag Enaminöl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102006020816A1 (de) * 2006-05-04 2007-11-08 Wacker Chemie Ag Organosiliciumverbindungen, die beta-Ketoamidgruppen und über Enamin-Bindungen gebundene organische Polymere enthalt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해당사항없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311A (ko) * 2017-12-06 2020-07-02 와커 헤미 아게 베타-케토카르보닐-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의 에멀션
KR102407951B1 (ko) 2017-12-06 2022-06-13 와커 헤미 아게 베타-케토카르보닐-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의 에멀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52456A1 (de) 2007-11-07
DE102006020815A1 (de) 2007-11-08
EP1852456B1 (de) 2009-06-17
JP2007297630A (ja) 2007-11-15
US7495119B2 (en) 2009-02-24
CN101067024A (zh) 2007-11-07
JP5044276B2 (ja) 2012-10-10
DE502007000875D1 (de) 2009-07-30
CN101067024B (zh) 2012-08-08
US20070260081A1 (en) 2007-11-08
KR20070108081A (ko) 200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414B1 (ko) β-케토카보닐 작용성 유기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
US6534615B2 (en) Preparation of amino-functional siloxanes
EP3635033B1 (en) Hydrosilylation curable silicone resin
JPH10501021A (ja) 官能化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及びその一つの製造方法
JP6702616B2 (ja) 高純度のアミノシロキサン
CN111133035B (zh) 包含草酰胺基酯基团的硅氧烷的制备方法
KR100882153B1 (ko) 액상 알콕시실릴-관능성 실리콘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경화성 실리콘 수지 조성물
CN107001638B (zh) 用于生产具有氨基的有机硅化合物的方法
US8114950B2 (en) Wax-like β-ketocarbonyl-functional organosilicon compounds
US5504235A (en) Method for decomposing polysiloxane
US5504233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rganosilicon compounds containing carboxyl groups
KR101037417B1 (ko) 고분자량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제조방법
US5041594A (en) Process for preparing organo(poly)siloxanes having Si-linked, conjugated dienyl groups
US7126020B2 (en) Process for preparing highly viscous organopolysiloxanes
JP2923258B2 (ja) アルキレンオキシシラン組成物の調製および使用
CA2061681A1 (en) Organosilicon compounds containing alkenyl group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of the same
US11299592B2 (en) Method for producing organopolysiloxane resins
US11440926B2 (en) Method for preparing aminopropylsilanes
US20190031833A1 (en) Method for producing polyorganosiloxanes having amino groups
WO2013191955A1 (en) Monofunctional organopolysiloxanes for compatabilzing polyheterosiloxa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