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211B1 - 소맥분 및 죽염을 함유하는 분말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소맥분 및 죽염을 함유하는 분말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211B1
KR100935211B1 KR1020090062658A KR20090062658A KR100935211B1 KR 100935211 B1 KR100935211 B1 KR 100935211B1 KR 1020090062658 A KR1020090062658 A KR 1020090062658A KR 20090062658 A KR20090062658 A KR 20090062658A KR 100935211 B1 KR100935211 B1 KR 100935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weight
toothpaste
composition
powder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지원
Original Assignee
남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9004279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00080295A/ko
Application filed by 남지원 filed Critical 남지원
Priority to CN200910165392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1766560B/zh
Priority to US12/571,285 priority patent/US843549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2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2Coated by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맥분 및 죽염을 함유하는 분말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맥분 및 죽염을 넣고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말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치약 조성물을 코팅액으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제형 치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말치약 조성물은, 항균 작용이 강하여 플라그(齒垢)형성을 방지함으로써 치석 및 설태를 예방하고, 세정효과와 소염 작용으로 구취 제거와 구강내의 염증을 예방하고, 치아의 변색을 예방함과 동시에 치아의 색을 깨끗하고 윤기있게 하는 미백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전통한약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오미(五味)를 두루가지면서 구강계기관에 있어서의 항균(抗菌)과 치아의 미백효과가 뛰어난 분말(粉末)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분말치약, 세치제, 치마분, 플라그, 천연 약재, 한방성분, 죽염, 소맥분, 미백효과, 구강 위생

Description

소맥분 및 죽염을 함유하는 분말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of toothpowder-paste containing wheat-flour and bamboo-sal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구강내부의 위생 관리에 효과적인 소맥분 및 죽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분말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화학물질로 구성되는 액상 치약과는 달리 가루 형태의 세치제(洗齒劑) 또는 치마분(齒磨粉) 조성물로서, 인체에 유익한 천연 원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전통적인 민간요법 및 한방요법에 사용되는 약재인 죽염(竹鹽), 소맥분(小麥粉), 고백반(枯白礬), 송지(松脂), 연자육(蓮子肉), 세신(細辛), 승마(升痲), 백지(白芷), 길경(桔梗) 및 팽이버섯 등을 가열 또는 건조, 분쇄한 후, 얻어진 분말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전통적인 한약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분말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치약은, 상품에 따라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연마제로서 실리카류, 칼슘류, 마그네슘류, 알루미나류 등 이 사용되고 있는 바, 이들은 치아의 기계적 세정에 도움이 되는 데 반해서, 그 입자의 크기, 경도, 모양이 적당하지 않으면 치관부의 상아질 표면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입자의 크기는 대략 1-20㎛으로서 균일할 것, 형태는 너무 예민한 각을 갖지 않을 것, 굳기(硬度)는 모스 굳기 3도 정도일 것 등이 기제의 조건으로 요구된다.
치약의 구성성분인 습윤제로서는 글리세린류, 솔비톨류, 자일리톨류, 글리콜류 등이 사용되며, 충치예방을 위하여 불화물류(불소)를 사용하고, 살균소독제로서는, 구강내 세균의 살균을 위하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치석용해제로서는, 플라그의 형성억제를 위하여 효소를 사용하거나, 치주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높은 삼투압을 갖는 나트륨류를 사용하고, 지혈작용이 있는 아미노카프론산(aminocaproic acid), 알란토인류(allatoin), 비타민류 등이 사용된다. 때로는 손상된 상아질의 치관을 메워주고 과민성치아에 효과적이며 또한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히드록시아파타이트류(hydroxy apatite)를 사용한다. 또한 고체성분과 액체성분의 결합제로서는, 셀룰로우스류, 카라기난(carrageenan)류, 검류 등이 사용되고 있다. 기포제로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라우릴 황산나트륨과, 안정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의 공중합체(플록사머:poloxamer)나 피마자유와 지방산에스테르등의 화학약품과 그 밖에 청정제, 향료, 색소, 중화제 등 첨가제가 혼합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한국특허공개 10-2004-0066313(한방성분을 함유하는 미백치약 조성물)은 치아의 미백에 효과가 있는 삼내자(三乃子) 등 한약 재의 분말, 또는 그 추출물과 피로인산염 및 불소를 함유한 미백 치약 조성물이 있다. 한국특허등록 10-0645915(분말 한방치약의 제조방법)에는 분말소금과 죽염을 1:1로 혼합한 60중량%에 400메쉬 이하의 분말로 분쇄한 활석분과 맥반석 등 한약재로 구성된 분말 한방 치약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일본특개평 5-170632(미각보호, 마일드한 구강위생조성물)에는 연치마(練齒磨)류, 겔(gel)류, 파우다(powder)류 및 마우스린스(mouth rinse)류로써, 콜라겐유래 단백질유도체, 천연유화제의 레시틴, 고기포성 설포호박산라우릴2나트륨, 후레바오일, 항충치불화물제로 구성되고 있다. 또 일본특개2004-300043(간수를 배합한 약제)은 주성분으로 니가리(간수)를 배합한 약제로서, 경피흡수적으로 섭취시키는 구강치료용약제로서 현대인에게 부족하기 쉬운 미네랄분을 함유시켜 병상을 개선하고, 값싸고 용이하게 조제할 수 있는 구강치료용 약제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특개 2007-31286(齒磨粉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1,100-1,300℃에서 소성시킨 패각분말을 초산수용액에 첨가하여 pH6-8 중성의 초산칼슘용액으로 하여, 이것을 증발건조시킨 치마분으로서 구강내부의 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일본특표2007-527849(약초에 의한 구강치과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카루나카타(Citrus karna raf), 휴잔쇼유(Zanthoxylum armatum D.C), 인도센단(Azadirachta indica A. Juss) 등의 약초의 분말 또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구 및 충치 형성 예방을 위한 치과치료용 조성물로서, 분말(치마분), 페이스트, 겔, 덴탈팩, 덴탈후로스, 구강세정액 및 츄잉검 형태로 사용된다. 일본특개2008-143910(국소용구강조성물)은 항균제로서 주석이온, 아연이온 및 동이온으로 형성 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약제와 폴리포스페이트 항치석제와, 의약적으로 허용가능한 오럴캐리어를 함유하는 국소용구강조성물 등이 있다. 이상의 한국특허 및 일본특허문헌의 구강위생조성물 또는 치과치료용 조성물들은 본 발명의 순수 한방약재의 분말 치약과는 기술적구성이 전혀 다른 조성물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에 있어서의 구강은, 앞쪽 입술부터 뒤쪽 구협(口峽)까지의 인두에 연결되는 입안의 공간으로서 저작, 구강 소화, 미각 등 음식물에 관계되는 여러 가지 기능 이외에 어음(語音)의 구성을 비롯하여 침샘의 내분비 작용이나 호흡 등에도 관여한다. 즉, 음식물 섭취를 통하여 얻어지는 모든 영양소와 대기 중의 병원균이 인체내로 침입되는 1차 관문으로서, 저작기능과 발성기능, 외관상의 심미적 기능에 직접 관련된 치아와 그것을 지탱해주는 잇몸, 맛을 느끼고 치아와 함께 발성기능에 관여하는 혀와 같은 기관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인체의 건강을 책임지는 중요한 기관인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중요한 구강의 위생과 건강관리를 인공적인 화합물로 된 치약이 담당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근래 인간의 수명 연장으로 건강한 삶과 웰빙을 추구하게 되면서 무엇보다도 치아 건강과 구강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바, 모든 음식물이 구강으로 들어오게 되면 먼저 혀와 치아를 통하여 맛과 섭식감을 느끼게 하고 소화선을 자극, 분비시켜 음식물의 소화를 돕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구강위생에 관련되는 제제가 화학제품 보다는 천연성분으로 된 제품을 선호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치아 건강과 구강 위생에 대하여 화학성분으로 조성된 각종의 액상 치약에 길 들여져 있는 소비자는 아무런 저항감 없이 각종 액상치약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최근, 치아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나,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치약은, 일반적으로 연마제, 결합제, 미백제, 습윤제 및 첨가물 이외에 한방 생약 추출물이나 치아 미백에 효과가 있는 추출물들을 주성분으로 하여 화학적으로 만들어진 겔 상태의 액상 치약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충치예방, 플라그 및 치구, 치석, 구취의 제거를 위해 사용되는 이들 치약의 주성분은 사용 후에도 구강내에 잔류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이 잔류물이 쌓이게 되면 치아와 혀, 잇몸 구강벽 등을 약하게 만들어 구강점막에 염증을 일으키고, 박리성 치경염을 유발한다. 또한 사용시에는 구강에 강한 자극을 주어 미각을 마비시키며, 사용 후에도 여전히 제제의 화학 성분이 잔류하게 됨과 동시에 음식물의 찌꺼기도 완전히 제거할 수도 없다. 즉, 구강 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여러가지 치약이 오히려 구강 및 치아에 해를 끼치는 경우도 있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는, 소비자들이 건강과 웰빙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현시점에서 다년간의 실험과 검토를 통해서 얻은 지견에 의해 치아 건강 및 구강 위생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 천연의 한방약재 성분을 적정한 비율로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분말치약의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소맥분 및 죽염을 포함하는 분말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맥분 및 죽염을 포함시켜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말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치약 조성물을 코팅액으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제형 치약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분말치약 조성물은, 강력한 항균 작용에 의해 플라그 형성을 방지할 수가 있으므로 치석이나 설태의 퇴적을 예방하고, 세정효과와 소염 작용으로 구취 제거와 구강내의 각종 염증을 예방함과 동시에, 치아의 자연 변색을 예방하여 치아의 색을 희게 하는 미백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분말치약 조성물은 인체에 유해한 여러가지 화학약품과 제조방법에 의하지 않고, 천연의 약재를 가열,건조, 분쇄하는 것만의 가공에 의해 제조한 분말치약으로서, 입안에 넣는 즉시 침에 쉽게 용해되므로 간단한 가글링으로도 양치질과 브러싱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물로 행구어 씻어내지 않고, 그대로 삼켜도 한방약재의 음용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아울러 얻을 수가 있다. 또한, 공통의 루틴이라고는 할 수 없으나, 양치 후, 그대로 삼키는 것을 습관적으로 실시한 복수의 실험자에 의하면, 내장계통의 개선효과도 있었다는 보고도 있다. 또, 기존의 액상치약과 함께 사용하면, 이 액상치약을 분해시켜 입안이나 뱉어낸 물에서도 잔류물이 없어지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소맥분 및 죽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치약 조성물 전체중량대비, 소맥분 20-40중량% 및 죽염분말 20-4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소맥분 및 죽염 이외에 고백반 및 송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치약 조성물 전체중량대비, 고백반분말 5-15중량% 및 송진분말 5-15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소맥분 및 죽염 이외에 고백반, 송진, 연자육, 세신, 승마, 백지, 길경 및 팽이버섯의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치약 조성물 전체중량대비, 고백반분말 5-15중량%, 송진분말 5-15중량%, 연자육분말 2-6중량%, 세신분말 2-6중량%, 승마분말 2-6중량%, 백지분말 2-6중량%, 길경분말 1-3중량% 및 팽이버섯분말 1-3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소맥분 및 죽염을 포함시켜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분말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혼합분말은 소맥분 및 죽염 이외에 고백반, 송진, 연자육, 세신, 승마, 백지, 길경 및 팽이버섯의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말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죽염, 고백반, 송진 각각을 가열하고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고, 연자육, 세신, 승마, 백지, 길경 및 팽이버섯 각각을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각각의 분말을 소맥분과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말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각각의 분말은 150~180 메쉬(mesh)의 체로 선별되도록, 죽염 0.1~150㎛, 고백반 0.1~3㎛, 송진 0.1-50㎛, 연자육 0.1~55㎛, 세신 0.1~10㎛, 승마 0.1~10㎛, 백지 0.1~25㎛, 길경 0.1~70㎛, 팽이버섯 0.1~80㎛ 및 소맥분 0.1~25㎛의 크기로 분쇄시킨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치약 조성물을 코팅액으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형 치약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정제형 치약의 제조방법은 상기 분말치약 조성물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환형상으로 성형하고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분말치약 조성물 환에,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루로오즈(hydroxypropyl methylcellulose)를 함유하는 코팅액으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제형 치약의 제조방법은 상기 분말치약 조성물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환형상으로 성형하고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분말치약 조성물 환에, 팔라티노스(palatinose)를 함유하는 코팅액으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소맥분 및 죽염을 포함하는 분말치약 조성물, 소맥분 및 죽염을 포함시켜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말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치약 조성물을 코팅액으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 는 정제형 치약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소맥분 및 죽염을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소맥분 및 죽염 이외에 고백반 및 송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소맥분 및 죽염 이외에 고백반, 송진, 연자육, 세신, 승마, 백지, 길경 및 팽이버섯의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분말치약 조성물은 전체중량대비, 상기 소맥분 20-40중량% 및 죽염분말 20-40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백반분말 5-15중량%, 송진분말 5-15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분말치약 조성물은 소맥분 및 죽염분말 이외에 전체중량대비, 고백반분말 5-15중량%, 송진분말 5-15중량%, 연자육분말 2-6중량%, 세신분말 2-6중량%, 승마분말 2-6중량%, 백지분말 2-6중량%, 길경분말 1-3중량% 및 팽이버섯분말 1-3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분말치약 조성물은 전체중량대비, 소맥분 30중량%, 죽염분말 30중량%, 고백반분말 10중량%, 송진분말 10중량%, 연자육분말 4중량%, 세신분말 4중량%, 승마분말 4중량%, 백지분말 4중량%, 길경분말 2중량% 및 팽이버섯분말 2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말치약은 상기한 바와 같은 천연 한약재료 또는 식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 광물질인 죽염과 고백반은 고온으로 가열하여 응고시켜 분쇄한 후, 분쇄분말로서 사용하며, 곡류식재인 소맥분은 수분함량 14% 이하로 잘 건조된 유기농 재배밀을 분쇄하고 150~180 메쉬(mesh)의 체로 선별한 분말을 사용하고,천연수지인 송진은 고온으로 끓여 정제한 수지를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다. 그 밖에 연자육, 세신, 승마, 백지, 길경, 팽이버섯 등의 6종은 음지에서 건조하여 수분함량 12% 이하로 유지하면서 분쇄하고 150~180메쉬의 체로 선별한 분말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또한 소맥분 및 죽염을 포함시켜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죽염, 고백반, 송진 각각을 가열하고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고, 연자육, 세신, 승마, 백지, 길경 및 팽이버섯 각각을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각각의 분말을 소맥분과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말들은 죽염 0.1~150㎛, 고백반 0.1~3㎛, 송진 0.1-50㎛, 연자육 0.1~55㎛, 세신 0.1~10㎛, 승마 0.1~10㎛, 백지 0.1~25㎛, 길경 0.1~70㎛, 팽이버섯 0.1~80㎛ 및 소맥분 0.1~25㎛의 크기분말로 분쇄시킨 것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말들은 죽염 5~20㎛, 고백반 0.5~1.0㎛, 송진 1-10㎛, 연자육 1~10㎛, 세신 0.5~1㎛, 승마 0.5~1㎛, 백지 0.5~1㎛, 길경 1~10㎛, 팽이버섯 1~10㎛ 및 소맥분 5~20㎛의 크기분말로 분쇄시킨 것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10종의 조성물에 대하여 각각의 제조방법과 이들의 구강 및 인체 내에서의 작용효과를 개별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1) 소맥분(밀가루; wheat flour)은, 유기농으로 재배한 우리밀을 제분하여 입자를 곱게 만든 소맥분(동아제분 제품)으로서 수분함량이 14% 이하로 잘 건조된 유기농 밀을 분쇄하고 150-180 메쉬의 체로 선별한 분말 20-40중량%,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소백분의 입자크기는 0.1~25㎛, 바람직하게는 5-20㎛일 수 있다. 밀가루는 성질이 따뜻하고 단맛이 나며 식용하면 장과 위를 튼튼하게 하고 기력을 강하시켜 오장의 활동을 도와준다.「동의보감」에 따르면 파상풍, 황달이나 종기의 치료제로도 사용되었고, 면역기능 강화와 노화 방지, 유해세포의 분해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되어있다. 더우기 입안에 들어가는 순간 부드럽게 녹으며 여러가지 불순물을 씻어내는 세정효과가 매우 탁월하다. 그래서 육식을 즐기는 현대인의 입안에 잔류하는 동물성 지방과 내장기관의 불순물 잔재를 제거한다. 또한 칫솔질로 인한 치아 상아질의 손상을 방지하는 윤활제의 역할을 하며, 치아미백의 효과에도 특히 우수하다.
(2) 죽염(竹鹽)은, 대나무통과 함께 전통적인 죽염추출법에 따라 1,300~2,000℃의 고온에서 1회~9회까지 가열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독소 성분들을 제거하여 만든 법제(法製)(전통한방에 의해 정립된 조제방법으로 가공처리된 것)소금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3~5년 생육한 생대나무통 속에 미네랄이 풍부한 천일염(한국 서해안에서 생산)을 7~8부 정도 채워 넣고 그 죽통을 황토흙으로 밀봉한 후, 소나무 장작을 이용하여 800℃에서 8회에 걸쳐 반복적으로 굽는다. 8회를 구운후 마지막으로 9회째는 소나무 장작에 송진을 뿌려 섭씨 1,300℃ 이상으로 가열한다. 이때 소금이 완전히 녹아서 겔 상태로 흘러내린다. 이때 대나무의 수분, 즉 죽력(竹瀝)과 녹은 소금과, 상기 밀봉한 황토의 유황 성분이 합성되어 이루는 이 액체를 받아 하루밤 동안 냉각시키면 단단한 돌처럼 굳어진다. 이것이 즉 죽염이다. 또한, 이 죽염은 신뢰할 수 있는 경우에는 시중에서 유통중인 법제(法製)된 제품을 사용 할 수도 있다. 상기의 죽염을 분쇄하고 150~180 메쉬의 체로 선별한 분말로 만들며, 분말치약 전체단위중량당 죽염분말 20-40중량%, 바람직하게는 3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죽염분말의 입자크기는 0.1~150㎛이며, 바람직하게는 5~20㎛이다.(입자크기의 분석을 위한 사용기기는 FE-SEM을 이용하였다.). 상기 천일염 속의 여러 불순물이 제거된 상기의 법제된 분말죽염은, 짠맛이 나지만 뒷맛은 짠맛이 없어지고 단맛을 띄고 인체에 유익한 여러 가지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또 죽염은 치아의 잇몸 질환에 효능이 뛰어나고 편도선, 식도 구내염 등에도 특히 효과가 좋다. 치아의 양치는 물론이고 간단한 가글 만으로도 그 효과가 크다. 또한 충치 및 풍치를 예방하고, 구강이 헐거나 치아의 통증에도 특효가 있으며, 다시마를 우린 물과 함께 복용하면 체내의 니코틴도 해독된다는 보고도 있다. 죽염은 그 제조과정에 있어서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소금에 대나무와 유황정(硫黃精), 소나무의 송진성분, 황토의 토성분자와 철분과 화력이 합성되어, 이른바 5행(금, 목, 수, 화, 토)의 상생, 상승의 메커니즘에 의하여, 소염과 청혈의 역가(力價)가 더욱 강화된다. 따라서 죽염은 어떤 체질의 사람이라도, 어떤 질병에도 폭 넓게 활용할 수 있는 건강염이다. 또한 죽염은 산성식품을 알칼리화 시키고,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을 공급하여, 각종 공해에 찌든 현대인에게 훌륭한 건강식품첨가물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3) 고백반(枯白礬; 구은 명반, burnt alum)은, 명반을 구운 후, 결정수를 없앤 백반분말로서 가벼운 분말로 할 경우, 물에 대한 용해도가 명반보다 낮으므로, 서서히 녹아서 거의 투명한 용액이 된다. 고백반의 제법은, 우선 백반을 120℃ 이상으로 가열하여 비등시켜 액체상태로 부풀어 오른 백반을 다시 상온에서 냉각시키면 딱딱하게 굳어지는데 이것을 분쇄하고 150~180 메쉬 이하의 체로 선별한 분말이 얻어지는데, 밀가루처럼 입자가 고운 우윳빛 가루가 된다. 이와 같은 고백반은 5-15중량%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고백반의 입자크기는 0.1~3㎛, 바람직하게는 0.5~1㎛일 수 있다. 고백반은, 그 자체가 지니고 있는 신맛의 성질에 의해 세균 억제 작용과 방부작용에 효능이 있으며 잇몸과 혀, 입천장의 염증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즉 목감기, 편도선염, 인후염과 같은 구강내 호흡기계의 염증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특히 조성물 중의 송진과 결합하여 본 분말 조성물의 유익한 성분들을 서로 잘 조화시키는 것과 동시에 조성물들을 구강부의 각부분에 흡착시켜 특히 잇몸을 강하게 하여 치아가 흔들리는 증세를 개선, 치료하는 등 풍치의 예방에도 그 효과가 탁월하다.
(4) 송지(松脂; pine resin)는, 송진이라고도 하는 소나무의 수액으로서, 처음 채취한 깨끗한 것은 무색 투명한 액체이나 시간이 지나면 희뿌옇고 끈질긴 성질이 되면서, 수지산(樹脂酸)에서 나오는 백색 고체가 석출된 것이다. 송지를 채취하여 자연적으로 굳게 한 후, 뽕나무 잿물(연소액)이나 술(주정)로 끓인 후 냉수 속에 침지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면 송진 속의 불순물은 완전히 제거되고 소나무수액의 중심이 투명한 갈색 빛의 엿과 같은 상태로 응고된다. 응고된 송지를 스테인레스 용기에 담아 고열로 가열하면 내부에 잔류된 수분이 증발하여 더욱 투명한 치자빛의 액체가 된다. 이 송지액을 냉각시켜 고체상태로 만든 다음 분쇄하고 150~180 메쉬의 체로 선별하여 분말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정제된 송진은 5-15중량%,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송지의 입자크기는 0.1~50㎛, 바람직하게는 1~10㎛일 수 있다. 송진은 성질이 따뜻하고 맛이 달고 쓰며 독성이 없으며, 해열과 오장(五臟)을 편하게 하고, 잇몸의 새살을 돋게 하고 진통효과와 함께 항염증작용이 있다. 또한 항염증 작용이 있으므로 충치의 예방, 치료에 효과가 우수하며, 살균성이 뛰어나 잇몸과 혀에 잔류하는 여러 유해 세균을 없애고 치아에 낀 치석과 혀에 퇴적된 설태를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5) 연자육(蓮子肉; 학명 Nelumbo Nucifera Gaertner)은, 연꽃의 씨앗을 채취하여 씨앗의 종피(種皮)를 제거한 후, 응달에서 수분함량 15% 이하로 건조한 후 분쇄하고 150~180 메쉬의 체로 선별한 분말로 한다. 연자육은 2-6중량%, 바람직하게는 4중량%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연자육의 입자크기는 0.1~55㎛, 바람직하게는 1~10㎛일 수 있다. 연자육은 성질이 따뜻하고 맛이 달고 떫으며, 인체의 십이경맥의 혈과 기를 보익(輔益)하고 오장의 기를 보하며 심장을 강화시켜 마음을 안정시킨다. 또한 칼슘, 인, 철, 칼륨 등 무기질과 비타민 B1이 풍부하여 구강 내에 유익한 영양소를 공급한다. 특히 연자육이 함유하고 있는 레시틴은 손상된 간세포를 재생하며 콜레스테롤 수치의 개선, 두뇌로의 영양 공급, 항산화, 혈행 개선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물과 기름을 잘 혼합시켜주는 유화력이 있어 혈관이나 구강에 낀 동물성 지방을 제거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그래서 입안에 잔존하는 미세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데 특효가 있다. 또한 잇몸과 혀를 청결하게 하며 혈행을 원활하게 하여 구강내 여러 조직을 건강하게 유지시켜준다. 특히 양치 중에 침샘을 자극, 타액을 분비시켜 입안이 마르지 않게 하며, 세정효과가 탁월하여 사용 후에는 타액이 맑아지고 다른 여러 조성물과 결합하여 혀의 설태 및 구취를 제거한다.
(6) 세신(細辛)은, 쥐방울덩굴과의 민족두리풀(Asiasarum heterotropoides F. Maekawa var. mandshuricum F. Maekawa) 또는 족두리풀(Asiasarum sieboldi F. Maekawa)의 뿌리줄기를 물로 세척한 후 응달에서 수분함량 15% 이하로 건조시킨 후, 분쇄하고 150~180 메쉬의 체로 선별한 분말로 한다. 이 분말은 2-6중량%, 바람직하게는 4중량%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세신의 입자크기는 0.1~10㎛, 바람직하게는 0.5~1㎛일 수 있다. 세신은 성질이 따뜻하고 맛이 매우 맵고 독성이 없으므로 풍습비통(風濕痺痛)을 주로 치료하고 온중하기(溫中下氣; 내장 속을 따뜻하게 하고 기운을 아래로 내림)하며 후비(喉痺; 인후에 염증이 생겨 목구멍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증상)와 코막힘을 없애준다. 담기(膽氣)를 더해주며 두풍(頭風; 머리가 아프거나 두피가 허는 증상)을 없애고 눈을 밝게 한다. 또한 담을 해소하고 발한제로서도 사용한다. 풍랭으로 인한 치통(風冷齒痛) 및 충치로 인한 통증을 치료하며 잇몸염증에 효능이 있다. 또 구취를 없애고 치아의 빛을 깨끗하고 윤이나게 해준다.
(7) 승마(升痲; 학명;Cimicifuga heracleifolia)는, 쌍떡잎식물의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 풀의 뿌리로서, 이를 채취하여 물로 세척한 후 응달에서 수분함량 15% 이하로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150~180 메쉬의 체로 선별한 분말로 한다. 이 분말을 2-6중량%, 바람직하게는 4중량%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승마의 입자크기는 0.1~10㎛, 바람직하게는 0.5~1㎛일 수 있다. 또한 승마는 성질이 달고 맛이 쓰지만 독성이 없으므로 생으로도 입 안의 염증과 세균 감염으로 인해 입 안이 헐었을 때 그 치료제로 사용한다. 또 죽염과 함께 사용하면 상생, 상승의 효과가 있다. 또한 풍치로 인해 잇몸이 붓고 치통이 심할 때나, 어금니 뿌리가 들떠 잇몸에 피고름이 나올 때, 그 치료에도 효능이 크다. 상기의 「동의보감」에 의하면 백가지 독을 해독할 수 있고, 백정(百精) - 기력(氣力), 원기(元氣), 정력(精力), 정액(精液), 정신-의 노폐물을 제거함으로써 인후의 상처와 입 안의 염증을 치료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8) 백지(白芷; 학명 Angelica Davurica)는, 구릿대의 뿌리로서 뿌리를 물 로 세척한 후 응달에 말려 수분함량 15% 이하로 건조시킨 후, 분쇄하고 150~180 메쉬의 체로 선별한 분말로 한다. 이 분말을 2-6중량%, 바람직하게는 2중량% 배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백지의 입자크기는 0.1~25㎛, 바람직하게는 0.5~1㎛일 수 있다. 백지는 그 성질이 따뜻하고 맛이 매우나 독성이 없고 풍열(風熱; 고열로 인한 오한과 혀에 설태(舌苔)가 노랗게 끼는 등 열로 인한 여러 가지 증상), 및 풍현(風眩; 감기로 인하여 생기는 현기증, 목덜미가 뻣뻣해지는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안면의 각종 기미를 없애고 항균과 소염작용도 있다. 또한 치주염으로 인해 생긴 잇몸의 화농을 제거하는 데에도 효능이 있고, 특히 어금니의 염증치료에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또, 치아의 빛을 윤나고 깨끗하게 하는 미백효능도 있다.
(9) 길경(桔梗; 학명 Platycodon Grandiflorus)은, 일명 도라지로서, 일정량을 자연풍으로 건조시켜 마른 인삼처럼 딱딱하게 말린 후 수분함량 15% 이하로 건조시킨 후, 분쇄하고 150~180 메쉬의 체로 선별한 분말로 한다. 이 분말을 1-3중 량%, 바람직하게는 2중량%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길경분말의 입자크기는 0.1~70㎛, 바람직하게는 1~10㎛일 수 있다. 길경은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 맛이 맵고 쓰다. 특히 폐를 맑게 하고 답답한 울기를 풀어주며 뱃속의 찬기운을 해소해주는 작용이 있는데, 그 주성분은, 사포닌으로서 사포닌 성분에 의한 약리학적 효능은 공지의 것임과 동시에 상기「동의보감」에는 편도선염, 복통, 지혈, 해소, 거담, 천식, 인두염 등의 치료약재로 쓰인다고 기록되어 있다.
(10) 팽이버섯(팽나무버섯, 학명; Flammulina velutipes)은, 담자균류(擔子菌類)의 주름버섯목 송이과의 백색의 버섯으로서, 일정량을 물로 세척한 후 한달 정도 응달에서 건조시키면 갈색의 낙엽처럼 되는데, 이것을 수분함량 15% 이하로 건조시킨 후, 분쇄하고 150~180 메쉬의 체로 선별한 분말로 한다. 이 분말 팽이버섯은 그 제법방식이 간단하기 때문에, 시중에서 유통중인 법제된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팽이버섯은 1-3중량%, 바람직하게는 2중량% 배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분말 팽이버섯의 입자크기는 0.1~80㎛, 바람직하게는 5~20㎛일 수 있다. 팽이버섯은 성질이 따뜻하고, 의약품으로서는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간장, 위장병에 좋으며, 특히 흰색 줄기 부분은 호흡기계의 기능을 활발하게 하고, 고단백질, 저칼로리로서 천연 비타민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뼈와 치아발육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성장기 아이들에게 특히 좋은 식품이다. 팽나무의 버섯에 들어 있는 구아닐산은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떨어뜨리고 혈액 순환을 좋게 해 동맥경화, 심장병, 고지혈증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면역체계를 자극해서 각종 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여 암 발생을 억제하며, 두뇌 개발에도 좋은 성분도 있 다. 또, 버섯에 있는 풍부한 식이섬유에 의해 치아표면을 깨끗이 닦아주어 치석을 예방하고 항균 작용을 하는 에노키포딘(enokipidins)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어서, 충치균의 성장을 억제하여 충치 예방에도 특효가 있다. 또한 녹차나 커피에 의한 치아의 착색도 방지할 수가 있다.
특히, 이상의 각 성분에는 각각 특징적인 다섯가지 맛(오미(五味) : 酸, 苦, 甘, 辛, 鹹)을 가지며, 이들 맛들이 혼합되어 상생(相生), 상승(相乘)작용에 의해 빚어내는 독특한 맛을 창출하고 있다.
또한 이상의 각 성분별 효능, 효과 등은 「본초강목」, 「동의보감」등의 한방약재의 고전문헌과 한국 전래의 전통 한방약재에 대한 기록을 참고로 한 것이며, 본 발명은 이들 한방제제를 독특한 배합에 의해 새로운 효능을 나타내도록 한 새로운 치약의 조성물인 것이다. 또한 상술한 각 전통한약재의 조제방법은 바람직한 일 예이며, 각 약재의 본래의 효능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기 조제방법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치약 조성물을 코팅액으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형 치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상기 분말치약 조성물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환형상으로 성형하고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분말치약 조성물 환에,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루로오즈(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또는 팔라티노스(palatinose)를 함유하는 코팅액으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말치약 조성물에, 전체 분말치약 조성물 100중량부 대비 정제수 10~30중량부를 첨가하고 반죽하여 지름 1~5㎜의 환(알약)의 모양으로 성형한 후,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환에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루로오즈(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또는 팔라티노스(palatinose) 0.1~10중량% 및 자일리톨 0.1~10중량%가 함유된 코팅액을 스프레이 건으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말치약 조성물에, 전체 분말치약 조성물 100중량부 대비 정제수 15~25중량부를 첨가하고 반죽하여 지름 2~4㎜의 환(알약)의 모양으로 성형한 후,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환에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루로오즈(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또는 팔라티노스(palatinose) 0.5~1중량% 및 자일리톨 0.5~1중량%가 함유된 코팅액을 스프레이 건으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조된 정제치약의 한 알당 중량은 140~160㎎이 되며, 상기 정제형 치약은 PTP(press through pack)포장하여 제품화 할 수 있다.
상기 정제형 치약은, 휴대가 쉽고 사용하기 편리한 1회용 치약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말치약의 정제화에 의하여, 패스트 문화에 길들여진 현대인들의 바쁜 일상생활에서 소홀할 수 있는 치아 및 구강을 보다 손쉽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루로오즈(hydroxypropyl methylcellulose:HPMC)는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식품의 점착성 및 점도를 증가시키고 유화안정성을 증진하며 식품의 물성 및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식품첨가물이다. 주로 식품의 유화제, 안정제, 증점제 등으로 사용하며, 노란색을 띤 흰색의 섬유상의 가루 또는 알갱이로서 냄새가 없다. 물에 팽윤되어 투명한 오팔과 같은 점액성의 현탁액을 생성하며, 알코올에 녹지 않는다. 흡습성이 있으며, pH는 5.0~8.0이며 가열과 냉각에 의해 졸(sol)이나 겔(gel)로 변화된다. 1일 허용 섭취량(ADI)은 책정되어 있지 않으나, 랫트에 복강 주사시 LD50은 5,200mg/㎏이다. 주로 식품의 유화제, 안정제, 증점제 등으로 사용되며, 빵, 아이스크림, 샐러드 등에 분산제로 이용되기도 한다.
상기 팔라티노스(palatinose도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양질의 감미에 충치, 당뇨병 예방에 도움이 되며, 웰빙슈가로 알려져 있다. 팔라티노스는 지금까지 '천연의 당' '충치를 유발하지 않는 당' 또는 '두뇌 기능을 강화시켜주는 당'으로 알려져 왔지만, 최근 일본, 브라질 등지에서의 임상실험을 통해 저 G.I(glycemic index, 혈당지수) 식품 구현에 매우 이상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사탕수수와 벌꿀 등에 함유되어 있는 팔라티노스는 설탕을 효소 처리하여 만들어지는데, 설탕과 같이 안전하며 양질의 감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두뇌에 이상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해준다.
그러나 설탕과 달리 미생물이나 효소에 의해 쉽게 이용되지 않기 때문에 충치를 유발하지 않으며 식후 고혈당 및 인슐린에 의한 저혈당을 유발하지 않아 비만이나 당뇨병과 같은 성인병을 유발하지 않는다. 특히 팔라티노스의 G.I는 44로 포도당, 설탕, 액상과당 등 다른 당에 비해 G.I가 매우 낮다. 이는 체내에서의 분해, 흡수 속도가 다른 당에 비해 매우 느리기 때문이며, 그 자체가 저 G.I일 뿐만 아니 라, 고 G.I의 당이나 탄수화물과 혼합한 경우 팔라티노스가 다른 당이나 탄수화물의 대사 속도를 늦춰서 G.I를 낮추어 주는 작용을 한다. 또한 팔라티노스는 그 물리적 특성상 하드 캔디, 소프트 캔디나 젤리류에 적용해 치아에 달라붙지 않도록 작용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시험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 들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권리를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분말치약 조성물의 제조
1. 죽염, 고백반, 송진분말의 준비
죽염, 고백반, 송진 각각을 구입하고 가열 및 응고시킨 후, 상용화된 기계로 분쇄하여 죽염, 고백반, 송진 각각의 분말을 얻었다. 또는 제품화된 법제분말을 구입하여 준비할 수도 있다.
2. 연자육, 세신, 승마, 백지, 길경, 팽이버섯분말의 준비
연자육, 세신, 승마, 백지, 길경, 팽이버섯을 구입하고 응달에서 건조시킨 후, 상용화된 기계로 분쇄하여 각각의 분말을 얻었다. 또는 제품화된 법제분말을 구입하여 준비할 수도 있다.
3. 준비된 분말들과 소맥분과의 혼합
상기 1. 및 2.에서 얻어진 분말을 소맥분과 잘 혼합하여 분말치약 조성 물(100중량%)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분말함량은 소맥분 0.3㎏(30중량%), 죽염분말 0.3㎏(30중량%), 고백반분말 0.1㎏(10중량%). 송진분말 0.1㎏(10중량%), 연자육분말 0.04㎏(4중량%), 세신분말 0.04㎏(4중량%), 승마분말 0.04㎏(4중량%), 백지분말 0.04㎏(4중량%), 길경분말 0.02㎏(2중량%), 팽이버섯분말 0.02㎏(2중량%)이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2-7> 분말치약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소맥분, 죽염분말, 고백반분말 및 송진분말의 분말을 이용하되, 각각의 함량을 달리하여 분말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이하 표 1 참조).
[표 1] (단위: ㎏)
소맥분 죽염분말 고백반분말 송진분말 비고
실시예 2 0.7 0.3 0 0 나머지 성 분(연자육 , 세신 등) 은 불포함
실시예 3 0.5 0.5 0 0
실시예 4 0.3 0.7 0 0
실시예 5 0.4 0.4 0.2 0
실시예 6 0.4 0.4 0 0.2
실시예 7 0.4 0.4 0.1 0.1
<비교예 1> 소맥분이 제외된 분말치약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7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소맥분을 제외하고 분말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죽염분말이 제외된 분말치약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7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죽염분말을 제외하고 분말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16> 분말치약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연자육, 세신, 승마, 백지, 길경 및 팽이버섯 분말 각각의 함량을 달리하여 분말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이하 표 2 참조).
[표 2] (단위: ㎏)
연자육 분말 세신 분말 승마 분말 백지 분말 길경 분말 팽이버섯 분말 비고
실시예 8 0 0.04 0.04 0.04 0.01 0.01 소맥분과 죽염분말 은 각각 0.3, 고백반과 송진은 각각 0.1
실시예 9 0.04 0 0.04 0.04 0.01 0.01
실시예 10 0.04 0.04 0 0.04 0.01 0.01
실시예 11 0.04 0.04 0.04 0 0.01 0.01
실시예 12 0.04 0.04 0.04 0.04 0 0.01
실시예 13 0.04 0.04 0.04 0.04 0.01 0
실시예 14 0 0 0.04 0.04 0.01 0.01
실시예 15 0 0 0 0.04 0.01 0.01
실시예 16 0 0 0 0 0.01 0.01
<실시예 17> 분말치약 조성물을 이용한 정제치약의 제조
1. 환형으로서의 성형 및 건조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치약 조성물에 정제수 0.2㎏을 첨가하여 잘 반죽한 후, 지름 3㎜크기의 환형으로 성형시켰다. 성형된 환을 훈풍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켰다.
2. 건조된 환의 코팅
상기 1.의 방법으로 건조된 환에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루로오즈 및 자일리톨이 각각 0.7중량% 만큼 함유된 코팅액을 스프레이 건으로 분사시키고, 건조시켜 정제형 치약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정제치약 한 알당 중량은 140~160mg 였다.
<실시예 18> 분말치약 조성물을 이용한 정제치약의 제조
1. 환형으로서의 성형 및 건조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치약 조성물에 정제수 0.2㎏을 첨가하여 잘 반죽한 후, 지름 3㎜크기의 환형으로 성형시켰다. 성형된 환을 훈풍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켰다.
2. 건조된 환의 코팅
상기 1.의 방법으로 건조된 환에 팔라티노스 및 자일리톨이 각각 0.7중량% 만큼 함유된 코팅액을 스프레이 건으로 분사시키고, 건조시켜 정제형 치약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정제치약 한 알당 중량은 140~160mg 였다.
상기 설명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치약 조성물 및 정제형 치약을 이용한 실험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실험예 1> 준비된 분말들의 성상 실험
1. 각각의 분말들의 수분함량 측정
본 발명의 제조과정에서 준비된 분말들의 수분함량을 각각 측정하여 보았다. 실시예 1의 방법에서 건조된 10가지의 시료(건조분말)를 한국식품연구원에 수분함 량분석(2009.1.13자)(파일 No. AO 2009-01-13-010)을 의뢰하여 이하 표 3에 정리하였다.
[표 3] 수분함량에 관한 시험성적표(단위: %)
시료 수분 단위 시험방법
송진 팽이버섯 소맥분 승마 길경 세신 죽염 연자육 고백반 백지 1.2 8.2 10.8 3.9 5.4 8.2 0.2 8.9 0.9 6.3 g/100g g/100g g/100g g/100g g/100g g/100g g/100g g/100g g/100g g/100g 식품공전 (2008) 상압가열 건조법
2. 각각의 분말들의 입자크기 측정
실시예 1의 방법에서 건조시켜 분쇄한 각각의 분말을 150~180 메쉬의 체로 걸려낸 후, 그 입자의 크기를 측정하여 보았다. 입자크기의 분석을 위한 사용기기로는 FE-SEM을 이용하였다(이하 표 4 참조).
[표 4] 입자크기 측정결과(단위: ㎛)
시료 입자크기
송진 팽이버섯 소맥분 승마 길경 세신 죽염 연자육 고백반 백지 1~10 1~10 5~20 0.5~1 1~10 0.5~1 5~20 1~10 0.5~1 0.5~1
<실험예 2> 치아에 대한 미백효과 측정 실험
1. 측정방법
상기 실시예 1-16 및 비교예 1-2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치약 조성물의 미백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이하와 같은 실험을 하였다. 또한 대조구(시판중인 송염치약(아모레퍼시픽 제품: 대조구1), 죽염치약(LG생활건강사 제품: 대조구2))도 같은 실험을 하여 본 발명의 효과와 비교하여 보았다.
우선, 담배, 커피, 홍차, 설탕 및 칼슘등을 혼합하여 겔상태로 만든 후, 회전이 가능한 기기에 장착된 회전판에 고정재치된 유저 용기에 옮긴 후, 20 내지 30대의 건강인으로부터 발치한 치아 표본을 노출면적이 가로×세로=2mm×2mm 가 되도록 하고 나머지 부분을 에폭시수지로 덮고 이를 시험편으로 하여, 상기 유저용기 내에 에폭시수지로 고정시켰다. 이 상태로 상기 유저용기를 3일간 회전시키면서, 시험편에 붙어 있는 얼룩을 건조시켰다. 이때, 얼룩의 건조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회전판의 중앙상부에 백열등을 설치하였다. 그 다음 얼룩이 형성된 시편을 색차계(SZ,Nippon Denshoku)를 이용하여 백색도를 측정한 후, 왕복운동이 가능한 연마력 측정기에 시험편을 고정시킨 후, 부드러운 칫솔모를 운동축에 고정시켜 시험편과 마찰할 수 있도록 설치하였다. 칫솔모의 끝에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시험편)을 각각 0.5g씩 동시에 올려 놓고 분당 180회 왕복운동 하도록 작동시킨 후, 시험편을 꺼내서 다시 색차를 측정하여 백색도 개선 정도를 백분율로 환산하였다.
2. 실험결과
[표 5] 미백효과 측정결과(단위: 백색도 개선율%)
백색도 개선율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135.4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117.9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118.2
실시예 4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116.3
실시예 5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120.4
실시예 6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121.6
실시예 7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127.6
실시예 8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130.1
실시예 9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129.8
실시예 10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131.2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130.4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129.5
실시예 13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128.0
실시예 14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126.7
실시예 15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125.9
실시예 16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128.2
비교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105.5
비교예 2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110.7
대조구 1 102.2
대조구 2 105.8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치약 조성물이, 비교예들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치약 조성물 및 대조구보다 전반적으로 미백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및 비교예들의 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의 실험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소맥분과 죽염이 미백효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같은 실시예들간의 비교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각각의 성분들의 첨가여부와 함량에 따라 그 효과의 차이가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특히, 소맥분 및 죽염분말을 포함하여 고백반과 송진도 미백효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는 제조법은 실시예 1을 비롯하여, 실시예 7-16 정도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사람을 대상으로 한 미백효과 측정 실험
1. 측정방법
상기 실험예 2에서 미백효과가 비교적 좋은 실시예 1, 7-16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치약 조성물의 실제 미백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시험자들을 대상으로 3개월 동안 직접 사용하게 하면서 미백효과를 측정하였다. 또한 비교예 1-2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치약 조성물 및 대조구(시판중인 송염치약(아모레퍼시픽 제품: 대조구1), 죽염치약(LG생활건강사 제품: 대조구2))도 같은 실험을 하여 본 발명의 효과와 비교하여 보았다.
비교적 치아가 황색을 띄는 건강인 150명을 선발하여 사전에 색조계(Trubyte Bioform)로 색조를 측정한 후, 색조의 평균값이 거의 동일한 10명씩 15군으로 분류하여 각각에게 본 발명의 분말치약 조성물을 분배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치아의 명도(明度) 증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투루바이트 바이오폼(Trubyte Bioform) 색조계에 있어서 24종의 명도별 표준기준 가운데 관능적으로 식별이 용이한 10종을 선별하고 각각에 대하여 명도 값을 최저 1점에서 최고 10점까지 평가 점수를 부여하였다. 시험용 치약을 사용하기 전에 각 군별로 치아의 명도 값을 상기의 기준에 의거하여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릿수 까지 평가하고, 3개월 동안 양치질 한 후의 명도 값을 평가한 후, 시험 전의 명도 값 대비 평균 명도 값의 증가율을 산출하였다.
2. 실험결과
[표 6] 미백효과-명도값 증가율
평균 명도값 (실험전) 평균 명도값 (3개월 후) 명도값 증가율(%)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3.4 5.9 73.5
실시예 7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3.4 5.4 58.8
실시예 8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3.4 5.5 61.8
실시예 9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3.5 5.4 54.3
실시예 10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3.5 5.5 57.1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3.5 5.4 54.3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3.6 5.5 52.8
실시예 13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3.6 5.4 50.0
실시예 14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3.6 5.3 47.2
실시예 15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3.7 5.3 43.2
실시예 16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3.7 5.2 40.5
비교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3.7 4.4 18.9
비교예 2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3.8 4.1 7.9
대조구 1 3.8 4.7 23.7
대조구 2 3.8 4.3 13.2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치약 조성물이, 비교예들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치약 조성물 및 대조구보다 전반적으로 명도값 증가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같은 실시예들간의 비교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각각의 성분들의 첨가여부와 함량에 따라 그 효과의 차이가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특히, 소맥분 및 죽염분말을 포함하여 고백반과 송진도 명도값 증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말치약 조성물은 치약의 기능 중의 하나인 미백효과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실험예 4> 살균력 측정 실험
1. 측정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 얻어진 분말치약 조성물의 살균력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또한 비교예 1-2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치약 조성물 및 대조구(시판중인 송염치약(아모레퍼시픽 제품: 대조구1), 죽염치약(LG생활건강사 제품: 대조구2))도 같은 실험을 하여 본 발명의 효과와 비교하여 보았다.
본 발명의 분말치약 조성물을 BHI 브로스(broth)에 0.02%-0.5%까지 농도별로 넣고 충치 등의 구강질환을 일으키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트(streptococus mutant ATCC27607, 6735) 균액을 접종하고 37℃, 48시간 배양한 후, 각각의 배양된 배지를 1백금이(smear loop)씩 한천에 도말하고 다시 48시간 배양한 후, 실험균이 그 이상 자라지 않는 최저농도를 최소발육저지농도(minimum inhibiting concentration;MIC)로 하고, 그 결과를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표 7] 살균력 측정결과(최소발육저지농도)(단위: ㎍/ml)
MIC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0.080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0.078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0.075
실시예 4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0.078
실시예 5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0.077
실시예 6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0.080
실시예 7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0.085
실시예 8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0.088
실시예 9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0.082
실시예 10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0.084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0.088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0.087
실시예 13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0.089
실시예 14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0.084
실시예 15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0.085
실시예 16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0.088
비교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0.090
비교예 2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0.154
대조구 1 0.088
대조구 2 0.085
상기 표 7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치약 조성물은, 비교예들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치약 조성물보다 전반적으로 살균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소맥분보다는 죽염분말이 살균력에 관여하는 중요 구성요소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대조구와 비교하여도 살균력에 있어서 크게 떨어지는 효과를 보이지 않은바, 본 발명의 분말치약 조성물은 상기 미백효과와 함께 살균력의 효과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연마도 측정 실험
1. 측정방법
본 발명의 분말치약 조성물의 치아에 대한 연마도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하의 실험을 하였다. 또한 비교예 1-2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치약 조성물 및 대 조구(시판중인 송염치약(아모레퍼시픽 제품: 대조구1), 죽염치약(LG생활건강사 제품: 대조구2))도 같은 실험을 하여 본 발명의 효과와 비교하여 보았다.
가공된 실험편 치아의 저면을 사포(砂布)와 1㎛의 다이아몬드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연마하였다. 연마 전에 두께를 측정(pioneer calipers)하여 연마도 평가에 제공하는 시험용 치구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킨 후, 500g의 하중을 받도록 하였다. 일반 연마기에 부드러운 연마용 융(絨)이 부착된 200mm 디스크를 준비하고 분말 치약과 물을 50:50으로 혼합, 희석하여 회전하는 디스크 상에서 10분 간격으로 10ml 씩 연마용 융에 투입하였다. 연마는 5시간 동안 100rpm의 속도로 진행시키고, 연마 후의 시험편의 두께를 측정하여 보았다.
2. 실험결과
[표 8] 연마도 측정 결과
평가 전 (㎜) 평가 후 (㎜) 두께감소 (㎛) 표면상태 변화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5.00 4.94 60 무변화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5.00 5.00 0 무변화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5.00 5.00 0 무변화
실시예 4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5.00 5.00 0 무변화
실시예 5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5.00 4.91 90 무변화
실시예 6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5.00 5.00 0 무변화
실시예 7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5.00 5.00 0 무변화
실시예 8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5.00 4.95 50 무변화
실시예 9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5.00 4.97 30 무변화
실시예 10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5.00 4.99 10 무변화
실시예 11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5.00 4.96 40 무변화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5.00 4.97 30 무변화
실시예 13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5.00 4.96 40 무변화
실시예 14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5.00 4.99 10 무변화
실시예 15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5.00 5.00 0 무변화
실시예 16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5.00 4.98 20 무변화
비교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5.00 4.93 70 무변화
비교예 2의 방법으로 제조된 치약 조성물 5.00 5.00 0 무변화
대조구 1 5.00 4.54 460 약간변화
대조구 2 5.00 4.73 270 약간변화
상기 표 8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치약 조성물이, 비교예들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치약 조성물 및 대조구보다 전반적으로 연마가 덜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 중 연마도에 관계되는 조성은 고백반 등이라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말치약 조성물은 상기에서 살핀바와 같이 미백효과, 살균력 뿐만 아니라, 치아를 덜 마모시키는 효과를 가진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분말치약 조성물 및 정제형 치약은 미백효과, 세정력, 살균력, 연마도 등의 측정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액상치약의 시중제품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며, 구강위생과 치아의 미백 등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보건위생제품 제조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맥분 및 죽염을 포함하는 분말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분말치약 조성물에 코팅액을 도포하여 정제형 치약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공정의 흐름도이다.

Claims (13)

  1. 소맥분, 죽염분말, 고백반분말, 송진분말, 연자육분말, 세신분말, 승마분말, 백지분말, 길경분말 및 팽이버섯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치약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치약 조성물 전체중량대비, 고백반분말 5-15중량%, 송진분말 5-15중량%, 연자육분말 2-6중량%, 세신분말 2-6중량%, 승마분말 2-6중량%, 백지분말 2-6중량%, 길경분말 1-3중량% 및 팽이버섯분말 1-3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치약 조성물.
  7. 소맥분, 죽염분말, 고백반분말, 송진분말, 연자육분말, 세신분말, 승마분말, 백지분말, 길경분말 및 팽이버섯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죽염, 고백반, 송진은 각각 가열하고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고, 연자육, 세신, 승마, 백지, 길경 및 팽이버섯은 각각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각각의 분말을 소맥분과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분말은 150~180 메쉬(mesh)의 체로 선별되도록, 죽염 0.1~150㎛, 고백반 0.1~3㎛, 송진 0.1-50㎛, 연자육 0.1~55㎛, 세신 0.1~10㎛, 승마 0.1~10㎛, 백지 0.1~25㎛, 길경 0.1~70㎛, 팽이버섯 0.1~80㎛ 및 소맥분 0.1~25㎛의 크기로 분쇄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7항, 제9항 및 제10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치약 조성물을 코팅액으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형 치약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치약 조성물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환형상으로 성형하고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분말치약 조성물 환에,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루로오즈(hydroxypropyl methylcellulose)를 함유하는 코팅액으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형 치약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치약 조성물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환형상으로 성형하고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분말치약 조성물 환에, 팔라티노스(palatinose)를 함유하는 코팅액으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형 치약의 제조방법.
KR1020090062658A 2008-12-30 2009-07-09 소맥분 및 죽염을 함유하는 분말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0935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101653926A CN101766560B (zh) 2008-12-30 2009-08-11 含有小麦粉和竹盐的粉末牙膏组合物及其制造方法
US12/571,285 US8435499B2 (en) 2008-12-30 2009-09-30 Toothpowder composition containing wheat flour and bamboo sal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229 2008-12-30
KR20080137229 2008-12-30
KR20090012543 2009-02-16
KR1020090012543 2009-02-16
KR1020090042790A KR20100080295A (ko) 2008-12-30 2009-05-15 전통한약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분말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090042790 2009-05-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5211B1 true KR100935211B1 (ko) 2010-01-06

Family

ID=41809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658A Active KR100935211B1 (ko) 2008-12-30 2009-07-09 소맥분 및 죽염을 함유하는 분말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35499B2 (ko)
KR (1) KR100935211B1 (ko)
CN (1) CN101766560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444A (ko) 2015-03-19 2016-09-28 추디노브 키릴 치약 조성물 및 그의 도포 방법
KR102489008B1 (ko) 2022-02-14 2023-01-17 주식회사 비에스앤코 가루치약의 제조방법
KR102489009B1 (ko) 2021-12-08 2023-01-18 주식회사 비에스앤코 가루치약의 제조방법
KR102499289B1 (ko) 2022-04-15 2023-02-14 주식회사 비에스앤코 가루치약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90990B (zh) * 2010-09-08 2012-12-26 成进学 纳米硒杀菌消毒清除牙齿烟渍烟垢亮齿美白剂
CN102342363A (zh) * 2011-09-23 2012-02-08 万金林 竹盐健康爽口怡
CN103479543A (zh) * 2013-09-12 2014-01-01 严洁 保健牙膏
CN103932952B (zh) * 2014-05-12 2017-03-15 陈燕 天然植物牙膏生产方法
KR102381899B1 (ko) * 2016-01-29 2022-04-01 랜기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구강청결제
KR102173528B1 (ko) * 2020-02-28 2020-11-03 주식회사 바른 섭취가 가능한 타블렛 또는 분말형 구강청결제 조성물
CN118105324B (zh) * 2024-03-05 2024-07-26 广州冰泉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美白抑菌牙膏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9020A (ko) * 1996-04-02 1997-11-07 송치용 구강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70048339A1 (en) * 2005-08-31 2007-03-01 Popplewell Lewis M Structured materials
JP2008074774A (ja) * 2006-09-22 2008-04-03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064B1 (ko) * 1990-12-28 1994-01-05 주식회사 럭키 죽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US5120528A (en) 1991-06-12 1992-06-09 Block Drug Company, Inc. Taste preserving, mild oral hygiene compositions
FR2742054B1 (fr) * 1995-12-06 1998-01-09 Synthelabo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contenant un agent anti-inflammatoire et des ceramides vegetales
EP1294383B1 (en) 2000-06-30 2008-07-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ompositions comprising antimicrobial agents for the prevention of systemic diseases
KR100474534B1 (ko) * 2002-07-26 2005-03-10 기규경 치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40066313A (ko) 2003-01-17 2004-07-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한방성분을 함유하는 미백치약 조성물
JP2004300043A (ja) 2003-03-31 2004-10-28 Rikio Sato にがりを配合した薬剤
DE10340543A1 (de) * 2003-09-01 2005-03-24 Henkel Kgaa Mund- und Zahnpflegemittel
JP4246736B2 (ja) 2003-12-30 2009-04-02 カウンシル・オブ・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アンド・インダストリアル・リサーチ 薬草の口腔歯科治療用の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KR100669358B1 (ko) * 2004-07-21 2007-01-15 송재홍 원적외선 방사원으로 맥반석을 함유한 분말 치약
CN100490777C (zh) * 2004-08-19 2009-05-27 易正阳 治疗牙病的中药固牙牙粉及其制作方法
KR100645915B1 (ko) 2005-03-24 2006-11-23 정규헌 분말한방 치약의 제조방법
JP2007031286A (ja) 2005-07-22 2007-02-08 Tomiyama Takeshi 歯磨き粉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943548A (zh) * 2006-10-23 2007-04-11 邓天华 竹盐以及竹盐化妆品、洗涤用品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9020A (ko) * 1996-04-02 1997-11-07 송치용 구강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70048339A1 (en) * 2005-08-31 2007-03-01 Popplewell Lewis M Structured materials
JP2008074774A (ja) * 2006-09-22 2008-04-03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444A (ko) 2015-03-19 2016-09-28 추디노브 키릴 치약 조성물 및 그의 도포 방법
KR102489009B1 (ko) 2021-12-08 2023-01-18 주식회사 비에스앤코 가루치약의 제조방법
KR102489008B1 (ko) 2022-02-14 2023-01-17 주식회사 비에스앤코 가루치약의 제조방법
KR102499289B1 (ko) 2022-04-15 2023-02-14 주식회사 비에스앤코 가루치약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66560A (zh) 2010-07-07
US8435499B2 (en) 2013-05-07
US20100166812A1 (en) 2010-07-01
CN101766560B (zh) 201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5211B1 (ko) 소맥분 및 죽염을 함유하는 분말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80295A (ko) 전통한약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분말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026617B (zh) 用于预防口腔-牙齿感染的含有藻类的糖果糕点产品
JP5959130B2 (ja) 口腔痛みの改善と口腔抗菌および神経安定効果を持つ天然抗菌歯磨き粉の組成物
CN107510747A (zh) 一种漱口泡腾片及其制备方法
CN105770191B (zh) 具有降低牙周致病菌活性作用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620509A (zh) 改善口腔卫生的草本组合物及其使用方法
CN105310960B (zh) 一种新型多糖抗菌漱口液及其制备方法
CN102858308A (zh) 一种健齿牙膏组合物
KR20150061762A (ko) 항우식 효능을 갖는 구강용 조성물
CN102349866A (zh) 抗菌消炎保健口洁露
CN103599182A (zh) 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口腔清洁护理用品及其制备方法
KR20130001989A (ko) 구강청정제 조성물
JP2022540413A (ja) しみる歯及び歯周疾患防止用練り歯磨き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176284A (zh) 一种天然抑菌美白牙粉及其制备方法
KR101916377B1 (ko) 치아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815657A (zh) 一种促进口腔健康的咀嚼片及其制备方法
CN107550763A (zh) 一种预防治疗牙龈出血、牙龈萎缩的漱口精油组合物
CN110074247B (zh) 一种蜂巢灭菌健齿口香糖及其制备方法
KR102350693B1 (ko) 연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치아 미백 및 명도 개선 활성이 우수한 치아 브라이트닝 조성물
KR102155741B1 (ko) 개감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조성물
CN101524109B (zh) 奶精营养口香糖
CN106580770A (zh) 一种美齿防护牙膏
KR20250084881A (ko) 구강 질환과 구취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액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anap et al. TO PREPARE AND EVALUATE HERBAL TOOTH POWDER FROM NATURAL HERB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1091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