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741B1 - 개감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감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741B1
KR102155741B1 KR1020190055451A KR20190055451A KR102155741B1 KR 102155741 B1 KR102155741 B1 KR 102155741B1 KR 1020190055451 A KR1020190055451 A KR 1020190055451A KR 20190055451 A KR20190055451 A KR 20190055451A KR 102155741 B1 KR102155741 B1 KR 102155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d breath
extract
composition
roots
gaegams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예근
안지후
Original Assignee
최예근
안지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예근, 안지후 filed Critical 최예근
Priority to KR1020190055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7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7Euphorbiaceae (Spurge family), e.g. Ricinus (castorbe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06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dental health

Abstract

본원은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개감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치약, 껌, 또는 가글 등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의 제 1 측면은, 개감수(Euphorbia sieboldiana Morren & Decn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 의하면, 천연추출물의 이용에 따른 화학제재의 사용을 줄일 수 있으며, 구강 내의 유해균을 효율적을 제거할 수 있어 치아우식이나 치주질환을 예방함과 동시에 구취 제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노약자, 유아, 또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우들도 치아를 쉽게 관리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감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SIEBOLD'S SPURGE DERIVATIVES FOR PREVENTING DENTAL CARIES OR REMOVING HALITOSIS}
본원은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개감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치약, 껌, 또는 가글 등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생활습관과 식생활의 변화로 구강관련 질환의 원인과 증상이 다양해지고, 심각한 사회 문제로 보고되고 있는데,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치아우식(충치), 치주질환, 구취 및 구강 통증과 같은 구강질환을 미래에 해결해야 할 주요 보건문제 중 하나로 보고 있으며, 그 보고에 따르면, 전 세계적 청소년 60~90%와 성인 60%가 치아우식(충치)과 치주질환을 겪고 있으며, 중년성인(35 ~ 44세)의 15 ~ 20%가 심한 치주질환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강관련 질환은 치아 손실의 주요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심혈관계질환, 세균성 폐렴, 저체중 출생아, 당뇨합병증과 골다공증 같은 질병의 잠재적인 위험요소가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사람의 구강 내에는 여러 종류의 미생물들이 살고 있으며, 구강질환을 일으키는 구강 미생물은 대부분 치아와 잇몸 사이에 형성되는 세균막인 프라그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구강 미생물들은 프라그에서 독소를 생성하고 이들이 생산한 독소는 치주조직 내로 침입하여 치은의 염증, 치조골의 파괴 및 감염을 일으키면 치주염이 되며, 이들 세균이 산(酸)을 생성하면, 치아우식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구강 내에 분포하는 미생물들은 구취, 치주질환 등을 유발하며, 이들 미생물들의 일부는 기회성 병원체로서 질병 발병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시적으로 구강 내에 상재하면서 치아우식, 치주염, 구취 등을 발생시키는 병원성 미생물로 여러 종들이 알려져 있으나, 그 중 프레보텔라 인터메디아(Prevotella intermedia),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mutans)와 포피로모나스 진지바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가 주 병원체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구강질환을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페니실린, 테트라사이클린과 같은 항생제나 염화세틸피리디늄(Cetylpyridinium chloride), 유기 또는 무기 불소함유제,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등을 사용하여 병원균 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제재는 항생제에 대한 구강 내 내성균의 출현, 불소와 클로르헥시딘이 인체에 미치는 부작용 등이 문제되고 있다.
이러한 화학제재의 과도한 사용은 구강 내 미생물총뿐 아니라 장관 미생물총에도 혼란을 초래하여 다른 세균에 의한 감염, 구토나 설사 등의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이유로, 최근에는 화학제재들의 부작용을 방지하면서 치면세균막과 관련된 치아우식이나 치주질환 예방을 위한 천연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시적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0-0082090 호는 "관중추출물, 솔잎추출물 및 석류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아우식 및 치주질환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으며, 상세하게는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관중추출물 0.025 ~ 2.5 중량%, 솔잎추출물 0.1 ~ 2.0 중량% 및 석류추출물 0.1 ~ 2.0 중량% 를 함유하는 치아우식 및 치주질환 억제용 조성물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천연추출물을 이용하는 점에서는 긍정적이나 그 제조과정이 다소 복잡하고, 구취 억제에 대한 효능이 미약한 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와 관련된 다양한 제재들이 사용되지만 친환경적인 천연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구강질환, 특히 치아우식이나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고, 구취의 제거능이 기술적 제시가 필요하나, 아직 이에 대한 대안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한 것으로서, 구강 내의 유해균을 효율적을 제거할 수 있으며, 치아우식이나 치주질환을 예방함과 동시에 구취 제거능이 우수한 천연유래의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강 질환 치료용 제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의 제 1 측면은, 개감수(Euphorbia sieboldiana Morren & Decn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개감수 추출물은 개감수의 뿌리로 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개감수 추출물은 볶은 개감수의 뿌리로 부터 추출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볶은 개감수의 뿌리는 220 ~ 240℃ 에서 3 ~ 7분 동안 볶은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상기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가글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제 3 측면은, 상기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치약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제 4 측면은, 상기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껌을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 의하면, 천연추출물의 이용에 따른 화학제재의 사용을 줄일 수 있으며, 구강 내의 유해균을 효율적을 제거할 수 있어 치아우식이나 치주질환을 예방함과 동시에 구취 제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노약자, 유아, 또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우들도 치아를 쉽게 관리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개감수 뿌리 추출물의 구취 제거능을 나타낸 도표
도 2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개감수 뿌리 추출물의 치아표면에의 효과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개감수 뿌리 추출물의 양치 효과 비교한 도표
도 4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개감수 뿌리 추출물의 양치 효과 비교한 사진
도 5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개감수 뿌리 추출물의 구취효과를 나타낸 도표
도 6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개감수 뿌리 추출물의 사용 양에 따른 효과비교한 도표
도 7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개감수 뿌리 추출물의 제형 차이에 따른 효과 비교한 도표
도 8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개감수 뿌리 추출물의 멸균 효과를 비교한 도표
도 9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개감수 뿌리 추출물의 멸균 효과를 나타낸 사진
도 10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개감수 뿌리 추출물의 멸균 효과를 비교한 도표
도 11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개감수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껌(a)과 멸균 효과(b)를 나타낸 사진과 도표
도 12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개감수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가글(a)과 멸균 효과(b)를 나타낸 사진과 도표
도 13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개감수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약을 나타낸 사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구현예 또는 실시예를 들어, 본원에 속한 기술 분야의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본원을 반복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와 “연계”된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해도 실질적으로 결합된 것과 실질적으로 그 과제의 해결원리가 동일할 수 있음을 포함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된다는 의미를 함께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전에” 또는 “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 연동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두 단계 사이에 또 다른 단계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개감수(Euphorbia sieboldiana Morren & Decn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개감수(Euphorbia sieboldiana Morren & Decne.)는 전국의 산과 들에 자라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양지 혹은 반음지의 토양이 비옥한 곳에서 자라며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를 수득할 수 있다. 개감수는 키는 30~60㎝이고, 잎은 긴 타원형의 모양을 하며, 앞부분은 녹색이지만 뒤쪽은 홍자색을 띠고 있다. 꽃은 녹황색이고 한줄기에 1개의 암꽃이 있으며 나머지는 모두 수꽃인데, 목본류에서 수꽃과 암꽃이 따로 피는 것을 많이 볼 수 있지만 초본류에서 암꽃과 수꽃이 따로 피는 것은 보기 드문 것 중의 하나이다. 열매는 9월경에 달리고 잎을 자르면 흰색유액이 나오며, 뿌리는 약용으로 쓰이는데, 한방에서는 이뇨작용이나 변을 통하게하는 용도나 간질, 삼출성 늑막염을 다스리는데 사용되고 있으나, 구강질환의 예방이나 치료 등에 대한 기술적 제시는 없는 실정이다.
추출대상이 되는 상기 개감수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것을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추출 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흙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한 후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서의 개감수 "추출물"의 용어는 물리 또는 화학적인 방법을 모두 포함하여 개감수로 부터 유래되는 것을 포함하고, 예시적으로 물리적인 방법으로는 글라인더나 압착기를 통해 분쇄되어 유래되는 액상의 즙이나 섬유질이 함유되는 콜로이드성 즙이 이에 포함될 수 있으며, 화학적 방법으로는 물이나 알코올 등의 용매를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용매추출에 의한 수득물이 포함될 수 있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추가적인 분획 공정을 더 수행하여 정제한 분획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개감수를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할 때 사용되는 용매는 물, C1 ~ C4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헥산 등의 단독 또는 혼합 형태인 용매로 추출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개감수는 줄기, 잎, 꽃, 및 뿌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뿌리의 추출물이 효과적이며,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개감수의 뿌리를 볶은 후 이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시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개감수의 뿌리를 0.5 ~ 7 일 동안 자연건조 시키거나 60 ~ 80 ℃의 분위기에서 건조기를 통해 건조한 후, 200 ~ 260 ℃, 바람직하게는 220 ~ 240 ℃의 분위기에서 약 3 ~ 7분 동안 볶아서 추출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본원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원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원의 조성물이 약학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적합한 사용량은 제제화 방법, 사용 또는 투여 방식, 환자 또는 사용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사용 또는 투여 시간, 사용 또는 투여 경로, 기타의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될 수 있다.
이하, 본원의 개감수(Euphorbia sieboldiana Morren & Decn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조성물에 대한 구체적인 시험예, 제조예 등의 실시예를 제공하고자 한다.
시험예 1. 개감수 뿌리 추출물의 구취 제거(억제)능
:종류가 다른 뿌리를 씹기 전과 씹은 후의 구취 정도를 비교하여 시간에 흐름에 따른 개감수 뿌리의 구취 제거 효과
식용이 가능하며 구취 제거능이 있다고 알려진 여러 가지 종류의 뿌리로서 대조군 우엉, 무, 당근, 및 감자를 각 2 g씩 준비하고 시험군으로서 개감수 뿌리를 2g 준비한 후, 구취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개감수 뿌리를 씹기 전의 구취 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시간은 시험군과 대조군을 1 분 동안 씹고, 이를 뱉은 후 구취 정도를 측정하되, 5분 간격으로 35분 동안 측정하였고, 이를 아래 [표 1]과 도 1에 나타내었다.
<종류별 뿌리를 씹은 후의 시간 경과에 따른 구취 정도>
경과시간

뿌리종류
씹기 전 씹은 후
0분 5분 10분 15분 20분 25분 30분 35분
우엉 4.4 0 0.6 1.3 1.8 2.3 2.8 3.2 3.5
4.5 0 0.4 1.1 1.6 2.1 2.3 2.5 2.7
당근 4.3 0 1.1 1.6 2.1 2.6 3.1 3.5 3.9
감자 4.4 0 0.8 1.4 2 2.4 2.9 3.3 3.6
개감수 4.3 0 0.3 0.9 1.4 1.7 1.9 2.1 2.3
측정 수치(단위)는 휘발성 황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이를 "
Figure 112019048329213-pat00001
" 와 같은 그림과 수치로 나타내는 구취 측정 장치를 통해 측정(이하, 구취 측정은 이와 같다)한 결과이며, 수치가 높을수록 구취의 정도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
대조군으로서의 우엉, 당근, 및 감자는 씹은 직후 구취 억제효과가 있었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구취 정도가 높아지며 30분이 경과했을 때에는 처음의 구취 정도와 비슷하였다. 하지만, 개감수 뿌리를 씹었을 때에는 30분이 경과한 이후에도 구취 정도가 2.3단계 이하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개감수 뿌리의 추출물의 성분이 구취 제거에 매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개감수 뿌리 추출물의 치아표면에의 효과
여러 가지 종류의 뿌리로서 대조군 우엉, 무, 당근, 및 감자를 2g 으로 준비하고 시험군으로서 개감수 뿌리를 동일한 양으로 준비한 후, 이를 씹으면서 10초 간격으로 70초 동안 치아의 표면의 상태와 pH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2]와 도 2에 각각 이를 나타내었다.
<시간 경과에 따른 치아 표면의 pH 변화>
구분 씹기 전 씹은 후
10초 20초 30초 40초 50초 60초 70초
우엉 6.4 6.4 6.4 6.5 6.5 6.5 6.6 6.7
6.4 6.5 6.5 6.6 6.6 6.6 6.7 6.8
당근 6.4 6.7 6.7 6.9 6.9 7.0 7.1 7.1
감자 6.4 6.8 6.9 7.0 7.0 7.1 7.2 7.2
개감수 6.4 7.0 7.2 7.2 7.3 7.4 7.5 7.5
치아 표면의 모습은 USB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그 결과 개감수 뿌리를 씹으면 치아 표면의 색이 대조군보다 밝게 관찰되었다. 또한, 개감수 추출물에 대한 치아 표면의 ph가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 점은 치아 표면의 세균막이 개감수 뿌리에서 추출물(즙)과 반응하여 세균막을 얇게 만들었다는 증거이다.
또한, 개감수 뿌리를 씹는 시간이 늘어날수록 치아 표면의 pH가 더욱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1분 이상 개감수 뿌리를 씹어도 pH의 변화는 미비하다. 그 이유는 개감수 뿌리 2g에서 나올 수 있는 즙의 양에 한계가 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시험예 3. 개감수 뿌리 추출물의 양치 효과의 비교
개감수 뿌리를 씹은 후 치약을 사용하여 양치한 경우의 치아 표면의 상태와 pH변화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아래와 같은 순서로 시험을 진행하였다.
가) 10초 간격으로 개감수 뿌리를 씹은 후 치아 표면(앞니)의 상태 및 pH를 측정
나) 힘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양치도구에 치약을 묻힌 후 실험군(앞니)를 1분간 양치질
다) 치아를 물로 20회 헹군 후, 치아 표면(앞니)의 상태 및 pH를 측정.
라) 개감수 뿌리를 10초 간격으로 90초 까지 씹은 후 상기 가) 내지 다)과정을 반복하여, 이의 결과를 아래 [표 3] , 도 3 및 도 4에 각각 나타내었다.
<개감수 뿌리를 이용한 사전 양치의 여부에 따른 1시간 후 치아 표면 ph 변화 정도>
씹은시간

개감수 잎 유무
10초 20초 30초 40초 50초 60초 70초 80초 90초
개감수 뿌리
+
양치(치약)
양치 직후 7.3 7.4 7.6 7.8 7.9 8.0 8.0 8.0 8.0
1시간 후 6.6 6.7 6.9 7.0 7.1 7.1 7.1 7.1 7.1
양치(치약) 양치 직후 7.7
1시간 후 6.4
이 시험에서, 개감수 뿌리를 씹지 않고 양치를 한 경우는 양치 후 1시간 후 치아 표면의 pH가 6.4를 나타내었지만 개감수 뿌리를 씹고 양치를 한 경우는 치아 표면의 pH가 7.1로 중성을 나타내었으며 치아 표면의 조도가 2배 이상 밝게 관찰되었다. 이것은 양치질을 하기 전에 개감수 뿌리에의 추출물(즙)의 성분이 치약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개감수 뿌리 추출물의 구취 효과
개감수 뿌리를 씹은 후 치약을 사용하여 양치한 경우의 구취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아래와 같은 순서로 시험을 진행하였다.
가) 구취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개감수 뿌리를 씹기 전의 구취 정도를 측정
나) 개감수 뿌리 2g을 1분간 씹음
다) 힘을 일정하게 통제할 수 있는 칫솔을 이용하여 3분간 양치질
라) 양치질을 시작한 직후의 구취 정도를 측정
마) 1시간, 2시간, … , 8시간, 9시간이 경과한 후의 구취 정도를 측정
바)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10명의 구취정도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함하여, 이를 아래 [표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개감수 뿌리를 씹고 양치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구취 정도>
경과시간 씹기 전 씹은 후
처음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6시간 7시간 8시간 9시간
단계 4.3 0.2 0.6 1.3 1.8 2.3 3.1 3.7 4.2 4.3 4.3
개감수 뿌리 2 g 에 대한 추출물을 이용 후의 양치 효과로서의 구취 억제는 약 4시간 정도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5. 개감수 뿌리 추출물의 사용 양에 따른 효과
개감수 뿌리의 양을 달리 하여 씹은 후 치약을 사용하여 양치한 경우의 구취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아래와 같은 순서로 시험을 진행하였다.
가) 구취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개감수 뿌리를 씹기 전의 구취 정도를 측정
나) 개감수 뿌리 2g을 1분간 씹은 후, 3분간 양치질
다) 매 시간마다 구취 정도를 측정
라) 구취 정도가 2단계에 도달할 때의 시간을 확인
마) 같은 방법으로 개감수 뿌리 2g, 3g, … , 8g, 9g 씹은 후, 3분간 양치
바) 매 시간마다 구취 정도를 측정
사) 구취 정도가 2 단계에 도달할 때의 시간을 확인
아)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5명의 구취정도를 측정하여 평균값 구하여, 이를 [표 5]와 도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048329213-pat00002
치약만을 사용하여 양치하였을 때 4시간이 경과한 후의 구취 정도는 2단계를 나타냈다. 하지만 개감수 뿌리를 씹는 양을 증가시킴에 따라 구취 정도가 2단계에 도달하는 시간은 최대 7시간까지 향상되었다. 개감수 뿌리를 5g이상 씹은 후 양치하여도 구취 제거 효과의 지속시간이 늘어나지 않았다. 따라서 양치를 할 때 개감수 뿌리 5g을 1분 이상 씹은 후 양치해야 함을 알 수 있다(한편, 개감수 뿌리 50g으로 부터 녹즙기를 통해 추출되는 추출물(즙)의 양은 약 8.3g 이므로, 즙의 양을 0.83g 정도 이상의 범위에서 1분 이상으로 반응시킨 후 양치를 해야 구취의 효능이 높음을 알 수 있음).
시험예 6. 개감수 뿌리 추출물의 제형 차이에 따른 효과
개감수 뿌리 추출물의 제형을 달리하였을 때의 양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가) 아래의 제형으로 각각 준비함
Figure 112019048329213-pat00003
(1) 개감수 뿌리 분쇄물(Ⅰ): 개감수 뿌리를 식품건조기로 12시간 건조시켜 만듦
(2) 볶은 개감수 뿌리 분쇄물(Ⅱ): 볶은 개감수 뿌리를 식품건조기로 12시간 건조시켜 만듦
(3) 개감수 뿌리 즙(Ⅲ): 볶지 않은 개감수 뿌리를 녹즙기를 사용하여 즙을 추출함
(4) 개감수 섬유질(Ⅳ): 볶지 않은 개감수 뿌리를 녹즙기를 사용하여 즙을 추출하고 남은 섬유질만을 사용함
나) 만들어진 4가지 종류의 제형 5g에 각각 1분간 씹음
다) 3분간 양치질
라) 매 시간마다 구취 정도 측정
마) 구취 정도가 2단계에 도달할 때의 시간을 확인
바)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5명의 구취정도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하여, 이를 아래 [표 6]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048329213-pat00004
볶은 개감수 뿌리 분쇄물의 경우 양치 후 구취 정도가 2단계에 도달하는 시간이 기존 5시간에서 8시간으로 유지시킬 정도로 그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이유는 개감수 뿌리를 볶았을 때 구취 제거를 오래 유지시키는 성분으로서 개감수 뿌리에 포함된 유포르본 등의 유용성분이 활성화되어 더 많은 효율을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구취 제거의 지속 정도를 오래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볶은 개감수 뿌리를 이용한 제형 또는 추출물을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험예 7. 개감수 뿌리 추출물의 멸균 효과 1
개감수 뿌리에는 치약의 점도를 높여 효과적으로 양치를 할 수 있는 결합 성분으로서 유포르본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개감수 뿌리 추출물을 이용했을 때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멸균 정도를 아래의 순서대로 진행하였다.
가) 개감수 뿌리의 성분인 유포르본, 타닌, 팔미트산, 트리터펜스를 준비.
나) 유포르본, 타닌, 팔미트산, 트리터펜스, 개감수 뿌리를 이용하여 각각 1분간 입안을 헹굼
다) 전동칫솔을 사용하여 3분간 양치질
라) 양치를 하고 1시간 후에 30초간 생리식염수 10㎖로 입안을 헹굼
마) 100배 희석하여 TSA에 접종시켜 37℃에서 24시간동안 세균을 배양
바) 1000배율 USB현미경을 이용하여 1×1cm의 모눈종이 안에 얼마나 많은 양의 세균이 있는지 수를 관찰
사)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5회 측정하여 평균값 측정
아) 양치를 한 후 2시간, … , 8시간, 9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30초간 생리식염수 10㎖로 입안을 헹굼
차) 실험 결과를 아래 [표 7],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048329213-pat00005
시험예 8. 개감수 뿌리 추출물의 멸균 효과 2
볶은 개감수 뿌리를 이용하여 양치한 후의 멸균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아래의 순서대로 시험을 진행하였다.
가) 개감수 뿌리를 220 ~ 240℃ 온도에서 5분간 볶음
나) 볶은 개감수 뿌리를 식품 건조기를 이용하여 12시간 건조
다) 개감수 뿌리 5g을 1분간 씹음
라) 전동칫솔을 사용하여 3분간 양치질
마) 양치를 하고 1시간 후에 30초간 생리식염수 10㎖로 입안을 헹굼
바) 100배 희석하여 TSA에 접종시켜 37℃에서 24시간 동안 세균을 배양
사) 1000배율 USB현미경을 이용하여 1×1cm의 모눈종이 안에 얼마나 많은 양의 세균이 있는지 수를 관찰
아)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5회 측정하여 평균값 측정
자) 양치를 한 후 2시간, … , 8시간, 9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30초간 생리식염수 10㎖로 입안을 헹굼
자) 바, 사의 과정을 반복
카) 개감수 뿌리를 씹지 않고 치약만을 이용하여 양치한 후 같은 방법으로 세균의 수를 관찰
타) 개감수 뿌리를 씹은 여부에 따른 세균의 정도를 비교하여, 아래 [표 8]과 도 10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048329213-pat00006
위 [표 8] 및 도 10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감수 뿌리를 씹은 후 양치를 했을 때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세균의 증가율이 낮았으며, 5시간 이후에도 세균의 수가 현저히 적은 것으로 보아 치약의 효능을 높이는 결합제와 천연 불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개감수 뿌리를 220 ~ 240℃ 온도에서 약 5분간 볶은 개감수 뿌리를 약 5g 정도로 양치를 하기 전에 1분간 씹은 후 양치하는 경우에는 양치 효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5시간 이후에도 양치의 효능을 9시간까지 증가시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세균 증가율을 1/2배 낮출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충치를 예방하고 구취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1 : 개감수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껌의 제조
껌베이스, 글리세린, 유리컵, 유리막대, 글리세린, 시트르산, 박하유, 스포이트, 개감수 뿌리 분말을 준비하고, 아래의 순서대로 껌을 제조하였다.
가) 유리컵에 껌 베이스 12g, 글리세린 1숟가락(약 10cc), 시트르산 1숟가락(약 10cc)을 넣음
나) 컵을 중탕으로 가열하여 껌 베이스를 녹임
다) 껌 베이스가 녹으면 슈가 파우더 1숟가락(약 2g)과 개감수 뿌리 추출물로서의 개감수 분말 5g, 박하유 2방울을 넣음
라) 유리막대를 이용하여 1분간 잘 섞음
마) 은박접시에 개감수 분말을 덜어놓고 잘 섞은 재료를 꺼내어 반죽
바) 표면이 손에 달라붙지 않을 정도로 개감수 분말을 혼합
사) 떡처럼 반죽한 껌 덩어리를 작게 자름.
시험예 9. 개감수 껌을 씹은 후의 멸균 효과
위 제조예 1에서 제조된 껌(도 11의 (a))을 일반 껌과 비교하여 그 멸균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 껌을 4시간 씹은 후 치아의 세균수를 비교하여 이를 도 11의 (b)에 나타내었다.
본원에 의해 제조된 개감수 껌은 일반 껌에 비하여 양치효과를 높이면서 씹기가 편했으며, 이는 양치를 하기 전에 치약의 보조제로 활용하거나, 양치 대신 단독으로 활용하여도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고, 노약자, 유아, 또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우들도 치아를 쉽게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조예 2 : 개감수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가글의 제조
개감수 뿌리, 프라이팬, 식품건조기, 및 분쇄기를 준비하고, 아래의 순서대로 가글을 제조하였다.
가) 개감수 뿌리를 식품건조기로 12시간 건조
나) 건조시킨 개감수 뿌리를 220-240℃ 온도에서 5분간 볶음
다) 볶은 개감수 뿌리에 뜨거운 물을 부어 즙을 추출
라) 즙을 식힌 후 개감수 뿌리 섬유질을 걸러 용기에 15㎖씩 나누어 담음.
시험예 10. 개감수 가글을 사용 후의 멸균 효과
위 제조예 2에서 제조된 가글(도 12의 (a))을 일반 가글과 비교하여 그 멸균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 껌을 4시간 씹은 후 치아의 세균수를 비교하여 이를 도 12의 (b)에 나타내었다.
본원에 의해 제조된 개감수 가글은 일반 가글에 비하여 양치효과를 높이면서 이용하기가 매우 편했으며, 이는 위 개감수 껌과 마찬가지로 양치를 하기 전에 치약의 보조제로 활용하거나, 양치 대신 단독으로 활용하여도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고, 노약자, 유아, 또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우들도 치아를 쉽게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조예 3 : 개감수 추출물을 이용한 치약의 제조
개감수 뿌리, 베이킹소다, 식물성 글리세린, 쟁탄검, 정제수, 천연한방보존제, 페퍼민트에센셜오일, EM활성액, 및 체를 준비하고, 아래의 순서대로 치약을 제조하였다.
가) 베이킹소다 360g 과 개감수 가루 240g 을 계량해서 체에 2~3회 걸러냄
나) 용기에 글리세린 50g과 쟁탄검 4g을 넣음
다) 한방보존제 10g, 페퍼민트에센셜오일 10방울, EM활성액 18g을 넣어준 후 골고루 섞음.
라) 준비한 베이킹소다와 개감수 가루를 넣음
마) 주르륵 흐르는 정도의 점도가 될 때까지 섞음
바) 입구가 넓은 치약 용기에 치약을 50㎖씩 담음
위 제조예 3에서 제조된 치약(도 12)은 매우 친환경적이며, 그 이물감도 매우 부드러웠고, 입안의 세균 확장 방지능을 약 9시간 이상 지속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 시험예 및 제조예 등에서 나타낸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아, 종합적인 제안으로서, 개감수 뿌리에 포함된 유포르본 등의 유효성분과 개감수 뿌리의 방사형 무의 안쪽이 입안의 수분을 흡수하여 구강 내 세균 번식을 억제하고, 개감수 추출물의 특유한 점액질이 치아 표면에 막을 씌우면서 세균에 잘 견딜 수 있도록 불소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껌과 가글 및 치약은 양치효과를 높이면서 이용하기가 매우 편했으며, 이를 치약의 보조제 또는 단독으로 활용할 수 있고, 노약자, 유아, 또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우들도 치아를 쉽게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원에 대해 이상에서 구현예 또는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원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개감수(Euphorbia sieboldiana Morren & Decn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감수 추출물은 개감수의 뿌리로 부터 추출된 것인,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감수 추출물은 볶은 개감수의 뿌리로 부터 추출한 것인,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볶은 개감수의 뿌리는 220 ~ 240℃ 에서 3 ~ 7분 동안 볶은 것인,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가글.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치약.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껌.
KR1020190055451A 2019-05-13 2019-05-13 개감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조성물 KR102155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451A KR102155741B1 (ko) 2019-05-13 2019-05-13 개감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451A KR102155741B1 (ko) 2019-05-13 2019-05-13 개감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741B1 true KR102155741B1 (ko) 2020-09-14

Family

ID=7247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451A KR102155741B1 (ko) 2019-05-13 2019-05-13 개감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7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1294A (ko) * 2006-02-10 2007-08-16 동화약품공업주식회사 감수에서 분리된 테르페노이드 또는 이를 포함하는감수추출물을 함유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090109769A (ko) * 2008-04-16 2009-10-2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감수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디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약학적 조성물
KR20150051158A (ko) * 2013-10-29 2015-05-11 한국 한의학 연구원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36215A (ko) * 2015-05-18 2016-11-2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1294A (ko) * 2006-02-10 2007-08-16 동화약품공업주식회사 감수에서 분리된 테르페노이드 또는 이를 포함하는감수추출물을 함유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090109769A (ko) * 2008-04-16 2009-10-2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감수 추출물, 이의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한디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약학적 조성물
KR20150051158A (ko) * 2013-10-29 2015-05-11 한국 한의학 연구원 감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36215A (ko) * 2015-05-18 2016-11-2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meeruddy et al. A review of the traditional and modern uses of Salvadora persica L.(Miswak): Toothbrush tree of Prophet Muhammad
Al-Bayaty et al. Effect of mouth wash extracted from Salvadora persica (Miswak) on dental plaque formation: a clinical trial
CN105770191B (zh) 具有降低牙周致病菌活性作用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723588B1 (ko) 동백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55468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US8435499B2 (en) Toothpowder composition containing wheat flour and bamboo salt
CN102858308B (zh) 一种健齿牙膏组合物
CN109528601B (zh) 复方中药漱口水及其制备方法
CN107441014A (zh) 一种含美洲大蠊提取物的晚装牙膏及其制备方法
KR102058464B1 (ko)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KR20100080295A (ko) 전통한약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분말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60238A (ko) 잇몸에 좋은 한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200012181A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20140031512A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치료 및 구취 억제용 조성물
US20090232749A1 (en) Compositions for the acute and/or long term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s
KR101916377B1 (ko) 치아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55741B1 (ko) 개감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또는 구취 제거용 조성물
KR20060083915A (ko) 산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위생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27337B1 (ko) 천연 식물추출물 및 구운소금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78742B1 (ko) 천연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숙면 유도용 조성물
KR101632910B1 (ko) 편백 추출물 및 생약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260792A (zh) 包含天然复合物的用于预防或治疗口腔疾病的组合物
KR20170142740A (ko) 천연 복합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6858029B (zh) 一种包含薏苡仁的口香糖及其制备方法
CN104983610B (zh) 一种用于防龋齿除口腔异味的产品配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