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6313A - 한방성분을 함유하는 미백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방성분을 함유하는 미백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6313A
KR20040066313A KR1020030003341A KR20030003341A KR20040066313A KR 20040066313 A KR20040066313 A KR 20040066313A KR 1020030003341 A KR1020030003341 A KR 1020030003341A KR 20030003341 A KR20030003341 A KR 20030003341A KR 20040066313 A KR20040066313 A KR 20040066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whitening
toothpaste
pyrophosphate
phosph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교태
최종헌
안재현
하원호
김영호
노석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30003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6313A/ko
Publication of KR20040066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31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및 피부 미백에 효과가 있는 삼내자, 대회향, 백지, 필발, 세신, 솔잎의 분말 또는 그 추출물과 피로인산염 및 불소를 함유한 치아 미백 조성물로서의 치아의 심미효과를 증진시킨 구강위생 증진용 미백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한방성분을 함유하는 미백치약 조성물{Tooth whitening composition using oriental drug}
본 발명은 인체에 안전하고 심미적 기능을 가진 미백용 치약 조성물에 관한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미백 효과를 가지는 치약 조성물에 있어서 삼내자, 대회향, 백지, 필발, 세신, 솔잎의 분말 또는 상기 생약 추출물을 치약의 원료에 첨가하여 제조한 안정하고도 효과적인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아의 3대 기능은 저작기능과 발음기능 그리고 미화기능(미백)이다. 이 3대 기능 중 과거에는 저작기능이 가장 중요하게 어겨졌으나,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서 저작기능과 미화기능이 동등해져 가고 있는 추세이다. 깨끗하고 하얀 치아에 대한 동경과 치아미백에 대한 노력은 현대인에게 결코 더 이상 멀리 있는 것이 아니며, 이미 100여년 전부터 변색된 치아를 하얗게 하기 위한 노력들이 있었다. 예를 들면 Chappel은 1884년 미백제로서 최초로 Oxalic acid를 사용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Harlan은 1884년 최초로 과산화 수소수를 이용한 치아미백술을 보고하였다.
치아 백색의 원인은 선천적으로 치아 형성기에 테트라싸이클린과 같은 약물의 복용에 의한 치아 착색과 유년시기에 음용수로 불소를 과도하게 섭취함으로 인하여 치아가 황색 또는 흑색이나 흰색반점 등으로 변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후천적으로는 치수내 분해산물의 유리 성분 중 색깔을 띤 물질이 상아세관에 침투하여 치수를 감싸고 있는 상아질에 침착되거나 치수내 출혈이 치관(법랑질)에 흡착되어 생기기도 하고, 약제에 의한 상아질 착색, 그리고 금속성 재료나 복합레진 등 구강내 충전물에 의한 착색 등이 있고, 또한 음식물과 담배, 커피, 콜라 및 녹황색 채소 섭취에 의한 착색, 그리고 구강위생 관리를 잘하지 못하면 충치가 발생하여 치아가 변색되고 또한 고령화로 인하여 에나멜층이 약화되어 상아질이 노출되어 치아가 변색되는 것 등이 치아의 변색 원인으로 들 수 있다.
착색된 치아의 치료는 착색의 원인과 정도에 의해 좌우된다. 기본적으로 착색된 치아를 치료하는데는 5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다. 1)연마치료법(polishing)은 치아의 착색을 제거하는 가장 쉬운 방법으로 음식으로 인한 착색이나 커피 혹은 차에 의하여 생길 수 있는 대부분의 착색들을 제거한다. 그러나 음료나 담배로 인한 심한 착색들은 좀 더 적극적인 치료가 요구된다. 2)미백치료법(bleaching)은 치아를 밝게 하기 위하여 과산화물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치아 손상에 의한 착색뿐 아니라 테트라사이클린과 불소에 의해 착색된 치아의 미백을 위하여 종종 사용된다. 3)접착치료법(bonding)은 기존의 치아에 플라스틱 재료를 부착하는 것으로 복합 수지(Composite resin) 접착술이라고도 하고 치아의 착색을 심미적으로 가려주는데 사용된다. 이 방법은 특히 테트라사이클린 착색, 백색 혹은 갈색 반점 그리고 심한 마모로 인한 착색을 가려주는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다. 4)적층치료법(laminating)은 접착치료의 연장선에 있는 시술로, 이 방법은 자연 손톱에 인공 손톱을 부착시키는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미리 제작된 얇은 porcelain이나 복합 수지 혹은 플라스틱의 박막을 치아에 적용하는 시술이다. 5)크라운 치료법(crowning)은 치아를 삭제한 다음 맞춤식으로 제작된 수복물로 피개하는 방법이다.
치아미백효과를 보이는 대표적인 물질은 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한 과산화물이라고 알려져 있다. 과산화물은 분자량이 적고, 단백질을 변성시키는 성질이 있어서, 이온의 치아내 이동을 증가시키고, 착색 원인인 환원물질들을 산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einman 등은 30%에서 35% 농도의 과산화수소수를 이용하여 치과병원에서 전문가에 의해 시술받았을 때 치아미백효과가 우수함을 보고하였다. 여러 가지 농도의 cabamide peroxide 혹은 저농도의 과산화수소수를 포함한 가정용 미백제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다.
과산화물을 치약 중에 사용할 경우는 치약중의 사용되는 일반적인 성분들과 상용성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과산화물 자체가 매우 불안정한 상태인 바 시간이 지나면서 활성산소의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미합중국 특허 제4,687,663호 및 제5,020,694호 등에서는 이중 용기 시스템을 사용하여 과산화물을 분리 포장함으로써 경시 과산화물의 안정화를 도모하였고, 미합중국 특허 제5,122,365호에서는 3가지의 별도 포장을 사용하여 1단계에서는 산에 의한 치아 표면 부식처리를 하고, 2단계에서는 과산화물에 의한 표백처리 및 3단계에서는 산화티탄으로 치아 표면을 매끈하게 하는 처치를 주장하고 있으나 1단계 및 2단계의 처치 경우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의문시되며 이러한 원리로 상품화된 경우 사용상 번거로움과 제조자의 포장비용의 증대가 문제점으로 예상된다. 과산화물을 치약 중 사용에 대해서 수년전부터 안전성에 대한 수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현재 이러한 안전성에 대하여 명백히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나 이미 과산화물이 함유된 치약 제품이 시판되고 있으며 또한 학계 등에서도 과산화수소로써 치약 중 3% 농도까지는 안전한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과산화물은 산화제로써 유기물을 파괴함과 동시에 치아 경조직을 상하게 하여 치아 과민성의 증가나 잇몸에 접촉하여 화상을 줄 수도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치아 경조직 손상을 가져와 치아 표면이 거칠어질수록 음식물의 색소가 용이하게 침착되어 본래 치아색으로부터 더욱 심하게 변색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치아 미백효과의 또 다른 접근 방법으로 미합중국 특허 제4,986,981호에서는 과산화물을 사용하지 않고 식물성 단백질 분해 효소인 파파인을 사용하여 치아 미백을 시도하였으나 효소 자체의 치악중 경시 안정성이 불량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효과도 매우 미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지금까지 알려진 미백 물질로는 치약에 사용하여 인체에 안전한 미백효과를 가지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된 바 치아의 내인성 요인과 외인성 요인에 모두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미백 물질에 대하여 수집 평가를 꾸준히 수행하였으며 지금까지는 치약 중에 사용된 바가 없는 생약 및 한약 추출물을 발굴하고 이 물질에 대한 제품중 안정화 및 미백 효능을 실현할 수 있는 인체에 안전한 미백 치약의 처방을 연구 검토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방성분을 함유하는 미백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또한 최종상품의 제형 및 포장형태도 기존의 연고상의 튜브에 담긴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미백 치약 조성물은 치석 침착 억제 물질 즉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염, 메타인산염, 울트라 인산염 중 1종 또는 2종 이상과 삼내자, 대회향, 백지, 필발, 세신, 솔잎 중 1종 이상의 한방성분 분말 또는 추출물을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치석 침착 억제물질 즉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염, 메타인산염, 울트라 인산염은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 이하 사용시는 치석 침착 억제의 효과가 현저히 감소하고 10 중량% 초과 사용시는 인산염들과 치약제 첨가물과의 응집현상이 발생하여 치약제의 상안정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다음은 본 발명에 사용되었던 생약 및 한방성분의 목록이다.
한방 및 생약 성분 목록
시료명 분말 추출물
세신 건조분쇄 5% (70% 에탄올수용액으로 희석)
삼내자 건조분쇄 5% (70% 에탄올수용액으로 희석)
필발 건조분쇄 5% (70% 에탄올수용액으로 희석)
솔잎 건조분쇄 5% (70% 에탄올수용액으로 희석)
대회향 건조분쇄 5% (70% 에탄올수용액으로 희석)
백지 건조분쇄 5% (70% 에탄올수용액으로 희석)
본 발명에 사용된 생약 및 한방 소재들의 추출은 약재 분말에 에탄올을 혼합 후 2~10일 동안 상온에 보관한다. 이 용액을 추출 및 농축 과정을 거쳐 50~10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하여 초음파를 이용하여 재용해 후 상온에 보관한다. 상온 보관된 용액을 1~10일간 냉장 보관 후 여과지(Watman Paper #2)를 이용하여 여과 후 실험 한방용액으로 사용하였다.
제조예: 한방추출물의 추출방법
건조된 세신을 분말상으로 분쇄한 후 100g을 4~50 메쉬의 여과망에 통과하는 세신 분말을 취한다. 이 분말을 1ℓ 에탄올을 이용하여 10일동안 상온에서 추출하고, 이를 800메쉬의 채로 여과하고 70~75℃에서 5시간동안 진탕 가열하여 농축한다. 이를 냉각 후 70%(v/v)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초음파를 이용하여 재용해한 후 세신 추출 성분이 5%(v/v)가 되도록 에탄올로 희석하여 상온에 보관한다. 상온에 보관된 용액을 5일간 냉장 보관 후 여과지(Watman Paper #2)를 이용하여 여과 후 실험 한방용액으로 사용하였다.
다른 한방 및 생약성분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물을 제조 처리하여 실험 한방용액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생약분말은 잘 건조된 생약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 후 20~100 마이크로미터(㎛) 크기인 생약 분말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치약중에 포함되어 있는 삼내자, 대회향, 백지, 필발, 세신, 솔잎의 분말 및 추출물은 물에 용해되어 치아의 결정 구조 사이 사이에 작용하여 착색 물질을 제거 혹은 탈색시키는 작용을 하며, 피로인산염에 의한 착색 원인 물질인 금속 이온 봉쇄 작용과 공동으로 작용하여 내인성과 외인성에 의한 치아 변색을 제거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한방 성분 분말 및 추출물들은 일반적으로 치약에 사용되는 성분들과 상용성이 우수하여 최종 상품의 형태를 기존의 연고상으로 제조하여 하나의 포장으로 소비자에게 제공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생약 및 한방 성분 분말 및 추출물 들은 여러 가지 다른 미백 성분들과 미백효과를 비교 평가해 본 결과 경시 보관안전성과 미백 효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치약 중 사용량을 많이 할수록 미백효과는 상승되었지만 약 20% 이상에서는 상승효과가 미약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함유되는 생약 및 한방 성분 분말 및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 이하 사용시는 그 효과가 미미하였고 15 중량% 이상에서는 사용감이 좋지 않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연마제들의 종류와 사용량은 침강 실리카, 실리카겔, 지르코늄 실리케이트, 인산일수소칼슘, 무수인산일수소칼슘, 함수알루미나, 경질탄산칼슘, 중질탄산칼슘, 칼슘피로인산염, 불용성메타인산염 및 알루미늄실리케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5 내지 50 중량% 사용하여 지나친 연마도에 의한 치아 마모가 없도록 최종 제품의 연마도가 30에서 100의 값을 나타내도록 하였으며 입자크기도 연마제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 입자 경이 20 마이크로 이하인 것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연마도 값은 0에서 시작하여 표준 치약을 100으로 상대 연마도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제품들이 200 이하의 값을 가진다.
치약 중 습윤제의 사용은 연고상의 제형을 만드는데 필수적인 베이스 성분으로 치약이 공기 중에 노출될 때 건조 고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치약의 표면에 윤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종류에 따라 양치시 감소 효과를 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농글리세린(98%), 글리세린(85%), 소르비톨 수용액(70%), 비결정성소르비톨수용액(70%), 자이리톨, 폴리에틸렌글리콜류, 및 프로필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20 내지 70중량% 사용한다.
또한 통상적인 치약조성물에서도 사용 목적에 따라 적당한 약효성분을 사용 할 수 있는데 충치예방 성분으로는 널리 알려진 불화물의 사용은 오늘날 치약의 필수 성분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불화물로 불화인산나트륨, 불화나트륨, 불화아민 및 불화주석 등을 1종 이상 사용하여 불소로서 제품중 1,500ppm 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 성분 이외에도 구강내 세균을 살균할 목적으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나 프라그의 억제 및 제거를 목적으로 효소류도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치주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높은 삼투압을 가지는 염화나트륨이나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수용성염과 지혈 작용을 가지는 아미노카프론산, 알란토인 및 알란토인의 유도체와 여러 가지의 비타민류가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과거부터 손상된 치아로부터 노출된 상아질의 치관을 메워줌으로써 과민성 치아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경우 최근 미백효능에도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련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즉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는 인체의 뼈와 치아를 이루는 주성분이며 특히 치아의 바깥 표면인 에나멜층의 경우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가 약 97%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의 미세분말을 사용하면 손상되어 거칠어진 치아 표면에 흡착 작용으로 치아 표면을 메꾸어 줌으로써 치아 표면을 희게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상기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병용했을 때 치아 표면의 경도가 증가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한편 치약 중의 결합제의 사용은 고체인 분말 성분과 액체 성분이 분리되지 않게 해주는 역할로 연고상의 치약에서는 필수적인 것이며 수용성의 고분자 종류 라면 어떤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성분으로는 나무의 셀룰로오스로부터 합성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해조류로부터 추출된 카라기난류 및 미생물의 대사로부터 얻어지는 잔탄검 등을 들 수 있다.
기포제의 사용은 제품의 사용감을 증진시키고 세정 작용을 도와주며 기타 약효 성분의 분산 및 침투를 신속하게 하고 계면 장력을 감소시킴으로서 구강내 이 물질을 쉽게 떨어지게 하는 작용을 한다. 기포제로는 주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인 라우릴 황산나트륨이 주로 사용되며 제형의 특성에 따라 보조적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폴록사머),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지방산에스테르 등이 사용된다.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의 사용감을 좋게 하기 위하여 향료, 감미제 및 색소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목적에 사용되는 향료로는 먹을 수있는 식용 향료의 사용이 필수적이며 페파민트 오일, 스피아민트 오일, 세이지, 유칼립톨, 메틸살리실레이트 및 과일추출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감미제로는 삭카린 나트륨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색소로는 주로 식용색소를 사용한다.
이상의 성분들로 구성된 본 발명의 조성물과 기존의 시판되고 있는 미백 치약류를 여러 측면에서 효과 및 안정성을 비교 시험 평가해 본 결과 본 발명에 의한 치약 조성물이 훨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표 3, 4 및 5 참조), 따라서 본 발명자들이 소기에 의도했던 효과를 달성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비로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실시예 1 내지 5) 및 이와 비교하기 위한 기존의 치약 조성물(비교예 1 내지 3)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습윤제에 결합제 및 기타 첨가제 등을 미리 분산하고 연마제 및 미백제를 투입한 후 약 30분간 교반하였다.
마지막으로 기포제를 투입한 후 진공 상태에서 20분간 교반시켜 최종 제품을 수득하였다.
구분 성분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연마제 침강실리카 20.0 15.0 - - 5.0 - 20.0 5.0
인산일수소칼슘 - - 45.0 - - 45.0 - -
함수알루미나 - - 5.0 - - 5.0 - -
경질탄산칼슘 - - - - 25 - - 25
칼슘피로인산염 - - - 30.0 - - - -
실리카겔 - 3.0 - 5.0 - - - -
습윤제 농글리세린(98%) 45 - 20.0 - - 20.0 45.0 -
소르비톨수용액(70%) - 60.0 10.0 38.0 20.0 10.0 - 20.0
자이리톨 - - - - 3.0 - - 3.0
기포제 라우릴황산나트륨 2.0 2.0 2.0 2.0 2.0 2.0 2.0 2.0
폴록사마 - - - 1.0 2.0 - - 2.0
결합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1.2 1.0 0.9 0.5 - 0.9 1.0 -
카라기난 - - - 0.5 0.8 - - 0.8
미백제 및약효제 대회향(분말) 0.1 - - - - - - -
필발(분말) - 0.5 - - - - - -
삼내자(추출물) - - 1.0 - 4.0 - - -
백지(추출물) - - - 5.0 - - - -
솔잎(추출물) - - - - 3.0 - - -
세신(추출물) - - - - 3.0 - - -
피로인산나트륨 4.0 4.0 4.0 4.0 4.0 4.0 - 15.0
과산화수소(30%) - - - - - 1.0 - 5.0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0.5 0.5 0.5 0.5 0.5 - 0.5 -
불화인산나트륨 0.76 0.38 0.76 - 0.76 0.76 0.76 0.76
불화나트륨 0.11 0.11 - 0.22 - - - -
이산화티탄 - - - - - - 1.0 -
첨가제 향료 1.0 1.0 1.0 1.0 1.0 1.0 1.0 1.0
삭카린 0.1 0.1 0.1 0.1 0.1 0.1 0.1 0.1
정제수 24.23 12.41 9.84 15.18 25.84 10.34 28.64 22.34
실험예 1: 사람 치아를 이용한 미백 효과 평가 시험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치약 조성물의 얼룩제거 효과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담배, 커피, 홍차, 설탕 및 칼슘을 혼합하여 겔(gel)상태로 만든 다음, 회전이 가능하도록 모터가 장착된 기기의 바닥 용기에 옮기고, 20 내지 30대의 건강한 사람으로부터 발치한 치아 표본을 에폭시 수지로 고정시켜 노출면적이 가로 ×세로 = 2mm ×2mm가 되도록 시편을 제작한 후, 회전판에 부착시켜 3일동안 운영하여 강제적으로 부착시켰다.
이때, 회전판의 중앙에 백열등을 설치하여 시편에 부착된 얼룩을 건조시킴으로서 얼룩의 부착을 촉진시켰다. 마지막 날에 얼룩이 형성된 시편을 꺼내 색차계 (Model : SZ, Nippon Denshoku사)를 이용하여 백색도를 측정하고, 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특별히 고안된 연마력 측정기에 시편을 고정시킨 다음, 부드러운 칫솔모를 운동축에 고정시켜 시편과 마찰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때, 칫솔모 끝에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 조성물을 0.5g씩 동일하게 올려놓고 분당 180회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30분간 운영한 다음, 시편을 꺼내 다시 색차계를 이용하여 시편의 백색도 개선 정도를 측정한 후 백분율로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백색도개선율 분말 94.0 100.5 113.7 106.6 120.9 76.6 53.4 86.0
추출물 91.8 113.8 120.5 113.7 128.7
상기 표 3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이 비교예의 조성물보다 미백 효과(백색도의 증가 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험예 2: 임상적 시험을 통한 미백 효과 시험
본 발명에 의한 치약조성물의 보다 확실한 미백 효과를 보기 위하여 실시예 3과 5 및 비교예 1과 3의 치약조성물에 대하여 직접 사람이 3개월 동안 사용하게 하면서 미백 효과를 평가하였다.
비교적 치아가 누른 사람들을 100명 선발하여 실험 착수전 절치순면의 색조를 일정한 조명 장치가 된 방에서 투루바이트 바이오폼(Trubyte Bioform) 색조계를사용하여 색조를 측정한 후 색조의 평균값이 거의 동일하도록 4군으로(각각 25명씩) 분류하여 각각의 치약 조성물을 분배하고 평상시 양치 습관대로 양치하도록 하였다.
치아의 명도 증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투루바이트 바이오폼 색조계의 24종의 명도별 표준기준 중 관능적으로 식별이 용이한 10종을 선별하고 각각에 대하여 명도 값이 큰 순서로 1점에서 10점으로 평가 점수를 부가시켰다.
실험용 치약을 사용하기전 각 군별 치아 명도 값을 상기 기준에 의거하여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 수까지 평가하고 2개월 동안 양치 후의 명도 값을 평가한 후 실험 전의 명도값 대비 평균 명도 값의 증가율을 산출하였다.
평균 명도값(실험전) 평균 명도값(3개월 사용 후) 명도 증가율(%)
실시예 3 4.0 6.8 70.0
실시예 5 3.9 7.0 79.4
비교예 1 4.0 5.9 47.5
비교예 3 4.0 6.1 52.5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임상적으로 평가시 본 발명에 따른 한방성분과 피로인산염을 함유하고 있는 치약 조성물이 피로인산나트륨과 과산화수소를 함께 사용한 비교예의 치약 조성물보다 미백 효과(명도 증가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험예 3: 치약조성물의 안정성 비교평가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치약 조성물을 상온 및 40℃에서 보관하면서 다음의 기준에 따라 일정 기간 간격으로 치약 조성물의 상태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 평가 기준 >>
◎ 매우 양호: 표면이 매끈하고 상 분리가 없으며 정상적인 치약
○ 비교적 양호: 표면만 약간 거칠거나 튜브 입구 부분만 약간 불량함
▽ 비교적 불량: 상 분리 현상이 보이고 변색 현상 및 가스발생도 조금 나타남
× 매우 불량: 상 분리가 심하고 가스 발생 혹은 경화 현상등 나타남
시간경과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1개월 상온
40도
3개월 상온
40도
5개월 상온
40도 × ×
8개월 상온
40도 × ×
상기 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치약 조성물이 기존의 치약 조성물, 즉 미백제로서 과산화물과 피로인산염을 함께 첨가한 비교예 치약조성물보다 경시안정성이 동등 이상으로 나타난 바 상품가치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현상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유사한 경향을 보일 것으로 추측되었다.
본 발명은 치아 및 피부 미백에 효과가 있는 삼내자, 대회향, 백지, 필발, 세신, 솔잎의 분말 또는 그 추출물과 피로인산염 및 불소를 함유한 치아 미백 조성물로서의 치아의 심미효과를 증진시킨 구강위생 증진용 미백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Claims (3)

  1. 치약 조성물에 있어서, 삼내자, 대회향, 백지, 필발, 세신, 솔잎의 분말 또는 그 추출물 1종 이상을 0.1 내지 15 중량%를 함유하며,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메타인산염, 울트라인산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0.1 내지 10 중량% 함유하는 미백치약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연마제로 침강실리카, 실리카겔, 지르코늄실리케이트, 인산일수소칼슘, 무수인산일수소칼슘, 함수알루미나, 경질탄산칼슘, 중질탄산칼슘, 칼슘피로인산염, 불용성메타인산염, 및 알루미늄실리케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5 내지 50 중량% 함유하는 미백치약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약재 분말에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 및 농축 과정을 거쳐 제조한 추출물을 에탄올로서 5%로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치약 조성물.
KR1020030003341A 2003-01-17 2003-01-17 한방성분을 함유하는 미백치약 조성물 KR20040066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341A KR20040066313A (ko) 2003-01-17 2003-01-17 한방성분을 함유하는 미백치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341A KR20040066313A (ko) 2003-01-17 2003-01-17 한방성분을 함유하는 미백치약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313A true KR20040066313A (ko) 2004-07-27

Family

ID=37356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341A KR20040066313A (ko) 2003-01-17 2003-01-17 한방성분을 함유하는 미백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631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755B1 (ko) * 2009-05-15 2012-03-23 황철수 치아미백용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1152129B (zh) * 2006-08-24 2013-04-24 露珍细胞再生株式会社 胶原产生促进剂、化妆材料和胶原的制造方法
US8435499B2 (en) 2008-12-30 2013-05-07 Ji-Won Nam Toothpowder composition containing wheat flour and bamboo salt
KR20160104799A (ko) 2015-02-26 2016-09-06 이원홍 천연 한방치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64810B1 (ko) * 2015-11-18 2016-10-12 케이덴티 주식회사 구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52129B (zh) * 2006-08-24 2013-04-24 露珍细胞再生株式会社 胶原产生促进剂、化妆材料和胶原的制造方法
US8435499B2 (en) 2008-12-30 2013-05-07 Ji-Won Nam Toothpowder composition containing wheat flour and bamboo salt
KR101121755B1 (ko) * 2009-05-15 2012-03-23 황철수 치아미백용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04799A (ko) 2015-02-26 2016-09-06 이원홍 천연 한방치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64810B1 (ko) * 2015-11-18 2016-10-12 케이덴티 주식회사 구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7086653A1 (ko) * 2015-11-18 2017-05-26 케이덴티 주식회사 구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9054B1 (en) Dental care product for tooth whitening
RU2549979C2 (ru) Композиция и способ увеличения поглощения фторид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биоактивного стекла
US20070110684A1 (en) Morinda Citrifolia-Based Oral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KR101992927B1 (ko) 잇몸질환 예방 및 개선용 치약 조성물
CA2424769A1 (en) Tooth whitening composition and method employing dicarboxylic acid whitening agent
TWI445551B (zh) Dentifrice composition
RU2457829C2 (ru) Минерально-витамин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укрепления эмали зубов,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гигиены полости рта и зубная паста
Senthilkumar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Natural Tooth Whitening Agents-An Invitro Study
AU2006317699B2 (en) Non-peroxide preparation for whitening natural and manufactured teeth
KR20040066313A (ko) 한방성분을 함유하는 미백치약 조성물
US20230404870A1 (en) A fluoride dentifrice containing an iodine component
US11617711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ntal care
KR100250920B1 (ko) 효소 함유 치약 조성물
KR100807079B1 (ko) 식물잎 절편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Greenwall Tooth whitening materials
KR20000007808A (ko) 미백 치약 조성물
KR100494627B1 (ko) 미백치약 조성물
US11154470B1 (en) Anti-inflammatory and senolytic dental care product with tooth whitening characteristics
US11857654B2 (en) NHAP containing oral composition
KR20040021954A (ko) 미백치약 조성물
KR20240030235A (ko) 하이드로 수소 치약
KR19990027730A (ko) 안정한 미백치약 조성물
Mason Dental and mouthwash preparations
MXPA06003333A (en) Morinda citrifolia-based oral care composition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