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7079B1 - 식물잎 절편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잎 절편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079B1
KR100807079B1 KR1020020008801A KR20020008801A KR100807079B1 KR 100807079 B1 KR100807079 B1 KR 100807079B1 KR 1020020008801 A KR1020020008801 A KR 1020020008801A KR 20020008801 A KR20020008801 A KR 20020008801A KR 100807079 B1 KR100807079 B1 KR 100807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plant leaf
oral
present
eff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8963A (ko
Inventor
이진환
안재현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20008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079B1/ko
Publication of KR20030068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0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적인 치약 조성물에 식물잎 절편을 함유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구강위생개선 및 구강질환의 치료나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식물잎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함유함으로써 양치시 물리적인 작용을 통해 치아의 손상없이 치아표면에 부착된 프라그제거 능력을 향상시키며 동시에 약효성분의 효과적인 전달로 구강위생 및 질환의 예방, 치료에 효과적인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물잎, 치약, 절편, 구강질환

Description

식물잎 절편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Toothpaste Containing Plant Leaf Fragment}
본 발명은 통상적인 치약 조성물에 식물잎 절편을 함유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구강위생개선 및 구강질환의 치료나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식물잎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함유함으로써 양치시 물리적인 작용을 통해 치아의 손상없이 치아표면에 부착된 프라그제거 능력을 향상시키며 동시에 약효성분의 효과적인 전달로 구강위생 및 질환의 예방, 치료에 효과적인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약의 역사를 살펴보면 치약이 존재하기 이전시대에는 식물의 줄기나 잎 등으로 치아를 문질러서 양치를 하였으나 이 경우 프라그제거 및 세정효과가 미흡한 편이고 이후 초기치약으로 분말가루형태의 치분(齒粉)이 등장하였다. 치분의 경우 세정효과를 위한 연마제가 주성분으로 치약에 묻혀서 사용할 경우 지나치게 연마력이 높아서 치아를 마모시키는 부작용이 있어서 현재의 연고형태의 치약이 등장하게 되었다. 현재의 치약은 연마제와 함께 연고상의 형태를 형성하기 위하여 습윤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연마제의 함량을 조절하여야 연마도를 원하는 수준으로 조정 할 수 있다. 그러나 연마도를 높일 경우 치분과 같이 프라그제거나 세정효과는 증가될 수 있지만 치아를 마모시켜 시린이나 과민성치아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므로 연마력과 세정력은 적정한 수준에서 조정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또한, 현대 치약은 프라그제거와 치아 세정이라는 기본기능이외에도 충치, 치은염, 치주염, 구취, 미백 등 다양한 구강질환의 치료와 예방을 위하여 여러가지 약효제를 사용함으로써 구강위생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동서양을 막론하고 효능이 확인된 식물의 추출물이나 정유(精油), 분말 형태로 치약중에 적용하여 구강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하고 있다. 일본 특허 제 1986-197510호에서는 치주질환 치료를 위해 Tea tree등 동백나무과 식물의 잎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 경우 치약을 장기 보관하는 동안 치약 색상이 변화되거나 향이 변하면서 약효제의 효과가 감소하거나 사용시 불쾌감을 유발하여 상품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천연 식물추출물에 있어서 변색(갈색화 반응)이 일어나는 원인은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번째는 비효소적 갈색화 반응인 마이얄(Maillard)반응으로 치약에 사용되는 천연물이나 약효제중에서 아미노산계 화합물의 아미노기가 알데히드 또는 케톤기를 갖는 화합물(비결정성 소르비톨 수용액의 환원당, 향의 성분 등)과 반응하여 황갈색의 고분자를 형성함으로써 치약의 변색을 유발하는 것으로 치약의 장기 경시시 변색의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두번째는 효소적 갈변화 반응인 Polyphenol Oxidase에 의한 갈색화로 천연 식물추출물중에서 프라그제거나 입냄새억제에 효과적인 물질로 알려진 polyphenol이 공기중에 노출되면서 polyphenoloxidase에 의해서 갈새색소인 melanin으로 전환이 일어나면서 변색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미국 특허 제 5472684호에서는 프라그제거나 치은염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해 향미제로서 Tea tree로부터 추출정제한 Tea tree oil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 경우 Tea tree oil의 사용량은 적당한 향미를 구현하는 함량수준에서 그 사용량이 제한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광범위하게 연구검토한 결과 구강위생 개선 및 구강질환의 치료나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식물잎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함유함으로써 약효제의 효능이 증대되며 약효제 안정성이 크게 개선됨이 밝혀져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강질환의 치료나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식물잎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치약 중에 0.1내지 5중량% 사용하여 약효제의 효능증대 및 치약 상안정성을 개선한 안정한 치약 조성물을 제공 한다.
구강질환에 효능이 있는 식물잎을 자연건조 또는 효능을 보존하는 처리를 한 뒤 건조시킨 잎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후 치약중에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분말형태로 적용하는 경우보다 치약중에 존재하는 변색유발 물질이나 공기와의 접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장기보관시 약효제의 안정성이나 치약 색상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식물잎 절편형태로 치약중에 존재함으로써 양치질에 의해서 치아나 잇몸에 직접 접촉된 상태에서 양치질압력으로 식물잎 절편이 보다 작은 크기로 부서지면서 약효제가 방출됨으로써 약효제를 질환부위에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양치시 입절편을 관능적으로 느낄 수 있으므로 효능물질의 작용을 직접 느낄 수 있어 효능에 대한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치약의 세정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연마제의 함량을 늘려야 하지만 이 경우 과도한 치아마모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없는데 본 발명의 경우 양치시 식물잎 절편자체가 칫솔질을 보조해주어 물리적인 세정효과도 기대할 수 있고 식물잎 절편은 함량을 늘리더라도 치아 마모현상을 유발하지는 않으므로 안전하게 세정능력을 향상시켜 프라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통상적인 치약 조성물에 구강질환의 치료나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식물잎을 자연건조 또는 효능을 보존하는 처리를 한 뒤 건조시킨 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차나무(Tea Tree), 은행나무, 소나무, 로즈마리(Rosemary), 레몬 밤(Lemon Balm), 정향(Clove), 세이지(Sage) 등 구강질환의 치료나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식물잎 절편을 치약 중에 0.1내지 5중량% 사용한다. 0.1중량% 이하를 사용하면 그 효과가 미약하고 5중량%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치약 색상 및 향이 변하면서 사용시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 비용과 최적효과를 고려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중량% 사용한다. 또한 식물잎절편의 길이는 0.1 내지 5미리미터인 것을 사용한다. 0.1 미리미터이하인 경우 프라그제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치약 색상의 변색이 심해져 사용시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고 5미리미터이상인 경우 그 효과면에서 큰 차이가 없고 오히려 지나치게 커서 거부감을 일으킨다.
이하, 통상적인 치약 조성물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성분들을 살펴보면, 연마제의 성분과 종류는 침강 실리카, 실리카겔, 지르코늄 실리케이트, 인산일수소칼슘, 무수 인산일수소칼슘, 함수 알루미나, 경질 탄산칼슘, 중질 탄산칼슘, 칼슘 피로인산염, 불용성 메타인산염 및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중에서 1종 이상을 5 내지 60중량% 사용하여 최종 제품의 연마도를 미국 또는 영국에서 표준 방법으로 채택하고 있는 방사선 표본 치아 마모량 측정법 또는 마모 표면 치아 시편 면적 측정법으로 측정하여 200이하의 값을 가지도록 하고 평균 입자경은 연마제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20마이크로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약중 습윤제의 사용은 연고상의 제형을 만드는데 필수적인 베이스 성분으로 치약이 공기 중에 노출될 때 건조 고화 되는 것을 방지하고 치약의 표면에 윤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종류에 따라 양치시 감미 효과를 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농글리세린(98%), 글리세린(85%), 소르비톨수용액(70%), 비결정성소르비톨수용액(70%), 자이리톨, 폴리에틸렌글리콜류,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1종 이상 사용하여 20내지 70중량% 사용한다.
통상적인 치약조성물에서도 사용목적에 따라 적당한 약효 성분을 사용할 수 있는데 불화인산나트륨, 불화나트륨, 불화아민 및 불화주석 등의 수용성 불화물이 치아에나멜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와 치환반응으로 불화아파타이트를 형성하여 치아의 경도를 증가시켜 충치를 예방한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메카니즘으로 이해 되 고 있고 최근 구강용 치약조성물에서는 필수 성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나트륨은 치석형성억제에 효과적인 성분으로 이미 널리 알려진 성분이다. 상기 성분이외에도 구강내 세균을 살균할 목적으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나 프라그의 억제 및 제거를 목적으로 효소류도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치주 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높은 삼투압을 가지는 염화나트륨이나 탄산수소나트륨등의 수용성염과 지혈 작용을 가지는 아미노카프론산, 알란토인 및 알란토인의 유도체와 여러 가지의 비타민류가 동시에 사용 될 수 있다.
한편, 치약중의 결합제의 사용은 고체인 분말 성분과 액체 성분이 분리되지 않게 해주는 역할로 연고상의 치약에서는 필수적인 것이며 수용성의 고분자 종류 라면 어떤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성분으로는 나무의 셀룰로오스로부터 합성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해조류로부터 추출된 카라기난류 및 미생물의 대사로부터 얻어지는 잔탄검등을 들 수 있다.
기포제의 사용은 제품의 사용감을 증진시키고 세정 작용을 도와주며 기타 약효 성분의 분산 및 침투를 신속하게 하고 계면장력을 감소시킴으로서 구강내 이물질을 쉽게 떨어지게 하는 작용을 한다. 기포제로는 주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라우릴황산나트륨이 주로 사용되며 제형의 특성에 따라 보조적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폴록사머),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지방산에스테르등이 사용 된다.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의 사용감을 좋게 하기 위하여 향료, 감 미제 및 색소류 등을 사용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목적에 사용 되는 향료로는 먹을 수 있는 식용 향료의 사용이 필수적이며 페파민트 오일, 스피아민트 오일, 메틸살리실레이트 및 과일 추출물 등을 사용 할 수 있다. 감미제로는 삭카린 나트륨이 가장 많이 사용 되고 있으며 색소로는 주로 식용 색소를 사용 한다.
이상의 성분들로 구성된 본 발명의 조성물과 기존의 세계 유명 시판 제품들과 여러 측면에서 효과 및 안정성을 비교 시험 평가 해본 결과 본 발명에 의한 치약 조성물이 훨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2, 3, 4 및 5 참조) 따라서 본 발명자들이 소기에 의도했던 효과를 달성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 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비로 본 발명에 따른 치약조성물 ( 실시예 1내지 5 ) 및 이와 비교 하기 위한 기존의 치약 조성물 ( 비교예1 내지 3 )을 제조 하였다.
비교예1,2에서 사용한 차잎추출물 및 세이지잎추출물은 물-에탄올(50:50)혼합용매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한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습윤제에 결합제 및 기타 첨가제 등을 미리 분산하고 연마제를 투입 한 후 약30 분간 교반 하였다.(실시예의 조성물의 경우 연마제투입시에 식물잎 절편을 함께 투입하였다)
2) 마지막으로 기포제를 투입한 후 진공 상태에서 20분간 교반시켜 최종 제품을 수득 하였다.
Figure 112002004923374-pat00001
실험예1) 프라그 제거 능력
실험 대상자 50명의 초기 구강상태를 확인한 후 치면을 세마하고 중강도강모와 약강도강모로 만든 혼합강모칫솔과 대조치약(비교예 1 치약)을 제공하고 습관화된 방법으로 칫솔질하게 하여 1주후에 구강검사를 하여 실험대상자의 상하악 제3대구치를 제외한 전치아의 협면과 설면에 부착된 프라그의 부착된 정도를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지수)의 평점기준에 따라 평점하였다. 대조치약 사용 1주후에 동일한 실험대상자 50명의 치면을 다시 세마하고 실험치약(실시예 1치약)을 제공하여 역시 습관화된 방법으로 칫솔질을 하게 한 다음, 구강검사를 하고 대조치약 사용 대상자와 동일 방법으로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의 평점기준에 따라 평점하였다. 그리고, 모든 실험대상자가 대조치약과 실험치약을 1주씩 사용하도록 하여 나타난 대조군과 실험군의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를 산출 비교하였다.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 평가방법은 치아면을 5등분으로 나누어 치아면에 부착된 프라그의 부착정도를 검진의사가 평가하여 점수를 부여한다. 이때, 프라그감식제를 사용하여 치면에 부착된 프라그의 정도를 평가한다. 전부 빨강게 착색되었으면 5점; 전혀 착색된 것이 없으면 0점을 부여하고 해당 치면에 부여된 점수를 나눈 것이 구강위생관리능력지수이다.
Figure 112002004923374-pat00002
상기 표2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이 비교예의 조성물 보다 프라그제거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보아 식물잎절편이 연마력의 증가없이 프라그제거력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다.
실험예2) 치약조성물의 변색 억제 효과
실시예 1과 2 및 비교예 1과 2의 조성물간에 장기 보관시 치약 변색 억제효과를 평가 하기 위하여 상온 및 40℃에서 보관하면서 초기, 3, 6, 12개월에 색차계를 이용하여 백색도와 황색도를 측정하여 치약 색상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 때 백색도 수치가 클수록 흰색에 가깝고 황색도수치가 클수록 황색에 가까운 것이다.
Figure 112002004923374-pat00003
상기 표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이 비교 예의 조성물 보다 초기의 색상을 유지하여 치약 변색 억제 능력이 더욱 우수한 것으로 평가 되었다.
실험예 3) 양치시 사용감 및 향미 비교평가
실시예 1 과 3 및 비교예 1 과 3의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여 상온에 보관하면서 초기, 3, 6, 12개월에 치약 사용감 및 향미를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구강위생상태가 양호한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와 비교예를1시간 간격으로 교대로 양치시킨 후 사용감 및 향미변화에 대하여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Figure 112002004923374-pat00004
상기 표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이 비교예의 조성물과 비교시 사용감이나 향미면에서 월등히 우수하여 잎절편형태로 함유함에 따라 관능적인 사용감이나 변색에 따른 사용감이나 향미변화에 있어서 탁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험예4) 치약조성물의 안정성 비교평가
실시예 1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치약 조성물을 상온 및 40℃ 에서 보관 하면서 다음의 기준에 따라 일정 기간 간격으로 치약 조성물의 상태 안정성을 평가 하였다.
<< 평가 기준 >>
◎ 매우 양호 : 표면이 매끈하고 상 분리가 없으며 정상적인 치약
0 비교적 양호 : 표면만 약간 거칠거나 튜브 입구 부분만 약간 불량함
∇ 비교적 불량 : 상 분리 현상이 보이고 변색 현상도 조금 나타남
× 매우 불량 : 상 분리 및 변색이 심하고 가스발생 혹은 경화현상등 나타남
Figure 112002004923374-pat00005

상기 표 5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치약 조성물이 비교예 1 내지 3과 비교시 경시 안정성이나 특히 변색에 있어서는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평가되어 외형적 상품 가치에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탁월한 것으로 평가 되었다.
본 발명은 통상적인 치약 조성물에 식물잎 절편을 함유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구강위생개선 및 구강질환의 치료나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식물잎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함유함으로써 양치시 물리적인 작용을 통해 치아의 손상없이 치아표면에 부착된 프라그제거 능력을 향상시키며 동시에 약효성분의 효과적인 전달로 구강위생 및 질환의 예방, 치료에 효과적인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Claims (3)

  1. 치약 조성물에 있어서, 차나무(Tea Tree), 은행나무, 로즈마리(Rosemary), 레몬 밤(Lemon Balm), 정향(Clove), 세이지(Sage) 중에서 선택되는 정유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잎 절편을 치약 중에 0.1 내지 5중량% 함유하며, 상기 식물잎 절편의 길이가 0.1 내지 5 미리미터인 것 특징으로 하는 치약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020008801A 2002-02-19 2002-02-19 식물잎 절편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KR100807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801A KR100807079B1 (ko) 2002-02-19 2002-02-19 식물잎 절편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801A KR100807079B1 (ko) 2002-02-19 2002-02-19 식물잎 절편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963A KR20030068963A (ko) 2003-08-25
KR100807079B1 true KR100807079B1 (ko) 2008-02-25

Family

ID=32221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801A KR100807079B1 (ko) 2002-02-19 2002-02-19 식물잎 절편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0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967B1 (ko) * 2006-08-18 2008-09-25 김일두 금강송 추출물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과 치약 제조 방법
KR101336726B1 (ko) * 2007-02-28 2013-12-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식물의 꽃 절편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KR102351293B1 (ko) * 2019-10-31 2022-01-17 한선정 소나무 껍질 분말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877A (ko) * 1994-11-01 1996-06-17 성재갑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위생 증진용 치약조성물
JPH08175947A (ja) * 1994-12-26 1996-07-09 Kao Corp 口腔用組成物
KR960037037A (ko) * 1995-04-03 1996-11-19 한동근 치약 조성물
KR20010020067A (ko) * 1999-08-31 2001-03-15 오세군 아로마테라피용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및 그의
KR20010024897A (ko) * 1998-02-06 2001-03-26 알프레도 아구일레라 굼페르트 구취 치료용 조성물
KR20020012453A (ko) * 2000-08-07 2002-02-16 고관순 구강질환 치료용 조성물 제조 방법
KR20040054317A (ko) * 2002-12-18 2004-06-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식물성 연마제를 함유하는 구강위생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877A (ko) * 1994-11-01 1996-06-17 성재갑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위생 증진용 치약조성물
JPH08175947A (ja) * 1994-12-26 1996-07-09 Kao Corp 口腔用組成物
KR960037037A (ko) * 1995-04-03 1996-11-19 한동근 치약 조성물
KR20010024897A (ko) * 1998-02-06 2001-03-26 알프레도 아구일레라 굼페르트 구취 치료용 조성물
KR20010020067A (ko) * 1999-08-31 2001-03-15 오세군 아로마테라피용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및 그의
KR20020012453A (ko) * 2000-08-07 2002-02-16 고관순 구강질환 치료용 조성물 제조 방법
KR20040054317A (ko) * 2002-12-18 2004-06-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식물성 연마제를 함유하는 구강위생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963A (ko) 200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71431B2 (ja) 少なくとも1種のバイオサーファクタント及びフッ化物を含有するオーラルケア組成物
EP3157639B1 (en) Oral compositions containing metal ions
AU2005322461B2 (en) Two phase toothpaste composition
US4242323A (en) Plaque inhibiting oral composition
CA2784147C (en) Oral care compositions
JP2005503402A (ja) 高められた全体的洗浄を提供する口腔用組成物
CA2892557A1 (en) Dentifrice compositions comprising abrasive silica, calcium carbonate and zinc compounds
WO2001082922A1 (en) Oral compositions comprising polyphenol herbal extracts
MX2013004494A (es) Composicion dentifrica con astringencia reducida.
KR101879818B1 (ko) 담배 타르 제거제 및 그를 함유하는 조성물
AU2016346191B2 (en) Oral care products and methods
EP3071299B1 (en) Tooth varnish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use
JP5720546B2 (ja) 歯磨剤組成物及び歯牙の再石灰化促進剤
KR101336726B1 (ko) 식물의 꽃 절편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KR100807079B1 (ko) 식물잎 절편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JP6753142B2 (ja) 口腔用組成物
JP7371351B2 (ja) 口腔用組成物
JPH10245328A (ja) 粉状歯磨組成物
KR20000007808A (ko) 미백 치약 조성물
JP2001172145A (ja) 口腔用組成物
KR900005069B1 (ko) 구강 위생 증진용 치약 조성물
KR20060067295A (ko) 잇몸질환예방 및 구취억제용 구강 조성물
KR19990027730A (ko) 안정한 미백치약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