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570B1 - 클린 로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린 로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570B1
KR100933570B1 KR1020070128893A KR20070128893A KR100933570B1 KR 100933570 B1 KR100933570 B1 KR 100933570B1 KR 1020070128893 A KR1020070128893 A KR 1020070128893A KR 20070128893 A KR20070128893 A KR 20070128893A KR 100933570 B1 KR100933570 B1 KR 100933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water
storage tank
pipe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7551A (ko
Inventor
정운익
Original Assignee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27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3/00Applying liquids to roads or like surfaces, e.g. for dust control; Stationary flushing devices
    • E01H3/04Fixed devices, e.g. permanently- installed flush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10Hydraulically loosening or dislodging undesirable matter; Raking or scraping apparatus ; Removing liquids or semi-liquids e.g., absorbing water, sliding-off mud
    • E01H1/101Hydraulic loosening or dislodging, combined or not with mechanical loosening or dislodging, e.g. road washing machines with brushes or wi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5Permanently-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e.g. for spreading grit, for spraying de-icing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6Pneumatic sewage disposal system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e
    • E03F1/007Pneumatic sewage disposal system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e for public or mai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린 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 클린 로드 시스템은 우수나 지하로 유입되는 오수 및 각종 용수를 받아들여 이 물을 필터링을 통해 정화하는 우수관거; 이 우수관거에 연결되어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저류조와, 이 저류조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핑장치; 상기 저류조의 상태와 도로의 노면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펌핑장치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 상기 펌핑장치에 의해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유도하는 배관; 및 이 배관에 연결되어 도로를 세척할 수 있도록 된 도로표지 병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클린 로드 시스템에 의해 지하로 버려지는 물을 정화하여 도로를 청소하는데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인 수자원관리가 가능해지고, 지하로 유입되는 각종 물을 정화 및 재활용함으로써 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며, 도로표지 병을 이용하여 물을 분사함으로써 노면의 이물질 제거와 대기를 정화할 수 있고, 노면의 상태를 최적화하기 위해 소요되는 인력과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경제적으로 도로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클린 로드, 시스템, 우수관거, 저류조, 도로표지 병, 스프레이노즐

Description

클린 로드 시스템{CLEAN ROAD SYSTEM}
본 발명은 버려지는 용수나 우수를 이용하여 도로를 세척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하로 유입되는 각종 용수와 우수를 정화하여 도로를 세척하는데 사용함으로써 버려지는 물을 재활용함과 아울러 도로의 상태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된 클린 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각종 시설물이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도로상태를 알려줌으로써 사고을 방지하거나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여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고 있으며, 최근에는 갈수록 열악해지는 도로 사정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설물이나 장치 등이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도로에 차량이 넘쳐나면서 배기가스와 먼지 등으로 노면의 상태는 점점 악화되고 있으나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이 미흡한 편이고, 최근에는 도로를 정화하기 위하여 살수차를 이용하거나 인력을 동원하여 노면을 청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노면을 청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이나 우수 및 지하로 버려지는 각종 용수는 도로의 양측에 설치된 우수관거를 통해 모아지고, 이렇게 모 아진 물을 하천으로 유출시키기 위하여 유역의 말단부에 유수지를 설치하게 된다.
즉, 도로의 청소에 사용된 물이나 우수 및 각종 용수는 상기 우수관거를 통해 지하로 흘러들어가 최종적으로 하천에 유입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도로를 청소하기 위하여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도로 청소의 필요성을 인지하면서도 그 시스템이 제대로 갖추어 지지 않아 도로 청소를 자주 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도로환경이 열악해지면서 환경오염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도로를 청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이나 우수 및 오염된 각종 용수가 우수관거를 통해 그대로 배출되기 때문에 하천오염을 유발할 염려가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버려지는 물을 정화시킨 상태에서 배출시킨다 하더라도 정화된 물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버려지기 때문에 수자원 활용면에서도 낭비적인 요소가 있었다.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도로 청소나 지하로 유입되는 물의 관리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하로 유입되는 각종 용수와 우수를 정화하여 도로를 세척하는데 사용함으로써 버려지는 물을 재활용함과 아울러 도로의 상태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된 클린 로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변 지중에 매설된 U자형의 콘크리트 측구, 이 콘크리트 측구의 내측에 설치되어 다수의 타공홀이 형성된 가로막이판과 외측을 이루는 세로막이판, 및 그 내부의 여과재를 통해 우수 또는 각종 용수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본체로 이루어진 우수관거; 상기 콘크리트 측구의 하부와 상기 본체가 이루는 공간에 물흐름 통로가 형성되어 이 물흐름 통로에 설치된 우수유입 파이프를 통해 정화된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저류조; 이 저류조에 연결설치되어 저류조 내부의 우수량을 조절하는 배수용 펌프; 이 배수용 펌프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정화된 물을 노면으로 공급할 수 있는 보조 펌프로 이루어진 펌핑장치; 상기 저류조의 수량을 감지함과 아울러 도로의 노면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펌핑장치를 작동시키고, 상기 펌핑장치가 구동되는 시간 및 노면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컨트롤러; 상기 저류조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배출 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관; 및 이 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노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그 내부 공간에 다수의 스프레이노즐이 내장됨과 아울러 그 좌우 측벽에 횡 방향으로 연장된 타원형의 물 분사구멍이 형성된 도로표지 병;을 포함하여 클린 로드 시스템이 구현된다.
또한, 상기 우수관거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우수 또는 각종 용수가 상기 저류조에 담겨진 상태에서 상기 배관과 도로표지 병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도로의 노면에 공급됨으로써 우수 또는 각종 용수의 재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도로표지 병은 상기 저류조의 보조 펌프에 도로표지 병 배관을 매개로 다수의 스프레이노즐이 설치되어 스프레이노즐을 통해 좌우 수평방향으로 정화된 우수 또는 각종 용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에 강설감지기와 기후측정장치가 연결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설치실에는 제설제 저장수조와 제설제를 외부로 공급하는 압축펌프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압축펌프에 연결된 공급배관을 통하여 상기 제설제를 도로표지 병의 스프레이노즐을 통해 노면에 분사함으로써 노면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린 로드 시스템에 의하면, 지하로 버려지는 물을 정화하여 도로를 청소하는데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인 수자원관리가 가능해지고, 지하로 유입되는 각종 물을 정화 및 재활용함으로써 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며, 도로표지 병을 이용하여 물을 분사함으로써 노면의 이물질 제거와 대기를 정화할 수 있고, 노면의 상태를 최적화하기 위해 소요되는 인력과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경제적으로 도로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며, 동절기에 노면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에 자동으로 제설제를 분사함으로써 노면의 결빙에 의한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의해 좀더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 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우수 또는 각종 용수를 정화하여 도로를 세척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클린 로드 시스템을 도 1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클린 로드 시스템은 크게 우수나 지하로 유입되는 오수 및 각종 용수를 받아들여 이 물을 필터링을 통해 정화하는 우수관거(10)와, 이 우수관거(10)에 연결되어 정화된 물을 저장하는 저류조(20)와, 이 저류조(20)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핑장치(30)와, 상기 저류조(20)의 상태와 도로의 노면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펌핑장치(30)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40)와, 상기 펌핑장치(30)에 의해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유도하는 배관(50)과, 이 배관(50)에 연결되어 도로를 세척할 수 있도록 된 도로표지 병(6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클린 로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컨트롤러(40)는 저류조(20)의 수량을 감지함과 아울러 도로의 노면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펌핑장치(30)를 작동시키고, 상기 펌핑장치(30)가 구동되는 시간 및 노면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저류조(20)에 물이 일정량 공급된 경우에만 상기 펌핑장치(30)가 작동하도록 펌핑장치(30)를 제어하고, 도로의 노면에 물이 있거나 도로가 결빙된 상태에서는 상기 펌핑장치(30)를 제어하여 펌핑장치(3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클린 로드 시스템을 이루는 우수관거(10)를 도 2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우수관거(10)는 도로변 지중에 매설된 U자형의 콘크리트 측구(11)와, 이 콘크리트 측구(11)의 내측에 설치되어 다수의 타공홀(12a)이 형성된 가로막이판(12)과 외측을 이루는 세로막이판 및, 그 내부의 여과재(13)를 통해 우수 또는 각종 용수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본체(14)로 이루어진다.
즉, 도로변에 설치되는 상기 우수관거(10)의 우수유입 커버(15)를 통해 유입된 우수가 침투커버(16)의 일측에 형성된 우수 침투홀(17)을 통해 우수관거(10)의 본체(14)로 투입되며, 이렇게 본체(14)로 들어온 우수는 일측 가로막이판(12)의 하부와 타측 가로막이판(12)의 상부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타공홀(12a)을 지나면서 본체(14)에 담겨진 여과재(13)를 통해 정화되고, 정화된 우수는 상기 콘크리트 측구(11)와 본체(14)가 이루는 물흐름 통로(18)를 따라 흘러감으로써 저류조(20)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클린 로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저류조(20)를 도 3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저류조(20)는 콘크리트 측구(11)의 하부와 상기 본체(14)가 이루는 공간에 물흐름 통로(18)가 형성되어 이 물흐름 통로(18)에 설치된 우수유입 파이프(21)를 통해 정화된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펌핑장치(30)는 저류조(20)에 연결설치되어 저류조(20) 내부의 우수량을 조절하는 배수용 펌프(31)와, 이 배수용 펌프(31)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정화된 물을 노면으로 공급할 수 있는 보조 펌프(32)로 이루어지며, 상기 펌핑장치(30)에는 상기 저류조(2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배출 파이프(5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관(50)이 연결된다.
여기서, 우수의 재활용이 가능한 상기 저류조(20)는 배수용 펌프(31)가 설치되어 우수배관(50)에 연결됨으로써 저류조(20) 내부의 우수량을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배수용 펌프(31)의 일측에 보조 펌프(32)가 설치되어 상기 도로표지 병(60)에 정화된 우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클린 로드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우수관거(1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우수 또는 각종 용수가 상기 저류조(20)에 담겨진 상태에서 상기 배관(50)과 도로표지 병(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도로의 노면에 공급됨으로써 우수 또는 각종 용수의 재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즉, 상기 클린 로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도로표지 병(60)은 저류조(20)의 보조 펌프(32)에 도로표지 병 배관(52)을 매개로 다수의 스프레이노즐(61)이 설치되어 스프레이노즐(61)을 통해 좌우 수평방향으로 정화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도로표지 병(60)에 정화된 물을 공급하여 좌우 수평방향으로 뿜어냄으로써 물을 도로의 세척수로 재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로표지 병(60)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측벽에 다수의 반사판이 부착되고, 그 하부면에 지주(62)가 일체로 부착설치되며, 상기 도로표지 병(6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볼트(63)가 도로표지 병(60)을 관통하여 상기 지주(62)에 고정되어, 상기 지주(62)를 도로의 중앙분리선에 매설함으로써 도로표지 병(60)이 중앙분리선을 따라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로표지 병(60)은 그 내부 공간에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된 스프레이노즐(61)이 내장되고, 상기 스프레이노즐(61)은 그 하부에 커넥터(64)를 매개로 물 공급수단이 연결됨으로써 스프레이 기능이 있는 도로표지 병(60)이 구성된다.
즉, 스프레이 기능이 있는 도로표지 병(60)은 상기 물 공급수단을 통해 물을 상기 스프레이노즐(61)에 공급함으로써 이 스프레이노즐(61)을 통한 물의 분사로 노면을 적셔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로표지 병(60)에는 물의 분사를 위하여 물 분사구멍(65)이 형성되고, 상기 물 분사구멍(65)은 분사되는 물의 퍼짐을 위하여 횡 방향으로 연장된 타원형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수의 도로표지 병(60)으로부터 물이 분사되어 나옴으로써 노면을 세척할 수 있는바, 상기 도로표지 병(60)의 좌우로부터 분사되는 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노면에 공급되고, 공급되는 물이 노면의 보다 넓은 부위에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로표지 병(60)은 상기 저류조(20)의 보조 펌프(32)에 도로표지 병 배관(50)을 매개로 다수의 스프레이노즐(61)이 설치되어 스프레이노즐(61)을 통해 좌우 수평방향으로 정화된 우수 또는 각종 용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한편, 도 7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클린 로드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로 결빙방지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컨트롤러(40)에 강설감지기(71)와 기후측정장치(72)가 연결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40)의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설치실(70)에는 제설제 저장수조(73)와 제설제를 외부로 공급하는 압축펌프(74)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압축펌프(74)에 연결된 공급배관(75)을 통하여 상기 제설제를 도로표지 병(60)의 스프레이노즐(61)을 통해 노면에 분사함으로써 노면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클린 로드 시스템에 부가된 도로 결빙방지장치는 우선 상기 강설감지기(71)에서 도로에 눈이 쌓이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40)에 신호를 보내고, 또한 상기 기후측정장치(72)에서 기후가 영하로 내려가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40)에 신호를 보내며, 상기 컨트롤러(40)는 강설감지기(71)의 신호와 기후측정장치(72)의 신호를 종합하여 도로가 결빙될 것이라는 것을 파악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40)가 상기 설치실(70)에 신호를 보내어 상기 제설제 저장수조(73)에 담긴 제설제를 상기 압축펌프(74)로 공급배관(75)을 통해 외부로 압송하게 되고, 상기 공급배관(75)에 연결된 도로표지 병(60)의 스프레이노즐(61)이 상기 제설제를 노면에 살포함으로써 노면이 결빙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로 결빙방지장치를 통해 도로가 결빙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도로 결빙에 따른 사고를 막아줄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도로를 최적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 로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 유입수의 재활용이 가능한 우수관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우수관거의 저류조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린 로드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린 로드 시스템의 도로표지 병을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 로드 시스템의 도로표지 병을 이용하여 도로를 세척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 로드 시스템의 도로 결빙방지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우수관거 11 : 콘크리트 측구
12 : 가로막이판 12a : 타공홀
13 : 여과재 14 : 본체
15 : 우수유입 커버 16 : 침투커버
17 : 우수 침투홀 18 : 물흐름 통로
20 : 저류조 30 : 펌핑장치
31 : 배수용 펌프 32 : 보조 펌프
40 : 컨트롤러 50 : 배관
51 : 배출 파이프 52 : 도로표지 병 배관
60 : 도로표지 병 61 : 스프레이노즐
62 : 지주 63 : 체결볼트
64 : 커넥터 65 : 물 분사구멍
70 : 설치실 71 : 강설감지기
72 : 기후측정장치 73 : 제설제 저장수조
74 : 압축펌프 75 : 공급배관

Claims (4)

  1. 도로변 지중에 매설된 U자형의 콘크리트 측구(11)와, 이 콘크리트 측구(11)의 내측에 설치되어 다수의 타공홀(12a)이 형성된 가로막이판(12)과, 외측을 이루는 세로막이판과, 그 내부의 여과재(13)를 통해 우수 또는 각종 용수를 정화하여 배출하는 본체(14)로 이루어진 우수관거(10);
    상기 콘크리트 측구(11)의 하부와 상기 본체(14)가 이루는 공간에 물흐름 통로(18)가 형성되어 이 물흐름 통로(18)에 설치된 우수유입 파이프(21)를 통해 정화된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저류조(20);
    상기 저류조(20)에 연결설치되어 저류조(20) 내부의 우수량을 조절하는 배수용 펌프(31)와 이 배수용 펌프(31)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정화된 물을 노면으로 공급할 수 있는 보조 펌프(32)로 이루어진 펌핑장치(30);
    상기 저류조(20)의 수량을 감지함과 아울러 도로의 노면 상태를 파악하여 상기 펌핑장치(30)를 작동시키고, 상기 펌핑장치(30)가 구동되는 시간 및 노면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컨트롤러(40);
    상기 저류조(2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배출 파이프(5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배관(50); 및
    상기 배관(5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노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그 내부 공간에 다수의 스프레이노즐(61)이 내장됨과 아울러 그 좌우 측벽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타원형의 물 분사구멍(65)이 형성된 도로표지 병(60);을 포함하되,
    상기 우수관거(1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우수 또는 각종 용수가 상기 저류조(20)에 담긴 상태에서 상기 배관(50)과 도로표지 병(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도로의 노면에 공급됨으로써 우수 또는 각종 용수의 재활용이 가능하며,
    상기 도로표지 병(60)은 상기 저류 조(20)의 보조 펌프(32)에 도로표지 병 배관(52)을 매개로 다수의 스프레이노즐(61)이 설치되어 스프레이노즐(61)을 통해 좌우 수평방향으로 정화된 우수 또는 각종 용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로표지 병(60)은 그 측벽에 다수의 반사판이 부착되고, 그 하부 면에 지주(62)가 일체로 부착설치되며, 상기 도로표지 병(6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볼트(63)가 도로표지 병(60)을 관통하여 상기 지주(62)에 고정되어, 상기 지주(62)를 도로의 중앙분리선에 매설함으로써 중앙분리선을 따라 고정설치되며,
    상기 도로표지 병(60)은 그 내부 공간에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된 스프레이노즐(61)이 내장되고, 상기 스프레이노즐(61)은 그 하부에 커넥터(64)를 매개로 물 공급수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 로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40)에 강설감지기(71)와 기후측정장치(72)가 연결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40)의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설치실(70)에는 제설제 저장수조(73)와 제설제를 외부로 공급하는 압축펌프(74)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압축펌프(74)에 연결된 공급배관(75)을 통하여 상기 제설제를 도로표지 병(60)의 스프레이노즐(61)을 통해 노면에 분사함으로써 노면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 로드 시스템.
KR1020070128893A 2007-09-12 2007-12-12 클린 로드 시스템 KR100933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92760 2007-09-12
KR1020070092760 2007-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551A KR20090027551A (ko) 2009-03-17
KR100933570B1 true KR100933570B1 (ko) 2009-12-23

Family

ID=4069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893A KR100933570B1 (ko) 2007-09-12 2007-12-12 클린 로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5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679B1 (ko) * 2020-06-02 2020-10-16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개선된 클린 로드 시스템
KR102166681B1 (ko) * 2020-06-02 2020-10-19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클린 로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076B1 (ko) * 2009-05-25 2009-07-23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빗물을 이용한 도로의 비산먼지 제거장치
KR101121490B1 (ko) * 2009-06-18 2012-03-13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포장도로면 자동 물청소 장치
KR101217797B1 (ko) * 2010-03-15 2013-01-02 방부현 활주로 안개 제거 장치
KR101369800B1 (ko) * 2011-11-21 2014-03-0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하폐수 처리장 처리수를 이용한 도로청소 시스템
CN108457336A (zh) * 2018-01-29 2018-08-28 天津美加恒升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智能雨水回收系统
KR102014711B1 (ko) * 2018-04-16 2019-10-21 (주)바이콕 공공거리 시설에 적용 가능한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CN108392923A (zh) * 2018-05-17 2018-08-14 珠海广睿汇利发展有限公司 一种道路汽车尾气降解及除尘系统
KR102069469B1 (ko) * 2018-09-13 2020-01-22 주식회사 그린우전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기능 버스 승강장 시스템
CN112999719B (zh) * 2021-02-26 2022-09-16 青岛西海岸市政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污水管网用污水净化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8829A (ja) * 1997-11-28 1999-06-15 Nihon Sekkei Inc 路面洗浄装置
JP2004169352A (ja) * 2002-11-19 2004-06-17 Kondo Denki Kk 消雪ポンプ制御システム
KR100464356B1 (ko) * 2002-09-16 2005-01-03 로얄정보기술 주식회사 도로의 결빙방지용 융빙액 분사장치
KR20050038744A (ko) * 2003-10-22 2005-04-29 이지룡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8829A (ja) * 1997-11-28 1999-06-15 Nihon Sekkei Inc 路面洗浄装置
KR100464356B1 (ko) * 2002-09-16 2005-01-03 로얄정보기술 주식회사 도로의 결빙방지용 융빙액 분사장치
JP2004169352A (ja) * 2002-11-19 2004-06-17 Kondo Denki Kk 消雪ポンプ制御システム
KR20050038744A (ko) * 2003-10-22 2005-04-29 이지룡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679B1 (ko) * 2020-06-02 2020-10-16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개선된 클린 로드 시스템
KR102166681B1 (ko) * 2020-06-02 2020-10-19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원격제어 기능을 갖는 클린 로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551A (ko) 2009-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570B1 (ko) 클린 로드 시스템
KR101164802B1 (ko) 클린 로드 시스템 및 그 클린 로드 시스템 작동방법
KR20180007803A (ko) 클린 로드 시스템
KR101121490B1 (ko) 포장도로면 자동 물청소 장치
KR101212281B1 (ko) 자체 세정 기능을 갖는 난간대
KR100844582B1 (ko) 도로노면 세척 및 결빙방지시스템
US20160053452A1 (en) Ice and snow removal system and apparatus
WO2015072447A1 (ja) 車両用付着物除去装置
KR100979766B1 (ko)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 기능유지차
KR101011998B1 (ko) 액상 제설재 살포장치
KR200243344Y1 (ko) 지하철 궤도주행용 하수구 준설차
KR101232896B1 (ko) 수로를 이용한 식생부를 가지는 매립형 궤도 선로 구조체
KR100896695B1 (ko) 우수의 재활용이 가능한 우수관거 시스템
CN108860072B (zh) 机动车清洗系统、含该系统建筑物、车道和停车场及应用
KR102530683B1 (ko) 공기정화 방음터널
KR100964820B1 (ko) 염수를 이용한 해상 교량의 자동제설장치
JPH09228427A (ja) 中水装置および融雪装置
KR102073520B1 (ko) 매립식 도로 결빙방지 및 노면세척 살수 시스템과 그 공법
KR100478606B1 (ko) 도로면과 접하는 인도면에 시공한 청소 및 빗물 배수로의구조
KR200318954Y1 (ko) 터널내 오염 공기 정화용 순환세정식 정화장치
KR20120005425A (ko) 클린 로드 시스템 작동방법
KR20210090823A (ko) 차선규제블럭을 이용한 스마트 클린로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JP3118510B2 (ja) 雨水の利用装置
KR100294321B1 (ko) 멀티스프레이식 터널청소장치
KR100715462B1 (ko) 도로의 제설제 분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