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684B1 - 연사기 - Google Patents
연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30684B1 KR100930684B1 KR1020070111167A KR20070111167A KR100930684B1 KR 100930684 B1 KR100930684 B1 KR 100930684B1 KR 1020070111167 A KR1020070111167 A KR 1020070111167A KR 20070111167 A KR20070111167 A KR 20070111167A KR 100930684 B1 KR100930684 B1 KR 1009306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bbin
- moving
- unit
- gear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1589086 Bellapiscis medi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01H7/02—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for imparting permanent twist
- D01H7/86—Multiple-twist arrangements, e.g. two-for-one twisting devices ; Threading of yarn; Devices in hollow spindles for imparting false twist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00—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 D01H1/14—Details
- D01H1/20—Driving or stopping arrangements
- D01H1/24—Driving or stopping arrangements for twisting or spinning arrangements, e.g. spindles
- D01H1/242—Driving or stopping arrangements for twisting or spinning arrangements, e.g. spindles driven by toothed wheel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3/00—Other 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details or accessories
- D01H13/04—Guides for slivers, rovings, or yarns; Smoothing die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3/00—Other 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details or accessories
- D01H13/10—Tension devices
- D01H13/108—Regulating tension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s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01H7/02—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for imparting permanent twist
- D01H7/04—Spindles
- D01H7/08—Mounting arrangements
- D01H7/10—Spindle supports; Rails; Rail supports, e.g. poker guide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7/00—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 D01H7/02—Spinning or twisting arrangements for imparting permanent twist
- D01H7/86—Multiple-twist arrangements, e.g. two-for-one twisting devices ; Threading of yarn; Devices in hollow spindles for imparting false twist
- D01H7/866—Means to facilitate the unwinding of ya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사기에 관한 것으로, 테이블과, 보빈이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다수의 곡선 레일이 일렬로 연통하도록 테이블 상에 형성하는 레일형성대로 된 지지부; 원동기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주동기어를 구비한 구동부; 상기 테이블 상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종동기어와, 둘레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홈을 이루고 걸림홈에 고정된 보빈을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실이 꼬이도록 하는 걸림돌부를 구비한 제1,2꼬임수단; 제1,2꼬임수단의 종동기어 사이에서 일렬로 맞물려 연동하는 종동기어와, 둘레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홈을 이루고 걸림홈에 고정된 보빈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실의 꼬임을 푸는 동시에 상기 제1,2꼬임수단에서 각각 유입된 보빈의 실들이 서로 감겨 엮이도록 이동시키는 걸림돌부를 구비한 감김수단;으로 되되, 상기 종동기어들 중 하나는 상기 주동기어와 맞물려 연동하고, 상기 수단들의 각 걸림홈은 일정주기로 서로 마주해 포개지도록 된 보빈이동부; 상기 보빈이동부로 이동하는 보빈의 인출 실들이 집중하여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형성한 가이드; 및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한 실들이 서로 감기면서 이루어진 연사를 잡아당기도록 서로 마주하여 상기 연사를 압출하는 롤러를 갖는 당김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사기에 관한 것이다.
연사(撚絲, twisting)는 연속된 섬유의 실 또는 방적사에 꼬임을 더 주거나 두 올 이상의 실을 합하여 꼬임을 주는 일 또는 꼬임을 준 실을 지칭하는 것으로,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일예로, 로프와 같이 강도와 가요성이 동시에 요구되는 연사의 경우에는 어구(漁具) 및 선구(船具)로 활용되거나 내구성이 우수하여 임업(林業) 또는 운수업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연사를 이루는 실을 다양한 색상으로 하여 제작하거나 꼬는 방식을 독특하게 함으로서 연사의 외관미를 개선시키면, 섬유업 및 의류업 등과 같은 디자인 관련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연사는 산업 전반에 걸쳐 이용되므로 소비량이 많아지고, 결국 대량생산이 요구된다. 따라서, 연사 제작은 원동기를 구동수단으로 하는 연사기에 의해 대량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연사 제작에 쓰이는 기계로는 링연사기(ring twister)와 플라이어 연사기(flyer twister)가 있는데, 한국에서는 장섬유용 연사에 이탈리아식 플라 이어 연사기가 많이 쓰인다. 또, 2중연사기(two one twister)와 같이 1회전에 2회 꼬임을 주는 것도 있다. 장식사와 같이 여러 가지 특이한 모양과 효과를 나타나게 하는 데는 특수연사기나 장식연사기(fancy twister)가 쓰인다.
그런데, 상술한 종류의 종래 연사기는 다수의 보빈(일명 실패)에서 인출되는 실을 별도의 플라이어가 잡아 꼬는 방식으로, 상기 보빈은 일 지점에 고정된 채 계속해서 실을 풀어내기만 하고, 상기 플라이어는 보빈의 수에 상응하는 수만큼 장착되어서 실 하나하나를 꼬거나 둘 이상의 실 서로 엇갈리도록 회전한다.
한편, 연사는 그 용도와 필요에 따라 구성된 실의 개수를 조절하거나, 필요한 만큼의 연사를 제작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 연사기는 실의 개수를 조절하기 위해 보빈의 수를 가감하는 것 이외에도, 보빈과 짝을 이루는 플라이어의 수를 보빈의 수에 맞춰 가감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플라이어의 수를 가감하면 플라이어를 고정하면서 회전시키는 고정체의 수도 가감해야 했다.
즉, 종래 연사기는 보빈의 수 증감을 고려하여 플라이어와 고정체를 추가 또는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 연사기는 연사의 제작량을 조절하기 곤란하고 대부분 대량 생산에 적합하도록 제작되므로, 연사의 소량생산에는 이를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결국, 종래 연사기는 플라이어와 고정체를 수용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과 여분의 플라이어 및 고정체를 항시 준비해야 하므로, 연사기의 규모가 불필요하게 커 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보빈의 수를 조정할 때마다 플라이어 및 고정체를 일일이 탈부착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여 생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와 더불어, 필요한 양만큼의 연사생산을 쉽게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연사기가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연사 제작을 위한 실의 수 조절을 용이하게 하여서, 연사의 생산효율을 높이는 한편, 필요한 만큼의 연사를 생산하여 섬세한 생산량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연사기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테이블과, 보빈이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다수의 곡선 레일이 일렬로 연통하도록 테이블 상에 형성하는 레일형성대로 된 지지부;
원동기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주동기어를 구비한 구동부;
상기 테이블 상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종동기어와, 둘레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홈을 이루고 걸림홈에 고정된 보빈을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실이 꼬이도록 하는 걸림돌부를 구비한 제1,2꼬임수단; 제1,2꼬임수단의 종동기어 사이에서 일렬로 맞물려 연동하는 종동기어와, 둘레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홈을 이루고 걸림홈에 고정된 보빈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실의 꼬임을 푸는 동시에 상기 제1,2꼬임수단에서 각각 유입된 보빈의 실들이 서로 감겨 엮이도록 이동시키는 걸림돌부를 구비한 감김수단;으로 되되, 상기 종동기어들 중 하나는 상기 주동기어와 맞물려 연동하고, 상기 수단들의 각 걸림홈은 일정주기로 서로 마주해 포개지도록 된 보빈이동부;
상기 보빈이동부로 이동하는 보빈의 인출 실들이 집중하여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형성한 가이드; 및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한 실들이 서로 감기면서 이루어진 연사를 잡아당기도록 서로 마주하여 상기 연사를 압출하는 롤러를 갖는 당김부;
를 포함하는 연사기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사기의 점유공간을 최소화하여 기기의 집적도를 높이고, 이를 통해 공간 대비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다양한 재질과 용도에 맞춰 연사를 제작하기 위해 실을 가감함에 있어서 추가되거나 제외되는 실의 보빈 만을 가감하면 되므로, 연사기의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사기는 생산되는 연사의 양을 조정하여 필요한 만큼의 연사를 제작할 수 있고, 보빈의 교체만으로 다른 종류의 연사로 쉽게 바꾸어 생산할 수 있으므로, 연사기의 이용효율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사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사기는 연사기의 외형을 이루는 지지부(100)와, 연사기의 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 및 전달하는 구동부(200)와, 지지부(100)에 고정 배치되어서 구동부(200)의 동력을 받아 다수의 보빈(700)을 이동시키는 보빈이동부(300)와, 상기 구동부(200)의 동력을 하기 당김부(500) 및 이송부(60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400)와, 다수의 보빈(700)으로부터 인출된 실(W)이 꼬여 이루어진 연사(R)를 잡아당기면서 압을 가해 꼬인 상태를 견고히 하는 당김부(500)와, 당김부(500)로부터 인출되는 연사(R)를 당겨 안내하는 이송부(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사기는 보빈(700)을 직접 회전시켜서, 보빈(700)으로부터 인출되는 실(W)이 꼬이도록 한다. 또한, 보빈(700)을 잡아 이동시키는 보빈이동부(300)는 보빈(700)이 이동하는 최소한의 점유공간 범위 내에서 보빈(700)을 가감할 수 있도록 되므로, 보빈(700)의 추가를 위한 별도의 공간확보가 요구되지 않는다.
도 1에는 2개의 보빈(700)이 도시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연사기에 적용되는 보빈(700)이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는 4개의 보빈(700)이 적용된 것을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사기의 구조를 앞서 기술한 구성 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지지부(100)는 보빈이동부(300)와 동력전달부(400)와 당김부(500) 등을 고정 지지하고, 필요에 따라 이송부(600)를 더 탑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100)는 보빈이동부(300)가 고정되는 테이블(110)과, 보빈이동부(300)를 덮어 보호하면서 보빈(7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2,3레일(121, 122, 123)을 형성시키는 레일형성대(12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 레일형성 대(120)가 테이블(110)과 분리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테이블(110)과 레일형성대(120)는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상기 지지부(100)는 보빈이동부(300)의 상방에 배치되는 가압형 당기부(500)와 이송부(600) 등을 지지하는 상판(150)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상판(150)을 보빈이동부(300)로부터 상방으로 이격 지지하기 위해 상하단이 각각 테이블(110)과 상판(150)에 연결되는 다수의 지주(140)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110), 커버(120), 지주(140) 및 상판(150)을 포함하는 지지부(10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으므로, 도 1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구동부(200)는 보빈이동부(300)의 동작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외에도 상기 당김부(500) 및 이송부(600)의 동작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는 연사기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원동기(210)를 갖추며, 이 원동기(210)는 보빈이동부(300)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주동기어(220)와 연결된다. 즉, 상기 원동기(210)가 회전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주동기어(220)는 원동기(210)의 회전력을 받아 이를 보빈이동부(300)의 제1종동기어(311)로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원동기(210)는 전기모터이거나, 화석연료 등이 사용되는 엔진일 수 있다.
상기 보빈이동부(300)는 보빈(700)을 이동가능하게 고정하면서 각 보빈(700)으로부터 인출되는 실(W)을 꼬아 묶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사기의 가장 중요한 구성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이동부의 일부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종동기어에 의한 보빈이동부의 연동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이동부에 의해 보빈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보빈이동부(300)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보빈이동부(300)는 둘 이상의 이동대를 포함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연사기의 실시예에서는 이동대를 3개로 하고, 각각의 이동대를 제1,2,3이동대(310, 320, 330)로 구분하였다.
상기 제1,2,3이동대(310, 320, 330)는 각각 제1,2,3종동기어(311, 321, 331)와, 제1,2,3걸림돌부(312, 322, 332)와, 제1,2,3디스크(314, 324, 334)로 구성된다. 상기 제1,2,3종동기어(311, 321, 331)는 해당 제1,2,3걸림돌부(312, 322, 332)와 동축으로 연결되어서, 제1,2,3종동기어(311, 321, 331)가 회전하면 제1,2,3걸림돌부(312, 322, 332)도 이를 따라 회전한다. 반면, 제1,2,3종동기어(311, 321, 331)와 제1,2,3걸림돌부(312, 322, 332)의 상방에 위치한 제1,2,3디스크(314, 324, 334)는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어서, 상기 레일형성대(120)와 더불어 제1,2,3레일(121, 122, 123)을 형성한다. 결국, 상기 보빈(700)은 제1,2,3디스크(314, 324, 334)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1,2,3레일(121, 122, 123)의 안내를 받아 이동 하게 된다.
상기 제1,2,3걸림돌부(312, 322, 332)는 일정간격으로 제1,2,3걸림홈(313, 323, 333)을 형성시켜서, 보빈(700)의 하단에 돌출된 걸림돌기(712; 도 6 참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된다. 즉, 상기 걸림돌기(712)는 제1,2,3걸림홈(313, 323, 333)에 맞물려서 제1,2,3걸림돌부(312, 322, 332)가 회전하면 힘을 받아 이동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1,2,3이동대(310, 320, 330)는 일렬로 연결되고, 상기 주동기어(220)는 제1이동대(310)와 연결된다. 따라서, 주동기어(220)의 회전력은 제1,2,3,이동대(310, 320, 330)에 순차로 전달되면서 보빈이동부(300) 전체가 동작하게 된다.
즉, 주동기어(220)가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종동기어(31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종동기어(32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3종동기어(331)는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보빈(700)으로부터 인출되는 실(W)은 약속된 시간과 위치에 따라 서로 엇갈려야 하고, 제1,2,3레일(121, 122, 123)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보빈(700) 또한 충돌됨 없이 원활히 이동해야 하므로, 제1,2,3이동대(310, 320, 330)의 상호 연동은 정확한 규칙에 따라 동작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주동기어(220)와 제1,2,3종동기어(311, 321, 331)는 마찰에 의한 연동이 아닌 톱니에 의한 걸림으로 상호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4는 제2이동대(320)에 위치한 보빈(700)이 제1,3이동대(310, 330)로 유입되기 직전의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서, 보빈(700)은 제1,2,3이동대(310, 320, 330)를 걸림없이 모두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2,3걸림돌부(312, 322, 332)는 이웃하는 걸림돌부가 서로 교차하도록 근접하고, 제1,2,3걸림홈(313, 323, 333) 또한 이웃하는 걸림홈이 만나도록 된다. 즉, 제1걸림홈(313)이 제2이동대(320)에 최근접하면 제2이동대(320)의 제2걸림홈(323)도 제1이동대(310)에 최근접하면서 제1,2걸림홈(313, 323)이 서로 만나는 것이다. 결국, 임의 제1걸림홈(313)에 보빈(700)의 걸림돌기(712)가 맞물려 있다가 제2걸림홈(323)과 만나게 되면, 제1이동대(310)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이동대(320)의 제2걸림돌부(322)에 해당 걸림돌기(712)가 걸리면서 제2레일(122)로 안내되어, 당해 보빈(700)은 제1레일(121)에서 제2레일(122)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제2이동대(320)와 제3이동대(330) 사이에서도 상술한 동작으로 보빈(700)이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2,3걸림홈(313, 323, 333)은 도 4에 도시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 제1,2,3걸림홈(313, 323, 333) 중 일부는 이웃하는 제1,2,3걸림홈(313, 323, 333) 간에 마주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이동대(310)에 구비된 제1걸림홈(313)과 제2이동대(320)에 구비된 제2걸림홈(323)의 수를 달리하여서 제1,2걸림홈(313, 323)의 마주함 여부가 교대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제1걸림홈(313)이 한번은 제2걸림홈(323)과 마주하고, 상기 제1걸림홈(313)의 다음 제1걸림홈은 제2이동대(320)의 제2걸림돌부(322)와 마주하여서 상기 제1걸림홈(313)에 고정된 보빈은 제1레일(121)에서 제2레일(122)로 이동할 수 있지만, 상기 다음 제1걸림홈에 고정된 보빈은 제1레일(121)에서 제2레일(122)로 이동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웃하는 이동대의 걸림홈 끼리 서로 마주해 포개지더라도 제1걸림홈(313)의 크기보다 제2걸림홈(323)의 크기가 커서 제2걸림돌부(322)가 걸림돌기(712)를 걸지 못한다면, 보빈(700)은 제2걸림홈(323)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제1걸림홈(313)을 따라 그대로 이동할 것이다.
즉, 이동대 사이를 이동하는 보빈(700)의 이동은 이동대 각각의 걸림홈과 걸림돌기의 배치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3이동대(310, 330)를 지나는 보빈(700)은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당해 보빈(700)의 인출 실(W)은 가이드(160)의 관통구멍(161)을 통과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꼬이고(도 5(a) 참조), 제2이동대(320)를 지나는 보빈(700)은 다시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당해 보빈(700)의 인출 실(W)은 시계방향으로 풀린다.(도 5(b)(c) 참조) 즉, 제1,3이동대(310, 330)를 지날 땐 보빈(700)의 인출 실(W)이 360도 회전하면서 꼬이고, 제2이동대(320)를 지날 때 보빈(700)의 인출 실(W)이 180도 회전하면서 풀리는 동시에 다른 보빈의 실과 서로 감기면서 엮이는 것이다. 즉, 제1,3이동대(310, 330)를 지나면서 꼬인 실(W)이 복귀하려는 힘과 이를 잡아 지지하려는 실(W) 간의 감김이 맞물리면서 실(W)들 간의 긴밀한 엮임으로 연사(R)가 생산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제1,3이동대는 각각 제1,2꼬임수단이고, 제2이동대는 감김수단이 된다.
여기서 상기 제1,2꼬임수단은 이동대에서 실(W)이 꼬이는 곳을 칭하고, 상기 감김수단은 이동대에서 두 개의 실(W)이 감기는 곳을 칭한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의 형상에 한정됨 없이 보빈(700)을 이동시켜서 실(W)의 꼬임과 감김을 수행하는 수단이라면,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연사(R)는 가이드(160)의 관통구멍(161)을 지나 당김부(500)로 당겨진다. 상기 당김부(500)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한편, 상기 제1,2,3걸림홈(313, 323, 333)은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홈(313, 323, 333)의 수만큼 보빈(700)의 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보빈(700)의 수를 조정하기 위해 구성요소의 추가 설치 및 부가는 필요없다.
또한, 제1,2,3레일(121, 122, 123)에 인접하는 레일형성대(120)의 일지점을 제1,2,3레일(121, 122, 123)에 통하도록 절개하여서, 이곳을 통해 보빈(700)의 탈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이렇게 절개된 일지점은 평상시 덮개(124)를 씌워 폐구함으로서, 제1,2,3레일(121, 122, 123)을 통과하는 보빈(700)의 이탈을 방지한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사기에 적용되는 보빈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7는 상기 보빈의 동작모습을 순차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보빈(700)은 연사(R)를 이루는 실(W)을 감아 보관하면서, 필요에 따라 실(W)을 풀어 인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보빈이동부(300)의 상기 제1,2,3걸림홈(313, 323, 333)에 맞물리는 걸림돌기(712)를 갖추고 상기 제1,2,3레일(121, 122, 123)에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맞물림홈(711)을 형성한 이동자(710)와, 이동자(710)의 상방에 입설되는 플라이어(720)와, 실(W)을 감아 보관하면서 상기 플라이어(720)에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스핀틀(74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자(710)는 보빈이동부(300)와 연결되어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실(W)은 상기 당김부(500)의 장력을 받아 스핀틀(740)로부터 풀려 인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사기의 실시예에서, 보빈(700)은 상기 이동자(710), 플라이어(720) 및 스핀틀(740) 이외에, 승강레일(730), 승강대(750) 및 스토퍼(7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라이어(720)의 상단에는 지지레일(721)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스핀틀(740)의 상면에는 걸림기어(741)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빈(700)은 실(W)이 당김부(500)의 장력에 의해 인출되는 것으로, 고속으로 동작하는 구동부(200)의 회전력에 의해 실(W)의 인출속도는 고속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플라이어(720)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스핀틀(740)은 고속으로 인출되는 실(W)에 의해 회전여부에 대한 제어가 어렵게 된다. 즉, 연사기의 동작을 정지시켜서 당김부(500)가 더 이상 실(W)을 잡아당기지 않아도, 스핀틀(740)은 관성에 의해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실(W)을 풀어내므로, 연사기를 재작동시키면 다수의 보빈(700)으로부터 인출된 실(W)들이 서로 뒤엉켜서 연사기의 정상적인 작동을 방해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보빈(700)이 인출하는 실(W)에 대한 제어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스핀틀(740)의 회전 제어가 반드시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사기는 실(W)의 인출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스핀틀(740)의 회전을 제어하여서, 보빈(700)으로부터 실(W)이 불필요하게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빈(700)은 맞물림홈(711)과 걸림돌기(712)를 갖춘 이동자(710)와, 상기 이동자(710)의 상방에 입설되고 상단에 지지레일(721)이 형성된 플라이어(720)와, 플라이어(72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면에는 원주를 따라 걸림기어(741)가 돌출 형성되며 둘레면을 따라 실(W)이 감기는 스핀틀(740)과, 상기 플라이어(720)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스핀틀(740)로부터 인출되는 실(W)이 관통하는 인출구멍(731)과 상단에는 실(W)을 잡아 안내하는 안내구멍(732)을 갖는 승강레일(730)과, 승강레일(730)을 따라 이동하고 인출구멍(731)을 통과한 실(W)이 하단에 감기는 승강대(750)와, 상기 승강레일(730)의 말단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승강대(750)에 의해 밀려 올라가는 한편 상기 걸림기어(741)와 맞물리는 돌출턱(761)을 구비한 스토퍼(760)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조를 이루는 보빈(700)을 도 7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a)는 당김부(500)가 실(W)을 당기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스핀틀(740)로부터 인출된 실(W)은 인출구멍(731)을 관통하여 승강대(750)와 승강레일(730) 사이로 안내되고, 이렇게 안내된 실(W)은 승강대(750)의 하단을 중심으로 다시 상방으로 방향 전환되어서 승강레일(730)을 따라 상방으로 배치되어 안내구멍(732)을 통해 상기 관통구멍(161)을 향한다. 한편, 승강레일(730)의 상단에 배치된 스토퍼(760)는 지지레일(721)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홈(762)에 의해 상하 이동범위가 지지레일(721)의 범위로 제한되고, 평상시에는 자체 하중으로 지지레일(721)의 최하단에 위치하면서 돌출턱(761)은 걸림기어(741)에 맞물린다.
결국, 스핀틀(740)은 상기 돌출턱(761)과 걸림기어(741)의 맞물림으로 그 회전에 제한을 받아 정지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보빈(700)에 연결된 실(W)이 당김부(500)의 장력을 받으면, 승강대(750)와 더불어 승강레일(730)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핀틀(740)이 정지된 상태에서 실(W)이 승강대(750)의 하단을 감싸 힘을 가하기 때문이다.
도 7(c)를 참조하면, 당김부(500)의 지속적인 장력을 받아 승강대(750)가 상승하면서 스토퍼(760)를 밀어 올리면, 상기 스토퍼(760)는 지지레일(721)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돌출턱(761)과 걸림기어(741)의 맞물림을 해제하게 된다. 즉, 상기 스핀틀(740)은 외력을 받아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d)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레일(730)의 상단에 위치한 승강대(750)는 자체 하중으로 승강레일(730)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승강대(750)의 자중은 스핀틀(740)로부터 인출되는 실(W)에 장력을 가하므로, 스핀틀(740)은 회전하게 되고, 결국 필요한 만큼의 실(W)만이 스핀틀(740)로부터 풀리게 된다. 물론, 풀린 실(W)의 길이만큼 보빈(700)으로부터 실(W)이 인출되고, 이렇게 인출된 실(W)은 연사(R) 제작에 활용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760)는 다시 하방으로 이동하여, 돌출턱(761)과 걸림기어(741)는 상호 맞물리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160)는 보빈이동부(300)의 상방에 관통구멍(161)을 위치시켜서, 보빈이동부(300)를 따라 다양한 지점에서 이동하는 다수 보빈(700)의 인출 실(W)을 집중시키고 이들이 서로 꼬여서 연사(R)를 이루도록 하며, 이렇게 이루어진 연사(R)는 가이드(160)의 상방에 위치한 당김부(500)의 장력에 의해 상방이동한다. 보빈(700)으로부터 실(W)을 인출시키는 힘은 상기 당김부(500)로부터 발생한다 할 것이다.
상기 당김부(500)는 관통구멍(161)을 통과한 연사(R)를 팽팽하게 당기면서 외면에 외력을 가해서, 연사(R)의 꼬인 상태를 긴밀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가압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당김부(500)는 서로 일렬로 배치되어 맞물려 회전하는 제1,2,3롤러(520, 530, 540)와, 상기 제1,2.3롤러(520, 530, 540)를 회전가능하게 고정지지하는 제1고정프레임(5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2.3롤러(520, 530, 540)는 관통구멍(161)을 통해 올라온 연사(R)를 압출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고, 제1,2,3롤러(520, 530, 540)의 회전이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제1,2,3연동기어(521, 531, 541)를 매개로 상호 맞물린다.
본 발명에 따른 연사기의 실시예에서, 상기 당김부(500)를 이루는 롤러를 3개로 하였지만, 최소 2개의 롤러만이 있어도 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이 롤러의 개수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제1,2,3롤러(520, 530, 540) 사이로 삽입되어 압출되는 연사(R)를 잡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제1,2,3롤러(520, 530, 540)의 둘레면에는 가이드라인(G)을 형성시켜서, 상기 연사(R)가 가이드라인(G)을 따라 압출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당김부(500)는 보빈(700)으로부터 실(W)을 인출하는 장력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이를 가압하여서, 완성된 연사(R)를 마감처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보빈이동부(300)와 같이 외부로부터 동력을 받아 동작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사기는 보빈이동부(300)의 동력원과 당김부(500)의 동력원을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실(W)을 꼬기 위해 보빈(700)을 이동시키는 보빈이동부(300)와, 보빈(700)으로부터 실(W)을 인출하는 당김부(500)는, 다수의 실(W)을 균일하게 꼬아서 연사(R)를 균형있게 제작하기 위해, 그 동작이 일정한 비율로 동일하게 작동해야 한다. 즉, 보빈이동부(300)와 당김부(500) 중 하나가 그 동작이 빨라지면 남은 하나도 균일한 속도로 그 동작이 빨라지고, 그 동작이 느려지면 남은 하나도 균일한 속도로 그 동작이 느려져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빈이동부(300)와 당김부(500)는 하나의 구동부(20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구동부(200)로부터 발생한 동력을 받아 이를 당김부(50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40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주동기어(220)과 동축인 구동축(410)에 연결되어서 회전중심을 직각으로 전환하는 웜기어(420)와, 웜기어(420)에 의해 구동축(410)과 직각으로 위치하면서 회전하는 제1회전축(423)에 고정되는 제1기어(430)와, 상기 제1기어(430)와 맞물려 연동하는 제2기어(440)와, 제1롤러(520)와 제2기어(440)를 동축으로 연결하는 제2회전축(45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110)에 수평하게 동작하는 보빈이동 부(300)는 수평하게 회전하는 주동기어(2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다. 이러한 상기 주동기어(220)는 수직한 구동축(41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한편, 보빈(700)으로부터 인출되는 실(W)은 관통구멍(161)을 관통해서 상방으로 이동하며, 이렇게 상방 이동하는 실(W)은 당김부(500)의 제1,2,3롤러(520, 530, 540)에 의해 압출된다. 이때, 상기 제1,2,3롤러(520, 530, 540)는 상기 실(W)을 압출하기 위해 수평한 제2회전축(450)을 중심으로 회전해야 한다.
결국, 상기 구동축(410)과 제2회전축(450)은 서로 직교하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직교하는 구동축(410)과 제2회전축(450)을 연동시키기 위해서는 웜기어 또는 베벨기어 등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웜기어와 베벨기어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기구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동력전달부(400)는 주동기어(220)와 동축인 구동축(410)과, 당김부(500)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2회전축(450)을 서로 연동시키기 위한 구조는 그 변형가능성이 다양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구동축(410)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의 효율을 높여서 당김부(500)가 보다 큰 장력으로 실(W) 및 연사(R)를 잡아당기도록 한다.
이를 위해 웜기어(420)를 이용해 충분한 회전력을 확보하고, 제1,2기어(430, 440)를 통해 구동축(410)의 회전수 대비 제2회전축(450)의 회전수를 조절한다.
상기 웜기어(420)는 구동축(410)에 동축으로 연결되는 웜(421)과, 상기 구동축(410)에 직각으로 배치되어서 고정체(424)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회전 축(423)과, 상기 웜(421)과 맞물리면서 제1회전축(423)에 동축으로 연결되는 웜휠(422)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회전축(423)에 동축으로 연결되는 제1기어(430)는 자신보다 반경이 큰 제2기어(440)와 맞물려서, 제2회전축(450)의 회전속도는 크게 줄이고 회전력은 증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사기는 이송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600)는 당김부(500)로부터 압출되는 연사(R)을 잡아 지지하면서, 제작이 완료된 연사(R)가 보관되는 일지점으로 안내 이송하는 것으로, 제1,2권취롤러(620, 630)가 서로 마주하며 회전하도록 제2고정프레임(610)에 고정되고, 제1,2권취롤러(620, 630)가 서로 동일한 회전속을 갖도록 제4,5연동기어(621, 631)를 매개로 상호 연동한다.
한편, 상기 이송부(600)가 이송하는 연사(R)의 속도는 당김부(500)로부터 압출되는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이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당김부(500)와 이송부(600)는 서로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상기 가압형 당기부(500)에는 제1휠(550)이 구비되고, 이송부(600)에는 제1휠(550)과 벨트(B) 등을 매개로 연동하는 제2휠(640)을 구비하되, 상기 제1휠(550)은 제2회전축(450)과 동축으로 연결되고, 제2휠(640)은 제1,2권취롤러(620, 630) 중 하나 이상과 동축으로 연결된다.
결국, 상기 보빈이동부(300), 당김부(500) 및 이송부(600)는 동력전달 부(400)와 제1,2휠(550, 640) 등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면서 동일한 구동부(200)로부터 동력을 받게 되므로, 보빈이동부(300), 당김부(500) 및 이송부(600)의 동작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사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의 동작모습을 순차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사기의 제2실시예에서는, 구동부(200)의 동력 이외에 수작업으로 연사기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핸들(411)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핸들(411)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구동축(410)과 동축으로 편중되게 연결되어서, 타단을 잡아 돌리면 구동축(410)이 회전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구동축(410)과 연결된 보빈이동부(300), 당김부(500) 및 이송부(600)가 모두 동작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사기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원동기(210)가 다수의 연사기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원동기(210)의 회전력을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연사기에 각각 전달하기 위해 수평배치된 동력전달축(823)은 각각의 연사기에서 수직으로 입설된 구동축(410)과 연동해야 한다.
여기서, 동력전달축(823)과 구동축(410)의 연동은 베벨기어(820)를 매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베벨기어(820)를 구성하는 제1베벨기어(821)는 구동축(410)과 동축인 동력축(810)에 고정되고, 제1베벨기어(821)와 맞물리는 제2베벨 기어(822)는 동력전달축(823)에 고정된다. 결국, 동력전달축(823)의 회전력은 상술한 베벨기어(820)를 매개로 동력축(810)에 전달되어서, 보빈이동부(300), 당김부(500) 및 이송부(600)를 동작시킨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원동기(210)가 다수의 연사기를 동작시키는 것이므로, 이들 중 하나의 연사기에 고장이 발생하여 이를 수리해야 하거나, 보빈(700)이 보유한 실(W)이 모두 사용되어 교체가 요구될 경우, 해당 원동기(210)의 작동을 정지시켜야 한다. 결국, 상기 원동기(210)가 동력을 공급하는 모든 연사기는 문제가 발생한 연사기를 정지시키기 위해 함께 정지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관리방식은 연사제작의 생산효율을 현저히 저하시키므로, 문제가 발생한 연사기는 그 동작을 정지시키면서도 원동기(210)는 다른 연사기의 동작을 위해 정지없이 계속 작동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사기의 제2실시예는 조작부(8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800)는 제1,2손잡이(850, 870)를 각각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1손잡이(850)는 연사기의 동작을 ON하고, 제2손잡이(870)는 연사기의 동작을 OFF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동력축(810)에 제1베벨기어(821)가 고정되고, 제1베벨기어(821)는 걸림대(824)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대(824)는 제1베벨기어(821)와 함께 회전하고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대(824a)를 구비한다.
상기 제1베벨기어(821)의 하방에는 연동대(830)가 동력축(810)에 고정 배치된다. 상기 연동대(830)는 볼록대(824a)에 대응하는 관통홈(831)을 갖추고, 상기 동력축(810)과 더불어 회전하도록 고정되므로, 동력축(810)과 분리될 수 있는 제1베벨기어(821)와는 달리 동력축(810)이 회전하면 항시 회전한다.
상기 연동대(830)의 하방에는 동력축(810)과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탈착대(840)가 배치된다. 상기 탈착대(840)는 상방으로 돌출된 끼움돌기(841)를 갖추며, 동력축(81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움돌기(841)는 연동대(830)의 관통홈(831)을 거쳐서 걸림대(824)의 볼록대(824a)와 맞물리도록 상방으로 이동할 수도 있고, 볼록대(824a)와 맞닿지 않도록 하방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상기 탈착대(840)의 하방에는 동력축(810)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전방으로는 핸들(851)이 돌출 형성된 제1손잡이(850)가 구비된다. 관리자는 상기 핸들(851)을 잡아 올림으로서 제1손잡이(850)를 상방으로 이동시켜서, 탈착대(840)를 상방으로 밀어올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핸들(851)에는 고정바아(860)가 입설되는데, 이 고정바아(860)의 일면에는 고정홈(861)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바아(860)는 핸들(851)에 형성된 삽입홈(851a)에 삽입되고, 핀,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852)을 매개로 상호 단단히 결합된다.
상기 레일형성대(120)에는 제2손잡이(870)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2손잡이(870)는 고정바아(860)의 고정홈(861)과 맞물리는 끼움돌기(871)가 형성되는데, 관리자가 제2손잡이(870)를 밀어 회동시키면, 끼움돌기(871)는 고정홈(861)으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제2손잡이(870)는 토션스프링(872)에 의해 고정바아(860)를 향해 회동하도록 탄발지지되므로, 평상시에는 상기 끼움돌기(871)가 고정홈(86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제2손잡이(870)에 의해 고정바아(860)가 상방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한다. 결국, 상기 고정바아(860)와 연결된 제1손잡이(850)는 동력축(810)을 따라 상방 이동하고, 탈착대(840) 또한 상방 이동하여 끼움돌기(841)가 관통홈(831)을 통해 제1베벨기어(821)의 볼록대(824a)와 측면으로 맞물린다. 따라서, 상기 제1베벨기어(821)의 회전력은 볼록대(824a)와 맞물린 끼움돌기(841)로 전달되고, 이 끼움돌기(841)는 상기 회전력을 연동대(830)에 전달해서 동력축(810)이 연동대(830)와 함께 회전하도록 된다.
한편, 관리자가 해당 연사기의 작동을 정지시켜야 할 경우,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손잡이(870)에 힘을 가한다. 이때, 상기 끼움돌기(871)와 고정홈(861) 간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고정바아(860)는 자체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한다. 물론, 상기 고정바아(860)에 의해 지지되던 제1손잡이(850)도 하중으로 하방이동하고, 상기 탈착대(840)는 제1손잡이(850)을 따라 자중으로 하방이동한다. 결국, 상기 탈착대(840)의 끼움돌기(841)는 볼록대(824a)의 맞물림 위치로부터 벗어나므로, 제1베벨기어(821)의 회전은 동력축(810)에 전달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제2손잡이(870)는 토션스프링(872)에 의해 고정바아(860)를 향해 지속 적으로 탄발되므로, 관리자가 일시적으로 제2손잡이(870)를 조작하여도 토션스프링(872)의 탄발력에 의해 고정바아(860)와 맞닿도록 복귀하여서, 제1손잡이(850)가 관리자의 조작으로 들어 올려져 고정바아(860)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고정홈(861)이 끼움돌기(861)에 맞물리고, 결국 고정바아(860)는 끼움돌기(871)에 지지되어 현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위치는 도 9(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끼움돌기(841)가 볼록대(824a)와 맞닿는 위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사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이동부의 일부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종동기어에 의한 보빈이동부의 연동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빈이동부에 의해 보빈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보빈의 이동모습을 순차 도시한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연사기에 적용되는 보빈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7는 상기 보빈의 동작모습을 순차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연사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의 동작모습을 순차 도시한 사시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지지부 110; 테이블
121, 122, 123; 제1 내지 4레일 124; 덮개
140; 지주 150; 상판
160; 가이드 161; 관통구멍
200; 구동부 210; 원동기
220; 주동기어 300; 보빈이동부
310, 320, 330; 제1 내지 3이동대
311, 321, 331; 제1 내지 3종동기어
312, 322, 332; 제1 내지 3걸림돌부
313, 323, 333; 제1 내지 3걸림홈
314, 324, 334; 제1 내지 3디스크
400; 동력전달부 410; 구동축
420; 웜기어 430, 440; 제1,2기어
450; 제2회전축 500; 당김부
510, 520, 530; 제1 내지 3롤러
600; 권취부 700; 보빈
800; 조작부 810; 동력축
820; 베벨기어 830; 연동대
840; 탈착대 850; 제1손잡이
860; 고정바아 870; 제2손잡이
W; 실 R; 연사
Claims (4)
- 테이블과, 보빈이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다수의 곡선 레일이 일렬로 연통하도록 테이블 상에 형성하는 레일형성대로 된 지지부;원동기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는 주동기어를 구비한 구동부;상기 테이블 상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종동기어와, 둘레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홈을 이루고 걸림홈에 고정된 보빈을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실이 꼬이도록 하는 걸림돌부를 구비한 제1,2꼬임수단; 제1,2꼬임수단의 종동기어 사이에서 일렬로 맞물려 연동하는 종동기어와, 둘레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홈을 이루고 걸림홈에 고정된 보빈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실의 꼬임을 푸는 동시에 상기 제1,2꼬임수단에서 각각 유입된 보빈의 실들이 서로 감겨 엮이도록 이동시키는 걸림돌부를 구비한 감김수단;으로 되되, 상기 종동기어들 중 하나는 상기 주동기어와 맞물려 연동하고, 상기 수단들의 각 걸림홈은 일정주기로 서로 마주해 포개지도록 된 보빈이동부;상기 보빈이동부로 이동하는 보빈의 인출 실들이 집중하여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형성한 가이드; 및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한 실들이 서로 감기면서 이루어진 연사를 잡아당기도록 서로 마주하여 상기 연사를 압출하는 롤러를 갖는 당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사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주동기어의 축과 상기 당김부의 롤러 축은 서로 직교하고, 동력전달부를 매개로 상기 축들이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사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주동기어의 축은 구동축으로 연장되고, 상기 당김부의 롤러 축은 제2회전축으로 연장되며;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구동축과 동축으로 고정되는 웜과, 제1회전축에 고정되고 웜과 맞물려 연동하는 웜휠과, 상기 제1회전축과 동축으로 고정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2회전축과 동축으로 고정되고 제1기어와 맞물려 연동하는 제2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사기.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주동기어와 원동기는 베벨기어 구조로 연동하되, 상기 주동기어와 동축으로 연장된 동력축과 분리되어 회전가능하게 끼워지고, 둘레면에 수평하게 돌출된 볼록대를 갖는 걸림대를 구비하며, 상기 원동기와 연결된 제2베벨기어와 맞물려 연동하는 제1베벨기어;상기 동력축과 일체로 연결되고 둘레면에 관통홈이 형성된 연동대;상기 동력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승강 위치에 따라 상기 관통홈을 지나 상기 볼록대와의 맞물림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돌출된 끼움돌기를 갖는 탈착대;상기 동력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탈착대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제1손잡이;일면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제1손잡이에 고정된 고정바아; 및상기 지지부에서 수평하게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홈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끼움돌기를 구비하되, 토션스프링을 매개로 상기 끼움돌기가 항시 고정홈을 향해 탄발되도록 된 제2손잡이;로 이루어진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사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1167A KR100930684B1 (ko) | 2007-11-01 | 2007-11-01 | 연사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1167A KR100930684B1 (ko) | 2007-11-01 | 2007-11-01 | 연사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4886A KR20090044886A (ko) | 2009-05-07 |
KR100930684B1 true KR100930684B1 (ko) | 2009-12-09 |
Family
ID=40855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11167A KR100930684B1 (ko) | 2007-11-01 | 2007-11-01 | 연사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3068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8802B1 (ko) * | 2016-08-30 | 2018-06-20 |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 합사장치 |
CN112176473A (zh) * | 2020-09-22 | 2021-01-05 | 青海德瑞纺织品进出口有限公司 | 一种纺织用具有初捻、复捻结构的多重捻丝机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6540Y1 (ko) | 2004-08-09 | 2004-11-06 | 권오균 | 비드테이프 제조장치 |
-
2007
- 2007-11-01 KR KR1020070111167A patent/KR10093068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6540Y1 (ko) | 2004-08-09 | 2004-11-06 | 권오균 | 비드테이프 제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4886A (ko) | 2009-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3148766B (zh) | 一种纺织纱线张紧调节输送一体化系统 | |
KR100917108B1 (ko) | 복합 연사장치 | |
KR101706248B1 (ko) | 32사 탄성 스트링 제조용 편조장치 | |
KR20190136897A (ko) | 매트 직조장치 | |
KR100930684B1 (ko) | 연사기 | |
KR100932215B1 (ko) | 파이핑 제작기 | |
KR100977211B1 (ko) | 복합 연사장치 | |
JP6883981B2 (ja) | リング精紡機 | |
CN216473779U (zh) | 针织可变花色圆扁钩编机 | |
CN206014065U (zh) | 一种新型摇纱架 | |
CN107720422B (zh) | 纱线收卷机 | |
ITFI990118A1 (it) | Orditoio per campioni a controllo elettronico | |
WO2014191436A1 (en) | Machine for producing bobbins of yarn with superimposed winding positions with multiple motor drives | |
JPH07173736A (ja) | ダブル加撚装置を備えたクリール | |
KR101380421B1 (ko) | 종이 끈지 권취장치 | |
CN209779158U (zh) | 一种电缆编织机的锭子 | |
KR20160079583A (ko) | 직조기계의 공간사 장력 유지장치 | |
KR101674004B1 (ko) | 로프 꼬임 장치 | |
CN104532434B (zh) | 一种小样用半自动分绞整经装置 | |
TWM578303U (zh) | Round rope machine | |
KR200366545Y1 (ko) | 비드사와 그 제조장치 | |
KR100933511B1 (ko) | 파이핑 | |
CN210826487U (zh) | 一种用于生产经编面料的加捻机纱筒固定装置 | |
KR101674002B1 (ko) | 로프 자동 꼬임 장치 | |
EP3003938B1 (en) | A module for a machine for producing bobbins of yar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