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421B1 - 종이 끈지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종이 끈지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421B1
KR101380421B1 KR1020130138805A KR20130138805A KR101380421B1 KR 101380421 B1 KR101380421 B1 KR 101380421B1 KR 1020130138805 A KR1020130138805 A KR 1020130138805A KR 20130138805 A KR20130138805 A KR 20130138805A KR 101380421 B1 KR101380421 B1 KR 101380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drum
link
wound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8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은용
이풍우
Original Assignee
이풍우
정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풍우, 정은용 filed Critical 이풍우
Priority to KR1020130138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4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5/00Wound packages of filamentary material
    • B65H55/02Self-supporting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5Ropes, lines

Landscapes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 끈지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프를 권취하여 롤형태로 감는 경우에, 권취된 로프의 감기는 방향으로 균등한 폭을 유지하여 1차 권취되도록 하고, 1차 권취된 로프를 지그재그 형태로 2차 권취함으로써, 권취가 마무리된 롤형태의 로프를 풀어서 사용하는 경우에 권취된 롤의 형상이 헝클어지지 않도록 한 종이 끈지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에 따른 본 발명의 종이 끈지 권취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로프를 공급받아 회전시키는 로프회전부; 상기 로프회전부의 회전반경내에 회전가능한 드럼을 배치하여 상기 드럼에 상기 로프가 감기도록 하고, 상기 드럼에 상기 로프가 권취되는 경우 상기 로프가 상기 드럼에 감기는 영역 가운데 동일 직경의 구간 내에서 상기 로프가 서로 간에 겹치지 않게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상기 드럼의 중심축방향으로 상기 드럼을 일정 구간 주기적으로 왕복시키는 1차권취 드럼부; 및, 상기 드럼구동부에 의해 1차적으로 권취된 로프를 공급받아 상기 로프를 회전하는 회전체에 감아 2차적으로 권취하되, 상기 로프가 감길 수 있는 상기 회전체의 권취구간 내에서 상기 드럼구동부에서 인출되는 로프의 인입단을 일정구간 주기적으로 왕복시켜 상기 로프가 상기 회전체에 지그재그로 감기도록 하는 2차권취부; 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로프를 권취하여 롤형태로 감는 경우에, 권취된 로프의 감기는 방향으로 균등한 폭을 유지하여 1차 권취되도록 하여 2차권취 공정시에 로프가 꼬이거나 파단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1차 권취된 로프를 지그재그 형태로 2차 권취함으로써, 지권이 없이도 형상의 유지가 가능하고, 권취가 마무리된 롤형태의 로프를 풀어서 사용하는 경우에 권취된 롤의 형상이 헝클어지지 않도록 하여 로프의 사용시에 로프가 꼬이는등의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종이 끈지 권취장치{PAPER STRING WINDING DEVICE}
본 발명은 종이 끈지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프를 권취하여 롤형태로 감는 경우에, 권취된 로프의 감기는 방향으로 균등한 폭을 유지하여 1차 권취되도록 하고, 1차 권취된 로프를 지그재그 형태로 2차 권취함으로써, 권취가 마무리된 롤형태의 로프를 풀어서 사용하는 경우에 권취된 롤의 형상이 헝클어지지 않도록 한 종이 끈지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프는 각종 물건을 엮거나 구조물들을 고정시키는 용도록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로프는 투입되는 원재에 타라, 수지형 로프, 종이형 로프, 직물형 로프등으로 많은 종류가 있다.
이 가운데에서도 폐지롤 원단을 이용하여 와이어 형태로 만드는 끈지형 로프가 있다.
이러한 종래 끈지형 로프는 롤형태로 감긴 상태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데, 사용시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알려진바 있다.
종래 끈지형 로프는 권취시에 동일한 직경의 구간에서는 동일한 직경을 벗어나지 않도록 서로 간에 겹치지 않게 권취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만약, 이러한 방식으로 권취된 롤형태의 끈지형 로프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롤의 안쪽에 있는 끈지형 로프의 단부부터 풀어서 사용하거나 롤의 바깥쪽에 있는 끈지형 로프의 타단부부터 풀어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끈지형 로프가 어느 정도 풀리는 경우에 롤 형태로 감긴 로프의 형태가 흐트러지게 되고, 롤형태를 벗어난 끈지형 로프가 풀리는 과정에서 꼬이는 문제점을 자주 유발하게 된다.
한편, 종래 로프와 같은 원재를 감는 권취장치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03172호인 로프 제조장치에서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측에 인입되는 원사를 로울러로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로울러를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비틀림 정회전시킴으로써 개별 로프로 연사하는 복수개의 연사기와, 상기 1차 연사기에 연달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일측에 인입되는상기 개별 로프를 로울러로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로울러를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비틀림 역회전시킴으로써 통합 로프로 합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합사기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연사기와 합사기를 각각 서로 다른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연사작업과 합사작업이 연달아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라인화하여 장치의 제작비용과 필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작업공수를 줄여서 생산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줄의 진행방향에 수직한 로울러만을 장착하여 연사기 및 합사기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가공할 줄을 굵기에 따라 로울러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생산품의 불량을 방지하며, 다양한 굵기의 줄을 연사 및 합사할 수 있어 적용범위를 넓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특징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 로프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롤형태의 로프는 권취시에 동일한 직경의 구간에서는 동일한 직경을 벗어나지 않도록 로프가 서로 간에 겹치지 않게 권취되어 롤형태로 감기는데, 이러한 롤형태의 로프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롤형태의 로프의 안쪽에 있는 로프의 단부부터 풀어서 사용하거나 롤의 바깥쪽에 있는 로프의 타단부부터 풀어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로프가 어느 정도 풀리는 경우에 롤 형태로 감긴 로프의 형태가 흐트러지게 되고, 롤형태를 벗어난 로프가 풀리는 과정에서 꼬이는 문제점을 자주 유발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01-0006766호 (2003.10.13 등록)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19910016884 (1991.10.28 공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로프를 권취하여 롤형태로 감는 경우에, 권취된 로프의 감기는 방향으로 균등한 폭을 유지하여 1차 권취되도록 하고, 1차 권취된 로프를 지그재그 형태로 2차 권취함으로써, 권취가 마무리된 롤형태의 로프를 풀어서 사용하는 경우에 권취된 롤의 형상이 헝클어지지 않도록 하는 종이 끈지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종이 끈지 권취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로프를 공급받아 회전시키는 로프회전부; 상기 로프회전부의 회전반경내에 회전가능한 드럼을 배치하여 상기 드럼에 상기 로프가 감기도록 하고, 상기 드럼에 상기 로프가 권취되는 경우 상기 로프가 상기 드럼에 감기는 영역 가운데 동일 직경의 구간 내에서 상기 로프가 서로 간에 겹치지 않게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상기 드럼의 중심축방향으로 상기 드럼을 일정 구간 주기적으로 왕복시키는 1차권취 드럼부; 및, 상기 드럼구동부에 의해 1차적으로 권취된 로프를 공급받아 상기 로프를 회전하는 회전체에 감아 2차적으로 권취하되, 상기 로프가 감길 수 있는 상기 회전체의 권취구간 내에서 상기 드럼구동부에서 인출되는 로프의 인입단을 일정구간 주기적으로 왕복시켜 상기 로프가 상기 회전체에 지그재그로 감기도록 하는 2차권취부;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로프회전부는 외주연에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중앙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중앙기어; 일단이 상기 삽입홀에 결합되며, 양단부를 연통하는 로프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로프가 상기 로프통과홀로 인입되는 로프인입관; 상기 로프인입관의 타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로프인입관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과 상기 로프인입관 주변에 결합되며, 회전가능한 회전롤러가 구성되는 로프거치구; 상기 회전판과 상기 로프인입관이 결합된 위치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판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로프가 걸치는 제1로프걸이용홈이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1회전구; 상기 회전판과 상기 로프인입관이 결합된 위치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판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구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로프가 걸치는 제2로프걸이용홈이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2회전구; 및, 상기 회전판에서 일정각도 기울어져 배치된 상태로 상기 회전판에 결합하며, 상기 로프가 걸치는 연동롤러가 구성되는 제1로프꼬임용 회전체;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1차권취 드럼부는 원통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프가 외주연에 감기는 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로프가 감기는 경우에 상기 로프가 이탈되지 않도록 양단 외측모서리부가 중앙외주연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1드럼; 원통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프가 외주연에 감기는 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로프가 감기는 경우에 상기 로프가 이탈되지 않도록 양단 외측모서리부가 중앙외주연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2드럼; 상기 제1드럼과 상기 제2드럼이 서로 간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드럼과 상기 제2드럼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1드럼과 상기 제2드럼을 결합시키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를 일정 거리 왕복 이송시켜 상기 제1드럼과 상기 제2드럼이 일정 구간을 왕복하여 구동시키고, 상기 지지대를 회전시켜 상기 제1드럼과 상기 제2드럼의 위치를 뒤바꾸는 드럼구동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드럼구동부는 상기 지지대가 하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의 하단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마련되는 회전테이블; 상기 회전테이블이 일정구간 왕복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안착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의 하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테이블에 체결되며, 외주연에 회전구동을 직선구동으로 변환하는 캠홀이 형성되어 상기 캠홀이 상기 회전테이블의 하단부에 결착되고, 회전시에 상기 지지대와 연동하여 상기 지지대 및 상기 회전테이블을 일정구간 왕복 이송되도록 하여 상기 제1드럼과 상기 제2드럼을 일정구간 왕복 이송시키는 캠구동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2차권취부는 상기 1차권취 드럼부에 감긴 로프를 공급받아 외주연에 감기도록 회전구동 하며, 상기 로프가 감기는 되는 경우에 공기를 공급받아 몸체의 일부 부속이 외주연으로 돌출되어 몸체의 최외곽 직경이 확장된 상태로 상기 로프가 외주연에 감기게 되고, 상기 로프가 외주연에 감기여 특정권수로 권취가 마무리된 경우 공기가 배출되어 몸체의 일부 부속이 외주연에서 내측으로 이동하여 몸체의 최외곽 직경이 줄어드는 에어샤프트; 상기 일단이 상기 에어샤프트의 회전축과 동일한 축을 이루도록 상기 에어샤프트의 일측에 배치되며, 회전구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와 핀결합되어 상기 제1링크와 연동하는 제2링크; 상기 제2링크의 타단이 일정구간 왕복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링크를 구속시키는 이송가이드; 상기 제1링크의 일단이 핀결합되는 회전축에 체인체결되고, 상기 제1링크의 타단이 핀결합되는 회전축에 체인체결되어 상기 제1링크의 일단이 회전구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제1링크의 타단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체인기어부; 상기 제1링크의 타단과 상기 제2링크의 일단이 핀결합되는 회전축에 체인체결되고, 상기 제2링크의 타단이 핀결합되는 회전축에 체인체결되어 상기 제1링크의 일단이 회전구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제2링크의 타단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2체인기어부; 상기 제2링크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되며, 외주연에 회전구동을 직선구동으로 변환하는 제2캠홀이 형성되는 회전캠; 및, 일단이 상기 제2캠홀에 밀착되어 상기 회전캠의 회전구동시에 상기 제2캠홀을 따라 일정 구간 왕복구동을 하며, 타단에 상기 에어샤프트에 감기는 로프의 인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인출구가 상기 에어샤프트의 일정구간 내에서 왕복구동되어 상기 로프가 상기 에어샤프트에 지그재그 형태로 감기도록 하는 구동식 로프인출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종이 끈지 권취장치는 상기 로프회전부의 전단에 설치되며, 롤러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로프와 밀착되어 상기 로프의 이송시에 회전하며, 각 회전수마다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인입단 카운터롤러; 상기 2차권취부에 인입되는 로프에 밀착되며, 롤러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로프의 이송시에 회전하며, 각 회전수마다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인출단 카운터롤러; 및, 상기 인입단 카운터롤러와 상기 인출단 카운터롤러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입단 카운터롤러에서 제공하는 전기신호와 상기 인출단 카운터롤러에서 제공하는 전기신호를 각각 입력받으며, 상기 인입단 카운터롤러에서 제공하는 전기신호를 카운팅하여 기설정된 카운팅횟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로프회전부와 상기 1차권취 드럼부 및 상기 드럼구동부의 구동을 중지하여 1차 권취 공정을 마무리하고, 상기 인출단 카운터롤러에서 제공하는 전기신호를 카운팅하여 기설정된 카운팅횟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2차권취부의 구동을 중지하여 2차 권취 공정을 마무리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로프를 권취하여 롤형태로 감는 경우에, 권취된 로프의 감기는 방향으로 균등한 폭을 유지하여 1차 권취되도록 하여 2차권취 공정시에 로프가 꼬이거나 파단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1차 권취된 로프를 지그재그 형태로 2차 권취함으로써, 지권이 없이도 형상의 유지가 가능하고, 권취가 마무리된 롤형태의 로프를 풀어서 사용하는 경우에 권취된 롤의 형상이 헝클어지지 않도록 하여 로프의 사용시에 로프가 꼬이는등의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끈지 권취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이 끈지 권취장치의 좌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종이 끈지 권취장치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종이 끈지 권취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로프회전부의 일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로프회전부의 우측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2차 권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2차 권취부의 우측면도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9는 도 4에 도시된 2차 권취부가 구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2차 권취부가 우측면도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11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종이 끈지 권취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끈지 권취장치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끈지 권취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이 끈지 권취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종이 끈지 권취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종이 끈지 권취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로프회전부의 일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로프회전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2차 권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2차 권취부의 우측면도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2차 권취부가 구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2차 권취부가 우측면도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종이 끈지 권취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끈지 권취장치는 로프공급부(10), 로프회전부(20), 1차권취 드럼부(30) 및, 2차권취부(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서 예시하는 로프(1)는 폐지를 이용한 끈지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로프(1)의 재질을 폐지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폐지이외에 직물과 수지형 끈과 같은 재질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로프공급부(10)는 로프(1)를 인출하는 장치로써, 복수 개의 롤러 사이에 로프(1)를 통과시켜 로프(1)를 이송하는 장치이다. 이 경우, 로프공급부(10)에 공급되는 로프(1)는 하나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로 구성되는 로프(1)는 이후에 권취되는 과정에서 여러 개가 꼬인형태로 구성되어 로프(1)의 직경을 변경할 수 있다. 즉, 로프공급부(10)에서 공급되는 로프(1)의 수에 따라 로프(1)의 용적을 정정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로프공급부(10)의 형태를 상기한 예와 상기한 수량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로프공급부(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프(1)를 공급할 수 있는 모든 수단으로 대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로프회전부(20)는 로프공급부(1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로프(1)를 공급받아 회전시키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로프회전부(20)는 중앙기어(21), 로프인입관(22), 회전판(23), 로프거치구(24), 제1회전구(25), 제2회전구(26) 및, 제1로프꼬임용 회전체(27)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기어(21)는 외주연에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중앙에 삽입홀(21a)이 형성된다. 이 경우, 중앙기어(21)는 모터와 연동하는 밸트(21b)와 맞물리게 되고, 모터(21c)의 회전시에 회전하게 된다. 즉, 중앙기어(21)는 로프회전부(20)가 회전하기 위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구성이다.
상기 로프인입관(22)은 일단이 삽입홀(21a)에 결합되며, 양단부를 연통하는 로프통과홀(22a)이 형성된다. 이 경우, 로프인입관(22)의 로프통과홀(22a)에는 로프(1)가 인입되어 통과된다. 여기서, 로프인입관(22)의 외주연에는 베어링과 같이 회전구동시에 마찰을 줄이기 위한 구성과, 베어링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추가적으로 더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로프인입관(22)은 로프회전부(20)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로프(1)가 로프회전부(20)의 내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회전판(23)은 로프인입관(22)의 타단부가 노출되도록 로프인입관(22)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 경우, 회전판(23)은 로프인입관(22)과 결합된 상태에서 보강을 위하여 별도의 보강판이 볼트결합 또는 용접결합등으로 더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로프인입관(22)과 이하에서 기술될 로프거치구(24)와 제1회전구(25) 및 제2회전구(26)등과 같은 구성들의 거치를 위하여 별도의 거치수단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프거치구(24)는 회전판(23)과 로프인입관(22) 주변에 결합되며, 회전가능한 회전롤러(24a)가 구성된다. 이러한 로프거치구(24)는 회전판(23) 주변에 결합되어 로프인입관(22)으로부터 인출되는 로프(1)를 롤러에 거치되도록 하여 로프(1)가 이후 기술될 제1회전구(25) 및 제2회전구(26)에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로프(1)가 꼬이거나 파단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회전구(25)는 회전판(23)과 로프인입관(22)이 결합된 위치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회전판(23)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로프(1)가 걸치는 제1로프걸이용홈(25a)이 외주연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회전구(25)는 로프인입관(22)에서 인출되어 로프거치구(24)에 결착된 로프(1)가 외주연에 감기게 된다.
상기 제2회전구(26)는 회전판(23)과 로프인입관(22)이 결합된 위치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회전판(23)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회전구(25)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로프(1)가 걸치는 제2로프걸이용홈(26a)이 외주연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2회전구(26)는 로프인입관(22)에서 인출되어 로프거치구(24) 및 제1회전구(25)에 결착된 로프(1)가 외주연에 감기게 된다.
상기 제1로프꼬임용 회전체(27)는 회전판(23)에서 일정각도 기울어져 배치된 상태로 회전판(23)에 결합하며, 로프(1)가 걸치는 연동롤러(27a)가 구성된다. 이러한 제1로프꼬임용 회전체(27)는 제1회전구(25)와 제2회전구(26)에 결착된 로프(1)가 연동롤러(27a)에 감기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들로 이루어진 로프회전부(20)의 구동에 대해 설명하면, 로프(1)는 로프인입관(22)을 통해 인출된 상태에서 로프거치구(24)를 통해 제1회전구(25)와 제2회전구(26)에 감기게 되며, 이후, 로프(1)는 제1로프꼬임용 회전체(27)의 연동롤러(27a)에 감기게 되는데, 이때, 중앙기어(21)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면, 회전판(23), 제1회전구(25), 제2회전구(26) 및, 제1로프꼬임용 회전체(27)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1로프꼬임용 회전체(27)의 연동롤러(27a)에 감긴 로프(1)는 후술하는 1차권취 드럼부(30)의 외주연을 회전하게 되고, 로프(1)는 1차권취 드럼부(30)의 드럼에 감기게 된다.
이때, 로프인입관(22)에 인입되는 로프(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는데, 로프(1)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로프인입관(22)을 통해 복수 개로 로프(1)가 입입된 상태에서 중앙기어(21)의 회전에 의해 복수 개의 로프(1)가 일정 권수로 꼬이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제1회전구(25) 및 제2회전구(26)에 감긴상태에서 제1회전구(25) 및 제2회전구(26)의 회전에 의해 복수 개의 로프(1)가 꼬이는 권수가 증가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예시하는 로프회전부(20)는 후술하는 1차권취 드럼부(30)에 로프(1)가 권취되도록 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로프(1)가 서로 간에 일정 권수 꼬이도록 하여 인입되는 로프(1)들이 하나의 로프(1)로 인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데, 인입되는 로프(1)의 개수를 조절하여 최종적으로 권취되는 로프(1)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1차권취 드럼부(30)는 로프회전부(20)의 회전반경내에 회전가능한 드럼을 배치하여 드럼에 1차적으로 로프(1)가 감기도록 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1차권취 드럼부(30)는 제1드럼(31), 제2드럼(32), 지지대(33) 및, 드럼구동부(34)를 포함하며, 드럼브레이크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드럼(31)은 원통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로프(1)가 외주연에 감기는 영역을 제공하며, 로프(1)가 감기는 경우에 로프(1)가 이탈되지 않도록 양단 외측모서리부가 중앙외주연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확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드럼(32)은 원통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로프(1)가 외주연에 감기는 영역을 제공하며, 로프(1)가 감기는 경우에 로프(1)가 이탈되지 않도록 양단 외측모서리부가 중앙외주연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확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33)는 제1드럼(31)과 제2드럼(32)이 서로 간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제1드럼(31)과 제2드럼(32)이 회전가능하도록 제1드럼(31)과 제2드럼(32)을 결합시키는 구성이다. 여기서, 제1드럼(31)과 제2드럼(32)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대(33)에서 돌출되는 중앙지지축에 삽입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구동부(34)는 지지대(33)와 결합되며, 드럼에 로프(1)가 권취되는 경우, 로프(1)가 드럼에 감기는 영역 가운데 동일 직경의 구간 내에서 로프(1)가 서로 간에 겹치지 않게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드럼의 중심축방향으로 드럼을 일정 구간 주기적으로 왕복시킨다. 또한, 드럼구동부(34)는 제1드럼(31)에 1차권취가 마무리된 경우, 지지대(33)를 회전시켜 제1드럼(31)과 제2드럼(32)의 배치위치를 뒤바꾸는 구성이다.
상기 드럼브레이크부(35)는 제1드럼(31)의 회전축과 제2드럼(32)의 회전축 각각이 회전하게 되는 경우, 제1드럼(31)의 회전과 제2드럼(32)의 회전을 감속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드럼브레이크부(35)는 제1드럼(31)과 제2드럼(32)의 각 회전축에 설치되는 브레이크패드(35a) 및, 상기 브레이크패드(35a)에 밀착되는 실린더와 같은 밀착체(35b)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밀착체(35b)에는 별도의 제어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기는 제1드럼(31)과 제2드럼(32) 각각의 속도를 측정한 후, 제1드럼(31)과 제2드럼(32)이 일정속도 이하의 수준을 유지하도록 밀착체(35b)를 구동시켜 제어하거나 또는 주기적으로 밀착체(35b)를 구동시켜 제1드럼(31)과 제2드럼(32)의 속도를 일정속도 이하의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드럼(31)과 제2드럼(32)과 로프(1)는 권취과정에서 제1드럼(31)과 제2드럼(32)에 구동력을 가해 제1드럼(31)과 제2드럼(32)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드럼브레이크부(35)는 제1드럼(31)과 제2드럼(32)의 가속을 방지하여 제1드럼(31)과 제2드럼(32)의 속도를 일정속도 이하로 감속시킴으로써, 로프(1)가 드럼들의 가속에 의해 파단되거나 로프(1)가 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드럼브레이크부(35)의 구성을 상기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드럼브레이크부(35)는 주기적으로 또는 드럼들의 속도를 측정하여 자동적으로 제1드럼(31)과 제2드럼(32)에 탄성력을 가하는 모든 구성으로 대체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드럼구동부(34)는 회전테이블(34a), 레일부(34b) 및, 캠구동부(34c)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테이블(34a)은 지지대(33)가 하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며, 지지대(33)의 하단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마련된다. 이 경우, 회전테이블(34a)은 지지대(33)를 회전시키기 위해 공압실린더, 유압실린더, 공압모터, 유압모터등과 같은 구동장치가 결합되어 이들 구동장치의 구동시에 회전할 수 있으며, 또한, 회전이 정지될 수 있도록 스톱퍼와 같은 구속장치를 장착하여 스톱퍼를 해제하고 필요시만 지지대(33)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회전테이블(34a)와 결합되는 추가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레일부(34b)는 회전테이블(34a)이 일정구간 왕복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안착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레일부(34b)는 회전테이블(34a)이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회전테이블(34a)과 레일부(34b) 사이의 마찰을 줄여 회전테이블(34a)이 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리니어 모터의 레일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레일부(34b)의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레일부(34b)의 하단에는 레일부(34b)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캠구동부(34c)는 레일부(34b)의 하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테이블(34a)에 체결된다. 또한, 캠구동부(34c)는 외주연에 회전구동을 직선구동으로 변환하는 캠홀(34c1)이 형성되어 캠홀(34c1)이 회전테이블(34a)의 하단부에 결착되는데, 여기서, 회전테이블(34a)에서는 캠홀(34c1)에 삽입되기 위한 캠홀 밀착축(34a1)이 더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캠구동부(34c)는 회전시에 지지대(33)와 연동하여 지지대(33) 및 회전테이블(34a)을 일정구간 왕복 이송되도록 하여 제1드럼(31)과 제2드럼(32)을 일정구간 왕복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이 경우, 캠구동부(34c)는 회전을 위해 회전을 전달하는 모터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캠구동부(34c)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대가 더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드럼구동부(34)의 구동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1차권취의 구동시에 로프회전부(20)의 연동롤러(27a)에서 인출되는 로프(1)가 제1드럼(31)의 외곽 영역에서 회전하는 상태에서 제1드럼(31)에 권취가 진행된다.
이 경우, 회전구동을 직선구동으로 변환시키는 캠구동부(34c)가 회전하게 되면, 캠구동부(34c)에 밀착된 밀착축은 일정 직선 구간을 왕복하여 이동하게 되고, 밀착축과 연결된 회전테이블(34a)은 레일부(34b)의 일정 직선 구간을 주기적으로 왕복하여 구동하게 되고, 회전테이블(34a)과 결합된 지지대(33), 제1드럼(31) 및 제2드럼(32)도 일정 직선 구간을 주기적으로 왕복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드럼(31)의 외곽영역에서 회전하는 로프회전부(20)는 제1드럼(31)의 외곽영역의 지정된 특정 위치에서 회전하는 상태이고, 제1드럼(31)은 캠구동부(34c)의 회전속도에 맞추어 정해진 일정 구간을 왕복이송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1드럼(31)에 감기는 로프(1)는 자체적으로 꼬이거나 자체적으로 겹치지 않고 제1드럼(31)의 외주연에 균등한 폭을 유지하며 순차적으로 감기게 된다.
만약, 로프(1)가 제1드럼(31)에 정해진 일정 권수로 감기게 되면, 로프회전부(20)의 회전을 중지시키고 후술하는 2차권취부(40)의 공정으로 넘어가게 되는데, 이 경우, 회전테이블(34a)은 수동 또는 자동적으로 회전하여 로프(1)가 감긴 제1드럼(31)과 로프(1)가 감기지 않은 제2드럼(32)의 위치를 뒤바꾸게 된다.
그러면, 로프회전부(20)와 제2드럼(32)은 1차권취공정을 다시 진행하게 되며, 1차 권취가 마무리된 제1드럼(31)은 후술하는 2차권취부(40)와의 공정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끈지 권취장치는 1차권취 공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1차권취 드럼부(30)에 의해 로프(1)가 자체적으로 꼬이거나 겹치지 않도록 하면서, 두 개의 드럼을 회전시켜 1차권취 공정과 2차권취 공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후술하는 2차권취 공정을 진행하는 경우에 로프(1)가 꼬이지 않은 상태에서 균등한 폭으로 순차적인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로프(1)의 파단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2차권취부(40)는 드럼구동부(34)에 의해 1차적으로 권취된 로프(1)를 공급받아 로프(1)를 회전하는 회전체에 감아 2차적으로 권취하되, 로프(1)가 감길 수 있는 회전체의 권취구간 내에서 드럼구동부(34)에서 인출되는 로프(1)의 인입단을 일정구간 주기적으로 왕복시켜 로프(1)가 회전체인 에어샤프트(41)에 지그재그로 감기도록 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2차권취부(40)는 에어샤프트(41), 제1링크(42), 제2링크(43), 이송가이드(44), 제1체인기어부(45), 제2체인기어부(46), 회전캠(47) 및, 구동식 로프인출부(48)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샤프트(41)는 1차권취 드럼부(30)에 감긴 로프(1)를 공급받아 외주연에 감기도록 회전구동 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에어샤프트(41)는 회전구동을 전달받기 위해 회전축단에 전기모터, 공압모터와 같은 모터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제1링크(42)의 회전축과 에어샤프트(41)의 회전축이 연결되어 제1링크(42)의 일단 회전축에 회전 동력이 전달되는 경우에 제1링크(42)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샤프트(41)는 로프(1)가 감기는 되는 경우에 공기를 공급받아 몸체의 일부 부속(41a)이 외주연으로 돌출되어 몸체의 최외곽 직경이 확장된 상태로 로프(1)가 외주연에 감기게 된다. 이 경우, 에어샤프트(41)는 로프(1)가 외주연에 감기여 특정권수로 권취가 마무리된 경우, 예를 들어, 2차 권취 공정이 마무리 된 경우에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어 몸체의 일부 부속이 외주연에서 내측으로 이동하여 몸체의 최외곽 직경이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에어샤프트(41)는 2차 권취 공정에서 로프(1)를 감기위한 드럼과 같은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써, 외주연에 로프(1)를 일정권수 감기어 2차 권취가 마무리된 경우, 권취가 완료된 로프(1)만을 에어샤프트(41)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1링크(42)는 일단이 에어샤프트(41)의 회전축과 동일한 축을 이루도록 에어샤프트(41)의 일측에 배치되며, 회전구동력을 공급받아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회전구동력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42)의 회전축에 밸트(42a)가 감기고 밸트(42a)가 모터(42b)와 연동하여 제1링크(42)의 일단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링크(43)는 제1링크(42)와 핀결합되어 제1링크(42)와 연동하게 되며, 제2링크(43)의 타단에는 회전축이 형성된다.
상기 이송가이드(44)는 제2링크(43)의 타단이 일정구간 왕복 이송할 수 있도록 제2링크(43)를 구속시키는 구성이다. 이 경우, 이송가이드(44)에는 이송가이드(44)와 제2링크(43)의 타단 회전축과의 유격을 없애기 위한 가이드판(44a)이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이드판(44a)에는 제2링크(43)의 타단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체인기어부(45)는 일단이 제1링크(42)의 일단이 핀결합되는 회전축에 체인체결되고, 타단이 제1링크(42)의 타단이 핀결합되는 회전축에 체인체결되어 제1링크(42)의 일단의 회전축이 회전구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경우에 제1링크(42)의 타단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제2체인기어부(46)는 일단이 제1링크(42)의 타단과 제2링크(43)의 일단이 핀결합되는 회전축에 체인체결되고, 타단이 제2링크(43)의 타단이 핀결합되는 회전축에 체인체결되어 제1링크(42)의 일단의 회전축이 회전구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경우에 제2링크(43)의 타단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제1체인기어부(45)와 제2체인기어부(46)는 동력을 전달받아 제2링크(42)의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후술하는 회전캠(47)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캠(47)은 제2링크(43)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되며, 외주연에 회전구동을 직선구동으로 변환하는 제2캠홀(47a)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식 로프인출부(48)는 일단이 제2캠홀(47a)에 밀착되어 회전캠(47)의 회전구동시에 제2캠홀(47a)을 따라 일정 구간 왕복구동을 된다. 또한, 구동식 로프인출부(48)는 타단에 에어샤프트(41)에 감기는 로프(1)의 인출구(48a)가 형성되고, 인출구가 에어샤프트(41)의 일정구간 내에서 왕복구동되어 로프(1)가 에어샤프트(41)에 지그재그 형태로 감기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 경우, 구동식 로프인출부(48)에는 구동식 로프인출부(48)가 급격한 속도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로프인출부(48)의 구동방향으로 텐션을 가할 수 있는 실린더와 같은 탄성 지지장치가 더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2차권취부(40)에 의해 이루어지는 2차 권취공정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1차권취 드럼부(30)의 드럼에 권취된 로프(1)의 단부는 구동식 로프인출부(48)의 인출구를 통해 에어샤프트(41)에 감기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에어샤프트(41)는 내측에 공기가 유입되어 직경이 확장된 상태로 회전을 함으로써, 로프(1)를 외주연에 감게 된다.
이 경우, 제1링크(42)는 일단 회전축이 회전하여 일단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링크(42)와 핀결합된 제2링크(43)도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제2링크(43)의 타단은 이송가이드(44)의 일정구간을 주기적으로 왕복하여 이동하게 되고, 제2링크(43)의 타단과 결합된 회전캠(47)과 구동식 로프인출부(48)는 일정구간을 왕복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링크(42)의 회전축에 맞물린 제1체인기어부(45)와 제2링크(43)의 회전축에 맞물린 제2체인기어부(46)는 서로간에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제2링크(43)의 타단 회전축을 회전시키게 되고, 제1링크(42)의 일단 회전축과 연동하는 에어사프트(41)가 회전하게 되며, 제2링크(43)의 타단 회전축과 연동하는 회전캠(47)도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회전캠(47)의 제2캠홀(47a)에 밀착된 구동식 로프인출부(48)의 인출구는 일정 직선 구간을 주기적으로 왕복하여 이동하게 됨으로써, 에어샤프트(41)의 감기는 로프(1)의 인출위치를 일정구간 주기적으로 왕복 이동시키게 되므로, 에어샤프트(41)에 감기는 로프(1)는 지그재그로 감기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링크(43)의 타단에 위치한 회전축은 이송가이드(44)의 일정 직선 구간을 왕복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에어샤프트(41)의 과도한 회전이나 급격한 회전력이 로프(1)에 걸리지 않도록 인출구와 에어샤프트(41)의 사이 장력을 일정량만큼 낮게 유지하도록 하고, 1차권취 드럼부(30)에서 인출되는 로프(1)의 장력을 일정량만큼 낮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급격한 장력증가로 인해 로프(1)가 파단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2차권취부(40)는 1차권취 드럼부(30)에 의해 1차권취 공정이 마무리된 경우에, 1차권취 드럼부(30)로부터 로프(1)를 에어샤프트(41)로 공급받아, 로프(1)가 파단되지 않도록 장력을 일정 이하로 유지한 채로 로프(1)가 에어샤프트(41)에 지그재그로 감기도록 하게 된다.
도면에서는 에어샤프트(41)에 로프(1)가 지그재그 형태로 1회 권취된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며, 상기한 2차 권취 공정을 계속적으로 시행하게 되면, 특정 권수까지 예를 들어, 도면에서 에어샤프트(41)의 점선 영역까지 지그재그 형태로 말린 롤타입의 로프(1)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특정 권수까지 권취가 마무리 되면, 2차권취공정에 가해지는 동력 공급을 중단하고, 에어샤프트(41)에 가해지는 공기를 중단시켜 에어샤프트(41)의 직경을 줄이게 되면, 2차 권취가 마무리된 로프(1)를 에어샤프트(41)로부터 용이하게 탈락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에어샤프트(41)로부터 탈락된 롤형 타입의 로프(1)는 실타래와 같은 형태를 이루게 되는데, 감기는 축에 해당하는 지권이라 불리는 것이 생략되어 온전히 로프(1)만으로 그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권취가 마무리된 로프(1)는 지그재그 형태로 권취되어 있기 때문에, 권취된 로프(1)의 내측단부를 풀어서 사용하거나 외측단부를 풀어서 사용하고자 할 때, 로프(1)가 지그재그로 감겨있어 일정 권수 이상 풀어지는 경우에도 권취된 형상이 흐트러지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로프(1)를 사용하는 중간에도 로프(1)가 꼬이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끈지 권취장치는 로프공급부(10)로부터 로프(1)를 공급받은 로프회전부(20)가 로프(1)를 회전시키면서 1차권취 드럼부(30)에 로프(1)가 감기도록 하면서, 드럼구동부(34)가 1차권취 드럼부(30)를 일정구간 왕복 이송되도록 하여 로프(1)가 드럼에 균등한 폭을 유지하여 순차적으로 감기도록한 상태로 1차권취공정을 마무리하고, 1차권취공정이 마무리된 1차권취 드럼부(30)에서 2차권취부(40)로 로프(1)가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로프(1)가 지그재그형태로 권취되도록 함으로써, 권취된 로프(1)의 내측단부를 풀어서 사용하거나 외측단부를 풀어서 사용하고자 할 때, 로프(1)가 지그재그로 감겨있어 일정 권수 이상 풀어지는 경우에도 권취된 형상이 흐트러지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하여 로프(1)를 사용하는 중간에도 로프(1)가 꼬이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끈지 권취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단 카운터롤러(50), 인출단 카운터롤러(60) 및,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입단 카운터롤러(50)는 로프회전부(20)의 전단에 설치되며, 롤러형태로 구성되어 로프(1)와 밀착되어 로프(1)의 이송시에 회전하며, 각 회전수마다 전기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인출단 카운터롤러(60)는 2차권취부(40)에 인입되는 로프(1)에 밀착되며, 롤러형태로 구성되어 로프(1)의 이송시에 회전하며, 각 회전수마다 전기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인출단 카운터롤러(60)는 전술한 구성들과 도면이 중첩되지 않도록 이해의 편의상 형상만을 따로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70)는 인입단 카운터롤러(50)와 인출단 카운터롤러(60)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입단 카운터롤러(50)에서 제공하는 전기신호와 인출단 카운터롤러(60)에서 제공하는 전기신호를 각각 입력받게 된다.
이러한 제어부(70)는 인입단 카운터롤러(50)에서 제공하는 전기신호를 카운팅하여 기설정된 카운팅횟수와 일치하는 경우 로프회전부(20)와 1차권취 드럼부(30) 및 드럼구동부(34)의 구동을 중지하여 1차 권취 공정을 마무리하고, 인출단 카운터롤러(60)에서 제공하는 전기신호를 카운팅하여 기설정된 카운팅횟수와 일치하는 경우 2차권취부(40)의 구동을 중지하여 2차 권취 공정을 마무리하게 된다. 여기서, 1차권 드럼부와 2차권취부(40)의 구동 중지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같은 동력 공급 수단을 중지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70)는 인입단 카운터롤러(50)와 인출단 카운터롤러(60)와 연동하여 1차권취 공정과 2차권취 공정을 자동적으로 마무리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권취된 로프(1)들의 권수를 기설정된 양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권취된 로프(1)들의 권수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납품규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로프 10 ; 로프공급부
20 ; 로프회전부 21 ; 중앙기어
22 ; 로프인입관 23 ; 회전판
24 ; 로프거치구 25 ; 제1회전구
26 ; 제2회전구 27 ; 제1로프꼬임용 회전체
30 ; 1차권취 드럼부 31 ; 제1드럼
32 ; 제2드럼 33 ; 지지대
34 ; 드럼구동부 34a ; 회전테이블
34b ; 레일부 34c ; 캠구동부
40 ; 2차권취부 41 ; 에어샤프트
42 ; 제1링크 43 ; 제2링크
44 ; 이송가이드 45 ; 제1체인기어부
46 ; 제2체인기어부 47 ; 회전캠
48 ; 구동식 로프인출부 50 ; 인입단 카운터롤러
60 ; 인출단 카운터롤러 70 ; 제어부

Claims (6)

  1.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로프(1)를 공급받아 회전시키는 로프회전부(20);
    상기 로프회전부(20)의 회전반경내에 회전가능한 드럼을 배치하여 상기 드럼에 상기 로프(1)가 감기도록 하고, 상기 드럼에 상기 로프(1)가 권취되는 경우 상기 로프(1)가 상기 드럼에 감기는 영역 가운데 동일 직경의 구간 내에서 상기 로프(1)가 서로 간에 겹치지 않게 순차적으로 감기도록 상기 드럼의 중심축방향으로 상기 드럼을 일정 구간 주기적으로 왕복시키는 1차권취 드럼부(30); 및,
    상기 1차권취 드럼부(30)에 의해 1차적으로 권취된 로프(1)를 공급받아 상기 로프(1)를 회전하는 회전체에 감아 2차적으로 권취하되, 상기 로프(1)가 감길 수 있는 상기 회전체의 권취구간 내에서 상기 1차권취 드럼부(30)에서 인출되는 로프(1)의 인입단을 일정구간 주기적으로 왕복시켜 상기 로프(1)가 상기 회전체에 지그재그로 감기도록 하는 2차권취부(40); 를 포함하는 종이 끈지 권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회전부(20)는
    외주연에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중앙에 삽입홀(21a)이 형성되는 중앙기어(21);
    일단이 상기 삽입홀(21a)에 결합되며, 양단부를 연통하는 로프통과홀(22a)이 형성되고, 상기 로프(1)가 상기 로프통과홀(22a)로 인입되는 로프인입관(22);
    상기 로프인입관(22)의 타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로프인입관(22)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회전판(23);
    상기 회전판(23)과 상기 로프인입관(22) 주변에 결합되며, 회전가능한 회전롤러(24a)가 구성되는 로프거치구(24);
    상기 회전판(23)과 상기 로프인입관(22)이 결합된 위치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판(23)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로프(1)가 걸치는 제1로프걸이용홈(25a)이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1회전구(25);
    상기 회전판(23)과 상기 로프인입관(22)이 결합된 위치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판(23)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구(25)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로프(1)가 걸치는 제2로프걸이용홈(26a)이 외주연에 형성되는 제2회전구(26); 및,
    상기 회전판(23)에서 일정각도 기울어져 배치된 상태로 상기 회전판(23)에 결합하며, 상기 로프(1)가 걸치는 연동롤러(27a)가 구성되는 제1로프꼬임용 회전체(27); 를 포함하는 종이 끈지 권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권취 드럼부(30)는
    원통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프(1)가 외주연에 감기는 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로프(1)가 감기는 경우에 상기 로프(1)가 이탈되지 않도록 양단 외측모서리부가 중앙외주연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1드럼(31);
    원통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프(1)가 외주연에 감기는 영역을 제공하며, 상기 로프(1)가 감기는 경우에 상기 로프(1)가 이탈되지 않도록 양단 외측모서리부가 중앙외주연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2드럼(32);
    상기 제1드럼(31)과 상기 제2드럼(32)이 서로 간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드럼(31)과 상기 제2드럼(32)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1드럼(31)과 상기 제2드럼(32)을 결합시키는 지지대(33); 및,
    상기 지지대(33)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33)를 일정 거리 왕복 이송시켜 상기 제1드럼(31)과 상기 제2드럼(32)이 일정 구간을 왕복하여 구동시키고, 상기 지지대(33)를 회전시켜 상기 제1드럼(31)과 상기 제2드럼(32)의 위치를 뒤바꾸는 드럼구동부(34); 를 포함하는 종이 끈지 권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구동부(34)는
    상기 지지대(33)가 하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33)의 하단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이 마련되는 회전테이블(34a);
    상기 회전테이블(34a)이 일정구간 왕복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안착되는 레일부(34b); 및,
    상기 레일부(34b)의 하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테이블(34a)에 체결되며, 외주연에 회전구동을 직선구동으로 변환하는 캠홀(34c1)이 형성되어 상기 캠홀(34c1)이 상기 회전테이블(34a)의 하단부에 결착되고, 회전시에 상기 지지대(33)와 연동하여 상기 지지대(33) 및 상기 회전테이블(34a)을 일정구간 왕복 이송되도록 하여 상기 제1드럼(31)과 상기 제2드럼(32)을 일정구간 왕복 이송시키는 캠구동부(34c); 를 포함하는 종이 끈지 권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권취부(40)는
    상기 1차권취 드럼부(30)에 감긴 로프(1)를 공급받아 외주연에 감기도록 회전구동 하며, 상기 로프(1)가 감기는 되는 경우에 공기를 공급받아 몸체의 일부 부속이 외주연으로 돌출되어 몸체의 최외곽 직경이 확장된 상태로 상기 로프(1)가 외주연에 감기게 되고, 상기 로프(1)가 외주연에 감기여 특정권수로 권취가 마무리된 경우 공기가 배출되어 몸체의 일부 부속이 외주연에서 내측으로 이동하여 몸체의 최외곽 직경이 줄어드는 에어샤프트(41);
    일단이 상기 에어샤프트(41)의 회전축과 동일한 축을 이루도록 상기 에어샤프트(41)의 일측에 배치되며, 회전구동력을 공급받아 상기 일단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링크(42);
    상기 제1링크(42)와 핀결합되어 상기 제1링크(42)와 연동하는 제2링크(43);
    상기 제2링크(43)의 타단이 일정구간 왕복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링크(43)를 구속시키는 이송가이드(44);
    상기 제1링크(42)의 일단이 핀결합되는 회전축에 체인체결되고, 상기 제1링크(42)의 타단이 핀결합되는 회전축에 체인체결되어 상기 제1링크(42)의 일단이 회전구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제1링크(42)의 타단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체인기어부(45);
    상기 제1링크(42)의 타단과 상기 제2링크(43)의 일단이 핀결합되는 회전축에 체인체결되고, 상기 제2링크(43)의 타단이 핀결합되는 회전축에 체인체결되어 상기 제1링크(42)의 일단이 회전구동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제2링크(43)의 타단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2체인기어부(46);
    상기 제2링크(43)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되며, 외주연에 회전구동을 직선구동으로 변환하는 제2캠홀(47a)이 형성되는 회전캠(47); 및,
    일단이 상기 제2캠홀(47a)에 밀착되어 상기 회전캠(47)의 회전구동시에 상기 제2캠홀(47a)을 따라 일정 구간 왕복구동을 하며, 타단에 상기 에어샤프트(41)에 감기는 로프(1)의 인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인출구가 상기 에어샤프트(41)의 일정구간 내에서 왕복구동되어 상기 로프(1)가 상기 에어샤프트(41)에 지그재그 형태로 감기도록 하는 구동식 로프인출부(48); 를 포함하는 종이 끈지 권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회전부(20)의 전단에 설치되며, 롤러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로프(1)와 밀착되어 상기 로프(1)의 이송시에 회전하며, 각 회전수마다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인입단 카운터롤러(50);
    상기 2차권취부(40)에 인입되는 로프(1)에 밀착되며, 롤러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로프(1)의 이송시에 회전하며, 각 회전수마다 전기신호를 생성하는 인출단 카운터롤러(60); 및,
    상기 인입단 카운터롤러(50)와 상기 인출단 카운터롤러(60)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입단 카운터롤러(50)에서 제공하는 전기신호와 상기 인출단 카운터롤러(60)에서 제공하는 전기신호를 각각 입력받으며, 상기 인입단 카운터롤러(50)에서 제공하는 전기신호를 카운팅하여 기설정된 카운팅횟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로프회전부(20)와 상기 1차권취 드럼부(30)의 구동을 중지하여 1차 권취 공정을 마무리하고, 상기 인출단 카운터롤러(60)에서 제공하는 전기신호를 카운팅하여 기설정된 카운팅횟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2차권취부(40)의 구동을 중지하여 2차 권취 공정을 마무리하는 제어부(70); 를 더 포함하는 종이 끈지 권취장치.
KR1020130138805A 2013-11-15 2013-11-15 종이 끈지 권취장치 KR101380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805A KR101380421B1 (ko) 2013-11-15 2013-11-15 종이 끈지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8805A KR101380421B1 (ko) 2013-11-15 2013-11-15 종이 끈지 권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0421B1 true KR101380421B1 (ko) 2014-04-01

Family

ID=50656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8805A KR101380421B1 (ko) 2013-11-15 2013-11-15 종이 끈지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4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472B1 (ko) 2016-06-21 2018-03-08 심용택 헤드폰 케이블 자동 결속장치
CN109160370A (zh) * 2018-10-30 2019-01-08 兰州东立龙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毛细管绕管装置
CN110745647A (zh) * 2018-12-05 2020-02-04 刘禄军 一种卷线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9668A (ja) * 1984-09-13 1986-04-10 Tanaka Kikinzoku Kogyo Kk 金属細線の巻取方法
JP2001354360A (ja) 2000-04-27 2001-12-25 W Schlafhorst Ag & Co 綾巻ボビンを巻成する繊維機械の運転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9668A (ja) * 1984-09-13 1986-04-10 Tanaka Kikinzoku Kogyo Kk 金属細線の巻取方法
JP2001354360A (ja) 2000-04-27 2001-12-25 W Schlafhorst Ag & Co 綾巻ボビンを巻成する繊維機械の運転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472B1 (ko) 2016-06-21 2018-03-08 심용택 헤드폰 케이블 자동 결속장치
CN109160370A (zh) * 2018-10-30 2019-01-08 兰州东立龙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毛细管绕管装置
CN109160370B (zh) * 2018-10-30 2023-12-29 兰州东立龙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毛细管绕管装置
CN110745647A (zh) * 2018-12-05 2020-02-04 刘禄军 一种卷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72692A (en) Automatic doffing system for a circular knitting machine
CN1099478C (zh) 带有加捻单元的筒子架
US8707667B2 (en) Textile machine with a plurality of workstations
KR101380421B1 (ko) 종이 끈지 권취장치
JP2014098225A (ja) ダブルツイスタ紡績装置
CN101195942B (zh) 提花链整经机和用于生产提花链的方法
CN101649518B (zh) 整经装置
TWI607946B (zh) 用有多馬達驅動之重疊捲繞位置的產生紗線捲筒的機器
ITFI990118A1 (it) Orditoio per campioni a controllo elettronico
KR100689601B1 (ko) 삼중 연사장치
CN207659580U (zh) 一种直曲丝混合的人造草丝生产装置
TWI660082B (zh) Yarn feeding device (1)
JP4426469B2 (ja) 撚糸機等の巻取機
WO2013177730A1 (zh) 旋转式铺纬装置
US3981130A (en) Single process twisting machine for producing twisted yarn from two strands
CN103287915A (zh) 一种线筒分绕机
KR101875108B1 (ko) 연사기에서 제조된 원사의 와인딩장치
CN203158931U (zh) 高速线绳卷绕机的双卷线轴交换机构
KR100930684B1 (ko) 연사기
CN101258275A (zh) 用于引导和输送多根长丝的装置
CN214243275U (zh) 一种摇纱机送纱张力调整机构
CN105143532A (zh) 假捻变形机
KR101101706B1 (ko) 원사 권취기
TWI616567B (zh) 用於產生紗線捲筒之機器的模組
JP5923476B2 (ja) 柄経糸用部分整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