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158B1 - 내시경 장치 - Google Patents
내시경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30158B1 KR100930158B1 KR1020077027163A KR20077027163A KR100930158B1 KR 100930158 B1 KR100930158 B1 KR 100930158B1 KR 1020077027163 A KR1020077027163 A KR 1020077027163A KR 20077027163 A KR20077027163 A KR 20077027163A KR 100930158 B1 KR100930158 B1 KR 1009301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signal processing
- wavelength region
- light amount
- enem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9000003504 photosensitiz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3902 le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3642 reactive oxygen metabol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165 photosensitis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2428 photodynamic therap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RBTBFTRPCNLSDE-UHFFFAOYSA-N 3,7-bis(dimethylamino)phenothiazin-5-ium Chemical compound C1=CC(N(C)C)=CC2=[S+]C3=CC(N(C)C)=CC=C3N=C21 RBTBFTRPCNLSD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4
- 229960000907 methylthioninium 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5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06010034972 Photosensitivity rea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1700 light absor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6211 photo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8000017983 photosensitivi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1100000434 photosensitization Toxicity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839 end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6010070834 Sensitis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313 sensit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24 xen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FHNFHKCVQCLJFQ-UHFFFAOYSA-N xenon atom Chemical compound [Xe] FHNFHKCVQCLJ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38 blue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485 cop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877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35 sensit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3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providing two or more wavelength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4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with illumination fil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55—Control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Endoscop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내시경 장치는 생체 내에 삽입 가능한 삽입부를 갖는 내시경과, 생체 내에 있어서의 관찰 대상 부위측에 조명광을 출사하는 조명부와, 조명광에 있어서의 관찰 대상 부위에 투여되는 광증감 물질을 여기시키는 적의 파장 영역의 광량을 적어도 감소시키는 광량 제어를 하는 광량 제어부와, 이 광량 제어에 대응하고, 조명광 하에서 촬상한 경우에 있어서의 적의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적의 색신호의 휘도 레벨을 증대시키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비한다.
내시경 장치, 조명광, 광증감 물질, 광량 제어부, 신호 처리부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증감 물질이 산포된 생체를 관찰하는 데 적합한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 분야에 있어서는, 생체를 염색(착색)하여 요철 등을 보다 식별하기 쉽게 하여 내시경 관찰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염색하는 색소제(염색제)로서, 메틸렌 블루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제1 선행예로서의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5-84218호 공보에는 메틸렌 블루로 염색하여 내시경 관찰을 행하는 내시경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제2 선행예로서의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6-339459호 공보에는 색소를 이용하여 색소 내시경 검사를 행할 수 있는 내시경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 공보에는 조명광의 광량을 변화시키는 기능도 개시되어 있다.
도11은 비특허문헌 1(Scott Prahl "Optical Absorption of Methylene Blue" 「online」 「2005년 9월 12일 검색」, 인터넷 <URL : http:/omlc.ogi.edu/spectra/mb/index.html>)에 기재되어 있는 메틸렌 블루의 흡광도 계수의 특성예를 나타낸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틸렌 블루의 용액은 600 ㎚ 부근으로부터 700 ㎚ 부근에서 큰 흡수 피크를 갖는다.
또한, 상기 메틸렌 블루는 광증감 물질로서 알려져 있다. 이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메틸렌 블루는 적의 파장 대역의 광에 감도를 갖고, 이 적의 파장 대역의 광의 조사에 의해 여기되어, 메틸렌 블루는 활성 산소종을 발생한다.
또한, 제3 선행예로서 WO 01/015694호 공보에는 메틸렌 블루 등의 광증감 물질로서 이용한 광역학 치료(PDT)를 행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2 선행예에서는 메틸렌 블루를 색소제로서 이용하는 내시경 장치를 개시하고 있지만, 적의 파장 영역의 광량을 변화시키는 것과, 이 광량의 변화에 대응하여 신호 처리 장치측에서 대응하는 색신호를 감소 혹은 증가시키는 것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제1 선행예는 메틸렌 블루를 색소제로서 이용하는 내시경 장치에 있어서, 적의 파장측의 광량을 증대하고, 이에 대응하여 신호 처리 장치측에서 게인 보정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제1 선행예는 메틸렌 블루에 의한 광증감 물질의 기능에 대응한 광량 제어 등을 전혀 시사도, 개시도 하고 있지 않다.
즉, 메틸렌 블루에 의한 염색제의 기능에 의해, 관찰 대상 부위의 요철 등을 식별하기 쉽게 할 수 있지만, 본 제1 종래예에서는 적의 파장 영역의 광량을 증대시킴으로써, 광증감 물질의 기능을 고려하고 있지 않으므로, 활성 산소종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제3 선행예에 있어서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이로 인해, 선행예에서는 광증감 물질의 특성을 고려한 내시경 장치를 개시하고 있지 않고, 그 광증감 물질의 특성을 고려한 광량 제어에 대응한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메틸렌 블루 등의 적의 파장 영역에서 광증감 물질의 기능을 갖고, 그 광증감 물질의 특성을 고려한 내시경 관찰 등을 행하는데 적합한 내시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내시경 장치는 생체 내에 삽입 가능한 삽입부를 갖는 내시경과,
상기 생체 내에 있어서의 관찰 대상 부위측에 조명광을 출사하는 조명 수단과,
상기 조명광에 있어서의 상기 관찰 대상 부위에 투여되는 광증감 물질을 여기시키는 적의 파장 영역의 광량을 적어도 감소시키는 광량 제어를 하는 광량 제어 수단과,
상기 적의 파장 영역의 광량을 감소시키는 광량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조명광 하에서 촬상한 경우에 있어서의 적의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적의 색신호의 휘도 레벨을 증대시키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관찰 대상 부위에 대해 광증감 물질이 투여되어 있는 경우, 그 광증감 물질에 대해 여기광이 되는 적의 파장 영역의 광량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그 광량을 감소시키는 제어에 대응하여 적의 색신호의 휘도 레벨을 증대시키는 신호 처리를 행함으로써, 광증감 물질에 의한 활성 산소종의 발생을 억제하고, 또한 적의 파장 영역의 광량 변화에 의한 색조 변화를 억제하여 적절한 색조로 내시경 관찰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내시경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2는 회전 필터에 설치된 R, G, B 필터의 투과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3A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 관찰 모드 시의 동작의 타이밍 차트.
도3B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 관찰 모드 시의 동작의 타이밍 차트.
도3C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 관찰 모드 시의 동작의 타이밍 차트.
도4A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 관찰 모드 시의 작용의 흐름도.
도4B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 관찰 모드 시의 작용의 흐름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내시경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6은 제1 대역 필터 및 제2 대역 필터의 투과율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광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8은 제3 필터의 투과율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9는 프로세서에 있어서의 유사 R 신호 생성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10A는 제1 계조 보정 회로의 입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10B는 제2 계조 보정 회로의 입출력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11은 메틸렌 블루에 의한 흡광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1 내지 도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내시경 장치(1)는 체강 내에 삽입 가능하고, 체강 내의 환부 등의 관찰 대상 부위(2)를 촬상하여 내시경 관찰 등을 하는 전자 내시경(이하, 스코프라고 약기)(3)과, 이 스코프(3)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관찰용 조명광을 발생하는 광원 장치(4)와, 스코프(3)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촬상된 화상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 등을 행하는 프로세서(5)와, 이 프로세서(5)와 접속되고 프로세서(5)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가 입력되어 이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6)로 구성된다.
스코프(3)는 체강 내에 삽입되는 가늘고 긴 삽입부(8)와, 이 삽입부(8)의 후단부에 설치된 조작부(9)와, 이 조작부(9)로부터 연장되는 유니버설 코드(10)를 갖는다.
스코프(3)의 삽입부(8) 내에는 조명광을 전송하는 라이트 가이드 파이버(11)가 삽입 관통되어 있고, 이 라이트 가이드 파이버(11)의 후단부측은 유니버설 코드(10) 내를 삽입 관통되고, 그 후단부의 라이트 가이드 커넥터(12)를 광원 장치(4)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함으로써, 광원 장치(4)로부터 조명광이 공급된다.
이 라이트 가이드 파이버(11)에 의해 전송된 조명광은 삽입부(8)의 선단부의 조명창에 설치된 선단부면으로부터 또한 조명 렌즈(13)를 경유하여 체강 내의 관찰 대상 부위(2)측으로 출사된다.
이 조명창에 인접하여 설치된 관찰창(촬상창)에는 대물 렌즈(14)가 설치되어 있고, 그 결상 위치에는 고체 촬상 소자, 구체적으로는 CCD(15)가 배치되어 있고, 그 촬상면에 결상된 광학상을 광전 변환한다. 이 CCD(15)는 신호선을 통해 그 단부의 커넥터가 프로세서(5)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스코프(3)의 삽입부(8)에는 처치구 등을 삽입 관통 가능하게 하는 채널(16)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채널(16)을 통해 염색하는 색소제의 기능을 갖는 동시에, 광증감의 기능을 갖는 메틸렌 블루(17)의 용액을 수납한 시린지(18)를 삽입 관통하고, 관찰 대상 부위(2)에 메틸렌 블루(17)의 용액을 투여(보다 구체적으로는 산포)하여 관찰할 수도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메틸렌 블루(17)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600 ㎚ 내지 700 ㎚ 부근의 적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 광흡수 피크(보다 구체적으로는 668 ㎚에서 최대 피크, 609 ㎚에서 2번째의 피크)를 갖고, 이 광흡수에 의해 활성 산소종을 발생하는 광감광의 기능,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증감(물질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즉, 메틸렌 블루(17)는 이 광흡수 피크의 파장대의 광을 여기광으로 하여 활성 산소종을 발생하는 광증감 물질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상의 면순차 조명광에 의한 통상의 관찰 모드(이하, 제1 관찰 모드) 외에, 이 메틸렌 블루(17)를 산포(투여)한 경우에 적합한 염색 내지는 광증감 관찰 모드(이하, 제2 관찰 모드)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스코프(3)에 있어서의, 예를 들어 조작부(9)에는 제1 및 제2 관찰 모드를 절환하는 모드 절환 스위치(SW1)와, 제2 관찰 모드로 절환한 경우, 염색 내지는 광증감의 기능에 적합한 상태로 하여 사용자가 간단하게 변경 설정할 수 있도록 적의 파장 대역의 광량을 변경하는 광량 변경 스위치(SW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광량 변경 스위치(SW2)는 적의 파장 대역의 광량을 업하는 광량 UP 스위치(SWu)와 그 광량을 감소(다운)하는 광량 다운 스위치(SWd)로 이루어진다.
광원 장치(4)는 가시 영역을 커버하는 광을 방사하는 크세논 램프 등의 램프(21)를 내장하고, 이 램프(21)는 램프 점등 회로(22)로부터의 램프 점등 전력에 의해, 그 발광량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램프(21)의 조명 광로 상에는 그 통과 광량을 증감하는 조리개(23)가 설치되어 있고, 이 조리개(23)는 조리개 모터(24)에 의해, 그 개구량이 변화되어 이 개구량을 통과하는 통과 광량을 증감한다.
또한, 이 조리개(23)를 통과한 광은 회전 필터(25)에 입사되고, 이 회전 필터(25)에 있어서의 주위 방향에는 가시 영역을 커버하는 적(R), 녹(G), 청(B)의 각 파장 영역의 광을 투과하는 R, G, B 필터(25R, 25G, 25B)가 설치되어 있다. 도2는 R, G, B 필터(25R, 25G, 25B)의 투과 특성을 나타낸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R, G, B 필터(25R, 25G, 25B)는 각각 R, G, B의 각 파장 영역을 광대역에서 통과한다.
이 회전 필터(25)는 모터(26)에 의해 일정 속도로 회전 구동되어 광로 중에 R, G, B 필터(25R, 25G, 25B)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이 회전 필터(25)에 있어서의 광로 중에 배치된 필터를 투과한 R, G, B의 조명광은 집광 렌즈(27)에 의해 집광되어 라이트 가이드 파이버(11)의 후단부면에 시분할로 순차적으로 입사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광원 장치(4)는 면순차식 조명광을 발생한다.
또한, 회전 필터(25)에는 그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28)가 회전 필터(25)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고, 이 센서(28)는 광로 중에 어느 필터가 배치되어 있는지를 검출하여 광원 제어 회로(29)에 출력한다.
이 광원 제어 회로(29)는 센서(28)의 출력 신호에 의해 모터(26)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거나, 광량 변경 스위치(SW2)의 지시 조작에 대응하여 램프 점등 회로(22)의 램프 점등 전력을 변경 제어한다. 즉, 광로 중에 R 필터(25R)가 배치된 타이밍에서 램프(21)의 발광량을 증대 혹은 감소한다. 또한, 조리개 모터(24)는 프로세서(5)의 조광 회로(30)로부터의 조광 신호에 의해 조리개(23)의 개구량을 조정한다.
또한, 사용자는 광원 장치(4)에 설치된 조작 패널(20)을 조작함으로써, 광량 변경 스위치(SW2) 등과 동일한 지시 조작을 행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5)는 CCD 구동 회로(31)를 내장하고, 이 CCD 구동 회로(31)에 의해 발생되는 CCD 구동 신호는 CCD(15)에 인가된다. CCD(15)는 CCD 구동 신호의 인가에 의해 R, G, B의 면순차의 조명광 하에서 촬상하고, 광전 변환한 CCD 출력 신호, 즉 R, G, B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R, G, B 신호는 프로세서(5) 내의 앰프(32)에 입력되어 증폭된 후, 프로세스 회로(33)에 입력된다. 이 프로세스 회로(33)에 의해 CDS 처리 등이 이루어진 후, A/D 변환 회로(34)에 입력되고,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화이트 밸런스 회로(35)를 구성하는 게인 가변 앰프(35a)에 입력된다.
또한, 프로세스 회로(33)의 출력 신호는 조광 신호를 생성하는 조광 회로(30)에 입력되어 조광 신호가 생성된다. 그리고, 이 조광 신호에 의해 조리개 모터(24)를 통해 조리개(23)의 개구량을 조정한다.
또한, 이 게인 가변 앰프(35a)의 출력 신호는 광량 제어 수단을 구성하는 제어 회로(36)에 입력되는 동시에, 셀렉터(37)를 통해 동시화 회로(38)를 구성하는 R, G, B 메모리(38R, 38G, 38B)에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제어 회로(36)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 시에는 게인 가변 앰프(35a)의 출력 신호를 취입하여, 화이트 밸런스되도록 게인 가변 앰프(35a)의 게인의 값을, 게인 제어 전압에 의해 조정한다. 즉, 게인 가변 앰프(35a)의 게인 제어 단부에 인가하는 게인 제어 전압에 의해 조정한다.
그리고, 화이트 밸런스 조정 후에는 R, G, B의 색신호가 게인 가변 앰프(35a)에 입력되는 타이밍에서 상기 게인 제어 전압을 인가하여 화이트 밸런스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제어 회로(36)는, 제2 관찰 모드 시에는 광량 변경 스위치(SW2)의 지시 조작에 대응한 신호를 광원 제어 회로(29)로 전송하고, 광원 제어 회로(29)는 광량 변경 스위치(SW2)의 지시 조작에 대응하여 램프 점등 회로(22)에 의한 램프 점등 전력을 R 필터(25R)가 광로 중에 배치되는 타이밍에서 변경하여 적의 조명광의 광량을 변경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이 제어 회로(36)는, 제2 관찰 모드 시에는 광량 변경 스위치(SW2)의 지시 조작에 대응한 신호를 상기와 같이 광원 제어 회로(29)로 전송하고, 적의 조명광의 광량을 변경시키는 동시에, 이 적의 조명광의 광량의 변경에 동기하여 그 조명광의 조명 상태에서 촬상한 R의 색신호의 게인을 변경한다.
이 경우, 제어 회로(36)는 그 내부의 불휘발성 메모리로서의, 예를 들어 EEPROM(36a)에는 게인 가변 앰프(35a)의 게인을 임의인 값으로 설정하는 룩업 테이블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룩업 테이블에는 게인 제어 전압과, 이 게인 제어 전압에 의해 설정되는 게인을 관계시키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적의 조명광의 광량이 변경 설정되면, 변경 설정되는 지시값에 따라서 변경 전의 적의 조명광의 광량의 상태에 있어서의 게인값을 참조하여, 적의 조명광의 광량이 변화되어도 화이트 밸런스 상태를 유지하는 게인으로 변경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예는 적의 조명광의 광량의 변경을 행한 경우에도, 적의 조명광의 광량 변화에 의한 관찰 화상의 색조 변화를 억제하도록 프로세서(5)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를 제어한다. 즉, 본 실시예는 적의 조명광의 광량의 변경을 행한 경우에도 광량의 변경 전의 화이트 밸런스 상태가 유지되도록 프로세서(5)에 있어서의 신호 처리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게인 가변 앰프(35a)의 출력 신호는 셀렉터(37)를 경유하여 동시화 회로(38)를 구성하는 R, G, B 메모리(38R, 38G, 38B)에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즉, R, G, B의 각 조명광 하에서 촬상된 R, G, B의 색신호는 각각 R, G, B 메모리(38R, 38G, 38B)에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R, G, B 메모리(38R, 38G, 38B)에 저장된 R, G, B의 색신호는 동시에 판독되고, 화상 처리 회로(39)에 입력되어 γ보정, 윤곽 강조 등의 화상 처리가 행해진 후, D/A 변환 회로(40R, 40G, 40B)에 의해 아날로그의 색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모니터(6)에 출력되어 그 표시면에 CCD(15)에 의해 촬상된 화상이 컬러 표시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이하에 설명한다.
스코프(3)를 체강 내에 삽입하여 내시경 검사를 행하기 전에, 도시하지 않은 흰 피사체를 이용하여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행한다. 흰 피사체를 촬상하는 상태로 설정하여, 도시하지 않은 화이트 밸런스 조정 스위치를 조작한다.
그러면, R, G, B의 면순차의 조명광으로 조명된 백의 피사체를 촬상한 R, G, B의 색신호가 게인 가변 앰프(35a)에 입력되고, 그 출력 신호를 제어 회로(36)는 취입한다. 이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제어 회로(36)는, 예를 들어 게인 가변 앰프(35a)의 게인을 1로 설정한 상태에 있어서 R, G, B의 색신호의 휘도 레벨의 평균치를 이 제어 회로(36) 내부의 EEPROM(36a)에 저장한다.
그리고, 다음에 EEPROM(36a)에 저장한 R, G, B의 색신호의 휘도 레벨의 평균치로부터 게인 가변 앰프(35a)로부터 출력되는 R, G, B의 색신호의 휘도 레벨이 일치되도록 제어 회로(36)는 게인 가변 앰프(35a)의 게인(Gr, Gg, Gb)을 게인 제어 전압에 의해 제어한다.
즉, R, G, B의 색신호가 게인 가변 앰프(35a)에 입력되는 타이밍에 있어서, 제어 회로(36)는 게인 가변 앰프(35a)에 게인 제어 전압을 인가하고, 게인 가변 앰프(35a)로부터 출력되는 R, G, B의 색신호의 휘도 레벨이 일치되는 화이트 밸런스 상태의 게인(Gr, Gg, Gb)으로 설정한다. 또한, 제어 회로(36)는 화이트 밸런스 상태로 조정 후의 게인(Gr, Gg, Gb)(혹은, 게인 제어 전압)의 값을 EEPROM(36a)에 저장 유지한다.
또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하는 경우, 1개의 색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2개의 색신호를 조정하도록 해도 좋다. 즉, 3개의 게인 중 1개를 기준의 값으로 고정하고 남은 2개의 값을 가변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화이트 밸런스 설정이 종료된 후, 내시경 검사를 행한다. 통상의 관찰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1 관찰 모드에서 행한다. 이 제1 관찰 모드에 있어서는, 회전 필터(25)의 R, G, B 필터(25R, 25G, 25B)는, 도3A의 상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 광로 중에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R, G, B의 조명이 순차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의 게인(Gr, Gg, Gb)은 도3A의 하측에 도시하고 있다. 도3A에서는, 간단화하기 위해, 제1 관찰 모드에 있어서의 게인(Gr, Gg, Gb)이 동일한 경우에 도시하고 있다(제1 관찰 모드에 대응하는 제2 관찰 모드 시에 있어서의 동작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이 제1 관찰 모드에 있어서, 조광 기능이 동작한 경우에 있어서도 R, G, B의 조명광의 광량이 동시에 변경되므로, 도3A의 상측과 하측의 상대적인 관계는 동일해진다. 또한, 도3A 내지 도3C에 있어서의 횡축(t)은 시간을 나타낸다.
한편, 관찰 대상 부위(2)에 대해 메틸렌 블루(17)의 염색제의 기능을 이용하여, 이를 산포함으로써, 시술자는 그 요철의 모습을 보다 식별하기 쉽게 하여 관찰하고 싶다고 희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시술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린지(18)의 튜브를 채널(16) 내에 삽입 관통하고, 또한 그 선단부측을 채널(16)의 선단부 개구로부터 돌출시켜 관찰 대상 부위(2)에 대해 메틸렌 블루(17)를 산포(투여)한다. 산포된 메틸렌 블루(17)는 관찰 대상 부위(2)의 표면의 요철의 상태에 따라서 퇴적하고, 그 경우의 염색 농도나, 광흡수의 강도에 의해 요철의 상태가 보다 식별하기 쉬워진다.
또한, 이 경우에는, 시술자는 광량 변경 스위치(SW2)에 있어서의 광량 다운 스위치(SWd)를 조작함으로써, 적의 조명광의 광량을 감소시킨다.
광량 다운 스위치(SWd)를 조작함으로써, 적의 조명광의 광량은 도3B의 상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아진다. 또한, 이에 동기하여, 제어 회로(36)에 의해 도3B의 하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R의 색신호에 대한 게인(Gr)이 증대되어 화이트 밸런스 상태가 유지된다. 도3B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적의 조명광의 광량을 도3A의 경우의 1/3로 한 경우로 나타내고 있고, 도3B에 나타내는 R의 색신호에 대한 게인(Gr)은 도3A의 게인(Gr)의 3배가 된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도3A의 상태에 있어서의 적의 조명광의 광량값을 1로 하여 그 값으로부터 변경하고, 예를 들어 광량값(Qr)으로 설정한 경우, 그 경우에 있어서의 R의 색신호에 대한 게인값은 광량값(Qr)에 반비례한 게인값으로 설정된다.
이에 의해, 메틸렌 블루(17)에 의한 활성 산소종의 발생에 대한 여기광이 되는 적의 조명광의 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활성 산소종의 발생량을 억제하고, 또한 관찰 대상 부위(2)의 요철의 모습을 식별하기 쉬운 상태로 할 수 있고, 또한 화이트 밸런스 상태를 유지하여 관찰할 수 있다.
즉, 선행예에 비해 메틸렌 블루(17)에 의한 활성 산소종의 발생량을 억제하고 있으므로, 이 메틸렌 블루(17)에 의한 활성 산소종이 관찰 대상 부위(2)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한 상태에서 관찰(진단)할 수 있다.
한편, 관찰 대상 부위(2)가, 예를 들어 병변부이고, 그 병변부를 충분히 특정할 수 있었던 경우, 그 병변부에 메틸렌 블루(17)를 산포(투여)하고, 메틸렌 블루(17)의 광증감 기능을 이용하여 병변부를 활성 산소종으로 광역학 치료(PDT)를 행하는 처치를 행할 수도 있다. 즉, 메틸렌 블루(17)의 광증감 기능을 이용하여 메틸렌 블루(17)를 약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시술자는 광량 업 스위치(SWu)를 조작함으로써, 도3C의 상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의 조명광의 광량이 증대된다. 또한, 이 조작에 의해, 도3C의 하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R의 색신호에 대한 게인(Gr)이 작아져 화이트 밸런스 상태가 유지된다.
적의 조명광의 광량의 증대에 의해 병변부에 산포된 메틸렌 블루(17)는 그 광을 흡수하여 활성 산소종의 발생량을 크게 할 수 있고, 발생시킨 활성 산소종을 병변부에 효율적으로 작용시켜 치료를 행하는 약제로서 작용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화이트 밸런스 상태가 유지되므로, 통상의 색조를 유지 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내시경 검사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 되는 색조가 무너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시술자는 내시경 검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도3B와 도3C의 경우의 동작 내용을 흐름도로 나타내면, 각각 도4A와 도4B와 같이 된다. 메틸렌 블루(17)를 관찰 대상 부위(2)의 요철의 모습을 보다 식별하기 쉽게 하는 염색제의 기능을 사용하여 관찰하는 경우에는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다.
즉, 스텝 S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술자는 관찰 대상 부위(2)의 표면에 메틸렌 블루(17)를 산포한다.
다음의 스텝 S2에 있어서, 시술자는 광량 다운 스위치(SWd)를 조작한다. 그러면 제어 회로(36)는 광원 장치(4)의 광원 제어 회로(29)를 통해, 램프(21)의 발광량을 적의 조명광의 출사 시에 있어서의 그 광량을 감소시킨다. 이에 의해, 메틸렌 블루(17)에 적의 조명광이 조사된 경우에도 그 광증감의 기능에 의해 활성 산소종이 발생하는 비율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스텝 S2의 조작에 연동하여 제어 회로(36)는, 스텝 S3에 도시한 바와 같이 R의 색신호에 대한 게인을 증대시켜 화이트 밸런스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의해, 자연스러운 색조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관찰 대상 부위(2)에 대해 메틸렌 블루(17)에 의한 광증감의 기능을 이용하여 약제에 의한 치료 처치를 행하는 경우에는 도4B와 같이 한다.
스텝 S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술자는 관찰 대상 부위(2)의 병변부에 메틸 렌 블루(17)를 산포한다.
다음의 스텝 S12에 있어서, 시술자는 광량 업 스위치(SWu)를 조작한다. 그러면, 제어 회로(36)는 광원 장치(4)의 광원 제어 회로(29)를 통해 램프(21)의 발광량을 적의 조명광의 출사 시에 있어서의 그 광량을 증대시킨다. 이에 의해, 메틸렌 블루(17)에 적의 조명광이 조사되었을 때의 광증감의 기능에 의해 활성 산소종의 발생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메틸렌 블루(17)가 산포된 병변부를 활성 산소종에 의해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스텝 S12의 조작에 연동하여 제어 회로(36)는, 스텝 S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R의 색신호에 대한 게인을 감소시켜 화이트 밸런스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의해, 자연스러운 색조를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메틸렌 블루(17)를 사용하여 관찰이나 처치를 행하는 경우, 메틸렌 블루(17)에 의한 광증감의 특성, 기능을 고려하여 조명 및 신호 처리를 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선행예보다도 메틸렌 블루(17)에 의한 광증감의 특성, 기능을 유효하게 이용한 적절한 관찰, 처치 등을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5는 제2 실시예의 동시식 내시경 장치(1B)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 내시경 장치(1B)는 스코프(3B)와, 광원 장치(4B)와, 프로세서(5B)와, 모니터(6)로 이루어진다.
스코프(3B)는, 도1의 스코프(3)에 있어서 CCD(15)의 촬상면에 색분리 필 터(51)가 설치된 컬러 촬상용 CCD를 구비한, 즉 동시식 스코프이다. 또한, 이 스코프(3B)의 조작부(9)에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고 통상 관찰에 대응한 제1 관찰 모드로 절환하는 모드 절환 스위치(SW1)와, 제2 관찰 모드에 있어서의 적의 조명광의 광량을 증대시키는 지시 조작을 행하는 광량 업 스위치(SWu)와, 광량을 저감시키는 광량 다운 스위치(SWd)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도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광량 업 스위치(SWu)와 광량 다운 스위치(SWd)를 광량 변경 스위치(SW2)라고 총칭한다.
또한, 광원 장치(4B)는, 도1의 광원 장치(4)에 있어서, 회전 필터(25)를 갖지 않은 구성이고, 모드 절환 스위치(SW1)를 조작함으로써, 필터판(52)에 설치한 투명부(53T)가 조명 광로 중에 개재 삽입(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필터판(52)은 회전판의 주위 방향에 투명부(53T) 이외에, 제1 대역 필터(53A) 및 제2 대역 필터(53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54)에 의해, 필터판(52)을 소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투명부(53T)가 배치된 상태로부터 제1 대역 필터(53A)를 광로 중에 배치하거나, 제2 대역 필터(53B)를 광로 중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6은 제1 대역 필터(53A)와 제2 대역 필터(53B)의 투과율 특성을 나타낸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대역 필터(53A)는 청 및 녹의 파장 영역의 광을 통해 메틸렌 블루의 특징적인 광흡수 영역이 되는 적의 파장 영역의 광의 투과를 억제하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제2 대역 필터(53B)는 청 및 녹의 파장 영역의 광의 투과보다도 적의 파장 영역의 광의 투과를 크게 하는 특성을 갖는다.
그리고, 모드 절환 스위치(SW1)에 의해 제1 관찰 모드로 설정되었을 때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로 중에는 투명부(53T)가 배치된 상태가 된다. 또한, 투명부(53T)는 개구와 마찬가지로 전체의 파장 영역에 대해 투명한 특성(동일한 특성)이다.
또한, 광량 다운 스위치(SWd)가 조작되면, 광로 중에는 제1 대역 필터(53A)가 배치된 상태가 된다.
또한, 광량 업 스위치(SWu)가 조작되면, 광로 중에는 제2 대역 필터(53B)가 배치된 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는, 광원 제어 회로(29)는, 또한 램프 점등 회로(22)에 의한 램프 점등 전력을 증대시켜, 도6의 점선의 등가 특성(53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한다.
이 점선의 등가 특성(53B')은 청 및 녹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조명광의 광량이 투명부(53T)를 통과한 경우와 동일한 광량을 유지하고, 이에 대해 적의 조명광의 광량을 보다 크게 증대시키도록 하는 특성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프로세서(5B)는 CCD(15)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32)를 갖고, 이 앰프(32)의 출력 신호는 CDS 회로(54)를 경유하여 A/D 변환 회로(34)와 조광 회로(30)에 입력된다.
A/D 변환 회로(34)의 출력 신호는 Y/C 분리ㆍ동시화 회로(56)에 입력되고, 이 Y/C 분리ㆍ동시화 회로(56)에 의해 휘도 신호(Y)와 동시화된 색차 신호(Cr/Cb)가 생성된다.
이 Y/C 분리ㆍ동시화 회로(56)의 출력 신호는 매트릭스 회로(57)에 입력되어 휘도 신호(Y)와 색차 신호(Cr/Cb)로부터 RGB 신호로 변환된다.
이 매트릭스 회로(57)의 출력 신호는 화이트 밸런스 회로(58)에 입력되어 화이트 밸런스 처리된 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상 처리 회로(39) 및 D/A 변환 회로(40R 내지 40B)를 경유하여 모니터(6)에 출력된다.
또한, 스코프(3B)의 광량 변경 스위치(SW2) 등의 지시 조작에 의한 신호는 제어 회로(59)에 입력된다. 이 제어 회로(59)는 상기 매트릭스 회로(57)와 화이트 밸런스 회로(58)의 제어를 행한다.
즉, 제어 회로(59)는 광원 장치(4B)의 광원 제어 회로(29)와 통신을 행하고, 통상 관찰이 되는 제1 관찰 모드에 있어서는, 조명 광로 중에 투명부(53T)가 배치된 통상 조명의 상태에 대응한 화이트 밸런스 회로(58)에 의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행하는 동시에, 매트릭스 변환을 행하게 한다.
또한, 제어 회로(59)는 스코프(3B)의 광량 변경 스위치(SW2)에 의한 지시 조작에 대응하여, 매트릭스 회로(57)에 있어서의 신호(Y, Cr, Cb)로부터 R, G, B로 변환되는 경우의 매트릭스 계수를 변경하여, 적의 조명광의 광량이 증대 혹은 감소된 경우에도 화이트 밸런스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제어 회로(59) 내의, 예를 들어 EEPROM(59a)에는 투명부(53T)의 경우에 있어서의 변환 매트릭스 계수의 정보 외에, 제1 대역 필터(53A) 및 제2 대역 필터(53B)로 설정된 경우의 매트릭스 계수의 정보도 저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작용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면순차적으로 R, G, B의 조명을 행하고 있는 것을, 동 시에 행하도록 한 경우와 거의 동일한 작용이 된다.
즉, 제1 관찰 모드의 경우에는, 광원 장치(4B)는 램프(21)에 의한 백색의 조명광을 출사하고, 관찰 대상 부위(2)는 백색광으로 조명된다.
그리고, 조명된 관찰 대상 부위(2)는 색분리 필터(51)를 설치한 CCD(15)에 의해 컬러 촬상된다. 이 CCD(15)의 출력 신호는 프로세서(5B)에 의해 신호 처리되어 모니터(6)에서 컬러 표시된다. 이 경우,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행해 두면, 흰 피사체는 하얗게 표시된다.
또한, 관찰 대상 부위(2)측에 메틸렌 블루(17)를 산포하여 염색함으로써, 요철의 상태를 보다 식별하기 쉽게 하여 관찰하는 경우에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량 다운 스위치(SWd)를 조작하면 좋다. 이 조작을 행함으로써, 광로 중에 제1 대역 필터(53A)가 배치되어, 적의 조명광의 광량이 감소된다. 그리고, 메틸렌 블루(17)의 광증감 기능을 억제하는 상태로 한다. 즉, 활성 산소종의 발생을 억제한다.
또한, 이 경우, R의 색신호에 대한 게인이 증대되고 화이트 밸런스의 상태가 유지되어, 적절한 색조로 관찰할 수 있다.
또한, 관찰 대상 부위(2)에 있어서의 병변부에 대해 메틸렌 블루(17)를 투여하고, 그 광증감 기능에 의해 병변부를 치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량 업 스위치(SWu)를 조작하면 된다. 이 조작을 행함으로써, 광로 중에 제2 대역 필터(53B)가 배치되고, 적의 조명광의 광량이 증대된다. 그리고, 병변부에 투여된 메틸렌 블루(17)의 광증감 기능에 의한 활성 산소종에 의해 병변부를 치료할 수 있는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제3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예는, 예를 들어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일부를 변경한 구성이다. 도7은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광원 장치(4C)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 광원 장치(4C)는, 예를 들어 도5에 있어서의 광원 장치(4B)에 있어서, 필터판(52)을 설치하는 대신에, 필터 삽입 분리 장치(61)에 의해 복수의 필터(62a 내지 62c)에 있어서의 1개의 필터를 조명 광로 중에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필터 삽입 분리 장치(61)는 광원 제어 회로(29)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명 광로 중에 어떠한 필터도 배치하고 있지 않은 상태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투명부(53T)를 조명 광로 중에 배치한 상태, 즉 통상 관찰에 대응한다.
그리고, 필터 삽입 분리 장치(61)에 의해 제1 필터(62a) 혹은 제2 필터(62b)를 조명 광로 중에 배치한 경우에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 대역 필터(53A) 혹은 제2 대역 필터(53B)를 배치한 상태에 대응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조명 광로 중에 필터를 삽입 분리 가능하게 배치하는 구성으로 변형한 구성을 제외하면,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고, 본 실시예의 프로세서(5C)는 제2 실시예의 프로세서(5B)의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또한 제3 필터(62c)를 조명 광로 중에 배치할 수도 있고, 이 제3 필터(62c)는, 예를 들어 도8에 나타내는 투과 특성을 갖는다. 이 제3 필터(62c)는 제1 대역 필터(53A)의 투과 특성에 있어서, 적의 파장 영역의 광의 투과를 실질적으로 0으로 하는 특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프로세서(5C)는 제2 실시예의 프로세서(5B)에 있어서의 윤곽 강조 등의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회로(39)에, 또한 도9에 도시하는 유사 R 신호 생성 회로(6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G 신호로부터 유사적으로 R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9에서는 프로세서(5C)에 있어서의 주요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코프는 제2 실시예의 스코프(3B)에 있어서, 또한 제3 필터(62c)를 조명 광로 중에 배치하는 조작을 행하는 스위치(여기서는 적 커트 스위치라고 함)(SWc)를 구비한 스코프이다. 본 예 이외에, 예를 들어 광량 다운 스위치(SWd)에 있어서의 조작 횟수를 복수 행한 경우에 적 커트 스위치로서 기능시키도록 해도 좋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이트 밸런스 회로(58)는, 앰프(58R, 58G, 58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적 커트 스위치(SWc)가 조작된 경우에는, 제어 회로(59)는 유사 R 신호 생성 회로(65)를 동작 상태로 설정하고, 앰프(58G)로부터 출력되는 G 신호를 유사 R 신호 생성 회로(65)에 입력하여 유사적으로 R 신호를 생성시키도록 한다.
이 유사 R 신호 생성 회로(65)에 입력된 G 신호는, G 신호의 상태에서 관통하여 D/A 변환 회로(40C)에 입력되는 동시에, 공간 주파수 분리 회로(도9 중에서는 단순히 F 분리라고 약기)(66)에 입력되고, 공간 주파수 분리 회로(66)는, 입력 신호를 소정의 공간 주파수를 경계로 하여 이것보다 높은 주파수 성분과, 낮은 주파수 성분으로 분리한다.
이 소정의 공간 주파수로서는, 예를 들어 점막 표면에 가까운 가는 혈관의 주행 상태의 윤곽을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공간 주파수와, 이것보다 심부측의 보다 굵은 혈관의 주행 상태의 윤곽을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공간 주파수 사이의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공간 주파수 분리 회로(66)는 고역 통과 필터와 저역 통과 필터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공간 주파수 분리 회로(66)로부터 출력되는 고역측의 신호는 제1 계조 보정 회로(67a)에 의해 제1 계조 보정되고, 앰프(58R)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는 가산기(68)에 가산되어 R 신호로서 D/A 변환 회로(40R)에 입력된다.
또한, 공간 주파수 분리 회로(66)로부터 출력되는 저역측의 신호는 제2 계조 보정 회로(67b)에 의해 제2 계조 보정되고, 앰프(58R)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는 가산기(68)에 가산되어 R 신호로서 D/A 변환 회로(40R)에 입력된다.
도10A, 도10B는 제1 및 제2 계조 보정 회로(67a, 67b)에 의한 계조 특성을 나타낸다. 제1 계조 보정 회로(67a)는 입력치에 대해 출력치의 계조를 억제하는 특성으로 설정되어 있고, 따라서 고역측의 신호의 휘도치가 억제된다. 이에 대해, 제2 계조 보정 회로(67b)는 입력치에 대해 출력치의 계조를 증대하는 특성으로 설정되어 있고, 따라서 저역측의 신호의 휘도치가 증대된다.
따라서, 생체 점막을 관찰한 경우, 실제의 적의 파장 영역의 광으로 관찰한 바와 같이 생체 표층보다도 심부측의 보다 굵은 혈관의 주행 상태의 윤곽을 파악한 화상을 유사적으로 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적의 파장 영역을 조명광에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도, 적의 파장 영역을 조명광에 이용한 것과 같이 자연스러운 색조로 화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또한 적의 조명광의 광량을 저감시켜 그 광량을 커트한 경우에도 기능적으로 자연스러운 색조로 화상 표시를 할 수 있다. 그 밖에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또한, G의 색신호로부터 R의 색신호를 생성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G 및 B에 있어서의 양쪽에서 혹은 B의 색신호로부터 생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적의 조명광의 광량을 커트하는 구성 및 작용을 동시식의 경우로 설명하였지만, 면순차식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1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 회로(39)에 있어서, 도9에 도시한 유사 R 신호 생성 회로(65)를 설치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필터(62a 내지 62c)를 조명 광로 중에 삽입 분리 가능하게 하였지만, 또한 삽입 분리할 수 있는 필터 수를 많게 하는 등 하여, 보다 적절한 특성의 것을 선택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어 관찰 대상 부위(2)측에 메틸렌 블루(17) 등의 광증감 물질이 투여되어 있는지 여부의 검출 수단을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메틸렌 블루(17)는 청색의 색소제의 기능을 가지므로, 예를 들어 도5의 프로 세서(5B) 내의, 예를 들어 화상 처리 회로(39) 내의 검출부(2점 쇄선의 부호 71)에 의한 신호 처리에서 청의 색신호가 소정치 이상인 화소수가 임의의 값 이상 검출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그리고, 이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검출부(71)는 그 검출 신호를 제어 회로(59)로 전송한다.
이 검출 신호에 의해 제어 회로(59)는[수동으로 광량 다운 스위치(SWd)를 조작한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적의 광량을 감소시키는(적의) 광량 자동 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이에 연동하여 적의 색신호의 게인을 크게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메틸렌 블루(17)가 관찰 대상 부위(2)측에 산포되어 있으면, 통상은 자동적으로 적의 조명광을 감소시켜 메틸렌 블루(17)에 의한 광증감 물질에 의한 활성 산소종의 발생량을 자동적으로 억제하여 관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술자가 수동으로 적의 광량을 감소시키는 조작을 행하지 않아도 완료되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병변부에 집중적으로 메틸렌 블루(17)를 투여하여 광학 치료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적의) 광량 자동 제어의 설정을 해제함으로써, 적의 광량을 수동으로 증대시켜 처치를 행할 수 있도록 하면, 광역학 치료를 행하는 경우에도 적절하게 대처를 할 수 있다. 즉, 적의 광량을 자동적으로 감소시키는 광량 제어를 행하는 모드로부터, 수동에 의한 광량 제어로 절환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관찰 대상 부위(2)측에 메틸렌 블루(17) 등의 광증감 물질이 투여되어 있는지 여부의 검출 수단을 마련하는 구체예 등을 도5의 경우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 적용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크세논 램프 등 의 램프(21)를 조명을 행하기 위한 광원에 이용하고 있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레이저 다이오드나 발광 다이오드(LED)를 광원으로서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LED를 이용한 경우에는 그 LED를 삽입부(8)의 선단부에 설치하고, 라이트 가이드 파이버(11)를 이용하지 않고, 관찰 대상 부위(2)측에 조명광을 출사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등 하여 구성되는 실시예 등도 본 발명에 속한다.
체강 내에 있어서의 내시경에 의한 관찰하는 부위가 메틸렌 블루 등의 염색과 광증감의 양쪽의 기능을 가진 경우, 광증감의 기능을 고려하여 그 여기광이 되는 적의 파장 영역의 광량을 억제하여 염색에 의한 요철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광역학 치료를 행하는 경우에도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05년 9월 30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5-288214호를 우선권 주장의 기초로 하여 출원하는 것이고, 상기한 개시 내용은 본원 명세서, 청구의 범위, 도면에 인용되는 것으로 한다.
Claims (20)
- 생체 내에 삽입 가능한 삽입부를 갖는 내시경과,상기 생체 내에 있어서의 관찰 대상 부위 측에 조명광을 출사하는 조명 수단과,상기 조명광에 있어서의 상기 관찰 대상 부위에 투여되는 광증감 물질을 여기시키는 적의 파장 영역의 광량을 적어도 감소시키는 광량 제어를 하는 광량 제어 수단과,상기 적의 파장 영역의 광량을 감소시키는 광량 제어에 대응하고, 상기 조명광 하에서 촬상한 경우에 있어서의 적의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적의 색신호의 휘도 레벨을 증대시키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광량 제어 수단은 상기 적의 파장 영역의 광량을 증가시키는 제어 기능을 갖고, 상기 광량을 증가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조명광 하에서 촬상한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적의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적의 색신호의 휘도 레벨을 감소시키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광은 상기 적의 파장 영역의 광 이외에, 녹 및 청 의 파장 영역의 광을 포함하고, 상기 적의 파장 영역의 광량이 거의 0으로 감소된 경우에는,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녹 및 청의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녹 및 청의 색신호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적의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적의 색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 제어 수단은 상기 적의 파장 영역의 광량을 감소시키는 광량 제어에 의해 상기 광증감 물질에 의한 활성 산소종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 대상 부위에 있어서의 병변부에 대해 상기 광증감 물질을 투여한 경우에는, 상기 광량 제어 수단은 또한 상기 광증감 물질에 의한 활성 산소종에 의한 광역학 치료를 행하기 위해 상기 적의 파장 영역의 광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관찰 대상 부위에 광증감 물질이 투여되어 있는지 여부의 검출 수단을 갖고,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출력에 의해 상기 광량 제어 수단은 상기 광량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광량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적의 파장 영역의 광량을 감소시키는 광량 변화에 대응하고, 상기 광량 변화 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화이트 밸런스 상태를 유지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광량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적의 파장 영역의 광량을 증가시키는 광량 변화에 대응하고, 상기 광량 변화 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화이트 밸런스 상태를 유지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수단은 가시 영역을 커버하는 서로 다른 복수의 파장 영역의 조명광을 시분할로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수단은 가시 영역을 커버하는 백색광을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수단은 상기 복수의 파장 영역의 조명광을 시분할로 출사하는 회전 필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 생체 내에 삽입 가능한 삽입부를 갖는 내시경과,생체 내에 있어서의 관찰 대상 부위측에 조명광을 출사하는 조명 수단과,상기 조명광에 있어서의 상기 관찰 대상 부위에 투여되는 광증감 물질에 의 한 활성 산소종의 발생을 일으키는 적의 파장 영역의 광량 제어를 하는 광량 제어 수단과,상기 적의 파장 영역의 광량 제어에 대응하고, 상기 조명광 하에서 촬상한 경우에 있어서의 적의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적의 색신호의 휘도 레벨을 변경시키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 제어 수단은 적어도 상기 활성 산소종의 발생량을 억제하도록 상기 적의 파장 영역의 광량을 감소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광량 제어 수단은 상기 적의 파장 영역의 광량을 증가시키는 제어 기능을 갖고, 상기 광량을 증가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조명광 하에서 촬상한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적의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적의 색신호의 휘도 레벨을 감소시키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광은 상기 적의 파장 영역의 광 이외에, 녹 및 청의 파장 영역의 광을 포함하고, 상기 적의 파장 영역의 광량이 거의 0으로 감소된 경우에는,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녹 및 청의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녹 및 청의 색신호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적의 파장 영역에 대응하는 적의 색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관찰 대상 부위에 광증감 물질이 투여되어 있는지 여부의 검출 수단을 갖고,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출력에 의해 상기 광량 제어 수단은 상기 광량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광량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적의 파장 영역의 광량을 감소시키는 광량 변화에 대응하고, 상기 광량 변화 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화이트 밸런스 상태를 유지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광량 제어 수단에 의한 상기 적의 파장 영역의 광량을 증가시키는 광량 변화에 대응하고, 상기 광량 변화 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화이트 밸런스 상태를 유지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수단은 가시 영역을 커버하는 서로 다른 복수의 파장 영역의 조명광을 시분할로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수단은 가시 영역을 커버하는 백색광을 출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5288214A JP4734074B2 (ja) | 2005-09-30 | 2005-09-30 | 内視鏡装置 |
JPJP-P-2005-00288214 | 2005-09-30 | ||
PCT/JP2006/315377 WO2007039981A1 (ja) | 2005-09-30 | 2006-08-03 | 内視鏡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14787A KR20080014787A (ko) | 2008-02-14 |
KR100930158B1 true KR100930158B1 (ko) | 2009-12-07 |
Family
ID=37906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27163A KR100930158B1 (ko) | 2005-09-30 | 2006-08-03 | 내시경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090156901A1 (ko) |
EP (1) | EP1929930B1 (ko) |
JP (1) | JP4734074B2 (ko) |
KR (1) | KR100930158B1 (ko) |
CN (1) | CN101267761B (ko) |
WO (1) | WO200703998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728162B2 (ja) * | 2006-04-21 | 2011-07-20 |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 内視鏡システム |
JP5355846B2 (ja) * | 2006-05-08 | 2013-11-27 |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 内視鏡用画像処理装置 |
US20090062662A1 (en) * | 2007-08-27 | 2009-03-05 | Remicalm, Llc | Optical spectroscopic device for the identification of cervical cancer |
EP2335551B1 (en) * | 2008-10-22 | 2014-05-14 | Fujifilm Corporation | Endoscop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JP5282343B2 (ja) * | 2008-12-05 | 2013-09-04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
JP5767775B2 (ja) * | 2009-07-06 | 2015-08-19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内視鏡装置 |
JP5692988B2 (ja) * | 2009-10-19 | 2015-04-01 | キヤノン株式会社 | 音響波測定装置 |
CN102917633B (zh) * | 2010-06-24 | 2015-03-11 | 奥林巴斯医疗株式会社 | 内窥镜装置 |
JP5757891B2 (ja) * | 2012-01-23 | 2015-08-05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電子内視鏡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作動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
JP6103824B2 (ja) * | 2012-06-04 | 2017-03-29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蛍光内視鏡装置 |
JP6554089B2 (ja) * | 2013-03-19 | 2019-07-31 | サージセンス コーポレイション | 組織酸素化の測定用の器具、システムおよびメソッド |
JP6053653B2 (ja) * | 2013-09-27 | 2016-12-27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内視鏡装置 |
CN105813538B (zh) | 2014-03-28 | 2018-04-20 | 奥林巴斯株式会社 | 活体观察系统 |
WO2015151703A1 (ja) * | 2014-03-31 | 2015-10-08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内視鏡システム及びその作動方法 |
CN105934946B (zh) * | 2014-08-20 | 2017-06-13 | 奥林巴斯株式会社 | 观察装置 |
WO2016039227A1 (ja) * | 2014-09-09 | 2016-03-17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撮像装置および処理装置 |
JP6416277B2 (ja) * | 2014-11-17 | 2018-10-31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光走査型内視鏡装置 |
JP6329062B2 (ja) * | 2014-12-10 | 2018-05-23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内視鏡システム及びその作動方法 |
WO2016151888A1 (ja) * | 2015-03-26 | 2016-09-29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 |
JP5977913B1 (ja) * | 2015-03-26 | 2016-08-24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 |
JP2017012395A (ja) * | 2015-06-30 | 2017-01-19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内視鏡システム及び内視鏡システムの作動方法 |
JP2017093843A (ja) * | 2015-11-25 | 2017-06-01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内視鏡システム |
JP6389912B2 (ja) * | 2017-03-23 | 2018-09-12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内視鏡装置 |
US10939801B2 (en) * | 2017-03-31 | 2021-03-09 | Hoya Corporation | Electronic endoscope system |
JP2017200601A (ja) * | 2017-07-04 | 2017-11-09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内視鏡装置 |
KR20190006807A (ko) | 2017-07-11 | 2019-01-21 | 유성옥 | 물고기 포획용 통발 |
CN108338774A (zh) * | 2018-04-17 | 2018-07-31 | 深圳大学 | 一种基于内窥显微的光热治疗装置及其操作方法 |
JP6602939B2 (ja) * | 2018-11-20 | 2019-11-06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内視鏡システム及び内視鏡システムの作動方法 |
JP7411527B2 (ja) * | 2020-09-25 | 2024-01-11 | Hoya株式会社 | 内視鏡、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99696A (ja) * | 2000-04-21 | 2001-10-30 | Tokyo Iken Kk | 内視鏡用光線装置 |
JP2003093335A (ja) * | 2001-09-27 | 2003-04-02 | Fuji Photo Optical Co Ltd | 内視鏡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1053508B (it) * | 1970-07-06 | 1981-10-10 | Searle & Co | Procedimento per prepare composizioni marcate adatte a mettere in evidenza alterazioni della mucosa gastrointestinale prodotto ottenuto e relativo metodo di impiego |
JP3164609B2 (ja) * | 1990-10-31 | 2001-05-08 |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 内視鏡装置 |
JP3012341B2 (ja) * | 1990-12-25 | 2000-02-21 |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 内視鏡装置 |
JPH08307890A (ja) * | 1995-04-27 | 1996-11-22 | Olympus Optical Co Ltd | 内視鏡撮像装置 |
US7179222B2 (en) * | 1996-11-20 | 2007-02-20 | Olympus Corporation | Fluorescent endoscope system enabling simultaneous achievement of normal light observation based on reflected light and fluorescence observation based on light with wavelengths in infrared spectrum |
EP1099405B1 (en) * | 1999-05-18 | 2005-08-03 | Olympus Corporation | Endoscope |
JP4133319B2 (ja) * | 2000-07-14 | 2008-08-13 | ノバダック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コンパクトな蛍光内視鏡映像システム |
WO2002007588A1 (fr) * | 2000-07-21 | 2002-01-31 | Olympus Optical Co., Ltd. | Endoscope |
US7172553B2 (en) * | 2001-05-16 | 2007-02-06 | Olympus Corporation | Endoscope system using normal light and fluorescence |
US6932762B2 (en) * | 2001-09-21 | 2005-08-23 | Fujinon Corporation | Endoscope having red component cut filter |
JP4139276B2 (ja) * | 2003-06-17 | 2008-08-27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電子内視鏡装置及び信号処理装置 |
JP4294440B2 (ja) * | 2003-10-30 | 2009-07-15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 |
-
2005
- 2005-09-30 JP JP2005288214A patent/JP473407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
- 2006-08-03 US US12/065,666 patent/US2009015690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6-08-03 EP EP06782237A patent/EP1929930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6-08-03 CN CN2006800345481A patent/CN101267761B/zh active Active
- 2006-08-03 WO PCT/JP2006/315377 patent/WO200703998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6-08-03 KR KR1020077027163A patent/KR10093015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99696A (ja) * | 2000-04-21 | 2001-10-30 | Tokyo Iken Kk | 内視鏡用光線装置 |
JP2003093335A (ja) * | 2001-09-27 | 2003-04-02 | Fuji Photo Optical Co Ltd | 内視鏡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267761A (zh) | 2008-09-17 |
KR20080014787A (ko) | 2008-02-14 |
EP1929930A1 (en) | 2008-06-11 |
CN101267761B (zh) | 2010-07-21 |
JP2007097649A (ja) | 2007-04-19 |
WO2007039981A1 (ja) | 2007-04-12 |
US20090156901A1 (en) | 2009-06-18 |
EP1929930A4 (en) | 2011-04-06 |
EP1929930B1 (en) | 2012-11-07 |
JP4734074B2 (ja) | 2011-07-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30158B1 (ko) | 내시경 장치 | |
JP6724101B2 (ja) | 内視鏡用光源装置 | |
US8419633B2 (en) | Light source apparatus and endoscope system | |
US7658710B2 (en) | Endoscope system using normal light and fluorescence | |
JP4855728B2 (ja) | 照明装置及び観察装置 | |
JP3869324B2 (ja) | 蛍光観察用画像処理装置 | |
JP4744288B2 (ja) | 内視鏡装置 | |
WO2013145410A1 (ja) | 内視鏡装置 | |
US20090058999A1 (en) |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biological observation apparatus | |
WO2006025334A1 (ja) | 内視鏡装置 | |
JP5539840B2 (ja) | 電子内視鏡システム、電子内視鏡システムのプロセッサ装置、及び電子内視鏡システムの作動方法 | |
WO2012140970A1 (ja) | 内視鏡装置 | |
JP2002336196A (ja) | 内視鏡装置 | |
JP2005013611A (ja) | 画像処理装置 | |
CN108014424B (zh) | 一种内窥镜装置 | |
JP2012065898A (ja) | 電子内視鏡システム | |
JP2005131129A (ja) | 撮像装置及び内視鏡装置 | |
WO2006004038A1 (ja) | 光源装置及び蛍光観察システム | |
JP2012081048A (ja) | 電子内視鏡システム、電子内視鏡、及び励起光照射方法 | |
JP5525991B2 (ja) | 電子内視鏡システム、電子内視鏡システムのプロセッサ装置、及び電子内視鏡システムの作動方法 | |
JP5544260B2 (ja) | 電子内視鏡システム | |
JP2005296200A (ja) | 内視鏡用画像処理装置 | |
JP2003126015A (ja) | 内視鏡装置 | |
WO2016059906A1 (ja) | 内視鏡装置 | |
JP2013094489A (ja) | 内視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