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147B1 -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147B1
KR100930147B1 KR1020077024023A KR20077024023A KR100930147B1 KR 100930147 B1 KR100930147 B1 KR 100930147B1 KR 1020077024023 A KR1020077024023 A KR 1020077024023A KR 20077024023 A KR20077024023 A KR 20077024023A KR 100930147 B1 KR100930147 B1 KR 100930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unit
coarse dust
front pane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4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1779A (ko
Inventor
하루히또 미야자끼
다께시 후루까와
신이찌로오 무라야마
류우지 아사꾸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81119A external-priority patent/JP465142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81114A external-priority patent/JP475688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81118A external-priority patent/JP4651424B2/ja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21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01D45/16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generated by the winding course of the gas stream, the centrifugal forces being generated solely or partly by mechanical means, e.g. fixed swirl v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2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and B01D46/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24F8/15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using active carb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8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entrifugal separation, e.g. using vort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F24F8/9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removing tobacco smo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공기 청정기의 프론트 패널의 배후에는, 좌우 양측에 유도로가 형성되어 있다. 프론트 패널과 필터 유닛의 사이의 공간은 구획판에 의해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과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으로 나뉘어져 있다. 흡입구로부터 유도로로 들어간 기류는, 일부는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으로 들어가고, 나머지는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으로 들어간다.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으로 들어가는 기류는 급회전부에서 급회전한다. 이에 의해 기류로부터 조대 먼지가 분리되고, 분리된 조대 먼지는 낙하하여 더스트 박스로 들어간다.
공기 청정기, 유도로, 필터 유닛, 급회전부, 흡입구

Description

공기 청정기{AIR CLEANER}
본 발명은 실내 공기로부터 먼지나 담배 연기 등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에 있어서, 가옥에는 각처의 개구부를 통해 꽃가루나 매진(煤塵) 등,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종류의 미립자가 침입한다. 그로 인해, 공기 청정기의 필요성은 해마다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공기 청정기는 실내 공기를 순환시켜 공기 중에 부유하는 먼지나 오염 물질을 포착한다. 공기 중에 부유하는 물체에는 그 크기에 있어서 다양한 레벨의 것이 있고, 큰 것부터 차례로, 단계적으로 포착하는 것이 통상의 구성이다. 그 중에서도 솜먼지 등「조대 먼지」라 불리워지는 레벨의 것은, 네트 형상의「프리 필터」로 포착하는 일이 많았는데, 여기서 조대 먼지의 포집을 싸이클론 장치로 행하고자 하는 생각이 생겨나게 되었다. 특허 문헌 1에서 싸이클론 장치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의 예를 볼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349918호 공보(제3 페이지 - 제4 페이지, 도1 - 도3)
싸이클론 장치에 있어서, 먼지 포집 능력을 추구하고자 하면, 대량의 공기를 흡입하여 고속으로 선회시킬 필요가 있어, 소음 레벨이 높아지는 것을 막을 수 없었다. 청소기와 같이 사용 시간이 한정되어 있는 것이라면 몰라도, 공기 청정기는 장시간 연속 운전하는 것이며, 소음 레벨의 높이는 상품으로서 치명적이다. 본 발명은 이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공기 중의 조대 먼지를 필터에 의존하지 않고 포집할 수 있고, 게다가 싸이클론 장치와 같은 소음을 수반하는 일이 없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실내 공기의 순환 기류 중에 배치되고, 공기 중의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 유닛과, 이 필터 유닛에 실내 공기를 유도하는 유도로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유도로에 연속하여 기류의 급회전부와, 급회전한 기류로부터 분리된 조대 먼지를 받는 조대 먼지 집적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기류를 급회전시켜 조대 먼지를 분리한다고 하는 분리 메카니즘에 의해, 공기 중의 조대 먼지를 포집하는 데 충분한 분리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싸이클론 장치와 같이 공기를 계속 선회시키지 않으므로 소음 레벨이 낮아, 실내에서 연속 사용하는 공기 청정기에 적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유도로는, 상기 필터 유닛의 전방면에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의 배후에 형성되는 것이며, 이 프론트 패널에는 좌우 양측에 후방 방향의 흡입구, 이 흡입구를 들어간 부분에 상기 급회전부가, 각각 형성되는 동시에, 하부에는 상기 조대 먼지 집적부로서 기능하는 착탈 가능한 더스트 박스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공기 청정기에 통상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의 배후에서 조대 먼지의 포집이 행해지게 되어 기구적으로 무리가 없고, 디자인적으로 위화감을 느낄 일도 없는 공기 청정기가 얻어진다. 또한 조대 먼지는 착탈 가능한 더스트 박스에 집적되므로, 손을 더럽히는 일 없이 간단하게 폐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과 필터 유닛의 사이의 공간이 수직인 구획판에 의해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과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이며, 이 구획판은 그 좌우 양단부가 상기 급회전부를 마주보고, 또한 상기 프론트 패널과의 간격이, 좌우 양단부에 있어서는 좁고, 중앙부에 있어서는 넓게 되어 있는 동시에,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과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을 연통시키는 복수개의 통기구가 상부에 가로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급회전부로부터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으로 들어가는 기류는, 구획판의 중앙으로 진행함에 따라 공간의 폭이 넓어져 기류 속도가 떨어져, 조대 먼지가 잘 분리된다. 기류는 조대 먼지를 남기고 가는 형태로 통기구로부터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으로 빠져나가므로, 조대 먼지는 낙하하여 조대 먼지 집적부로 들어간다. 낙하하는 조대 먼지와 필터 유닛과의 사이에 구획판이 존재하므로, 조대 먼지는 필터 유닛에 흡착되는 일 없이 더스트 박스로 떨어져 들어가게 되어, 조대 먼지를 확실하게 더스트 박스에 포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론트 패널과 필터 유닛의 사이의 공간이 수직인 구획판에 의해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과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이며, 이 구획판은 그 좌우 양단부가 상기 급회전부를 마주보고, 또한 상기 프론트 패널과의 간격이, 좌우 양단부에 있어서는 좁고, 중앙부에 있어서는 넓게 되어 있는 동시에,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으로 들어간 공기를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으로 돌아 들어가게 하는 우회 유도로가 좌우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이 우회 유도로에 제2 급회전부와 제2 조대 먼지 집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급회전부로부터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으로 들어가는 기류는, 구획판의 중앙으로 진행함에 따라 공간의 폭이 넓어져 기류 속도가 떨어져, 조대 먼지가 잘 분리된다. 기류는 조대 먼지를 남기고 가는 형태로 우회 유도로로부터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으로 빠져나가므로, 조대 먼지는 낙하하여 조대 먼지 집적부로 들어간다. 낙하하는 조대 먼지와 필터 유닛과의 사이에 구획판이 존재하므로, 조대 먼지는 필터 유닛에 흡착되는 일 없이 더스트 박스로 떨어져 들어가게 되어, 조대 먼지를 확실하게 더스트 박스에 포집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의 공기를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으로 유도하는 과정에서 제2 급회전부와 제2 조대 먼지 집적부에 의해 다시 조대 먼지를 포집하기 때문에, 조대 먼지량이 한층 적은 공기를 필터 유닛에 공급하여 필터 유닛의 막힘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의 상기 유도로에 면한 입구부에 네트 형상 필터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유도로로부터 직접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으로 들어가는 공기는 네트 형상 필터를 통과하게 되고, 공기 중에 조대 먼지가 섞여 있었다고 해도 네트 형상 필터에 의해 포착되어, 필터 유닛에 도달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과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의 사이의 공기 통로에 네트 형상 필터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으로부터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네트 형상 필터를 통과하게 되고, 공기 중에 조대 먼지가 잔존하고 있었다고 해도 네트 모양 필터에 의해 포착되어, 필터 유닛에 도달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유도로는 상기 필터 유닛의 전방면에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며, 이 유도로의 안쪽에, 기류를 상방으로 급회전시켜 필터 유닛 전방면으로 유도하는 상기 급회전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프론트 패널에는 또한, 필터 유닛에 흡입되는 기류로부터 이탈한 조대 먼지를 받는 더스트 박스를, 상기 유도로보다도 상방의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방으로 급회전한 기류는, 필터 유닛을 따라 상방으로 직선적으로 진행하면서, 조금씩 필터 유닛에 흡입되어 간다. 기류는 필터 유닛에 흡입될 때 직각으로 방향을 바꾸지만, 기류에 포함되는 조대 먼지는, 관성에 의해 통풍로의 상방까지 진행한 후, 프론트 패널과 필터 유닛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선회류에 의해, 필터 유닛에 흡입되는 기류로부터 이탈하여, 중력에 의해 더스트 박스로 낙하한다. 이에 의해, 기류 중의 조대 먼지를 필터 유닛에 흡착시키는 일 없이 더스트 박스에 포집할 수 있다. 싸이클론 장치와 같이 공기를 계속 선회시키지 않으므로 소음 레벨이 낮아, 실내에서 연속 사용하는 공기 청정기에 적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유도로가, 실내 공기를 비스듬히 하부 방향으로 유도하는 상하의 도풍판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기류는 비스듬히 하방으로 진행하고 나서 예각으로 회전하여 상승하게 되고, 기류의 진입 속도가 증가하여 조대 먼지의 관성력이 증가하여, 조대 먼지 분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하측의 도풍판이 정면에서 보아 하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유도로 중에서 송풍기에 가까운 부위와 먼 부위와의 사이의 압력이 균일화되고, 기류는 정면에서 보아 똑바로 진행하기 때문에 진입 속도가 커져, 조대 먼지 분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유도로의 단면적과 상기 필터 유닛의 최상류부에 있어서의 통풍로의 단면적이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유도로로부터의 기류는 필터 유닛 최상류부에 있어서의 통풍로를 똑바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진입 속도가 커져, 조대 먼지 분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과, 그 전방면에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과의 사이에, 필터 유닛에 대해 수평면 내에 있어서 경사를 이루는 형상으로 도풍판을 배치하고, 이 도풍판과 필터 유닛의 사이에 상기 유도로를 형성하고, 이 유도로를, 도풍판의 한쪽 측 모서리의 측에서는 폭 넓게, 다른 쪽 측 모서리의 측에서는 폭 좁게 형성하여, 폭이 넓은 측은 기기 외부로 연통하는 흡입구로 하고, 폭이 좁은 측은 도풍판과 프론트 패널과의 사이의 조대 먼지 집적부로 연통하는 급회전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흡입구로부터 유도로로 흡입된 기류는, 유도로를 수평 방향으로 안쪽으로 진행하면서 조금씩 필터 유닛에 흡입되어 간다. 기류는 필터 유닛에 흡입될 때 직각으로 방향을 바꾸지만, 기류에 포함되는 조대 먼지는, 관성에 의해 직진한다. 유도로의 안쪽에 도달한 기류는 급회전부를 통해 조대 먼지 집적부로 들어간다. 이때의 기류의 급회전에 의해, 조대 먼지가 기류로부터 이탈한다. 이탈한 조대 먼지는 중력에 의해 낙하하고, 조대 먼지 집적부의 바닥에 저류된다. 이에 의해, 기류 중의 조대 먼지를 필터 유닛에 흡착시키는 일 없이 조대 먼지 집적부에 포집할 수 있다. 싸이클론 장치와 같이 공기를 계속 선회시키지 않으므로 소음 레벨이 낮아, 실내에서 연속 사용하는 공기 청정기에 적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도풍판에는, 상기 조대 먼지 집적부에 유입된 공기를 상기 유도로로 환류시키는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유도로로부터 조대 먼지 집적부에 이르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해져, 조대 먼지를 효율적으로 조대 먼지 집적부에 취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가 상기 조대 먼지 집적부의 상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기류는 조대 먼지 집적부의 바닥에 집적된 조대 먼지로부터 떨어진 부위를 통과하게 되어, 집적된 조대 먼지가 날아올라 기류 중으로 되돌아가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가 상기 흡입구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조대 먼지 집적부 중의 공기는 유도로의 입구의 부분으로 빨아내어지므로, 그 공기 중에 먼지가 포함되어 있어도, 그 먼지는 필터 유닛으로 포집되거나, 혹은 다시 급회전부를 통과할 때에 기류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먼지를 철저하게 포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조대 먼지 집적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한 더스트 박스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더스트 박스를 취출함으로써, 집적된 조대 먼지를 손을 더럽히는 일 없이 버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도풍판이 2매,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그 사이에 좌우의 상기 급회전부를 구획하는 경계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기류는 좌우 어느 측으로부터 흡입된 경우라도, 필터 유닛의 단부로부터 중앙을 향해, 즉 송풍기의 흡인력이 비교적 약하게 작용하는 부위로부터 강하게 작용하는 부위를 향해 유도되게 되어, 유도로의 안쪽까지 확실하게 도달하는, 안정된 기류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박스는 단독으로 좌우의 상기 조대 먼지 집적부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조대 먼지 집적부의 수에 비해 더스트 박스의 수를 적게 하여, 조대 먼지 폐기의 수고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조대 먼지 집적부가 상하 방향으로 복수단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조대 먼지 집적부 1단당의 조대 먼지 낙하 거리를 작게 하여 조대 먼지를 빠르게 조대 먼지 집적부의 바닥에 도달하게 하여, 완전히 낙하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기류로 운반되어 가버리는 조대 먼지의 비율을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한 공기를 필터 유닛에 도달시키기 전에 급회전부에서 급격하게 회전시켜 조대 먼지를 분리하기 때문에, 필터를 이용하는 일 없이 공기 중의 조대 먼지를 필요 또한 충분한 레벨로 포집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조대 먼지 분리 메카니즘은 싸이클론 장치만큼 소음 레벨이 높지 않아, 공기 청정기의 상품 가치를 손상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청정기의 정면도.
도2는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청정기의 상면도.
도3은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청정기의 일부 파단한 정면도.
도4는 도3의 A-A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청정기의 일부 파단한 정면도.
도6은 제2 실시 형태의 공기 청정기의 일부 파단한 측면도.
도7은 도5의 B-B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청정기의 정면도.
도9는 제3 실시 형태의 공기 청정기의 상면도.
도10은 제3 실시 형태의 공기 청정기의 수직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청정기의 정면도.
도12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청정기의 상면도.
도13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청정기의 부분 단면 정면도.
도14는 도13의 C-C 단면도.
[부호의 설명]
1A, 1B, 1C, 1D : 공기 청정기
10 : 본체부
11 : 프론트 패널
20 : 필터 유닛
30 : 송풍기
40, 70, 92L, 92R : 유도로
43, 73, 95L, 95R : 급회전부
44 : 구획판
45 :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
46 :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
47, 96L, 96R : 통기구
48, 64 : 네트 형상 필터
49, 80, 93L, 93R, 98 : 더스트 박스(조대 먼지 집적부)
60 : 우회 유도로
62 : 제2 급회전부
63 : 제2 조대 먼지 집적부
71, 72, 90L, 90R : 도풍판
91 : 경계판
94L, 94R : 흡입구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1 내지 도4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은 공기 청정기의 정면도, 도2는 공기 청정기의 상면도, 도3은 공기 청정기의 일부 파단한 정면 단면도, 도4는 도3의 A-A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청정기(1A)의 외각 부분은, 평평한 상자를 수직 으로 세운 모양의 본체(10)와, 본체(10)의 전방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프론트 패널(11)을 주된 구성 요소로 한다. 본체(10)의 정면측에는 필터 유닛 수납 오목부(12)가 형성되고(도4 참조), 그 내부에 집진 필터(21)와 탈취 필터(22)를 전후로 포갠 구성의 필터 유닛(20)이 수납된다. 집진 필터(21)는 공기 중의 미세 먼지를 포집하고, 탈취 필터(22)는 활성탄 등에 의해 공기 중의 악취 성분을 흡착한다. 필터 유닛(20)은 먼지 포착면이 수직이 되도록 보유 지지되어 있다.
필터 유닛 수납 오목부(12)의 배후에는 필터 유닛(20)을 통해 공기를 흡인하는 송풍기(30)가 설치되어 있다. 송풍기(30)는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팬 케이싱(31)과, 팬 케이싱(31)의 내부에 배치된 시로코 팬(32)과, 시로코 팬(32)을 회전시키는 전동기(33)로 이루어진다. 본체(10)의 상면에 팬 케이싱(31)의 분출구(34)가 개방된다(도2 참조). 분출구(34)에는 격자 형상의 그릴(35)이 설치되어 있다.
프론트 패널(11)의 배후에는, 필터 유닛(20)에 실내 공기를 유도하는 유도로(40)가 다음과 같이 하여 형성된다. 즉 프론트 패널(11)의 좌우 양단부에, 후방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고, 또한 외측이 볼록해지도록 만곡된 모양의 도풍판(41)을 일체 형성한다(도4 참조). 도풍판(41)은 본체(10)의 측면과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이 간격이 유도로(40)가 된다. 유도로(40)의 입구의 흡입구(42)는 후방을 향한다. 유도로(40)는 흡입구(42)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프론트 패널(11)과 도풍판(41)의 결합 부위인 급회전부(43)까지 이어진다. 유도로(40)를 진행해 온 기류는, 급회전부(43)에서는 대략 직각으로 급격하게 방향을 바꾼다.
프론트 패널(11)과 필터 유닛(20)의 사이의 공간은, 수직인 구획판(44)에 의 해 2개로 구획된다. 그 중 하나는 구획판(44)과 프론트 패널(11)의 사이의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45)이고, 다른 하나는 구획판(44)과 필터 유닛(20)의 사이의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46)이다. 도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구획판(44)은 좌우 양단부에서 급회전부(43)를 마주보는 것이며, 중앙에서「く」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획판(44)과 프론트 패널(11)과의 간격은, 구획판(44)의 좌우 양단부에서는 좁게, 중앙부에서는 넓게 되어 있다.
구획판(44)의 상부에는,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45)과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46)을 연통시키는 통기구(47)가 복수개, 가로 1열로 나열되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46)의, 유도로(40)에 면한 입구부에는, 네트 형상의 필터(48)가 부착되어 있다.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45)의 바닥부에는, 기류로부터 분리된 조대 먼지를 받는 조대 먼지 집적부로서 기능하는, 착탈 가능한 더스트 박스(49)가 배치된다. 더스트 박스(49)는 서랍 형상이며, 구획판(44)과 대략 동일한 정면 폭을 갖고, 손잡이(50)를 잡고 사용자 쪽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스트 박스(49)의 평면 형상은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45)의 평면 형상과 거의 동등하다. 즉 중앙부가 필터 유닛(20) 쪽으로 팽창된 모양으로 되어 있다. 이 형상은 더스트 박스(49)의 용량을 크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공기 청정기(1A)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송풍기(30)를 구동하면 필터 유닛(20)의 배후에 부압(負壓)이 생긴다. 이에 의해, 흡입구(42)로부터 흡입되어, 필터 유닛(20)을 통과하여 분출구(34)로부터 분출되는 기류가 형성된다. 흡입 구(42)로부터 흡입된 기류 중, 일부는 필터(48)를 통해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46)으로 들어간다. 유도로(40)를 흐르는 기류는 급격하게 회전하여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46)으로 들어가므로, 기류에 포함되는 조대 먼지(P)의 대부분은 관성에 의해 그대로 직진한다.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46)으로 들어가려고 하는 조대 먼지(P)가 있어도, 그것은 필터(48)에 의해 저지된다.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46)으로 들어가지 않은 나머지 기류는, 급회전부(43)에서 급격하게 회전하여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45)으로 들어간다. 기류 중의 조대 먼지(P)도 기류와 함께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45)으로 들어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풍판(41)은 외측이 볼록해진 만곡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기류는 도풍판(41)의 내면을 따라 진행하는 동안에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45) 쪽으로 치우치게 되어, 급회전부(43)에 도달할 때까지 층류로 된다. 이 층류는 급회전부(43)에서 원활하게 회전하므로, 조대 먼지를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45)으로 들어간 기류는, 구획판(44)의 중앙으로 진행함에 따라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45)의 폭이 넓어지기 때문에 기류 속도가 떨어진다. 이에 의해, 기류로부터 조대 먼지(P)가 분리되어, 더스트 박스(49)로 낙하한다. 조대 먼지(P)를 낙하시킨 기류는 통기구(47)로부터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46)으로 빠져나간다. 통기구(47)는 구획판(44)의 상부에만 형성되어 있고, 구획판(44)의 하부에는 통기구(47)가 없으므로, 낙하하는 조대 먼지(P)가 필터 유닛(20) 쪽으로 끌어 당겨지는 일이 없어, 조대 먼지(P)는 확실하게 더스트 박스(49)로 낙하한다.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46)으로 들어간 공기는 필터 유닛(20)을 빠져나가 송풍기(30)에 흡입된다. 그 과정에서 공기 중의 미세 먼지는 집진 필터(21)에 포착되고, 악취 성분은 탈취 필터(22)에 흡착된다. 또한 구획판(44)은, 필터 유닛(20)과의 간격에 관해서는, 양단부에 있어서 간격이 넓고, 중앙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게 되어 있고, 이 형상에 의해 필터 유닛(20)에 작용하는 흡입압을 균등화하는 균압판으로서의 역할도 다한다.
필터 유닛(20)에 의해 청정화된 공기는 분출구(34)로부터 분출된다. 이에 의해 실내에는, 흡입구(42)로부터 수평으로 흡입되어, 분출구(34)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분출된다고 하는, 기류의 순환이 생긴다.
공기 청정기(1A)의 운전을 계속하고 있으면, 더스트 박스(49)에 점차 조대 먼지(P)가 집적된다. 조대 먼지 집적량이 많아지면 공기 청정기(1A)의 운전을 멈추고, 더스트 박스(49)를 취출하여 내부의 조대 먼지(P)를 버린다. 비워진 더스트 박스(49)를 공기 청정기(1A)에 세트하고, 운전을 재개한다. 또한 더스트 박스(49)는, 조대 먼지 집적량을 한눈에 알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를 투명 재료로 형성하여,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해 두면 좋다.
공기 청정기(1A)는 기류를 급회전시켜 조대 먼지(P)를 분리한다고 하는 분리 메카니즘에 의해, 공기 중의 조대 먼지(P)를 포집하는 데 충분한 분리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싸이클론 장치와 같이 공기를 계속 선회시키지 않으므로 소음 레벨이 낮아, 실내에서 연속 사용하는 공기 청정기에 적합한 것이다. 또한 조대 먼지(P)의 포집은 프론트 패널(11)의 배후에서 행해지는 것이며, 프론트 패널(11)은 공기 청 정기에 통상 설치되는 부재이므로 기구적으로 무리가 없어, 디자인적으로 위화감은 없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5 내지 도7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5는 공기 청정기의 일부 파단한 정면도, 도6은 일부 파단한 측면도, 도7은 도5의 B-B 단면도이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 기능적으로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3 및 제4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청정기(1A)에서 구획판(44)의 상부에 존재한 통기구(47)는 제2 실시 형태의 공기 청정기(1B)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 대신, 구획판(44)의 상부의 좌우 양단부에는,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45)으로 들어간 공기를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46)으로 돌아 들어가게 하는 우회 유도로(60)가 설치되어 있다. 우회 유도로(60)는 유도로(40)의 상부를 수평인 구획판(61)으로 구획하여 형성된다.
우회 유도로(60)에는 프론트 패널(11)과 도풍판(41)의 결합 부위인 제2 급회전부(62)와, 제2 급회전부(62)에 의해 기류로부터 분리된 조대 먼지를 받아내는, 포켓 형상의 제2 조대 먼지 집적부(6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46)의 우회 유도로(60)에 면한 입구부에는 네트 형상 필터(64)가 부착되어 있다.
공기 청정기(1B)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송풍기(30)를 구동하면 흡입구(42)로부터 실내 공기가 흡입된다. 흡입구(42)로부터 흡입된 기류 중, 일부는 필 터(48)를 통해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46)으로 들어간다.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46)으로 들어가려고 하는 조대 먼지(P)는 필터(48)에 의해 저지된다.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46)으로 들어가지 않은 나머지 기류는, 조대 먼지(P)와 함께 급회전부(43)에 의해 급격하게 회전하여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45)으로 들어간다.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45)으로 들어간 기류는, 조대 먼지(P)를 낙하시킨 후에, 우회 유도로(60)를 경유하여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46)으로 들어간다. 우회 유도로(60)로부터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46)으로 들어갈 때, 기류는 제2 급회전부(62)에서 급회전한다. 이로 인해, 이 시점에서 기류에 포함되는 조대 먼지(P)가 있었다고 해도, 그것은 관성에 의해 직진하여 기류로부터 떨어지고, 제2 조대 먼지 집적부(63)에 받아내어진다. 급회전하는 기류에 남아 있던 조대 먼지는 네트 형상 필터(64)에 의해 포착된다.
이와 같이 공기 청정기(1B)는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45)으로부터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46)으로 공기를 유도하는 과정에서, 제2 급회전부(62)와 제2 조대 먼지 집적부(63)에 의해 다시 조대 먼지(P)를 포집하기 때문에, 조대 먼지량이 한층 적은 공기를 필터 유닛(20)에 공급하여, 필터 유닛(20)의 막힘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45)과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46)의 사이의 공기 통로에 네트 형상 필터(64)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45)으로부터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46)으로 이동하는 공기 중에 조대 먼지(P)가 잔존하고 있었다고 해도, 그것은 네트 형상 필터(64)에 의해 포착되어, 필터 유닛(20)에 도달하는 일이 없다.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45)과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46)의 사이의 공기 통로에 네트 형상 필터를 부착한다고 하는 생각은,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청정기(1A)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는 통기구(47)에 네트 형상 필터를 부착하게 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8 내지 도10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8은 공기 청정기의 정면도, 도9는 공기 청정기의 상면도, 도10은 공기 청정기의 수직 단면도이다.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청정기(1C)에서는, 프론트 패널(11)과 필터 유닛(20)의 사이의 공간은, 필터 유닛(20)에 기류를 도달하게 하기 위한 통풍로(13)가 된다. 프론트 패널(11)의 하부에는, 통풍로(13)로 실내 공기를 도입하는 유도로(70)가 형성되어 있다. 유도로(70)는 상하의 도풍판(71, 72)에 의해 구성된다. 도풍판(71, 72)은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 내려가 있고, 실내 공기는 비스듬히 하부 방향으로 유도된다.
하방의 도풍판(72)은, 도8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면 하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유도로(70)는 정면에서 보면 마치 상현달과 같은 형상을 나타내고 있어, 상하 방향의 폭이, 중앙에 있어서 넓게, 좌우 양단부에 있어서 좁게 되어 있다.
유도로(70)의 안쪽에는, 기류를 상방으로 급회전시키는 급회전부(73)가 형성되어 있다. 급회전부(73)에 이어지는 통풍로(13)의 단면적은, 필터 유닛(20)의 최상류부에 있어서는 유도로(70)의 단면적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프론트 패널(11)에는, 유도로(70)보다도 상방의 위치에 더스트 박스(80)가 배치된다. 더스트 박스(80)는 통풍로(13)에 서랍과 같이 삽입되는 것으로, 상면이 개방되고, 정면에는 손잡이(81)가 설치되어 있다. 급회전부(73)에서 급회전한 기류는 더스트 박스(80)와 필터 유닛(20)의 사이를 통과하여 상승한다. 더스트 박스(80)와 필터 유닛(20)의 사이는 그보다 상방의 통풍로(13)보다 폭이 좁아, 병목을 형성하고 있다.
공기 청정기(1C)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송풍기(30)를 구동하면 필터 유닛(20)의 배후에 부압이 생긴다. 이에 의해, 유도로(70)로부터 흡입되고, 필터 유닛(20)을 통과하여 분출구(34)로부터 분출되는 기류가 형성된다. 유도로(70)로부터 흡입된 기류는, 비스듬히 하방으로 유도된 후, 급회전부(73)에서 급격하게 회전하고, 상승하여 통풍로(13)로 들어간다.
통풍로(13)로 들어간 기류는, 필터 유닛(20)을 따라 상방으로 직선적으로 진행하면서, 조금씩 필터 유닛(20)에 흡입되어 간다. 기류는 필터 유닛(20)에 흡입될 때 직각으로 방향을 바꾸지만, 기류에 포함되는 조대 먼지(P)는 관성에 의해 그대로 상방으로의 직진을 계속한다. 통풍로(13)의 상부에 도달한 조대 먼지(P)는, 상기 병목보다도 상방의 통풍로(13)에 형성되어 있는 선회류에 의해, 필터 유닛(20)에 흡입되는 기류로부터 이탈하여, 중력에 의해 더스트 박스(80)에 낙하한다. 이에 의해, 공기 중의 조대 먼지(P)를 필터 유닛(20)에 흡착시키는 일 없이 더스트 박스(80)에 포집할 수 있다.
그리고, 유도로(70)는 기류를 비스듬히 하부 방향으로 유도하므로, 기류는 비스듬히 하방으로 진행한 후 예각으로 회전하여 상승하게 되고, 기류의 진입 속도 가 증가하여 조대 먼지(P)의 관성력이 증가하여, 조대 먼지 분리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하측의 도풍판(72)이 정면에서 보아 하방으로 볼록하게 만곡하고 있으므로, 유도로(70) 중에서 송풍기(30)에 가까운 부위와 먼 부위와의 사이의 압력이 균일화되고, 기류는 정면에서 보아 똑바로 진행하기 때문에 진입 속도가 커져, 조대 먼지 분리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유도로(70)의 단면적과 필터 유닛(20)의 최상류부에 있어서의 통풍로(13)의 단면적이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유도로(70)로부터의 기류는 필터 유닛(20)의 최상류부에 있어서의 통풍로(13)를 똑바로 빠져나가게 되어 진입 속도가 커져, 조대 먼지 분리 성능이 향상된다.
조대 먼지(P)를 분리한 기류는 필터 유닛(20)을 빠져나가 송풍기(30)에 흡입된다. 그 과정에서 공기 중의 악취 성분은 탈취 필터(21)에 흡착되고, 미세 먼지는 집진 필터(22)에 포집된다. 필터 유닛(20)에서 청정화된 공기는 분출구(34)로부터 분출된다. 이에 의해 실내에는, 유도로(70)로부터 비스듬히 하부 방향으로 흡입되고, 분출구(34)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분출된다고 하는, 기류의 순환이 생긴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도11 내지 도14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1은 공기 청정기의 정면도, 도12는 공기 청정기의 상면도, 도13은 공기 청정기의 부분 단면 정면도, 도14는 도13의 C-C 단면도이다.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청정기(1D)에서는, 프론트 패널(11)과 필터 유닛(20)의 사이의 공간에, 이 공간을 전후로 구획하는 모양으로 도풍판(90L, 90R)이 배치된다. 필터 유닛(20)과 도풍판(90L, 90R)의 사이의 공간은 유도로가 되고, 프론트 패널(11)과 도풍판(90L, 90R)과의 사이의 공간은 조대 먼지 집적부가 된다. 도1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4 실시 형태의 경우 도풍판(90L, 90R)은 좌우 한 쌍인 동시에 서로 대칭 형상이기도 하다. 즉, 좌측에는 도풍판(90L)이 배치되고, 우측에는 도풍판(90R)이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도풍판(90L, 90R)의 사이에는, 프론트 패널(11)의 이면으로부터, 수직인 경계판(91)이 돌출한다. 경계판(91)의 선단부는 필터 유닛(20)에 도달하고, 이에 의해 프론트 패널(11)과 필터 유닛(20)의 사이의 공간은 좌우로 구획된다.
도풍판(90L)은 유도로(92L)와 조대 먼지 집적부(93L)를 구획하고, 도풍판(90R)은 유도로(92R)와 조대 먼지 집적부(93R)를 구획한다. 도풍판(90L, 90R)은 필터 유닛(20)에 대해 수평면 내에 있어서 경사를 이루는 모양으로 배치된다. 즉, 도풍판(90L)에 관하여 말하면, 유도로(92L)의 좌측 단부가 폭이 넓고, 우측 단부가 폭이 좁아진다. 도풍판(90R)에 관하여 말하면, 유도로(92R)의 우측 단부가 폭이 넓고, 좌측 단부가 폭이 좁아진다.
유도로(92L, 92R)는 모두 폭이 넓은 측이 기기 외부에 면하는 것이며, 이 부위에, 기기 외부로 연통하는 흡입구(94L, 94R)가 설치된다. 유도로(92L, 92R)의 폭이 좁은 측은 필터 유닛(20)의 중앙부에 도달하는 것이지만, 이 부위에 있어서 도풍판(90L, 90R)에는 조대 먼지 집적부(93L, 93R)에 연통되는 세로로 긴 슬릿이 형성된다. 이 슬릿이 급회전부(95L, 95R)를 구성한다.
도풍판(90L, 90R)에는 조대 먼지 집적부(93L, 93R)에 유입된 공기를 유도 로(92L, 92R)에 환류시키는 통기구(96L, 96R)가 형성된다. 통기구(96L, 96R)는 조대 먼지 집적부(93L, 93R)의 상부이며, 흡입구(94L, 94R)에 가까운 측에 배치된다.
조대 먼지 집적부(93L, 93R)의 하부에는 착탈 가능한 더스트 박스(98)가 배치된다. 제4 실시 형태의 경우, 조대 먼지 집적부(93L, 93R)가 상하 2단으로 나뉜 모양으로 존재한다. 즉 조대 먼지 집적부(93L, 93R) 하부에 또한 1단, 조대 먼지 집적부(93L, 93R)가 배치되어 있다. 프론트 패널(11)의 이면에 형성된 수평 구획벽(97)(도13 참조)이 상방의 조대 먼지 집적부(93L, 93R)와 하방의 조대 먼지 집적부(93L, 93R)를 나눈다. 조대 먼지 집적부(93L, 93R)가 상하 2단으로 존재하는 것에 대응하여, 유도로(92L, 92R), 흡입구(94L, 94R), 급회전부(95L, 95R) 및 통기구(96L, 96R)도 상하 2단으로 나누어 설치되어 있다.
더스트 박스(98)는 좌우의 조대 먼지 집적부(93L, 93R)를 1개의 더스트 박스(98)가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물론, 더스트 박스(98)도 상하 2단분이 존재한다. 더스트 박스(98)는 조대 먼지 집적부(93L, 93R)에 프론트 패널(11)의 정면측으로부터 서랍과 같이 삽입되는 것으로, 상면이 개방되고 정면에는 손잡이(99)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 청정기(1D)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송풍기(30)를 구동하면 필터 유닛(20)의 배후에 부압이 생긴다. 이에 의해, 흡입구(94L, 94R)로부터 흡입되고, 필터 유닛(20)을 통과하여 분출구(34)로부터 분출되는 기류가 형성된다. 흡입구(94L, 94R)로부터 유도로(92L, 92R)로 들어간 기류는, 필터 유닛(20)을 따라 수평으로 직선적으로 진행하면서, 조금씩 필터 유닛(20)에 흡입되어 간다. 기류는 필터 유닛(20)에 흡입될 때 직각으로 방향을 바꾸지만, 기류에 포함되는 조대 먼지(P)는 관성에 의해 직진한다. 유도로(92L, 92R)의 안쪽에 도달한 기류는 급회전부(95L, 95R)를 통해 조대 먼지 집적부(93L, 93R)로 들어간다. 이때의 기류의 급회전에 의해, 조대 먼지(P)가 기류로부터 이탈한다. 이탈한 조대 먼지(P)는 중력에 의해 낙하하여, 더스트 박스(98)에 받아내어진다. 이에 의해, 기류 중의 조대 먼지(P)를 필터 유닛(20)에 흡착시키는 일 없이 더스트 박스(98)에 포집할 수 있다.
조대 먼지 집적부(93L, 93R)로 유입된 공기는, 통기구(96L, 96R)로부터 유도로(92L, 92R)로 환류된다. 이로 인해, 유도로(92L, 92R)로부터 조대 먼지 집적부(93L, 93R)에 이르는 공기의 흐름이 원활해져, 조대 먼지(P)를 효율적으로 조대 먼지 집적부(93L, 93R)에 취입할 수 있다. 통기구(96L, 96R)는 조대 먼지 집적부(93L, 93R)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류는 더스트 박스(98)의 바닥에 집적된 조대 먼지(P)로부터 떨어진 부위를 통과하게 되어, 집적된 조대 먼지(P)가 날아 올라 기류 중으로 되돌아가는 일이 없다. 또한 통기구(96L, 96R)는 흡입구(94L, 94R)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조대 먼지 집적부(93L, 93R) 중의 공기는 유도로(92L, 92R)의 입구의 부분으로 빨아내어진다. 따라서, 빨아내어지는 공기 중에 먼지가 포함되어 있어도, 그 먼지는 필터 유닛(20)에 의해 포집되거나, 혹은 다시 급회전부(95L, 95R)를 통과할 때에 기류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먼지를 철저하게 포집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2매의 도풍판(90L, 90R)을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하고, 그 사이에 돌출되는 경계판(91)으로 좌우의 급회전부(95L, 95R)를 구획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기류는 좌우 어느 측으로부터 흡입된 경우라도, 필터 유닛(20)의 단부로부터 중앙을 향해, 즉 송풍기(30)의 흡인력이 비교적 약하게 작용하는 부위로부터 강하게 작용하는 부위를 향해 유도되게 되어, 유도로(92L, 92R)의 안쪽까지 확실하게 도달하는, 안정된 기류가 형성된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조대 먼지 집적부(93L, 93R)가 상하 방향으로 2단에 걸쳐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대 먼지 집적부 1단당의 조대 먼지(P)의 낙하 거리가 작아져, 조대 먼지(P)는 신속하게 더스트 박스(98)로 낙하한다. 이로 인해, 완전히 낙하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기류로 운반되어 가버리는 조대 먼지(P)의 비율을 적게 할 수 있다.
조대 먼지(P)를 분리한 기류는 필터 유닛(20)을 빠져나가 송풍기(30)에 흡입된다. 그 과정에서 공기 중의 악취 성분은 탈취 필터(21)에 흡착되고, 미세 먼지는 집진 필터(22)에 포집된다. 필터 유닛(20)에 의해 청정화된 공기는 분출구(34)로부터 분출된다.
공기 청정기(1D)의 운전을 계속하고 있으면, 더스트 박스(98)에 점차 조대 먼지(P)가 집적된다. 조대 먼지 집적량이 많아지면 공기 청정기(1)의 운전을 멈추고, 더스트 박스(98)를 취출하여 내부의 조대 먼지(P)를 버린다. 비워진 더스트 박스(98)를 공기 청정기(1D)에 세트하고, 운전을 재개한다. 또한 더스트 박스(98)는 조대 먼지 집적량을 한눈에 알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를 투명 재료로 형성하여 내부를 투시할 수 있게 해 두면 좋다.
더스트 박스(98)는 단독으로 좌우의 조대 먼지 집적부(93L, 93R)를 커버하는 것이기 때문에, 조대 먼지 집적부의 수에 비해 더스트 박스(98)의 수가 적어, 조대 먼지 폐기의 수고가 경감된다.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내 공기를 청정화하는 공기 청정기, 공기 조화기, 전기 세라믹 팬 히터, 석유 팬 히터 등에 널리 이용 가능하다.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실내 공기의 순환 기류 중에 배치되고 공기 중의 먼지를 포착하는 필터 유닛과, 이 필터 유닛으로 실내 공기를 유도하는 유도로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유도로에 연속하여, 기류의 급회전부와, 급회전한 기류로부터 분리된 조대 먼지를 받는 조대 먼지 집적부를 설치하고,
    상기 유도로는 상기 필터 유닛의 전방면에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의 배후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 프론트 패널에는 좌우 양측에 후방 방향의 흡입구, 이 흡입구를 들어간 부분에 상기 급회전부가, 각각 형성되는 동시에, 하부에는 상기 조대 먼지 집적부로서 기능하는 착탈 가능한 더스트 박스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론트 패널과 필터 유닛의 사이의 공간이 수직인 구획판에 의해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과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이며, 이 구획판은 그 좌우 양단부가 상기 급회전부를 마주보고, 또한 상기 프론트 패널과의 간격이, 좌우 양단부에 있어서는 좁고, 중앙부에 있어서는 넓게 되어 있는 동시에,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과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을 연통시키는 복수개의 통기구가 상부에 가로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4.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실내 공기의 순환 기류 중에 배치되고 공기 중의 먼지를 포착하는 필터 유닛과, 이 필터 유닛으로 실내 공기를 유도하는 유도로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유도로에 연속하여, 기류의 급회전부와, 급회전한 기류로부터 분리된 조대 먼지를 받는 조대 먼지 집적부를 설치하고,
    상기 유도로는 상기 필터 유닛의 전방면에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의 배후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 프론트 패널에는 좌우 양측에 후방 방향의 흡입구, 이 흡입구를 들어간 부분에 상기 급회전부가, 각각 형성되는 동시에, 하부에는 상기 조대 먼지 집적부로서 기능하는 착탈 가능한 더스트 박스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론트 패널과 필터 유닛의 사이의 공간이 수직인 구획판에 의해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과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이며, 이 구획판은 그 좌우 양단부가 상기 급회전부를 마주보고, 또한 상기 프론트 패널과의 간격이, 좌우 양단부에 있어서는 좁고, 중앙부에 있어서는 넓게 되어 있는 동시에,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으로 들어간 공기를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으로 돌아 들어가게 하는 우회 유도로가 좌우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이 우회 유도로에 제2 급회전부와 제2 조대 먼지 집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의 상기 유도로에 면한 입구부에 네트 형상 필터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 배후 공간과 필터 유닛 전방면 공간의 사이의 공기 통로에 네트 형상 필터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7.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실내 공기의 순환 기류 중에 배치되고 공기 중의 먼지를 포착하는 필터 유닛과, 이 필터 유닛으로 실내 공기를 유도하는 유도로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유도로에 연속하여, 기류의 급회전부와, 급회전한 기류로부터 분리된 조대 먼지를 받는 조대 먼지 집적부를 설치하고,
    상기 유도로는 상기 필터 유닛의 전방면에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 유도로의 안쪽에, 기류를 상방으로 급회전시켜 필터 유닛 전방면으로 유도하는 상기 급회전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프론트 패널에는 또한, 필터 유닛에 흡입되는 기류로부터 이탈한 조대 먼지를 받는 더스트 박스를, 상기 유도로보다도 상방의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로가, 실내 공기를 비스듬히 하부 방향으로 유도하는 상하의 도풍판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9. 제8항에 있어서, 하측의 도풍판이 정면에서 보아 하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로의 단면적과 상기 필터 유닛의 최상류부에 있어서의 통풍로의 단면적이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1.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기와, 상기 실내 공기의 순환 기류 중에 배치되고 공기 중의 먼지를 포착하는 필터 유닛과, 이 필터 유닛으로 실내 공기를 유도하는 유도로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유도로에 연속하여, 기류의 급회전부와, 급회전한 기류로부터 분리된 조대 먼지를 받는 조대 먼지 집적부를 설치하고,
    상기 필터 유닛과, 그 전방면에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과의 사이에, 필터 유닛에 대해 수평면 내에 있어서 경사를 이루는 모양으로 도풍판을 배치하고, 이 도풍판과 필터 유닛의 사이에 상기 유도로를 형성하고, 이 유도로를, 도풍판의 한쪽 측 모서리의 측에서는 폭 넓게, 다른 쪽 측 모서리의 측에서는 폭 좁게 형성하여, 폭이 넓은 측은 기기 외부로 연통하는 흡입구로 하고, 폭이 좁은 측은 도풍판과 프론트 패널과의 사이의 조대 먼지 집적부에 연통하는 급회전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풍판에는, 상기 조대 먼지 집적부에 유입된 공기를 상기 통풍로로 환류시키는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가 상기 조대 먼지 집적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가 상기 흡입구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5.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대 먼지 집적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한 더스트 박스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6.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풍판이 2매, 좌우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그 사이에 좌우의 상기 급회전부를 구획하는 경계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박스는 단독으로 좌우의 상기 조대 먼지 집적부를 커버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8.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대 먼지 집적부가 상하 방향에 복수단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KR1020077024023A 2005-03-22 2006-03-15 공기 청정기 KR100930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81119 2005-03-22
JP2005081119A JP4651425B2 (ja) 2005-03-22 2005-03-22 空気清浄機
JP2005081114A JP4756888B2 (ja) 2005-03-22 2005-03-22 空気清浄機
JPJP-P-2005-00081118 2005-03-22
JP2005081118A JP4651424B2 (ja) 2005-03-22 2005-03-22 空気清浄機
JPJP-P-2005-00081114 2005-03-22
PCT/JP2006/305101 WO2006100976A1 (ja) 2005-03-22 2006-03-15 空気清浄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779A KR20070121779A (ko) 2007-12-27
KR100930147B1 true KR100930147B1 (ko) 2009-12-07

Family

ID=37023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023A KR100930147B1 (ko) 2005-03-22 2006-03-15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14596B2 (ko)
KR (1) KR100930147B1 (ko)
WO (1) WO20061009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39597B (zh) * 2008-01-25 2013-09-04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机的室内机组
JP2014004186A (ja) * 2012-06-26 2014-01-16 Kondo Kogyo Kk 脱臭装置および該脱臭装置に使用する集塵ユニット
USD802725S1 (en) 2014-02-14 2017-11-14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Air treatment system
USD846105S1 (en) 2014-02-14 2019-04-16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Air treatment system
USD825046S1 (en) 2017-01-09 2018-08-07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Air treatment system
US11305301B2 (en) 2017-04-10 2022-04-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icrofluidic delivery device for dispensing and redirecting a fluid composition in the air
US11691162B2 (en) 2017-04-10 2023-07-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icrofluidic delivery cartridge for use with a microfluidic delivery device
US10806816B2 (en) 2018-05-15 2020-10-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icrofluidic cartridge and microfluidic deliver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D952895S1 (en) * 2020-11-13 2022-05-24 Shenzhen Antop Technology Co., Ltd Sterilizer
USD965173S1 (en) * 2020-11-13 2022-09-27 Shenzhen Antop Technology Co., Ltd Steriliz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0818B2 (ja) * 2000-10-11 2003-10-27 株式会社オーデン 工業性粉塵除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3405A (en) * 1939-05-05 1943-07-06 United Shoe Machinery Corp Dust separator
US2384414A (en) * 1942-10-26 1945-09-04 Hammond Machinery Builders Inc Dust collector for grinding and other machines
US2491645A (en) * 1944-11-23 1949-12-20 Vilbiss Co Apparatus for washing air
US3364664A (en) * 1964-07-20 1968-01-23 Cockle Ventilator Company Inc Grease extractor for ventilating systems
SE301955B (ko) * 1964-12-03 1968-07-01 Svenska Flaektfabriken Ab
US3543325A (en) * 1967-12-22 1970-12-01 Jl Products Inc Vacuum cleaning system with waste collection remote from suction fan
US3936284A (en) * 1974-08-16 1976-02-03 Mason Engineering And Designing Corporation Air filtering apparatus
JPS5858641B2 (ja) 1975-12-26 1983-12-26 株式会社東芝 シヨウテンケンシユツカイロ
JPS5411519A (en) 1977-06-27 1979-01-27 Nobuyuki Sugimura Method of airtightly mounting bleeder at thin shell of accumulator
US4172865A (en) * 1977-07-07 1979-10-30 Ernest Steier Air filtration device
JPS5428427A (en) 1977-08-08 1979-03-03 Yoshio Kasuya Solid frame type vertical stake pier
JPS5525112U (ko) 1978-08-01 1980-02-18
US5097750A (en) * 1989-01-13 1992-03-24 Lab Products, Inc. Waste management disposal system
JPH0470121U (ko) 1990-10-31 1992-06-22
US5281246A (en) * 1992-12-23 1994-01-25 Metal-Fab, Inc. Air cleaner assembly
USD360028S (en) * 1993-12-15 1995-07-04 Sharp Kabushiki Kaisha Air cleaner
US6053968A (en) * 1998-10-14 2000-04-25 Miller; Bob C. Portable room air purifier
JP2002349918A (ja) 2001-05-28 2002-1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清浄機
JP2004050084A (ja) 2002-07-22 2004-02-19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バグフィルタ装置
USD489800S1 (en) * 2002-09-05 2004-05-11 Sharp Kabushiki Kaisha Air purifier
USD503972S1 (en) * 2004-02-24 2005-04-12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Air treatment system
CA108349S (en) * 2004-06-23 2005-11-14 Sharp Kk Air purifier
US7537649B2 (en) * 2005-07-14 2009-05-26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Air treatment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0818B2 (ja) * 2000-10-11 2003-10-27 株式会社オーデン 工業性粉塵除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14596B2 (en) 2011-03-29
WO2006100976A1 (ja) 2006-09-28
KR20070121779A (ko) 2007-12-27
US20090056289A1 (en) 200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147B1 (ko) 공기 청정기
JP4756888B2 (ja) 空気清浄機
JP2006175423A (ja) グリル部材、これを備えるサイクロン集塵装置及び真空掃除機
JP2005305114A (ja) 掃除機用集塵装置
JP2004135992A (ja) 空気清浄機能付き電気掃除機
JP4698276B2 (ja) 空気清浄機
ES2298703T3 (es) Dispositivo de separacion de residuos para aspirador.
JP4651424B2 (ja) 空気清浄機
JP4651425B2 (ja) 空気清浄機
JP2002349918A (ja) 空気清浄機
KR200466747Y1 (ko) 진공청소기
JP2007190234A (ja) 空気清浄機能付き塵埃収集装置
KR20050060564A (ko) 공기청정기
JP2003164718A (ja) 粉塵除去方法とその装置
JP4708069B2 (ja) 空気清浄機
JP2006289169A (ja) 空気清浄機
JP7442040B2 (ja) 空気清浄装置
JP6286666B2 (ja) 集塵装置
JP2003114039A (ja) 清掃機
JP3237289U (ja) 集塵装置
JP7317683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7381266B2 (ja) 電気掃除機
KR101299505B1 (ko) 공기청정기
KR101459629B1 (ko) 공기조화기
JP2011055974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