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817B1 -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817B1
KR100928817B1 KR1020020081505A KR20020081505A KR100928817B1 KR 100928817 B1 KR100928817 B1 KR 100928817B1 KR 1020020081505 A KR1020020081505 A KR 1020020081505A KR 20020081505 A KR20020081505 A KR 20020081505A KR 100928817 B1 KR100928817 B1 KR 100928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member
strip
cleaning
cleaning tank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4956A (ko
Inventor
한복렬
모영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81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817B1/ko
Publication of KR20040054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9Liquid recov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5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스트립 압연시 윤활, 방청, 냉각등의 목적으로 스트립 표면에 분사되는 압연유를 스트립의 소둔공정전에 세정하는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1)는, 세정탱크 출측(100a)에 설치되고 하부에는 엇갈린 절개구(12)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싱부재(10);과, 상기 케이싱부재 (10)의 전방에 설치된 레일수단(20);과, 상기 케이싱부재(10)의 상측으로 설치된 구동수단(30)으로서 상기 케이싱부재(10)의 양측에 회전토록 설치되는 회전축(40);과, 상기 회전축(40)에 연결된 구동링크(52)를 통하여 상기 레일(20)을 따라 업-다운되면서 이동토록 케이싱부재(10)의 전방에 제공되는 거품 및 이물질 수거용 스키머수단(50);및, 상기 케이싱부재(10)의 내측으로 상기 구동링크(52)와 중심부분이 연결되어 회전축(40)과 일체로 케이싱부재(10)내에서 회전토록 배치된 원통회전체 (72)를 따라 그 방사상으로 수축 및 팽창가능하게 제공되는 브레이드수단(70);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정탱크내의 세정액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어 스트립의 세정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이물질이 스트립과 설비등에 부착되면서 발생되는 스트립의 표면결함 및 설비손상등을 미연에 방지시키는 한편, 세정액의 사용기간을 증가시키어 비용을 절감시키는 보다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igure R1020020081505
스트립 세정라인, 세정탱크, 세정액, 부유물 제거장치, 스트립 압연유

Description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AN APPARATUS FOR REMOVING THE SUSPENDED SOLID IN A STRIP WASHING TANK}
도 1은 종래의 스트립 세정라인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에서 스키머수단 및 브레이드수단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측면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인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에서 스키머수단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b)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에서 케이싱부재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에서 브레이드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 10.... 케이싱부재
12.... 절개구 14.... 고정대
16.... 배출덕트 18.... 유입개구
20.... 레일수단 22.... 지지판
24,26.... 가이드홈 28.... 레일판
30.... 구동수단 34.... 구동축
35.... 연결바디 36.... 연결축
37.... 회전스프로켓 38.... 구동체인
39.... 베어링블록 50.... 스키머수단
52.... 구동링크 54.... 작동링크
56.... 연결블록 58,60.... 연결아암
62.... 스키머판 66.... 이동블록
70.... 브레이드수단 72.... 원통회전체
74.... 안착부 76.... 스프링
78.... 커버 80.... 브레이드
본 발명은 냉연스트립의 압연시 윤활, 방청, 냉각등의 목적으로 스트립 표면에 분사되는 압연유를 스트립의 소둔공정전에 세정하는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스트립이 세정탱크를 통과할때 스트립과 탱크내의 세정액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되는 세정액거품과, 스트립의 표면에서 이탈되고, 스트립과 세정탱크의 롤간의 마찰에 의한 롤파편과 같은 이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하여 스트립의 세정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이물질이 스트립과 설비등에 부착되면서 발생되는 스트립의 표면결함 및 설비손상등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한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연 스트립을 생산하는 과정중 하나인 냉간 압연시, 압연되는 스트립의 윤활, 방청 및, 냉각등의 목적으로 스트립 표면에 분사되고 스트립의 표면에 부착되는 압연유는 통상 스트립을 소둔공정(로)에 투입하기 전에 세정해야 하고 이와 같은 스트립의 표면에서 압연유를 제거하는 라인을 스트립 세정라인이라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스트립의 세정라인은 크게 설비의 구성에 따라 연속설비와 단속설비로 나눌 수 있는데, 연속설비는 수직형으로 구성되며 단속설비는 대체로 수평으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본 발명은 수평형으로 된 단속설비의 스트립 세정라인에 관련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스트립 세정라인은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탱크 (100)의 입측부에 스트립 코일을 풀어주면서 스트립(S)을 세정탱크(100)로 진행시키는 페이오프릴(미도시)과 스트립을 필요시 절단 및 연결하기 위한 절단(쉬어)기와 용접기 (미도시)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세정탱크(100)내에는 스트립(S)의 진행을 위한 디프렉터롤 (120)들과 서브머징롤(122)들이 배치되어 이를 통하여 스트립(S)이 진행되어 세정탱크(100)의 출측(100a)을 통하여 후공정으로 진행되고, 상기 세정탱크(100)내에는 내부에 다수의 아이들롤(132)과 그리드(134)가 배치되는 세정박스(130)가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트립(S)이 상기 세정박스(130)의 그리드(134)사이를 통과하면서 스트립(S)의 자중과 세정액(140)에 의한 슬립 현상으로 하부로 쳐지면서 상기 그리드(134)의 하부에 접촉하면서 스트립(S)의 표면에 스크레치가 발생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아이들(132)들이 설치되며, 이와 같은 아이들 롤(132)의 재질은 러버로 된 다소 경도가 약하고 내산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이와 같은 스트립 세정라인에서 세정탱크(100)내의 세정용액(140)은 진행되는 스트립(S)의 진행속도에 의하여, 상기 세정탱크(100)내에서 도 1의 화살표방향으로 흐르게 되고, 따라서 세정탱크에서 세정액(140)의 레벨은 " L " 에서 " L' " 로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세정액이 탱크내에서 한쪽으로 지속적으로 몰리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세정탱크(100)에는 순환펌프(152)를 갖춘 순환관(154)이 설치되고, 이와 같은 순환관(152)에는 세정액의 순환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156)가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세정박스(130)내의 아이들롤(132)이 경도가 약하고 내산성으로 설치하여 스트립(S)의 표면에 스크레치와 같은 표면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수 는 있으나, 스트립(S)의 연속 진행을 위한 용접부의 오버랩부분과 상기 아이들롤 (132)이 접촉하면서 롤의 표면이 손상되고, 이때 발생되는 롤의 미세파편과 같은 이물질이 한쪽으로 몰리는 세정액(140)상에서 부유되고, 또한 압연 공정을 거친 스트립(S)의 표면상에 붙어 있다 이탈되는 각종 철분과 이물질이 용액의 혼탁도를 높인다.
따라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세정탱크(100)에서는 세정액 (140)을 순환시키면서 세정액의 온도와 농도를 균일하게 하도록 필터(156)로서 세정액(140)을 여과하지만, 세정액(140)상에 부유되는 각종 철분과 이물질등을 효과적으로 여과시키는 것은 불가능하고, 또한 용액의 사용기간이 지나면서 그 폐기시점에 도달하면, 상기 세정액(140)에 부유하면서 누적되어 여과되지 않은 거품과 이물질등의 부유물이 오히려 스트립(S)에 표면에 부착(이는 한쪽으로 레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되면서, 진행되는 스트립(S)과 디플렉터롤(120) 사이에 끼여 스트립 (S)의 표면결함은 물론, 롤에 박히면서 찍힘흠과 같은 덴트(Dent)가 발생되는 등의 여러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세정탱크내의 세정액거품과 롤파편과 같은 이물질등의 부유물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서, 탱크내의 세정액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어 스트립의 세정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이물질이 스트립과 설비등에 부착되면서 발생되는 스트립의 표면결함 및 설비손상등을 미연에 방지시키는 것은 물론, 특히 세정액의 사용기간이 증가되어 비용을 절감시키는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스트립의 세정라인의 세정탱크 출측에 설치되고 하부에는 엇갈린 절개구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싱부재;와,
상기 케이싱부재의 전방에 설치된 레일수단;과,
상기 케이싱부재의 상측으로 설치된 구동수단으로서 상기 케이싱부재의 양측에 회전토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링크를 통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업-다운되면서 이동토록 케이싱부재의 전방에 제공되는 거품 및 이물질 수거용 스키머수단; 및,
상기 케이싱부재의 내측으로 상기 구동링크와 중심부분이 연결되어 회전축과 일체로 케이싱부재내에서 회전토록 배치된 원통회전체를 따라 그 방사상으로 수축 및 팽창가능하게 제공되는 브레이드수단;으로 구성된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부유물 제거장치에서 스키머수단 및 브레이드수단을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측면 구조도이며, 도 6은 부유물 제거장치의 스키머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부유물 제거장치의 케이싱부재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8은 부유물 제거장치에서 브레이드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인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거장치(1)는 크게 케이싱부재(10)와 레일수단(20)과 회전축(40)과 스키머수단(50) 및, 브레이드수단 (70)으로 나누어 지는데, 이들 각각의 구성요소(10)(20)(40)(50)(70)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1)는, 기존의 세정탱크(100)의 출측에 배치되는데, 이는 스트립 (S)의 진행력에 의하여 세정액(140)이 한쪽으로 몰리는 현상(도 1)으로, 세정액상에 부유되는 거품과 이물질이 탱크의 출측으로 모여지기 때문이다.
한편, 도 2, 도 5 및 도 7에서는 본 발명인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1)의 상기 케이싱부재(1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케이싱부재(10)는, 스트립(S)의 세정라인 세정탱크(100)의 스트립 출측(100a)에 설치되고 하부에는 엇갈린 절개구(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5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부재(10)는, 상기 세정탱크(100)의 스트립 출측(100a)에 배치된 고정대(14)상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부재(10)에 형성된 엇갈린 절개구(12)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에 설명하는 브레이드수단(60)의 브레이드(80)들이 케이싱부재(10)의 내주면을 따라 편심적으로 수축 및 팽창되면서 이동할때, 상기 개구(12)를 통하여 낙하되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서로 삽입되는 요철 및 요철홈(12a)(12b)이 연속하여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요철 및 요철홈(12a)(12b)사이로 수거된 이물질 및 거품이 배출되게 된다.
또한, 도 5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부재(10)의 하부에는 세정탱크(100)의 외곽으로 배치된 필터(156)와 연결된 배출덕트(16)에 플레시블관 (16a)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부재(10)의 전방측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스키머수단(50)에 의하여 수거되는 세정액(140)상의 거품과 이물질이 케이싱부재(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입개구(1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 도 2, 도 3 및 도 6에서는 본 발명인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1)의 상기 케이싱부재(10) 전방에 설치된 레일수단(2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레일수단(20)은 다음에 설명하는 스키머수단(50)의 스키머판(62)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면서 특히, 업-다운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즉, 도 3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일수단(20)은, 상기 케이싱부재(10)의 전방으로 일체로 연결되는 지지판(22)과, 상기 지지판(22)의 양측으로 수직 설치되고, 상하로 제 1,2 가이드홈(24)(26)이 형성된 레일판(28)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가이드홈(24)의 전단부는 다음에 설명하는 스키머수단(50)의 업-다운을 위하여 만곡(24a) 형성된다.
다음, 도 2 및 도 3에서는 본 발명인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1)의 상기 회전축(4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회전축 (40)은, 상기 케이싱부재(10)의 상측으로 설치된 구동수단(30)으로서 상기 케이싱부재(10)의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회전축(40)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3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부재(10)의 상측으로 설치된 박스(32)상에 모터(34a)로서 구동토록 설치된 구동축(34) 및, 상기 구동축(34)과 2단의 연결바디(35a)(35b)의 연결축 (36) 및, 상기 회전축(40)에 설치된 회전스프로켓(37)들 사이에 체결되는 구동체인 (38)으로 구성됨으로서, 상기 모터(34a) 구동시 상기 회전축(40)은 고정대(14)상의 베어링블록(39)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링크(52)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링크(52)는 상기 케이싱부재(10)를 통하고 다음에 설명하는 브레이드수단(70)의 원통회전체(72)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회전축(40)과 일체로 브레이드수단(70)의 원통회전체(72)는 일체로 회전 구동된다.
이때, 상기 2단의 연결바디(35a)(35b)는, 구동축(34)과 연결축(36) 및 회전축 (40)사이에 각각 2단으로 연결되어 있어 구동체인(38)의 구동궤도를 유지시키도록 하는데, 이는 상기 연결바디(35)들이 구동축(34)에서 회전축(40)으로의 구동력을 전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연결축(36)을 축으로 유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 며, 이와 같은 상기 연결바디(35)들은 중량이 가벼운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단순히 동력전달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활을 한다.
다음, 도 3 내지 도 6에서는 본 발명인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1)의 상기 스키머수단(5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스키머수단(50)은, 상기 회전축(40)에 연결된 구동링크(52)를 통하여 상기 레일(20)을 따라 업-다운되면서 이동토록 케이싱부재(10)의 전방에 제공되는 거품 및 이물질 수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스키머수단(50)는, 상기 구동링크(52)와 연결되어 호형 작동하는 작동링크(54)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블록(56)과, 상기 연결블록(56)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1,2 가이드홈(24)(26)에서 지지되는 제 1,2 연결아암(58)(60)사이에 고정되는 스키머판(62)을 구비하고, 이때 상기 제 2 연결아암(60)에는 상기 제 2 연결아암 (60)이 내측에 스프링(64)으로서 탄성 지지되고, 상기 제 2 가이드홈(26)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블록(66)이 체결되어 있다.
한편,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블록(66)은 상기 레일수단(20)의 제 2 가이드홈(26)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블록(66)의 하부에는 상기 제 2 가이드홈(26)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는 돌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아암(60)에는 이동블록(66)의 내측에서 스프링(64)과 연결되는 연결판(65)들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작동링크(54)와 연결블록(56)에는 지지봉(57)이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결국 상기 작동링크(54)가 도 3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링크(52)가 회전축(40)의 구동으로 원운 동하면 상기 제 1 연결아암(58)과 이동블록(66)은 레일판의 가이드홈(24)(26)들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 1 가이드홈(24)의 만곡된 부위(24a)에 의하여 상기 스키머판(62)은 초기에는 다운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업(up)되어 즉, 이물질과 거품을 수거하는 초기에는 수평하게 있다가 이동하면 수직하게 되어 케이싱부재(10)의 유입구(18)를 통하여 유입시키는 것이다.
다음, 도 2, 도 3 및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1)의 상기 브레이드수단(7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브레이드수단(70)은, 상기 케이싱부재(10)의 내측에 상기 회전축(40)으로서 회전토록 설치된 원통회전체(72)를 따라 그 방사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드수단(70)은, 상기 회전축(40)이 중앙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부재(10)내에 편심상태로 하부는 케이싱부재(10)의 절개구(12)와 밀착토록 배치되는 원통회전체(72)와, 상기 원통회전체 (72)의 내부에 형성된 안착부(74)내에 스프링(76)을 개재하여 커버(78)로서 전방 이동토록 제공되는 브레이드(80)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40)이 구동수단(30)으로서 구동되고, 이에 구동링크 (52)와 일체로 케이싱부재(10)의 내측에서 원통회전체(72)가 구동되면, 브레이드 (80)들이 스프링(76)의 탄성력으로 편심상태로 된 케이싱부재(1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점차 절개구(12)측에서는 수축되어 거품과 이물질등의 부유물을 케이싱배출덕트(16)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탱크(100)내의 세정액(140)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어 스트립(S)의 세정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거품 및 이물질이 스트립(S)과 설비등에 부착되면서 발생되는 스트립의 표면결함 및 설비손상등을 미연에 방지시키는 한편, 세정액(140)의 사용기간을 증가시키어 비용을 절감시키도록 한 본 발명의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1)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탱크(100)를 통하여 스트립(S)이 진행되면, 스트립(S)의 진행력에 의하여 세정탱크(100)내의 세정용액(140)은 탱크 출구측(100a)으로 그 레벨이 "L" 에서 " L' "로 높아지게 되고, 이경우 세정액(140)상에 부유되는 거품 및 이물질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레일수단 (20)의 지지판(22) 전방으로 수평하게 다운되어 있는 스키머수단(50)의 스키머판 (62)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수단(30)의 구동모터 (34a)가 구동되면 구동축(34)과 연결바디(35a)(35b)상의 연결축(36) 및 탱크(100) 출측의 고정대(14)상에 설치된 베어링블록(39)에 지지된 회전축(40)의 스프로켓 (37)에 체결된 구동체인(38)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축(40)에 연결된 구동링크 (52)와 케이싱부재(20)내의 브레이드수단(70)의 원통회전체(72)가 일체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구동링크(52)에 의한 작동링크(54)는 호형을 이루면서 운동하는 궤적을 갖기 때문에, 이에 연결된 스키머수단(50)의 스키머판(62)은 주기적으로 업-다운되면서 세정액(140)상의 이물질과 거품을 계속 케이싱부재(10)의 유입구측으로 유입시키고, 이때 소량의 세정액이 같이 유입될 수도 있다.
결국, 상기 구동링크(52)에 연결된 작동링크(54)는 제 1 연결아암(58)과 제 2 연결아암(60)상의 이동블록(66)을 레일판(22)의 제 1,2 가이드홈(24)(26)을 따라 이동시키면, 스키머판(62)은 초기 제 1 가이드홈(24)의 만곡부위(24a)를 통과하는 제 1 연결아암(58)의 상승으로 수직하게 업되면서 상기 거품과 이물질을 케이싱부재 (10)의 유입구(18)측으로 유입시킨다.
이때,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링크(52)에 의하여 케이싱부재(10)의 내측에서는 구동링크(52)의 연결부위를 축으로 원통회전체(72)가 회전하기 때문에, 이에 방사상으로 수축 및 팽창 가능하게 배치된 다수의 브레이드(80)들은 원통회전체(72)가 케이싱부재(10)에 하측으로 편심되게 배치되어 있어 브레이드(80)들은 유입된 이물질 및 거품을 점차 케이싱부재(10)의 하측에 형성된 엇갈린 절개구(12)측으로 유도하고, 이를 통하여 이물질 및 거품은 배출덕트(16)의 플레시블관(16a)을 통하여 순환관(154)상의 필터(156)측에 보내져 여과된다.
따라서, 세정액(140)상에서 발생되는 거품과 이물질은 상기 스키머판(62)이 욍복동하면서 업-다운(up-down)되어 지속적으로 케이싱부재(10)의 내측에 유입되면, 브레이드(80)들이 케이싱부재(10)의 절개구(12)를 통하여 배출시킴으로서, 세 정액(140)의 농도관리가 용이하고, 이물질에 의한 스트립과 주변설비의 손상이나 스트립의 표면결함 발생이 차단되게 된다.
그리고, 세정액의 여과효율이 높아지면서 세정액의 사용기간이 늘어나고, 이는 결국 스트립 세정라인의 비용소모를 줄이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에 의하면, 스트립이 세정탱크를 통과할때 스트립과 탱크내의 세정액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되는 세정액거품과, 스트립의 표면에서 이탈되고, 스트립과 세정탱크의 롤간의 마찰에 의한 롤파편과 같은 이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하는 잇점을 제공한다.
그리고, 탱크내의 세정액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어 스트립의 세정효율을 향상시키는 한편, 이물질이 스트립과 설비등에 부착되면서 발생되는 스트립의 표면결함 및 설비손상등을 미연에 방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스트립의 세정탱크내에 충진되어 일정기간 사용되는 세정액의 세정정도가 유지되어 그 사용기간을 증가시킴으로서, 비용을 절감시키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6)

  1.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 출측(100a)에 설치되고 하부에는 엇갈린 절개구 (12)가 일체로 형성된 케이싱부재(10); 과,
    상기 케이싱부재(10)의 전방에 설치된 레일수단(20); 과,
    상기 케이싱부재(10)의 상측으로 설치된 구동수단(30)으로서 상기 케이싱부재 (10)의 양측에 회전토록 설치되는 회전축(40); 과,
    상기 회전축(40)에 연결된 구동링크(52)를 통하여 상기 레일(20)을 따라 업-다운(up-down)되면서 이동토록 케이싱부재(10)의 전방에 제공되는 거품 및 이물질 수거용 스키머수단(50); 및,
    상기 케이싱부재(10)의 내측으로 상기 구동링크(52)와 중심부분이 연결되어 회전축(40)과 일체로 케이싱부재(10)내에서 회전토록 배치된 원통회전체(72)를 따라 그 방사상으로 수축 및 팽창가능하게 제공되는 브레이드수단(70);
    을 포함하여 구성된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10)는, 상기 세정탱크(100)의 스트립 출측 (100a)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부재(10)내측의 절개구(12)는, 요철 및 요철홈 (12a)(12b)들이 연속하여 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부재(10)의 하부에는 순환관(154)과 플렉시블관(16a)을 통하여 배출덕트(16)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케이싱부재(10)의 전방에는 거품 및 이물질 유입개구(18)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수단(20)은,
    상기 케이싱부재(10)의 전방으로 일체로 연결되는 지지판(22); 및,
    상기 지지판(22)의 양측으로 수직 설치되고, 상,하측에 제 1,2 가이드홈 (24)(26)이 형성된 레일판(28);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가이드홈(24)의 전단부는 스키머수단(50)의 업-다운을 위하여 만곡(24a)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머수단(50)는,
    상기 구동링크(52)와 연결되어 호형 작동하는 작동링크(54)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블록(56); 및,
    상기 연결블록(56)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 1,2 가이드홈(24)(26)에서 지지되는 제 1,2 연결아암(58)(60)사이에 고정되는 스키머판(6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연결아암(60)에는 상기 제 2 가이드홈(26)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블록(66)에 지지되는 스프링(64)이 탄설되는 연결판(65)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40)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30)은,
    상기 케이싱부재(10)의 상측으로 설치된 박스(32)상에 모터(34a)로서 구동토록 설치된 구동축(34); 및,
    상기 구동축(34)과 2단의 연결바디(35a)(35b)상의 연결축(36) 및 회전축 (40)에 설치된 회전스프로켓(37)들 사이에 체결되는 구동체인(3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드수단(70)은, 상기 회전축(40)이 중앙에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부재(10)내에 편심상태로 하부는 케이싱부재(10)의 절개구(12)와 밀착토록 배치되는 원통회전체(72); 및,
    상기 원통회전체(72)의 내부에 형성된 안착부(74)내에 스프링(76)을 개재하여 커버(78)로서 수축 및 팽창 가능하게 제공되는 브레이드(80);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
KR1020020081505A 2002-12-20 2002-12-20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 KR100928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505A KR100928817B1 (ko) 2002-12-20 2002-12-20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505A KR100928817B1 (ko) 2002-12-20 2002-12-20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956A KR20040054956A (ko) 2004-06-26
KR100928817B1 true KR100928817B1 (ko) 2009-11-27

Family

ID=37347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505A KR100928817B1 (ko) 2002-12-20 2002-12-20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8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004B1 (ko) * 2003-06-13 2011-01-17 주식회사 포스코 슬러지 제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128Y1 (ko) * 2001-06-25 2001-10-17 임상준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
KR200252231Y1 (ko) * 2001-07-28 2001-11-23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부상분리조의 스컴 제거장치
JP2002088491A (ja) * 2000-09-14 2002-03-27 Hotani:Kk ストリップ洗浄アルカリ液の消泡方法及び消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491A (ja) * 2000-09-14 2002-03-27 Hotani:Kk ストリップ洗浄アルカリ液の消泡方法及び消泡装置
KR200248128Y1 (ko) * 2001-06-25 2001-10-17 임상준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
KR200252231Y1 (ko) * 2001-07-28 2001-11-23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부상분리조의 스컴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956A (ko) 200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09779B1 (en) Paint booth equipped with purification device
JP5153223B2 (ja) ダーティー液処理装置
EP2835182B1 (en) Paint booth equipped with purification device
US4731180A (en) Water-solids separator and wiper blade
KR100928817B1 (ko)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
KR200157552Y1 (ko) 스컴 및 이끼제거수단이 구비된 슬러지 제거장치
JP2003103256A (ja) 油脂回収装置
US6887387B2 (en) Oil and chip skimmer
JP5047851B2 (ja) 浮遊夾雑物回収装置
JP5430790B1 (ja) 流路式浮上油回収装置
CN112619260B (zh) 一种机床切削液离心过滤装置
KR102637813B1 (ko) 페이퍼필터를 이용한 사용된 유체의 재활용을 위한 유체 여과시스템
KR100908699B1 (ko) 폐수처리설비 오일분리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CN213834633U (zh) 含油污漂浮物污水前处理装置
KR100676839B1 (ko) 침전조의 슬러지 수집장치
CN210176497U (zh) 内刮渣式格栅除污机
CN111603827A (zh) 一种清洁的水循环设备
KR100779709B1 (ko) 탈지용기의 부유 슬러지 제거장치
JPH07275855A (ja) 油水分離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323291B1 (ko) 흄 집진 장치
JP3909562B2 (ja) 汚泥掻寄機
CN113265977B (zh) 一种水闸、泵站联合排涝系统
CN112619258B (zh) 一种切削液过滤回流装置
JPH07108115A (ja) 濾体移動式細塵除塵機における濾体補強装置
KR101861640B1 (ko) 압연유 이물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